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921B1 -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921B1
KR101765921B1 KR1020110010674A KR20110010674A KR101765921B1 KR 101765921 B1 KR101765921 B1 KR 101765921B1 KR 1020110010674 A KR1020110010674 A KR 1020110010674A KR 20110010674 A KR20110010674 A KR 20110010674A KR 101765921 B1 KR101765921 B1 KR 10176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rive shaft
passage
roto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0312A (ko
Inventor
윤영섭
이규호
송세영
김재엽
윤기한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0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92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75Brushes with an additional massag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81Brushes with a scraper, e.g. tongue scr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5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arranged in an angled position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6Gum massaging brush, i.e.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gu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로터(102)를 관통하여 구동축(1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오일연결바아(140)가 설치된다.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오일분리통로(143)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분리통로(143)와 연결로(130)을 연결하는 관통공(144)이 형성된다. 상기 오일분리통로(143)의 입구(143')는 압축기의 고속 운전 시 상기 구동축(100)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가까워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의 고속 운전 시 오일연결바아(140)의 오일분리통로(143)의 입구(143')가 구동축(100)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가까워져 오일이 함유된 냉매가 오일분리통로(143)를 통해 구동축(100)의 연결로(130)를 따라 흡입실로 유입되어 압축기의 내부를 순환하게 되므로, 크랭크실(31) 내부 온도가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속도에 따라 냉매가 유입되는 통로위치가 가변되어 오일이 섞인 냉매가 원활하게 빠져나가도록 하거나 냉매로부터 오일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이하 "압축기"라 칭함)(1)은, 다수개의 실린더보어(11)를 구비하는 실린더블럭(10)과, 상기 실린더블럭(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방하우징(30), 그리고 상기 실린더블럭(10)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하우징(5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블럭(10)에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다수개의 실린더보어(11)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보어(11)는 원통형상으로, 실린더블럭(1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실린더블럭(1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보어(11)의 내부에는 피스톤(14)이 각각 설치되어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그 사이의 공간에서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14)은 원기둥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블럭(10)의 전방에는 전방하우징(30)이 결합된다. 상기 전방하우징(30)의 후방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블럭(10)과 결합하여 그 사이에서 크랭크실(31)을 형성한다. 상기 크랭크실(31)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14)을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기구들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블럭(10)의 후방에는 후방하우징(50)이 결합된다. 상기 후방하우징(50)은 전면이 열린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블럭(10)과 결합하여 상기 실린더보어(11)로 냉매를 흡수하는 흡입실(51)과 토출실(53)을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블럭(10)과 후방하우징(50) 사이에는, 흡입실(51) 및 토출실(53)을 형성하면서, 실린더보어(11)와 토출실(53) 사이에서의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어셈블리(70)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린더보어(11)에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피스톤(14)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피스톤(14)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원은 자동차의 엔진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이다. 엔진에서의 구동력이 구동축(20)으로 전달되어 구동축(2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축(20)은 상기 전방하우징(30)의 축공(32)을 관통하여 실린더블럭(10)의 중앙에 형성된 센터보어(13)에 결합되어, 상기 엔진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기초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크랭크실(31)의 내부에는 구동축(20)이 그 중심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대략 원판형상의 로터(24)가 설치된다. 상기 로터(24)는 구동축(20)의 회전을 따라서 같이 회전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20)에는 피스톤(14)을 직선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사판(26)이 설치된다. 상기 사판(26)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동축(20)에 대한 각도가 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냉매의 압축을 위한 행정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사판(26)은 구동축(20)에 대하여 직교하거나 구동축(20)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변화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2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사판(26)은 상기 로터(24)와 힌지결합되어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는 피스톤(14)의 일측, 즉, 전방에는 사판(26)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18)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20)을 향하여 일부가 열려있는 상기 연결부(18)의 내부에는 한 쌍의 반구 형상의 슈(19)가 설치된다.
