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401B1 - Rainwater Harvesting Device - Google Patents

Rainwater Harves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401B1
KR101769401B1 KR1020160076277A KR20160076277A KR101769401B1 KR 101769401 B1 KR101769401 B1 KR 101769401B1 KR 1020160076277 A KR1020160076277 A KR 1020160076277A KR 20160076277 A KR20160076277 A KR 20160076277A KR 101769401 B1 KR101769401 B1 KR 101769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tank
pipe
filter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2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재규
김영석
김문환
윤효정
Original Assignee
허재규
코스모이엔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재규, 코스모이엔텍 (주) filed Critical 허재규
Priority to KR1020160076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4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4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use device. The rainwater use device comprises: a frame assembled and installed to have an internal installation space; a water collection plate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to be folded and unfolded to collect rainwater; a rainwater inlet pipe extended and installed to allow rainwater collected by the water collection plate to enter or allow rainwater collected by a rainwater pipe of a building installed adjacently to enter; a filter fixed and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frame to b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to firstly filter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pipe; a storage tank which has an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to hold rainwater firstly filtered by the filter to store the rainwater, and is installed on a lower side in the frame; a rainwater drain canal arranged to penetrate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lower than the storage tank to discharge rainwater stored through a drain pipe of the storage tank connected to a bottom of the storage tank; and a rainwater transport pipe branching from the filter to connect the storage tank and the drain pipe. Rainwater collected from a roof or a rooftop of a building or a water collection facility is used as drinking water or reusing water to be variously used in a deep-sea fishing vessel, a building, and an island or an isolated area where supply of drinking water is difficult.

Description

빗물 이용 장치{Rainwater Harvesting Device}Rainwater harvesting device

본 발명은 빗물 이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건물의 지붕이나 옥상 또는 특정 집수 시설을 통해 집수된 빗물 뿐만 아니라 독립적으로 빗물을 집수하여 이를 이용해 중수도나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 이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that collects rainwater independently from not only rainwater collected through a roof or a roof of a building or a specific water collecting facility, .

주지된 바와 같이, 빗물 이용 장치는 빗물을 받아 상수도 및 중수도를 대체하는 시설로 최근 빗물 계획중 저류시설에 해당하는 시설이다. As is well known, a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y is a facility that receives rainwater and replaces waterworks and waterworks.

과거 도시 계획시 빗물은 단시간에 빠르게 하천이나 호수로 배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리고, 건물이나 주변 대지에서 발생되는 빗물은 주변의 침수를 막을 수 있도록 수로나 파이프형 배관의 불투수면을 통한 배제가 대부분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공공관거에 연결하여 외부로 유출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The purpose of past urban planning was to discharge rainwater to rivers and lakes quickly in a short time. In order to prevent rainwater from building and surrounding land from being flooded, most of the water and piped pipes are exempted through impervious surfaces. In order to realize this, it is necessary to connect with public pipes Has been used.

최근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율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빗물 순환 장애를 야기시켜 물순환 건강성을 저해하고 있으며, 이는 토양을 통하여 침투되고 일부 증발되는 것을 제외한 하천 등으로 방류되는 빗물량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Recently rainwater circulation disturbance due to urbanization has been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water impermeability, which has deteriorated the water circulation health. This has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rainwater discharged to the rivers except for the penetration through the soil and the partial evaporation.

빗물은 수자원의 순환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공급원이므로 자원과 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 측면에서 미래 수자원으로 빗물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Since rainwater is the most basic source of water resource circulation,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utilize rainwater as a future water resource in terms of efficient management of resources and energy.

최근 이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빗물 이용 시설들이 제품화되고 있다. Recently, various types of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have been commercialized.

그러나, 빗물 이용 시설들은 건물 옥상이나 지붕면의 집수면에서 발생되는 빗물을 바로 직수하여 시설의 내부에 저류시킨 후 이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However, most of the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use the rainwater generated from the water surface of the building roof or the roof surface directly and stored in the inside of the facility.

빗물 이용 시설은 초기 유입시 별도의 처리시설을 갖추어 처리하며, 초기우수배제시설로 배제방식과 여과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are equipped with separate treatment facilities at the time of initial inflow, and exclusion method and filtration method are mainly used as initial excellent exclusion facilities.

초기우수배제시설이 포함된 시설의 경우 초기우수배제를 통하여 빗물을 저류후 중수도로 바로 이용하거나, 정수용 여과필터를 활용하여 정수로 이용하는 형태이다. In the case of facilities containing the initial stormwater exclusion facilities, rainwater is directly used as stormwater after the stormwater exclusion, or it is used as a purified water by using a water filtration filter.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빗물 이용 시설은 구조적으로는 동일하게 설계되어 설치되나, 일반적으로는 기존의 시판되는 물탱크나 추가적인 1차 여과기를 이용하여 조립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시설의 구성은 빗물을 저류할 수 있는 수조와 연결 배관, 여과기 등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서 펌프와 정수용 여과필터 등이 이용되고 있다. Most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currently used are structurally designed and installed identically, but are generally installed in an assembled form using existing commercial water tanks or additional primary filters. The structure of the facility consists of a water tank that can store rainwater, a connecting pipe, a filter, and the like. If necessary, a pump and a water filtration filter are used.

상기한 시설중 기존에 개발된 빗물 이용 시설들은 현장환경 및 설계 인자에 대해 많은 제약을 받으며, 이들 중에서도 설치되는 현장환경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Among the above facilities, the existing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are subject to a lot of restrictions on the site environment and design factors, and are more influenced by the installed environment.

국내의 경우 설치 위치가 실외이며, 좁고 긴 복도식 형태의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기존의 시설을 그대로 설치하기엔 주어진 공간이 부족하거나, 소형의 시설들을 외부로 노출된 배관을 통해 여러 개로 연결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시설이 불필요하게 길어지고 외부로 노출되는 배관으로 인해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될 수 있다. In Korea,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outdoors, and it is often installed in a narrow and long corridor type space. In this case, since there is not enough room to install the existing facilities, or small faciliti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exposed pipes, the installation is unnecessarily long, and the piping exposed to the outside takes up a large area .

이는 기존의 물탱크나 별도의 여과기에만 중심을 두고 설계한 시설의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로 시설 자체를 표준화하여 설치시 외형을 변경하기 어려운 경우 발생하는 문제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시설을 제작할 경우 많은 비용, 시간, 인력 등이 발생한다.This is a problem that arises in the case of a facility designed mainly based on a conventional water tank or a separate filter. This is a problem that occurs when it is difficult to standardize the facility itself and change the appearance of the installation. When a new facility is created There is a lot of cost, time, and manpower.

