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934B1 -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야간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야간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934B1
KR101767934B1 KR1020130046208A KR20130046208A KR101767934B1 KR 101767934 B1 KR101767934 B1 KR 101767934B1 KR 1020130046208 A KR1020130046208 A KR 1020130046208A KR 20130046208 A KR20130046208 A KR 20130046208A KR 101767934 B1 KR101767934 B1 KR 101767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light
photographing
unit
n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7631A (ko
Inventor
김지성
유병욱
김경원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6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93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제1 필터와, 가시광선 영역의 광은 차단하고 적외선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2 필터와, 적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모두 투과시키는 제3 필터와,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상소자와, 제1 필터와 제2 필터와 제3 필터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피사체의 촬영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필터와 제2 필터와 제3 필터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야간 촬영방법{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night photography}
실시예들은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야간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간 촬영 및 야간 촬영에 맞추어 최적의 촬영을 실시할 수 있는 촬영장치 및 야간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량이 부족한 야간에 촬영을 실시하는 야간 촬영 중에는 피사체를 향해 적외선을 발사함으로써 부족한 광량을 보충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촬영장치의 적외선을 이용한 야간 촬영 중에 가시광 조명이 피사체와 함께 촬영된다면, 가시광 조명의 가시광선의 영향으로 인해 촬영장치의 적외선 광을 이용한 촬영의 해상도가 떨어지거나 초점이 맞지 않는 등 촬영 결과가 불량해질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20864 (2009.02.27)
실시예들의 목적은 주간 촬영 및 야간 촬영에 맞추어 최적의 촬영을 실시할 수 있는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야간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야간 촬영 중에 피사체의 광량이나 거리 등과 같은 피사체의 촬영 환경에 맞추어 광학 필터를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선명한 화상을 촬영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제1 필터와, 가시광선 영역의 광은 차단하고 적외선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2 필터와, 적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모두 투과시키는 제3 필터와, 광을 수광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상소자와, 제1 필터와 제2 필터와 제3 필터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제1 필터와 제2 필터와 제3 필터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피사체의 촬영 환경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필터와 제2 필터와 제3 필터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센서부는 광량을 측정하는 광량 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고, 제어부는 광량 감지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주간 촬영인지 야간 촬영인지를 판단하는 주야간 판단부와, 주야간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주간 촬영인 경우 제1 필터를 선택하고 야간 촬영인 경우 제2 필터와 제3 필터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필터 선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야간 촬영인 경우 필터 선택부는 광량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광량이 미리 정해진 값의 이상인 경우 제2 필터를 선택할 수 있고 광량이 미리 정해진 값의 미만인 경우 제3 필터를 선택할 수 있다.
센서부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야간 촬영인 경우 필터 선택부는 거리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의 미만인 경우 제2 필터를 선택할 수 있고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의 이상인 경우 제3 필터를 선택할 수 있다.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환경의 광량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와, 감지된 촬영 환경에 따라 주간 촬영인지 야간 촬영인지를 판단하는 주야간 촬영 판단 단계와, 주간 촬영이라고 판단된 경우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제1 필터를 통하여 피사체의 광을 통과시켜 촬영하는 주간 촬영 단계와, 야간 촬영이라고 판단된 경우 가시광선 영역의 광은 차단하고 적외선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2 필터나 적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모두 투과시키는 제3 필터의 어느 하나를 통하여 피사체의 광을 통과시켜 촬영하는 야간 촬영 단계를 포함한다.
야간 촬영 단계는 피사체의 촬영 환경의 광량이 미리 정해진 값의 이상인 경우 제2 필터를 선택하고 피사체의 촬영 환경의 광량이 미리 정해진 값의 미만인 경우 제3 필터를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야간 촬영방법은, 제1 필터와 제2 필터와 제3 필터의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주간 촬영의 경우와 야간 촬영의 경우에 맞추어 최적의 촬영을 실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간 촬영 시에도 촬영 환경의 광량이나 피사체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필터들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선명한 화상을 획득하는 최적의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영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관한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방법의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야간 촬영방법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 중에 사용되는 '및/또는'의 표현은 관련 요소들의 하나 또는 요소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는, 제1 필터(11)와 제2 필터(12)와 제3 필터(13)와,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상소자(120)와, 제1 필터(11)와 제2 필터(12)와 제3 필터(13)를 이동시키는 구동부(20)와, 피사체의 촬영 환경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160)와, 구동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구비한다.
