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250B1 - Rs-485 통신을 위한 단자 극성 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Rs-485 통신을 위한 단자 극성 전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250B1
KR101768250B1 KR1020130000933A KR20130000933A KR101768250B1 KR 101768250 B1 KR101768250 B1 KR 101768250B1 KR 1020130000933 A KR1020130000933 A KR 1020130000933A KR 20130000933 A KR20130000933 A KR 20130000933A KR 101768250 B1 KR101768250 B1 KR 101768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signal line
switch
f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9116A (ko
Inventor
김형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0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250B1/ko
Priority to US14/092,109 priority patent/US8982968B2/en
Priority to CN201410003603.7A priority patent/CN103916105B/zh
Publication of KR2014008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S-485 통신과 관련하여 단자 극성을 전환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RS-485 통신용 케이블의 제1신호선과 제2신호선에 나타나는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각 신호선의 극성을 판별하는 비교부, 스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TRXD+ 단과 TRXD- 단을 제1신호선이나 제2신호선에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비교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스위치부로 스위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S-485 통신을 사용하는 기기의 단자에 케이블의 극성을 잘못 연결하더라도 단자 극성을 자동 전환해 주기 때문에 배선 오류로 인한 문제점이 나타나지 않으며, 네트워크 범위가 넓고 시스템이 복잡한 경우에도 극성에 부담을 갖지 않고 편리하고 신속하게 배선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RS-485 통신을 위한 단자 극성 전환 장치{ Apparatus for Switching RS-485 Terminal Polarity }
본 발명은 RS-485 통신을 위하여 단자 극성을 전환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자의 극성을 고려하지 않고 통신 케이블을 배선하더라도 신호의 전압 레벨을 분석하여 자동적으로 단자의 극성을 전환해 준다.
직렬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의 하나인 RS-485 통신은 속도가 빠르고 노이즈에 강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시스템에서는 제어 기기와의 데이터를 전송을 위하여 RS-485 통신을 많이 사용한다.
RS-485 통신은 차동 신호를 사용하며, TRXD+와 TRXD- 두 개의 신호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RS-485 통신 단자와 케이블은 같은 극성끼리 연결해야 한다.
그런데 여러 기기가 서로 연결되는 복잡한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배선 오류가 발생하는 일이 빈번하다. 배선 시 극성을 잘못 연결하면 통신이 되지 않는다. 특히 산업에 적용하는 경우 네트워크의 범위가 넓고 시스템이 복잡하기 때문에 배선을 점검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RS-485 통신을 위해 케이블을 연결할 때 케이블의 극성이 잘못 연결된 경우에도 기기의 단자 극성을 자동으로 전환하여 정상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RS-485 통신을 위한 단자 극성 전환 장치는, RS-485 통신용 케이블의 제1신호선과 제2신호선에 나타나는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제1신호선과 제2신호선의 극성을 판별하는 비교부; 스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TRXD+ 단을 상기 제1신호선에 연결하고 TRXD- 단을 상기 제2신호선에 연결하거나, TRXD+ 단을 상기 제2신호선에 연결하고 TRXD- 단을 상기 제1신호선에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비교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로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교부는 제1비교기와 제2비교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비교기는 상기 제1신호선과 제2신호선의 전압을 각각 마이너스 입력단자와 플러스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 받고, 상기 제2비교기는 상기 제1신호선과 제2신호선의 전압을 각각 플러스 입력단자와 마이너스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 받는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제1 D 플립플롭, 제2 D 플립플롭, 제1 논리곱 소자, 제2 논리곱 소자, 및 논리합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논리곱 소자의 두 입력단은 상기 제1비교기의 출력단과 상기 제2 D 플립플롭의 Q'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논리곱 소자의 두 입력단은 상기 제2비교기의 출력단과 상기 제1 D 플립플롭의 Q'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D 플립플롭의 RESET 단으로는 호스트로부터의 리셋신호가 입력되고, SET 단은 상기 제1 논리곱 소자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D 플립플롭의 RESET 단으로는 상기 호스트로부터의 리셋신호가 입력되고, SET 단은 상기 논리합 소자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논리합 소자의 두 입력단으로는 상기 제2 논리곱 소자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 D 플립플롭의 Q단 신호가 반전된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1 D 플립플롭의 Q단 신호와 상기 제2 D 플립플롭의 Q단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스위치부는 TRXD+ 단과 상기 제1신호선 사이를 연결/차단하는 제1스위치, TRXD+ 단과 상기 제2신호선 사이를 연결/차단하는 제2스위치, TRXD- 단과 상기 제2신호선 사이를 연결/차단하는 제3스위치, TRXD- 단과 상기 제1신호선 사이를 연결/차단하는 제4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는 각각 자신의 스위치 제어신호가 하이(High) 상태일 때 연결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1 D 플립플롭의 Q단 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제1스위치와 제3스위치의 제어신호로 전달하고, 상기 제2 D 플립플롭의 Q단 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제2스위치와 제4스위치의 제어신호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RS-485 통신을 사용하는 기기의 단자에 케이블의 극성을 잘못 연결하더라도 기기의 단자 극성을 자동 전환하여 통신이 가능하게 되고, 전환된 단자 극성은 기기의 전원을 끄거나 리셋될 때까지 유지된다.
