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239B1 - Erecting method of plumber for automatically operated disaster war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Erecting method of plumber for automatically operated disaster war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239B1
KR101764239B1 KR1020160027055A KR20160027055A KR101764239B1 KR 101764239 B1 KR101764239 B1 KR 101764239B1 KR 1020160027055 A KR1020160027055 A KR 1020160027055A KR 20160027055 A KR20160027055 A KR 20160027055A KR 101764239 B1 KR101764239 B1 KR 101764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tube
connecting chain
support plat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0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42223A (en
Inventor
송완영
백남주
조명흠
Original Assignee
이플래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플래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플래넷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7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239B1/en
Publication of KR2016014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2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2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2Distress signalling devices, e.g. rescue ballo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체에 소음 발생부와 광 발생부 그리고 연무 발생부를 설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재난을 경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크레인보다 소형인 굴삭기를 이용하여 관체를 직립하도록 하여 좁은 산길 등에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관체를 직립할 수 있는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noise generator, a light generator, and a smoke generator are installed in a pipe body to more effectively alert a disaster, and the pipe body is erected using an excavator smaller than a crane, This is a method of erecting the body of a fully automatic emergency alert system capable of erecting the body.

Description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ERECTING METHOD OF PLUMBER FOR AUTOMATICALLY OPERATED DISASTER WARNING APPARATU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isaster alarm apparatus,

본 발명은 관체에 소음 발생부와 광 발생부 그리고 연무 발생부를 설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재난을 경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크레인보다 소형인 굴삭기를 이용하여 관체를 직립하도록 하여 좁은 산길 등에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관체를 직립할 수 있는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noise generator, a light generator, and a smoke generator are installed in a pipe body to more effectively alert a disaster, and the pipe body is erected using an excavator smaller than a crane, This is a method of erecting the body of a fully automatic emergency alert system capable of erecting the body.

일반적으로 산술 등을 진화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막 타워(10)를 이용한다.Generally, a water tower 10 as shown in Fig. 1 is used to evolve arithmetic and the like.

상술한 수막타워(10)는 지면상에 설치되는 관체(B)와, 상기 관체(B) 내부에 배치되어 산불 진화를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내부관(I)을 포함한다.The above-described water film tower 10 includes a tube body B provided on the ground and an inner tube I disposed inside the tube body B to supply fluid for the evolution of the fire.

즉, 유체가 상기 내부관(I)을 통해 공급된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관체(B) 상부측을 통해 토출 되어 산불 등을 진화하게 된다.That is, after the fluid is supplied through the inner tube I, the fluid is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tubular body B as shown to evolve the fire or the like.

이때, 상기 관체(B)의 경우 산불 진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높이가 높은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위해 다수 개의 관체(B)를 플랜지(F)를 통해 상호 이음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fire fighting efficiency of the tubular body (B), the tubular body (B) is generally high in height, and a plurality of tubular bodies (B) can be mutually connected through the flange (F).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막 타워의 경우 산불 등을 진압하는데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산불 등의 재난을 일반인에게 경고하는 기능은 부족하여 재산 발생시 신속한 대피 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water tower can be efficiently used for suppressing forest fires and the lik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quickly evacuate the property when the property is generated due to a lack of a function to warn the public about disasters such as forest fires.

