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118B1 - Rung for cable tray - Google Patents

Rung for cable 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118B1
KR101767118B1 KR1020170030236A KR20170030236A KR101767118B1 KR 101767118 B1 KR101767118 B1 KR 101767118B1 KR 1020170030236 A KR1020170030236 A KR 1020170030236A KR 20170030236 A KR20170030236 A KR 20170030236A KR 101767118 B1 KR101767118 B1 KR 101767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fastening plate
cross bar
plat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2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여문
Original Assignee
(주)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준형 filed Critical (주)준형
Priority to KR1020170030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1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1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rality of rungs installed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provided in a cable tray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upper surface, the side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ung is bent by using a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to a flat surface having a constant width. The left side slope surface of the side surface downwardly inclined with a constant angle with regard to the left side of the flat surface has the same width as the right side slope surface of the side surface downwardly inclined with a constant angle with regard to the right side of the flat surface. The lower surface is formed on the lower end part of the right side slope surface, and forms a bottom surface bent in parallel with the flat surface. The cross section of the rung has a trapezoid shape.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Rung for cable tray}{Rung for 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을 설치하는 트레이의 가로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각종 구조물에 구비되는 다량의 통신케이블 또는 전원케이블을 지지하는 트레이에서 양측 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하며 케이블이 적재되는 가로대를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 변형을 방지하는 구조로 형성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 bar of a tray on which cables are installe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 bar of a tray for supporting a large amount of communication cables or power cables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cable tray.

고정 구조물이나 이동 구조물에는 설치되는 통신선이나 전력선과 같은 케이블은 일정한 설치상태를 유지하고 주변 물체와 간섭을 방지하는 등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배선용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있다. Cables such as communication lines and power lines installed in fixed structures or moving structures are installed using cable trays for wiring in order to maintain certain installation conditions and to ensure safety such as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nearby objects.

케이블 트레이의 일반적인 형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을 평행하게 배치하고,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다수개의 가로대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가로대의 양단부와 사이드 프레임을 볼트 결합하여 사다리 형태로 형성한 다음 가로대의 상부에 여러 가닥의 케이블을 안착시켜 고정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a typical shape of the cable tray is such that side frames are arranged in parallel, a plurality of crossbar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side frames, and both ends of the crossbars and the side frames are bolted to form a ladder Then, several cables ar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rossbar.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의 하중이나 외부 진동이 장기간 가로대에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가로대를 결합한 볼트의 이완이 발생되어 프레임으로부터 가로대가 분리되거나 케이블 트레이의 형상 또는 위치가 변형되어 케이블의 처짐, 탈락, 단선 등의 사고가 빈발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Such cable trays cause cable loads or external vibrations to be applied to the crossbar for a long period of time. This causes the bolts connecting the frame and the cross bar of the cable tray to be loosened to separate the cross bars from the frame, There is a problem that frequent accidents such as deflection, dropping, and disconnection of cables occur frequently.

가로대를 프레임에 볼트 결합하는 종래기술로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6188호 ‘케이블트레이’가 공지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레일과 결합 고정되는 가로대(12-1)의 양측면에 절개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22)에 양 변에 돌출부(24)가 형성된 보강판(13-1)의 돌출부(24)가 끼워진 상태로 결합하고 볼트(21-1)로 사이드레일과 가로대(13-1)을 결합 고정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a cable tray is known 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connecting a cross bar to a frame by a bolt. The cross bar is connected to a cross bar 12 And the projections 24 of the reinforcing plate 13-1 having the projections 24 on both sides thereof are fitted to the cutouts 22 in a fitted state, And the side rail and the cross bar 13-1 are coupled and fixed to each other with the guide rail 21-1.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보강대의 양측면에 절개부를 형성하여야 하고, 또한 절개부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볼트가 체결되는 보강판을 별도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보강대 제조공정과 보강대를 보강판에 조립하는 작업공정이 추가로 소요되어 케이블 트레이 설치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 cut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ar, and a reinforcing plate to which the bolts are fastened is formed separately while being fixed to the cut portion. Therefore,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reinforcing bar and assembling the reinforcing bar to the reinforcing plate So that troublesome installation of the cable tray is troublesome.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9059호 ‘케이블 트레이용 렁과 그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케이블 트레이 렁(1)의 대향 양측에 체결공(14)이 구비된 측면부(11)를 렁의 바닥면부를 절곡하여 형성한 것이다. As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109059 'Cable tray using ru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is known, and as shown in FIG. 3, The side surface portions 11 provided with the fastening holes 14 are formed by bending the bottom surface portions of the rungs at opposite sides of the rectangular cable tray rungs 1.

