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867B1 -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 - Google Patents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867B1
KR101764867B1 KR1020160156887A KR20160156887A KR101764867B1 KR 101764867 B1 KR101764867 B1 KR 101764867B1 KR 1020160156887 A KR1020160156887 A KR 1020160156887A KR 20160156887 A KR20160156887 A KR 20160156887A KR 101764867 B1 KR101764867 B1 KR 101764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treatment tank
basket
tank
pre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혜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56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처리조는, 장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여과장치를 포함하는 제1 처리조; 및 상기 제1 처리조의 후단에 제공되고, 토사물이 수용되는 장탈착 가능한 미세입자용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PREPROCESSING TANK FOR PREVENTING FROM CLOGGING AND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에 대한 발명이다.
최근, 현대 산업 사회에서는 인구의 증가와 집중, 산업 발전, 소비 증대에 따라 에너지, 수자원, 토지, 자연 자원 등의 수요가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막대한 양의 매연, 오수, 폐기물, 유독 화합물, 소음, 진동, 방사능 물질 등이 배출되고 있으며, 이것이 넓은 지역으로 확대됨으로써 환경 오염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오염으로 인한 문제는 심각하게 인식되고 있다.
특히, 도시 노면 배수나 농경지 배수와 같이 불특정한 배출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비점오염 물질이 문제된다. 비점오염 물질은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 침식물, 축사 유출물, 교통 오염 물질, 도시 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식물의 잔여물, 지표면에 떨어진 대기 오염물질 등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러한 비점오염 물질은 비가 올 때 우수(雨水)와 함께 유출된다.
이러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 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도시 지역의 노면 배수의 경우 저류조를 설치하여 초기에 내린 비로 인해 발생한 오염 물질을 침전시킨 후 방류하도록 하고,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비료, 농약 성분이 다량 함유된 농업 배수의 경우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저류조, 습지 정화 시설, 수초대 등의 정화시설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처리시설은, 우수가 정화시설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비점오염 물질에 함유된 각종 쓰레기, 낙엽 등의 이물질에 의해 유입구가 조기에 폐색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정화시설이 처리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우수가 월류하여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쓰레기, 낙엽 등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과 작업시간이 요구되므로,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의 효율성이 줄어들고, 유지 관리비가 상승하여,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유입부가 조기에 폐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전처리조 및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적은 노동력과 짧은 시간으로 정비될 수 있는 전처리조 및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비점오염수를 공급받고, 장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여과장치를 포함하는 제1 처리조; 및 상기 제1 처리조의 후단에 제공되고, 상기 비점오염수로부터 분리된 토사물이 수용되는 장탈착 가능한 미세입자용 바스켓을 포함하는 제2 처리조를 포함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처리조의 후단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처리조에서 상기 토사물이 걸러진 비점오염수로부터 분리 침전되는 저면에 침전물을 적체시키기 위한 장홈이 저면에 형성된 제3 처리조를 더 포함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처리조는 상기 장홈과 외부를 연통하는 석션통로를 더 포함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장치는 하류를 향해 하방 경사진 하부 메쉬; 상기 하부 메쉬의 경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하방 경사진 상부 메쉬를 포함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메쉬는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여 하방 경사진 형성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메쉬는 중심부로부터 좌측 및 우측을 향하여 하방 경사진,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메쉬의 메쉬 구멍은 상기 하부 메쉬의 메쉬 구멍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장치는 사이드면에 구비되는 사이드 메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메쉬의 메쉬 구멍은 상기 하부 메쉬의 메쉬 구멍보다 크고, 상기 상부 메쉬의 메쉬 구멍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장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여과장치가 상기 제1 처리조에 장탈착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가 구비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처리조는, 미세입자용 바스켓의 저면이 상기 여과장치의 상기 하부 메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입자용 바스켓은 상류측에 구비되는 전방부 메쉬와 하류측에 구비되는 후방부 메쉬를 포함하는, 폐색 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입자용 바스켓은 토사물이 수용되는 미세입자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세입자 수용부는 상기 전방부 메쉬와 상기 후방부 메쉬의 하부에 구비되는, 폐색 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입자용 바스켓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미세입자용 바스켓이 상기 제2 처리조에 장탈착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가 구비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처리조는, 상기 상부 메쉬의 경사 하단측에 인접하게 연결되는 보조 바스켓을 더 포함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처리조에 구비되는 미세입자용 바스켓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복수 개의 상기 미세입자용 바스켓은 비점오염수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입자용 바스켓은 걸림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미세입자용 바스켓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걸림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미세입자용 바스켓의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미세입자용 바스켓에 구비되는 걸림부와 다른 위치에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기재된 전처리조; 제1 여과부 및 제2 여과부를 구비하는 정화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화조는 상기 전처리조의 하류에 구비되어 상기 전처리조에서 처리된 비점오염수를 전달받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유입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조는 상기 유입로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처리조 및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이 조기에 폐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처리조에 의해 비점오염수가 전처리(pre-treat)되어 전처리조 후단의 정화조가 비점오염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처리조 및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은 기계적 설비를 통하여 정비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시설물을 나타내는 개념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의 전처리조 및 비점오염 시설물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처리조의 평면도다.