또한, 상기 관체(B)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가 높게 설치되며, 상기 관체(B)를 직립하기 위해 종래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ubular body (B), a height is set as described above, and in order to erect the tubular body (B), a crane or the like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그런데, 상기 크레인 등의 경우 길이 좁은 산길 등에는 운행하기 어려워 상기 관체를 직립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crane, it is difficult to travel on a narrow mountain road or the like, and thus it is difficult to erect the pipe body.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수막 타워 자체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water-based tower itself is widely used, and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일본 공개 특허 제1995-328141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1995-328141 한국 등록 특허 제10-981287호Korean Patent No. 10-981287 한국 등록 특허 제10-1331616호Korean Patent No. 10-1331616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0-002570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0-0025706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7-003197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3197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체에 소음 발생부와 광 발생부 그리고 연무 발생부를 설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재난을 경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크레인보다 소형인 굴삭기를 이용하여 관체를 직립하도록 하여 좁은 산길 등에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관체를 직립할 수 있는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ise generating unit, a light generating unit, and a smoke generating unit in a pipe body so as to warn a disaster more efficiently, So that the tubular body can be erected more efficiently even on a narrow mountain road or the lik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굴삭기(E)의 붐(E1) 일 측에 설치되어 관체(B)를 들어올리는 고정부(270)와, 상기 관체(B)의 하단 일 측과 기초부(250)의 후크(210)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체인(240)과 상기 연결 체인(240)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후크(210)와 관체(B) 하단사이의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부(220)를 포함하는 직립 장치(200)에 의해 전 재난 자동 경보 장치의 관체(B)를 직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굴삭기(E)의 붐(E1)을 들어 올리는 한편 관체(B)를 점차 직립하는 한편 상기 길이 조정부(220)에 의해 상기 후크(210)와 관체(B) 하단사이의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관체(B)를 직립시키고, 상기 전 재난 자동 경보 장치는 내부관(I)이 내장되는 관체(B) 일 측에 설치되는 시각 탐지 장치(110)와, 상기 관체(B) 타 측에 설치되는 소음 발생부(120)와, 상기 관체(B)의 또 다른 타 측에 설치되는 광 발생부(130)와, 상기 관체(B)의 또 다른 타 측에 설치되는 연무 발생부(140) 및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와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140) 발생부에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되, 상기 관체(B)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판체 형상의 제1지지판(150)과, 상기 제1지지판(15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지지판(160)을 포함하며, 상기 광 발생부(130)는 상기 제1지지판(150) 저면에 일정 각도 이격되게 다수 개 설치되고, 상기 소음 발생부(120)는 상기 제1지지판(150) 상면 또는 상기 제1지지판(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외주연에 일정 각도 이격되게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연무 발생부(140)는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면 또는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연무 발생부(140)는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관체(B)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관(I)은 상기 제2지지판(160) 상부로 노출된 후 절곡되되, 상기 절곡된 내부관(I)의 높이는 상기 연무 발생부(14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길이 조정부(220)는 레버 블록을 이용하되, 상기 레버 블록의 일 측은 상기 후크(210)에 고정되고, 타 측에는 상기 연결 체인(240)이 경유하고, 상기 연결 체인(240)의 일 측은 상기 관체(B)의 하단 일부에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레버 블록을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관체(B) 직립 시 상기 레버 블록의 핸들을 작동하여 상기 레버 블록과 관체(B) 하단부사이의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감소시킨다.
상기에서, 상기 관체(B) 직립 시 상기 관체(B)의 하단 플랜지(B1)에 형성되는 관통공(B2)이 상기 기초부(250)에 설치되는 고정 볼트(251)에 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에서, 상기 레버 블록과 후크(210)는 기초부(250)상에 일정 각도 이격되도록 다수 개 설치하는 한편, 상기 연결 체인(240)은 상기 레버 블록과 후크(210)사이에 각각 설치하여, 관체(B) 직립시 각 연결 체인(240)의 길이가 각 레버 블록에 의해 조정되도록 하며 관체(B)를 직립한다.
상기에서, 상기 고정부(270)는 상기 붐(E1) 일 측 주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부(270)와 붐(E1)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걸이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걸이부(400)는 상기 고정부(270)가 걸림되는 샤클(410)과, 상기 샤클(410) 일 측에 설치되는 인출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샤클(410)은 일부가 개방된 C자 형상을 가져 그 내부에 상기 고정부(270)가 배치되는 샤클 본체(411)와, 상기 샤클 본체(411)의 개방된 양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방된 부분을 닫는 한편, 상기 인출부(420)가 설치되는 걸림 바아(412)를 포함하여, 상기 관체(B)가 직립한 후 작업자가 상기 인출부(420)를 당겨 상기 걸림 바아(412)를 상기 샤클 본체(411)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고정부(270)가 상기 샤클 본체(411)의 개방부를 통해 샤클 본체(411)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270)를 관체(B)로부터 분리한다.
상기에서, 상기 굴삭기(E)의 붐(E1) 일 측에 버킷(E2)을 설치한 후, 상기 버킷(E2)에 상기 고정부(270)를 설치하여 관체(B)를 직립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지지판(150)의 저면에 배치되어 일 측에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설치되고 그 저면에 상기 광 발생부(130)가 설치되는 홀더(1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는 상기 홀더(160) 일 측에 원주 방향 선회 가능하게 다수 개 설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홀더(160)는 측면이 일부 개방되고 내측면에 치형(163)이 형성된 홀더 본체(161)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는 영상 획득부(112)와 구동부(M)가 일 측에 설치되는 케이스(113)와, 상기 케이스(113)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M)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홀더 본체(161)의 치형(163)과 결합되는 기어부(111)를 포함하여, 상기 기어부(1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원주 방향으로 선회한다.