또한, 최근 유행하는 도시형 텃밭이나 시골의 텃밭의 경우 건축물이 없는 경우나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경우 집수 시설이 없어 설치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독립된 형태의 집수 시설을 포함하는 시설이 있으나, 이는 기존 시설에 추가로 설치하거나, 조형의 목적을 두어 공간적인 요소를 많이 차지하는 시설이 대부분이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recently-popular urban garden or a rural garden,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building if there is no building or the roof of the building because there is no water collecting facility. To cope with this problem, there are facilities that include independent collecting facilities. However, most of them are installed in the existing facilities or occupy a lot of spatial elements for the purpose of molding.

대부분의 제시된 문제점들은 시설의 개발시 국내 사정을 반영하지 않았거나,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 확보가 용이한 나라의 시설을 수입하여 판매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Most of the presented problems arise when the development of the facility does not reflect domestic circumstances or when importing and selling facilities in a country where relatively large space is easily secured.

이는 물건강성 회복 및 상수원 보호를 위한 시설인 빗물 이용 시설을 국내적용하기 위한 목적과는 다르기 때문에 보다 현실적인 시설의 설계를 통한 효과적인 적용이 필요하다. This is different from the purpose of domestic application of the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y, which is the facility for restoring the rigidity of the object and protecting the water source, so it is necessary to apply it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design of the realistic facilit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7767호(공고일자 2013년04월24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57767 (Publication date Apr. 24, 2013)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13-0000783호(공개일자 2013년02월01일)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3-0000783 (published on February 01, 20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2421호(공고일자 2011년05월03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32421 (Published on May 03, 201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여건 맞추어 좀더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시설의 설치 목적에 맞게 교체가 아닌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독립적인 집수 시설을 포함할 수 있는 빗물 이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rainwater harvesting system which can be installed more easily in accordance with a site condition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빗물 이용 장치는, 내부 설치 공간을 갖도록 조립 설치되는 골격 프레임; 빗물의 자체 집수가 가능하게 상기 골격 프레임 상부에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집수판; 상기 집수판을 통해 자체 집수된 빗물을 유입하거나 인접하게 설치된 건축물의 우수관을 통해 집수된 빗물을 유입하도록 연장 설치되는 빗물 유입관;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게 상기 골격 프레임의 내부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걸러 1차 여과시키는 여과기; 상기 여과기를 통해 1차 여과된 빗물을 담아 저류시키도록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골격 프레임 내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저류조; 상기 저류조 바닥을 연결되는 저류조 배수관을 통해 저장된 빗물을 배출할 수 있게 상기 저류조 보다 낮은 상기 골격 프레임 하층을 통과하도록 배설되는 빗물 배수관거; 및 상기 여과기로부터 상기 저류조와 상기 배수관을 연결하도록 분지되어 형성되는 빗물 이송 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keleton frame assembled and installed to have an internal installation space; A collecting plate installed on the skeleton frame so as to be foldable and unfoldable so that rainwater can be collected by itself; A rainwater inflow pipe extending in such a manner that the rainwater collected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late flows in or is introduced into the building adjacent to the building; A strainer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keleton frame to be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for filtering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inflow pipe to primarily filter the inflow pipe; A storage tank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storing rainwater primarily filtered through the filter and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keleton frame; A rainwater drain pipe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bottom of the skeleton frame lower than the storage tank so as to discharge stored rainwater through a storage tank drain pip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And a rainwater transfer pipe branched from the filter to connect the storage tank and the drain pipe.

여기서, 상기 집수판은 상기 골격 프레임의 상면을 덮으며 고정 설치되는 집수 고정 상판; 및 상기 집수 고정 상판의 각 변에서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장 설치되는 복수의 집수 가동 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catcher plate includes a catchment fixed upper plate fixedly installed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skeleton frame; And a plurality of water collecting movable side plates extending from the respective sides of the water collecting fixed top plate so as to be foldable and extendable.

또한, 상기 집수 가동 측판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골격 프레임의 측면 일부를 닫아 측벽면을 이루고, 펼침 상태에서 상기 집수 고정 상판들의 각 변에 상항 경사지게 펼쳐지게 유압 실린더들 의해 고정 설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water collecting movable side plate may be configured to be closed by a side surface of the skeleton frame in a folded state and to be fixedly installed by hydraulic cylinders so as to be inclined upwardly on the sides of the water collecting fixed top plates in an unfolded state.

또한, 상기 집수 고정 상판 또는 상기 집수 가동 측판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측에는 태양광 발전 패널이 적층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solar power generation panel may be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at least any one of the water collecting fixed top plate and the water collecting movable side plates.

또한, 상기 빗물 유입관은 상기 집수 고정 상판을 관통하여 상기 여과기에 연통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집수 고정 상판의 상면 인접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집수판에 의해 집수된 빗물이 유입되게 복수의 빗물 유입공들 관통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ainwater inflow pipe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filter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fixed upper plate, and a plurality of rainwater inflow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upper plate,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여과기는 상기 빗물 유입관 하단부에 상면에 연통 연결되고, 상기 빗물 이송 배관 상단부가 하면에 연통 결합되며, 내부에 빗물 여과를 위한 내부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여과기 몸체; 및 상기 여과기 몸체의 내부 수납 공간 내에 서랍 형태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 설치되며 다공형 여과 걸름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ilter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rainwater inflow pipe, the upper end of the rainwater transfer pipe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and an internal storage space for rainwater filtration is formed therein. And a porous filtration filter body which is accommodated in a drawer-like manner in a drawer-like manner in an inner storage space of the filter body.

또한, 상기 빗물 이송 배관은 상기 여과기 하측에 수평 설치되는 분배 연결 배관부; 상기 분배 연결 배관부의 수평 일측 단부와 상기 여과기 하부를 연결하는 유입 연결 배관부; 상기 분배 연결 배관부의 수평 중심부에서 분지되어 상기 저류조를 연결하는 저류조 연결 배관부; 및 상기 분배 연결 배관부의 수평 타일측 단부에 절곡부를 이루며 상기 빗물 배수관거에 연결하는 배수관거 연결 배관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rainwater transfer pipe may include a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An inlet connection pipe portion connecting a horizontal one end of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A storage tank connection pipe branched from the horizontal central portion of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to connect the storage tank; And a drain pipe connecting piping part connecting the rain water drain pipe to the horizontal tile side end of the distribution connecting pipe part and forming a bent part.

