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332B1 -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는 3d 모바일 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는 3d 모바일 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332B1
KR101766332B1 KR1020110008383A KR20110008383A KR101766332B1 KR 101766332 B1 KR101766332 B1 KR 101766332B1 KR 1020110008383 A KR1020110008383 A KR 1020110008383A KR 20110008383 A KR20110008383 A KR 20110008383A KR 101766332 B1 KR101766332 B1 KR 101766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bile device
content layer
activated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983A (ko
Inventor
이연희
심정현
이용연
구자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8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332B1/ko
Priority to US13/114,484 priority patent/US9330489B2/en
Priority to CN201280006690.0A priority patent/CN103348760B/zh
Priority to EP12739153.0A priority patent/EP2668817B1/en
Priority to PCT/KR2012/000638 priority patent/WO2012102577A2/en
Priority to JP2013551903A priority patent/JP2014503927A/ja
Priority to BR112013018713A priority patent/BR112013018713A2/pt
Priority to AU2012209590A priority patent/AU2012209590B2/en
Publication of KR20120086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3D 모바일 기기가 개시된다. 본 기기는, 서로 다른 깊이 감을 가지면서 화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3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3D 모바일 기기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부, 3D 모바일 기기가 화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움직임 방향 및 거리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전환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는 3D 모바일 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3D MOBILE APPARATUS DISPLAYING A PLURALITY OF CONTENTS LAYERS AND DISPLA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는 3D 모바일 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기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컨텐츠 레이어를 전환할 수 있는 3D 모바일 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모바일 기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존 휴대폰에서 제공하던 서비스의 수준을 넘어서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기기의 기능이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의 양 및 종류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기기는 휴대에 편리하도록 소형으로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작은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가지는 모바일 기기 상에서 다양하고 많은 컨텐츠들을 편리하게 네비게이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들을 3D 기술로 디스플레이하며, 기기 자체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그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3D 모바일 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모바일 기기는, 서로 다른 깊이 감을 가지면서 화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3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3D 모바일 기기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부,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움직임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의 하나인 제1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의 외측으로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의 상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하여 활성화시키고,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의 내측으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의 하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하여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이면,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의 하부에 기 설정된 개수의 하위 컨텐츠 레이어를 비활성화 상태로 중복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의 하나인 제1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소멸하고, 상기 하위 컨텐츠 레이어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활성화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현재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이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움직임이 센싱되면, 상기 움직임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내의 다른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하여 활성화시키고, 상기 터치된 컨텐츠 아이콘이 릴리즈되면, 상기 전환된 컨텐츠 레이어로 상기 터치된 컨텐츠 아이콘을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과 수평한 X축을 따라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문자 메시지의 수신인 정보를 네비게이션하고,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과 수평하고 상기 X축과 수직한 Y축을 따라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스크롤하며,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X축 및 상기 Y축이 이루는 평면과 수직한 Z축을 따라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문자 메시지 송수신 이력을 네비게이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에서 현재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의 순위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는 복수의 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칸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고 가운데를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면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에서 최상위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되면 상기 복수의 칸 모두에 컬러가 표시되고, 하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될수록 최 외곽의 칸에서 컬러가 제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서로 다른 크기 및 컬러를 가지면서 각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중복 표시되고, 하나의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최상위에 표시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화면 내의 일 영역에서 각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나열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현재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표시 상태는, 나머지 이미지와 차별화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 상에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로 바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D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서로 다른 깊이 감을 가지면서 화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3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3D 모바일 기기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움직임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전환하는 전환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의 하나인 제1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의 외측으로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의 상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하여 활성화시키고,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의 내측으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의 하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이면,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의 하부에 기 설정된 개수의 하위 컨텐츠 레이어를 비활성화 상태로 중복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의 하나인 제1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시키면서 소멸시키고, 상기 하위 컨텐츠 레이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시키면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환 단계는, 현재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이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움직임이 센싱되면, 상기 움직임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내의 다른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하여 활성화시키고, 상기 터치된 컨텐츠 아이콘이 릴리즈되면, 상기 전환된 컨텐츠 레이어로 상기 터치된 컨텐츠 아이콘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방법은,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문자 메시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과 수평한 X축을 따라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상기 문자 메시지 화면 상에서 작성되는 문자 메시지의 수신인 정보를 상기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네비게이션하는 단계,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과 수평하고 상기 X축과 수직한 Y축을 따라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 화면 상에서 작성되는 상기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스크롤하는 단계,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X축 및 상기 Y축이 이루는 평면과 수직한 Z축을 따라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문자 메시지 송수신 이력을 네비게이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방법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에서 현재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의 순위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는 복수의 칸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칸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고 가운데를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면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에서 최상위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되면 상기 복수의 칸 모두에 컬러가 표시되고, 하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될수록 최 외곽의 칸에서 컬러가 제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서로 다른 크기 및 컬러를 가지면서 각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중복 표시되고, 하나의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최상위에 표시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화면 내의 일 영역에서 각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나열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현재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표시 상태는, 나머지 이미지와 차별화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인디케이터 상에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로 바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3D 모바일 기기를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움직이면서,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나 기능을 편리하게 탐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모바일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모바일 기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간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컨텐츠 레이어의 전환 및 그에 따른 인디케이터 표시 방법의 다양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컨텐츠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모바일 기기에서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 이용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3D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 및 도 11은 패닝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모바일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3D 모바일 기기(100)는 센싱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한다. 본 3D 모바일 기기(100)는 휴대폰, PDA, 게임기, 노트북 PC, 전자 책,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110)는 3D 모바일 기기(100) 자체의 움직임을 센싱한다.
