KR101769600B1 - 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 Google Patents

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600B1
KR101769600B1 KR1020170063348A KR20170063348A KR101769600B1 KR 101769600 B1 KR101769600 B1 KR 101769600B1 KR 1020170063348 A KR1020170063348 A KR 1020170063348A KR 20170063348 A KR20170063348 A KR 20170063348A KR 101769600 B1 KR101769600 B1 KR 101769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al
guide
guide frames
sides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빠보로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빠보로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빠보로꼬
Priority to KR1020170063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6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600B1/en
Priority to CN201810082907.5A priority patent/CN108283209B/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5/00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 A22B5/18Cleaning the stomach of slaughtered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6Eviscerating device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53Transferring or conveying device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gizzard mediastinal pleu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removing gizzard mediastinal pleura includes a gizzard guide device on a section in a transfer direction passing over a gizzard incision device. The gizzard guide device is installed in a row on both sides of a gizzard transfer device, and includes a first guide rod and a second guide rod which slant downwards as going toward an upper end from a rear end connected to the vicinity of the gizzard incision device.

Description

근위 황막 제거장치{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deling a proximal membrane,

본 발명은 근위의 이송을 안내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ximal membrane removal device for guiding proximal transfer.

근위(GIZZARD)의 모양은 일반적으로 한 쌍으로 된 붉은 살점의 두툼한 근육이 아래위 방향으로 서로 엇갈려 볼록렌즈처럼 마주보고 있다. 근위는 주름 벽 황막을 둥그렇게 감싸고 있으며 이 붉은 살점의 두툼한 근육의 수축활동으로 주름 벽 황막 안으로 들어오는 먹이를 1차 분쇄한다. 안 주름 벽 쪽의 황막을 감싼 붉은 살점의 두툼한 근육은 정중앙에 양쪽으로 똑같이 상, 하 반대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나누어져 있으며 근위의 크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근위는 대략 중심 상하 좌우, 상하 약 15mm 정도 넓이이며 수축활동이 원활하도록 약 두께 1mm 정도의 아주 질긴 막이 형성되어 있다. 주변으로 붉은 살점으로 된 근육을 보호할 수 있도록 아주 섬세한 약 0.1 mm의 엷은 막이 근육 전체를 감싸고 있다. 식품으로서 근위의 가공작업은 한 쌍의 붉은 살점으로 된 근육의 중심을 정확히 절개하여 붉은 살점의 근육에 손상이 가지 않게 작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엷은 막에도 상처가 나지 않도록 세심하게 작업을 하는 것이 최우선적이라 할 수 있다. 정확히 절개되지 않으면 양쪽 모양이 다르고 칼집이 한쪽으로 치우쳐 모양 자체가 찌그러지고 손상이 간다. 그리고 엷은 막으로 감싸진 부분은 육안으로는 자세히 보아야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흠집 및 표피의 손상을 작업자가 자칫 소홀히 간과할 수 있다. 근위에 흠집 또는 상처가 나거나 엷은 막이 벗겨지면 오염에 노출되어 미생물 번식이 쉽게 되며 부패속도가 빨라질 수 있어 신선도 유지에 문제가 있으며 붉은 살점으로 된 근육을 정확히 절개하지 않아 양쪽 모양이 다르게 되면 상품가치가 반감됨은 물론 신선도 유지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작업을 하여야 한다.The shape of the proximal (GIZZARD) is generally facing the thick muscles of a pair of red flesh, like a convex lens, stagger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proximal is wrapped around the wrinkled wall of the wrinkled wall, and the shrinking activity of the thick flesh of this red flesh first crushes the food that enters the wrinkled wall. The thick muscles of the red flesh wrapped around the amphibia of the inner corrugated wall are divided equally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in the middle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proximal part is roughly centered vertically, horizontally, vertically, It is about 15mm wide and has a very thick film about 1mm thick to smooth the shrinking activity. A very delicate film about 0.1 mm thick covers the entire muscle to protect the muscles with red flesh around them. It is important that the proximal processing work as a food is to cut the center of a pair of red flesh muscles exactly so that the flesh of the red flesh is not damaged. Also, it is a top priority to work carefully to prevent scratches on the film. Unless the incision is made correctly, the shape of both sides is different and the sheath is biased to one side and the shape itself is distorted and damaged. The operator can easily overlook the damage of the scratches and the epidermis because it can be identified only by the naked eye. If scratches or scratches are found on the proximal side or thin film is peeled off, microbial propagation is easy due to contamination, and decay rate can be accelera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maintaining freshness. If the shape of both sides is different due to not cutting the flesh of red flesh accurately, It is not only halved, but it can also cause problems in freshness maintenance.

