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951B1 -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951B1
KR101765951B1 KR1020110123613A KR20110123613A KR101765951B1 KR 101765951 B1 KR101765951 B1 KR 101765951B1 KR 1020110123613 A KR1020110123613 A KR 1020110123613A KR 20110123613 A KR20110123613 A KR 20110123613A KR 101765951 B1 KR101765951 B1 KR 101765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support body
inverter assembly
switching element
switching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7727A (ko
Inventor
박성준
이영훈
배병준
조성국
정경훈
김태완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9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와 회로기판 간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회로기판과 스위칭 소자 간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각종 회로 부품들에 대한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칭 소자와 상기 회로기판 간의 이격 거리에 대한 정확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회로기판과 스위칭 소자의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각 스위칭 소자의 리드들과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 간을 서로 통전시킴과 더불어 상기 각 스위칭 소자의 리드들과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inverter assembly of electromotive compressor}
본 발명은 전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위칭소자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조 기기에 사용되는 압축기는 증발기로부터 냉매를 제공받아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가스로 변환하여 응축기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차량의 공조 기기에 사용되는 압축기는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지만, 전동식 압축기의 경우는 여타의 압축기와는 달리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한다.
즉, 전동식 압축기는 압축기 내부에 모터가 구비됨과 더불어 이 모터를 제어하는 인버터가 추가로 구비되면서 상기 인버터의 동작 제어에 의한 모터의 구동에 의해 냉매의 압축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인버터 어셈블리는 외관을 이루는 서포트 바디(10)와, 상기 서포트 바디(10) 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20) 및 상기 회로기판(20)에 실장되는 각종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버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각종 소자에는 스위칭 소자(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30)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스위칭 소자(30)는 그의 동작시 다량의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반드시 방열 구조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 스위칭 소자(30)의 방열을 위해 상기 서포트 바디(10)의 일면에 방열판(11)을 구비하고, 이 방열판(11)은 서포트 바디(10)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칭 소자(30)는 상기 방열판(11)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서포트 바디(10)의 타면은 상기 회로기판(20)이 덮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20)은 상기 스위칭 소자(30)와 이격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30)의 각 리드(31)는 상기 회로기판(20)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회로기판(20)과 납땜됨으로써 서로 간의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는 스위칭 소자(30)를 회로기판(20)에 납땜한 이후에는 다시금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즉, 상기 스위칭 소자(30)의 일측면은 방열판(11)에 밀착 고정된 상태임과 더불어 회로기판(20)과 스위칭 소자(30) 간의 납땜을 제거하지 않는 이상은 상기 회로기판(20)을 상기 서포트 바디(10)로부터 분리하기가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20)과 상기 서포트 바디(10) 사이에 위치된 각종 회로 부품들에 대한 조작이나 정보를 얻기가 극히 어려워 상기 각종 회로 부품에 대한 유지 관리가 어려울 뿐 아니라 어느 한 회로 부품의 불량 발생시에는 해당 인버터 어셈블리의 전체를 교체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은 스위칭 소자(30)와 서포트 바디(10) 간의 분리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해 상기 인버터 어셈블리의 조립 순서 역시 정해진 바와 같이 진행되어야만 함으로써 공정의 개선이나 변경 등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는 회로기판(2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칭 소자(30)의 각 리드(31)들에 대한 돌출 높이가 일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해당 부위에 위치되는 커버 등의 형상에 대한 설계시 상기한 돌출 높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져야만 함으로써 인버터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두께를 최소화하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칭 소자와 회로기판 간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회로기판과 스위칭 소자 간의 분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각종 회로 부품들에 대한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위칭 소자와 상기 회로기판 간의 이격 거리에 대한 정확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압축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모터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인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어셈블리는 일면이 개구됨과 더불어 타면에는 방열판이 고정 설치되면서 외관을 형성하는 서포트 바디; 상기 서포트 바디의 개구된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서포트 바디의 타면과는 이격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서포트 바디 내의 상기 방열판에 밀착 고정됨과 더불어 그의 리드들은 상기 회로기판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스위칭 소자의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각 스위칭 소자의 리드들과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 간을 서로 통전시킴과 더불어 상기 각 스위칭 소자의 리드들과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커넥터는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에 고정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리드들이 각각 삽입되면서 통전되는 복수의 삽입부와, 상기 각 삽입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몸체부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에 납땜되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각 삽입부 간이 서로 절연될 수 있도록 절연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높이는 상기 스위칭 소자와 상기 회로기판 간의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폭은 인접된 각 스위칭 소자 간의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는 스위칭 소자가 회로기판에 직접 납땜되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 커넥터를 통해 회로기판과 통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로기판을 서포트 바디로부터 자유롭게 분리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즉, 회로기판과 