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277B1 - 재생 증발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재생 증발 열교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5277B1 KR101765277B1 KR1020150162050A KR20150162050A KR101765277B1 KR 101765277 B1 KR101765277 B1 KR 101765277B1 KR 1020150162050 A KR1020150162050 A KR 1020150162050A KR 20150162050 A KR20150162050 A KR 20150162050A KR 101765277 B1 KR101765277 B1 KR 1017652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nnel
- dry
- film
- air
- w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9/00—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in whic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y is moved successively into contact with each heat-exchange mediu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 증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 공기 유입구와 상기 외부 공기 유입구에 파형의 드라이 필름이 구성된 건채널, 상기 건채널과 인접하게 구성되어 상기 외부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며 이 외부 공기에 존재하는 물을 증발시켜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키면서 상기 건채널의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는 제1종이필름이 구성된 습채널 및 상기 건채널과 습채널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습채널 측으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제1종이필름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2종이필름과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필름이 혼합되어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필름 및 상기 이중필름을 건채널과 습채널 사이에서 파형을 이루며 배치하면서 형성되며 상기 건채널과 습채널 사이에 형성되고 채널 피치 2.0㎜의 종이소재의 물 공급 채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생 증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재질의 건채널과 종이 재질의 습채널이 대향류로 이루어진 열교환기의 습채널의 물 퍼짐성을 개선한 재생 증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발냉각장치는 물이 수증기로 상태 변화를 할 때 필요한 기화열을 주변으로부터 흡수하면서 주변의 온도를 낮추게 되는 원리를 응용한 것인바, 이런 증발을 이용한 열교환은 증발에 따른 잠열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현열교환방식에 비하여 냉각성능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증발냉각방식을 이용한 열교환은 덥고 건조한 기후조건에서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상대습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냉각효과가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4101호에는,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부; 배기부에 물의 분무를 분사하는 분무장치; 배기부 내에 설치되고, 분무가 통과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전열판과 전열판에 적층된 투습성 소재를 구비하며, 분무의 증발잠열에 의해 냉각된 배기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열교환셀; 및 열교환셀에 인접 설치되어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고 전열판으로 형성되어 냉각된 열교환셀과의 열교환으로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가 냉각되도록 하는 급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한 열교환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따르면, 증발 냉각에 의해 냉각된 공기의 최저 온도는 배기의 습구온도로 제한된다.
또한,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따르면, 열교환셀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물 적심성의 성능을 높이고자, 얇은 목화 시트를 코팅하거나, 세라믹 코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코팅의 지속성 여부에 따라 열교환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 밖에 없어 열교환기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삭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플라스틱 재질의 건채널과 종이 재질의 습채널이 대향류로 이루어진 열교환기의 습채널의 물 퍼짐성을 개선하여 습채널의 물 적심성에 대한 성능을 극대화한 재생 증발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기의 최저 온도를 이슬점 온도까지 낮출 수 있어 상대 습도가 높다 하더라도 저온의 급기를 얻을 수 있는 재생 증발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여름철 첨두부하를 경감시키며 CFC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재생 증발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접 증발효율 및 냉각열량을 향상시키고,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생 증발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 공기 유입구와, 상기 외부 공기 유입구에 파형의 드라이 필름이 구성된 건채널;
상기 건채널과 인접하게 구성되어 상기 외부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며, 이 외부 공기에 존재하는 물을 증발시켜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키면서 상기 건채널의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는 제1종이필름이 구성된 습채널; 및
상기 건채널과 습채널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습채널 측으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멤브레인;
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제1종이필름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2종이필름과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필름이 혼합되어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필름; 및
상기 이중필름을 건채널과 습채널 사이에서 파형을 이루며 배치하면서 형성되며, 상기 건채널과 습채널 사이에 형성되고, 채널 피치 2.0㎜의 종이소재의 물 공급 채널;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 공기 유입구와, 상기 외부 공기 유입구에 파형의 드라이 필름이 구성된 건채널;
상기 건채널과 인접하게 구성되어 상기 외부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며, 이 외부 공기에 존재하는 물을 증발시켜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키면서 상기 건채널의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는 제1종이필름이 구성된 습채널; 및
상기 건채널과 습채널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습채널 측으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멤브레인;
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제1종이필름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2종이필름과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필름이 혼합되어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필름; 및
상기 이중필름을 건채널과 습채널 사이에서 파형을 이루며 배치하면서 형성되며, 상기 건채널과 습채널 사이에 형성되고, 채널 피치 2.0㎜의 종이소재의 물 공급 채널;