상기에서, 상기 홀더 본체(161)의 바닥면에는 상기 기어부(111)의 선회 궤적을 따라 요홈되는 요홈부(164)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111) 일 측에서 상기 요홈부(164)에 삽입되는 삽입 바아(116)가 형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cavator (E) comprising a fixed part (270) installed on one side of a boom (E1) of an excavator (E) The connecting chain 240 is installed between the hooks 210 of the tubular body 250 and the hook 240 of the connecting chain 240 between the hook 210 and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body B, The boom E1 of the excavator E is lifted up while the upright device 200 including the length adjuster 220 for lifting up the boom E1 of the excavator E, While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chain 240 between the hook 210 and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body B is reduced by the length adjusting unit 220 while the tubular body B is erected by the length adjusting unit 220, The automatic alarm system includes an eye detection device 110 installed on one side of a tubular body B having an internal tube I built therein, A light generating part 13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ubular body B and a fog generating part 14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ubular body B, And a control unit (CON) connected to 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the noise generation unit (120), the light generation unit (130), and the fume generation unit (140) And a second support plate 16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1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ight generating unit 130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150, A plurality of noise generating units 12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15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150 so as to have a constant And the fog generating unit 14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6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60 The fog generating unit 1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e B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60 and has an inner tube I is bent upward after being exposed above the second support plate 160 and the height of the bent inner pipe I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og generating part 140, to provide.
The length adjuster 220 may be a lever block that has one side fixed to the hook 210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chain 240, The other end of the lever block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body B and the other end of the lever block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body B, There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chain 240.
The through hole B2 formed in the lower end flange B1 of the tube B is fixed to the fixing bolt 251 provided on the base 250 when the tube B is erected.
A plurality of the lever blocks and the hooks 210 are spaced apart from the base 250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the connecting chain 240 is installed between the lever blocks and the hooks 210, The length of each connecting chain 240 is adjusted by each lever block when the tubular body B stands up, and the tubular body B is uprighted.
The fixing unit 270 further includes a supplementary hook part 400 disposed to surround the boom E1 and a boom E1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part 270 and the boom E1 The auxiliary hook part 400 includes a shackle 410 to which the fixing part 270 is hooked and a take-out part 4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hackle 410. The shackle 410 is part A shark main body 411 having a C-shaped opening with an opening of the shark main body 411 and in which the fixing portion 270 is disposed; a shark main body 411 detachably attached to both open sides of the shark main body 411, After the tube B is erected, the worker pulls the pull-out portion 420 to rotate the hook bar 412 in the shackle main body 412, 411, the fixing portion 270 is detached from the shaker main body 411 through the opening of the shaker main body 411, It separates a section (270) from the tube (B).
The bucket E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om E1 of the excavator E and the bucket E2 is provided with the fixed portion 270 to stand the bucket E upright.
And a holder 160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150 and having the light detecting unit 110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light generating unit 130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the visual detection devices 110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lder 16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holder 160 includes a holder body 161 having a side surface partially opened and a tooth 163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lder 160. 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112 and a driving unit M A gear portion 111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113 and is driven by the driving portion M and is engaged with a tooth 163 of the holder main body 161; , 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gear portion 111. [
A recessed groove 164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body 161 along a turning path of the gear portion 111. The recessed portion 16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ear portion 111, The insertion bar 116 is inser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rior to this description and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보다 효율적으로 재난 경보를 할 수 있고 좁은 산길 등에서도 편리하게 관체를 직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mergency alarm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than before, and the tubular body can be erected conveniently on a narrow mountain road or the like.

