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922B1 - 조류 퇴치구 - Google Patents

조류 퇴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922B1
KR101768922B1 KR1020170029748A KR20170029748A KR101768922B1 KR 101768922 B1 KR101768922 B1 KR 101768922B1 KR 1020170029748 A KR1020170029748 A KR 1020170029748A KR 20170029748 A KR20170029748 A KR 20170029748A KR 101768922 B1 KR101768922 B1 KR 101768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cap
birds
pos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인숙
Original Assignee
(주)하이쏠라에너지
양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쏠라에너지, 양인숙 filed Critical (주)하이쏠라에너지
Priority to KR1020170029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922B1/ko
Priority to PCT/KR2018/002767 priority patent/WO20181645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둘기, 참새, 각종 철새 등의 야생 조류를 쫓아내며, 자장을 이용하여 조류의 방향 감각에 혼란을 발생시키고 빛을 반사시켜 조류의 시야 확보를 방해함으로써 조류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조류 퇴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비자성체로 형성된 원주 형상의 상부 지주(40)와; 비자성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자석유닛(60)이 적층되며 상기 상부 지주(40)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자석유닛(60)을 보호하는 상부 보호캡(50)과; 비자성체로 형성된 원주 형상의 하부 지주(80)와; 상기 상부 지주(40)의 상측에 결합되고 빛을 반사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며 역U자형 단면을 갖는 상단캡(10)과; 비자성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자석유닛(60)이 적층되며 상기 하부 지주(80)의 상측에 삽입 설치되어 자석유닛(60)을 보호하는 하부 보호캡(70)과; 상기 하부지주(80)의 하부에서 끼움 결합되고 빛을 반사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며 하부가 막혀 있는 하단캡(90)과; 상기 상부 지주(40)와 하부지주(80)를 연결하며 상기 상부 지주(40)가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플렉시블 구조를 갖는 지주 연결구(30)와; 상기 상부 지주(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주 연결구(30)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상기 지주 연결구(30)의 외측을 감싸주는 원통 형상의 연결구 고정캡(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류 퇴치구{A Device to Expel Birds}
본 발명은 비둘기 또는 철새와 같은 야생 조류가 논밭이나 전신주, 문화재 등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쫓아내는 조류 퇴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장을 이용하여 조류의 방향 감각에 혼란을 발생시키고 빛을 반사시켜 조류의 시야 확보를 방해함으로써 조류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조류 퇴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둘기, 참새, 까치는 물론이고 계절별로 찾아오는 철새 등의 조류(鳥類)는, 논, 밭, 과수원 등에서 자라고 있는 곡식이나 어린 새싹 등을 먹어 치우기 때문에 피해를 보는 농가도 많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비둘기를 비롯한 조류의 배설물로 인하여 문화재 등이 부식되기도 하고, 조류들이 문화재에 날아와 앉는 과정에서 날카로운 조류의 발톱에 의해 문화재가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논밭에서의 전통적인 조류 퇴치방식은 허수아비를 이용하여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는 것인데, 허수아비가 움직이지 않음에 따라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조류의 시야에 혼란을 줄 수 있도록 빛을 반사하는 반사줄을 더 설치하고 있으나, 조류의 시야에 혼란을 주는 것만으로는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기가 어렵다.
