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989B1 -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989B1
KR101765989B1 KR1020140020238A KR20140020238A KR101765989B1 KR 101765989 B1 KR101765989 B1 KR 101765989B1 KR 1020140020238 A KR1020140020238 A KR 1020140020238A KR 20140020238 A KR20140020238 A KR 20140020238A KR 101765989 B1 KR101765989 B1 KR 101765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ember
wire fixing
loop
pipe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8885A (ko
Inventor
맹찬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0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9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8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35Air-tight sea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랴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배관이 통과되는 제1연결부재 및 전선이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차량 루프의 체결공을 차단하도록 체결됨으로써, 차량 루프에 형성되는 체결홀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한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FIXING EQUIPMENT OF ROOF}
본 발명은 차랴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배관이 통과되는 제1연결부재 및 전선이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차량 루프의 체결공을 차단하도록 체결됨으로써, 차량 루프에 형성되는 체결홀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한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일반적으로 공조시스템이 구비된다. 공조시스템은 실내공기를 냉각 또는 난방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일반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구성된다. 이때, 차량의 냉방은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 순으로 이동하면서 이루어지게 된다. 압축기는 일반적으로 엔진 근처에 구비되어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압축기로부터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연결관을 따라 응축기로 유입되어 외기와 열교환 한 뒤 액화된다. 액화된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해 분무되어 액체와 기체가 섞인 구름과 같은 형태가 되고, 이때 고압의 냉매가 팽창하면서 많은 열을 잃어 저온의 냉매상태가 된다. 저온 상태의 냉매는 연결관을 따라 증발기로 유입되어, 차량 외부로부터 실내로 들어오는 외기의 열을 빼앗아 증발됨으로써, 낮은 온도의 외기를 차량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시스템의 구성은 승용차의 경우 차량의 프론트 엔드 모듈 내부에 구비되지만, 대형차량의 경우 차량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에 승용차와는 다른 위치에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대형차량에 사용되는 공조시스템은 차량 루프 상부에 응축기를 포함한 쿨링모듈이 탑재되고, 루프 하부에 증발기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04038호(2011.01.13)에 개시되어 있고, 도 1에 개시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단면도로써, 대형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쿨링모듈과 증발기가 구비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은 차량 루프(R) 상부에 응축기유닛(C)이 구비되고, 루프 하부에 증발기유닛(E)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유닛(C)은 압축냉매관(25)을 통해 증발기유닛(E)과 연결된다. 즉, 응축기유닛(C)으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압축냉매관(25)을 통해 팽창밸브(50)를 지나 증발기유닛(E)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루프(R)에는 루프 상부의 응축기유닛(C)과 루프(R) 하부의 증발기유닛(E)을 연결하는 배관 및 전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체결공이 각각 형성된다. 도 1은 압축냉매관(25)만 차량 루프(R)를 통과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종래기술은 루프(R)에 응축기유닛(C)의 송풍팬(23)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통과되는 체결공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종래 기술은 체결공을 통과하는 배관 및 전선의 고정 및 기밀을 위하여 별도의 부재가 체결공에 각각 체결되고, 배관 및 전선이 체결공에 체결된 각각의 연결부재 내부를 통과하여 응축기유닛(C)과 증발기유닛(E)을 연결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종래기술은 전선과 와이어를 각각 통과시키기 위하여 루프에 체결공을 각각 형성해야하므로 제작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기술은 연결부재의 수밀을 위한 실링부재가 복수 개 필요하여 부품 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1.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004038호(2011.01.1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배관이 통과되는 제1연결부재 및 전선이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차량 루프의 체결공을 차단하도록 체결됨으로써, 차량 루프에 형성되는 체결홀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한 루프용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연결부재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제1연결부재를 루프에 체결 시 제1연결부재가 루프의 체결공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게 고정시키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연결부재의 중공부 일측이 개방되어 제2연결부재가 중공부에 탈착하는 것이 용이한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연결부재의 중공부 내면에 볼록하거나 오목한 제1대응부가 형성되고, 제2연결부재의 외면에 제1대응부에 대응되는 형태의 제2대응부가 형성되어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가 서로 체결 시 제2연결부재가 제1연결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2연결부재의 상측 및 하측이 연장되는 한 쌍의 스토퍼가 형성되어 제2연결부재가 제1연결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단차부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루프에 고정됨으로써, 제1연결부재의 조립성을 높이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연결부재의 단차부 상부에 별도의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어 기밀성을 높이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연결부재의 제1관통부에 인접한 상측에 제2배관의 형성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돌출 