도 4는 도 2의 전처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전처리조에 구비되는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여과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전처리조에 구비되는 미세입자용 바스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의 바스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와 보조바스켓을 나타내는 개념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여과장치와 보조바스켓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의 평면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의 평면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공급', '전달', 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공급, 전달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10)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시설물을 나타내는 개념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1)이 도로, 농지 등의 주변에 마련되는 메인 수로(2)에 연결되고, 메인 수로(2)로부터 흘러나오는 비점오염물이 포함된 우수(비점오염수)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1)은 메인 수로(2)와 연결되어 비점오염수를 유입하는 유입로(10), 유입로(10)에서 통하여 유입되는 비점오염수를 처리하는 전처리조(20), 및 전처리조(20)의 하류에 구비되는 정화조(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로(10)는 메인수로(2)와 전처리조(20)를 연결하며, 전처리조(20)를 향해 아래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유입로(10)에는 메인수로(2)의 비점오염수가 선택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폐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처리조(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정화조(30)는 전처리조(20)의 하류에 구비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비점오염수를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정화조(30)는 침전부(31)와 여과부(32)를 포함할 수 있고, 여과부는 다양한 형태를 여과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과부에 구비되는 여과재는 복수 개의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 개의 여과재 층은 가로 또는 세로로 배치되도록 카트리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화조(30)의 여과부(32)는 상류측에 쇄석, 자갈, 우드칩, 굶은 모래와 같이 투과율이 높은 조대입자층을 여과재로서 구비하는 제1 여과부, 하류측에 미세 모래, 점토와 같이 투과율이 낮은 미세입자층을 여과재로서 구비하는 제2 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정화조(30)의 하부에는 배수로가 구비되어 여과된 비점오염수가 지반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화조(30)는 비점오염수에 포함된 비점오염 물질을 물리적, 화학적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유입로(10)와 정화조(30)의 사이에는 전처리조(20)가 구비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처리조(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처리조의 평면도며, 도 4는 도 2의 전처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전처리조에 구비되는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여과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전처리조에 구비되는 미세입자용 바스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전처리조(20)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1)로 유입된 비점오염수가 정화조(30)에서 처리되기에 앞서, 각종 쓰레기, 낙엽, 먼지, 토사물, 중금속 등의 이물질을 비점오염수로부터 물리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전처리조(20)는 여과장치(101)를 포함하는 제1 처리조(100); 제1 처리조(100)의 후단에 제공되고 토사물이 수용될 수 있는 토사물 바스켓(201)을 포함하는 제2 처리조(200); 및 제2 처리조(200)의 후단에 제공되는 제3 처리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처리조(100)에서는 담배꽁초 등의 일반 쓰레기 및 낙엽 등의 큰 크기 및 중간 크기의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고, 제2 처리조(200)에서는 주변 농경지, 트럭의 낙하물 등의 토사 등의 미세입자가 여과될 수 있으며, 제3 처리조(300)에서는 중금속 등의 고비중 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제1 처리조(100)는 유입로(10)를 통해 유입되는 비점오염수로부터 담배꽁초 등의 일반 쓰레기 및 낙엽과 같은 큰 크기 및 중간 크기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처리조(100)는 여과장치(101)와, 이러한 여과장치(101)가 장착될 수 있는 제1 설치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설치부(102)는 토지에 매설된 웅덩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과장치(10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여과장치(101)의 하부메쉬(110)는 이러한 설치부(102)에 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메쉬(110)가 하류를 향해 아래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경우 제1 설치부(102)의 저면도 하류를 향해 아래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설치부(102)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될 수 있다.