그런데 기존 근위 황막 제거장치에서 근위가 회전커터 등과 같은 근위 절개장치를 거치면서 절개되고 절개된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는데 좌우 양측으로 벌어진 근위의 좌우 두께가 서로 달라 근위가 근위 이송장치에 의해 코너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바르게 이송되지 않고 중심이 틀어지면서 회전하여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근위가 한쪽으로 쏠린 상태로 이송되는 경우 황막 제거 과정에서 붉은 살점 근육 및 표피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표피에 손상이 있는 근위는 식품으로서 상품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폐기처리 할 수밖에 없다.However, in the existing proximal tympanoplasty device, the proximal portion is cut through a proximal incision device such as a rotary cutter, and spread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round the incision center. The proximal and distal portions of the proximal and distal sid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being conveyed in the direction of the corner portion, the center is rotated without being properly conveyed, and the toner is rotated and tilted to one side. When the proximal part is transferred to one side, damage to the red flesh muscle and epidermis may occur during the removal of the omentum. Proximal damage to the epidermis can not be avoided because the product is poor in commerciality.

일례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2773호는 "근위 가공 장치"를 개시한다.As an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12773 discloses a "proximal processing device ".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근위 절개장치를 지나면서 좌우로 벌어진 근위 양측 부위가 벌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ximal membrane removing device that allows a proximal both side portions widened in a lateral direction passing through a proximal incision device to be stably transported while maintaining a widened state.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는, 근위 절개장치를 지나서 이송방향 구간에는 근위 가이드 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근위 가이드 장치는 근위 이송장치의 양측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면서 근위 절개장치 부근에 연결되는 후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기울어지는 제1, 2 가이드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proximal membran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ximal guide device in a conveying direction section passing through a proximal incision device, and the proximal guide device is installed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proximal conveying device, And first and second guide rods connected to the vicinity of the incision device and inclined downward from a rear end to a distal end.

또한, 상기 근위 가이드 장치는 상기 제1, 2 가이드 로드의 선단과 연결되는 지지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장치는 근위 이송장치의 외측을 따라 구비되면서 좌우 가이드 프레임에 놓일 수 있다.The proximal guid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device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and the support device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while being provid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또한,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제1, 2 가이드 로드의 선단을 중력 방향으로 누를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device can press the tip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in the gravity direction.

또한, 상기 지지장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양 갈래로 갈라지는 제1, 2 갈래부; 및 상기 제1, 2 가이드 로드 사이의 공간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좌우 가이드 프레임에 놓이는 거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갈래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로드 선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 갈래부는 제2 가이드 로드 선단과 연결될 수 있다.Further, the supporting device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A first and a second branched portion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in two directions; And a mounting part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and placed in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Wherein the first fork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rod end, and the second fork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rod leading end.

또한, 상기 지지장치 부근에는 제1 누름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누름장치는 아래로 지나가는 근위 중앙 부위에 닿을 수 있다.Also, a first press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supporting device, and the first pressing device can touch the proximal central part passing downward.

또한, 상기 제1 누름장치는 회동 가능한 롤러이며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좌우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pressing device may be a rotatable roller, an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right and left guide frames.

또한, 상기 지지장치 부근에는 제2 누름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누름장치는 아래로 지나가는 절개되면서 벌어진 근위의 양측 부위에 닿을 수 있다.Also, a second press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supporting device, and the second pressing device can touch both side portions of the proximal opening which are opened while being passed downward.

또한, 상기 제2 누름장치는 상기 좌우 가이드 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좌우 가이드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제1, 2 연결대; 상기 제1 연결대 끝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아래로 지나가는 절개되면서 벌어진 근위의 양측 부위 중 일측 부위에 닿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2 연결대 끝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아래로 지나가는 절개된 근위의 타측 부위에 닿는 제2 롤러; 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second pressing device may include a support fram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and position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A first roller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touches one of the proximal opposite side portions that are cut while passing downward; And a second roller that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nd touches the other side of the incised proximal portion passing downward; . ≪ / RTI >

또한, 상기 좌우 가이드 프레임의 사이에는 중앙 가이드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중앙 가이드 프레임은 근위 이송장치의 외측을 따라 구비되면서 근위 이송장치와 좌우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 center guide frame is provi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and the center guide frame is dispos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an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and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또한, 상기 제1, 2 가이드 로드 사이에는 중앙 프레임이 위치하며, 상기 중앙 프레임은 근위 이송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는 상기 중앙 프레임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근위를 향하여 양측에서 세척을 분사할 수 있는 제1 분사구 및 제2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nter frame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and the center frame is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and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wash water injection device. The auxiliary wash water injection device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frame And may include a first jet opening and a second jet opening which are capable of jetting the cleaning from both sides toward the proximal side.