센싱부(110)는 지자기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모션 감지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3D 모바일 기기(100)의 회전 여부, 3D 모바일 기기(100)의 기울어짐 정도나 3D 모바일 기기(100)의 전단부가 향하는 방위의 변화, 피치각, 요우각, 롤각 등의 변화 등과 같이, 3D 모바일 기기(100)의 움직임으로 인해 변화되는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측정하여 제어부(120)로 통지하여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센싱부(110)는 3D 모바일 기기(100)가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또는 화면 방향으로 들어가는 방향 등과 같이 화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한편, 화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센싱하기 위하여, 센싱부(110)는 외부 환경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촬상 소자로 구현된 경우 센싱부(110)는 3D 모바일 기기(100)의 화면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그 촬영 결과를 제어부(12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인식되는 얼굴의 크기가 이전 촬영 프레임의 얼굴 크기보다 커졌다면 화면으로부터 돌출된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라고 판단하고, 얼굴의 크기가 작아졌다면 화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판단은 센싱부(110)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센싱부(110)는 촬영 결과를 직접 비교하여 화면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되거나, 화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되면, 그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3D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깊이 감을 가지면서 화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3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깊이 감이란 화면을 기준으로 화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보이는 정도, 또는 화면 하측으로 매몰되어 보이는 정도를 의미한다. 즉, 3D 디스플레이 방식에 의하면,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 간의 디스패리티에 의해 사용자는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깊이 감이란 이러한 입체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레이어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동일한 깊이감으로 표시되는 레이어를 의미한다.
3D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30)는 각 컨텐츠 레이어의 이미지를 3D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한다. 3D 디스플레이 방식은 안경의 필요 여부에 따라 안경식 또는 무안경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3D 시청을 위한 전용 안경을 착용하는 안경식 3D 방식이라면, 변환부는 선택된 객체의 이미지를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으로 각각 생성한다.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란 동일한 피사체를 서로 다른 시각에서 바라본 영상을 의미한다.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서 서로 대응되는 블록 간의 거리가 입체감, 즉, 상술한 깊이감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생성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기 설정된 횟수로 교번적으로 출력한다. 제어부(120)는 별도로 마련된 동기 신호 전송유닛(미도시)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교번적인 출력 타이밍에 맞는 동기 신호를 3D 안경 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3D 안경에서 좌측 글래스 및 우측 글래스를 그 동기 신호에 맞추어 교번적으로 턴온시켜, 3D 시청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전용 안경을 필요치않는 무안경식 3D 방식이라면, 변환부는 선택된 객체의 이미지를 다시점 영상으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변환부는 영상 신호를 기준으로 초점 거리, 피사체의 깊이 등을 이용하여, 시점 변화 시에 피사체와의 거리 변화 정도, 방향 전환 정도 등을 추정한다. 변환부는 추정 결과에 따라, 기준 영상의 각 픽셀의 위치를 이동시켜 새로운 영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영상은 기준 영상과는 소정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피사체를 바라본 영상이 될 수 있다. 변환부는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다시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다시점 영상을 공간적으로 구분하여 출력하여 안경을 쓰지 않고서도 피사체와의 거리감을 느끼어, 3D 영상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9개의 다시점 영상이 생성되었다면, 각 다시점 영상을 화면의 일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마지막 9번째의 영상 출력이 끝나는 부분에서는 다시 첫번째 영상부터 출력하여 화면 전방을 향해 다양한 각도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경 없이도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시점 영상의 개수는 반드시 9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개수에 따라 디스플레이 방향의 수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다시점 영상 출력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30)는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기술 또는 렌티큘러(Lenticular)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변환부가 디스플레이부(130) 내부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부(130) 외부에 별도의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표시하는 3D 모바일 기기의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바일 기기(100)에서는 서로 다른 깊이 감을 가지는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10-1, 10-2, 10-3)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각 컨텐츠 레이어(10-1, 10-2, 10-3)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들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란 아이콘이나, UI창, 위젯 창, 문서 작성 창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객체를 의미한다.