또한, 상기 빗물 이송 배관은 상기 분배 연결 배관부의 상기 저류조 연결 배관부의 분지부 내에 수납 설치되어 유입되는 빗물을 2차 여과시키기 위한 배관 여과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ainwater conveyance pipe may further include a pipe filtration body installed in the branching portion of the storage tank connection portion of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to perform secondary filtration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branch pipe.

또한, 상기 저류조 내부에 연결 결합되는 저류조 연결 배관부 내부에는 기설정된 수위 이상 빗물 유입이 차단되도록 플로팅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floating valve may be provided in the storage pip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tank so as to block inflow of rainwater over a predetermined level.

또한, 상기 저류조 내부에 저류된 빗물을 인출하기 위한 저류조 인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류조 인출 수단은 상기 저류조 내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저류조 인출 배관; 상기 저류조 인출 배관 상에 설치어 상기 저류조 내에 보관된 빗물을 인출하기 위한 저류조 인출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storage tank draw-out means for drawing out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wherein the storage tank draw-out means is a storage tank draw-out pipe installed to connect the inside of the storage tank; And a storage tank draw-out pump installed on the storage tank draw-out pipe for drawing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여기서, 상기 저류조 인출 펌프는 상기 저류조 외측에 설치되는 지상 가압 펌프 또는 상기 저류조 내에 설치되는 수중 펌프로 이루어질지는 수 있다. The storage tank draw-out pump may comprise a ground pressurization pump installed outside the storage tank or an underwater pump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

또한, 상기 골격 프레임의 상기 저류조 상측에서 기설정된 수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치 저류조 인출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저류조 인출 펌프를 통해 이송 공급된 빗물을 담아 저장하는 저장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keleton frame may further include a reservoir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tank and connected to the upper storage vessel draw-out pipe and storing the rainwater transferred and supplied through the storage vessel draw-out pump have.

또한, 상기 저류조 인출 배관 상에서 상기 저장조와 상기 저류조 인출 펌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조로 이송 공급되는 빗물을 정수 처리하기 위한 정수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purifier disposed between the storage tank and the storage tank draw-out pipe for purifying rain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상기한 본 발명의 빗물 이용 장치에 따르면, 건물의 지붕이나 옥상 또는 별도의 집수 시설로부터 집수된 빗물을 이용해 음료용 상수도나 중수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양어선, 건축물, 식수 공급이 어려운 섬이나 고립지역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ainwater collected from the roof or roof of a building or a separate water collecting facility can be used as a water supply or beverage water for drinking,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supply a fishing boat, And the like.

또한, 기존의 사용이 번거로운 여과필터를 사용하는 방식과는 다르게 사용자가 직접 운전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기본적으로 초기 우수처리장치와 장치의 프레임만을 기본 장치로 이용하여 국내 건축물의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장소가 협소하거나 불규칙적이어도 집수시설을 갖춘 독립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using a filtration filter which is cumbersome to use, the user can operate and maintain the filter directly. Basically, the filter is installed in a narrow space of a domestic building And it has an effect of allowing independent installation with a catchment facility even if the place is narrow or irregular.

또한, 다른 시설의 수조 일체형 시설과는 다르게 프레임을 기본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다른 물탱크나 기존의 물탱크를 적용하기에도 매우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Also, since the frame is installed basically different from the water tank integrated facility of other facilities, it is very easy to apply the other water tank or the existing water tank.

또한, 빗물 이용 시설을 개선하여 설치할 경우 상수원을 대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상수원 절약이 가능하고, 집중호우 및 국지성 호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물건강성을 회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when the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y is improved and installed, it is possible to save the water source because it is used in response to the water sourc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aster caused by the heavy rainfall and the local rainfall, and to contribute to restoring the rigidity of the objec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빗물 이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빗물 이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빗물 이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집수판의 접고 펼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집수판에 대한 변형예를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서랍형 여과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서랍형 여과기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빗물 이송 배관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저류조를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저류조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빗물 이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빗물 이용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빗물 이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of Fig. 1;
3 is a side view of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of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lded and opened state of the collector plate of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reservoir plate of Fig. 1. Fig.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awer type filter of FIG. 1; FIG.
7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wer type filter of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ainwater transfer pipe of FIG. 1 separated. FIG.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orage tank of Fig. 1 in an enlarged view.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torage tank of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of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of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빗물 이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빗물 이용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빗물 이용 장치의 측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of FIG. 1, an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of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빗물 이용 장치(1)는 골격 프레임(10), 집수판(20), 빗물 유입관(30), 여과기(40), 빗물 이송 배관(50) 및 저류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keleton frame 10, a collecting plate 20, a rainwater inflow pipe 30, a filter 40, A rainwater transfer pipe 50, and a storage tank 70. [

먼저, 골격 프레임(10)은 설치 현장 여건에 따라 전술한 집수판(20), 빗물 유입관(30), 여과기(40), 빗물 이송 배관(50) 및 저류조(70)을 설치할 수 있는 내부 설치 공간들을 갖도록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게 구성된다. The skeleton frame 10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skeleton frame 10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site conditions so that the water collecting plate 20, the rainwater inflow pipe 30, the filter 40, the rainwater transfer pipe 50, So that they are assembled and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본 실시예에서 골격 프레임(10)은 전반부가 나사 타입으로 이루어져 설치 형상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되는 재질은 외부에 설치하여도 녹이 발생하지 않는 금속, 합성수지, 방부목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keleton frame 10 is formed in a screw-type in the first half, and can be changed into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installation shape. The material to be used can be stably formed by using a material such as metal, synthetic resin, and anticorrosive which does not cause rust even if it is installed outside.

또한, 골격 프레임(10)은 다리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나사타입의 수평 조절 장치(15)를 추가 설치하여, 빗물 이용 장치(1)를 현장 환경에 따라 수평 조절을 실시하며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keletal frame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crew type horizontal adjustment device 15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egs so that the rainwater utilization device 1 can be horizontally adjusted and installed according to the field environment.

또한, 빗물 이용 장치(1)는 안정적인 설치를 위하여 골격 프레임(10)에 부착되어 벽면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지지대(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1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not shown) attached to the skeleton frame 10 and fixed to the wall surface for stable installation.

한편, 골격 프레임(10) 외의 빈 공간은 금속이나 목재재질을 이용하여 외부와 내부를 분리하여 햇볕과 오염원으로부터 저류조(70) 및 여과기(40) 등의 기기들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mpty space outside the skeleton frame 10 separates the outside and the inside using a metal or a wood material so as to prevent contamination of equipment such as the storage tank 70 and the filter 40 from sunlight and pollution sources.