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건채널은 유입된 외부 공기를 습채널 측으로 방출하는 공기 분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습채널은 냉각된 공기를 방출하는 내부 공기 방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필름은 100㎛의 두께를 이루는 플라스틱 필름이고, 상기 제1종이필름은 180㎛의 두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필름 및 제1종이필름의 채널 피치는 5.0㎜, 절곡 피치는 9.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건채널 및 습채널은 서로 대향류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2종이필름의 두께는 180㎛,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종이필름은 20㎛의 PET와 셀룰로오스 섬유가 서로 얽혀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종이필름의 단위 무게당 물 흡수량은 331%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재질의 건채널과 종이 재질의 습채널이 대향류로 이루어진 열교환기의 습채널의 물 퍼짐성을 개선하여 습채널의 물 적심성에 대한 성능을 극대화하여 열교환기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급기의 최저 온도를 외기의 이슬점 온도까지 낮출 수 있어 저온의 급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여름철 첨두부하를 경감시키며 CFC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접 증발효율 및 냉각열량을 향상시키고,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의 건채널과 습채널에 공기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간접 증발 타입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간접 증발 타입 열교환기의 건채널과 습채널의 증발소자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의 습채널의 종이필름 구조를 촬영한 SEM 사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의 냉각 성능과 압력 손실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의 건채널과 습채널에 공기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간접 증발 타입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간접 증발 타입 열교환기의 건채널과 습채널의 증발소자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의 습채널의 종이필름 구조를 촬영한 SEM 사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의 냉각 성능과 압력 손실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의 건채널과 습채널에 공기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간접 증발 타입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간접 증발 타입 열교환기의 건채널과 습채널의 증발소자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의 습채널의 종이필름 구조를 촬영한 SEM 사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 증발 열교환기의 냉각 성능과 압력 손실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생 증발 열교환기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건채널(100)과, 건채널(100) 사이에 구성되어 건채널(100) 측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며, 이 유입된 공기에 의해 물의 증발이 이루어지는 습채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채널(100)은 일측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외부 공기 유입구(120)가 형성되고, 타측부에 외부 공기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방출되어 습채널(200) 측으로 재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분사구(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건채널(100)은 파형을 이루며, 외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공기의 이동로를 형성하고, 이 공기 이동로에는 습채널(200)의 전열교환에 의해 공기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라이 필름(110)이 구성된다.
여기서, 드라이 필름(110)은 100㎛의 두께를 이루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된다.
습채널(200)은 건채널(100)을 통과한 외부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면서 습채널(200) 내에 존재하는 물을 증발시켜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키면서 인접하게 위치하는 건채널(100)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습채널(200)은 건채널(1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내부 공기 유입구(220)가 형성되고, 이 내부 공기 유입구(220)에는 180㎛의 두께를 이루는 종이재질의 제1종이필름(210)이 구성된다.
제1종이필름(210)은 건채널(100)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를 이슬점 온도까지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물의 적심성 즉, 종이재질의 제1종이필름(210)이 물에 적셔지는 정도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외부 공기의 냉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180㎛의 두께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1종이필름(210)이 구성된 내부 공기 유입구(220)의 일단부에는 냉각된 공기가 방출되는 내부 공기 방출구(230)가 형성된다.
이러한 건채널(100) 및 습채널(200)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 교대로 배치되며, 드라이 필름(110) 및 제1종이필름(210)의 방향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드라이 필름(110) 및 제1종이필름(210)의 채널 피치는 5.0㎜, 절곡 피치는 9.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간접 증발소자는 건채널(100)과 습채널(200)이 직교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재생 증발소자는 건채널(100)과 습채널(200)이 대향류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드라이 필름(110) 및 제1종이필름(210)의 방향이 직교 방향을 이루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접 증발 열교환기의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방향을 이루면, 재생 증발 열교환기의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건채널(100)과 습채널(200) 사이에는 이들을 구분하는 멤브레인(300)이 구성된다. 이 멤브레인(300)은 종이재로 이루어진 제2종이필름(320)과,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필름(310)이 혼합되어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300)은 건채널(100)과 습채널(200) 사이에 형성되어 습채널(200)의 하부까지 균일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채널 피치 2.0㎜의 종이소재의 물 공급 채널(330)을 포함한다. 이 물 공급 채널(330)은 이중필름을 건채널(100)과 습채널(200) 사이에서 파형을 이루며 배치함으로써 상기 건채널(100)과 습채널(200)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제2종이필름(320)의 두께는 180㎛, 플라스틱 필름(310)의 두께는 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및 제2종이필름(210, 320)은 도 5에 도시된 SEM 사진과 같이, 20㎛ 가량의 굵은 PET에 가느다란 셀룰로오스 섬유가 서로 얽혀 구조로 이루어저는 것으로, PET는 견고한 지지체역할을 하여 절곡된 형상을 유지하고, 셀룰로오스는 물이 잘 퍼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물의 퍼짐성은 종이의 흡수도(단위 무게당 물흡수량)로써 평가할 수 있다. KS M 896에 의거 종이의 흡수도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제1 및 제2종이필름(210, 320)은 331%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의 무게의 3.31배에 달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이로부터 종이의 흡수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열교환기를 이루는 각각의 건채널(100) 및 습채널(200) 형상은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건채널(100) 및 습채널(200)의 수력직경은 4.0㎜이고, 전방 풍속 3.0 m/s에서 채널 내 유동은 Reynolds 수 1,530으로 층류이다.