그러나 상기 또 다른 종래기술은 프레임에 렁의 측면부를 볼트로 체결하여 결합하면 측면부가 프레임에 맞닿기 때문에 볼트 체결시 측면부를 견인하는 견인력이 발생되지 않을 뿐 만 아니라 프레임이 렁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이 폭방향으로 확장 변형되는 경우 측면부의 절곡부가 펼쳐져 프레임 사이가 벌어지거나 렁(1)이 탈락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art, when the side parts of the rungs are fastened with bolts and the side parts are in contact with the frame, not only a pulling force for pulling the side parts at the time of fastening the bolts is generated but also a cable The bent portion of the side portion is unfolded to cause a gap between the frames and the rung 1 to fall off.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 트레이에 구비되는 가로대를 양측 프레임 사이를 직결피스로 결합시 가로대에 인장 결합력이 생성되는 구조로 형성하되, 간단하고 미려하며 하나의 재료를 사용하여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ble tray in which a cross bar is formed by a straight- So as to form an integrated structur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구비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대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100)는 일정두께의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상면과 측면 및 하면을 절곡하여 상면은 일정폭의 평탄면(101)으로 형성하고, 측면은 상기 평탄면의 좌측에 일정각도로 하향 경사진 좌측경사면(102)과 평탄면의 우측에 일정각도로 하향 경사진 우측경사면(103)을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며, 하면은 상기 우측경사면의 하단부에 연이어서 상기 평탄면과 평행하게 절곡한 밑면(104)을 형성하여 가로대의 단면이 “

Figure 112017023790586-pat00001
”의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를 제공하도록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ossbar having a plurality of side pane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of a cable tray, wherein the cross bar is made of a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lower surface is bent to form a flat surface 101 having a constant width. The side surface is formed with a left inclined surface 102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eft of the flat surface, and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right side of the flat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ight side inclined surface 103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ight side inclined surface 103 has a bottom 104 bent in parallel with the flat surface,
Figure 112017023790586-pat00001
Quot; trapezoidal < / RTI >

상기 밑면(104)의 양 단부측에는 일정폭의 슬롯(107)을 일정길이로 형성하여 사이드 프레임에 가로대를 고정하는 직결피스(P)가 체결되는 사각체결판(108)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사각체결판은 평탄면의 양 단부측에서 평탄면을 면따기하고 이를 평탄면과 직각으로 하향 절곡하여 형성하며, 중앙부에 직결피스가 관통되면서 체결되는 직결피스체결부가 확보되도록 한다. A slot 107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104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rectangular fastening plate 108 fastened to the side frame is fastened to the side frame, The rectangular fastening plate is formed by picking a flat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flat surface and bending it downward at right angles to the flat surface and securing the fastening piece to be fastened while the straight piece passes through the center.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구비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대(100)에 있어서, 가로대(100)는 일정두께의 직사각형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수평상면(111)과 좌우측수직면(112, 113) 및 수평하면(114)을 절곡하여 전체적 단면이 4각형을 이루는 “

Figure 112017023790586-pat00002
” 형태로 형성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를 제공하도록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oss bar (100) in which a plurality of side frames (100)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provided on a cable tray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111, the left and right vertical surfaces 112 and 113 and the horizontal lower surface 114 are bent so that the entire cross-
Figure 112017023790586-pat00002
&Quot;< / RTI >

상기 수평상면(111)과 좌측수직면(112) 및 우측수직면(113)의 양단부측에는 각각 면따기하고 이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삼각체결판(117)을 형성하되, 상기 삼각체결판은 수평상면과 좌측수직면 및 우측수직면에 연결되는 연결부 폭은 길고 단부 폭은 짧은 삼각형 구조로 형성하고, 단부를 원호로 형성하여 수평상면과 좌측수직면 및 우측수직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삼각체결판이 각각 대응되는 공간은 원형공간이 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원형공간은 직결피스가 체결될 수 있도록 직결피스의 외경보다 적게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며, 상기 원형공간에 직결피스를 결합하면 직결피스의 상부와 좌우측부는 상기 각 삼각체결판에 나사탭을 형성하면서 결합되고, 직결피스의 하부는 가로대의 수평하면에 형성된 수직받침부(115)에 의해 받쳐지도록 형성하도록 한다. A triangular fastening plate 117 is formed by picking up the surfaces of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111, the left vertical surface 112 and the right vertical surface 113 and bending them at right angles to form a triangular fastening plate 117,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right vertical surface is formed to have a short triangular structure with a short width and a circular arc at an end portion.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triangular fastening plates bent at right angles from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And the circular space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irecting piece so that the directing piece can be fastened. When the directing piece is coupled to the circular space, the upper and left portions of the directing piece are screw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directing piece is formed to be supported by the vertical receiving portion 115 formed on the horizontal lower surface of the cross bar All.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구비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대(100)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는 일정두께의 직사각형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수평면의 상면(118)과 상면에 연속하여 수직면을 이루는 양 측면(119, 120)을 절곡하고 하부를 개방하여 전체적 단면이 하부가 개방된 4각형을 이루는 “

