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638B1 -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638B1
KR101768638B1 KR1020160022401A KR20160022401A KR101768638B1 KR 101768638 B1 KR101768638 B1 KR 101768638B1 KR 1020160022401 A KR1020160022401 A KR 1020160022401A KR 20160022401 A KR20160022401 A KR 20160022401A KR 101768638 B1 KR101768638 B1 KR 101768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lter member
drip bag
engaging
coffee 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선
이정영
Original Assignee
이의선
이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선, 이정영 filed Critical 이의선
Priority to KR1020160022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suspended from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as to remain in contact with the prepared inf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원두커피 드립백을 간단한 제조 과정을 통해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는, 분쇄 원두가 수납되는 필터부와,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필터부를 형성하는 필터부재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 1 및 제 2 걸림부재로 이루어진 걸림부를 포함하는 원두커피 드립백의 제조장치로서, 제 1 및 제 2 걸림부재와 필터부재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상부에 형성되는 본체부; 및 투입부를 통해 본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며, 제 1 걸림부재를 상기 투입부에 투입한 후 필터부재를 투입부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필터부재를 눌러주어 제 1 걸림부재를 필터부재의 일면에 접착하고, 제 2 걸림부재를 투입부에 투입한 후 제 2 걸림부재를 눌러주어 제 2 걸림부재를 필터부재의 타면에 접착하는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FFEE DRIP BAG}
본 발명은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두커피의 고유 맛과 향을 음용하기 위해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원두커피 드립백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원두커피 등을 간단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원두커피 드립용 제품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62752호의 "일회용 원두커피 포장용 티백"(선행특허문헌 1)과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8874호의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선행특허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분쇄 원두를 백에 수납한 형태의 분쇄 원두 백을 온수를 담은 컵 등에 침지시켜 두었다가 분쇄 원두가 녹아난 후 백을 꺼낸 후 커피를 음용하는 것이었으나, 이는 번거롭고 불편하며 원두커피 본연의 맛을 살리지 못하여 고품질의 커피를 생성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선행특허문헌 2의 경우 소정의 컵 내에 분쇄 원두를 백에 수납한 형태의 분쇄 원두 백을 내장한 형태의 것들도 사용되고 있으나 역시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원두커피 본연의 맛을 살리지 못하여 고품질의 커피를 생성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원두커피 드립 백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조하거나 복잡한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하므로 대량 생산이 어렵고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62752호(1998.11.16.)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8874호(2003.08.2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두커피 드립백을 간단한 제조 과정을 통해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는, 분쇄 원두가 수납되는 필터부와,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를 형성하는 필터부재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 1 및 제 2 걸림부재로 이루어진 걸림부를 포함하는 원두커피 드립백의 제조장치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부재와 상기 필터부재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상부에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투입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걸림부재를 상기 투입부에 투입한 후 상기 필터부재를 상기 투입부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재를 눌러주어 상기 제 1 걸림부재를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에 접착하고, 상기 제 2 걸림부재를 상기 투입부에 투입한 후 상기 제 2 걸림부재를 눌러주어 상기 제 2 걸림부재를 상기 필터부재의 타면에 접착하는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평판 형상을 갖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개구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투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투입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투입부에 투입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부재의 개구부에 삽입되고, 상기 필터부재를 상부로 지지하여 상기 필터부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투입부와 인접하는 상면 테두리를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안착홈에 정렬되게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일측면에 인출부가 개구 형성되어 상기 인출부를 통해 원두커피 드립백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돌기부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를 통해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투입부에 투입되는 상기 제 1 걸림부재와 상기 제 2 걸림부재가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접착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부재와 상기 필터부재를 눌러주는 누름판; 및 상기 누름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누름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손잡이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통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에 따르면, 원두커피 드립백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걸림부재와 필터부재를 본체부에 투입한 상태에서 누름부로 눌러 접착하여 고정시켜줌으로써, 원두커피 드립백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원두커피 드립백은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음용자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고품질의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의 본체부에 누름부를 삽입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의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도 6은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의 누름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정면도.