여과장치(101)는 제1 설치부(102)에 선택적으로 장착, 탈거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과장치(101)는 하면에 구비되는 하부 메쉬(110), 상부 메쉬(120), 하부 메쉬(110)와 상부 메쉬(120)의 사이의 사이드면에 해당하는 둘레부에 구비되는 사이드 메쉬(130), 및 이들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과장치(101)의 프레임 및 메쉬는 스테인레스, 아연도금, PVC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하부 메쉬(110)는 제2 처리조(200)가 구비된 하류를 향해 아래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메쉬(110)는 상부 메쉬(120) 및 사이드 메쉬(130) 보다 작은 크기의 메쉬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비점오염수에 포함된 이물질 중간 크기의 이물질은 하부메쉬(110)로 인해 여과장치(101) 내에 남아있게 되고, 이물질 중 토사물, 중금속과 같이 작은 크기의 이물질과,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수는 하부 메쉬(110)를 통하여 여과장치(101) 외부로 보다 쉽게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작은 크기의 이물질은 사이드 메쉬(130)의 메쉬 구멍과 같거나 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이물질을 의미한다. 한편, 여과장치(101)의 외부로 빠져나간 작은 크기의 이물질과 비점오염수는 제1 처리조(100)의 제1 설치부(102) 저면의 경사를 따라 하류로 흘러나갈 수 있다. 한편, 하부 메쉬(110)로 인해 여과장치(101)가 제1 설치부(102)에서 탈거될 때, 오염수가 보다 용이하게 여과장치(101)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상부 메쉬(120)에는 개폐유닛(122)이 구비되고, 여과장치(101)는 상부 메쉬(1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유닛(122)은 예를 들어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 상부 메쉬(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 메쉬(120)는 하부 메쉬(110)의 경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아래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메쉬(120)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중심부로부터 좌,우측의 양쪽을 향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메쉬(120)가 힌지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여과장치(101)에는 아래로 회전한 상부 메쉬(120)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부는 사이드 메쉬(130)의 상부일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메쉬(120)는 기울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더욱 넓은 여과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메쉬(120)는 유입로(10)의 하부에 위치하여, 비점오염수에 포함된 이물질 중 대형 쓰레기, 낙엽과 같이 큰 크기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큰 크기의 이물질은 상부 메쉬(120)의 메쉬 구멍보다 크기가 큰 이물질을 의미한다.
사이드 메쉬(130)는 여과장치(101)의 둘레부(사이드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장치(101)는 사각기둥 형상의 둘레부를 가질 수 있고, 사이드 메쉬(130)는 여과장치(101)의 좌측부, 우측부, 전방부 및 후방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부는 유입로(10)가 구비된 상류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부는 상류의 반대인 하류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좌측부 및 우측부는 이러한 전방부에 대한 좌측 및 우측 방향을 의미한다. 사이드 메쉬(130)는 상부 메쉬(120)의 메쉬 구멍보다 작고, 하부 메쉬(110)의 메쉬 구멍보다 큰 크기의 메쉬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방부 및 후방부의 사이드 메쉬(130)는 상부 메쉬(120)보다 위쪽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연장 형성된 전방부 및 후방부의 사이드 메쉬(130)는 전처리조(20)를 정비하기 위해 여과장치(101)를 탈거할 때에 상부 메쉬(120) 위에 여과된 큰 크기의 이물질이 여과장치(101)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이드 메쉬(130)는 여과장치(101) 내부로 유입된 중간 크기의 이물질이 여과장치(101)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중간 크기의 이물질은 사이드 메쉬(130)의 메쉬 구멍보다 크기가 크고, 상부 메쉬(120)의 메쉬 구멍보다 크기가 같거나 작은 이물질을 의미한다. 한편, 여과장치(101)가 제1 처리조(100)에서 탈거될 때, 비점오염수에 포함된 중간 크기의 이물질은 여과장치(101) 내에 남아있게 되고, 작은 크기의 이물질과 비점오염수는 사이드 메쉬(130)를 통하여 여과장치(101) 외부로 보다 쉽게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 처리조(100)에는 여과장치(101)가 제1 처리조(100)의 제1 설치부(102)에 장착, 탈거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14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가이드(1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140)는 여과장치(101)에 제공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41) 및 제1 처리조(100)의 제1 설치부(102)에 제공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예로, 제1 가이드(140)는 제1 처리조(100)의 설치부(102)에 제공되는 돌출부(141) 및 여과장치(101)에 제공되는 오목부(142)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과장치(101)에는 걸림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장치(101)에 구비되는 걸림부와 후술하는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에 구비되는 걸림부와의 구별을 위해, 여과장치(101)에 구비되는 걸림부를 제1 걸림부(150)라 하고,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에 구비되는 걸림부를 제2 걸림부(250)라 한다. 제1 걸림부(150)가 유압 크레인 등의 기계적 장비와 연결되어 여과장치(101)가 보다 용이하게 탈거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걸림부(15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걸림부(150)는 여과장치(101)의 전방, 후방측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처리조(100)의 여과장치(101)는 큰 크기의 이물질을 상부 메쉬(110)의 상부에서 여과하고 중간 크기의 이물질을 하부 메쉬(120)와 사이드 메쉬(130)에서 여과할 수 있다.