또한, 상기 제1 분사구 및 제2 분사구는 하단이 근위 이송방향 반대편 쪽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jetting port and the second jetting port may be inclined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jetting port and the second jetting port are offset toward the opposite side in the proximal feeding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에 의하면, 근위 절개장치를 지나면서 좌우로 벌어진 근위 양측 부위가 벌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송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removing proximal membra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transport the proximal membrane removing device while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proximal both side portions opened to the right and left are passed through the proximal incis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가이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가이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가이드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절개되어 좌우 양측 부위가 벌어진 근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가 근위 가이드 장치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가 제1 누름장치와 제2 누름장치를 지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절개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의 저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ximal membran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ximal guide devic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proximal guide devic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proximal guide devic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view of a proximal guide devic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proximal end portion of an incision left and right sid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nd 9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moving along a proximal guid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assing a proximal first pusher and a second pus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proximal incision proc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ottom view of an auxiliary washing water inj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a proximal membran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는 근위 절개장치(101)를 지나서 이송방향(105) 구간에 위치하는 근위 가이드 장치(201), 근위 가이드 장치(201) 부근에 위치하는 제1 누름장치(202) 및 제2 누름장치(203)를 포함한다.1 and 2, the apparatus for removing a proximal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ximal guide device 201, a proximal guide device 201 The first pressing device 202 and the second pressing device 203 which ar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pressing device 202 and the second pressing device 203, respectively.

근위 가이드 장치(201)는 근위 절개장치(101)에 의해 절개되면서 벌어진 근위(300) 양측 부위를 눌러 근위(300)가 양측이 벌어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The proximal guide device 201 allows the proximal portion 300 to stably move in a state where both sides are open by pressing both side portions of the proximal portion 300 that are incised by the proximal incision device 101. [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가이드 장치(201)는 좌우 양측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 및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의 선단측과 연결되는 지지장치(201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3 to 6, the proximal guide device 201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and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arrang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And a supporting device 2013 connected thereto.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는 근위 이송장치(102)를 사이에 두고 근위 이송장치(102) 양측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 후단은 고정단으로서 근위 절개장치(101)를 지나서 이송방향(105) 부근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 후단은 근위 절개장치(101)를 지나서 이송방향(105) 구간에 위치하는 근위 벌림장치(108)에 연결될 수 있다(도 6 참조). 근위 벌림장치(108)는 중심축(1081)을 포함한다.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are install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102 with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102 therebetween. The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are connected to the vicinity of the conveying direction 105 through the proximal incision device 101 as a fixed end. Specifically, the rea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can be connected to the proximal expanding device 108 locat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105 through the proximal incision device 101 (see FIG. 6). The proximal deployment device 108 includes a central axis 1081.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의 선단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자유단으로 설계된다.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는 후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근위(3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다.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가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근위(300)가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의 선단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근위(300)의 가압력은 증가한다.The tip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are designed as free ends that can move up and down.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are designed to be able to elastically support the proximal side 300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rear end to the front end. Since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are inclined, the pressing force of the proximal side 300 increases as the proximal side 300 moves toward the tip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지지장치(2013)는 코너 진입 부위의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에 위치한다. 지지장치(2013)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 위에 안치되면서 연결되는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의 선단을 중력 방향으로 눌러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의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은 체인 등과 같은 근위 이송장치(102)의 외측을 따라 구비된다. 근위(300)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을 따라 이송된다.The supporting device 2013 is located in the right and left guide frames 106 constituting a pair of right and left corners. The support device 2013 presses the tip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which are connected while being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in the gravity direction to tilt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are provided along the outside of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102 such as a chain or the like. The proximal portion 300 is transported along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근위 이송장치(102)의 외측에는 근위(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 및 중앙 가이드 프레임(109)이 구비된다.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은 근위 이송장치(102)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으로 설치된다.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은 근위 이송장치(102)의 외측을 따라 형성된다. 중앙 가이드 프레임(109)은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 사이에 설치된다. 중앙 가이드 프레임(109)은 근위 이송장치(102)와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 사이에 위치한다. 절개된 근위(300)는중앙 부위(303)가 중앙 가이드 프레임(109)에 밀착되고 일측 부위(301) 및 타측 부위(302)가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된다.On the outside of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102, a left and right guide frame 106 and a central guide frame 109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roximal side 300 are provided.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are installed on both right and left sides with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102 therebetween.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are form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102. The center guide frame 109 is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The central guide frame 109 is positioned between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102 and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The incised proximal portion 300 is conveyed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 30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entral guide frame 109 and the one side portion 301 and the other side portion 302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지지장치(2013)는 연결부(2016), 연결부(2016)로부터 양 갈래로 갈라지는 제1, 2 갈래부(2014, 2015) 및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 위에 놓이는 거치부(2017)를 포함한다.The supporting device 2013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2016, first and second fork portions 2014 and 2015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2016 and a mounting portion 2017 placed on the pair of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