도 10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원두커피 드립백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원두커피 드립백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원두커피 드립백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원두커피 드립백의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의 본체부에 누름부를 삽입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100)는 본체부(110) 및 누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원두커피 드립백(200, 도 16 참조)의 제 1 및 제 2 걸림부재(221, 222)와 필터부재(211)가 투입되고, 누름부(120)는 본체부(110)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본체부(110)에 투입된 제 1 및 제 2 걸림부재(221, 222)와 필터부재(211)를 접착하기 위하여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본체부(110)와 누름부(120)는 합성수지재, 금속재,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합성수지재,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원두커피 드립백(200)은 분쇄 원두(1, eh 18 참조)가 수납되는 필터부(210)와, 중앙에 개구부(220a)가 각각 형성되고 필터부(210)를 형성하는 필터부재(211)의 일면 및 타면에 접착되는 제 1 및 제 2 걸림부재(221, 222)로 이루어진 걸림부(220)와, 걸림부(220)의 개구부(220a)에 착탈 결합되는 뚜껑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원두커피 드립백(200)은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의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100)의 본체부(110)는 하부 플레이트(111), 상부 플레이트(113), 측면 플레이트(115) 및 돌기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11)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플레이트(111)를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플레이트(113)는 하부 플레이트(111)의 상부에 하부 플레이트(111)와 수평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플레이트(113)를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13)의 중앙부에는 제 1 및 제 2 걸림부재(221, 222) 및 필터부재(211)가 투입되는 투입부(112)가 원형으로 개구 형성될 수 있다. 투입부(112)의 직경은 제 1 및 제 2 걸림부재(221, 22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투입부(112)의 직경과 제 1 및 제 2 걸림부재(221, 222)의 직경을 거의 동일하게 형성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13)는 투입부(112)와 인접하는 상면 테두리를 따라 안착홈(113a)이 형성되어 필터부재(211)를 투입부(112) 상에 위치시킬 때 필터부재(211)의 가장자리부가 안착홈(113a)에 삽입되면서 정렬되게 안착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115)는 하부 플레이트(111)와 상부 플레이트(113)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측면 플레이트(115)는 하부 플레이트(111)와 상부 플레이트(113)에 수직으로 직립되게 배치되고 측면 플레이트(115)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하부 플레이트(111)의 상면과 상부 플레이트(113)의 하면에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측면 플레이트(115)는 투입부(112)를 통해 측면 플레이트(115)의 내부에 투입되는 제 1 및 제 2 걸림부재(221, 222)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측면 플레이트(115)는 투입부(11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원형의 측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115)는 후술할 돌기부(117)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플레이트(113)와 측면 플레이트(115)는 일측면에 인출부(114)가 개구 형성되어 인출부(114)를 통해 제조된 원두커피 드립백(200)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인출부(114)는 상부 플레이트(113)와 측면 플레이트(115)의 일측면을 수직방향으로 절개하여 상부 플레이트(113)의 투입부(112) 일부과 측면 플레이트(115)의 측벽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돌기부(117)는 투입부(112)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부 플레이트(11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다. 돌기부(117)는 하단이 하부 플레이트(111)의 상면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돌기부(117)는 투입부(112)에 투입되는 제 1 및 제 2 걸림부재(221, 222)의 개구부(220a)에 삽입되고, 필터부재(211)를 상부로 지지하여 필터부(21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돌기부(117)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부(117)를 원추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돌기부(117)는 상부 플레이트(113)와 하부 플레이트(111)의 이격 높이, 즉 측면 플레이트(115)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의 누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100)의 누름부(120)는 누름판(121) 및 누름손잡이(122)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판(121)은 원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돌기부(117)가 관통하는 관통구(121a)가 중앙에 형성된다. 누름판(121)의 직경은 투입부(112)의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누름판(121)에 형성된 관통구(121a)의 직경은 돌기부(117)의 하단 최대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누름부(120)를 본체부(110)의 투입부(112)를 통해 아래방향으로 삽입하게 되면, 누름판(121)의 관통구(121a)에 돌기부(117)가 관통하면서 누름판(121)은 하부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측면 플레이트(115)의 하단부 내측과 돌기부(117)의 하단부 외측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누름판(121)은 투입부(112)를 통해 측면 플레이트(115)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투입부(112)에 투입되는 제 1 걸림부재(221)와 제 2 걸림부재(222)가 필터부재(211)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접착되도록 제 1 및 제 2 걸림부재(221, 222)와 필터부재(211)를 눌러주게 된다.
