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039B1 - 침수방지용 분전반 - Google Patents

침수방지용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039B1
KR101769039B1 KR1020150020864A KR20150020864A KR101769039B1 KR 101769039 B1 KR101769039 B1 KR 101769039B1 KR 1020150020864 A KR1020150020864 A KR 1020150020864A KR 20150020864 A KR20150020864 A KR 20150020864A KR 101769039 B1 KR101769039 B1 KR 101769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oard
distribution
pump
electricity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8795A (ko
Inventor
오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Priority to KR102015002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0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반을 수면 위로 부양시켜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침수방지용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펌프가 설치되는 지하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에 전기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분전반의 침수를 방지하는 침수방지용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펌프로 전기의 공급을 제어 하는 분전반이 수용되는 분전반본체, 상기 분전반본체의 구비되어 상기 지하수용공간의 침수 시 상기 지하수용공간에 차오르는 유체에 의해 부양되어 상기 분전반본체를 수면으로 부양시키는 부력부재, 상기 지하수용공간의 상부에서 바닥까지 연결되어 상기 분전반본체가 가이드되어 이동하는 가이드봉, 및 상기 분전반본체가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분전반본체와 상기 가이드봉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분전반이 위치된 지하수용공간에 물이 차오를 때, 전기를 공급하는 분전반이 물에 잠겨 펌프에 전기를 공급하지 못해 펌프의 미작동으로 인한 침수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수방지용 분전반{A flooding prevention distribution board}
본 발명은 분전반을 수면 위로 부양시켜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침수방지용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어반이란 건물이나 지하철 등의 구조물, 또는 지하 전력구나 통신구 등에 설치되어 전기나 통신 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전반, 분전반, ATS반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제어반은 주로 지하에 설치되기 때문에 지하가 침수가 되거나, 지하실의 수도관에서 물이 분전반으로 떨어지는 경우 습기로 인해 내부부품이 소손되고 부식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02982호(2003.01.20 등록)의 "방수 제어반"이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방수 제어반은 후벽과, 상기 후벽의 둘레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측벽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측벽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 및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그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배선에 연결되는 제어기;를 구비하여 된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전단에는, 상기 도어를 닫았을 때 이와 밀착되어 상기 측벽과 도어 사이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 소재로 된 실링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방수 제어반은 제어반의 도어를 닫았을 때, 제어반 외부의 물이 제어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제어반의 도어가 완전히 닫혀있지 않을 경우, 제어반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어 제어반의 내부부품을 소손하며 부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할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전반이 물에 잠기는 것을 방지하여 펌프의 미작동으로 인한 침수를 예방하고, 분전반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전반의 내부부품의 소손 및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침수방지용 분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수방지용 분전반은 펌프가 설치되는 지하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에 전기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분전반의 침수를 방지하는 침수방지용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펌프로 전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분전반이 수용되는 분전반본체, 상기 분전반본체의 구비되어 상기 지하수용공간의 침수 시 상기 지하수용공간에 차오르는 유체에 의해 부양되어 상기 분전반본체를 수면으로 부양시키는 부력부재, 상기 지하수용공간의 상부에서 바닥까지 연결되어 상기 분전반본체가 가이드되어 이동하는 가이드봉, 및 상기 분전반본체가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분전반본체와 상기 가이드봉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부재는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분전반에서 상기 펌프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선을 감아 수용하는 전선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지하수용공간의 침수 시 상기 분전반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분전선을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권취하는 권취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전반이 위치된 지하수용공간에 물이 차오를 때, 전기를 공급하는 분전반이 물에 잠겨 펌프에 전기를 공급하지 못해 펌프의 미작동으로 인한 침수를 예방할 수 있다.