제1 필터(11)와 제2 필터(12)와 제3 필터(13)를 구비하는 광학 장치(10)는 렌즈들(112)을 통과하여 촬상소자(120)로 입사하는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며, 제1 필터(11)와 제2 필터(12)와 제3 필터(13)의 어느 하나를 통하여 광이 통과한 후 촬상소자(120)로 입사한다.
실시예들에 관한 촬영장치는 촬영장치는 피사체의 촬영 환경을 감지하여 주간 촬영 및 야간 촬영을 선택하여 실행함으로써 최적의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촬상소자(120)는 광학 장치(10)의 작동과 연동하여 주간 영상을 촬영하거나 야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촬영장치는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촬상소자(120)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소자(120)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화상 변환부(141)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제어부(140)의 촬영 제어부(147)는 촬상소자(120)를 제어함으로써 촬영 동작을 실행한다.
복수 개의 렌즈들(112)과 광학 장치(10)는 촬상소자(120)의 앞에 배치되는 광학계를 형성한다. 복수 개의 렌즈들(112)과 광학 장치(10)를 구비한 경통(110)은 외부의 영상광을 촬상소자(120)의 촬상면에 도입하여 상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렌즈들(112)은 서로의 간격이 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렌즈들(112)의 간격이 변동되면 줌 배율이나 초점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렌즈들(112)은 광축(L)을 따라 배치되는데, 광축(L)은 렌즈들(112)의 광학적 중심을 잇는 가상의 직선을 말한다.
렌즈들(112)은 줌모터(미도시)와 같은 구동수단을 갖는 렌즈 구동부(111)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서로에 대한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렌즈들(112)은 피사체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시키는 줌렌즈와,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렌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렌즈 구동부(111)는 제어부(140)의 렌즈 제어부(142)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하며, 렌즈들(112)이 복수 개의 확대 배율들 중 어느 하나를 갖도록 렌즈들(112)의 위치를 제어한다.
촬상소자(120)는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여, 렌즈들(112)과 광학 장치(10)를 통과하여 입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소자(120)는 촬영 제어부(147)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화상 변환부(141)는 촬상소자(120)의 전기적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화상 처리를 행할 수 있게 하거나 메모리(115)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화상 변환부(141)는 촬상소자(120)의 전기적 신호를 RGB 데이터로 변환한 후, RGB 데이터를 휘도(Y) 신호 및 색차(UV) 신호를 포함하는 YUV 신호와 같은 형태의 원시 데이터(raw data)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촬상소자(120)의 전기적 신호가 화상 변환부(141)에 의해 변환되는 과정은, 예를 들어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DS 회로)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에 포함된 촬상소자(120)의 구동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자동이득제어회로(AGC회로)에 의해 노이즈 저감 후의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단계와, A/D 변환기를 이용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디지털 신호에 대한 픽셀 결함 보정, 게인 보정, 화이트 밸런스 보정, 감마 보정 등의 신호 처리와 같은 세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된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DS 회로)나, 자동이득제어회로(AGC회로)나, A/D 변환기 등은 별도의 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촬상소자(120), 렌즈 구동부(111), 표시부(150), 광학 장치(10), 센서부(160), 메모리(115), 구동부(20), 적외선 발사부(19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들 구성 요소와 제어 신호를 주고받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40)는 화상 변환부(141)와, 렌즈 제어부(142)와, 메모리 제어부(143)와, 표시 제어부(144)와, 모터 구동부(145)와, 신호 수신부(146)와, 촬영 제어부(147)와, 주야간 판단부(148)와, 필터 선택부(149), 발광 제어부(149a) 등을 구비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 칩이나, 마이크로 칩을 구비하는 회로보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4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들은 제어부(140)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나 전자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제어부(143)는 메모리(115)에 대한 데이터 기록과, 기록된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독출(읽기/쓰기; reading/writing)을 제어한다.