누름손잡이(122)는 누름판(121)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누름손잡이(122)는 원통관(123) 및 손잡이판(124)을 포함할 수 있다.
원통관(123)은 누름판(121)의 관통구(121a) 직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통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통관(123)은 상부 플레이트(113)와 하부 플레이트(111)의 사이 높이, 즉 측면 플레이트(115)의 높이 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누름부(120)가 본체부(110)의 투입부(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손잡이판(124)은 원통관(123)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누름판(121)과 수평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원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판(124)의 직경은 누름판(121)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판(124)의 중앙에는 원통관(123)과 연통되게 통기구(124a)가 형성되어 누름부(120)를 본체부(110)의 투입부(112)에 삽입하여 아래로 눌러줄 때 내부의 공기가 통기구(124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원두커피 드립백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20)의 제 1 걸림부재(221)를 접착면(221a)이 상부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본체부(110)의 투입부(112)에 투입한다. 제 1 걸림부재(221)를 투입부(112)에 투입하게 되면, 제 1 걸림부재(221)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220a)에 돌기부(117)가 관통하면서 제 1 걸림부재(221)는 돌기부(117)의 최하단까지 삽입되어 측면 플레이트(115)와 돌기부(117) 사이의 하부 플레이트(111)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 1 걸림부재(221)의 외주면은 측면 플레이트(115)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고, 제 1 걸림부재(221)의 내주면은 돌기부(117)의 최하단 외주면에 접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걸림부재(221)가 투입부(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필터부재(211)를 투입부(112) 상에 위치시킨다. 필터부재(211)를 투입부(112) 상에 위치시킬 때 필터부재(211)의 가장자리부가 투입부(112)와 인접하는 상부 플레이트(113)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안착홈(113a)에 삽입되면서 정렬되게 안착될 수 있다. 필터부재(211)를 투입부(112)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누름부(120)로 필터부재(211)를 눌러준다.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걸림부재(221)와 필터부재(211)가 투입부(112)에 투입된 상태에서 누름부(120)로 필터부재(211)를 눌러주어 제 1 걸림부재(221)를 필터부재(211)의 일면에 접착하여 고정한다. 이때, 필터부재(211)의 중앙부분은 원추 형상의 돌기부(117)에 의해 상부로 지지되면서 필터부(21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20)의 제 2 걸림부재(222)를 접착면(222a)이 하부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본체부(110)의 투입부(112)에 투입한다. 제 2 걸림부재(222)를 투입부(112)에 투입하게 되면, 제 2 걸림부재(222)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220a)에 돌기부(117)가 관통하면서 제 2 걸림부재(222)는 측면 플레이트(115)와 돌기부(117) 사이 필터부재(211)의 원형 테두리부 상에 위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걸림부재(222)가 투입부(112)에 투입된 상태에서 누름부(120)로 제 2 걸림부재(222)를 눌러주어 제 2 걸림부재(222)를 필터부재(211)의 타면에 접착하여 고정한다. 이를 통해, 필터부재(211)는 제 1 걸림부재(221)와 제 2 걸림부재(222) 사이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100)를 이용하면, 원두커피 드립백(200)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걸림부재(221, 222)와 필터부재(211)를 본체부(110)에 투입한 상태에서 누름부(120)로 눌러 접착하여 고정시켜줌으로써, 원두커피 드립백(200)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원두커피 드립백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원두커피 드립백의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100)에 의해 제조된 원두커피 드립백(200)은 필터부(210), 걸림부(220) 및 뚜껑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210)는 분쇄 원두(1, 도 18 참조)가 내부에 충진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필터부(210)는 분쇄 원두(1)에 온수를 드립하여 커피가 걸러지면서 하부로 흘러 내릴 수 있도록 다공성의 종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걸림부(220)는 필터부(210)의 상부에 접착되어 일반 컵(10)의 상단부(11)에 걸려서 탑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부(220)의 직경을 일반 컵(10)의 상단부(11)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걸림부(220)가 일반 컵의 상단부(11)에 걸려 탑재될 수 있도록 한다. 