구체적으로 제1, 2 갈래부(2014, 2015)는 연결부(2016)로부터 양 갈래로 갈라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1, 2 갈래부(2014, 2015)는 연결부(2016)의 하향으로 연장된다. 제1, 2 갈래부(2014, 2015)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공간(2018)이 형성된다. 제1, 2 갈래부(2014, 2015) 사이의 공간(2018) 상부에는 거치부(2017)가 구비된다. 거치부(2017)는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 위에 걸쳐지고 제1, 2 갈래부(2014, 2015) 하단은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제1, 2 갈래부(2014, 2015)는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위치한다.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branched portions 2014 and 2015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are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2016 in a two-forked manner. The first and second branched portions 2014 and 2015 extend downward of the connection portion 2016. A space 2018 is naturally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ork portions 2014 and 2015. A mounting portion 2017 is provided above the space 2018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ork portions 2014 and 2015. The mounting portions 2017 are placed on the pair of right and left guide frames 106 and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ork portions 2014 and 2015 are positioned below the pair of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The first and second fork portions 2014 and 2015 a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therebetween.

거치부(2017)는 승강이 자유롭도록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에 놓인다. 근위(300)가 근위 가이드 장치(201)로 진입하기 전에는 거치부(2017)는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에 밀착된 상태이다. 근위(300)가 근위 가이드 장치(201)로 진입하면 지지장치(2013)가 상향으로 상승하고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에 밀착되어 있던 거치부(2017)는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제1 갈래부(2014) 하단은 제1 가이드 로드(2011) 선단과 연결된다. 제2 갈래부(2015) 하단은 제2 가이드 로드(2012) 선단과 연결된다. 제1, 2 갈래부(2014, 2015)의 길이는 지지장치(2013)의 상승 시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길이로 설계되어야 한다.The mounting portion 2017 is plac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so as to be freely lifted and lowered. The mounting portion 2017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ir of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before the proximal end 300 enters the proximal guide device 201. [ When the proximal teeth 300 enter the proximal guide device 201, the support device 2013 rises upward and the mounting parts 2017,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ir of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Falling off the frame 106. The lower end of the first fork 2014 is connected to the tip of the first guide rod 2011.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ork 2015 is connected to the tip of the second guide rod 2012.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fork portions 2014 and 2015 should be designed so that they do not separate from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forming a pair when the support device 2013 is lifted.

지지장치(2013) 부근에는 제1 누름장치(202) 및 제2 누름장치(203)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누름장치(202) 및 제2 누름장치(203)는 지지장치(2013)를 사이에 두고 전, 후로 배치된다. 제2 누름장치(203)보다 제1 누름장치(202)가 근위 절개장치(101)에 더 가깝다.A first pressing device 202 and a second pressing device 203 ar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supporting device 2013. Specifically, the first pressing device 202 and the second pressing device 203 are disposed before and after the supporting device 2013 therebetween. The first pushing device 202 is closer to the proximal dissection device 101 than the second pushing device 203.

구체적으로 제1 누름장치(202)는 근위 절개장치(101)에 더 가깝도록 지지장치(2013) 후방에 배치된다. 제1 누름장치(202)는 롤러일 수 있다. 제1 누름장치(202)는 근위 이송장치(102)의 상부에 위치하는 중앙 프레임(107)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누름장치(202)는 아래로 지나가는 절개된 근위(300)의 중앙 부위가 닿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1 누름장치(202)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 사이에 위치한다.Specifically, the first pressing device 202 is disposed behind the supporting device 2013 so as to be closer to the proximal incision device 101. [ The first pressing device 202 may be a roller. The first pressing device 202 may be connected to a central frame 107 located at the top of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102. The first pressing device 202 is installed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cised proximal portion 300 passing down can be contacted. The first pressing device 202 is located between the right and left pair of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제2 누름장치(203)는 지지장치(2013)를 지나 코너 부위에 위치한다. 제2 누름장치(203)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2033),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제1, 2 연결대(2034, 2035), 제1 연결대(2034) 끝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롤러(2031) 및 제2 연결대(2035) 끝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롤러(2032)를 포함한다.The second pressing device 203 is located at a corner portion beyond the support device 2013. [ The second pushing device 203 includes a support base 2033 fixed to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forming a pair of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guide frames 106 forming a pair of left and right, A first roller 2031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2034 and a second roller 2032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2035 do.