또한, 건채널(100) 및 습채널(200) 내 층류 유동시 열전달계수는 채널들의 형상과 경계조건에 따라 현저히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각각의 채널들의 축 방향으로는 균일 열유속 조건(H1)이 선호된다. 둘레 방향으로는 절곡 형상이 핀 역할을 하므로 벽면 온도가 연속하여 변하게 되며, 채널의 Nusselt 수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서 는 삼각형 채널의 완전 발달 Nusselt 수이고 는 단열 이등변과 등온 아랫변으로 구성된 삼각형 채널의 Nusselt 수 그리고 는 둘레가 등온인 삼각형 채널의 Nusselt 수이다. 상기 수학식1은 핀 효율이 0인 경우 로 수렴하고 핀 효율이 1인 경우 로 수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기를 이루는 각각의 건채널(100) 및 습채널(200)의 열적 입구 영역의 길이는 체역학적 입구 영역의 길이에 Prandtl 수를 곱하여 구하며, 입구영역의 Nusselt 수가 완전 발달 영역의 Nusselt 수에 비례한다고 가정하고 입구 영역의 Nusselt 수를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는 무차원 입구 길이 (=)이다. 채널 평균 열전달 계수는 입구 영역 값과 완전 발달 영역 값을 길이 평균하여 구하며, 채널 입출구 공기의 밀도 변화를 무시하면 채널 내 압력 손실은 하기의 수학식 3같다.
실험 1.
본 발명의 간접 증발소자의 간접 증발효율, 냉각열량, 습채널(200) 압력손실에 대해 건채널(100)과 습채널(200) 입구 건습구 온도를 24℃~35℃, 17℃~24℃로 유지하고 전방 풍속을 2.0 m/s에서 4.0 m/s로 변화시키며 간접 증발 효율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론 모델에 의한 예측치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속이 증가할수록 간접증발효율은 감소하고 냉각열량은 증가하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접 증발소자의 압력 손실은 풍속의 증가에 따라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간접증발효율 6%이내에서 압력 손실이 27% 이내로 발생함을 예측함을 알 수 있다.
실험 2.
본 발명의 재생증발소자의 간접증발효율, 냉각열량, 습채널 압력손실에 대해 입구 건습구 온도를 24℃~35℃로 유지하고, 전방 풍속을 2.0 m/s에서 4.0 m/s로 변화시키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론 모델의 예측치와 비교하였다.
이 때 추기비(건채널(100) 유량 중 습채널(200)로 추기되는 유량비)는 0.2로 유지하였다.
실험 결과,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속이 증가할수록 간접증발효율은 감소하고 냉각열량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손실은 풍속의 증가에 따라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3.
본 발명의 재생증발소자의 추기비에 따른 간접증발효율과 냉각열량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접증발효율은 추기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나 냉각열량은 추기비 0.2에서 최대값을 보인다.
이는 추기비가 최적값을 넘어서면 공급유량이 감소가 간접증발효율의 증가보다 큰 영향을 미쳐 냉각열량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론 모델은 본 발명의 간접 증발효율 8%이내에서 압력손실은 12% 이내에서 예측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9는 건채널 입구 건구온도의 변화가 두 소자의 간접증발효율과 냉각열량, 그리고 습채널(200)의 압력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간접 및 재생증발소자 모두 건채널(100)의 입구온도가 증가하면, 간접 증발효율이 증가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건채널(100)의 입구온도가 증가할수록 건채널(100)과 습채널(200)의 온도차가 증가하고, 따라서 간접 증발효율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건채널 110: 드라이 필름
120: 외부 공기 유입구 130: 공기 분사구
200: 습채널 210: 제1종이필름
220: 내부 공기 유입구 230: 내부 공기 방출구
300: 멤브레인 310: 플라스틱 필름
320: 제2종이필름
120: 외부 공기 유입구 130: 공기 분사구
200: 습채널 210: 제1종이필름
220: 내부 공기 유입구 230: 내부 공기 방출구
300: 멤브레인 310: 플라스틱 필름
320: 제2종이필름
Claims (9)
-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 공기 유입구와, 상기 외부 공기 유입구에 파형의 드라이 필름이 구성된 건채널;
상기 건채널과 인접하게 구성되어 상기 외부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며, 이 외부 공기에 존재하는 물을 증발시켜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키면서 상기 건채널의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는 제1종이필름이 구성된 습채널; 및
상기 건채널과 습채널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습채널 측으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멤브레인;
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제1종이필름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2종이필름과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필름이 혼합되어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필름; 및
상기 이중필름을 건채널과 습채널 사이에서 파형을 이루며 배치하면서 형성되며, 상기 건채널과 습채널 사이에 형성되고, 채널 피치 2.0㎜의 종이소재의 물 공급 채널;
을 포함하는 재생 증발 열교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채널은 유입된 외부 공기를 습채널 측으로 방출하는 공기 분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습채널은 냉각된 공기를 방출하는 내부 공기 방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증발 열교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필름은 100㎛의 두께를 이루는 플라스틱 필름이고, 상기 제1종이필름은 180㎛의 두께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증발 열교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필름 및 제1종이필름의 채널 피치는 5.0㎜, 절곡 피치는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증발 열교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채널 및 습채널은 서로 대향류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증발 