또한 비행장에서는 비행기의 이착륙시에 날아드는 조류가 비행기 엔진의 공기 흡입구로 조류가 흡입되어 엔진 고장을 일으키는 등 대형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비행장 등에서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하여 많은 인력을 배치시켜 조류의 접근을 방해하거나, 큰 소리를 발생시켜 조류를 쫓아내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조류 살상용 살충제를 뿌려 조류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조류를 완전하게 퇴치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조류의 퇴치를 위하여 자장을 이용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즉, 지자기와 유사한 자장을 이용하여 조류의 방향감각에 혼란을 줌으로써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조류는 태어날 때부터 방향을 탐지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의 일종인 마그네타이트의 결정을 체내에 갖고 있고, 이러한 많은 수의 마그네타이트의 결정이 자석 역할을 하면서 지자기를 통해 방향을 탐지하고 있다. 따라서, 지자기와 유사한 자장을 발생함으로써 조류가 방향감각을 상실하거나 혼란을 일으키게 하여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자장을 이용하는 방법 역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자장을 발생하는 자석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로 인해 퇴치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자석의 자력이 빨리 손실됨으로써 지속적인 자석의 교체가 요구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조류 퇴치 방법만으로는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조류의 접근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야생조류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양계 농가의 닭이나 오리가 AI(조류독감)에 감염되고 이들이 대량 살처분되어 매립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경제적 손실 역시 크게 발생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까치와 같은 새들은 태어날 때부터 방향을 탐지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의 일종인 마그네타이트의 결정이 체내에 있고, 이러한 많은 수의 마그네타이트의 결정이 자석의 역할을 하면서 지구의 자기를 탐지하는 콤파스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지구의 자기와 구별이 되지 않는 정도의 자기를 발생시키는 자장장치를 새가 집을 짓기 쉬운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새들이 지구의 자기와 자장장치에서 발생하는 자기를 구별하지 못하여 방향감각을 상실하면서 둥지를 트는 것을 포기하도록 한, 조류퇴치용 자장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알루미늄과, 니켈과, 코발트와, 그리고 산화철로 합성된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또한 강자성체의 표면에 자외선 차단용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비둘기, 참새, 각종 철새 등과 같은 조류들이 문화재나, 논, 밭 등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자장을 이용하여 방향 감각과 위치 감각을 상실시켜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자장을 이용하는 조류 퇴치구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태양전지와, 이를 고정 설치하는 고정프레임과, 완금 사이에 탄력적으로 삽입 설치되는 탄성고정구와, 상기 태양전지에 작동되는 날개수단과, 조류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는 조류감지센서와, 조류가 싫어하는 소리와 음파를 발생시켜 주는 소리발생부와 음파발생부 및, 조류가 싫어하는 빛을 발광하는 LED 발광부로 구성되어, 전신주 상부에 구비된 완금 사이에 조류와 같은 가금류의 둥지를 지을 수 없도록 하여 전류가 단락되는 등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조류퇴치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에 설치되어 야생동물 또는 조류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시 야생동물 또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퇴치수단과, 상기 센서 및 제1퇴치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퇴치수단은, 상기 지면의 일정 영역 내에서 일정 고도로 자율 비행하도록 설정되고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수단을 갖춘 드론과, 상기 드론을 대기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구비된 드론 거치대와, 상기 드론 거치대에 구비되고 상기 드론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드론 충전부와, 상기 드론 거치대의 상부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며, 태양광에 의해 동력원을 생성하는 동시에 센서에 의해 동물 및 조류 퇴치수단을 자동 구동시켜서 야생동물이나 조류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KR 10-1996-0012051 A KR 10-1999-0008708 A KR 10-2011-0105908 A KR 10-1707916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류의 방향감각에 혼란을 줌과 동시에 조류의 시야에도 혼란을 주어 조류가 접근하지 못하고 쫓겨나도록 하는 조류 퇴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플렉시블한 지주 연결구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조류 퇴치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자성체로 형성된 원주 형상의 상부 지주와; 비자성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자석유닛이 적층되며 상기 상부 지주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자석유닛을 보호하는 상부 보호캡과; 비자성체로 형성된 원주 형상의 하부 지주와; 상기 상부 지주의 상측에 결합되며 빛을 반사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며 역U자형 단면을 갖는 상단캡과; 비자성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자석유닛이 적층되며 상기 하부 지주의 상측에 삽입 설치되어 자석유닛을 보호하는 하부 보호캡과; 상기 하부지주의 하부에서 끼움 결합되며 빛을 반사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며 하부가 막혀 있는 하단캡과; 상기 상부 지주와 하부지주를 연결하며 상기 상부 지주가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플렉시블 구조를 갖는 지주 연결구와; 상기 상부 지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주 연결구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상기 지주 연결구의 외측을 감싸주는 원통 형상의 연결구 고정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에 따르면, 상기 상단캡과 하단캡은 외주면이 크롬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에 따르면, 상기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는 FRP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호캡과 