걸림부(220)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원형의 개구부(220a)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20)는 종이 판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걸림부(220)는 테두리를 원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바라기형, 톱니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걸림부(220)는 개구부(220a)의 내주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들 들어, 끼움돌기는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원형의 리브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20)는 중앙에 개구부(220a)가 형성된 원형 판재로 이루어져 필터부(210)의 상부 상면에 접착되는 제 1 걸림부재(221)와, 중앙에 개구부(220a)가 형성된 원형 판재로 이루어져 제 1 걸림부재(221)와 대응되게 필터부(210)의 상부 하면에 접착되는 제 2 걸림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걸림부재(221)의 하면과 제 2 걸림부재(222)의 상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필터부(210)의 상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걸림부(220)에는 광고 디자인 문안 등을 인쇄할 수도 있다.
뚜껑부(230)는 걸림부(220)의 개구부(220a)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부(220a)의 내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형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뚜껑부(230)는 외주면에 걸림부(220)의 끼움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뚜껑부(230)를 걸림부(220)의 개구부(220a)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두커피 드립백(200)의 뚜껑부(230)를 닫고자 할 경우 뚜껑부(230)를 걸림부(220)의 개구부(220a)에 삽입하게 되면, 뚜껑부(2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걸림부(220)의 개구부(220a) 내주면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뚜껑부(230)를 걸림부(220)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원두커피 드립백(200)의 뚜껑부(230)를 열고자 할 경우 걸림부(220)의 양측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아래방향으로 벤딩되게 굽히면 걸림부(220)의 끼움돌기와 뚜껑부(230)의 끼움홈 간의 체결이 해제되면서 뚜껑부(230)는 걸림부(220)로부터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원두커피 드립백(200)의 뚜껑부(230)를 간단하고 쉽게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원두커피 드립백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원두커피 드립백(200)의 뚜껑부(210)를 걸림부(220)로부터 분리하여 걸림부(220)의 개구부(220a)를 개방한다. 이때, 원두커피 드립백(200)의 뚜껑부(230)를 열기 위하여 걸림부(220)의 양측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아래방향으로 벤딩되게 굽히면 걸림부(220)의 끼움돌기와 뚜껑부(230)의 끼움홈 간의 체결이 해제됨으로써, 뚜껑부(210)를 걸림부(220)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뚜껑부(230)를 개방한 상태에서 걸림부(220)를 일반 컵(10)의 상단부(11)에 걸어 원두커피 드립백(200)을 탑재한다. 이때, 걸림부(220)의 직경이 일반 컵(10)의 상단부(11)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걸림부(220)는 일반 컵(10)의 상단부(11)에 걸려 탑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원두커피 드립백(200)을 일반 컵(10)의 상단부(11)에 탑재한 상태에서 온수를 개구부(220a)를 통해 분쇄 원두(1) 위에 드립하여 커피가 하부로 흘러 내리게 함으로써, 음용자는 고품질의 원두커피를 음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두커피 드립백(200)은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음용자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고품질의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 110 : 본체부
111 : 하부 플레이트 113 : 상부 플레이트
115 : 측면 플레이트 117 : 돌기부
120 : 누름부 121 : 누름판
122 : 누름손잡이 123 : 원통관
124 : 손잡이판 200 : 원두커피 드립백
210 : 필터부 211 : 필터부재
220 : 걸림부 221 : 제 1 걸림부재
222 : 제 2 걸림부재 230 : 뚜껑부

Claims (7)

  1. 분쇄 원두가 수납되는 필터부와,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를 형성하는 필터부재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 1 및 제 2 걸림부재로 이루어진 걸림부를 포함하는 원두커피 드립백의 제조장치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부재와 상기 필터부재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상부에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투입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걸림부재를 상기 투입부에 투입한 후 상기 필터부재를 상기 투입부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재를 눌러주어 상기 제 1 걸림부재를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에 접착하고, 상기 제 2 걸림부재를 상기 투입부에 투입한 후 상기 제 2 걸림부재를 눌러주어 상기 제 2 걸림부재를 상기 필터부재의 타면에 접착하는 누름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평판 