도 1은 일반적인 수막타워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 방법으로서 샤클을 이용하여 고정부를 이탈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 방법으로서 버킷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water tower,
FIGS. 2A and 2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fully automatic emergency ale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n uprigh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detaching a fixing portion using a shackle as an uprigh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use of a bucket as an uprigh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as exemplification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echnical id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that include components replaceable as equivalents in the elemen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 방법으로서 샤클을 이용하여 고정부를 이탈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 방법으로서 버킷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FIGS. 2A and 2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fully automatic emergency ale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n uprigh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for releasing a fixing portion using a shackle as an uprigh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of a bucket as an uprigh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실시예1Example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1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관(I)이 내부에 설치되는 관체(B)에 시각 탐지 장치(110), 소음 발생부(120)와 광 발생부(130) 그리고 연기를 발생시키는 연무 발생부(140)를 포함한다.2A, the front-view automatic alarm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sual body detection unit 110, a noise generating unit 120, a light generating unit 130, and a mist generating unit 140 for generating smoke.

즉, 재난 발생 시 시각 탐지 장치(110)에 의해 재난을 인식한 후 소음 발생부(120)에 의해 소음을 발생하거나 광 발생부(130)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일반인이 보다 용이하게 재난 발생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fter a disaster is recognized by 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in the event of a disaster, a noise is generated by the noise generation unit 120 or a light is generated by the light generation unit 130, So that they can recognize it.

또한, 보다 멀리 재난 상황을 전파하기 위해 상기 연무 발생부(140)에서 연기를 피워 보다 멀리 있는 일반인이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allow the general person who is farther to perceive smoke from the smoke generating unit 140 to propagate the disaster situation farther away.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와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 발생부(140)에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the control unit CON connected to the visual detection unit 110, the noise generation unit 120, the light generation unit 130, and the smoke generation unit 140.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각 탐지 장치(110)에 의해 재난이 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CON)가 상기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 발생부(140)를 작동하여 전 자동으로 재난 경보를 발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a disaster is detected by 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as shown in FIG. 2A, the controller CON controls the noise generation unit 120, the light generation unit 130, and the smoke generation unit 140 It can be activated to trigger a disaster alarm automatically.

이때,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는 널리 알려진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 획득 장치 등을 이용하여 재난을 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각 탐지 장치(110) 자체는 널리 알려진 기술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can detect a disaster by using an image capturing device such as a widely known camera or the like. Since 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itself is a well-known technology,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are omitted.

또한, 상기 제어부(CON)의 경우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M)와 유, 무선으로 연동되도록 하여 재난 발생 또는 재난 경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전파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trol unit CON, it is also possible to interwork with a mobile device M such as a smart phone, which is widely used in recent years, to automatically transmit information on a disaster occurrence or a disaster warning to a user.

물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기기(M)를 이용하여 제어부(CON)를 통해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와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 발생부(140)를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user may operate 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the noise generation unit 120, the light generation unit 130 and the smoke generation unit 140 through the control unit CON using the mobile device M It is also possible.

이때, 상기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 발생부(140)는 제어부(CON)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거나 도시되지 않은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The noise generating unit 120, the light generating unit 130 and the smoke generating unit 140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control unit CON or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한편, 상기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 발생부(140)는 상기 관체(B)에 설치되어 재난 경보를 발할 수 있는 한 설치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나,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B)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판체 형상의 제1지지판(150)과, 상기 제1지지판(15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지지판(160)을 설치한 후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 발생부(140)를 각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noise generating unit 120, the light generating unit 130 and the smoke generating unit 140 are not limited in their installation positions as long as they are installed in the tubular body B and can generate an emergency alert. A first support plate 150 in the form of a plate that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tube B and a second support plate 160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15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generating unit 120, the light generating unit 130, and the mist generating unit 140 may be provided.

즉, 상기 광 발생부(130)는 상기 제1지지판(150) 저면에 일정 각도 이격되게 다수 개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광 발생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판(150) 저면에 자로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을 발하는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the light generating units 130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150. In this case, the light generating unit 130 may include a hinge unit that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support plate 150 as shown in the figure, and an irradiating unit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hinge unit and emits light.

이와 같은 조사부는 널리 알려진 램프나 레이저 발생 장치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널리 알려진 기술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Such an irradiating unit can use a well-known lamp or a laser generating apparatus, which is a well-known technology,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are omitted.

한편, 상기 소음 발생부(120)는 상기 제1지지판(150) 상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널리 알려진 마이크 등을 상기 제1지지판(150)에 설치한 후 제어부(CON)에 의해 제어되어 재난 경보를 발할 수 있다.The noise generating unit 12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150. That is, after a well-known microphone or the like is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150, it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CON to issue an emergency alarm.

물론 상기 소음 발생부(120)는 상기 제1지지판(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외주연에 일정 각도 이격되게 다수 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noise generating unit 120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tube B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late 150.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소리 발생부(121,122,123)를 예를 들어 120도 각도로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때 상기 3개의 소리 발생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판(150)상면에 설치하거나 혹은 관체(B) 외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as shown in FIG. 2A, the three sound generators 121, 122 and 12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120 degrees, for example. The three sound generators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late 150 ) Or on the outside of the tube (B).

