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218B1 -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 - Google Patents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218B1
KR101767218B1 KR1020150100302A KR20150100302A KR101767218B1 KR 101767218 B1 KR101767218 B1 KR 101767218B1 KR 1020150100302 A KR1020150100302 A KR 1020150100302A KR 20150100302 A KR20150100302 A KR 20150100302A KR 101767218 B1 KR101767218 B1 KR 101767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panel
hull
stud bolt
insulation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009A (ko
Inventor
정동호
강중규
김용태
박성우
김재웅
허행성
표창민
황범석
박광준
성홍근
홍장표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00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2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8Assembling processes by screws, bolts or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는, 선체의 내부에 저장되는 유체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장치에 있어서,
양면을 상하판으로 덧붙여서 단열재로 이루어지고, 하판 부분을 선체의 내주면에 밀착시켜 외기를 차단하는 인슐레이션 패널; 및 선체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인슐레이션 패널을 관통한 상태로 체결되어 상기 인슐레이션 패널을 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인슐레이션 패널은, 상기 단열재 및 상기 상하판이 한 조를 이루면서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하판 부분이 선체에 밀착되어 외기를 차단시키는 제1 인슐레이션 패널; 및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하판 부분이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판 부분에 밀착되면서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과 함께 고정되어 외기를 2차로 차단시키는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CARGO INSULATION PANEL FASTENERS AND FASTENING METHOD}
본 발명은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의 고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에 고정된 스터드볼트를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하판과 결합시켜서 인슐레이션 패널을 선체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162℃로 냉각해 그 부피를 6백분의 1로 줄인 무색 투명한 초저온 액체를 말한다.
이러한 액화천연가스가 에너지 자원으로 사용됨에 따라 이 가스를 에너지로 이용하기 위해서 생산기지로부터 수요자의 인수지까지 대량으로 수송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송 방안이 검토되어 왔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량의 액화천연가스를 해상으로 수송할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에는 초저온상태로 액화시킨 액화천연가스를 보관 및 저장할 수 있는 화물창(Cargo)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화물창에 요구되는 조건이 매우 까다로워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즉, 액화천연가스는 대기압 보다 높은 증기압을 가지며, 대략 -162℃ 정도의 비등 온도를 갖기 때문에, 이러한 액화천연가스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를 저장하는 화물창은 초저온에 견딜 수 있는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강, 스테인리스강, 35% 니켈강 등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기타 열응력 및 열수축에 강하고, 열침입을 막을 수 있는 독특한 인슐레이션 구조로 설계되어야 했다.
종래의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인슐레이션 구조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선체 내측면에 에폭시 매스틱(Epoxy mastic)과 스터드 볼트(Studbolt)에 의해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Bottom insulation panel)이 고정판을 매개로 하여 부착 고정된다.
이 때,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과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Top insulation panel)의 사이에는 리지드 트리플렉스(Rigid triplex)가 개재되어 접착되어 있다. 한편,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을 화물창 벽에 부착시킬 때에는 글라스 울(Glass wool) 재질의 플랫 조인트(Flat joint)가 서로 간에 형성되는 갭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이 간극을 가지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 사이에 탑 브릿지 패널을 부착시키는데, 이때 기존에 부착되어 있는 리지드 트리플렉스상에 에폭시 글루로 하여 서플 트리플렉스(Supple triplex)를 부착시키고, 그 위에 에폭시 글루를 이용하여 탑 브릿지 패널을 부착시킨다.
그리고,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과 탑 브릿지 패널의 상부는 동일 평면을 갖게 되고, 이러한 동일 평면상에 코러게이티드 멤브레인(Corrugated membrane)이 앵커 스트립을 매개로 부착되어 화물창 벽면이 완성된다.
여기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선체 내측면과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의 조립 방법을 좀 더 살펴보면, 선체의 내벽에 저항 용접에 의해 스터드 볼트를 부착하고,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에는 스터드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미리 형성시킨다.
따라서, 스터드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고,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에 형성된 홀에 원기둥 형태의 폼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은 예가 선행기술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10-2008-0042793호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의 고정장치`에서 개시 되었다.