제2 처리조(200)는 제1 처리조(100)의 후방부에 구비되어 제1 처리조(100)에서 여과되지 않은 토사, 영양물질 등의 작은 크기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처리조(200)는 미세입자용 바스켓(201)과, 이러한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이 장착되는 제2 설치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설치부(202)는 토지에 매설된 웅덩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설치부(202)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2 설치부(202)의 바닥면은 제1 설치부(102)의 바닥면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처리조(200)의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은 제2 설치부(202)에 선택적으로 장착, 탈거 가능하게 구성된다.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은 하부에 토사가 수용될 수 있는 미세입자 수용부(210) 및 이러한 미세입자 수용부(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둘레부 메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입자 수용부(210)는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의 저면과 측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은 스테인레스, 아연도금, PVC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둘레부 메쉬(220)는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의 둘레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둘레부 메쉬(220)는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의 상류측에 구비되는 전방부 메쉬(221)와 하류측에 구비되는 후방부 메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부 메쉬(221)의 메쉬 구멍은 여과장치(101)의 사이드 메쉬(130)의 구멍과 대략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또한, 후방부 메쉬(222)이 메쉬 구멍은 여과장치(101)의 사이드 메쉬(130)의 구멍보다 더 작은 크기일 수 있다. 후방부 메쉬(222)는 미세입자용 바스켓(201) 내부로 유입된 작은 크기의 이물질 중 토사물, 영양물질 등의 미세입자가 제3 처리조(300)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입자용 바스켓(201) 내부로 유입된 작은 크기의 이물질 중 미세입자보다 크기가 더욱 작은 초미세입자만이 제3 처리조(300)로 흘러나가게 되며, 이러한 초미세입자는 중금속 등의 고비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처리조(100)에서 여과되지 않은 작은 크기의 이물질 중 미세입자는 제2 처리조(200)의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의 하부에 가라앉아 미세입자 수용부(210)에 적체될 수 있다. 이처럼, 전처리조(20)는 제2 처리조(200)를 통하여 토사 등의 미세입자를 처리함으로써 하류에 구비되는 정화조(30)가 비점오염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처리조(200)에는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이 제2 처리조(200)의 제2 설치부(202)에 장착, 탈거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24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 가이드(2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240)는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에 제공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41) 및 제2 처리조(200)의 제2 설치부(202)에 제공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예로, 제2 가이드(240)는 제2 처리조(200)의 제2 설치부(202)에 제공되는 돌출부(241) 및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에 제공되는 오목부(242)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에는 제2 걸림부(25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걸림부(250)가 유압 크레인 등의 기계적 장비와 연결되어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이 보다 용이하게 탈거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걸림부(25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걸림부(250)는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의 전방, 후방측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처리조(300)는 비점오염수와 함께 제2 처리조(200)로부터 빠져나온 초미세입자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초미세입자는 예를 들어 중금속과 같은 고비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처리조(300)는 바닥부에 장홈(3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장홈(310)은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제3 처리조(300)의 바닥에 가라앉은 고비중물질은 장홈(310)에 모일 수 있다. 또한, 제3 처리조(300)에는 장홈(310)과 연통하는 석션통로(320)가 제공될 수 있다. 석션통로(32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흡입장치가 주입되어 장홈(310)에 적체된 고비중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흡입장치의 흡입구가 석션통로(32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흡입장치가 장홈(310)의 고비중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게 된다. 도로로부터 유입되는 비점오염수는 일반적으로 다량의 중금속을 함유하므로, 전처리조(20)는 제3 처리조(300)를 통하여 이러한 중금속을 비점오염수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처럼 전처리조(20)에서 중금속을 처리함으로써 하류에 구비되는 정화조(30)가 비점오염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20)는 물리적으로 이물질을 여과하여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1)이 조기 폐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처리조(20)의 하류에 구비되는 정화시설이 비점오염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처리조(20)는 비점오염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그 크기에 따라 물리적으로 여과할 수 있고, 물리적으로 여과된 이물질은 기계적 장치를 통하여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20)는 적은 노동력과 빠른 속도로 정비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처리조 및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가 내리는 경우, 대지의 비점오염수는 상대적으로 저지대에 구비되는 메인수로(2)로 유입된다. 비점오염수가 메인수로(2)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비점오염수는 지면 등에 산재되어 있는 비점오염 물질들을 함유하게 된다. 이러한 비점오염 물질은 각종 쓰레기, 낙엽, 먼지, 토사물, 중금속 등의 이물질을 포함한다. 메인수로(2)로 유입된 비점오염수는 메인수로(2)에 연결된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1)에 유입된다.