지지대(2033)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과 교차하도록 수평으로 고정 설치된다. 제1, 2 연결대(2034, 2035)는 지지대(2033)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다. 제1, 2 연결대(2034, 2035)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위치한다.The support base 2033 is fixed horizontally so as to intersect with the left and right pair of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The first and second linkages 2034 and 2035 extend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2033. The first and second linkage units 2034 and 2035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 106,

제1 롤러(2031)는 아래로 지나가는 근위(300)의 좌우 부위 중 일측 부위(301)에 닿도록 설치된다. 제2 롤러(2032)는 아래로 지나가는 절개된 근위(300)의 타측 부위(302)에 닿도록 설치된다. 제1 롤러(2031) 및 제2 롤러(2032) 모두 회동 가능한 롤러이기 때문에 근위(300)의 이동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The first roller 2031 is installed so as to touch one side portion 301 of the left and right parts of the proximal portion 300 passing downward. The second roller 2032 is mounted so as to touch the other side portion 302 of the incised proximal portion 300 passing downward. Since both the first roller 2031 and the second roller 2032 are pivotable rollers, they do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proximal side 300. [

제1, 2 누름장치(202, 203) 및 지지장치(2013) 부근에는 세척수 분사장치(11)와 센서(12)가 구비될 수 있다. 세척수 분사장치(11)는 근위(300) 내부의 내용물이 제1, 2 누름장치(202, 203) 및 지지장치(2013) 등에 들러붙을 경우 10bar의 압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제거한다. 센서(12)는 근위(300)가 설정구간에 도착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보낸다. 센서(12)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어부는 세척수 분사장치(11)에 신호를 보내어 세척수가 분사되게 한다.The washing water injector 11 and the sensor 12 may be provided near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devices 202 and 203 and the supporting device 2013. [ The washing water injector 11 injects washing water into the proximal needle 300 at a pressure of 10 bar when the contents in the proximal needle 300 adhere to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devices 202 and 203 and the supporting device 2013. The sensor 12 senses when the proximal end 300 arrives at the set interval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sensor 12 sends a signal to the washing water injector 11 to cause the washing water to be sprayed.

도 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 사이에는 중앙 프레임(107)이 위치한다. 중앙 프레임(107)은 근위 이송장치(102)의 상부에 위치한다. 중앙 프레임(107)에는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13)가 구비된다.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13)는 제1 분사구(131) 및 제2 분사구(13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12, a center frame 107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 The central frame 107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102. The auxiliary washing water injector 13 is provided in the central frame 107. The auxiliary washing water injector 13 includes a first jetting port 131 and a second jetting port 132.

제1 분사구(131) 및 제2 분사구(132)는 한 몸체의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13)에서 2갈래로 갈라진 구조로서 양측으로 세척수(14)를 분사할 수 있다. 제1 분사구(131) 및 제2 분사구(132)는 중앙 프레임(107)의 양측으로 배치된다. 제1 분사구(131) 및 제2 분사구(132)는 근위 절개장치(101)를 거치면서 절개가 이루어진 근위(300)의 절개부 양측으로 동시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근위를 세척한다. 제1 분사구(131) 및 제2 분사구(132) 하단은 근위 이송방향(105) 반대편 쪽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지게 설치한다. 제1 분사구(131) 및 제2 분사구(132) 하단을 수직으로 설치할 경우 세척수의 분사 압력이 강하여 근위(300)에 손상으로 줄 수 있고 세척수 분사 범위가 좁아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제1 분사구(131) 및 제2 분사구(132)는 적절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설계하여야 한다. 분사구(131) 및 제2 분사구(132)에서 분사되는 세척수(14)는 10bar의 압력으로 분사될 수 있다.The first jetting port 131 and the second jetting port 132 can bifurcate the washing water 14 on both sides as a bifurcated structure in the auxiliary washing water injector 13 of one body. The first jetting port (131) and the second jetting port (132)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frame (107). The first jetting port 131 and the second jetting port 132 wash the proximal side by simultaneously injecting wash water into both sides of the incision 300 through the proximal incision device 101. The first jetting port (131)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jetting port (132) are inclined so as to be offset toward the opposite side in the proximal transport direction (105). When the first injection port 131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jection port 132 are installed vertically, the jetting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strong and the proximal port 300 may be damaged and the range of the washing water injection may be narrowed. 131 and the second jetting port 132 are designed to be inclined so as to have a proper inclination angle. The washing water 14 injected from the injection port 131 and the second injection port 132 may be injected at a pressure of 10 bar.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proximal membran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같이 근위(300)는 근위 절개장치(101)를 지나면서 중앙이 절개되어 양측 부위가 벌어지게 된다. 그런데 절개된 근위(300)는 일측 두께(T1)와 타측 두께(T2)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송 과정에서 중심이 틀어지면서 한쪽으로 쏠릴 수 있다. 근위 가이드 장치(201)는 두께가 서로 다른 근위(300)의 양측 부위를 동시에 자체 텐션(tension)으로 눌러주면서 잡아주기 때문에 이송과정에서 근위(300)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proximal portion 300 is cut through the distal end of the proximal incision device 101, and both sides are opened. However, since the incised proximal portion 300 has a thickness T1 and a thickness T2, the center of the proximal portion 300 can be tilted to one side during the transportation process. Since the proximal guide device 201 simultaneously holds both side portions of the proximal side 300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while pressing it with its own tens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ximal side 300 from being tilted to one side during the transferring process.