다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집수판(20)은 빗물 이용 장치(1)의 빗물 자체 집수가 가능하게 상기 골격 프레임(10) 상부에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를 통해 빗물의 자체 집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1 to 3, the water collecting plate 20 is folded on top of the skeletal frame 10 so as to be capable of collecting rainwater by itself, So that the collection of the water is possible.

도 4는 도 1의 집수판의 접고 펼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집수판에 대한 변형예를 사시도이다.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lded and expanded state of the catch plate of FIG. 1,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catch plate of FIG.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판(20)은 골격 프레임(10)의 상면을 덮으며 고정 설치되는 집수 고정 상판(21)과 그 가장자리 변들에서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4개의 집수 가동 측판들(22(a))~(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4 (a) to 4 (c), the water collecting plate 20 includes a water collecting fixed upper plate 21 which is fixedly installed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skeleton frame 10, And four water collecting movable side plates 22 (a) to (b) installed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빗물 이용 장치(1)가 설치되는 현장 여건에 맞게 골격 프레임(10)을 변형시켜 조립하는 경우 이에 따른 집수 고정 상판(21)의 각형 모양과, 상기 집수 고정 상판(21) 각 변의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되는 집수 가동 측판들(22)의 모양 및 개수를 좀더 다양하게 변형시켜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skeleton frame 10 is deformed and assembled in accordance with the site conditions in which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1 is installed, the square shape of the water collecting fixed upper plate 21, It is natural that the shape and the number of the water collecting movable side plates 22 formed on the edges of the respective sides of the water collecting fixed top plate 21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a more various manner.

한편, 집수 가동 측판들(22)은 가스 스프링과 같은 유압 실린더(23)를 이용해 반자동식으로 안전하게 접고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집수 가동 측판들(22)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골격 프레임(10)의 측면 일부를 닫아 측벽면을 이루도록 하고, 펼침 상태에서 상기 집수 고정 상판(21)의 각 변에 항상 경사지게 펼쳐지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water collecting movable side plates 22 are configured to be folded and unfolded semi-automatically using a hydraulic cylinder 23 such as a gas spring, and the water collecting movable side plates 22 are arranged in a folded state, And a side wall is formed by closing a part of the side surface, and is always inclinedly spread on each side of the water collecting fixed top plate 21 in the unfolded state.

이처럼, 골격 프레임(10) 상측에서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집수판(20)을 설치함으로써 집수판(20)을 통한 자체 빗물 집수가 가능하고, 집수판(20)은 강풍이나 사용하지 않는 동계시에는 접어 파손이나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s such, rainwater can be collected through the collecting plate 20 by providing the collecting plate 20 so that the collecting plate 20 can be folded and unfol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frame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apse and safety problems.

한편, 집수 가동 측판들(22)은 대략 수평 설치되는 집수 고정 상판(21)으로부터 5° 내지 20°범위 이내로 상향 경사지며 펼쳐지게 형성함으로써, 집수 가동 측판들(22)에 의해 집수된 빗물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집수 고정 상판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빗물 유입관쪽으로 흘러 내리도록 하여 집수판(20)을 이용한 빗물의 자체 집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collecting movable side plates 22 are formed so as to be upwardly inclined upwardly within a range of 5 to 20 from the water collecting fixed upper plate 21 which is horizontally installed, so that the rainwater collected by the water collecting movable side plates 22, So that the rainwater can be flowed down toward the rainwater inflow pipe passing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fixed top plate to increase the self collection effect of the rainwater using the water collecting plate 20. [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판(20)은 이를 이루는As shown in Fig. 5, the water collecting plate 20 has a

상기 집수 고정 상판(21) 또는 상기 집수 가동 측판들(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측면에는 태양광 발전 패널(25)이 더 설치될 수 있다.The solar power generation panel 25 may be furth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of the water collecting fixed upper plate 21 and the collecting movable side plates 22. [

이처럼, 집수판(20)을 이루는 집수 고정 상판(21) 및 집수 가동 측판들(22)의 상면에 태양광 발전 패널들(25)을 추가 설치하여, 이를 통해 자가 발전을 실시하여 얻어진 전기를 축전지(미도시)나 변압기(미도시)를 추가 적용해 빗물 이용 장치에 사용된 수위 센서, 가압 펌프 및 제어기 등의 전기/전자 장치들을 외부 전원 없이도 또는 보정 전원 공급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olar power generation panels 25 ar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fixed upper plate 21 and the water collecting movable side plates 22 constituting the water collecting plate 20, (Not shown) or a transformer (not shown) is applied to the water level sensor, the pressure pump and the controller used in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the electric / electronic devices can be configured to be used as an external power source or as a correction power source do.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빗물 유입관(30)은 상기 집수판(20)을 통해 자체 집수된 빗물을 상기 여과기(40) 내로 유입하거나 인접하게 설치된 건축물의 우수관(91)을 통해 집수된 빗물을 유입하도록 연장 설치되게 구성된다.1 through 3, the rainwater inflow pipe 30 is constructed by introducing the rainwater collected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late 20 into the filter 40, So that rainwater collected through the rainwater can be introduc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빗물 유입관(30)은 상기 집수 고정 상판(21)을 관통하며 상기 여과기(40)에 연통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우수관(91)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여과기(40)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예시한다. The rainwater inflow pipe 30 penetrates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upper plate 21 and is connected to the filter 40 so that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rainwater pipe 91 flows into the filter 40 And the like.

한편, 상기 빗물 유입관(30)은 상기 집수 고정 상판(21)의 상면 인접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집수판(20)에 의해 자체 집수된 빗물을 여과기(40)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의 빗물 유입공들(31)이 관통 형성된다. The rainwater inflow pipe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ainwater inflow holes 20 so as to supply the rainwater collected by the water collecting plate 2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upper plate 21, (31) are formed through.

그리고, 여과기(40)는 상기 빗물 유입관(30)에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골격 프레임(10)의 내부 설치공간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빗물 유입관(30)을 통해 유입된 빗물 중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 1차 여과시키도록 한다. The filter 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skeleton frame 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rainwater inflow pipe 30 so that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rainwater inflow pipe 30 To filter them first.

도 6은 도 1의 서랍형 여과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서랍형 여과기에 대한 정단면도이다.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drawer type filter of FIG. 1, and FIG. 7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drawer type filter of FIG.

도 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여과기(40)는 박스형 여과기 몸체(41)와 다공형 여과 걸름체(42)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6 and 7, the filter 4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exemplified by a box-shaped filter body 41 and a porous filter body 42.