메모리(115)는 휘발성 내장 메모리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DRAM(synchronous DRAM) 등의 반도체 기억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115)는 화상 변환부(141)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 기능 및 데이터 처리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작업 메모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5)는 비휘발성 외장 메모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모리 스틱, SD/MMC 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나, HDD 와 같은 저장 장치나 DVD 또는 CD 와 같은 광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115)에는 JPEG 파일, TIF 파일, GIF 파일, PCX 파일 등과 같은 형태로 압축 변환된 화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촬영장치는 화상 데이터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전계 발광 표시 장치(OLED) 등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표면의 터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경통(110)의 전방에 배치된 광학 장치(10)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제1 필터(11)와, 가시광선 영역의 광은 차단하고 적외선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2 필터(12)와, 적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모두 투과시키는 제3 필터(13)를 구비한다.
제1 필터(11)에는, 예를 들어 760nm 이상의 파장 영역에서 투과율이 10% 이하가 되는 적외선차단(IR cut)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필터(11)는 광학로우패스필터(optical low pass filte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필터(11)는 주간 촬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2 필터(12)에는, 예를 들어 760nm 이상의 파장 영역에서 투과율이 90% 이상이며 760nm 이하의 파장에서는 10% 이하의 투과율을 갖는 롱패스필터(long pass filter 또는 optical high pass filter)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필터(12)는 야간 촬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3 필터(13)에는, 예를 들어 모든 파장 영역에서 90% 이상의 투과율을 갖는 더미 글라스(dummy glass)를 이용할 수 있다. 제3 필터(13)도 야간 촬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동부(20)는 제1 필터(11)와 제2 필터(12)와 제3 필터(13)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촬상소자(120)에 입사하는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제1 필터(11)와 제2 필터(12)와 제3 필터(13)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동부(20)는 예를 들어 스텝모터, 보이스 코일 모터, 압전 소자를 이용한 초음파 모터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센서부(160)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필터(11)와 제2 필터(12)와 제3 필터(130)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동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피사체의 촬영 환경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센서부(160)는 촬영 환경의 광량을 측정하는 광량 감지부(161)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162)를 구비한다. 센서부(160)의 감지 신호는 신호 수신부(146)를 통해 제어부(140)에 전달된다.
거리 감지부(162)는 예를 들어, 광(가시광선, 적외선, 또는 레이저)을 이용하는 방식의 센서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식의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주야간 판단부(148)는 광량 감지부(161)의 신호에 기초하여 주간 촬영인지 야간 촬영인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촬영 장치는 주야간 판단부(148)의 판단 결과에 따라 주간 촬영을 실행하거나 야간 촬영을 실행하도록 작동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필터 선택부(149)는 주야간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주간 촬영인 경우 제1 필터(11)를 선택하고, 야간 촬영인 경우 제2 필터(12)와 제3 필터(13)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야간 촬영인 경우 발광 제어부(149a)는 적외선 발사부(190)를 제어하여 촬영을 위한 광량 확보를 위해 피사체를 향해 적외선을 발사할 수 있다. 적외선 발사부(190)는 발광 제어부(149a)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피사체를 향하여 적외선을 발사할 수 있다.
야간 촬영인 경우 필터 선택부(149)는 광량 감지부(161)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광량이 미리 정해진 값의 이상인 경우 제2 필터(12)를 선택하고 광량이 미리 정해진 값의 미만인 경우 제3 필터(13)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촬영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필터(11)와 제2 필터(12)와 제3 필터(13)를 지지하는 광학 장치(10)는 촬상소자(120)에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광학 장치(10)가 이동함에 따라 촬상소자(120)에 입사하는 광이 제1 필터(11)나 제2 필터(12)나 제3 필터(13)의 어느 하나를 통과하도록 제1 필터(11)나 제2 필터(12)나 제3 필터(13)를 선택할 수 있다.
광학 장치(10)는 판 형상으로 제조되며 일측 가장자리에 기어면(10a)이 설치된다. 구동부(2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기어(21a)는 광학 장치(10)의 기어면(10a)과 맞물린다. 따라서 구동부(20)의 구동력이 광학 장치(10)에 전달되어 광학 장치(10)가 촬상소자(120)에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20)는 제어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40)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한다.
촬상소자(120)가 설치된 회로기판(121)은 제1 배선(121a)을 통해 제어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서부(160)의 광량 감지부(161)와 거리 감지부(162)의 감지 신호는 신호 전달장치(163)와 제2 배선(121a)을 통해 제어부(140)에 전달된다.