기기가 동작하는 도중에 전원이 꺼졌다 다시 켜지거나 리셋되더라도 다시 케이블의 극성을 분석하여 단자의 극성을 바꾸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도 배선 오류로 인한 문제점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범위가 넓고 시스템이 복잡한 경우에도 극성에 부담을 갖지 않고 신속하게 배선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RS-485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 극성 전환 장치의 일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극성 전환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
도 5는 기기가 마스터일 때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예,
도 6과 도 7은 기기가 슬레이브일 때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RS-485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10-1~10-n)가 N:N으로 연결되는 예를 보인 것으로서, 각 기기(10-1~10-n)는 TRXD+와 TRXD- 두 개의 단자에 케이블을 연결하며, 모든 기기의 RS-485 통신 단자는 같은 극성의 케이블과 연결해야 한다.
RS-485 통신을 사용하는 어떠한 기기라도 마스터(Master)로 사용되거나 또는 슬레이브(Slave)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RS-485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인 것으로서, 각 기기(10-1,10-2)가 MPU(21-1,22-1: Micro Processor Unit)와 트랜시버(21-2,22-2)를 구비하고 있는 예가 나타나 있다.
RS-485 통신을 위해 RS-485 트랜시버를 사용하며, 이 트랜시버(21-2,22-2)는 데이터를 차동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거나, 또는 차동 신호를 수신하여 해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RXD+와 TRXD- 두 개의 단자에 케이블이 연결되며, 각 기기(10-1,10-2)의 RS-485 통신 단자는 같은 극성의 케이블과 연결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S-485 통신을 위한 단자 극성 전환 장치(30: 이하, 단자 극성 전환 장치라 한다)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비교부(31), 스위치 제어부(32), 스위치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자 극성 전환 장치(30)는 통신 케이블(17)의 각 신호선(17-1,17-2)에 인가되는 전압 레벨을 분석하여 자동적으로 단자의 극성을 전환해 준다.
예컨대 TRXD+ 단(15)을 제1신호선(17-1)에 연결해야 하는데 제2신호선(17-2)에 잘못 연결하더라도 이를 스스로 감지하여 TRXD+ 단(15)을 제1신호선(17-1)에 연결해 준다. 이러한 단자 극성 전환 장치(3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자면 트랜시버와 통신 케이블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비교부(31)는 RS-485 통신용 케이블(17)의 제1신호선(17-1)과 제2신호선(17-2)에 나타나는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제1신호선(17-1)과 제2신호선(17-2)의 극성을 판별한다.
스위치부(33)는 스위치 제어부(32)에서 전달하는 스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TRXD+ 단(15)을 제1신호선(17-1)과 제2신호선(17-2) 중 어느 하나의 신호선과 연결하고, TRXD- 단(16)을 다른 하나의 신호선과 연결한다.