각 컨텐츠 레이어(10-1, 10-2, 10-3)는 그 깊이 감에 따라 상위 컨텐츠 레이어(10-1), 기준 컨텐츠 레이어(10-2), 하위 컨텐츠 레이어(10-3)로 명명할 수 있다. 기준 컨텐츠 레이어(10-2)란 3D 모바일 기기(100)에서 현재 활성화 상태에 있는 컨텐츠 레이어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는 3D 모바일 기기(100)의 화면과 동일한 깊이감을 가지면서 그 화면 상에 표시되는 레이어를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상위 컨텐츠 레이어(10-1)은 그 기준 컨텐츠 레이어(10-2)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표시되는 레이어를 의미하고, 하위 컨텐츠 레이어(10-3)는 기준 컨텐츠 레이어(10-2)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매몰되어 표시되는 레이어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3D 모바일 기기(100)를 화면에 수직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레이어를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인 Z+ 방향으로 3D 모바일 기기(100)를 움직이면 상위 컨텐츠 레이어(10-1)로 전환된다. 반면, Z- 방향으로 3D 모바일 기기(100)를 움직이면 하위 컨텐츠 레이어(10-3)로 전환된다. 레이어 전환이 이루어지면, 전환된 레이어가 활성화된다. 따라서, 활성화된 레이어 상에서 컨텐츠 선택이나, 메뉴 실행 등과 같은 각종 작업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레이어의 전환 과정에서는 공간 어포던스가 주어질 수 있다. 즉, 기준 컨텐츠 레이어(10-2)가 하위 컨텐츠 레이어(10-3)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기준 컨텐츠 레이어(10-2)가 Z+ 방향으로 솟아오르면서 서서히 사라지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반면, 상위 컨텐츠 레이어(10-1)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기준 컨텐츠 레이어(10-2)가 Z- 방향으로 꺼지면서 희미하게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움직임의 속도 또는 움직임의 거리가 크다면 한꺼번에 복수 개의 컨텐츠 레이어들이 함께 전환될 수도 있다. 즉, 하위 컨텐츠 레이어(10-3)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Z+ 방향으로 일반적인 경우보다 좀 더 빨리 또는 좀 더 많이 이동시키게 되면 바로 상위 컨텐츠 레이어(10-1)가 활성화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환의 속도나 전환 단위는 움직임의 거리, 방향, 속도 등과 같은 움직임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컨텐츠 레이어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복수 개의 컨텐츠 레이어(10-1, 10-2, 10-3)들은 화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컨텐츠 레이어(10-1, 10-2, 10-3)들 상에는 컨텐츠들(11-1, 11-2, 11-3)들이 배열된다. 이에 따라, Z+ 방향으로의 이동이나, Z-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컨텐츠 레이어(10-1, 10-2, 10-3)들 간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3개의 컨텐츠 레이어 들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입체감을 가지면서 한꺼번에 나타나는 컨텐츠 레이어들에 해당한다. 즉, 전체 컨텐츠 레이어들 중에서 설정된 개수의 컨텐츠 레이어들 만이 한꺼번에 나타나고, 나머지 컨텐츠 레이어들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 하나인 제1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이면, 제어부(120)는 제1 컨텐츠 레이어의 하부에 기 설정된 개수의 적어도 하나의 하위 컨텐츠 레이어를 비활성화 상태로 중복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20)는 3D 모바일 기기(100)가 제2 방향, 즉, Z-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컨텐츠 레이어를 제1 방향, 즉, Z+ 방향으로 돌출시키면서 소멸시키고, 제1 컨텐츠 레이어의 하부에 있던 제2 컨텐츠 레이어를 Z+ 방향으로 돌출시키면서 활성화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전까지 표시되지 않고 있던 새로운 제3 컨텐츠 레이어를 제2 컨텐츠 레이어 하부에 비활성화 상태로 중복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반면, 제1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되어 있던 상태에서 Z+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컨텐츠 레이어의 상위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되고, 제1 컨텐츠 레이어는 Z- 방향으로 꺼지게 되고, 제2 컨텐츠 레이어는 아예 소멸되게 된다.