여기서, 여과기 몸체(41)는 대략 중공이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빗물 유입관(31) 하단부가 상면을 관통하며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빗물 이송 배관(50) 상단부가 하면을 관통하여 서로 연통되게 결합되며, 내부에 빗물중에 포함된 이물 걸러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 걸름체 내부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The lower end of the rainwater inflow pipe 31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41 and communicates with the lower end of the rainwater inflow pipe 31. The upper end of the rainwater transfer pipe 50 passes through the lower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filter body for filtering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rainwater is formed inside.

그리고, 여과 걸름체(42)는 상기 여과기 몸체(41)의 내부 수납 공간 내에 서랍 형태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 설치되고, 유입된 빗물중의 이물들을 걸러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들이 관통 형성된 채눈들을 갖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iltration filter body 42 is accommodated in a drawer-shaped drawer inside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of the filter body 41,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filter body 41 so as to be able to separate and discharge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inflowed rainwater. Respectively.

따라서, 빗물 유입관(30)을 통해 여과기 몸체(41) 내부로 빗물과 함께 유입된 이물질은 여과 걸름체(42)에 의해 걸러져 1차 여과된다.Therefore,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body 41 through the rainwater inflow pipe 30 together with the rainwater is filtered by the filter body 42 to be primarily filtered.

그리고, 다공형 여과 걸름체(42) 내에 걸러진 이물질들은 여과 걸름체(42)를 박스형 여과기 몸체(41)로부터 서랍 형태로 분리 인출시켜 좀더 쉽게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foreign substances filtered in the porous type filter body 42 are separated and drawn out from the box-shaped filter body 41 in the form of a drawer so that the filter body 42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more easily.

그리고,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빗물 이송 배관(50)은 여과기(40)로부터 저류조(70)와 빗물 배수관거(95)을 연결하도록 분지되게 배설되어, 여과기(40)를 거쳐 1차 여과된 빗물을 저류조(70) 내에 담아 저장하고, 유입된 빗물이 저류조(70)의 저장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빗물 배수관거(95)을 통해 배출될 있도록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1 to 3, the rainwater conveyance pipe 50 is branched from the filter 40 so as to connect the storage tank 70 and the rainwater drain pipe 95, and the filter 40 The first filtered rainwater is stored in the storage tank 70 and is transport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rainwater drain pipe 95 when the stored rainwater exceeds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tank 70.

도 8은 도 1의 빗물 이송 배관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ainwater transfer pipe of FIG. 1 separated. FIG.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빗물 이송 배관(50)은 분배 연결 배관부(52), 유입 연결 배관부(51), 저류조 연결 배관부(53) 및 배수관거 연결 배관부(5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8, the rainwater conveyance pipe 5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52, an inlet connection pipe portion 51, a storage pipe connection pipe portion 53, and a drain pipe connection pipe portion 54, As shown in Fig.

여기서, 분배 연결 배관부(52)은 상기 여과기(40) 하측에 수평 설치되어, 상기 여과기(40)를 통해 공급된 1차 여과 빗물을 저류조에 담아 저장하거나 또는 빗물 배수관거(95)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분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unit 52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40 and stores the primary filtration rainwater supplied through the filter 40 in a storage tank or discharges it through the rainwater drain pipe 95 To be distributed.

유입 연결 배관부(51)는 상기 분배 연결 배관부(52의 수평 일측 단부와 상기 여과기(40)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여과기(40)로부터 공급된 1차 여과 빗물을 물을 분배 연결 배관부(52)로 유입되게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The inlet connection pipe portion 51 connects the horizontal one end of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5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40 and supplies the primary filtration rainwater supplied from the filter 40 to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52).

저류조 연결 배관부(53)는 상기 분배 연결 배관부(52)의 수평 중심부에서 상기 저류조(70)를 연결하도록 분지되어, 이를 통해 상기 1차 여과된 빗물을 저류조(70)로 이송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orage tank connection pipe portion 53 is branched to connect the storage tank 70 at the horizontal central portion of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52 so that the first filtered rainwater can be transferred to the storage tank 70 for storage do.

그리고, 배수관거 연결 배관부(54)는 상기 분배 연결 배관부(52)의 수평 타일측 단부에 절곡부(55)를 이루며 상기 빗물 배수관거(95)에 연결하여, 저류조(70)로 공급된 1차 여과된 빗물이 저류조(70)에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빗물 배수관거(95)을 통해 배출하도록 한다. The drain pipe connecting pipe portion 54 is formed at the horizontal tile side end portion of the distribution connecting pipe portion 52 to form a bent portion 55 and is connected to the rain water drain pipe 95 to be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70 If the primary filtered rainwater exceeds the storage capacity that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tank (70),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rainwater drain pipe (95).

도 9는 도 1의 저류조를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저류조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FIG. 9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storage tank of FIG. 1, and FIG. 10 is a front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storage tank of FIG.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여과된 빗물을 유입하기 위해 저류조(70) 내부에 연장 설치된 저류조 연결 배관부(53)의 단부에는 플로팅 밸브(53a: 볼탑 밸브)가 설치되어, 저류조(70) 내부에 기설정된 용량의 1차 여과된 빗물이 유입되면 추가적인 1차 여과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플로팅 밸브(53a)에 의해 저류조 연결 배관부(53)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9, a float valve 53a (a ball-top valve)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torage tank connection pipe portion 53 extending into the storage tank 70 for introducing the primary filtered rainwater, and the storage tank 70 , The floatation connecting pipe portion 53 can be blocked by the floating valve 53a so as to prevent the inflow of additional primary filtered rainwater.

다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플로팅 밸브(53a)에 의해 저류조 연결 배관부(53) 단부가 차단되면, 분배 연결 배관부(52)로부터 저류조 연결 배관부(53)쪽으로 더 이상 공급되지 못하고, 절곡부(55)에 의해 분배 연결 배관부(52) 내부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채워진 이후 빗물 배수관거(95)에 연결하는 배수관거 연결 배관부(54)를 통해 1차 여과된 빗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8, when the end of the storage tank connection pipe portion 53 is blocked by the floating valve 53a, it is no longer supplied from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52 to the storage tank connection pipe portion 53, After the inside of the distribution connecting pipe portion 52 is filled up to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by the bent portion 55, rain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connecting pipe portion 54 connected to the rainwater drain pipe 95 can be discharged .

한편, 분배 연결 배관부(52)는 저류조 연결 배관부(53)이 분지 형성되는 분지부 내측에 유입된 1차 여과된 빗물을 2차로 걸러 여과시키기 위한 배관 여과체(56)가 더 구성될 수 있다.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52 may further include a pipe filtration body 56 for filtering the primary filtered water introduced into the branch portion where the storage pipe connection pipe portion 53 is branched, have.