열교환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종이필름의 두께는 180㎛,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증발 열교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종이필름 및 제2종이필름은 20㎛의 PET와 셀룰로오스 섬유가 서로 얽혀진 구조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증발 열교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종이필름 및 제2종이필름의 단위 무게당 물 흡수량은 3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증발 열교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2050A KR101765277B1 (ko) | 2015-11-18 | 2015-11-18 | 재생 증발 열교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2050A KR101765277B1 (ko) | 2015-11-18 | 2015-11-18 | 재생 증발 열교환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8174A KR20170058174A (ko) | 2017-05-26 |
KR101765277B1 true KR101765277B1 (ko) | 2017-08-07 |
Family
ID=5905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2050A KR101765277B1 (ko) | 2015-11-18 | 2015-11-18 | 재생 증발 열교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527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11244A (ja) * | 2008-01-25 | 2011-04-07 | アライアンス フォー サステイナブル エナジ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 除湿のために、膜に含有された液体乾燥剤を用いる間接蒸発冷却器 |
KR101451791B1 (ko) | 2013-05-28 | 2014-10-16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간접증발식 액체 냉각 장치 |
WO2015008868A1 (ja) * | 2013-07-19 | 2015-01-22 |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 微細セルロース繊維シート |
-
2015
- 2015-11-18 KR KR1020150162050A patent/KR1017652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11244A (ja) * | 2008-01-25 | 2011-04-07 | アライアンス フォー サステイナブル エナジ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 除湿のために、膜に含有された液体乾燥剤を用いる間接蒸発冷却器 |
KR101451791B1 (ko) | 2013-05-28 | 2014-10-16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간접증발식 액체 냉각 장치 |
WO2015008868A1 (ja) * | 2013-07-19 | 2015-01-22 |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 微細セルロース繊維シー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8174A (ko) | 2017-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illan | Maisotsenko cycle for cooling processes | |
Zhao et al. | Numerical study of a novel counter-flow heat and mass exchanger for dew point evaporative cooling | |
Khalid et al. | Experimental analysis of an improved Maisotsenko cycle design under low velocity conditions | |
CA2635413C (en) | Evaporative cooling device | |
Kabeel et al. | Experimental study of a novel integrated system of indirect evaporative cooler with internal baffles and evaporative condenser | |
Chen et al. | A novel evaporative cooling system with a polymer hollow fibre spindle | |
Mohammed et al. | Indirect evaporative cooling for buildings: A comprehensive patents review | |
NL2007827C2 (en) | Heat exchange matrix. | |
US20080116592A1 (en) | Method and Materials for Improving Evaporative Heat Exchangers | |
US20110209858A1 (en) | Indirect Evaporative Cooling Apparatus | |
EA007177B1 (ru) | Конденсационное охлаж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 |
Khalid et al. | Design and experimental analysis of counter-flow heat and mass exchanger incorporating (M-cycle) for evaporative cooling | |
KR101234167B1 (ko) | 열 교환 라미네이트 | |
KR20000005431A (ko) | 고효율 차등 냉곡 파이프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 |
US20070138662A1 (en) | Closed evaporative cooling tower | |
US10247483B2 (en) | Evaporative cooling device | |
KR101765277B1 (ko) | 재생 증발 열교환기 | |
CN105157447B (zh) | 闭式绝热空气冷却器 | |
US4815522A (en) | Ventilation plant | |
Ali et al. | Parametric investigation of a counter-flow heat and mass exchanger based on Maisotsenko cycle | |
CN101319807A (zh) | 一种自吸水湿帘 | |
Ismael et al. | Experimental Study of Combined Compact Evaporative Cooler with Desiccant Dehumidification | |
Kim | Heat and moisture transfer in a counter flow regenerative evaporative cooler made of plastic film/paper composite | |
CN202350283U (zh) | 全热交换单元 | |
Taleb et al. |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rmal performance of aluminum foil coated with polyester in a direct evaporative cool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