이와 같이, 2 내지 4개 정도의 컨텐츠 레이어들이 항상 함께 중복 표시될 수 있도록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최하위 컨텐츠 레이어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하부에는 더 이상의 컨텐츠 레이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중복 표시는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 2 및 도 3에서는 Z+, Z- 방향으로 명명하였으나, 움직임 자체가 끝까지 화면과 수직할 필요는 없다. 즉, 사용자가 팔을 구부려서 곡선을 그리면서, 화면 방향으로 3D 모바일 기기를 들어올리는 경우나, 반대로 팔을 펴면서 3D 모바일 기기를 내리는 경우에도 그 움직임에 따라 컨텐츠 레이어 전환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이후에 설명되는 모든 실시 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현재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가 전체 컨텐츠 레이어 중에서 몇 번째 컨텐츠 레이어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하고자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레이어에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란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에서 현재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의 순위를 나타내기 위한 아이콘, 이미지, 숫자, 또는 문자 등을 의미한다.
도 4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면서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3D 모바일 기기(100)의 화면 상에는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들(10-1, 10-2, 10-3)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면서 3D로 표시된다.
또한, 화면 상에는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에서 현재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의 순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인디케이터(13)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13)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10-1, 10-2, 10-3)가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인디케이터(13)는 전체 컨텐츠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는 복수의 칸을 포함하는 형태로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는 총 3개의 컨텐츠 레이어가 표시되며, 그에 따라 칸의 개수도 3개(즉, 13-1, 13-2, 13-3)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칸(13-1, 13-2, 13-3)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고 가운데를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면서 배열된다.
도 4의 (a)와 같이 전체 컨텐츠 레이어 중에서 최상위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되면 복수의 칸(13-1, 13-2, 13-3) 모두에 컬러가 표시된다. 여기서 컬러는 칸마다 상이할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다. 컬러가 동일할 경우에는 칸마다 컬러의 농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인디케이터(13)는 하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될수록 최 외곽의 칸에서 컬러가 제거된다. 즉, 도 4의 (a)와 같이 최상위 컨텐츠 레이어(10-1)가 표시된 상태에서 3D 모바일 기기가 Z-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4의 (b)과 같이 두 번째 컨텐츠 레이어(10-2)로 전환하고 인디케이터(13) 중에서 최 외곽의 칸(13-1)에서 컬러가 제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Z-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4의 (c)와 같이 세번째 컨텐츠 레이어(10-3)로 전환되고, 인디케이터(13)에서는 다시 최외곽의 칸(13-2)의 컬러가 제거된다. 이에 따라, 인디케이터(13)는 첫번째 칸(13-3)에만 컬러가 표시된 상태가 된다. 한편, 하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한 이후에 다시 상위 컨텐츠 레이어 방향으로 전환하게 되면, 다시 외곽 방향으로 전환되는 개수의 칸만큼 컬러 표시가 추가된다. 즉, 도 4의 (c) 상태에서 Z+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13)의 2번째 칸(13-2)까지 다시 컬러가 표시된다.
도 5는 인디케이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인디케이터는,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이미지는 서로 다른 크기 및 컬러를 가지면서 각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중복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최상위에 표시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5의 (a)와 같이 최상위 컨텐츠 레이어(10-1)가 표시된 상태라면 전체 이미지(13-1, 13-2, 13-3)가 모두 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Z- 방향으로 이동되어 두번째 컨텐츠 레이어(10-2)가 표시되면, 최상위 이미지(13-3)는 사라지고, 두번째 컨텐츠 레이어(10-2)에 대응되는 두번째 이미지(13-2)부터 마지막 이미지(13-1)까지만 표시된다. 다시 Z- 방향으로 이동되면, 도 5의 (c)와 같이 인디케이터(13)에서는 세번째 이미지(13-1)만 표시된다.