하부 보호캡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에 따르면, 상기 자석유닛은 강력한 자장을 발생하도록 네오디뮴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에 따르면, 상기 지주 연결구는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벨로우즈부와, 상기 상부 지주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벨로우즈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측 연결부와, 상기 하부 지주의 상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벨로우즈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지주의 상단을 막아주는 하측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에 따르면, 상기 상단캡의 상부 중앙에 날카로운 삼각의 접근 방지핀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에 따르면, 상기 하부 지주는 상기 하부 보호캡이 삽입 설치되는 상부체와 바닥에 고정되는 하부체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는 커넥터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거나 나사 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는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가 유연성이 있는 지주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설치 장소의 공간적 제약을 회피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또는 자기장의 형성 범위가 효과적으로 구성되도록 상부 지주의 위치 또는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자석 유닛을 이용하여 조류의 방향감각에 혼란을 발생시키고 상단캡과 하단캡에서 반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조류의 시야를 어지럽힘으로써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에 따르면, 상단캡과 하단캡의 외주면이 크롬 도금됨에 따라 상단캡과 하단캡의 반사강도가 향상되어 조류가 원활한 시야를 확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에 따르면, 상단캡에 의해 상부 지주의 상부가 막혀 있고 하단 캡에 의해 하부 지주의 하부가 막혀 있으면서 상부 지주 및 하부 지주가 FRP로 이루어짐에 따라 녹이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방열과 방수 및 방습 효과가 있으며, 상부 보호캡과 하부 보호캡이 비자성체의 알루미늄으로 형성됨에 따라 자석유닛의 자력 손실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에 따르면, 자석유닛이 네오디뮴 자석으로 이루어져 강력한 자장을 발생하게 되므로 조류의 방향 감각에 큰 혼란을 주어 조류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에 따르면, 상단캡의 상부 중앙에 접근 방지핀이 설치됨에 따라 조류가 상단캡의 상부에 앉지 못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에 따르면,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벨로우즈부로 인해 상부 지주의 위치를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하측 연결부가 하부 지주의 상단을 막아주게 되므로 하부 지주로의 수분이나 습기의 침투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에 따르면, 하부 지주가 상부체와 하부체로 분할 형성되어 연결됨에 따라 길이가 다른 복수의 하부체를 이용하여 전체 길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류 퇴치구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의 내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의 변형 형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하부 지주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조류 퇴치구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자성체로 형성된 원주 형상의 상부 지주(40)와; 비자성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자석유닛(60)이 적층되며 상기 상부 지주(40)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자석유닛(60)을 보호하는 상부 보호캡(50)과; 비자성체로 형성된 원주 형상의 하부 지주(80)와; 상기 상부 지주(40)의 상측에 결합되고 빛을 반사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며 역U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부 중앙에 날카로운 삼각의 접근 방지핀(15)이 설치된 상단캡(10)과; 비자성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자석유닛(60)이 적층되며 상기 하부 지주(80)의 상측에 삽입 설치되어 자석유닛(60)을 보호하는 하부 보호캡(70)과; 상기 하부지주(80)의 하부에서 끼움 결합되고 빛을 반사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며 하부가 막혀 있는 하단캡(90)과; 상기 상부 지주(40)와 하부지주(80)를 연결하며 상기 상부 지주(40)가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플렉시블 구조를 갖는 지주 연결구(30)와; 상기 상부 지주(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주 연결구(30)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상기 지주 연결구(30)의 외측을 감싸주는 원통 형상의 연결구 고정캡(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구 고정캡(20)이 상부 지주(4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설치 장소의 공간적 제약을 회피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또는 자기장의 형성 방향이 효과적으로 구성되도록 상기 지주 연결구(30)를 이용하여 상부 지주(40)를 상하 좌우로 움직여 그 위치 또는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전체적인 형상을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예컨대, 45도 경사지게 굽혀진 상부 지주(40)에 수직한 방향으로(지표면과 45도 경사를 이루는 동심원 방향으로) 1차 자기장이 형성되어 1차적으로는 조류의 하강 접근이 교란되고, 하부 지주(80)에 수직한 방향으로(지표면과 평행을 이루는 동심원 방향으로) 2차 자기장이 중첩 형성되어 2차적으로는 조류의 지표면 접근이 차단되는 유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연결구 고정캡(20)을 이동시켜 상기 지주 연결구(30)를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는 상기 지주 연결구(30)가 직선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수직한 구조로 만들 수 있게 되며, 조류의 지표면 접근을 강력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캡(10)이 상부 지주(40)의 상측을 막아주고 상기 하단 캡(90)이 하부 지주(80)의 하부를 막아주게 되므로, 외부로부터 상부 지주(40)나 하부 지주(80)로 물이나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단캡(10)과 하단캡(90)은 외주면이 크롬 도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캡(10)과 하단캡(90)은 빛을 반사하여 조류의 시야에 혼란을 주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크롬이 도금됨에 따라 빛의 반사강도가 향상되어 조류의 시야가 더욱 혼란되어 조류가 접근하지 못하게 한다.