형성되어 제1연결부재의 체결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는 차량 루프의 일정 영역이 중공된 체결공을 차단하도록 고정되되, 상기 차량 루프의 외측에 구비되는 응축기와 대형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를 연결하는 배관 및 상기 차량 루프의 외측에 구비되는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고정하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는, 상기 배관이 관통되는 제1관통부 및 일정 영역 중공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전선이 관통되는 제2관통부가 형성되는 제2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중공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와 함께 상기 체결공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루프탑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는, 상기 제1연결부재의 둘레면 상측 또는 하측이 돌출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는 제1배관 및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는 제2배관이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측 및 하측에서 상기 제1관통부로 삽입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중공부의 일측이 개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연결부재의 중공부 내면에 일정 영역 오목 또는 볼록한 제1대응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외면에 상기 제1대응부에 대응되는 형태의 제2대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 제2연결부재는 각각 상측 및 하측이 연장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측 및 하측과 밀착되는 한 쌍의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는, 기 단차부의 일정 영역에 제1체결홀이 형성되고,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재와 루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는, 상기 제1연결부재의 단차부 형성 영역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홀에 대응되는 제2체결홀이 중공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의 단차부와 상기 루프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제1관통부에 인접한 상면에 상기 제2배관의 형성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는 내부에 배관을 통과시키는 연결부재와 전선을 통과시키는 연결부재를 일체화여, 차량 루프에 형성되는 체결공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부품 수를 줄이고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는 제1연결부재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제1연결부재를 루프에 체결 시 제1연결부재가 루프의 체결공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는 제1연결부재의 중공부 일측이 개방되어 제2연결부재가 중공부에 탈착하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는 제1연결부재의 중공부 내면에 볼록하거나 오목한 제1대응부가 형성되고, 제2연결부재의 외면에 제1대응부에 대응되는 형태의 제2대응부가 형성되어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가 서로 체결 시 제2연결부재가 제1연결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는 제2연결부재의 상측 및 하측이 연장되는 한 쌍의 스토퍼가 형성되어 제2연결부재가 제1연결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는 단차부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루프에 고정됨으로써, 제1연결부재의 조립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는 제1연결부재의 단차부 상부에 별도의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어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는 제1연결부재의 제1관통부에 인접한 상측에 제2배관의 형성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돌출 형성되어 제1연결부재(100)의 체결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 개략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의 또 다른 실시예 단면도이다. 또,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의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제1관통부(110) 및 중공부(120)가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100); 및 제2관통부(210)가 형성되는 제2연결부재(200); 상기 제1관통부(110)를 관통하는 배관(300); 및 상기 제2관통부(210)를 관통하는 전선(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100)는 차량 루프(R)에 형성된 체결공(H)에 체결되어 내부에 응축기(C)와 증발기(E)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300)이 통과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100)는 보통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관통되는 제1관통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300)이 상기 제1관통부(110)를 지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재(100)는 차량 루프에 체결을 위한 단차부(130)가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100)는 둘레면의 상측 또는 하측이 돌출되어 단차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13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0)가 차량 루프(R)의 체결공(H)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내부에 아래에 설명할 제1체결홀(13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100)가 차량 루프(R)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재(100)는 둘레면의 상측이 돌출되어 형성될 경우, 차량 루프(R)의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상기 체결공(H)에 체결되고, 둘레면의 하측이 돌출되어 형성될 경우, 차량 루프(R)의 하부에서 상부 쪽으로 상기 체결공(H)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100)는 상기 제1관통부(110)에 근접한 위치에 중공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12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일측 끝단까지 형성되어 외부와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100) 내부에 아래에 설명될 상기 제2연결부재(200)가 체결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내부에 전선(400)이 관통되는 제2연결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부재(200)는 보통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200)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관통되는 제2관통부(210)가 형성되어, 상기 전선(400)이 상기 제2관통부(210)를 통과한다.