Figure 112017023790586-pat00003
” 형태로 형성한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를 제공하도록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oss bar in which a plurality of side frames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provided in a cable tray, wherein the cross bar is made of a rectangular metal plate, And the lower side is opened to form a quadrilateral shape with the entire section opened to the lower sid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18,
Figure 112017023790586-pat00003
&Quot;< / RTI >

그리고 상기 좌측면(119)과 우측면(120)은 상기 상면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상면의 양단부로부터 일정길이 들어간 지점에서 길이가 길게 연장된 부위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좌측체결판(121)과 우측체결판(122)을 형성하며, 상기 좌측체결판의 배면에 우측체결판을 절첩시켜 밀착되는 구조로 형성하도록 한다. The left side surface 119 and the right side surface 120 are formed so as to exten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and are bent at a right angle at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right fastening plate 122 and the right fastening plate is fol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left fastening plat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좌측체결판(121)과 우측체결판(122)의 중앙부에 직결피스결합공(125)을 형성하되, 좌측체결판의 배면에 밀착되는 좌측체결판의 직결피스결합공은 우측체결판의 직결피스결합공보다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 직결피스가 우측체결판의 직결피스결합공을 통과하면서 나사탭을 생성하여 나사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A direct coupling piece coupling hole 12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eft coupling plate 121 and the right coupling plate 122. The direct coupling piece coupling hole of the left coupling plat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left coupling plate, The diameter of the fastener piece is larger than that of the fastener fitting hole so that the fastener piece can pass through the fastener piece coupling hole of the right fastening plate to form a screw tab so that screwing can be performed.

그리고 상기 좌측체결판(121)은 배면 측 중앙부를 일정폭으로 압입하여 돌출부(127)를 더 형성하고, 좌측체결판의 직결피스결합공(125) 주위를 압입하여 요홈부(128)를 더 형성하며, 우측체결판(122)의 직결피스결합공 주위는 우측체결판의 배면측을 향해 돌출시킨 돌출륜(129)을 더 형성하도록 한다. The left fastening plate 121 has a protruding portion 127 formed by press-fitting a center portion of the rear side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presses the periphery of the coupling piece 125 of the left fastener plate to form a recessed portion 128 And a protruding wheel 129 protruding toward the back side of the right fastening plate is formed around the fastening piece coupling hole of the right fastening plate 122. [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구비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대에 있어서 가로대의 양측단 체결부를 가로대 몸체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를 사이드 프레임에 직결피스로 체결하되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체결 인장력이 유지되며 견고하게 결합하여, 케이블 트레이가 가로대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케이블 유동 등 외력에 의해 가로대가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발생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ba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provided on a cable tray, wherein both ends of the cross bar are fastened to the side frame and the fastener is fastened to the side frame, So that the cable tray securely supports the load of the cabl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ross bar while the cross bar is separated from the side frame or deformed due to external force such as cable flow.

또한 본 발명은 가로대를 형성하는 모든 구성을 하나의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펀칭과 절곡 작업을 통해 일체형 구조로 성형함으로써, 제조가 간단하고, 완성된 가로대의 형태가 미려하며, 용접부 방청용 도금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효과가 발생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ll the structures forming the cross bar in a single structure by punching and bending using a single metal plate, so that the manufacturing is simple and the shape of the finished cross bar is good, An unwanted effect is generated.

도 1 내지 3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가로대 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가로대와 사이드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가로대의 전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가로대 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가로대와 사이드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가로대의 전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가로대 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가로대와 사이드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가로대의 전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가로대 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가로대 단부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 to 3 are diagrams showing the prior art relating to a cable tray.
Fig. 4 is a view showing the end of a cross ba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crossbar and a side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developed state of the cross ba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view showing the end of a cross ba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crossbar and the side fram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diagram showing an expanded state of the cross ba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crossbar and the side fram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developed state of a cross ba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end portion of a cross ba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oss sec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균등범위의 형태 중에서 도출될 수 있는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므로, 권리범위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예와 균등한 균등물이 모두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는 점을 밝혀둔다.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order to facilitat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실시예들 중에서 동일한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의 명칭 예컨대 사이드 프레임, 가로대와 같은 구성은 동일한 명칭과 부호를 사용하거나, 실시예별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되 부호만 다르게 부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embodiments, the same names and codes as the name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that play the same roles, such as the side frames and the cross bars, are used, or the same names are used for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구비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대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의 양측단 체결부를 가로대 몸체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를 사이드 프레임에 직결피스로 체결하되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체결 인장력이 유지되며 견고하게 결합하여, 케이블 트레이가 가로대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케이블 유동 등 외력에 의해 가로대가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 ba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provided on a cable tray, wherein both side fastening portions of the cross bar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ross bar body, and the fastener is fastened to the side frame with direct- The cable tray is supported by the cable tray so as to securely hold the load of the cabl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rosspiece while the fastening tensile force is maintained against the frame and the cable tray is securely supported. .