종래기술은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온 유체를 저장하기 위하여 선체에 설치되는 인슐레이션 패널을 고정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선체의 스터드 볼트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축과, 고정축으로부터 인슐레이션 패널 상측까지 연장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연장부재와, 연장부재에 나사 체결되어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면을 지지함으로써 인슐레이션 패널을 선체 측으로 밀착시키는 지지볼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인슐레이션 패널에 스터드 볼트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 형성이 불필요함으로써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면에 노출되는 관통홀이나 관통홈으로 인해 발생하였던 접착 공백을 없애고, 이로 인해 접착력과 밀폐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2차 방벽 시공면의 불연속성을 제거하며, 이러한 접착 공백을 가릴 필요가 없어짐으로써 서플 트리플렉스와 접착제 등의 사용량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종래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방법은 선체와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의 하판만을 스터드 볼트로 체결하고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에 고정하는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구체적으로,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의 고정은 선체와 하판만을 스터드 볼트 체결하거나,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의 고정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에 설치하는 등의 방법이었다.
한편, 접착제가 도포작업을 하는 시공자 뿐만아니라 선체내에서 일하는 선원에게 유해할 뿐만아니라 완전 건조에도 상단한 시간이 소요되는 면도 있으므로 접착제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대체하면서도 인슐레이션 패널을 선체에 견고하게 부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10-2009-0116958호(발명의 명칭: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의 고정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선체에 고정된 스터드볼트를 이용하여 인슐레이션 패널을 견고하게 결합시킨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선체에 인슐레이션 패널을 여러겹으로 설치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시, 하부 인슐레이션 패널 뿐만 아니라 상부 인슐레이션 패널도 선체와 직접 체결함으로써 화물창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는, 선체의 내부에 저장되는 유체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장치에 있어서, 단열재의 양면을 상하판으로 덧붙여서 이루어지고, 하판 부분을 선체의 내주면에 밀착시켜 외기를 차단하는 인슐레이션 패널; 및 선체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인슐레이션 패널을 관통한 상태로 체결되어 상기 인슐레이션 패널을 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인슐레이션 패널은, 상기 단열재 및 상기 상하판이 한 조를 이루면서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하판 부분이 선체에 밀착되어 외기를 차단시키는 제1 인슐레이션 패널; 및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하판 부분이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판 부분에 밀착되면서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과 함께 고정되어 외기를 2차로 차단시키는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선체에 용접결합되며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의 설정된 위치에 복수개로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동일한 수량의 제1 스터드볼트; 상기 제1 스터드볼트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을 선체에 고정시키는 제1 체결너트; 상기 선체에 용접결합되며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의 설정된 위치에 복수개로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동일한 수량의 제2 스터드볼트; 및 상기 제2 스터드볼트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을 선체에 고정시키는 제2 체결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원통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제1 및 제2 인슐레이션 패널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스터드볼트를 수용하면서 상기 홀을 마감하는 폼플러그;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판에 상기 제1 및 제2 체결너트가 결합된 부분을 마감하는 홀마감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 및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을 연결시키는 플랫조인트; 상기 플랫조인트의 삽입으로 인해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판에 형성된 홀을 마감하는 조인트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2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과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판 부분에 부착되어 외기를 차단시키는 제1 멤브레인; 및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판 부분에 부착되어 2차로 외기를 차단시키는 제2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 하판에 도포되어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과 선체와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매스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1 멤브레인에 형성된 홀과 상기 제2 스터드볼트 사이에 발생하는 갭이 메워지도록 용접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인슐레이션 패널을 선체의 내부에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터드볼트를 선체의 설정된 위치에 용접결합하는 제1 스터드볼트 결합단계;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의 하판에 매스틱을 도포하는 매스틱 도포단계;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을 상기 제1 스터드볼트로 선체에 밀착되게 설치하는 제1 인슐레이션 패널 설치단계;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판에 상기 제1 맴브레인을 부착하는 제1 멤브레인 부착단계;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을 상기 제2 스터드볼트로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에 밀착되게 설치하는 제2 인슐레이션 패널 설치단계; 및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판에 상기 제2 맴브레인을 부착하는 제2 멤브레인 부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은 