스위치 제어부(32)는 비교부(31)의 판별 결과에 따라 스위치부(33)로 스위치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스타트 비트 등을 분석하여 구별된 단자 극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RS-485 통신의 경우 송수신되는 신호가 차동 방식이기 때문에 스위치 제어부(32)는 비교부(31)의 판별 결과에 따라 제1신호선(17-1)과 제2신호선(17-2)에 대하여 각각 TRXD+ 단(15)이 연결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TRXD- 단(16)이 연결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에 따라 스위치부(33)를 제어한다.
도 4는 단자 극성 전환 장치(3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비교부(31)는 제1비교기(31-1)와 제2비교기(31-2)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제1비교기(31-1)는 제1신호선(17-1)과 제2신호선(17-2)의 전압을 각각 마이너스 입력단자와 플러스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 받고, 제2비교기(31-2)는 제1신호선(17-1)과 제2신호선(17-2)의 전압을 각각 플러스 입력단자와 마이너스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 받는다.
그러므로, 제1비교기(31-1)는 제2신호선(17-2)의 전압이 제1신호선(17-1)의 전압보다 높을 때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고, 제2비교기(31-2)는 제1신호선(17-1)의 전압이 제2신호선(17-2)의 전압보다 높을 때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각 비교기(31-1,31-2)의 입력단자와 각 신호선(17-1,17-2)의 사이에는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저항소자가 위치할 수 있다.
스위치 제어부(32)는 제1 논리곱 소자(32-1), 제2 논리곱 소자(32-2), 제1 D 플립플롭(32-3), 제2 D 플립플롭(32-4), 및 논리합 소자(32-5)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논리곱 소자(32-1)의 두 입력단은 제1비교기(31-1)의 출력단과 제2 D 플립플롭(32-4)의 Q' 단에 각각 연결되고, 제2 논리곱 소자(32-2)의 두 입력단은 제2비교기(31-2)의 출력단과 제1 D 플립플롭(32-3)의 Q' 단에 각각 연결된다.
제1 D 플립플롭(32-3)과 제2 D 플립플롭(32-4)의 RESET 단으로는 호스트(예: MPU)로부터의 리셋신호가 입력된다.
제1 D 플립플롭(32-3)의 SET 단은 제1 논리곱 소자(32-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제2 D 플립플롭(32-4)의 SET 단은 논리합 소자(32-5)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논리합 소자(32-5)는 제2 논리곱 소자(32-2)의 출력 신호와, 제1 D 플립플롭(32-3)의 Q 단 신호가 반전된 신호를 입력 받는다. 이를 위하여 제1 D 플립플롭(32-3)의 Q 단 신호가 인버터(32-6)와 버퍼(32-7)를 통해 논리합 소자(32-5)로 입력되는 예가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제1 D 플립플롭(32-3)의 Q 단 신호와 제2 D 플립플롭(32-4)의 Q 단 신호는 동일할 수 없으며, 제1 D 플립플롭(32-3)과 제2 D 플립플롭(32-4)의 Q 단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4에는 제1 D 플립플롭(32-3)의 Q 단 신호를 인버터(32-8)를 통해 반전시킨 신호(이하, 제1제어신호라 한다), 제2 D 플립플롭(32-4)의 Q 단 신호를 인버터(32-9)를 통해 반전시킨 신호(이하 제2제어신호라 한다), 제1 D 플립플롭(32-3)의 Q 단 신호를 인버터(32-10)를 통해 반전시킨 신호(이하, 제3제어신호라 한다), 및 제2 D 플립플롭(32-4)의 Q 단 신호를 인버터(32-11)를 통해 반전시킨 신호(이하 제4제어신호라 한다)를 스위치부(33)로 전달하는 예가 나타나 있다.
스위치부(33)는 제1스위치(SW1) 내지 제4스위치(SW4)를 포함하고 있는데, 각 스위치는 자신과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하이일 때 온(On) 되고, 로우(Low)일 때 오프(Off) 된다.
제1스위치(SW1)는 TRXD+ 단(15)과 제1신호선(17-1)의 사이를 스위칭 하며, 제1제어신호를 입력 받는다. 즉, 제1 D 플립플롭(32-3)의 Q 단 신호가 로우일 때 TRXD+ 단(15)과 제1신호선(17-1)이 서로 연결된다.