상기 사판(26)의 가장자리부분은 상기 연결부(18)의 슈(19) 사이에 결합된다. 따라서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있는 상기 사판(26)이 회전하면서 그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슈(19)를 지나게 되면, 사판(26)의 경사에 의하여 슈(19)를 구비하고 있는 연결부(18)를 통하여 피스톤(14)이 실린더보어(11)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구동축(20)에는 상기 로터(24)와 상기 사판(26)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반경사스프링(S)이 설치된다. 상기 반경사스프링(S)은 상기 구동축(20)의 외면을 둘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판(26)의 경사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20)의 내부에는 연결로(2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로(21)는 구동축(20)의 후단부에서 로터(24)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로터(24)의 내부에는 오일분리통로(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일분리통로(25)는 상기 연결로(21)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오일분리통로(25)는 사판(26)의 가변동작 시, 크랭크실(31)의 압력이 유지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직경이 결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린더보어(11) 내로 냉매가 전달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흡입실(51)로는 외부로부터 냉매가 흡입되고, 상기 흡입실(51)로 전달된 냉매는 실린더보어(11) 내부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보어(11)로 전달되어 피스톤(14)의 왕복운동과정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밸브어셈블리(70)를 통해 상기 토출실(53)로 전달되고 압축기(1)의 외부로 전달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크랭크실(31)에 잔류하고 있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는, 로터(24)에 형성된 오일분리통로(25)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오일분리통로(25)를 통과하는 냉매는 구동축(20)의 회전에 따라서 같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냉매와 같이 있던 오일은 원심력에 의하여 다시 크랭크실(31)로 회수될 것이다. 한편 냉매는 오일분리통로(25)를 통하여 연결로(21)를 따라 흐르게 되어, 밸브어셈블리(70)를 통과하여 흡입실(51)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압축기는, 로터(24)와 구동축(20)에 서로 연통하는 오일분리통로(25) 및 연결로(2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오일 분리의 효과는 충분히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압축기의 고속 운전시, 과도하게 오일을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오일의 순환율이 극히 떨어지게 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오일의 점성도 낮아지게 되므로, 압축기(1)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기의 냉각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엔진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로가 형성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크랭크실과 연결되는 입구를 가지는 오일분리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분리통로와 상기 연결로을 연결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오일연결바아; 그리고 상기 오일연결바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수단은, 고속회전 시 상기 구동축에 가까워진 상기 오일분리통로의 입구를 저속회전 시 상기 구동축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오일연결바아를 탄성지지한다.
상기 오일연결바아는, 상기 로터에 걸어지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몸통부로 구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직경은 상기 몸통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오일연결바아의 입구를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몸통부에 설치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로터 사이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축에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바아설치공과 연통되는 오일공급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공급통로는 오일연결바아의 몸통부의 외주면보다 더 큰 내주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연결로와 연통되는 보조오일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오일통로는 상기 구동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시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로터에는 구동축을 관통하여 구동축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오일연결바아가 설치되고, 상기 오일연결바아에는 구동축의 연결로와 연통되는 오일분리통로가 형성되어 압축기의 고속 운전 시 상기 오일분리통로의 입구가 상기 구동축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가까워져 오일이 함유된 냉매가 상기 오일분리통로를 통해 구동축의 연결로를 따라 흡입실로 유입되어 압축기의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실 내부 온도가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압축기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사판의 경사각도 조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사판의 경사각도 조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작용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판의 경사각도 조절과 관련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하다. 따라서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구동축(100)은 긴 바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100)은 엔진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축(100)은, 전방하우징(30)의 축공(32)을 관통하여 실린더블록(10)의 센터보어(13)에 결합되어, 상기 엔진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기초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축(100)에는 대략 원판형상의 로터(102)가 설치된다. 상기 로터(102)는 구동축(100)에 그 중심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로터(102)는 상기 구동축(100)의 회전에 따라서 같이 회전한다. 상기 로터(102)의 일측에는 힌지아암(10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100)에는 피스톤(14)을 직선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사판(110)이 설치된다. 상기 사판(110)은 상기 로터(102)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축(100)에 대해 각도가 변한다. 상기 사판(110)은 상기 로터(102)의 힌지아암(104)과 연결되는 연결아암(114)이 형성된 허브(112)와, 상기 허브(112)의 둘레에 설치되는 사판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아암(114)과 힌지아암(104)은 힌지핀(P)에 의하여 연결되어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핀(P)은 힌지아암(104)의 슬롯(104')에 연결되는데, 이는 상기 사판(110)의 각도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동축(100)에는 상기 사판(11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시(120)가 설치된다. 상기 부시(120)는 상기 구동축(100)에 대한 사판(110)의 경사각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100)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부시(120)는 상기 사판(110)이 최대경사각으로 변위될 때, 상기 로터(102)를 향해 슬라이딩한다. 즉, 상기 사판(110)이 최대경사각으로 변위될 때, 상기 허브(112)는 부시(120)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하게 되고, 상기 부시(120)는 상기 로터(102)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102)와 상기 사판(110)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반경사스프링(S)이 설치된다. 상기 반경사스프링(S)은 상기 구동축(100)의 외면을 둘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판(110)의 경사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 반경사스프링(S)은 코일 스프링이다.