도 8과 같이 근위 절개장치(101)를 지나면서 절개된 근위(300)는 근위 이송장치(102)의 작동에 의해 근위 가이드 장치(201)에 진입하여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를 따라 이송방향(105)으로 이동한다.The proximal incision 300 cut through the proximal incision device 101 as shown in FIG. 8 enters the proximal guide device 201 by operation of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102 and is guided by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As shown in FIG.

도 9와 같이 근위(300)의 일측 부위(301)는 제1 가이드 로드(2011)에 밀착되고, 타측 부위(302)는 제2 가이드 로드(2012)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한다. 제1 가이드 로드(2011)와 제2 가이드 로드(2012)는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근위(300)의 일측 두께(T1)와 타측 두께(T2)가 다르더라고 근위(300)의 양측 부위를 동시에 누를 수 있다.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는 근위(300)가 근위 가이드 장치(201)로 진입하기 전 이송되는 근위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한다.The one side portion 301 of the proximal side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rod 2011 and the other side portion 302 is moved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guide rod 2012 as shown in FIG. Since the first guide rod 2011 and the second guide rod 2012 are designed to have a downwardly inclined structure toward the front end thereof, the thickness T1 of the proximal side 300 and the thickness T2 of the other sid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300 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are locat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proximal height of the proximal 300 that is transported before entering the proximal guide device 201.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가 근위(300)의 일측 부위(301)와 타측 부위(302)를 적정 압력으로 누르기 때문에 근위(300)의 일측 두께(T1)와 타측 두께(T2)가 서로 다르더라도 근위(300)의 중심이 틀어지지 않는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push the one side portion 301 and the other side portion 302 of the proximal side 300 with an appropriate pressure, the thickness T1 and the thickness T2 of the proximal side 300, The center of the proximal portion 300 is not twisted.

근위(300)가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의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에 의해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의 선단이 고정단인 후단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들리고 이때 연결된 지지장치(2013)도 동반 상승한다. 지지장치(2013)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 위에 놓인 상태에서 상승하면서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지지장치(2013)가 상승하더라도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을 완전히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지지장치(2013)가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으로부터 이탈할 염려는 전혀 없다.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are lifted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ixed end by the force of the proximal end 300 moving in the tip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The connected support device 2013 also ascends. The support device 2013 is separated from the right and left guide frames 106 constituting a pair of left and right while rising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pair of guide frames 106 constituting a pair of left and right.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do not completely separate from the left and right pair of guide frames 106 even if the support device 2013 rises, There is no fear that it will come off from the body 106.

도 10과 같이 근위(300)가 제1, 2 가이드 로드(2011, 2012)의 선단을 지나가기 전에 제1 누름장치(202) 아래를 먼저 지나게 된다. 제1 누름장치(202)는 근위(300) 대략 중앙부위를 누른다. 근위 가이드 장치(201)를 완전히 벗어난 근위(300)는 코너부로 진입하고 코너부에 설치된 제2 누름장치(203) 아래로 지나가게 된다.As shown in FIG. 10, the proximal end 300 passes first under the first pressing device 202 before passing the fro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2011 and 2012. The first pressing device 202 presses the proximal portion 300 approximately at the central portion. The proximal portion 300 completely deviating from the proximal guide device 201 enters the corner portion and passes under the second pushing device 203 installed at the corner portion.

제2 누름장치(203)의 제1 롤러(2031) 및 제2 롤러(2032)는 아래로 지나가는 근위(300)의 일측 부위(301)와 타측 부위(302)를 적정 압력으로 동시에 누른다. 근위(300)와 접촉하는 제2 누름장치(203)의 제1, 2 롤러(2031, 2032)는 근위(300)가 지나가더라도 표피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회동하면서 근위(300)의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first roller 2031 and the second roller 2032 of the second pressing device 203 simultaneously press the one side portion 301 and the other side portion 302 of the proximal portion 300 passing under the appropriate pressure.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2031 and 2032 of the second pushing device 203 in contact with the proximal side 300 do not damage the skin even if the proximal passage 300 passes, Respectively.