제2스위치(SW2)는 TRXD+ 단(15)과 제2신호선(17-2)의 사이를 스위칭 하며, 제2제어신호를 입력 받는다. 즉, 제2 D 플립플롭(32-4)의 Q 단 신호가 로우일 때 TRXD+ 단(15)과 제2신호선(17-2)이 서로 연결된다.
제3스위치(SW3)는 TRXD- 단(16)과 제2신호선(17-2)의 사이를 스위칭 하며, 제3제어신호를 입력 받는다. 즉, 제1 D 플립플롭(32-3)의 Q 단 신호가 로우일 때 TRXD- 단(16)과 제2신호선(17-2)이 서로 연결된다.
제4스위치(SW4)는 TRXD- 단(16)과 제1신호선(17-1)의 사이를 스위칭 하며, 제4제어신호를 입력 받는다. 즉, 제2 D 플립플롭(32-4)의 Q 단 신호가 로우일 때 TRXD- 단(16)과 제1신호선(17-1)이 서로 연결된다.
결론적으로, 제1 D 플립플롭(32-3)의 Q 단 신호가 로우일 때는 TRXD+ 단(15)과 제1신호선(17-1)이 연결되고, TRXD- 단(16)과 제2신호선(17-2)이 연결된다. 또한, 제2 D 플립플롭(32-4)의 Q 단 신호가 로우일 때는 TRXD+ 단(15)과 제2신호선(17-2)이 연결되고, TRXD- 단(16)과 제1신호선(17-1)이 연결된다.
이러한 스위치부(33)는 스위치 집적회로(IC)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단자 극성 전환 장치(30)가 마스터 기기에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RS-485 통신을 사용하는 기기가 마스터인 경우 슬레이브 기기보다 먼저 단자의 극성을 정하며, 마스터 기기가 시동할 때 제1 D 플립플롭(32-3)과 제2 D 플립플롭(32-4)으로 리셋신호를 전달하여 리셋시킨다.
제1 D 플립플롭(32-3)과 제2 D 플립플롭(32-4)을 리셋하면, 각 D 플립플롭의 Q 단은 모두 로우 신호를 출력하지만, 제1 D 플립플롭(32-3)의 Q 단에서 출력한 로우 신호는 인버터(32-6)를 통해 반전되고 논리합 소자(32-5)를 통해 제2 D 플립플롭(32-4)의 SET 단으로 입력되므로, 제2 D 플립플롭(32-4)의 Q 단은 즉시 하이 신호로 천이한다. 즉, 네 개의 스위치가 모두 동작하는 것은 방지된다.
제1 D 플립플롭(32-3)의 Q 단 신호가 로우이고, 제2 D 플립플롭(32-4)의 Q 단 신호가 하이 상태로 되면, 제1스위치(SW1)와 제3스위치(SW3)가 단락 상태로 제어된다. 그러므로, 리셋이 발생한 초기 상태에서는 TRXD+ 단(15)과 제1신호선(17-1)이 연결되고, TRXD- 단(16)과 제2신호선(17-2)이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단자 극성 전환 장치(30)가 슬레이브 기기에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RS-485 통신을 사용하는 기기가 슬레이브인 경우 해당 기기는 마스터 기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기다린다.
슬레이브 기기는 처음 동작할 때 리셋을 하지 않으며, 통신 케이블(17)을 통해 극성을 알 수 없는 두 신호를 수신하면, 두 신호의 전압 레벨 차이를 비교부(31)에서 비교한다.
예컨대 제1신호선(17-1)의 신호가 TRXD+ 신호일 경우, 마스터 기기에서 송신하는 데이터의 스타트 비트는 TRXD+ 신호의 전압이 TRXD- 신호의 전압보다 높기 때문에 제1비교기(31-1)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제2비교기(31-2)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D 플립플롭(32-3)의 Q 단은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제2 D 플립플롭(32-4)의 Q 단은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제1스위치(SW1)와 제3스위치(SW3)가 단락 상태로 제어되어 TRXD+ 단(15)과 제1신호선(17-1)이 연결되고, TRXD- 단(16)은 제2신호선(17-2)과 연결된다.