서포트 바디 사이에 위치되는 각종 회로 부품에 대한 손상 발생이나 혹은, 필요에 따른 회로기판의 점검이 요구될 경우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서포트 바디로부터 분리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상기한 회로 부품의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특히, 상기한 회로기판과 서포트 바디 간을 분리하는 도중 방열판에 고정된 스위칭 소자는 그의 리드들이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된 연결 커넥터의 삽입부로부터 분리될 뿐 실질적으로 방열판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칭 소자의 손상은 발생되지 않는다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스위칭 소자 간을 연결 커넥터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인버터 어셈블리의 제조를 위한 조립 순서의 제약이 없어지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 중 연결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는 크게 서포트 바디(100)와, 회로기판(200)과, 복수의 스위칭 소자(300) 및 복수의 연결 커넥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서포트 바디(100)는 인버터 어셈블리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로써, 일면은 개구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타면은 부분적으로 개구된 통의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서포트 바디(100)의 타면은 압축기와의 밀착 결합이 이루어지는 면으로 제공되며, 해당 면에는 방열판(11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압축기 내부는 저온 상태의 냉매 가스가 존재함을 고려할 때 상기 압축기의 외벽은 상태적으로 온도가 낮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압축기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벽면에 방열판(11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서포트 바디(100) 내의 열기가 상기 방열판(110)을 통해 더욱 원활히 방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서포트 바디(100)의 개구된 일면에는 별도의 커버(500)(도 8 참조)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서포트 바디(100)의 내부를 외부 공간으로부터 구획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로기판(200)은 압축기 내의 모터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써 상기 서포트 바디(100) 내에 설치된다.
상기한 회로기판(200)은 상기 서포트 바디(100)의 개구된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서포트 바디(100)의 타면과는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200)의 외면인 상기 서포트 바디(100)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는 각종 회로가 프린팅된 상태로 제공되며, 상기 회로기판(200)과 상기 서포트 바디(100) 간의 이격 부위 내로는 상기 회로기판(200)에 실장되는 각종 회로 부품(예컨대, 각종 저항이나 소자 등)이 위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회로기판(200)에는 후술될 연결 커넥터(400)의 고정부(430)가 관통되면서 납땜될 수 있도록 복수의 통전공(210)이 관통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위칭 소자(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300)는 전기 흐름을 막거나 통하게 하는 스위칭 기능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든 고전력 스위칭용 반도체로써, 상기 회로기판(200)과 상기 서포트 바디(100)의 타면 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복수가 제공된다.
상기한 각 스위칭 소자(300)는 상기 서포트 바디(100)의 타면에 구비된 방열판에 각각 밀착 고정되며, 그의 리드(310)들은 상기 회로기판(200)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스위칭 소자(300)의 리드(310)들이 상기 회로기판(200)에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는 상기한 리드(310)들이 상기 회로기판(200)을 관통하여 통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될 연결 커넥터(400)에 접속된 상태로 상기 연결 커넥터(400)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200)과 통전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 커넥터(400)는 상기 스위칭 소자(300)와 상기 회로기판(200) 간을 서로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서포트 바디(100)의 내부 공간 중 상기 회로기판(200)과 상기 스위칭 소자(300) 사이에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연결 커넥터(400)가 상기 각 스위칭 소자(300)의 리드(310)들과는 필요에 따라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필요시 회로기판(200)을 서포트 바디(10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연결 커넥터(400)는 몸체부(410)와, 복수의 삽입부(420) 및 고정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410)는 연결 커넥터(400)의 외관을 이루는 부위로써,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 삽입부(420) 간이 서로 절연될 수 있도록 절연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몸체부(410)에는 복수의 삽입홈(411) 및 관통공(4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411)은 상기 몸체부(410)의 저면으로부터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12)은 상기 삽입홈(411)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410)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몸체부(410)의 높이는 상기 스위칭 소자(300)와 상기 회로기판(200) 간의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부(410)는 상기 스위칭 소자(300)와 상기 회로기판(200) 간이 항상 적정 거리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소자(300)와 상기 회로기판(200) 사이에 위치되는 각종 회로 부품들이 상기 회로기판(200)의 과도한 가압에 의해 손상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칭 소자(300)와 상기 회로기판(200) 간이 과도하게 이격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몸체부(410)의 폭은 인접된 각 스위칭 소자(300)에 설치되는 여타 연결 커넥터(400)의 몸체부(410) 간의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서로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결정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420)는 상기 스위칭 소자(300)의 각 리드(310)들과 통전되는 부위로써, 그의 내부로 상기 각 리드(310)들이 각각 삽입되면서 압입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삽입부(420)는 상기 몸체부(410)에 형성된 각각의 삽입홈(411) 내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30)는 상기 회로기판(200)의 통전공(210)을 관통하여 해당 부위에 통전 가능하게 납땜 고정되는 부위로써, 상기 삽입부(420)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410)의 관통공(412) 및 상기 회로기판(200)의 통전공(210)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을 정도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구조를 갖는 연결 커넥터(400)는 몸체부(410)와 삽입부(420) 및 고정부(430)를 각각 개별 구조로 형성한 후 서로 결합함으로써 그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겠지만, 상기 몸체부(410)의 경우는 복수의 삽입부(420)와 고정부(430)를 서로 통전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한 상태에서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삽입부(420)의 리드 삽입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 전체 및 상기 고정부(43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함이 그 제조 시간 및 안정적인 고정에 있어서 더욱 유리하다.