여기서, 배관 여과체(56)는 배관 내에 직접 설치될 수 있게 망 형태로 구성되며, 단순 세척이 용이한 합성수지 재질의 망을 사용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iping filter body 56 is constructed in a net shape so as to be installed directly in the piping, and is operated using a synthetic resin net that is easy to clean.

또한, 배관 여과체는(56), 도면에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유지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여과기 캡(미도시)에 여과기 연결 고리(미도시)를 설치하여 배관 여과체(56)를 고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pipe connecting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in a filter cap (not shown)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the pipe filtering member 56 is fixed Can operate.

다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저류조(70)는 골격 프레임(10) 내에서 사용 용도에 따라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되며, 저류조 연결 배관부(53)를 통해 공급된 빗물을 담아 저장하도록 내부에 기설된 용량의 빗물 저류 공간을 가지는 통체로 이루질 수 있다. 9 and 10, the storage tank 70 is installed and used in the skeleton frame 10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use. The storage tank 70 is used to store the rainwater supplied through the storage tank connection pipe unit 53 And a rainwater storage space of a capacity existing therein to store the rainwater.

한편, 상기 저류조(70)에는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별도의 정수과정을 거치지 않고 중수도로 이용할 수 있게 인출하기 위한 저류조 인출 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tank 7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tank draw-out means 80 for taking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70 so that the rainwater can be utilized as a dehydration without a separate purification proces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저류조 인출 수단(80)은 상기 저류조(70) 내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저류조 인출 배관(81) 및 상기 저류조 인출 배관(81) 상에 설치어 상기 저류조(70) 내에 보관된 빗물을 인출하기 위한 저류조 인출 펌프(8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The storage tank draw-out means 80 includes a storage tank draw-out pipe 81 installed to connect the inside of the storage tank 70 and a rainwater storage tank 81 installed on the storage tank draw- And a storage tank draw-out pump 82 for taking out the storage tank.

여기서, 저류조 인출 펌프(82)는 저류조(70) 외부 상측에 설치되는 지상 가압 펌프인 것을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 여건에 따라 저류조(70)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 펌프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수중펌프 사용시에는 저류조 내에 별도의 수중 수위계를 이용하여 자동운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storage tank draw pump 82 is a ground pressurization pump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tank 70.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it may be constituted by an underwater pump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 70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as shown in FIG. When an underwater pump is used, it can be installed so that an automatic ope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separate water level meter in the storage tank.

또한, 저류조(70)는 저류조 배수 배관(75)을 통해 하부 바닥면을 관통하며 빗물 배수관거(95)에 연결하여, 저류조(70) 내에 빗물을 담아 저류시키는 과정에서 내측 하부에 침강 분리된 미세 부유물들이 잔류하지 않고 좀더 쉽게 분리 배출해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storage tank 70 is connected to the rainwater drain pipe 95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75 through the storage tank drainage pipe 75 so as to store the rainwater in the storage tank 70, And it plays a role of allowing the floating matters to be separated and discharged more easily without remaining.

이하, 본 발명의 빗물 이용 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빗물 이용 장치와 비교해 서로 동일 및 유사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to each other in comparison with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빗물 이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빗물 이용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front view of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of FIG.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빗물 이용 장치(1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빗물 이용 장치와 비교해, 저장조(110)가 추가된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11 and 12,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100 of this embodiment differs from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orage tank 110 is added.

본 실시예에서 저장조(110)는 골조 프레임(10)에 내에 형성된 설치 공간 중에서 여과기(40)와 저류조(70) 사이에 설치되어, 저류조 인출 배관(81) 및 저류조 인출 펌프(82)를 통해 저류조로부터 인출된 빗물의 저류 상층수를 담아 저장하도록 한다.The storage tank 110 is installed between the filter 40 and the storage tank 70 in the installation space formed in the frame frame 10 and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110 through the storage tank extraction pipe 81 and the storage tank extraction pump 82, And stores the accumulated upper water layer of the rainwater drawn out from the water tank.

저장조(110) 내에 담아 저장된 빗물의 저류 상층수는 저장조 배출 배관(115)을 통해 배출시켜 좀더 정류된 상태의 빗물을 중수도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The upper reservoir of rain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11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reservoir discharge pipe 115 to utilize the more rectified rainwater as heavy water.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빗물 이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빗물 이용 장치(200)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비교해, 저류조(70)와 저장조(110)를 연결하는 저류조 인출 배관(81) 상에 정수기(210)가 추가 설치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13,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at the rainwater utiliz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water purifier (not shown) on the storage tank discharge pipe 81 connecting the storage tank 70 and the storage tank 110 210 are additionally provided.

정수기(210)는 저류조 인출 배관(121)을 통해 저류조(70)로부터 저장조(110)로 이송 공급되는 빗물 저류 상층수를 정수시켜 저장조 내에 음용이 가능한 상태로 담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water purifier 210 purifies water stored in the upper layer of rainwater conveyed from the storage tank 70 to the storage tank 110 through the storage tank draw-out pipe 121 so that the water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tank in a state capable of drinking.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y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100, 200: 빗물 이용 장치 10: 골격 프레임
15: 수평조절장치 20: 집수판
21: 집수 고정 상판 22: 집수 가동 측판
23: 유압 실린더 25: 태양광 발전 패널
30: 빗물 유입관 40: 여과기
41: 여과기 몸체 42: 여과 걸름체
50: 빗물 이송 배관 51: 유입 연결 배관부
52: 분배 연결 배관부 53: 저류조 연결 배관부
54: 배수관거 연결 배관부 55: 절곡부
56: 배관 여과체 70: 저류조
75: 저류조 배수 배관 80, 120: 저류조 인출 수단
81, 121: 저류조 인출 배관 82, 122: 저류조 인출 펌프
91: 우수관 95: 빗물 배수관거
110: 저장조 115: 저장조 배출 배관
210: 정수기
1, 100, 200: rainwater utilization device 10: skeleton frame
15: Leveling device 20:
21: Fixed upper plate 22: Collecting movable side plate
23: Hydraulic cylinder 25: Solar power generation panel
30: Rainwater inflow pipe 40: Filter
41: filter body 42: filtration filter body
50: rain water conveying pipe 51: inlet connecting pipe part
52: Distribution connection piping section 53: Storage connection piping section
54: water pipe connecting pipe portion 55: bent portion
56: piping filter body 70: storage tank
75: storage tank drain pipe 80, 120: storage tank retrieval means
81, 121: storage tank extraction pipe 82, 122: storage tank extraction pump
91: Excellence point 95: Rainwater drainage pipe
110: storage tank 115: storage tank discharge pipe
210: Water purifier

Claims (13)