분전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분전반 내부의 부품의 소손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선수용홈에 전원선을 감을 수 있어 지하수용공간의 바닥에 늘어져 있는 전원선을 정리할 수 있고, 걸침돌기에 의해 전선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권취기에 의해 분전선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분전선이 늘어지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방지용 분전반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방지용 분전반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방지용 분전반을 구성하는 부력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은 분전반(130)이 수용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은 전방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여기서, 침수방지용 분전반(100)과 펌프(180)는 지하수용공간(110)에 수용될 수 있고, 지하수용공간(110)은 지반을 굴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방지용 분전반(100)는 분전반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분전반본체(120)는 분전반(130)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분전반(130)은 펌프로의 전기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분전반본체(120)는 내부가 빈 상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전방에는 도어(125)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125)는 분전반본체(120)의 내부를 개방 또는 밀폐할 수 있어 분전반(130)을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분전반본체(120)는 부력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부력부재(140)는 분전반본체(120)의 하부에 결합되어 분전반본체(120)를 수면으로 부양시킬 수 있다.
한편, 부력부재(140)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부력부재(140)는 전선수용홈(14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전선수용홈(145)은 분전반(130)에서 펌프(180)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선(190)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전선수용홈(145)은 부력부재(140)의 하부의 둘레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선수용홈(145)은 지하수용공간(110)의 바닥에 늘어져 있는 전원선(190)을 정리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예컨대, 지하수용공간(110)에 유체가 유입되면, 지하수용공간(110)에 차오르는 유체에 의해 하기에 설명될 가이드봉(160)을 따라 부력부재(140)가 수면으로 부양되므로 분전반본체(120)도 수면 위로 부양될 수 있다.
이때, 분전반본체(120)가 부양되면 전선수용홈(145)에 감겨있는 전원선(190)은 풀어지므로 분전반(130)과 펌프(180)를 연결하는 전원선(190)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방지용 분전반(100)는 연결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연결부재(150)는 분전반본체(120)와 가이드봉(160)을 연결할 수 있으며, 가이드봉(16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150)는 중앙에는 결합홈(155)이 형성되어 가이드봉(160)이 관통되는 형태로 가이드봉(160)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50)는 가이드봉(160)의 둘레를 감싸 분전반본체(120)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방지용 분전반(100)는 가이드봉(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이드봉(160)은 분전반본체(12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150)와 연결되어 분전반본체(1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봉(160)은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봉(160)은 지하수용공간(110)의 바닥부터 지하수용공간(110)의 천장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봉(160)에는 연결부재(150)의 결합홈(155)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방지용 분전반(100)는 권취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권취기(170)는 분전반(130)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분전선(195)을 권취할 수 있다.
한편, 권취기(170)는 태엽스프링에 의해 권취롤러가 회전하며 분전선(195)을 권취할 수 있다.
여기서, 권취기(170)는 마치 청소기의 전원선을 감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권취기(170)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생략한다.
따라서, 권취기(170)는 지하수용공간(110)에 차오르는 유체에 의해 분전반본체(120)가 수면 위로 부양되면, 배전반(200)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분전선(195)을 감아 분전선(195)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분전선(195)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하수용공간(110)에 있던 유체가 배출되어 분전반본체(120)가 하부로 이동하면, 배전반(200)과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권취기(170)가 감아놓은 분전선(195)을 풀어 분전선(195)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방지용 분전반(100)는 지하수용공간(110)에 펌프(180)와 가이드봉(160)이 설치된다. 가이드봉(160)을 분전반본체(120)와 결합된 연결부재(150)의 결합홈(155)에 끼워지고, 분전반본체(120)의 하부에는 부력부재(140)가 설치된다.
또한, 분전반본체(120)의 내부에 분전반(130)을 안착시키고, 분전반(130)과 펌프(180)를 전원선(190)으로 연결한다.
이때, 늘어진 전원선(190)은 전선수용홈(145)에 감는다.
그리고, 배전반(200)과 분전반(130)은 분전선(195)에 의해 연결되며, 분전선(195)은 권취기(170)에 의해 항상 배전반(200)이 위치된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침수방지용 분전반(100)는 지하수용공간(110)에 유체가 차오르면 가이드봉(160)을 따라 연결부재(150)와 부력부재(140)가 상부로 이동하여 수면 위로 부양되고, 전선수용홈(145)에 감긴 전원선(190)은 풀리는 동시에 분전선(195)은 권취기(170)에 의해 감긴다.
지하수용공간(110)에서 유체가 빠져나가면, 가이드봉(160)을 따라 연결부재(150)와 부력부재(140)가 하부로 이동한다. 전원선(190)은 부력부재(140)의 둘레에 감아 전선수용홈(145)에 수용시키고, 분전선(195)은 권취기(170)에 의해 풀린다.
따라서, 분전반(130)이 위치된 지하수용공간(110)에 물이 차오를 때, 전기를 공급하는 분전반(130)이 물에 잠겨 펌프(180)에 전기를 공급하지 못해 펌프(180)의 미작동으로 인한 침수를 예방할 수 있다.
분전반(130)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분전반(130) 내부의 부품의 소손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선수용홈(145)에 전원선(190)을 감을 수 있어 지하수용공간(110)의 바닥에 늘어져 있는 전원선(190)을 정리할 수 있다.
또한, 권취기(170)에 의해 분전선(195)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분전선(195)이 늘어지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 침수방지용 분전반 110 : 지하수용공간
120 : 분전반본체 125 : 도어
130 : 분전반 140 : 부력부재
145 : 전선수용홈 150 : 연결부재
155 : 결합홈 160 : 가이드봉
170 : 권취기 180 : 펌프
190 : 전원선 195 : 분전선
200 : 배전반