도 11과 같이 근위(300)는 중앙 부위(303)가 정확하게 절개되어야만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중앙 부위(303)에서 벗어나 부위가 절개될 경우 근위(300)의 표피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중앙 부위(303)가 절개된 근위(300)는 제1, 2 롤러(2031, 2032)를 지나 중앙 가이드 프레임(109)과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을 따라 탈피장치로 이송된다. 근위(300)의 중앙 부위(303)는 중앙 가이드 프레임(109)에 밀착되고, 근위(300)의 일측 부위(301)와 타측 부위(302)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106)에 밀착된 상태로 탈피장치로 이송되어 탈피장치의 작동에 의해 황막(304)이 제거된다.As shown in FIG. 11, the proximal portion 300 is not damaged only when the central portion 303 is correctly cut. Damage may occur to the epidermis of the proximal portion (300) when the portion is cut away from the central portion (303). The proximal portion 300 of the central portion 303 is conveyed to the peeling apparatus along the central guide frame 109 and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2031 and 2032. The central portion 303 of the proximal portion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entral guide frame 109 and one side portion 301 and the other side portion 302 of the proximal side 30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106, And the yellowing film 304 is re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removing apparatus.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는, 근위 가이드 장치, 제1, 2 누름장치에 의해 절개되면서 벌어진 근위 양측 부위가 벌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근위 중심이 틀어지지 않는 상태로 근위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As can be seen, the apparatus for removing proximal troug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ximal guide device, a proximal guide device, a proximal guide device, a proximal guide device, a proximal guide device, Can be safely transport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세척수 분사장치
12:센서
13:보조 세척수 분사장치
14:세척수
101:근위 절개장치
102:근위 이송장치
105:이송방향
106:좌우 가이드 프레임
107:중앙 프레임
109:중앙 가이드 프레임
108:근위 벌림장치
131:제1 분사구
132:제2 분사구
201:근위 가이드 장치
202:제1 누름장치
203:제2 누름장치
300:근위
301:일측 부위
302:타측 부위
303:중앙 부위
304:황막
1081:중심축
2011:제1 가이드 로드
2012:제2 가이드 로드
2013:지지장치
2014:제1 갈래부
2015:제2 갈래부
2016:연결부
2017:거치부
2018:공간
2031:제1 롤러
2032:제2 롤러
2033:지지대
2034:제1 연결대
2035:제2 연결대
T1:일측 두께
T2:타측 두께
11: Washing water injection device
12: Sensor
13: auxiliary washing water spraying device
14: Wash water
101: Proximal incision device
102: proximal feed device
105: Feed direction
106: right and left guide frame
107: central frame
109: center guide frame
108: proximal opening device
131: 1st nozzle
132: 2nd nozzle
201: Proximal guide device
202: first pressing device
203: second pressing device
300: proximal
301: one side
302: other side
303: central portion
304: Yellowing
1081:
2011: 1st guide rod
2012: 2nd guide rod
2013: Supporting device
2014: First Division
2015: Second Division
2016: Connection
2017:
2018: Space
2031: first roller
2032: the second roller
2033: Support
2034: 1st connecting rod
2035: The second connecting rod
T1: One side thickness
T2: other side thickness

Claims (11)