도 6은 인디케이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인디케이터(13)는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복수의 이미지(13-1 ~ 13-n)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이미지는 화면 내의 일 영역에서 각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나열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과 같이 화면 하단에 일 열로 나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현재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표시 상태는, 나머지 이미지와 차별화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6에서 총 n개의 컨텐츠 레이어 중에서 3번째 컨텐츠 레이어(10-3)가 활성화된 상태라면, 인디케이터(13)의 각 이미지 중에서 세번째 이미지(13-3)부터 4번째 이미지(13-4)까지는 사각형으로 표시되고, 나머지 이미지(13-1, 13-2, 13-5 ~ 13-n)는 원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각형으로 표시되는 이미지의 개수는 현재 화면 상에서 3D로 표시되는 컨텐츠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는 2개의 컨텐츠 레이어가 3D 방식으로 중첩 표시된 상태이므로 2개의 이미지(13-3, 13-4)만이 사각형으로 표시되었으나, 3개의 컨텐츠 레이어가 중첩 표시되는 상태라면 3개의 이미지(13-3, 13-4, 13-5)가 사각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3, 4, 5번째 이미지(13-3, 13-4, 13-5) 중에서도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10-3)에 대응되는 3번째 이미지(13-3)에 대해서는 컬러를 다르게 표시하거나 껌벅거리게 하는 등의 방식으로 식별력을 더 부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의 (a)와 같이 세 번째 컨텐츠 레이어(10-3)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Z+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6의 (b)와 같이 두 번째 컨텐츠 레이어(10-2)가 활성화되면서, 인디케이터(13) 중에서 두 번째 이미지(13-2)도 사각형으로 변경된다. 이 경우, 이전까지 사각형으로 표시되고 있던 4번째 이미지(13-4)는 원형으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컨텐츠 레이어의 전환 상태 및 현재 레이어의 순위를 인디케이터(13)를 통해 용이하게 알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20)는 인디케이터(13) 상의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로 바로 전환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도 6의 (b)와 같은 상태에서 인디케이터(13) 내에서 6번째 이미지(13-6)가 터치되면, 그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를 바로 활성화시키고, 그 하위 컨텐츠 레이어를 비활성화 상태로 하부에 중첩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3D 모바일 기기의 이동과 함께 화면 터치를 수행하여, 컨텐츠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조작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가 요구되는 상황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컨텐츠 위치 이동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두 개의 컨텐츠 레이어(10-1, 10-2)가 중첩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활성화된 첫번째 컨텐츠 레이어(10-1) 상의 컨텐츠 중 하나인 icon 6을 터치하고, Z- 방향으로 3D 모바일 기기(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터치된 icon 6의 깊이감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두 번째 컨텐츠 레이어(10-2)의 깊이감이 증대되어 활성화된다. 즉, icon 6은 두 번째 컨텐츠 레이어(10-2) 상에서 다른 아이콘들(icon 10 ~ icon 18)들과 함께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Z- 방향으로 움직이면 세번째 컨텐츠 레이어(10-3)로 전환되고, icon 6은 세번째 컨텐츠 레이어(10-3) 상에서 다른 아이콘들과 함께 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icon 6을 터치한 손가락을 떼어서 릴리즈시키면, 제어부(120)는 icon 6을 세번째 컨텐츠 레이어(10-3) 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 및 기기 이동을 함께 이용하여 편리하게 컨텐츠와 같은 객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3D 모바일 기기의 움직임에 따른 제어 동작은, 다양한 기능에 활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문자 메시지 송수신 작업이다, 워드 작업 등의 경우에도, 다양한 레이어 상에서 이러한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으며, 움직임을 이용하여 작업 수행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모바일 기기에서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화면 상에는 다양한 문자 창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문자 창의 깊이감은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컨텐츠 레이어들과 같이 각 문자 창도 복수개의 레이어로 구분되어 3D 방식으로 중복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3D 모바일 기기(100)를 화면과 수평한 X축 방향(즉,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거나, 화면과 수평하고 X축과 수직한 Y축 방향(즉,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거나, X축 및 상기 Y축이 이루는 평면과 수직한 Z축 방향(즉, 앞쪽 또는 뒤쪽)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문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방향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은 실시 예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제어부(120)는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문자 메시지의 수신인 정보를 네비게이션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하여, 수신인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반면,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스크롤시킬 수 있다. 또한, Z축을 따라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문자 메시지 송수신 이력을 네비게이션할 수 있도록, 중복 표시된 문자 창들의 활성화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따르면, "friend A"와 관련된 문자 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Z-, Z+와 같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문자 창이 변경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문자 수신인, 즉, friend A와의 사이에서 주고 받은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문자 창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문자 메시지를 한꺼번에 작성하고, 하나 또는 복수의 문자 수신인을 결정하여 한꺼번에 또는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도 8의 (a)에 따르면, 첫번째 문자 창(15-1)이 표시된 상태에서 Z-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8의 (b)와 같이 두번째 문자 창(15-2)이 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Y+ 방향으로 3D 모바일 기기(100)가 이동하면 현재 표시된 문자 창(15-2) 상에서의 내용이 스크롤된다. 이에 따라, 도 8의 (c)와 같이 두번째 문자 창(15-3)의 하부 내용이 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X- 방향으로 3D 모바일 기기(100)가 이동하면 문자 수신인이 "friend A"에서 "friend B"로 변경되고, 문자 창 역시 "friend B"에 대해서 송수신되었던 문자창(16-1, 16-2)들로 변경된다.
도 8은 문자 메시지 확인 과정에서의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문자 메시지 작성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Z+, Z-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작성 중인 문자 창을 변경하도록 하고, X+, X-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문자 수신인 변경, Y+, Y-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문자 메시지 내용 스크롤 등의 작업과 매칭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3D 모바일 기기의 움직임 방향과 그 수행 기능은 반드시 도 8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3D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따르면,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가 3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S910), 움직임이 센싱되면(S920), 그 움직임이 화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인지를 판단한다(S930). 판단 결과 수직한 움직임이라면, 움직임 방향 및 거리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의 활성화 상태를 전환한다(S940).