상기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 중에 하나(실시예 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대(100)는 일정두께의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상면과 측면 및 하면을 절곡하여 형성하되, 상면은 일정폭의 평탄면(101)으로 형성하고, 측면은 상기 평탄면(101)의 좌측에 일정각도로 하향 경사진 좌측경사면(102)과 평탄면의 우측에 일정각도로 하향 경사진 우측경사면(103)을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며, 하면은 상기 우측경사면의 하단부에 연이어서 상기 평탄면(101)과 평행하게 절곡한 밑면(104)을 형성하여 가로대(100)의 단면이 “

Figure 112017023790586-pat00004
”의 사다리꼴 형태가 되도록 형성한다.As shown in FIG. 4, the cross bar 100 is formed by bending a top surface,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using a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upper surface is formed by a flat surface 101 having a constant width. The side surface is formed with a left inclined surface 102 inclined downward at an angle to the left side of the flat surface 101 and a right inclined surface 102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right side of the flat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ross bar 100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ross bar 100 has a bottom surface 104 bent in parallel with the flat surface 101 in parallel with the lower end of the right side slope,
Figure 112017023790586-pat00004
&Quot;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그리고 상기 좌측경사면(102)의 하단부 일정폭은 사다리꼴의 내측을 향하도록 일정각도로 짧은 길이로 절곡한 좌측보강부(105)을 형성하며, 상기 좌측경사면 좌측보강부를 통해 가로대(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하중에 의해 가로대의 휨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추가되도록 한다. The lower end of the left slope 102 has a left reinforcing portion 105 that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be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trapezoid.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left inclined surface 102,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warp or deformation of the cross bar by the installed cable load is added.

그리고 우측경사면(103)에 형성하는 밑면(104)은 폭을 사다리꼴 밑변의 중심부까지 연장하여 형성하고, 밑면(104)의 단부를 상향 절곡하여 밑면보강부(106)를 형성하며, 이를 통해 가로대(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하중에 의해 휨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추가되고, 이에 더하여 후술하는 사각체결판(108)에 직결피스(P)를 결합할 때 직결피스 결합력에 의해 체결판이 사이드 프레임 측으로 당겨져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The bottom surface 104 formed on the right inclined surface 103 is formed to extend to the center of the trapezoidal base and the bottom surface 104 is bent upward to form a bottom reinforcement 106, 100, the effect of preventing warping or deformation is added by the cable load provided on the top of the fastening piece 100. In addition, when the direct-piece piece P is coupled to the square fastening plate 108 described later, An effect of preventing the frame from being pulled and moved is generated.

또한 상기 밑면(104)의 양 단부측에는 일정폭의 슬롯(107)을 일정길이로 형성하여 사이드 프레임에 가로대를 고정하는 직결피스(P)가 체결되는 사각체결판(108)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A slot 107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104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rectangular fastening plate 108 fastened to the side frame is fastened to the side frame do.

상기 사각체결판(108)은 평탄면(101)의 양 단부측에서 평탄면을 면따기(109) 하고 이를 평탄면과 직각으로 하향 절곡하여 형성하며, 중앙부에 직결피스(P)가 관통되면서 체결되는 직결피스체결부(110)가 확보하도록 한다. The rectangular fastening plate 108 is formed by flattening the flat surface 109 at both ends of the flat surface 101 and bending it downward at right angles to the flat surface. And the straight-piece piece fastening portion 110 is secured.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가로대(100)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직결피스(P)로 결합하면, 직결피스가 가로대(100)의 사각체결판(108)을 사이드 프레임 측으로 당기게 되고, 이러한 사각체결판(108)이 가로대의 밑판(104) 슬롯(107)에 끼워져 있음에 따라 가로대의 양단부가 당겨지는 사각체결판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 내측면에 밀착되며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cross ba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coupled with the direct bar piece P between the both side frames, The rectangular fastening plate 108 is fitted into the slot 107 of the cross base 104 and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inner side face of the side frame by the rectangular fastening plate on which both ends of the cross base are pulled, .

또한 본 발명의 가로대(1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면(101), 좌우측경사면(102. 103), 밑면(104), 좌측보강부(105), 밑면보강부(106) 및 사각체결판(108)을 포함하는 모든 구성을 하나의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펀칭과 절곡 작업을 통해 일체형 구조로 성형할 수 있어, 제조가 간단하고, 완성된 가로대의 형태가 미려하며, 용접부 방청용 도금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효과가 발생된다. 6, the cross ba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surface 101, left and right inclined surfaces 102, 103, a bottom surface 104, a left reinforcing portion 105, a bottom reinforcing portion 106, All the structures including the rectangular fastening plate 108 can be formed into a one-piece structure by punching and bending work using one metal plate, so that the manufacturing is simple and the shape of the finished crossbar is excellent, An effect that does not require a plating operation is generated.