제1 D 플립플롭(32-3)과 제2 D 플립플롭(32-4)은 기기의 전원이 꺼지거나 리셋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스위치 연결상태를 유지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단자 극성 전환 장치(30)가 슬레이브 기기에 적용되는 또 다른 예(제2신호선의 신호가 TRXD+ 신호일 때)를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 케이블(17)을 통해 극성을 알 수 없는 두 신호를 수신하면, 두 신호의 전압 레벨 차이를 비교부(31)에서 비교한다.
마스터 기기에서 송신하는 데이터의 스타트 비트는 TRXD+ 신호의 전압이 TRXD- 신호의 전압보다 높기 때문에 제1비교기(31-1)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제2비교기(31-2)는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1 D 플립플롭(32-3)의 Q 단은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제2 D 플립플롭(32-4)의 Q 단은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제2스위치(SW2)와 제4스위치(SW4)가 단락 상태로 제어되며, TRXD+ 단(15)과 제2신호선(17-2)이 연결되고, TRXD- 단(16)은 제1신호선(17-1)과 연결된다.
즉, 신호선의 극성이 어떻게 연결되더라도 TRXD+ 단(15)과 TRXD- 단(16)은 올바른 극성의 신호선과 매칭되어 연결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10-1~10-n: RS-485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
15: TRXD+ 단 16: TRXD- 단
17: 통신 케이블 17-1,17-2: 신호선
21-1,22-1: MPU 21-2,22-2: 트랜시버
30: 단자 극성 전환 장치 31: 비교부
31-1,31-2: 비교기 32: 스위치 제어부
32-1,32-2: 논리곱 소자 32-3,32-4: D 플립플롭
32-5: 논리합 소자 32-6,32-8~32-11: 인버터
SW1~SW4: 스위치 33: 스위치부

Claims (4)

  1. RS-485 통신용 케이블의 제1신호선과 제2신호선에 나타나는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제1신호선과 제2신호선의 극성을 판별하는 비교부;
    스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TRXD+ 단을 상기 제1신호선에 연결하고 TRXD- 단을 상기 제2신호선에 연결하거나, TRXD+ 단을 상기 제2신호선에 연결하고 TRXD- 단을 상기 제1신호선에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비교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로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비교부는 제1비교기와 제2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비교기는 상기 제1신호선과 제2신호선의 전압을 각각 마이너스 입력단자와 플러스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 받고, 상기 제2비교기는 상기 제1신호선과 제2신호선의 전압을 각각 플러스 입력단자와 마이너스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 받으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제1 D 플립플롭, 제2 D 플립플롭, 제1 논리곱 소자, 제2 논리곱 소자, 및 논리합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논리곱 소자의 두 입력단은 상기 제1비교기의 출력단과 상기 제2 D 플립플롭의 Q'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논리곱 소자의 두 입력단은 상기 제2비교기의 출력단과 상기 제1 D 플립플롭의 Q'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D 플립플롭의 RESET 단으로는 호스트로부터의 리셋신호가 입력되고, SET 단은 상기 제1 논리곱 소자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D 플립플롭의 RESET 단으로는 상기 호스트로부터의 리셋신호가 입력되고, SET 단은 상기 논리합 소자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논리합 소자의 두 입력단으로는 상기 제2 논리곱 소자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 D 플립플롭의 Q단 신호가 반전된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1 D 플립플롭의 Q단 신호와 상기 제2 D 플립플롭의 Q단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485 통신을 위한 단자 극성 전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TRXD+ 단과 상기 제1신호선 사이를 연결/차단하는 제1스위치, TRXD+ 단과 상기 제2신호선 사이를 연결/차단하는 제2스위치, TRXD- 단과 상기 제2신호선 사이를 연결/차단하는 제3스위치, TRXD- 단과 상기 제1신호선 사이를 연결/차단하는 제4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는 각각 자신의 스위치 제어신호가 하이(High)일 때 연결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1 D 플립플롭의 Q단 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제1스위치와 제3스위치의 제어신호로 전달하고, 상기 제2 D 플립플롭의 Q단 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제2스위치와 제4스위치의 제어신호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485 통신을 위한 단자 극성 전환 장치.