이때, 상기 몸체부(410)가 상기 고정부(430)의 일부까지 감싸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삽입부(420)가 과도하게 삽입됨을 방지하여 상기 회로기판(200)의 통전공(210)을 관통하는 고정부(430)의 돌출 높이가 모두 일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인버터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첨부된 도 6과 같이 서포트 바디(100)와, 회로기판(200)과, 스위칭소자(300) 및 연결 커넥터(400)를 각각 준비한다.
이때, 상기 연결 커넥터(400)는 사출 성형에 의해 몸체부(410)와 삽입부(420) 및 고정부(430)가 서로 일체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준비된 각 구성들 중 상기 서포트 바디(100)에 상기 스위칭 소자(300)를 서로 결합한다. 이는, 상기 스위칭 소자(300)를 서포트 바디(100) 내의 방열판(110) 표면에 밀착시킨 후 고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상기 스위칭 소자(300)의 고정은 통상적인 스크류 결합을 이용한다.
또한, 전술한 서포트 바디(100)와 스위칭 소자(300) 간의 결합 과정과는 별개로 상기 연결 커넥터(400)와 회로기판(200)을 서로 결합한다. 이는, 회로기판(200)에 연결 커넥터(400)를 이루는 고정부(430)를 관통시킨 후 상기 고정부(430)를 상기 회로기판(200)의 회로에 납땜하여 서로 통전 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는, 첨부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회로기판(200)을 서포트 바디(10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서포트 바디(100)에 고정된 스위칭 소자(300)의 각 리드(310)는 상기 회로기판(200)에 고정된 연결 커넥터(400)의 각 삽입부(420)에 일치시킨 상태로 상기 삽입부(420) 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스위칭 소자(300)의 각 리드(310)는 상기 각 삽입부(420) 내에 압입되면서 서로 통전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상기 회로기판(200)을 상기 서포트 바디(100) 내의 각 체결리브(120)에 스크류(도시는 생략됨)로 체결 고정함으로써 서로 간의 조립을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서포트 바디(100)의 개구된 외면에 커버(500)를 결합 고정하여 상기 서포트 바디(100) 내의 회로기판(200)이 설치된 공간이 외부로부터 구획되도록 함으로써 인버터 어셈블리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전술된 바와 같은 인버터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은 전술된 실시예에 따른 순서로만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스위칭 소자(300)의 각 리드(310)에 연결 커넥터(400)를 먼저 조립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커넥터(400)의 고정부(430)가 상기 회로기판(200)의 통전공(210)을 관통하도록 결합하며, 계속해서 상기 고정부(430)를 상기 회로기판(200)에 납땜하여 고정함으로써 서로 간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어셈블리의 구조는 상기 회로기판(200)과 상기 스위칭 소자(300) 간을 연결 커넥터(40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인버터 어셈블리의 제조를 위한 조립 순서의 제약이 없어지게 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인버터 어셈블리는 각종 회로 부품에 대한 손상 발생이나 혹은, 필요에 따른 회로기판(200)의 점검이 요구될 경우 상기 회로기판(200)을 상기 서포트 바디(10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그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즉, 스위칭 소자(300)가 회로기판(200)에 직접 납땜되어 고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회로기판(200)을 서포트 바디(100)의 각 체결리브(120)로부터 체결 해제한 후 외부로 당기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200)은 상기 서포트 바디(10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른 회로기판(200)의 자유로운 분리를 통해 각종 회로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나 조작 및 정보의 취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회로기판(200)과 서포트 바디(100) 간을 분리하는 도중 방열판(110)에 고정된 스위칭 소자(300)는 그의 리드(310)들이 상기 회로기판(200)에 고정된 연결 커넥터(400)의 삽입부(420)로부터 분리될 뿐 실질적으로 방열판(1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회로기판(200)과 스위칭 소자(300) 간의 강제적인 분리로 인한 상기 스위칭 소자(300)의 손상이나 상기 회로기판(200)의 손상은 발생되지 않게 된 장점을 가진다.