상기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 중에 다른 하나(실시예 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대(100)는 일정두께의 직사각형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수평상면(111)과 좌우측 수직면(112, 113) 및 수평하면(114)을 절곡하여 전체적 단면이 4각형을 이루는 “

Figure 112017023790586-pat00005
” 형태로 형성한다.As shown in FIG. 7, the cross bar 100 is formed of a rectangular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horizontal top surface 111 and the left and right vertical surfaces 112 and 113 and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114 are bent so that the entire cross section becomes a quadrilateral shape,
Figure 112017023790586-pat00005
&Quot;

상기 좌측수직면(112)은 하단부를 4각형 구조의 내측으로 절곡하여 좌측보강부(105)를 형성하고, 수형하면(114)은 4각형 구조의 중앙부를 수직으로 절곡한 수직받침부(115)를 형성하며, 상기 받침부의 좌측은 개방 공간으로 형성한다. The left vertical surface 112 is formed by bending the lower end portion to the inside of a quadrangular structure to form a left reinforced portion 105. The lower surface portion 114 is formed by vertically bending a central portion of the quadrangular structure to form a vertical receiving portion 115 And the left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s an open space.

또한 상기 수평상면(111)과 좌측수직면(112) 및 우측수직면(113)의 양단부측에는 각각 삼각체결판(117)을 면따기한 후 이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며, 상기 삼각체결판(116)은 상기 수평상면(111)과 좌측수직면(112) 및 우측수직면(113)에 연결되는 연결부 폭이 길고 단부폭이 짧은 삼각형 구조로 형성하고, 단부를 원호로 형성하여 수평상면(111)과 좌측수직면(112) 및 우측수직면(113)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대응되는 공간은 직결피스(P)가 결합되는 원형공간(118)으로 형성한다. The triangular fastening plate 117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111, the left vertical surface 112 and the right vertical surface 113 and is bent at a right angle.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111, the left vertical surface 112 and the right vertical surface 113 is formed into a triangular structure having a long width and a short end width and is formed into a circular arc with a horizontal top surface 111 and a left vertical surface 112 and the right vertical face 113 are formed into a circular space 118 to which the directing piece P is coupled.

상기 원형공간(118)은 직결피스(P) 외경보다 적게 작은 직경으로 형성한다. 예컨대 외경 6mm의 직결피스(P)가 결합되면서 나사탭이 형성되도록 직경 4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ircular space 118 is form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irecting piece P.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a diameter of 4 mm is formed so that a screw tab is formed while a direct-coupled piece P having an outer diameter of 6 mm is engaged.

또한 상기 원형공간(118)에 직결피스를 결합하면 직결피스의 상부와 좌우측부는 상기 각 체결판(117)에 나사탭을 형성하면서 결합되고, 직결피스의 하부는 가로대의 하면(114)에 형성된 수직받침부(115)에 의해 받쳐지도록 수직받침부 높이를 설정한다. When the linear piece is coupled to the circular space 118,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linear piece are coupled to the respective fastening plates 117 while forming screw taps,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inear piece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The height of the vertical pedestal is set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pedestal portion 115.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 2의 가로대(1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직결피스(P)를 체결하면, 직결피스가 가로대(100)의 삼각체결판(117)을 사이드 프레임 측으로 당기면서 가로대의 양단부측에 당겨지게되어 가로대가 사이드 프레임 내측면에 밀착되며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8, the cross ba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both side frames and fastened to the straight piece P, The fastening plate 117 is pulled toward the side frames and pulled toward the opposite ends of the cross bars, so that the cross bars are tightly engaged with the inner side faces of the side frames.

또한 실시예 2의 가로대(1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상면(111)과 양 수직측면(112, 113) 및 수평하면(114), 그리고 좌측보강부(105)와 수직받침부(115), 삼각체결판(117)을 포함하는 모든 구성을 하나의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펀칭과 절곡 작업을 통해 일체형 구조로 성형할 수 있어, 제조가 간단하고, 완성된 가로대의 형태가 미려하며, 용접부 방청용 도금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효과가 발생된다. 9, the cross ba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horizontal upper surface 111, two vertical side surfaces 112 and 113 and a horizontal lower surface 114, a left reinforcing portion 105, The metal plate 115 and the triangular fastening plate 117 can be formed into a unitary structure by punching and bending using a single metal plate, so that the manufacturing is simple and the shape of the finished crossbar is excellent , An effect that a plating operation for rust prevention of a welded portion is not necessary is generated.