이때,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0)와 상기 제2연결부재(200)가 서로 체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연결부재(20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중공부(12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중공부(120)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차량 루프(R)에 상기 전선(400)이 통과되기 위한 체결공(H)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중공부(120) 내면에 볼록 또는 오목한 제1대응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200)의 외면에 상기 제1대응부(121)에 대응되는 형태의 제2대응부(2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대응부(121)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대응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연결부재(200)가 상기 제1연결부재(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제2연결부재의 상측 및 하측이 연장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상측 및 하측과 밀착되는 한 쌍의 스토퍼(2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를 AA??방향으로 자른 단면도로,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상측 및 하측에 상기 스토(230)가 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30)는 상기 제2연결부재(200)가 상기 제1연결부재(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력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대응부(220) 및 한 쌍의 스토퍼(230)가 형성된 상기 제2연결부재(20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0)와 체결시 상기 제2연결부재(200) 및 제2대응부(22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측면에서 상기 중공부(120)로 삽입되어 체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제1배관(310) 및 제2배관(320)이 구비되어, 상기 제1관통부(110) 내부로 상기 제1배관(310) 및 제2배관(320)이 각각 관통되어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0)와 상기 응축기(C)를 연결하는 상기 제1배관(310) 및 상기 제1연결부재(100)와 상기 증발기(E)를 연결하는 제2배관(320)이 구비되어, 상기 제1배관(310)이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상기 제1관통부(110)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2배관(320)이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상기 제1관통부(11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100)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1배관(310) 및 제2배관(320)은 상기 제1연결부재(100)와 브레이징 등의 체결방식으로 체결되고, 체결 후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제1관통부(110)는 냉매가 통과되는 통로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0)가 상기 차량 루프(R)에 체결된 후 상기 응축기(C)와 증발기(E)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300)을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공정 순서를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재(100)는 상기 제1관통부(110) 내부에 상기 제1배관(310) 및 제2배관(320)의 체결 시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차고정부(1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고정부(111)는 상기 제1관통부(110)의 상측 및 하측 내면이 상기 제1관통부(110)의 중심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배관(310) 및 제2배관(32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배관(310) 및 제2배관(320)이 상기 단차고정부(111)에 안착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100)와 브레이징 등의 방법으로 체결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단차부(130)에 제1체결홀(131)이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수단(B)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재(100)가 상기 차량 루프(R)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차량 루프(R)는 상기 제1체결홀(1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을 위한 홀(h)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B)은 볼트, 리벳 등의 부재일 수 있고,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300) 및 전선(400) 고정장치는 고정을 위한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체결홀(131)은 내주면이 상기 고정수단(B)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에 사용되는 고정수단(B)이 볼트일 경우 상기 제1체결홀(131)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제1체결홀(131)을 통해 상기 제1연결부재(100)가 상기 차량 루프(R)에 고정됨으로써 조립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단차부(130) 상측에는 차량 루프(R) 외부로부터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단차부(130)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재(100) 둘레를 감싸 형성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실링부재(500)에 의해 차량 루프(R) 외부로부터 수분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연결부재(100)와 제2연결부재(200)가 일체화되어 하나의 실링부재(500)만 필요로 하므로 부품수를 줄여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제1체결홀(1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홀(510)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별도의 고정수단(B)이 상기 제1체결홀(131) 및 제2체결홀(510)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100)가 차량 루프(R)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체결홀(510)은 상기 제1체결홀(131)과 마찬가지로 내주면이 상기 고정수단(B)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재(100)는 상기 제1관통부(110)의 위치에 인접한 상면으로부터 표시부(140)가 돌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제2배관(320)의 형성 방향을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연결부재(100)를 상기 차량 루프(R)에 체결 시 체결 방향이 어긋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의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증발기(E)가 2개 일 때, 상기 제1연결부재(100)에 제3관통부(1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차량 외부의 상기 응축기(C)와 연결된 상기 배관(300)이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제1관통부(110) 및 제3관통부(150)를 통과하여 차량 내부의 2개의 상기 증발기(E)로 각각 연결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증발기(E)가 2개인 경우에도 상기 차량 루프(R)에 체결공(H)을 하나만 형성하여도 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냉방시스템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차량의 엔진에 체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압축기(미도시)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기체상태의 냉매는 냉매연결관(미도시)을 따라 차량 루프 상부에 구비되는 응축기(C)로 이송되어 외기에 의해 냉각된다. 상기 응축기(C)에서 냉각된 액체상태의 냉매는 상기 배관(300)을 따라 상기 제1연결부재(100) 및 팽창밸브(V)를 통과하여 차량 내부에 구비된 증발기(E)로 유입된다. 