근위 절개장치를 지나 이송방향 구간에는 근위 가이드 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근위 가이드 장치는 근위 이송장치의 양측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면서 근위 절개장치 부근에 연결되는 후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기울어지는 제1, 2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가이드 장치는 상기 제1, 2 가이드 로드의 선단과 연결되는 지지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장치는 근위 이송장치의 외측을 따라 구비되면서 좌우 가이드 프레임에 놓이며,
상기 지지장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양 갈래로 갈라지는 제1, 2 갈래부; 및
상기 제1, 2 가이드 로드 사이의 공간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좌우 가이드 프레임에 놓이는 거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갈래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로드 선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 갈래부는 제2 가이드 로드 선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A proximal guide device is provid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section past the proximal incision device,
The proximal guide device includes first and second guide rods which are install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and are inclined downward from the rear end to the distal end connected to the vicinity of the proximal incision device,
The proximal guide device further includes a support device connected to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the support device being located along the outside of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and being placed in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The support device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A first and a second branched portion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in two directions; And
A mounting part positioned above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and placed in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Lt; / RTI >
Wherein the first fork portion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guide rod and the second fork portion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guide ro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제1, 2 가이드 로드의 선단을 중력 방향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device comprises:
And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are pressed in the gravity direc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 부근에는 제1 누름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누름장치는 아래로 지나가는 근위 중앙 부위에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press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support device and the first pressing device contacts a proximal central portion passing downwar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누름장치는,
회동 가능한 롤러이며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좌우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pressing device includes:
Wherein the pair of right and left guide frames are located between the right and left guide fram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 부근에는 제2 누름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누름장치는 아래로 지나가는 절개되면서 벌어진 근위의 양측 부위에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cond press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support device and the second pressing device touches both sides of the proximal opening which are incised while being passed downwar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누름장치는,
상기 좌우 가이드 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좌우 가이드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제1, 2 연결대;
상기 제1 연결대 끝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아래로 지나가는 절개되면서 벌어진 근위의 양측 부위 중 일측 부위에 닿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2 연결대 끝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아래로 지나가는 절개된 근위의 타측 부위에 닿는 제2 롤러;
를 포함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pressing device includes:
A support tabl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and position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A first roller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touches one of the proximal opposite side portions that are cut while passing downward; And
A second roller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link and touches the other side of the cut-away proximal portion passing downward;
Wherein the proximal membrane is remov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가이드 프레임의 사이에는 중앙 가이드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중앙 가이드 프레임은 근위 이송장치의 외측을 따라 구비되면서 근위 이송장치와 좌우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enter guide frame is provi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Wherein the central guide frame is locat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and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 가이드 로드 사이에는 중앙 프레임이 위치하며, 상기 중앙 프레임은 근위 이송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는,
상기 중앙 프레임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근위를 향하여 양측에서 세척을 분사할 수 있는 제1 분사구 및 제2 분사구를 포함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enter fram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ds, and the center frame is position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roximal transfer device,
The auxiliary washing water injector may include:
And a first jetting port and a second jetting port that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frame and are capable of jetting cleaning from both sides toward the proximal sid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구 및 제2 분사구는,
하단이 근위 이송방향 반대편 쪽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jetting port and the second jetting port,
And the lower end is inclined so as to be deviated toward the opposite side in the proximal feeding direction.
KR1020170063348A 2017-05-23 2017-05-23 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KR1017696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348A KR101769600B1 (en) 2017-05-23 2017-05-23 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CN201810082907.5A CN108283209B (en) 2017-05-23 2018-01-29 Muscular stomach yellow membrane remov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348A KR101769600B1 (en) 2017-05-23 2017-05-23 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600B1 true KR101769600B1 (en) 2017-08-18

Family

ID=5975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348A KR101769600B1 (en) 2017-05-23 2017-05-23 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60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2496A1 (en) * 2018-06-29 2020-01-02 Teknologisk Institut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emoval of caul fat from animal stomachs
KR102125352B1 (en) * 2019-08-14 2020-06-22 이항재 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449B1 (en) * 2015-10-22 2015-12-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마 Food processing equipment using the chicken gizzard
KR101661184B1 (en) * 2016-04-14 2016-09-29 주식회사 빠보로꼬 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449B1 (en) * 2015-10-22 2015-12-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마 Food processing equipment using the chicken gizzard
KR101661184B1 (en) * 2016-04-14 2016-09-29 주식회사 빠보로꼬 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2496A1 (en) * 2018-06-29 2020-01-02 Teknologisk Institut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emoval of caul fat from animal stomachs
KR102125352B1 (en) * 2019-08-14 2020-06-22 이항재 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600B1 (en) 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JP38444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eling shrink sleeve or full-length label from container
TWI445501B (en) Shellfish positioning and ope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6610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letely separating from the carcass of a gutted poultry body breast fillets that have already been partially detached from the carcass
JPS62271819A (en) Automatic fusing method of heat-shrinkable label
US3406425A (en) Poultry gizzard processing machine
CN110402241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glass plate
NL9100895A (en) DEVICE FOR CUTTING UP THE STOMACH OF A BIRD.
US3871274A (en) Filling cakes
KR101787015B1 (en) 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US6561203B2 (en) Container cleaning, draining and drying apparatus
JP7450079B2 (en) A method for discriminating carrots that have not been cut by a cutting water jet from lignified carrots, and an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lignified carrots that implements this method
US103216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meat from crustacean legs
KR101769599B1 (en) 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US5762547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hrimp
KR101769597B1 (en) 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US5074097A (en) Means for removing tops of boxes
KR20180012708A (en) Filleting device
KR101769598B1 (en) 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KR100389215B1 (en) Product guiding mechanism of electric plating processing apparatus
KR101762908B1 (en) Onion peeler and onion peeling member comprised in the onion peeler
CN214004016U (en) Bottle conveying and separating device
CN207590034U (en) A kind of egg processing production line
EP2887850B1 (en) Apparatus for breaking eggs and method for cleaning
JPH0123275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