Claims (5)

  1. 펌프가 설치되는 지하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에 전기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분전반의 침수를 방지하는 침수방지용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펌프로 전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분전반이 수용되는 분전반본체,
    상기 분전반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지하수용공간의 침수 시 상기 지하수용공간에 차오르는 유체에 의해 부양되어 상기 분전반본체를 수면으로 부양시키는 부력부재,
    상기 지하수용공간의 상부에서 바닥까지 연결되어 상기 분전반본체가 가이드되어 이동하는 가이드봉, 및
    상기 분전반본체가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분전반본체와 상기 가이드봉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부재는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분전반에서 상기 펌프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선을 감아 수용하는 전선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하수용공간의 침수 시 상기 분전반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분전선을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권취롤러를 회전시켜 권취하는 권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방지용 분전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20864A 2015-02-11 2015-02-11 침수방지용 분전반 KR101769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864A KR101769039B1 (ko) 2015-02-11 2015-02-11 침수방지용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864A KR101769039B1 (ko) 2015-02-11 2015-02-11 침수방지용 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795A KR20160098795A (ko) 2016-08-19
KR101769039B1 true KR101769039B1 (ko) 2017-08-30

Family

ID=5687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864A KR101769039B1 (ko) 2015-02-11 2015-02-11 침수방지용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0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9784A (zh) * 2018-08-28 2018-11-27 华宇通明电气(天津)有限公司 一种防水淹配电箱及其使用方法
CN112436386B (zh) * 2020-10-26 2022-08-16 滁州市朝友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自移式防渗室外配电柜
KR102390092B1 (ko) * 2021-06-07 2022-04-22 함춘식 태양발전용 접속반의 충격흡수장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950Y1 (ko) * 2002-09-24 2003-01-06 주식회사 세진테크 가로등
KR200432090Y1 (ko) * 2006-09-06 2006-11-30 청솔산업(주) 승하강식 가로등 제어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950Y1 (ko) * 2002-09-24 2003-01-06 주식회사 세진테크 가로등
KR200432090Y1 (ko) * 2006-09-06 2006-11-30 청솔산업(주) 승하강식 가로등 제어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795A (ko) 2016-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039B1 (ko) 침수방지용 분전반
KR102153715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배치 트레이장치
KR102105173B1 (ko) 반잠수식 수상태양광 발전장치
KR101708912B1 (ko) 침수방지용 분전반
CN102878006A (zh) 波力发电机
JP2009191563A (ja) フラップゲート
KR101709324B1 (ko) 변전소의 특고압 인입전선용 절연형 커넥터
KR101304912B1 (ko)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설치 방법
KR100914549B1 (ko) 수위감지부를 구비하는 수변전 설비시스템
KR101177920B1 (ko) 특별 고압 한전 배전 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20130041857A (ko) 승강식 터빈 지지구조물
CN110471151B (zh) 一种交通工程施工光缆的地下防护保护装置
KR101009493B1 (ko) 공기흡입호스 부유수단을 구비하는 수변전 설비시스템
CN109533215B (zh) 一种设有水下控制房的浮动平台
KR100890103B1 (ko) 천정 출몰형 콘센트
CN217009049U (zh) 新型轻便投入水式机械开关结构
JP5171429B2 (ja) 電動ポンプの自動運転装置
KR200469520Y1 (ko) 국기 게양장치
KR102356458B1 (ko) 부력형 분수대의 잠수장치
CN219087454U (zh) 一种遇水智能提升的电气承装设备
CN205804484U (zh) 一种供水装置
WO2014024566A1 (ja) 機器の水没防止構造
KR20090029615A (ko) 일체형 벨트 구동 유체 흐름 발전장치
JP2014098381A (ja) 水中浮力発電システム
JP2012231634A (ja) ケーブル敷設設備およびそれを用いたケーブル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