상기 증발기(E)로 유입된 냉매는 차량 외부로부터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고, 냉각된 공기에 의해 차량 냉방이 수행된다. 외기와 열교환을 끝낸 냉매는 상기 압축기, 응축기(C), 팽창밸브(V) 및 증발기(E)를 반복 순환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팽창밸브(V)가 하나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증발기(E)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응축기(C)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관(300)이 차량 내부에서 2개로 분기되고, 각각 상기 팽창밸브(V)가 연결되며, 각각의 팽창밸브(V)와 상기 증발기(E)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팽창밸브가 상기 차량 루프(R)의 상측(외부)에 하나만 구비되고, 차량 내부에서 상기 배관(300)이 2개로 분기되어 2개의 증발기(E)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도 8에 도시한 경우의 본 발명의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차량 루프(R)의 상측에서 상기 배관(300)이 2개로 분기되어 각각 상기 제1관통부(110) 및 제3관통부(150)를 관통한 후 각각 증발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일체화되어, 상기 차량 루프(R)에 상기 배관(300) 및 전선(400)을 차량 내부로부터 외부로 통과시키기 위한 상기 체결공(H)을 하나만 형성해도 되고, 이를 통해 부품수를 줄여 자재비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조립이 용이한 장점 및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연결부재
110 : 제1관통부 111 : 단차고정부
120 : 중공부 121 : 제1대응부
130 : 단차부 131 : 제1체결홀
140 : 표시부
200 : 제2연결부재
210 : 제2관통부
220 : 제2대응부
230 : 스토퍼
300 : 배관
310 : 제1배관
320 : 제2배관
400 : 전선
500 : 실링부재
510 : 제2체결홀
1000 :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R : 차량 루프
H : 체결공
C : 응축기 E : 증발기
F :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 V : 팽창밸브

Claims (10)

  1. 차량 루프(R)의 일정 영역이 중공된 체결공(H)을 차단하도록 고정되되, 상기 차량 루프(R)의 외측에 구비되는 응축기(C)와 대형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E)를 연결하는 배관(300) 및 상기 차량 루프(R)의 외측에 구비되는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F)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400)을 고정하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배관(300)이 관통되는 제1관통부(110) 및 일정 영역 중공되는 중공부(120)가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 (100)
    상기 전선(400)이 관통되는 제2관통부(210)가 형성되는 제2연결부재 (200)로 구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200)는 상기 중공부(12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100)와 함께 상기 체결공(H)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100)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둘레면 상측 또는 하측이 돌출되는 단차부(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응축기(C)와 연결되는 제1배관(310) 및 상기 증발기(E)와 연결되는 제2배관(320)이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상측 및 하측에서 상기 제1관통부(110)로 삽입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100)는 상기 중공부(120)의 일측이 개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중공부(120) 내면에 일정 영역 오목 또는 볼록한 제1대응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200)의 외면에 상기 제1대응부(121)에 대응되는 형태의 제2대응부(2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200)는 각각 상측 및 하측이 연장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상측 및 하측과 밀착되는 한 쌍의 스토퍼(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단차부(130)의 일정 영역에 제1체결홀(131)이 형성되고, 별도의 고정수단(B)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재(100)와 상기 차량 루프(R)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단차부(130) 형성 영역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홀(131)에 대응되는 제2체결홀(510)이 중공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100)의 단차부(130)와 상기 루프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100)는 상기 제1관통부(110)에 인접한 상면에 상기 제2배관(320)의 형성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14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1000)는,
    상기 제1연결부재(100)에 상기 배관(300)이 관통되는 제3관통부(15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KR1020140020238A 2014-02-21 2014-02-21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KR101765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238A KR101765989B1 (ko) 2014-02-21 2014-02-21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238A KR101765989B1 (ko) 2014-02-21 2014-02-21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885A KR20150098885A (ko) 2015-08-31
KR101765989B1 true KR101765989B1 (ko) 2017-08-07

Family

ID=5406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238A KR101765989B1 (ko) 2014-02-21 2014-02-21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9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885A (ko)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96338A1 (ja) 複合型熱交換器
KR102378176B1 (ko)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US9200849B2 (en) Evaporator
US9568128B2 (en) Piping connection device and heat pump cycle device having same
CN108291669B (zh) 封闭用弹性体、空调装置及封闭方法
US20080202157A1 (en) Internal heat exchanger for automotive air conditioner
US11199344B2 (en) Heat exchanger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1765989B1 (ko) 루프용 배관 및 전선 고정 장치
US20090200756A1 (en) Seal structure
JP4912757B2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KR20110113810A (ko) 응축기
KR10148697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서미스터 장착구조
US10760837B2 (en) Evaporator
CN207407440U (zh) 空调器
KR100737158B1 (ko)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연결구조
KR20090056428A (ko) 오일쿨러
KR20100025194A (ko) 열교환기 및 그 제작 방법
KR20180027237A (ko) 어큐물레이터
KR101314859B1 (ko)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US11435112B2 (e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079457A (ko) 차량용 공조 부품 고정장치
KR20160123118A (ko) 차량용 응축기
BR112016017121B1 (pt) Dispositivo para fixar tubo e fio elétrico
KR101345848B1 (ko) 열교환기 고정장치
KR101826870B1 (ko) 열전모듈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