나아가, 하단캡(90)에는 예컨대, 스텐카프링(미도시)를 감아서 본 발명에 따른 조류 퇴치구이 목책, 울타리, 기둥 등의 시설물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주(40)와 하부 지주(80)는 녹이 발생하지 않고 방열과 방수 및 방습 효과가 우수한 FRP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상부 보호캡(50)과 하부 보호캡(70)은 자기장 투과에 용이하며 경량 소재인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지주(40)와 하부 지주(80)가 모두 비자성체로 형성됨에 따라 자석유닛(60)의 자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유닛(60)은 강력한 자장을 발생하도록 네오디뮴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오디뮴 자석은 현존하는 최강의 자석으로서 지구 자기장인 지자기보다 훨씬 강력한 자장을 발생하여 지자기에 의존하는 조류의 방향 감각에 혼란을 발생시킴으로써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지주 연결구(30)는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벨로우즈부(31)와, 상기 상부 지주(40)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벨로우즈부(3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측 연결부(32)와, 상기 하부 지주(80)의 상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벨로우즈부(31)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지주(80)의 상단을 막아주는 하측 연결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벨로우즈부(31)는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벨로우즈부(31)를 자유롭게 구부림으로써 상기 상부 지주(40)의 위치를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 연결부(32)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주(40)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지만, 상기 하측 연결부(33)는 하부 지주(80)의 상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부가 캡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측 연결부(33)가 하부 지주(80)의 상단을 막아주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하부 지주(80)로의 수분이나 습기의 침투가 방지된다.
한편, 상기 하부 지주(80)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5와 같이 상기 하부 보호캡(70)이 삽입 설치되는 상부체(81)와 바닥에 고정되는 하부체(82)로 분할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하부체(82)는 다양한 길이의 것을 이용하여 제품의 전체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상부체(81)와 하부체(82)는 커넥터(83)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거나 나사 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상부체(81)의 하부와 하부체(82)의 상부에 각각 요홈(81')(82')을 형성하고 상하 양측에 각각 돌기가 형성된 커넥터(83)를 이용하여 상부체(81)와 하부체(82)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구조는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를 연결할 수만 있다면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상부체(81)의 하부에 암나사부(81")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체(82)의 상부에 수나사부(82")를 형성하여 나사 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상부체(81)의 하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체(82)의 상부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나사 결합시키더라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류 퇴치구는 상부 지주(40)와 하부 지주(80)에 각각 구비된 자석유닛(60)에서 발생하는 자장을 이용하여 조류의 방향감각에 혼란을 주고 상단캡(10)과 하단캡(90)에서 반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조류의 시야에 혼란을 줌으로써 조류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쫓아내게 된다.
그리고, 상부 지주(40)에 결합된 연결구 고정캡(20)을 승강시켜 지주 연결구(30)의 벨로우즈부(31)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자유롭게 구부림으로써 하부 지주(80)에 대한 상부 지주(4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전체적인 형상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상단캡
15...접근 방지핀
20...연결구 고정캡
30...지주 연결구
31...벨로우즈부
32...상측 연결부
33...하측 연결부
40...상부 지주
50...상부 보호캡
60...자석유닛
70...하부 보호캡
80...하부 지주
81...상부체
81'...홈부
81"...암나사부
82...하부체
82'...홈부
82"...수나사부
83...커넥터

Claims (5)

  1. 비자성체로 형성된 원주 형상의 상부 지주(40)와;
    비자성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자석유닛(60)이 적층되며 상기 상부 지주(40)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자석유닛(60)을 보호하는 상부 보호캡(50)과;
    비자성체로 형성된 원주 형상의 하부 지주(80)와;
    상기 상부 지주(40)의 상측에 결합되고 빛을 반사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며 역U자형 단면을 갖는 상단캡(10)과;
    비자성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자석유닛(60)이 적층되며 상기 하부 지주(80)의 상측에 삽입 설치되어 자석유닛(60)을 보호하는 하부 보호캡(70)과;
    상기 하부지주(80)의 하부에서 끼움 결합되고 빛을 반사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며 하부가 막혀 있는 하단캡(90)과;
    상기 상부 지주(40)와 하부지주(80)를 연결하며 상기 상부 지주(40)가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벨로우즈부(31)를 포함하는 지주 연결구(30) 및
    상기 상부 지주(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지주 연결구(30)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상기 지주 연결구(30)의 외측을 감싸주는 원통 형상의 연결구 고정캡(20);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구 고정캡(20)이 슬라이딩 하강하면 지주 연결구(30) 외측을 감싸주어 상기 상부 지주(40) 및 하부 지지(80)에 수직하고 지표면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강화시켜 조류의 지표면 접근이 차단되고,
    상기 연결구 고정캡(20)이 슬라이딩 상승하여 상부 지주(40)에 결합되면 상기 지주 연결구(30)에 의해 굽혀진 상부 지주(40)에 수직한 방향으로 1차 자기장이 형성되어 조류의 하강 접근이 교란되고, 상기 하부 지주(80)에 수직하고 지표면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2차 자기장이 중첩 형성되어 조류의 지표면 접근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캡(10)과 하단캡(90)은 외주면이 크롬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주(40)와 하부 지주(80)는 FRP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호캡(50)과 하부 보호캡(70)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연결구(30)는 상기 상부 지주(40)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벨로우즈부(3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측 연결부(32)와, 상기 하부 지주(80)의 상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벨로우즈부(31)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지주(80)의 상단을 막아주는 하측 연결부(3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캡(10)의 상부 중앙에 날카로운 삼각의 접근 방지핀(15)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구.