형상을 갖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개구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투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투입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투입부에 투입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부재의 개구부에 삽입되고, 상기 필터부재를 상부로 지지하여 상기 필터부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투입부와 인접하는 상면 테두리를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투입부 상에 위치시킬 때 상기 필터부재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면서 정렬되게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일측면에 인출부가 개구 형성되어 상기 인출부를 통해 원두커피 드립백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돌기부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를 통해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투입부에 투입되는 상기 제 1 걸림부재와 상기 제 2 걸림부재가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접착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부재와 상기 필터부재를 눌러주는 누름판; 및
    상기 누름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누름손잡이;를 포함하는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손잡이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통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
KR1020160022401A 2016-02-25 2016-02-25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 KR101768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401A KR101768638B1 (ko) 2016-02-25 2016-02-25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401A KR101768638B1 (ko) 2016-02-25 2016-02-25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638B1 true KR101768638B1 (ko) 2017-08-17

Family

ID=5975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401A KR101768638B1 (ko) 2016-02-25 2016-02-25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6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059A (ko) * 2021-10-07 2023-04-14 유인오 커피 필터 성형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4254A (ja) * 2011-06-10 2012-12-27 Optnics Precision Co Ltd コーヒー及び茶類抽出用のフィルタ、並びに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4254A (ja) * 2011-06-10 2012-12-27 Optnics Precision Co Ltd コーヒー及び茶類抽出用のフィルタ、並びに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059A (ko) * 2021-10-07 2023-04-14 유인오 커피 필터 성형 거치대
KR102589320B1 (ko) * 2021-10-07 2023-10-13 유인오 커피 필터 성형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1813B2 (en) Single-serve permeable beverage filt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783240B1 (ko) 원두 커피 드립 백
US9179797B2 (en) Disposable single serving beverage pod adapter
US9717365B2 (en) Pump coffee brewer
EP2725949B1 (en) Single cup beverage ingredient filter basket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70174418A1 (en) A Beverage Cup for Coffee or the Like
EP1699324B1 (en) Coffee infusion press for stackable cups
KR101947530B1 (ko) 원두 커피 드립 백
US20040005384A1 (en) Pod and method for making fluid comestible
US9028897B2 (en) Beverage extraction filter
CN106170232B (zh) 用于咖啡或类似物的饮料杯
US20140124435A1 (en) Single cup brewer disposable filter and beverage system
MX2007015712A (es) Sistema portafiltro.
KR102086068B1 (ko) 내측으로 형성된 컬링부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뚜껑
KR101768638B1 (ko) 원두커피 드립백 제조장치
KR101926670B1 (ko)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JP7062043B2 (ja) コーヒードリップバッグ
EP4090203A1 (en) Beverage filter
KR101455150B1 (ko) 커피가루를 다지는 탬퍼 보관용 받침대와 겸용으로 사용되는 더치커피 추출용 홀더
KR20210100358A (ko) 원두 커피 드립백
GB2517182A (en) Tea Brewing Equipment
CN218859229U (zh) 咖啡挂耳袋
CN215457323U (zh) 一种滤杯器
JP6398593B2 (ja) 組立式加圧抽出器
US20230146668A1 (en) Single serve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