비점오염수는 각종 이물질을 함유하는 비점오염 물질과 함께 유입로(10)에 유입되어 전처리조(20)의 제1 처리조(100)의 상부로 배출된다. 비점오염수는 제1 처리조(100)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어 제1 처리조(100)에 구비된 여과장치(101)의 상부 메쉬(120)를 통과한다. 비점오염수에 포함된 큰 크기의 이물질은 상부 메쉬(120)에서 여과되고, 중간 크기의 이물질 및 이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은 비점오염수와 함께 여과장치(101)의 내부로 유입된다.
여과장치(101) 내에 유입된 중간 크기의 이물질은 사이드 메쉬(130)에 여과되어 여과장치(101)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고 여과장치(101) 내에 남아있게 된다. 한편, 비점오염수와 작은 크기의 이물질은 여과장치(101)의 사이드 메쉬(130)를 통과하여 제2 처리조(200)로 유입된다. 제2 처리조(200)로 흘러나간 작은 크기의 이물질 중에서, 토사물, 영양물질 등의 미세입자는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의 둘레부 메쉬(220)에 의해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의 내부에 수용된다. 토사물, 영양물질 등의 미세입자는 중금속보다 상대적으로 큰 입자크기를 가지므로, 둘레부 메쉬(220)의 후방부 메쉬(222)에 여과되어 제3 처리조(300)로 흘러나는 것이 방지되고, 중금속 등의 고비중물질은 후방부 메쉬(222)를 통과하여 제3 처리조(300)로 흘러나간다. 미세입자용 바스켓(201) 내부의 미세입자는 미세입자용 바스켓(201) 하부에 마련되는 미세입자 수용부(210)에 가라앉는다. 한편 비점오염수와 함께 제2 처리조(200)를 빠져나간 초미세입자는 제3 처리조(300)로 유입된다. 초미세입자 중 고비중물질은 제3 처리조(300)의 바닥에 가라앉게 되고, 제3 처리조(300)의 바닥의 장홈(310)에 쌓이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큰 크기의 이물질은 제1 처리조(100)의 여과장치(101)의 상부 메쉬(120)에 여과되고, 중간 크기의 이물질은 여과장치(101) 내부에 여과될 수 있다. 또한, 작은 크기의 이물질 중 미세입자는 제2 처리조(200)에서 여과되어 미세입자 수용부(210)에 가라앉으며, 더욱 작은 크기를 가지는 초미세입자 중 고비중 물질은 제3 처리조(300)의 바닥에 가라앉게 된다.
이러한 전처리조(20)는 기계설비를 통하여 정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처리조(100)의 여과장치(101)는 유압크레인과 같은 리프트 설비를 통하여 제1 처리조(100)의 설치부(102)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여과장치(101)가 제1 처리조(100)에서 탈거될 때, 비점오염수에 포함된 이물질 중 중간 크기 정도의 이물질은 여과장치(101) 내에 남아있게 되고, 이물질 중 토사물, 중금속과 같이 작은 크기의 이물질과 비점오염수는 하부 메쉬(110)를 통하여 여과장치(101)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여과장치(101)의 외부로 빠져나간 작은 크기의 이물질과 비점오염수는 제1 처리조(100)의 설치부(102)의 저면의 경사를 따라 하류로 흘러나갈 수 있다. 이처럼, 여과장치(101) 내에는 작은 크기의 이물질이 남아있지 않고, 탈거되는 과정에서 비점오염수가 여과장치(101)의 외부로 빠져나가므로, 여과장치(101)는 더욱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다. 탈거된 여과장치(101)는 이물질이 제거된 후 제1 처리조(100)의 설치부(102)에 다시 장착될 수 있다.
제2 처리조(200)의 미세입자용 바스켓(201)도 유압크레인과 같은 리프트 설비를 통하여 제2 처리조(200)의 제2 설치부(202)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이 제2 처리조(200)에서 탈거될 때, 작은 크기의 이물질 중 미세입자는 여과장치(101) 내에 남아있게 되고, 이보다 크기가 작은 초미세입자와 비점오염수는 둘레부 메쉬(220) 를 통하여 여과장치(101)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처럼, 미세입자용 바스켓(201) 내에는 초미세입자는 남아있지 않고, 탈거되는 과정에서 비점오염수가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의 외부로 빠져나가므로,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은 더욱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다. 탈거된 미세입자용 바스켓(201)는 미세입자 수용부(210)에 적체된 미세입자가 제거된 후 제2 처리조(200)의 제2 설치부(202)에 다시 장착될 수 있다.