KR1020170029748A 2017-03-08 2017-03-08 조류 퇴치구 KR101768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48A KR101768922B1 (ko) 2017-03-08 2017-03-08 조류 퇴치구
PCT/KR2018/002767 WO2018164508A1 (ko) 2017-03-08 2018-03-08 조류 퇴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48A KR101768922B1 (ko) 2017-03-08 2017-03-08 조류 퇴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922B1 true KR101768922B1 (ko) 2017-08-17

Family

ID=5975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748A KR101768922B1 (ko) 2017-03-08 2017-03-08 조류 퇴치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8922B1 (ko)
WO (1) WO20181645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4534B (zh) * 2020-08-07 2023-03-0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无人机驱赶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425A (ja) * 2002-03-03 2003-09-09 Big Corp 鳥類飛来防止装置
JP2004350610A (ja) * 2003-05-30 2004-12-16 Horie Corp 鳥類飛来防止装置
US20160216406A9 (en) 2006-02-03 2016-07-28 Gelest Technologies, Inc. Bird Deterrent Glass Coating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9746A (ko) * 2009-09-16 2011-03-23 양동식 조류 퇴치 장치
KR101424536B1 (ko) * 2012-06-01 2014-07-31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조류 퇴치장치
JP5767767B1 (ja) * 2014-12-09 2015-08-19 大庭ビルメインテナンス株式会社 鳥類忌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425A (ja) * 2002-03-03 2003-09-09 Big Corp 鳥類飛来防止装置
JP2004350610A (ja) * 2003-05-30 2004-12-16 Horie Corp 鳥類飛来防止装置
US20160216406A9 (en) 2006-02-03 2016-07-28 Gelest Technologies, Inc. Bird Deterrent Glass Coat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4508A1 (ko)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8998B2 (en) Avian flight diverter
KR101373698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KR101339060B1 (ko) 조류 퇴치장치
US201200672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erting waterfowl settlements
KR101768922B1 (ko) 조류 퇴치구
GelleR Reducing predation of freshwater turtle nests with a simple electric fence
Fengshan et al. Power line strikes by black-necked cranes and bar-headed geese in Tibet Autonomous Region
Egan Evaluating the potential utility of drones to deter birds from areas of human-wildlife conflict
Hausberger et al. Wide-eyed glare scares raptors: From laboratory evidence to applied management
Gupta et al. On the fundamentals of natural history and present threats to Red-wattled Lapwing in Kurukshetra environs
Gourevitch et al. Evaluation of tree frog tracking methods using Phyllomedusa trinitatis (Anura: Phyllomedusidae)
KR20160140087A (ko) 유해성 조류 퇴치용 기구
Vanermen et al. Seabird monitoring at offshore wind farms in the Belgian part of the North Sea: Updated results for the Bligh Bank & first results for the Thorntonbank
AU2020202481B2 (en) Pest control assembly, system and method
Monod et al. Stakeless fencing for mountain pastures
JP2007175041A (ja) 鳥獣の被害防止と農産物、樹木の防護装置
KR200494293Y1 (ko) 자동이동방식 다기능 유해 조·수 퇴치 장치
WO2016108069A1 (en) Birds repelling device
JP4837076B2 (ja) 動物除け
KR20170087802A (ko) 야생동물 퇴치기 Wi
Fulton Observations of hunting behaviour in an urban predator: the domestic Dog Canis familiaris
JP4114546B2 (ja) 鳥類飛来防止装置
Minoshma et al. An Efficient and Smart Animal Repulsion Technology using Laser Sensors and Acoustic Signals
Coughlan et al. The fox in the box: acoustic deterrent and simulated predator disturbance to reduce problematic bird accumulations
KR20170001969U (ko) 조류 퇴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