KR1020130000933A 2013-01-04 2013-01-04 Rs-485 통신을 위한 단자 극성 전환 장치 KR101768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933A KR101768250B1 (ko) 2013-01-04 2013-01-04 Rs-485 통신을 위한 단자 극성 전환 장치
US14/092,109 US8982968B2 (en) 2013-01-04 2013-11-27 Apparatus for converting terminal polarity for R S communication
CN201410003603.7A CN103916105B (zh) 2013-01-04 2014-01-03 用于rs通信的转换端子极性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933A KR101768250B1 (ko) 2013-01-04 2013-01-04 Rs-485 통신을 위한 단자 극성 전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116A KR20140089116A (ko) 2014-07-14
KR101768250B1 true KR101768250B1 (ko) 2017-08-14

Family

ID=5104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933A KR101768250B1 (ko) 2013-01-04 2013-01-04 Rs-485 통신을 위한 단자 극성 전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82968B2 (ko)
KR (1) KR101768250B1 (ko)
CN (1) CN1039161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078A (ko) * 2013-09-11 2015-03-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태양광 인버터
US9698903B2 (en) * 2015-06-25 2017-07-04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Cable having a spare signal line for automatic failure recovery
EP3264279A1 (en) 2016-06-28 2018-01-03 Thomson Licensing Switch for reversible interface
CN110361762A (zh) * 2019-08-19 2019-10-22 南京俊禄科技有限公司 自动识别nmea极性的接收装置
KR20240008100A (ko) 2022-07-11 2024-01-18 주식회사 유솔 자동 결선 기능을 갖는 원격 검침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0969A (en) * 1998-08-04 2000-03-21 Electronic Systems Protection, Inc. Power filter circuit responsive to supply system fault conditions
TW403872B (en) * 1998-12-09 2000-09-01 Topic Semiconductor Corp Auto-line connected network device
CN201584404U (zh) * 2009-11-12 2010-09-15 刘爱民 无极性485芯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16105A (zh) 2014-07-09
US20140192905A1 (en) 2014-07-10
US8982968B2 (en) 2015-03-17
CN103916105B (zh) 2018-01-12
KR20140089116A (ko) 201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250B1 (ko) Rs-485 통신을 위한 단자 극성 전환 장치
US9009379B1 (en) Communicating with MIPI-compliant devices using non-MIPI interfaces
US8207759B2 (en) MIPI analog switch for automatic selection of multiple inputs based on clock voltages
US10468896B2 (en) Intelligent switch system and control method
US900195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ial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initialization of communication therefor, and serial communication apparatus
CN106771828B (zh) 以太网供电系统的受电装置检测装置及方法
WO2017173889A1 (zh) 一种通讯接口硬件自适应复用装置及方法
US20190253287A1 (en) Input signal decoding circuit for receiver side in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c-phy
CN105045749B (zh) 单传输线传输界面与方法、及相关电源供应系统
US9990330B2 (en) Simultaneous edge toggling immunity circuit for multi-mode bus
CN104090511A (zh) 实现无极性485通信的电路及方法
US11503249B2 (en) Relay device, receiving device, and transmission system using same
CN110740085B (zh) 一种基于并机系统的通信方法、通信装置及终端
KR101084060B1 (ko) Bms 제어기 간의 극성 자동판단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무극성 rs-485통신장치
US101918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B power delivery negotiated through a dedicated transmission channel
US9720871B2 (en) Determining cable connections in a multi-cable link
US9804986B2 (en) Device for switching between communication modes
JP2017120960A (ja) 通信経路異常監視装置
TWI654862B (zh) 訊號管理裝置及訊號管理方法
US9525404B2 (en) Input circuit
JP2016152585A (ja) 制御装置
CN110995235A (zh) 电平转换电路、电子设备及电平转换方法
JP2012133444A (ja) 遠隔デバッグシステム、遠隔デバッグ装置、及び遠隔デバッグ方法
CN104393873B (zh) 用于改进电子电路中的信号通信的装置及相关方法
JP2016224588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