제3 처리조(300)의 바닥에 적체된 고비중물질은 흡입장치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제3 처리조(300)의 석션통로(320)는 고비중 물질이 적체되어 있는 장홈(31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흡입장치는 이러한 석션통로(320) 내에 주입되어, 흡입장치의 흡입구가 장홈(310)의 고비중물질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3 처리조(300)는 이러한 흡입장치가 가동되어 장홈(310)에 적체된 고비중물질을 제3 처리조(300)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정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전처리조(20)가 제1 처리조(100), 제2 처리조(200) 및 제3 처리조(300)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1)이 설치되는 장소의 특성, 전처리조(20)가 처리하는 전처리대상물 등에 따라 전처리조(20)는 제1 처리조(100), 제2 처리조(200) 및 제3 처리조(300)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처리조(20)는 제3 처리조(300) 없이 제1 처리조(100) 및 제2 처리조(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처리조(100)의 여과장치(101)와 제2 처리조(200)의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이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제1 처리조(100)의 구조가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원용한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의 바스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여과장치(101)의 후방부에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이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여과장치(101)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사이드 메쉬(130) 및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의 전방부 메쉬(221)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여과장치(101)와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의 사이에는 하나의 메쉬가 구미될 수 있으며, 사이에 구비되는 메쉬의 메쉬 구멍은 여과장치(101)의 상부메쉬(120)의 메쉬 구멍 보다 작고, 여과장치(101)의 하부메쉬(110)의 메쉬 구멍 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여과장치(101)와 미세입자용 바스켓(201)도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걸림부는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걸림부(150)는 여과장치(101)의 전방부에 마련되고, 제2 걸림부(250)는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의 좌측부, 우측부 및 후방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여과장치(101)와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을 탈거할 경우, 미세입자 수용부(210)에 미세입자와 비점오염수가 함께 수용되어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측에 상대적으로 많은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제2 걸림부(250)가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의 좌측부, 우측부 및 후방부에 마련됨으로써, 유압크레인과 같은 리프트 설비가 미세입자용 바스켓(201) 쪽으로 편중된 하중을 가지는 일체형 바스켓을 보다 안정적으로 탈거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처리조(100)가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제1 처리조(100)의 구조가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원용한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와 보조바스켓을 나타내는 개념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여과장치와 보조바스켓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의 평면도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처리조(100)에 장착, 탈거될 수 있는 여과장치(101)는 하부메쉬(110), 상부 메쉬(120) 및 사이드 메쉬(1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 메쉬(120)는 좌측 및 우측 중 하나 이상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조(100)는 상부 메쉬(120)가 아래를 향해 기울어진 측으로 제공되는 보조 바스켓(1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메쉬(120)가 좌측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 경우, 보조 바스켓(103)은 여과장치(101)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상부 메쉬(120)가 중앙부로부터 좌측,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 경우, 보조 바스켓(103)은 여과장치(101)의 좌측과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바스켓(103)은 여과장치(101)에서 수용할 수 있는 양을 초과하여 큰 크기의 이물질이 다량으로 유입될 경우, 이러한 큰 크기의 이물질을 보조적으로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여과장치(101)의 상부 메쉬(120)에서 큰 크기의 이물질이 지나치게 많은 양이 적체될 경우, 큰 크기의 이물질은 상부 메쉬(120)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보조 바스켓(103)으로 유입됨으로써, 여과장치(101)의 상부 메쉬(120) 위쪽의 큰 크기의 이물질이 보조 바스켓(103)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바스켓(103)의 저면(160)은 여과장치(101)의 하부 메쉬(110) 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바스켓(103)의 하부는 여과장치(101)를 향해 아래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바스켓(103)의 저면(160)의 경사 하부는 여과장치(101)의 하부 메쉬(110)의 경사 상부보다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바스켓(103)에 중간 크기의 이물질과 작은 크기의 이물질은 보조 바스켓(103)의 저면(160)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가고 여과장치(101)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바스켓(103)과 여과장치(101)의 사이에 개재 메쉬(170)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개재 메쉬(170)는 메인 여과부(101)와 보조 바스켓(103)의 둘레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개재 메쉬(170)의 메쉬 구멍은 상부 메쉬(120)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메쉬 구멍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재 메쉬(170)는 전후방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보조 바스켓(103)은 여과장치(101)와 독립적으로 탈착,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여과장치(101)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처리조(100)의 설치부(102)는 여과장치(101)와 보조 바스켓(103)을 함께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처리조(200)의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차이점을 위주로 제4 실시예를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원용한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의 평면도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처리조(200)의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 개의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은 독립적으로 장착, 탈거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은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은 비점오염수가 흘러가는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은 복수 개의 행과 열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에는 걸림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은 걸림부(250)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독립적인 장착, 탈거가 가능하다.