선체와 제1 인슐레이션 패널의 하판만을 스터드볼트로 체결하고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 인슐레이션 패널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제1 및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판과 하판을 모두 선체와 제1 및 제2 스터드볼트로 직접 체결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화물창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터드볼트를 이용하여 접착제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인슐레이션 패널과 선체를 체결할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상기 고정 장치의 구성요소를 분해해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상기 고정 장치의 고정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방법의 순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고정 장치의 구성요소를 분해해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상기 고정 장치의 고정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선체(30)의 내부에 저장되는 유체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슐레이션 패널(50) 및 고정유닛(200)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션 패널(50)은 단열재(40)의 양면을 상하판(120, 130)으로 덧붙여서 이루어지고, 하판(130) 부분을 선체(10)의 내주면에 밀착시켜 외기를 차단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샌드위치 패널처럼 단열성능이 우수한 재료의 단열재(40)를 사이에두고 양면에 금속 합판으로 접착체 등을 이용하여 덧붙여서 인슐레이션 패널(50)을 제작하므로 단열성능과 함께 내구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슐레이션 패널(50)은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과 제2 인슐레이션 패널(110)의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은 단열재(40) 및 상하판(120, 130)이 한 조를 이루면서 고정유닛(200)에 의해 하판(130) 부분이 선체(10)에 밀착되어 외기를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110)은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하판(130) 부분이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의 상판(120) 부분에 밀착되면서 고정유닛(200)에 의해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과 함께 고정되어 외기를 2차로 차단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인슐레이션 패널(50)을 선체에 여러겹으로 설치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켜서 선체(30)에 적재된 화물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200)은 선체(30)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인슐레이션 패널(50)을 관통한 상태로 체결되어 인슐레이션 패널(50)을 선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유닛(200)은 제1 스터드볼트(220), 제1 체결너트(230), 제2 스터드볼트(250) 및 제2 체결너트(260)의 구성일 수 있다.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과 제2 인슐레이션 패널(110)에는 제1 스터드볼트(220)와 제2 스터드볼트(250)가 관통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관통홀을 각각 제1 삽입홀(210)과 제2 삽입홀(240)이라고 한다.
상기 제1 스터드볼트(220)는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삽입홀(210)을 관통하게 동일한 수량으로 제작되어 선체(30)에 용접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너트(230)는 제1 스터드볼트(220)와 결합되어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을 선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스터드볼트(250)는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삽입홀(240)을 관통하게 동일한 수량으로 제작되어 선체(30)에 용접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너트(260)는 제2 스터드볼트(250)와 결합되어 제2 인슐레이션 패널(110)을 선체(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스터드볼트(220) 및 제2 스터드볼트(250)는 상판(120)과 순차적으로 끼워지며 판체결너트 등을 이용하여 인슐레이션 패널(50)의 내부에서 한번더 고정이 가능하다.
즉, 작업자는 제1 스터드볼트(220)와 제2 스터드볼트(250)를 선체(30)와 용접결합으로 일체화 시켜서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접착제 등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고정유닛(200)은 폼플러그(270)와 홀마감부재(28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폼플러그(270)는 원통형으로 제작되며 제1 삽입홀(210) 및 제2 삽입홀(240)에 삽입되며 제1 스터드볼트(220) 및 제2 스터드볼트(250)를 수용하면서 제1 삽입홀(210) 및 제2 삽입홀(240)을 마감할 수 있다.
상기 홀마감부재(280)는 제1 스터드볼트(220) 및 제2 스터드볼트(250)가 관통하며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 및 제2 인슐레이션 패널(110)의 상판에 제1 체결너트(230) 및 제2 체결너트(260)가 결합된 부분을 마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폼플러그(270)와 홀마감부재(280)를 이용하여 제1 스터드볼트(220)와 제2 스터드볼트(250)가 삽입된 제1 삽입홀(210)과 제2 삽입홀(240)을 마감하면서 고정하여 선체(30)에 인슐레이션 패널(50)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장치(10)는 플랫조인트(300)와 조인트 마감부재(31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플랫조인트(300)는 제2 인슐레이션 패널(110) 및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에 형성된 제1 삽입홀(210) 및 제2 삽입홀(240)에 삽입되어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조인트 마감부재(310)는 플랫조인트(300)의 삽입으로 인해 제2 인슐레이션 패널(110)의 상판(120)에 형성된 홀을 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플랫조인트(300)를 이용하여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들 상호간을 연결시키면서 선체(30)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장치(10)는 제1 멤브레인(400)과 제2 멤브레인(41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1 멤브레인(400)은 제2 스터드볼트(250)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과 제2 인슐레이션 패널(110)의 상판(120) 부분에 부착되어 외기를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멤브레인(410)은 제2 인슐레이션 패널(110)의 상판(120) 부분에 부착되어 2차로 외기를 차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멤브레인(membrane)이란, 0.5~1.2㎜ 정도의 아주 얇은 막으로, LNG를 저장하는 화물창 안 벽에 넓게 접착된다. LNG와 직접 맞닿는 부분인 만큼 1차 방벽으로 불리곤 한다.