단위체를 이루도록 내부 설치 공간을 가지고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골격 프레임;
빗물의 자체 집수가 가능하게 상기 골격 프레임 상부에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집수판;
상기 집수판을 통해 자체 집수된 빗물을 유입하거나 인접하게 설치된 건축물의 우수관을 통해 집수된 빗물을 유입하도록 연장 설치되는 빗물 유입관;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게 상기 골격 프레임의 내부 상측에 수납되며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걸러 1차 여과시키는 여과기;
상기 여과기를 통해 1차 여과된 빗물을 담아 저류시키도록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골격 프레임 내부의 하측에 수납되며 고정 설치되는 저류조;
상기 저류조 바닥을 연결되는 저류조 배수관을 통해 저장된 빗물을 배출할 수 있게 상기 저류조 보다 낮은 상기 골격 프레임 하층을 통과하도록 배설되는 빗물 배수관거; 및
상기 여과기로부터 상기 저류조와 상기 배수관을 연결하도록 분지되어 형성되는 빗물 이송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판은,
상기 골격 프레임의 상면을 덮으며 고정 설치되는 집수 고정 상판; 및
상기 집수 고정 상판의 각 변에서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장 설치되는 복수의 집수 가동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 가동 측판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골격 프레임의 측면 일부를 닫아 측벽면을 이루고, 펼침 상태에서 상기 집수 고정 상판들의 각 변에 상항 경사지게 펼쳐지게 유압 실린더들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빗물 유입관은,
상기 집수 고정 상판을 관통하여 상기 우수관을 상기 여과기에 연통되게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집수 고정 상판의 상면 인접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집수판에 의해 집수된 빗물이 유입되게 복수의 빗물 유입공들 관통 형성되고,

상기 여과기는,
상기 빗물 유입관 하단부에 상면에 연통 연결되고, 상기 빗물 이송 배관 상단부가 하면에 연통 결합되며, 내부에 빗물 여과를 위한 내부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여과기 몸체; 및
상기 여과기 몸체의 내부 수납 공간 내에 서랍 형태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 설치되며 다공형 여과 걸름체;를 포함하며,

상기 빗물 이송 배관은,
상기 여과기 하측에 수평 설치되는 분배 연결 배관부;
상기 분배 연결 배관부의 수평 일측 단부와 상기 여과기 하부를 연결하는 유입 연결 배관부;
상기 분배 연결 배관부의 수평 중심부에서 분지되어 상기 저류조를 연결하는 저류조 연결 배관부; 및
상기 분배 연결 배관부의 수평 타일측 단부에 형성된 절곡부로부터 상기 빗물 배수관거에 연결하는 배수관거 연결 배관부;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 연결 배관부의 상기 저류조 연결 배관부의 분지부 내에 수납 설치되어 유입되는 빗물을 2차 여과시키기 위한 배관 여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 장치.
A skeleton frame assembled in multiple stages with an internal installation space to form a unit;
A collecting plate installed on the skeleton frame so as to be foldable and unfoldable so that rainwater can be collected by itself;
A rainwater inflow pipe extending in such a manner that the rainwater collected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late flows in or is introduced into the building adjacent to the building;
A filter accommodated in the upper side of the skeleton fram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and configured to filter and collect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pipe and to filter the inflow pipe;
A storage tank having an interior space for storing rainwater primarily filtered through the filter and stored in a lower portion of the skeleton frame;
A rainwater drain pipe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bottom of the skeleton frame lower than the storage tank so as to discharge stored rainwater through a storage tank drain pip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And
And a rainwater transfer pipe branched from the filter to connect the storage tank and the drain pipe,

The collector plate
A catchment fixed upper plate fixedly installed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skeleton frame; And
And a plurality of water collecting movable side plates extending from the respective sides of the water collecting fixed top plate so as to be foldable and extendable,

The water collecting movable side plate
The side walls of the skeleton frame being closed by folding the side walls of the skeleton frame in a folded state and being fixedly fixed by hydraulic cylinders so as to be inclined upwardly to the sides of the water collecting fixed top plates in an unfolded state,

The rainwater inflow pipe includes:
And a filter unit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filter unit through the filter unit,
A plurality of rainwater inflow holes through which the rainwater collected by the water collecting plate flows is formed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fixed top plate,

The filter comprises:
A filter body communicating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rainwater inflow pipe, the upper end of the rainwater transfer pip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n internal storage space for rainwater filtration therein; And
And a porous filtration filter body which is accommodated in a drawer-like manner in a drawer-like manner in an inner storage space of the filter body,

The rainwater conveyance pipe
A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An inlet connection pipe portion connecting a horizontal one end of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A storage tank connection pipe branched from the horizontal central portion of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to connect the storage tank; And
And a drain pipe connecting piping part connected to the rainwater drain pipe from a bent part formed at a horizontal tile side end of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art,

And a pipe filtration body for receiving the rainwater collected and stored in the branching portion of the storage tank connection pipe portion of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집수 고정 상판 또는 상기 집수 가동 측판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측에는 태양광 발전 패널이 적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olar power generation panel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of the flooded fixed upper plate and the floated movable side plat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빗물 이송 배관은,
상기 여과기 하측에 수평 설치되는 분배 연결 배관부;
상기 분배 연결 배관부의 수평 일측 단부와 상기 여과기 하부를 연결하는 유입 연결 배관부;
상기 분배 연결 배관부의 수평 중심부에서 분지되어 상기 저류조를 연결하는 저류조 연결 배관부; 및
상기 분배 연결 배관부의 수평 타일측 단부에 형성된 절곡부로부터 상기 빗물 배수관거에 연결하는 배수관거 연결 배관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ainwater conveyance pipe
A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An inlet connection pipe portion connecting a horizontal one end of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A storage tank connection pipe branched from the horizontal central portion of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to connect the storage tank; And
And a drain pipe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rainwater drain pipe from a bent part formed at a horizontal tile side end of the distribution connecting pipe part.
제7항에서,
상기 분배 연결 배관부의 상기 저류조 연결 배관부의 분지부 내에 수납 설치되어 유입되는 빗물을 2차 여과시키기 위한 배관 여과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pipe filtration body for receiving the rainwater stored in the branched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of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ipe portion and for filtering the incoming rainwater.
제1항에서,
상기 저류조 내부에 연결 결합되는 저류조 연결 배관부 내부에는 기설정된 수위 이상 빗물 유입이 차단되도록 플로팅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loating valve is provided in the storage pip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tank so that inflow of rainwater over a predetermined level is blocked.
제1항에서,
상기 저류조 내부에 저류된 빗물을 인출하기 위한 저류조 인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류조 인출 수단은,
상기 저류조 내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저류조 인출 배관;
상기 저류조 인출 배관 상에 설치어 상기 저류조 내에 보관된 빗물을 인출하기 위한 저류조 인출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storage tank drawing means for drawing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he storage tank extracting means
A storage tank outflow pipe installed to connect the inside of the storage tank;
And a storage tank draw-out pump installed on the storage tank draw-out pipe for drawing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제10항에서
상기 저류조 인출 펌프는,
상기 저류조 외부에 설치되는 지상 가압 펌프 또는 상기 저류조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 장치.
[Claim 10]
The storage tank draw-
A ground pressurizing pump provided outside the storage tank, or an underwater pump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tank.
제10항에서,
상기 골격 프레임의 상기 저류조 상측에서 기설정된 내부 수납 공간을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저류조 인출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저류조 인출 펌프를 통해 이송 공급된 빗물을 담아 저장하는 저장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keleton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torage space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tank,
And a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and storing the rainwater transferred and supplied through the storage tank draw-out pump.
제12항에서,
상기 저류조 인출 배관 상에서 상기 저장조와 상기 저류조 인출 펌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조로 이송 공급되는 빗물을 정수 처리하기 위한 정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water purifier disposed between the storage tank and the storage tank draw-out pump on the storage tank for purifying the rainwater transferred to and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KR1020160076277A 2016-06-20 2016-06-20 Rainwater Harvesting Device KR1017694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277A KR101769401B1 (en) 2016-06-20 2016-06-20 Rainwater Harves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277A KR101769401B1 (en) 2016-06-20 2016-06-20 Rainwater Harves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401B1 true KR101769401B1 (en) 2017-08-21