작업자가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의 걸림부(250)를 유압 크레인 등의 기계적 장비와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후방의 인접하는 열에 배치되는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의 걸림부(250)는 전방의 인접하는 배치되는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의 걸림부와 다른 위치, 다른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번째 열의 제1 미세입자용 바스켓(201-1)의 걸림부(250-1)가 제1 미세입자용 바스켓(201-1) 상에서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구비되도록 배열될 경우, 두번째 열의 제2 미세입자용 바스켓(201-2)의 걸림부(250-2)는 제2 미세입자용 바스켓(201-2) 상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구비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세번째 열의 제3 미세입자용 바스켓(201-3)의 걸림부(250-3)는 제3 미세입자용 바스켓(201-3) 상에서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구비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처럼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이 복수 개로 구비되면 제2 처리조(200)를 정비할 때, 제2 처리조(200)에 수용된 토사가 복수 개의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에 나뉘어 수용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미세입자용 바스켓(201)에는 유압 크레인 등의 기계적 장비가 승강시킬 수 있을 정도의 토사가 수용되게 된다. 따라서, 다량의 미세입자가 제2 처리조(200)로 유입되더라도 제2 처리조(200)가 기계적 장비로 정비될 수 있게 되고, 정비작업에 요구되는 작업시간과 노동력이 절감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색방지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 2: 메인수로
10: 유입로 20: 전처리조
30: 정화조 100: 제1 처리조
101: 여과장치 102: 제1 설치부
103: 보조 바스켓 110: 하부 메쉬
110: 하부 메쉬 120: 상부 메쉬
130: 사이드 메쉬 140: 제1 가이드
141: 돌출부 142: 오목부
150: 걸림부 160: 보조 바스켓의 저면
170: 개재 메쉬 200: 제2 처리조
201, 201-1, 201-2, 201-3: 미세입자용 바스켓
202: 제2 설치부 210: 미세입자 수용부
220: 둘레부 메쉬 221: 전방부 메쉬
222: 후방부 메쉬 240: 제2 가이드
241: 돌출부 242: 오목부
250, 250-1, 250-2, 250-3: 제2 걸림부
300: 제3 처리조 310: 장홈
320: 석션통로

Claims (17)

  1.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비점오염수를 공급받고, 장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여과장치를 포함하고, 저면이 상기 비점오염수의 유동 방향을 따라 하방 경사진 제1 처리조; 및
    상기 제1 처리조의 후단에 제공되고, 상기 비점오염수로부터 분리된 토사물이 수용되는 장탈착 가능한 미세입자용 바스켓을 포함하는 제2 처리조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장치는
    상기 제1 처리조의 저면에 상응하도록 상기 비점오염수의 유동 방향을 따라 하방 경사진 하부 메쉬;
    상기 하부 메쉬의 경사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하방 경사진 상부 메쉬를 포함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조의 후단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처리조에서 상기 토사물이 걸러진 비점오염수로부터 분리 침전되는 침전물을 적체시키기 위한 장홈이 저면에 형성된 제3 처리조를 더 포함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처리조는 상기 장홈과 외부를 연통하는 석션통로를 더 포함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메쉬는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여 하방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메쉬는 중심부로부터 좌측 및 우측의 양쪽을 향하여 하방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메쉬의 메쉬 구멍은 상기 하부 메쉬의 메쉬 구멍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는 사이드면에 구비되는 사이드 메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메쉬의 메쉬 구멍은 상기 하부 메쉬의 메쉬 구멍보다 크고, 상기 상부 메쉬의 메쉬 구멍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여과장치가 상기 제1 처리조에 장탈착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가 구비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조는,
    상기 미세입자용 바스켓의 저면이 상기 여과장치의 상기 하부 메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입자용 바스켓은 상류측에 구비되는 전방부 메쉬와 하류측에 구비되는 후방부 메쉬를 포함하는, 폐색 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입자용 바스켓은 토사물이 수용되는 미세입자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세입자 수용부는 상기 전방부 메쉬와 상기 후방부 메쉬의 하측에 구비되는, 폐색 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입자용 바스켓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미세입자용 바스켓이 상기 제2 처리조에 장탈착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가 구비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조는, 상기 상부 메쉬의 경사 하단측에 인접하게 연결되는 보조 바스켓을 더 포함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15.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처리조에 구비되는 미세입자용 바스켓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복수 개의 상기 미세입자용 바스켓은 상기 비점오염수의 유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처리조;
    제1 여과부 및 제2 여과부를 구비하는 정화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화조는 상기 전처리조의 하류에 구비되어 상기 전처리조에서 전처리된 비점오염수를 전달받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
  17. 제 16 항에 있어서,