상기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 중에 또 다른 하나(실시예 3)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대(100)는 일정두께의 직사각형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수평면의 상면(118)과 상면에 연속하여 수직면을 이루는 좌우측면(119, 120)을 절곡하고 하부를 개방하여 전체적 단면이 하부가 개방된 4각형을 이루는 “

Figure 112017023790586-pat00006
” 형태로 형성한다.As shown in FIG. 10, the cross bar 100 is formed of a rectangular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upper surface 118 of the horizontal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118 of the horizontal surface, And the lower side is opened to form a quadrilateral shape with the entire section opened to the lower side.
Figure 112017023790586-pat00006
&Quot;

그리고 상기 좌측면(119)과 우측면(120)은 상기 상면(118)의 길이보다 상면(118)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로 길게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상면(118)의 양단부로부터 일정길이 들어간 지점에서 좌측면(119)과 우측면(120)의 길게 연장된 부위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좌측체결판(121) 및 우측체결판(122)을 형성하되, 좌측체결판(121)의 배면에 우측체결판(122)이 밀착되도록 절첩한다. The left side surface 119 and the right side surface 120 are formed to exten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118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118, The left fastening plate 121 and the right fastening plate 122 are formed by bending the elongated portions of the left side surface 119 and the right side surface 120 at right angles to form the left fastening plate 121 and the right fastening plate 122, (122).

또한 상기 좌측면(119)과 우측면(120)의 하단부는 4각형 단면의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좌측면보강부(123)과 우측면보강부(124)를 형성하되, 상기 좌측면보강부(123)와 우측면보강부(124)의 단부 사이를 개방시켜 형성한다.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left side surface 119 and the right side surface 120 are bent inward in a quadrangular cross section to form a left side plain steel portion 123 and a right side side reinforcement portion 124. The left side plain steel portion 123, And the end portions of the reinforcing portion 124 are opened.

또한 상기 좌측체결판(121)과 우측체결판(122)의 중앙부에 직결피스결합공(125)를 형성하되, 외측으로 절첩되는 좌측체결판(121)의 직결피스결합공(125)은 우측 체결판(122)보다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 직결피스(P)가 우측체결판(122)의 직결피스결합공(125)을 통과하면서 나사탭을 생성하여 나사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direct coupling piece coupling hole 125 of the left coupling plate 121 which is folded ou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eft coupling plate 121 and the right coupling plate 122, The diameter of the plate 122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late 122 so that the directing piece P passes through the coupling piece 125 of the right fastening plate 122 to form a threaded screw so that threading can be achieved.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 3의 가로대(10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직결피스(P)로 결합하면, 직결피스가 가로대(100)에 밀착된 좌측체결판(121)과 우측체결판(122)을 사이드 프레임 측으로 당기게 되어 가로대(100)의 양단은 체결판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 내측면에 밀착되며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0, the cross bar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straight bar piece P is coupled between the both side frames, 121 and the right fastening plate 122 to the side frame side so that both ends of the cross bar 100 are tightly coupl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frame by the fastening plate.

또한 실시예 3의 가로대(10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118)과 좌우측면(119, 120), 좌우측면보강부(123, 124) 및 좌우측체결판(121, 122)을 포함하는 모든 구성을 하나의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펀칭과 절곡 작업을 통해 일체형 구조로 성형할 수 있어, 제조가 간단하고, 완성된 가로대의 형태가 미려하며, 용접부 방청용 도금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효과가 발생된다. 11, the cross bar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the upper surface 118,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119 and 120, the left and right side reinforcing portions 123 and 124, and the left and right fastening plates 121 and 122 Can be formed into an integral structure by punching and bending work using a single metal plate material, so that the manufacturing is simple, the shape of the finished crossbar is good, and the plating operation for rustproofing of the welded portion is not necessary Is generated.

한편 도 13,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가로대(100)는 상기 좌측체결판(121)의 배면 측 중앙부를 일정폭으로 압입하여 돌출부(127)를 더 형성하고, 좌측체결판의 직결피스결합공(125) 주위를 압입하여 요홈부(128)를 더 형성하며, 우측체결판(122)의 직결피스결합공 주위는 우측체결판의 배면측을 향해 돌출시킨 돌출륜(129)을 더 형성하여 좌우측체결판(121, 122)의 휨강도가 보강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3 and 14, in the cross bar 100 of the third embodiment, the projecting portion 127 is further formed by press-fitt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back side of the left fastening plate 121 with a constant width, The protruding wheel 129 protruding toward the rear side of the right fastening plate 125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direct coupling piece coupling hole of the right fastening plate 122 So that the bending strengths of the left and right fastening plates 121 and 122 are reinforced.