Family

ID=5975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277A KR101769401B1 (en) 2016-06-20 2016-06-20 Rainwater Harves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401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0705A (en) * 2017-12-22 2018-04-10 郑州玖意优创商贸有限公司 Collapsible fresh water collecting car
KR20190052518A (en)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두합크린텍 Chairs for rainwater storage tanks
CN112604259A (en) * 2020-12-01 2021-04-06 杭州甜蜜按钮科技有限公司 Sport equipment protector with function is collected to rainwater
CN112609771A (en) * 2021-01-05 2021-04-06 辛小峰 Irrigation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rainwater for landscaping irrigation and collecting method thereof
CN115142515A (en) * 2022-07-19 2022-10-04 中国科学院西北生态环境资源研究院 Photovoltaic water collection system
CN115162249A (en) * 2022-08-12 2022-10-11 安徽信息工程学院 Rainwater and solar energy collecting and utilizing device
CN115584775A (en) * 2022-12-01 2023-01-10 浙江城建规划设计院有限公司 Gardens rainwater collection device
CN116239269A (en) * 2023-04-10 2023-06-09 浙江铸坤科技有限公司 Rainwater recycling device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241B1 (en) * 2010-12-27 2013-05-3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Rainwater harvesting system using solar panel
KR101556157B1 (en) * 2015-01-20 2015-10-01 김희곤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of Rainwater
KR101584648B1 (en) * 2014-03-31 2016-01-14 (주)동화건설 Rainwater catchment apparatus and rainwater recycling facility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241B1 (en) * 2010-12-27 2013-05-3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Rainwater harvesting system using solar panel
KR101584648B1 (en) * 2014-03-31 2016-01-14 (주)동화건설 Rainwater catchment apparatus and rainwater recycling facility having the same
KR101556157B1 (en) * 2015-01-20 2015-10-01 김희곤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of Rainwate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518A (en)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두합크린텍 Chairs for rainwater storage tanks
CN107890705A (en) * 2017-12-22 2018-04-10 郑州玖意优创商贸有限公司 Collapsible fresh water collecting car
CN112604259A (en) * 2020-12-01 2021-04-06 杭州甜蜜按钮科技有限公司 Sport equipment protector with function is collected to rainwater
CN112609771A (en) * 2021-01-05 2021-04-06 辛小峰 Irrigation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rainwater for landscaping irrigation and collecting method thereof
CN112609771B (en) * 2021-01-05 2022-04-22 辛小峰 Irrigation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rainwater for landscaping irrigation and collecting method thereof
CN115142515A (en) * 2022-07-19 2022-10-04 中国科学院西北生态环境资源研究院 Photovoltaic water collection system
CN115162249A (en) * 2022-08-12 2022-10-11 安徽信息工程学院 Rainwater and solar energy collecting and utilizing device
CN115584775A (en) * 2022-12-01 2023-01-10 浙江城建规划设计院有限公司 Gardens rainwater collection device
CN116239269A (en) * 2023-04-10 2023-06-09 浙江铸坤科技有限公司 Rainwater recycling device and method
CN116239269B (en) * 2023-04-10 2024-04-09 浙江铸坤科技有限公司 Rainwater recycling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401B1 (en) Rainwater Harvesting Device
US8663465B2 (en) Continuously supplied water filtration banks
US20140262998A1 (en) Water System
AU2013101769A4 (en) Water storage
KR101942067B1 (en) Unit module of rainwater harvesting and storage integrated with solar PV modules
KR102116189B1 (en) A Development Device for Renewable Energy Using Rainwater
WO2016062858A1 (en) A green wall and rainwater drainage module and assembly, and a method of draining rainwater
CN104790516B (en) A kind of rainwater regulating pondage system
KR20140046093A (en) Drainpipe exploit rainwater collection
KR100958295B1 (en)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KR20130011103A (en) A apparatus for rain control system
CN103161192B (en) A kind of Power-free rainwater collection device
CN204728453U (en) A kind of rainwater regulating pondage system
CN208472920U (en) A kind of rainwater integrated system for sponge city
Santoso et al. RAINWATER HARVESTING SYSTEM’S UTILIZATION FOR DOMESTIC WATER NEEDS IN KOBANGO II HAMLET, BANTUL REGENCY
CN214089305U (en) Environment-friendly town road structure
CN203546819U (en) Fully-automatic comprehensive rainwater utilization combination system
CN103541405B (en) A kind of Full-automatic comprehensive rainwater utilization combination system
CN204608967U (en) A kind of sewage backwash device
CN204208347U (en) The process of pressure type rain water on roof, storage and recycling integrated device
WO2018038342A1 (en) Container for rainwater storage having water purification mechanism
CN109958177B (en) Sponge city seepage and drainage structure and water circulation system thereof
KR101204043B1 (en) Indirect water intaking system of sump
JP5557211B2 (en) Tank for rainwater storage and runoff control
CN104790515A (en) Back washing and sewage dischar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