    유입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조는 상기 유입로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
KR1020160156887A 2016-11-23 2016-11-23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 KR101764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887A KR101764867B1 (ko) 2016-11-23 2016-11-23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887A KR101764867B1 (ko) 2016-11-23 2016-11-23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867B1 true KR101764867B1 (ko) 2017-08-04

Family

ID=5965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887A KR101764867B1 (ko) 2016-11-23 2016-11-23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8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274B1 (ko) * 2017-12-18 2018-09-19 (재)에스지환경기술연구원 생물학적 공정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CN108956950A (zh) * 2018-07-23 2018-12-0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基于坡垄沟布设的面源污染实时监测系统
CN114354260A (zh) * 2021-12-24 2022-04-15 湖南吉大检验检测有限公司 一种河流水质检测取样装置
KR102394276B1 (ko) 2021-12-30 2022-05-04 주식회사 거남 도장 공장의 전처리조 오염도 상태 추적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359Y1 (ko) * 2003-06-26 2003-11-15 우일정공 주식회사 퇴적물 수거를 위한 도로변 배수용 집수조
KR100883436B1 (ko) * 2008-07-30 2009-02-11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생물막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243415B1 (ko) * 2012-07-04 2013-03-13 최중철 빗물정화장치
KR101331600B1 (ko) * 2011-08-24 2013-11-21 이승영 다중 여과용 침전조
KR101614687B1 (ko) * 2015-07-06 2016-04-22 주식회사 휴먼네트워크 우수 정화처리장치에 설치되는 더블유형 스크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359Y1 (ko) * 2003-06-26 2003-11-15 우일정공 주식회사 퇴적물 수거를 위한 도로변 배수용 집수조
KR100883436B1 (ko) * 2008-07-30 2009-02-11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생물막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331600B1 (ko) * 2011-08-24 2013-11-21 이승영 다중 여과용 침전조
KR101243415B1 (ko) * 2012-07-04 2013-03-13 최중철 빗물정화장치
KR101614687B1 (ko) * 2015-07-06 2016-04-22 주식회사 휴먼네트워크 우수 정화처리장치에 설치되는 더블유형 스크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274B1 (ko) * 2017-12-18 2018-09-19 (재)에스지환경기술연구원 생물학적 공정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CN108956950A (zh) * 2018-07-23 2018-12-0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基于坡垄沟布设的面源污染实时监测系统
CN114354260A (zh) * 2021-12-24 2022-04-15 湖南吉大检验检测有限公司 一种河流水质检测取样装置
CN114354260B (zh) * 2021-12-24 2023-10-17 湖南吉大检验检测有限公司 一种河流水质检测取样装置
KR102394276B1 (ko) 2021-12-30 2022-05-04 주식회사 거남 도장 공장의 전처리조 오염도 상태 추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1422B1 (en) Dual screen treatment systems with debris ramps and screened deflectors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764867B1 (ko) 폐색방지가 용이한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
US6649048B2 (en) Filter cartridge with regulated surface cleaning mechanism
US6905599B2 (en) Prefilter for water treatment
KR102140016B1 (ko) 초기우수처리 및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US10155670B1 (en) Stormwater polymer treatment system
KR101249741B1 (ko)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KR100897258B1 (ko)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US10384956B1 (en) Restrictive up flow media filter with servicing system
KR20100020867A (ko)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KR101099768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120095767A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KR20130021598A (ko)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2023867B1 (ko)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KR101656664B1 (ko)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전처리조, 이를 이용한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수의 여과 방법
KR100787625B1 (ko) 오염수정화장치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02483B1 (ko) 탈착식 여과장치
KR101493478B1 (ko) 스크린 배열을 이용한 비점 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479462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1271740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를 통한 우수 재이용시스템 및 방법
KR20110039047A (ko) 하천 지류의 부유물 제거 및 여과 시스템
KR100988864B1 (ko) 수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