100 : 가로대 101 : 평탄면
102 : 좌측경사면 103 : 우측경사면
104 : 밑면 105 : 좌측보강부
106 : 밑면보강부 107 : 슬롯
108 : 사각체결판 109 : 면따기
110 : 직결피스체결부 111 : 수평상면
112 : 좌측수직면 113 : 우측수직면
114 ; 수평하면 115 : 수직받침부
117 : 삼각체결판 118 : 원형공간
119 : 상면 120 : 좌측면
121 : 우측면 122 : 좌측체결판
123 : 우측체결판 124 : 좌측면보강부
125 : 우측면보강부 126 : 직결피스결합공
127 : 돌출부 128 : 요홈부
129 : 돌출륜
100: crossbar 101: flat face
102: left side slope side 103: right side slope side
104: bottom surface 105: left reinforcement portion
106: bottom reinforcement portion 107: slot
108: Rectangular fastening plate 109: Face picking
110: direct coupling piece fastening part 111: horizontal upper surface
112: left vertical plane 113: right vertical plane
114; Horizontal surface 115: Vertical support part
117: triangular fastening plate 118: circular space
119: top surface 120: left side
121: right side surface 122: left side fastening plate
123: right fastening plate 124: left side plain steel portion
125: right side reinforcing portion 126: direct coupling piece coupling hole
127: protrusion 128:
129: protruding wheel

Claims (7)

케이블 트레이에 구비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대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100)는 일정두께의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상면과 측면 및 하면을 절곡하여 상면은 일정폭의 평탄면(101)으로 형성하고, 측면은 상기 평탄면의 좌측에 일정각도로 하향 경사진 좌측경사면(102)과 평탄면의 우측에 일정각도로 하향 경사진 우측경사면(103)을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며, 하면은 상기 우측경사면의 하단부에 연이어서 상기 평탄면과 평행하게 절곡한 밑면(104)을 형성하여 가로대의 단면이 “
Figure 112017050369836-pat00007
”의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밑면(104)의 양 단부측에는 일정폭의 슬롯(107)을 일정길이로 형성하여 사이드 프레임에 가로대를 고정하는 직결피스(P)가 체결되는 사각체결판(108)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사각체결판은 평탄면의 양 단부측에서 평탄면을 면따기하고 이를 평탄면과 직각으로 하향 절곡하여 형성하며, 중앙부에 직결피스가 관통되면서 체결되는 직결피스체결부가 확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
A cross bar having a plurality of side frame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provided on a cable tray,
The cross bar 100 is made of a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by bending the upper surface, the side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as a flat surface 101 having a constant width, and the side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The left side inclined face 102 and the right side inclined face 103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ar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flat face with the same width and the lower face is formed with a bottom face 104 ) And the cross-section of the crossbar is "
Figure 112017050369836-pat00007
≪ / RTI > in the form of a trapezoid,
A slot 107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104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rectangular fastening plate 108 fastened to the side frame is fastened to the side frame, ,
Wherein the rectangular fastening plate is formed by picking up a flat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flat surface and bending it downward at a right angle to the flat surface and securing the fastening piece fastening part to be fastened while passing the directing piece in the center. Traverse for cable tray
삭제delete 케이블 트레이에 구비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대(100)에 있어서,
가로대(100)는 일정두께의 직사각형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수평상면(111)과 좌우측수직면(112, 113) 및 수평하면(114)을 절곡하여 전체적 단면이 4각형을 이루는 “
Figure 112017050369836-pat00008
” 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수평상면(111)과 좌측수직면(112) 및 우측수직면(113)의 양단부측에는 각각 면따기하고 이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삼각체결판(117)을 형성하되,
상기 삼각체결판은 수평상면과 좌측수직면 및 우측수직면에 연결되는 연결부 폭은 길고 단부 폭은 짧은 삼각형 구조로 형성하고, 단부를 원호로 형성하여 수평상면과 좌측수직면 및 우측수직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삼각체결판이 각각 대응되는 공간은 원형공간이 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원형공간은 직결피스가 체결될 수 있도록 직결피스의 외경보다 적게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며, 상기 원형공간에 직결피스를 결합하면 직결피스의 상부와 좌우측부는 상기 각 삼각체결판에 나사탭을 형성하면서 결합되고, 직결피스의 하부는 가로대의 수평하면에 형성된 수직받침부(115)에 의해 받쳐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
A cross bar (100) having a plurality of side frames (100)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The cross bar 100 is formed by bending a horizontal upper surface 111, left and right vertical surfaces 112 and 113 and a horizontal lower surface 114 by using a rectangular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igure 112017050369836-pat00008
Quot; form,
The side surfaces of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111, the left vertical surface 112, and the right vertical surface 113 are picked and bent at right angles to form a triangular fastening plate 117,
The triangular fastening plate is formed in a triangular structure having a long connecting portion and a short end portion connected to a horizontal top surface, a left vertical surface, and a right vertical surface. The triangular fastening plate is formed into a circular arc, The space in which the fastening plates are respectively associated is formed to be a circular space,
The circular space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irecting piece so that the directing piece can be fastened. When the directing piece is coupled to the circular space,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parts of the directing piece form screw tabs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directing piece is formed to be supported by a vertical receiving portion (115) formed on a horizontal lower surface of the cross bar.
삭제delete 케이블 트레이에 구비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대(100)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는 일정두께의 직사각형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수평면의 상면(118)과 상면에 연속하여 수직면을 이루는 양 측면(119, 120)을 절곡하고 하부를 개방하여 전체적 단면이 하부가 개방된 4각형을 이루는 “
Figure 112017023790586-pat00009
”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좌측면(119)과 우측면(120)은 상기 상면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상면의 양단부로부터 일정길이 들어간 지점에서 길이가 길게 연장된 부위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좌측체결판(121)과 우측체결판(122)을 형성하며,
상기 좌측체결판의 배면에 우측체결판을 절첩시켜 밀착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
A cross bar (100) having a plurality of side frames (100)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The cross bar is made of a rectangular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by bending the upper surface 118 of the horizontal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119 and 120 forming a vertical surface continuously on the upper surface and by opening the lower portion, The "
Figure 112017023790586-pat00009
&Quot; form,
The left side surface 119 and the right side surface 120 are formed so as to exten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and are bent at right angles to a long elongated portion at a position where a predetermined length is entere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right fastening plate 122,
And the right fastening plate is fol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eft fastening plat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체결판(121)과 우측체결판(122)의 중앙부에 직결피스결합공(125)을 형성하되, 좌측체결판의 배면에 밀착되는 좌측체결판의 직결피스결합공은 우측체결판의 직결피스결합공보다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
직결피스가 우측체결판의 직결피스결합공을 통과하면서 나사탭을 생성하여 나사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
6. The method of claim 5,
A direct coupling piece coupling hole 12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eft coupling plate 121 and the right coupling plate 122. The direct coupling piece coupling hole of the left coupling plat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left coupling plate, The diameter of the piece is larger than that of the piece-
And the threaded tabs are formed so that the threaded connection can be made while the direct-connected pieces pass through the straightened piece coupling holes of the right-side fastening pl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체결판(121)은 배면 측 중앙부를 일정폭으로 압입하여 돌출부(127)를 더 형성하고, 좌측체결판의 직결피스결합공(125) 주위를 압입하여 요홈부(128)를 더 형성하며, 우측체결판(122)의 직결피스결합공 주위는 우측체결판의 배면측을 향해 돌출시킨 돌출륜(129)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eft fastening plate 121 has a protruding portion 127 formed by press-fitting a central portion of the rear side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press-fitting the periphery of the fastening piece coupling hole 125 of the left fastening plate to form a recessed portion 128 , And a protruding wheel (129) protruding toward the rear side of the right fastening plate is formed around the fastening piece coupling hole of the right fastening plate (122).
KR1020170030236A 2017-03-09 2017-03-09 Rung for cable tray KR1017671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236A KR101767118B1 (en) 2017-03-09 2017-03-09 Rung for cable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236A KR101767118B1 (en) 2017-03-09 2017-03-09 Rung for cable tr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118B1 true KR101767118B1 (en) 2017-08-10