상기 구동축(100)의 내부에는 연결로(13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로(130)는 상기 구동축(100)의 후단부로부터 로터(102)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연결로(130)는 오일이 분리된 냉매 또는 오일이 흡입실(51)로 이동하도록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로터(102)에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아설치공(13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바아설치공(132)은 아래에서 설명될 오일연결바아(14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바아설치공(132)의 내주면은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몸통부(142)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100)에는 오일공급통로(134)가 형성된다. 상기 오일공급통로(134)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바아설치공(132)과 연통된다. 상기 오일공급통로(134)는 오일연결바아(140)의 몸통부(142)의 외주면보다 더 큰 내주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오일연결바아(140)의 관통공(144)을 통과한 냉매가 상기 오일공급통로(134)를 통해 상기 연결로(130)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바아설치공(132)에는 오일연결바아(140)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오일연결바아(140)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오일연결바아(140)는 상기 로터(102)에 걸어지는 머리부(141)와, 상기 머리부(141)로부터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몸통부(142)로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141)의 직경은 상기 몸통부(14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몸통부(142)의 내부에는 오일분리통로(143)가 형성된다. 상기 오일분리통로(143)는 상기 몸통부(14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오일분리통로(143)는 상기 크랭크실(31)과 연통된다. 상기 오일분리통로(143)는 크랭크실(31)에 잔류하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가 유입된다.
상기 몸통부(142)에는 상기 몸통부(142)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관통공(144)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44)은 상기 오일분리통로(143)와 연통된다. 상기 관통공(144)은 상기 오일분리통로(143)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상기 연결로(130)로 유입되도록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머리부(141)와 반대되는 상기 몸통부(142)의 타측에는 리테이너(150)가 설치된다. 상기 리테이너(150)는 상기 오일연결바아(140)가 상기 로터(10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과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될 코일스프링(160)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몸통부(142)에는 코일스프링(160)이 설치된다. 상기 코일스프링(160)은 상기 로터(102)와 상기 리테이너(15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코일스프링(160)의 일단은 상기 로터(102)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리테이너(150)에 지지된다. 상기 코일스프링(160)은 상기 머리부(141)가 상기 로터(10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오일연결바아(140)는 압축기의 저속 운전 시 크랭크실(31)에 잔류하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가 유입된 상태에서 구동축(100)의 회전에 따라서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오일분리통로(143)로 유입된 냉매가 포함된 오일은 원심력에 의하여 다시 크랭크실(31)로 회수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의 고속 운전 시, 상기 오일연결바아(140)는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6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머리부(141)가 상기 로터(1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크랭크실(31)에 잔류하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는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오일분리통로(143)로 유입되는데, 상기 오일분리통로(143)의 입구(143')는 상기 구동축(100)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가까워진 상태이므로, 오일이 섞인 냉매가 상기 오일분리통로(143)로 유입되어 상기 관통공(144)을 통해 오일공급통로(134)로 빠져나와 상기 연결로(130)로 이동한다. 상기 연결로(130)를 통해 이동한 냉매는 상기 흡입실(51)로 빠져나간다. 이와 같이 되면, 오일의 순환율이 높아져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100)에는 연결로(130)와 연통되는 보조오일통로(200)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오일통로(200)는 상기 구동축(1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조오일통로(140)는 부시(12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압축기가 최대 고속 운전시 상기 사판(110)이 최소 경사각 상태가 되면,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C) 방향으로 상기 보조오일통로(200)를 통해 크랭크실(31)에 잔류하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가 유입되어 상기 흡입실(51)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오일분리통로(143)의 입구(143')보다 더 가까운 상기 보조오일통로(200)를 통해 상기 크랭크실(31)에 잔류하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가 빠져나가므로, 오일의 순환율이 높아져 압축기의 최대 고속 운전 시에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압축기에서는 엔진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데, 상기 구동축(100)이 회전되면, 상기 로터(102)가 함께 회전한다. 상기 로터(102)의 회전은 상기 힌지아암(104)과 연결아암(114)으로 연결된 사판(110)의 회전을 만들어 낸다.
이때, 압축기의 저속 운전 시, 상기 크랭크실(31)의 압력인 상기 제어밸브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아지면, 상기 사판(110)이 상기 구동축(100)에 대해 최대경사각을 가지도록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크랭크실(31)에 잔류하고 있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는,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오일분리통로(143)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오일분리통로(143)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구동축(100)의 회전을 따라서 같이 회전되는데, 이때, 냉매와 같이 있던 오일은 상대적으로 원심력에 의하여 다시 크랭크실(31)로 회수된다. 한편, 냉매는 관통공(144)을 통하여 연결로(130)를 따라 흐르게 되어, 밸브어셈블리(70)를 통과하여 흡입실(51)로 배출된다.