야간 촬영 시에는 촬영장치에서 피사체를 향하여 적외선을 발사함으로써 피사체의 어두운 촬영 환경에 맞추어 적외선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적외선 광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적외선 촬영 시에는 제2 필터(12)를 선택하여 적외선 광만을 받아들이고, 가시광선의 광은 차단한다.
예를 들어, 야간 촬영 시에도 가로등과 같이 가시광선의 광원이 존재할 수 있는데, 적외선이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촬상소자에 입사할 때에 가로등의 가시광선도 촬상소자에 입사함으로써, 초점이 맞지 않거나 노출 상태가 불량해져 최적의 촬영이 이루어질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광량 감지부(161)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촬영 환경의 광량이 미리 정해진 값의 이상인 경우 제2 필터(12)를 선택하여 가시광선은 차단하는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제2 필터(12)를 선택하기 위한 광량의 미리 정해진 값은 여기에서 반드시 수치적으로 제한할 필요는 없으며, 일반적으로 야간 촬영 시 적외선 촬영에 악영향을 미치는 가시광선의 광량을 실험적으로 측정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광량의 미리 정해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동일한 야간 촬영 시에도 촬영이 되는 피사체가 먼 거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촬영장치에서 발사된 적외선이 피사체에서 반사되어 촬영장치에 도달하는 적외선의 광량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적외선 이외에도 야간의 촬영 환경에서 존재하는 가시 광선까지도 모두 받아들여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의 촬영 환경의 광량이 미리 정해진 값의 미만인 경우에는 제3 필터(13)를 선택하여 적외선 광과 가시광선의 광을 모두 이용하여 촬영을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촬영장치를 이용하면, 제1 필터(11)와 제2 필터(12)와 제3 필터(13)의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주간 촬영의 경우와 야간 촬영의 경우에 맞추어 최적의 촬영을 실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간 촬영 시에도 촬영 환경의 광량에 기초하여 필터들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최적의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야간 촬영 중에 제2 필터(12)와 제3 필터(13)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광량 감지부(161)의 신호로부터 피사체의 촬영 환경의 광량을 고려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야간 촬영 중에 거리 감지부(162)의 신호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적외선 광량이 부족할 것으로 판단하여 제3 필터(13)를 선택하고,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적외선 광량이 충분할 것으로 판단하여 제2 필터(12)를 선택하여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관한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방법의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촬영방법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환경의 광량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S100)와, 감지된 촬영 환경에 따라 주간 촬영인지 야간 촬영인지를 판단하는 주야간 촬영 판단 단계(S110)와, 주간 촬영이라고 판단된 경우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제1 필터를 통하여 피사체의 광을 통과시켜 촬영하는 주간 촬영 단계(S120; 제1 필터 선택, S160)와, 야간 촬영이라고 판단된 경우 가시광선 영역의 광은 차단하고 적외선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2 필터를 선택하여(S140) 촬영을 실행하거나(S140), 적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모두 투과시키는 제3 필터를 선택하여(S150) 촬영을 실행하는(S150) 야간 촬영 단계(S140, S150, S160)를 포함한다.