100. 서포트 바디 110. 방열판
1220. 체결리브 200. 회로기판
210. 통전공 300. 스위칭 소자
310. 리드 400. 연결 커넥터
410. 몸체부 411. 삽입홈
412. 관통공 420. 삽입부
430. 고정부

Claims (5)

  1. 압축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모터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인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어셈블리는
    일면이 개구됨과 더불어 타면에는 방열판(110)이 고정 설치되면서 외관을 형성하는 서포트 바디(100);
    상기 서포트 바디(100)의 개구된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서포트 바디(100)의 타면과는 이격 설치되는 회로기판(200);
    상기 서포트 바디(100) 내의 상기 방열판(110)에 밀착 고정됨과 더불어 그의 리드(310)들은 상기 회로기판(200)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300);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200)과 상기 스위칭 소자(300)의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각 스위칭 소자(300)의 리드(310)들과 상기 회로기판(200)의 회로 간을 서로 통전시킴과 더불어 상기 각 스위칭 소자(300)의 리드(310)들과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 커넥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 커넥터(400)는
    외관을 이루며 삽입홈(411) 및 관통공(412)이 형성되는 몸체부(410)와, 상기 몸체부(410) 내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홈(411) 내에 고정되어 스위칭 소자(300)의 리드(310)들이 각각 삽입되면서 통전되는 복수의 삽입부(420)와, 상기 각 삽입부(420)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관통공(412)를 통해 상기 몸체부(410)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200)을 관통하여 상기 회로기판(200)의 회로에 납땜되어 고정되는 고정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410)는,
    상기 삽입부(420)와 고정부(430)를 서로 통전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하고,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삽입부(420)의 리드 삽입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 전체 및 상기 고정부(43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10)는 상기 각 삽입부(420) 간이 서로 절연될 수 있도록 절연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10)의 높이는
    상기 스위칭 소자(300)와 상기 회로기판(200) 간의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10)의 폭은
    인접된 각 스위칭 소자(300) 간의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
KR1020110123613A 2011-11-24 2011-11-24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 KR101765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613A KR101765951B1 (ko) 2011-11-24 2011-11-24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613A KR101765951B1 (ko) 2011-11-24 2011-11-24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727A KR20130057727A (ko) 2013-06-03
KR101765951B1 true KR101765951B1 (ko) 2017-08-07

Family

ID=48857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613A KR101765951B1 (ko) 2011-11-24 2011-11-24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397A (ko) 2015-02-26 2016-09-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용 인버터 하우징 및 인버터 하우징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3148A (ja) * 2010-02-05 2011-08-25 Mitsubishi Heavy Ind Ltd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およびその組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3148A (ja) * 2010-02-05 2011-08-25 Mitsubishi Heavy Ind Ltd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およびその組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727A (ko) 201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283B1 (ko) 전동식 압축기용 인버터 어셈블리
JP4936150B2 (ja) モータ制御装置
RU2248683C2 (ru) Электронный блок управления
KR102184051B1 (ko) 납땜한 전자 출력 구성부품을 구비한 장착 어셈블리 및 모터 하우징을 구비한 상기 장착 어셈블리의 조립
US7616438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9653853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including a circuit substrate
WO2017163828A1 (ja)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2010178625A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モータ制御装置の組立方法
US20180062478A1 (en) Motor
KR102246996B1 (ko) 인버터의 전자 모듈 및 그의 장착 방법
JP2006147529A (ja) 冷却装置圧縮機の接続パッケージ
AU2010348146A1 (en) Housing base element of a multi-part housing and method for assembly of a housing
JP6646491B2 (ja) 電子回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CN110417236A (zh) 电动机驱动装置
KR101765951B1 (ko) 전동식 압축기의 인버터 어셈블리
US8654528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101886205B1 (ko)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용 원터치 체결형 소켓 어셈블리
CN116436318A (zh) 逆变器单元
JP2003086970A (ja) 電動機の駆動回路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100489973B1 (ko) 전기 접속기용 커넥터
JP2003031979A (ja) 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78474A (ja) 油封入機器と制御ユニットの取付構造
US20230299689A1 (en) Inverter unit
JP6102704B2 (ja) モータ駆動装置
JP2006191732A (ja) 回路構成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