한편, 압축기의 고속 운전 시, 상기 크랭크실(31)의 압력이 상기 제어밸브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판(110)이 상기 구동축(100)에 대해 최소경사각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100)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오일연결바아(140)는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6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머리부(141)가 상기 로터(1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오일분리통로(143)는 상기 구동축(100)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입구(143')가 가까워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크랭크실(31)에 잔류하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오일분리통로(143)로 유입되어 상기 관통공(144)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관통공(144)을 통과한 오일이 섞인 냉매는 상기 연결로(130)를 따라 흐르게 되어, 밸브어셈블리(70)를 통과하여 흡입실(51)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의 고속 운전 시에는 상기 구동축(100)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입구(143')가 가까워진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오일분리통로(143)를 통해 크랭크실(31)에 잔류하고 있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가 상기 흡입실(51)로 배출되면서 압축기의 내부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고, 압축기의 저속 운전 시에는 상기 구동축(100)을 중심으로 입구(143')가 멀어진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오일분리통로(143)를 통해 원심력에 의하여 다시 크랭크실(31)로 회수되므로, 크랭크실(31) 내부에 오일이 충분히 머무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구동축 102: 로터
110: 사판 112: 허브
116: 사판플레이트 120: 부시
130: 연결로 132: 바아설치공
134: 오일공급통로 140: 오일연결바아
141: 머리부 142: 몸통부
143: 오일분리통로 144: 관통공
150: 리테이너 160: 코일스프링

Claims (5)

  1. 엔진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로(130)가 형성되는 구동축(100)과;
    상기 구동축(100)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로터(102);
    상기 로터(102)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축(1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크랭크실(31)과 연결되는 입구(143')를 가지는 오일분리통로(143)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분리통로(143)와 상기 연결로(130)을 연결하는 관통공(144)이 형성되는 오일연결바아(140);
    상기 오일연결바아(14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로터(102)에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바아설치공(132); 그리고
    상기 오일연결바아(1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구동축(100)의 고속회전 시 상기 구동축(100)에 가까워진 상기 오일분리통로(143)의 입구(143')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구동축(100)의 저속회전 시 상기 구동축(100)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오일연결바아(140)를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연결바아(140)는,
    상기 로터(102)에 걸어지는 머리부(141)와,
    상기 머리부(141)로부터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몸통부(142)로 구성되고,
    상기 머리부(141)의 직경은 상기 몸통부(14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입구(143')를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160)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160)은 상기 몸통부(142)에 설치되는 리테이너(150)와 상기 로터(102) 사이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00)에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바아설치공(132)과 연통되는 오일공급통로(134)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공급통로(134)는 오일연결바아(140)의 몸통부(142)의 외주면보다 더 큰 내주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00)에는 상기 연결로(130)와 연통되는 보조오일통로(200)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오일통로(200)는 상기 구동축(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시(120)에 의해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20110010674A 2011-02-07 2011-02-07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6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674A KR101765921B1 (ko) 2011-02-07 2011-02-07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674A KR101765921B1 (ko) 2011-02-07 2011-02-07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312A KR20120090312A (ko) 2012-08-17
KR101765921B1 true KR101765921B1 (ko) 2017-08-07

Family

ID=4688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674A KR101765921B1 (ko) 2011-02-07 2011-02-07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9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008A1 (ko) * 2018-09-14 2020-03-19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오일 분리 기능을 가지는 회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KR20200099761A (ko) * 2019-02-15 2020-08-25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667A1 (ko) * 2014-11-13 2016-05-19 학교법인 두원학원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2080627B1 (ko) * 2015-02-26 2020-04-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크랭크실 압력 조절장치
KR102423429B1 (ko) * 2018-03-27 2022-07-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가변 사판식 압축기
KR102641826B1 (ko) * 2018-08-21 2024-02-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가변 사판식 압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231B1 (ko) 2007-11-22 2009-03-06 학교법인 두원학원 구동축 냉매 유동기능을 가지는 용량가변형 압축기
JP2009209682A (ja) 2008-02-05 2009-09-17 Toyota Industries Corp 斜板式圧縮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231B1 (ko) 2007-11-22 2009-03-06 학교법인 두원학원 구동축 냉매 유동기능을 가지는 용량가변형 압축기
JP2009209682A (ja) 2008-02-05 2009-09-17 Toyota Industries Corp 斜板式圧縮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008A1 (ko) * 2018-09-14 2020-03-19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오일 분리 기능을 가지는 회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KR20200099761A (ko) * 2019-02-15 2020-08-25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2182775B1 (ko) 2019-02-15 2020-11-25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312A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921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US9309874B2 (en)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1607711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575462B1 (ko)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KR101692562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JPH01310181A (ja) 可動斜板式コンプレッサ
JP5140402B2 (ja) 斜板式コンプレッサ
JP2007535633A (ja) 長ピストン液圧機械
KR101731649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0606641B1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오일분리구조
KR101843756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69420B1 (ko) 오일분리기를 구비하는 사판식 압축기
KR101175269B1 (ko) 압축기의 체크밸브
KR20110035597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제어밸브
CN1250873C (zh) 压缩机
KR101741841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63979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120121482A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1599553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100091794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31646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JPH04179874A (ja) 斜板式圧縮機
KR20230071955A (ko) 사판의 스트로크 크기에 따른 가변 냉매 배출 구조를 갖는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20110101911A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1915969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