특별히 제2 필터나 제3 필터를 선택하여 촬영을 실행하는 야간 촬영 단계(S160)에서는 부족한 광량을 고려하여 촬영을 위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 피사체를 향하여 적외선을 발사하는 적외선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야간 촬영 중에 제2 필터와 제3 필터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피사체의 거리를 고려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야간 촬영 중에 피사체의 촬영 환경의 광량을 고려하여 광량이 부족한 경우(광량의 미리 정해진 값의 미만인 경우)에는 제3 필터를 선택하고 광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제2 필터를 선택하여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촬영방법을 이용하면, 제1 필터와 제2 필터와 제3 필터의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주간 촬영의 경우와 야간 촬영의 경우에 맞추어 최적의 촬영을 실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간 촬영 시에도 촬영 환경의 광량에 기초하여 필터들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최적의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광학 장치 141: 화상 변환부
10a: 기어면 142: 렌즈 제어부
11: 제1 필터 143: 메모리 제어부
12: 제2 필터 144: 표시 제어부
13: 제3 필터 145: 모터 구동부
20: 구동부 146: 신호 수신부
21a: 구동 기어 147: 촬영 제어부
110: 경통 148: 주야간 판단부
111: 렌즈 구동부 149a: 발광 제어부
112: 렌즈들 149: 필터 선택부
115: 메모리 150: 표시부
120: 촬상소자 160: 센서부
121a: 배선 161: 광량 감지부
121: 회로기판 162: 거리 감지부
130: 제3 필터 163: 신호 전달장치
140: 제어부 190: 적외선 발사부

Claims (6)

  1.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제1 필터;
    가시광선 영역의 광은 차단하고 적외선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2 필터;
    적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모두 투과시키는 제3 필터;
    광을 수광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상소자;
    상기 제1 필터와 상기 제2 필터와 상기 제3 필터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필터와 상기 제2 필터와 상기 제3 필터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피사체의 촬영 환경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필터와 상기 제2 필터와 상기 제3 필터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는 광량을 측정하는 광량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량 감지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주간 촬영인지 야간 촬영인지를 판단하는 주야간 판단부와, 상기 주야간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주간 촬영인 경우 상기 제1 필터를 선택하고 야간 촬영인 경우 상기 제2 필터와 상기 제3 필터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필터 선택부를 구비하며,
    야간 촬영인 경우 상기 필터 선택부는 상기 광량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광량이 미리 정해진 값의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필터를 선택하고 광량이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의 미만인 경우 상기 제3 필터를 선택하는,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046208A 2013-04-25 2013-04-25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야간 촬영방법 KR101767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208A KR101767934B1 (ko) 2013-04-25 2013-04-25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야간 촬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208A KR101767934B1 (ko) 2013-04-25 2013-04-25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야간 촬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631A KR20140127631A (ko) 2014-11-04
KR101767934B1 true KR101767934B1 (ko) 2017-08-14

Family

ID=5245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208A KR101767934B1 (ko) 2013-04-25 2013-04-25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야간 촬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9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043B1 (ko) * 2015-10-01 2016-12-29 주식회사 나루테크 적외선을 이용하여 야간 컬러영상을 구현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
KR101649256B1 (ko) * 2015-12-09 2016-08-18 (주)한일에스티엠 악천후감지 및 악천후감지에 따른 영상개선이 가능한 영상감시시스템
CN107623831A (zh) * 2017-08-12 2018-01-23 四川精视科技有限公司 一种昼夜全彩楼宇可视电话成像装置
KR102052462B1 (ko) * 2017-12-08 2020-01-08 주식회사 레드로터 차량용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0541B1 (ko) * 2019-08-16 2021-01-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광도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2200540B1 (ko) * 2019-08-16 2021-01-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광도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2429093B1 (ko) * 2020-11-02 2022-08-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대역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2497020B1 (ko) * 2021-06-23 2023-02-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광도 및 다중 대역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US20240064392A1 (en) * 2021-11-15 2024-02-22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Multi-b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6416A (ja) * 2002-10-07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JP2006033716A (ja) * 2004-07-21 2006-02-02 Hitachi Maxell Ltd 撮像装置
JP2008035199A (ja) * 2006-07-28 2008-02-14 Canon Inc 光学フィルター手段を有する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6416A (ja) * 2002-10-07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JP2006033716A (ja) * 2004-07-21 2006-02-02 Hitachi Maxell Ltd 撮像装置
JP2008035199A (ja) * 2006-07-28 2008-02-14 Canon Inc 光学フィルター手段を有する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631A (ko) 201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934B1 (ko) 야간 촬영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야간 촬영방법
KR101880635B1 (ko)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US77066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JP446640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01064792A (zh) 拍摄设备和方法
US20140071318A1 (en) Imaging apparatus
JP2008035282A (ja) 撮像装置と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機器
KR20170055163A (ko)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7864239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JP2006208714A (ja) 撮像装置
US10477113B2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0226186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8017079A (ja) ビデオカメラ
JP2018040929A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撮像制御方法
JP2010035131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20050031421A (ko) 카메라 장치
JP2010226185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KR20160011533A (ko) 이미지 촬영 장치, 이미지 촬영 방법 및 비일시적 기록매체
US20120105699A1 (en) Portable device
JP6103570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733552B2 (ja)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80408B1 (ko) Af 데이터를 이용한 촬영 장치 및 방법
JP5907856B2 (ja) 撮像装置
JP2010141458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5274290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