그 전환 방식에 대해서는 상술한 여러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각 컨텐츠 레이어의 활성화 상태를 전환하는 경우, 그 전환 상태를 알릴 수 있는 인디케이터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의 표시 형태 및 변경 방식에 대해서는 상술한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움직임 판단 결과 화면에 수직한 움직임이 아니라면, 그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950). 이 경우,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이 없다면, 별다른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상술한 문자 메시지 방법과 같이 X축 방향, Y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이 설정되어 있다면, 그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된 상태에서 3D 모바일 기기가 이동하게 되면, 그 이동에 따라 화면 또는 컨텐츠 레이어가 전환되더라도 선택된 컨텐츠의 깊이감 또는 위치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동이 멈추어 새로운 화면 또는 새로운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컨텐츠 선택이 릴리즈되면, 활성화된 새로운 화면 또는 새로운 컨텐츠 레이어 상으로 해당 컨텐츠의 위치가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역시 본 디스플레이 방법의 단계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레이어들 간의 전환은 3D 모바일 기기의 움직임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면 상에서의 패닝(panning) 동작에 의해서도 컨텐츠 레이어 전환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패닝 동작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들 중에서 하나의 컨텐츠 레이어(1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화면 중심 부근을 터치한 후 화살표와 같이 가장자리 방향으로 터치 지점을 이동시키는 패닝 동작이 이루어지면, 그에 따라 컨텐츠 레이어를 상위 또는 하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한다.
반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가장 자리 부근을 터치한 후 화살표와 같이 중심 방향으로 터치 지점을 이동시키는 패닝 동작이 이루어지면, 도 10과 반대 방향으로 컨텐츠 레이어를 전환한다. 즉, 도 10의 패닝 동작이 Z+ 이동과 같이 상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시키는 동작이라면, 도 11의 패닝 동작은 Z- 이동과 같이 하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시키는 동작이 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의 패닝 동작은 상술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과 결합되어, 3D 모바일 기기의 이동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들을 전환하기 위한 방법으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들을 전환시키면서 용이하게 컨텐츠 선택 및 활용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기록 매체가 연결되거나 탑재되는 장치에서 상술한 디스플레이 방법이 실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센싱부 12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100 : 3D 모바일 기기

Claims (22)

  1. 3D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
    서로 다른 깊이 감을 가지면서 화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3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3D 모바일 기기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부; 및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움직임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에서 현재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바일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의 하나인 제1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의 외측으로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의 상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하여 활성화시키고,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의 내측으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의 하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하여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바일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이면,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의 하부에 기 설정된 개수의 하위 컨텐츠 레이어를 비활성화 상태로 중복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바일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의 하나인 제1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소멸하고, 상기 하위 컨텐츠 레이어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활성화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바일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이며,
    상기 제어부는,
    현재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이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움직임이 센싱되면, 상기 움직임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내의 다른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하여 활성화시키고, 상기 터치된 컨텐츠 아이콘이 릴리즈되면, 상기 전환된 컨텐츠 레이어로 상기 터치된 컨텐츠 아이콘을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바일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과 수평한 X축을 따라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문자 메시지의 수신인 정보를 네비게이션하고,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과 수평하고 상기 X축과 수직한 Y축을 따라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스크롤하며,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X축 및 상기 Y축이 이루는 평면과 수직한 Z축을 따라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문자 메시지 송수신 이력을 네비게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바일 기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는 복수의 칸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칸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고 가운데를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면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에서 최상위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되면 상기 복수의 칸 모두에 컬러가 표시되고, 하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될수록 최 외곽의 칸에서 컬러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바일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서로 다른 크기 및 컬러를 가지면서 각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중복 표시되고, 하나의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최상위에 표시되도록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바일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화면 내의 일 영역에서 각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나열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현재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표시 상태는, 나머지 이미지와 차별화되도록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바일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 상에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로 바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바일 기기.