Family

ID=59652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236A KR101767118B1 (en) 2017-03-09 2017-03-09 Rung for cable 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11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742B1 (en) * 2018-02-26 2019-05-22 아인텍(주) Cable tray
KR102232480B1 (en) * 2020-08-12 2021-03-26 (주)준형 Cable tr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742B1 (en) * 2018-02-26 2019-05-22 아인텍(주) Cable tray
KR102232480B1 (en) * 2020-08-12 2021-03-26 (주)준형 Cable tr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674B1 (en) Two-piece modular yoke
US20150001352A1 (en) Cable tray system with splice plate
KR101937374B1 (en) Assembly of cable tray
KR101241258B1 (en) Cable tray
US9683590B2 (en) Strut system and strut fitting therefor
KR101414792B1 (en) Assembled cable tray
KR101767118B1 (en) Rung for cable tray
KR101870518B1 (en) Cable tray
KR20190052532A (en) Cable tray
US10517187B1 (en) Modular rack assembly
KR200476243Y1 (en) Anchor frame for tower crain
KR101371732B1 (en) Cable tr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68430A (en) Sectional shelf
KR101864568B1 (en) One-touch assembly type cable tray for electrical work
KR101803723B1 (en) Cable tray
KR20100109059A (en) Rung for use of cable t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05132B1 (en) Support fixture for truss girders installation
KR101601766B1 (en) Rung of cable t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202147B2 (en) architectural hardware
KR101216322B1 (en) A side rail connect bar of cable tray
EP0752223B1 (en) Coupling device for light-duty metal set of shelves
KR100538280B1 (en) Fixing hanger for ceiling panel
KR200362776Y1 (en) Combined duct and cable tray
CN111997355A (en) Quick bolt of protection network and frame protection network of climbing
KR102317578B1 (en) Rung for the Prefabricated cable tray and the cable tray containg the r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