즉, 작업자는 인슐레이션 패널(50)과 함께 멤브레인을 복수의 겹으로 설치하여 단열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 멤브레인(400)에 형성된 홀과 제2 스터드볼트(250) 사이에 발생하는 갭이 메워지도록 용접시공하여 스터드볼트의 체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크(leak)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장치(10)는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의 하판(130)에 도포되어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과 선체(30)와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매스틱(500)을 더 포함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매스틱(mastic)(500)이란, 옻나무과의 나무 pistacia lentiscus에서 얻어지는 고무질을 함유하는 고체 수지로서, 주로 접착제 및 래커로 사용된다. 또한, 방수도료 또는 방수 시멘트로 사용되는 풀상 물질의 총칭으로 역청 물질에 석면, 석분, 광유, 모래 등을 가한 것을 일컸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접착제의 역할을 하는 매스틱(500)을 이용하여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의 하판(130)과 선체(30)의 레벨의 조정이 가능하고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을 지지하는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상기 순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인슐레이션 패널(50)을 선체(30)의 내부에 고정하는 방법은, 제1 스터드볼트 결합단계(S100), 매스틱 도포단계(S200), 제1 인슐레이션 패널 설치단계(S300), 제1 멤브레인 설치단계(S400), 제2 인슐레이션 설치단계(S500) 및 제2 멤브레인 설치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스터드볼트 결합단계(S100)에서는 제1 스터드볼트(220)를 선체(30)의 설정된 위치에 용접결합하는 단계이다.
작업자는 제1 스터드볼트(220) 및 제2 스터드볼트(250)를 선체(30)와 용접결합으로 일체화하여 접착제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선체(30)에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 및 제2 인슐레이션 패널(110)을 더욱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매스틱 도포단계(S200)에서는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의 하판(130)에 매스틱(500)을 도포하는 단계이다.
작업자는 접착제의 역할을 하는 매스틱(500)을 이용하여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의 하판(130)과 선체(30)의 레벨의 조정이 가능하고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을 지지하는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 설치단계(S300)에서는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을 제1 스터드볼트(220)로 선체(30)에 밀착되게 설치하는 단계이다.
작업자는 매스틱(500)이 도포된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의 제1 삽입홀(210)과 선체(30)에 용접된 제1 스터드볼트(220)를 끼워맞추어 설치하고 폼플러그(270)와 홀마감부재(2800를 이용하여 제1 삽입홀(210)을 마감한다.
상기 제1 멤브레인 부착단계(S400)에서는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의 상판(120)에 제1 맴브레인(400)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작업자는 인슐레이션 패널(50)의 사이에 멤브레인을 부착하여 인슐레이션 패널(50)과 함께 단열성능을 한 층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인슐레이션 설치단계(S500)에서는 제2 인슐레이션 패널(110)을 제2 스터드볼트(250)로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에 밀착되게 설치하는 단계이다.
작업자는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100)의 설치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인슐레이션 패널(11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멤브레인 부착단계(S600)에서는 제2 인슐레이션 패널(110)의 상판에 제2 맴브레인(410)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고정 장치 30 : 선체
40 : 단열재 50 : 인슐레이션 패널
100 : 제1 인슐레이션 패널 110 : 제2 인슐레이션 패널
120 : 상판 130 : 하판
200 : 고정유닛 230 : 제1 삽입홀
220 : 제1 스터드볼트 230 : 제1 체결너트
240 : 제2 삽입홀 250 : 제2 스터드볼트
260 : 제2 체결너트 270 : 폼플러그
280 : 홀마감부재 300 : 플랫조인트
330 : 조인트 마감부재 400 : 제1 멤브레인
430 : 제2 멤브레인 500 : 매스틱

Claims (8)

  1. 선체의 내부에 저장되는 유체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장치에 있어서,
    단열재의 양면을 상하판으로 덧붙여서 이루어지고, 하판 부분을 선체의 내주면에 밀착시켜 외기를 차단하는 인슐레이션 패널; 및
    선체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인슐레이션 패널을 관통한 상태로 체결되어 상기 인슐레이션 패널을 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인슐레이션 패널은,
    상기 단열재 및 상기 상하판이 한 조를 이루면서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하판 부분이 선체에 밀착되어 외기를 차단시키는 제1 인슐레이션 패널; 및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하판 부분이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판 부분에 밀착되면서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과 함께 고정되어 외기를 2차로 차단시키는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선체에 용접결합되며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의 설정된 위치에 복수개로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동일한 수량의 제1 스터드볼트;
    상기 제1 스터드볼트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을 선체에 고정시키는 제1 체결너트;
    상기 선체에 용접결합되며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의 설정된 위치에 복수개로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동일한 수량의 제2 스터드볼트; 및