  12. 3D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깊이 감을 가지면서 화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3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3D 모바일 기기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움직임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전환하는 전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에서 현재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의 하나인 제1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의 외측으로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의 상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하여 활성화시키고,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의 내측으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의 하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하여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이면,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의 하부에 기 설정된 개수의 하위 컨텐츠 레이어를 비활성화 상태로 중복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의 하나인 제1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컨텐츠 레이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시키면서 소멸시키고, 상기 하위 컨텐츠 레이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시키면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단계는,
    현재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이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움직임이 센싱되면, 상기 움직임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내의 다른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하여 활성화시키고,
    상기 터치된 컨텐츠 아이콘이 릴리즈되면, 상기 전환된 컨텐츠 레이어로 상기 터치된 컨텐츠 아이콘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문자 메시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과 수평한 X축을 따라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상기 문자 메시지 화면 상에서 작성되는 문자 메시지의 수신인 정보를 상기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네비게이션하는 단계;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화면과 수평하고 상기 X축과 수직한 Y축을 따라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 화면 상에서 작성되는 상기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스크롤하는 단계;
    상기 3D 모바일 기기가 상기 X축 및 상기 Y축이 이루는 평면과 수직한 Z축을 따라 이동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센싱된 움직임에 따라 문자 메시지 송수신 이력을 네비게이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8. 삭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는 복수의 칸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칸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고 가운데를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면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 중에서 최상위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되면 상기 복수의 칸 모두에 컬러가 표시되고, 하위 컨텐츠 레이어로 전환될수록 최 외곽의 칸에서 컬러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서로 다른 크기 및 컬러를 가지면서 각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중복 표시되고, 하나의 컨텐츠 레이어가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최상위에 표시되도록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화면 내의 일 영역에서 각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나열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현재 활성화된 컨텐츠 레이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표시 상태는, 나머지 이미지와 차별화되도록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상에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로 바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10008383A 2011-01-27 2011-01-27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는 3d 모바일 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766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383A KR101766332B1 (ko) 2011-01-27 2011-01-27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는 3d 모바일 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13/114,484 US9330489B2 (en) 2011-01-27 2011-05-24 Mobile apparatus displaying a 3D im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201280006690.0A CN103348760B (zh) 2011-01-27 2012-01-27 用于显示包括多层的3d图像的移动设备及其显示方法
EP12739153.0A EP2668817B1 (en) 2011-01-27 2012-01-27 Mobile apparatus displaying a 3d im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and display method thereof
PCT/KR2012/000638 WO2012102577A2 (en) 2011-01-27 2012-01-27 Mobile apparatus displaying a 3d im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and display method thereof
JP2013551903A JP2014503927A (ja) 2011-01-27 2012-01-27 複数のレイヤを含む3d映像をディスプレイするモバイル機器及びそのディスプレイ方法
BR112013018713A BR112013018713A2 (pt) 2011-01-27 2012-01-27 aparelho móvel, e método de exibição de uma imagem em 3d em um aparelho móvel
AU2012209590A AU2012209590B2 (en) 2011-01-27 2012-01-27 Mobile apparatus displaying a 3D im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and display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383A KR101766332B1 (ko) 2011-01-27 2011-01-27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는 3d 모바일 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983A KR20120086983A (ko) 2012-08-06
KR101766332B1 true KR101766332B1 (ko) 2017-08-08

Family

ID=4657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383A KR101766332B1 (ko) 2011-01-27 2011-01-27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는 3d 모바일 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30489B2 (ko)
EP (1) EP2668817B1 (ko)
JP (1) JP2014503927A (ko)
KR (1) KR101766332B1 (ko)
CN (1) CN103348760B (ko)
AU (1) AU2012209590B2 (ko)
BR (1) BR112013018713A2 (ko)
WO (1) WO201210257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6500B2 (ja) * 2011-06-07 2016-05-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79856B1 (ko) * 2011-12-19 2018-07-18 주식회사 케이티 대기화면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US20130265296A1 (en) * 2012-04-05 2013-10-10 Wing-Shun Chan Motion Activated Three Dimensional Effect
JP6087608B2 (ja) * 2012-12-10 2017-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可能な装置、携帯可能な装置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034332B (zh) * 2012-12-14 2016-04-06 深圳市维尚境界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层显示书写的方法、装置和系统
KR20150033162A (ko) * 2013-09-23 2015-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포지터,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3744653B (zh) * 2013-12-20 2017-11-1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及应用图标的管理方法
CN104978104B (zh) * 2014-04-14 2018-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4159100A (zh) * 2014-07-23 2014-11-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立体显示装置和立体显示方法
KR101780792B1 (ko) 2015-03-20 2017-10-10 네이버 주식회사 만화 데이터 생성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KR102431495B1 (ko) * 2015-04-23 2022-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WO2016171467A1 (en) * 2015-04-23 2016-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tary member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11166008B2 (en) * 2016-01-15 2021-11-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content
JP2018005091A (ja) * 2016-07-06 2018-01-11 富士通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装置
JP7064173B2 (ja) * 2018-05-11 2022-05-1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0876A1 (en) 1999-04-06 2005-01-1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task gallery computer interface
US20100125816A1 (en) * 2008-11-20 2010-05-20 Bezos Jeffrey P Movement recognition as input mechanism
US20100128034A1 (en) 2008-11-25 2010-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hree dimensional image on multi-layer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01506A (fi) * 1999-10-12 2001-04-13 J P Metsaevainio Design Oy Kädessäpidettävän laitteen toimintamenetelmä
JP4325075B2 (ja) * 2000-04-21 2009-09-0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オブジェクト管理装置
US7688306B2 (en) * 2000-10-02 2010-03-3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portable device based on an accelerometer
US6914618B2 (en) * 2000-11-02 2005-07-05 Sun Micro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ducing A 3-D rotational image from A 2-D image
US7002553B2 (en) * 2001-12-27 2006-02-21 Mark Shkolnikov Active keyboard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7007242B2 (en) * 2002-02-20 2006-02-28 Nokia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FI20020847A (fi) * 2002-05-03 2003-11-04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e valikkotoimintojen käyttämiseksi
JP2004145832A (ja) * 2002-08-29 2004-05-20 Sharp Corp コンテンツ作成装置、コンテンツ編集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作成方法、コンテンツ編集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作成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編集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通信端末
US7301528B2 (en) * 2004-03-23 2007-11-27 Fujitsu Limited Distinguishing tilt and translation motion components in handheld devices
US8341541B2 (en) * 2005-01-18 2012-12-2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browsing of open windows
US7446766B2 (en) * 2005-02-08 2008-11-04 Seegrid Corporation Multidimensional evidence grids and system and methods for applying same
JP4533791B2 (ja) * 2005-04-19 2010-09-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閲覧装置
US20060253791A1 (en) * 2005-05-03 2006-11-09 Kuiken David P Simplified interactive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sorting through a stack of overlapping windows on a display in order along the Z (depth) axis
TWI291640B (en) * 2005-10-18 2007-12-21 Benq Corp Methods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es for application execution
US20080284798A1 (en) * 2007-05-07 2008-11-20 Qualcomm Incorporated Post-render graphics overlays
EP2065796A1 (en) * 2007-11-28 2009-06-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employ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to output on a display virtually stacked groups of selectable objects
US8423076B2 (en) * 2008-02-01 2013-04-16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20100138766A1 (en) * 2008-12-03 2010-06-03 Satoshi Nakajima Gravity driven user interface
CN101754036A (zh) 2008-12-19 2010-06-23 聚晶光电股份有限公司 二维/三维图像成像装置、控制方法及三维图像显示方法
KR101622307B1 (ko) 2009-07-02 201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612549B1 (ko) * 2009-07-02 2016-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가상 스크린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104275B2 (en) * 2009-10-20 2015-08-1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to display an object on a perceived 3D space
US20110157155A1 (en) * 2009-12-31 2011-06-30 Disney Enterprises, Inc. Layer management system for choreographing stereoscopic depth
US20120044259A1 (en) * 2010-08-17 2012-02-23 Apple Inc. Depth management for displayed graphical elements
CN102375660B (zh) * 2010-08-20 2013-11-06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子装置及控制其用户界面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0876A1 (en) 1999-04-06 2005-01-1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task gallery computer interface
US20100125816A1 (en) * 2008-11-20 2010-05-20 Bezos Jeffrey P Movement recognition as input mechanism
US20100128034A1 (en) 2008-11-25 2010-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hree dimensional image on multi-layer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02577A2 (en) 2012-08-02
AU2012209590B2 (en) 2016-01-28
EP2668817A4 (en) 2016-10-12
WO2012102577A3 (en) 2012-11-01
CN103348760A (zh) 2013-10-09
JP2014503927A (ja) 2014-02-13
US20120194507A1 (en) 2012-08-02
EP2668817A2 (en) 2013-12-04
BR112013018713A2 (pt) 2016-10-25
AU2012209590A1 (en) 2013-07-18
EP2668817B1 (en) 2019-12-04
CN103348760B (zh) 2017-05-10
KR20120086983A (ko) 2012-08-06
US9330489B2 (en)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332B1 (ko) 복수의 컨텐츠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는 3d 모바일 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9104275B2 (en) Mobile terminal to display an object on a perceived 3D space
KR101763263B1 (ko) 3d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 및 그 조작 방법
CN107122092B (zh) 显示装置及用于提供显示装置的图形用户界面的方法
EP242379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72872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07859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fixed objects independent of shifting background images on a touchscreen
JP4987008B2 (ja) 画像表示装置
EP2650753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1210239A (ja) 乗り物の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乗り物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ユニット
EP2525584A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30137063A (ko)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증강 현실 서비스에 대한 화면으로의 화면 전환 방법
WO201200903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ng with projected user interface
JP2011166754A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JP2008089985A (ja) 画像表示装置
JP5710381B2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0849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three-dimensional object
KR10187374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WO2008041312A1 (ja) 画像表示装置
KR1017234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950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3382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3984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439460B2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