    상기 제2 스터드볼트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을 선체에 고정시키는 제2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원통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제1 및 제2 인슐레이션 패널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스터드볼트를 수용하면서 상기 홀을 마감하는 폼플러그;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판에 상기 제1 및 제2 체결너트가 결합된 부분을 마감하는 홀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 및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을 연결시키는 플랫조인트;
    상기 플랫조인트의 삽입으로 인해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판에 형성된 홀을 마감하는 조인트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2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과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판 부분에 부착되어 외기를 차단시키는 제1 멤브레인; 및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판 부분에 부착되어 2차로 외기를 차단시키는 제2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 하판에 도포되어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과 선체와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매스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1 멤브레인에 형성된 홀과 상기 제2 스터드볼트 사이에 발생하는 갭이 메워지도록 용접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8.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인슐레이션 패널을 선체의 내부에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스터드볼트를 선체의 설정된 위치에 용접결합하는 제1 스터드볼트 결합단계;
    제1 인슐레이션 패널의 하판에 매스틱을 도포하는 매스틱 도포단계;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을 상기 제1 스터드볼트로 선체에 밀착되게 설치하는 제1 인슐레이션 패널 설치단계;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판에 제1 맴브레인을 부착하는 제1 멤브레인 부착단계;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을 제2 스터드볼트로 상기 제1 인슐레이션 패널에 밀착되게 설치하는 제2 인슐레이션 패널 설치단계; 및
    상기 제2 인슐레이션 패널의 상판에 제2 맴브레인을 부착하는 제2 멤브레인 부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방법.
KR1020150100302A 2015-07-15 2015-07-15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 KR101767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302A KR101767218B1 (ko) 2015-07-15 2015-07-15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302A KR101767218B1 (ko) 2015-07-15 2015-07-15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009A KR20170009009A (ko) 2017-01-25
KR101767218B1 true KR101767218B1 (ko) 2017-08-10

Family

ID=5799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302A KR101767218B1 (ko) 2015-07-15 2015-07-15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710B1 (ko) * 2017-06-20 2018-08-06 한국가스공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앵커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551B1 (ko) 2008-05-08 2010-1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009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7391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изоляции грузового танка танкера для перевозки сжиженного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RU2459139C2 (ru) Угловая панель грузового танка танкера для перевозки сжиженного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JP6250139B2 (ja) 流体を貯蔵するための密閉断熱タンクの角構造
KR102029862B1 (ko) 파이프를 포함하는 용기 벽
US4116150A (en) Cryogenic insulation system
KR102389246B1 (ko) 밀봉되고 단열인 탱크의 코너 구조 및 그것의 조립 방법
US9016222B2 (en) Cargo hold of a vessel for transporting liquefied gas
KR101505798B1 (ko) 베이스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창
US20110076092A1 (en) Apparatus for fixing an insulation panel of a cargo and insulation panel thereof
KR100998551B1 (ko)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의 고정장치
KR20120139043A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67218B1 (ko)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
KR101444347B1 (ko) 화물창 방벽용 위치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KR20120135475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단열구조체
KR101122293B1 (ko)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의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인슐레이션 패널
KR20220025878A (ko) 밀봉 멤브레인의 밀봉을 테스트하는 방법
KR101571425B1 (ko) 화물창용 베이스서포트
KR100998548B1 (ko) 화물창의 인슐레이션 패널
KR101814445B1 (ko) 액화가스 화물창용 패널고정장치 및 이를 갖춘 액화가스 화물창
KR10121553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인슐레이션 구조
KR101259059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0765933B1 (ko) Lng 저장탱크 내에 밀봉벽 및 단열벽을 지지하기 위한지지 구조체
KR20180077539A (ko) Lng탱크의 펌프타워 지붕용 결합 장치
KR101194574B1 (ko)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의 단열 구조체
KR102213093B1 (ko) 초저온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