상기 연무 발생부(140)의 경우도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면 또는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상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연무 발생부(140)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mist generating unit 14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60 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e B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60.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4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relatively high height as shown in FIG.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무 발생부(140)는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관체(B)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관(I)은 상기 제2지지판(160) 상부로 노출된 후 절곡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2A, the mist generating unit 1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ular body B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ing plate 160 and includes an inner tube (not shown) installed inside the tubular body B I may be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60 and then bent.

이때, 상기 절곡된 내부관(I)의 높이는 상기 연무 발생부(14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연무 발생부(140)가 보다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bent inner pipe I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mist generating unit 140, so that the mist generating unit 140 can be rotated more easil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각 탐지 장치(110),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 발생부(140)를 관체(B)에 설치하여 관재 경보를 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 발생부(140)의 구성이나 설치 위치 등이 변경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the noise generating unit 120, the light generating unit 130, and the mist generating unit 140 are installed in the tubular body B, As long as the configuration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noise generating unit 120, the light generating unit 130, and the smoke generating unit 140 are changed as long as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category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의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체(B) 일 측에 배치되어 제어부(CON)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원주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it may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tube B as shown in FIG. 2A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ON. As shown in FIG. 2B, 11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즉,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주위 환경의 영상을 획득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탐지하는 것으로서 보다 재난 발생 여부를 완벽하게 탐지하기 위해 원주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acquires image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detect occurrence of a disaster, and it is preferable to acquire an image while turn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order to completely detect occurrence of a disaster .

이를 위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판(150)의 저면에 배치되어 일 측에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설치되고 그 저면에 상기 광 발생부(130)가 설치되는 홀더(1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는 상기 홀더(160) 일 측에 원주 방향 선회 가능하게 다수 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For this, as shown in FIG. 2B, a holder 160 (see FIG. 2), which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150 and has 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install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light- And a plurality of the visual detection devices 110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lder 16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한편,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원주 방향으로 선회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60)는 측면이 일부 개방되고 내측면에 치형(163)이 형성된 홀더 본체(16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홀더 본체(161)의 중앙부는 개방되어 관체가 관통하도록 한다.2B, the holder 160 is partially opened at its side surface and a tooth 163 is formed at the inner side surface thereof, as shown in FIG. 2B. And a holder main body 161. The center portion of the holder main body 161 is opened to allow the tube body to pass therethrough.

한편,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는 영상 획득부(112)와 구동부(M)가 일 측에 설치되는 케이스(113)와, 상기 케이스(113)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M)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홀더 본체(161)의 치형(163)과 결합되는 기어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includes a case 113 having an image acquisition unit 112 and a driving unit M installed on one side thereof and a case 11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113, And a gear portion 111 that is driven and engaged with a tooth 163 of the holder body 161. [

이때, 상기 기어부(1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원주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rotation of the gear portion 111 causes the visual-detecting device 110 to tur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즉, 상기 홀더 본체(161)의 치형(163)은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치형(163)과 치차 결합하는 기어부(111)가 구동부(M)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기어부(111)가 설치되는 케이스(113)가 상기 홀더 본체(161) 내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teeth 163 of the holder main body 161 are fixed, when the gear portion 111 engaged with the teeth 163 is rotated by the driving portion M, The case 113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in the holder body 161. [

한편, 상기 구동부(M)는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된 제어부(CON, 도 2a 참조)에 의해 유,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는 널리 알려진 기술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The driving unit M may be an electric motor or the like and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CON (see FIG. 2A), which is described above, and it is a well-known technology.

한편, 상기 홀더 본체(161)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이 일부 개방되고 내측면에 치형(163)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개방된 개방부(161)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다수 개의 개방부(161)사이에 상기 케이스(163)를 다수 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meantime, as described above, the holder body 161 is partially opened to the side and the teeth 163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At this time, the opened openings 16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dispose a plurality of the cases 163 between the plurality of openings 161. [

또한, 상기 홀더 본체(161)의 바닥면 중앙부 역시 개방되도록 하여 관체(B, 도 2a 참조)가 관통되도록 할 수 있다.Als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main body 161 may be opened so that the tubular body (see FI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다수 개의 시각 탐지 장치(110)가 원주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보다 넓은 범위의 지역을 관찰할 수 있어 재난 탐지를 보다 완벽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visual detection devices 110 can be observed in a wider range while turn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ore perfectly detect a disaster.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각 탐지 장치(110)의 경우 상기 홀더 본체(16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치형(163)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선회하는데 보다 안정적인 선회를 위해 상기 홀더 본체(161)의 바닥면에는 상기 기어부(111)의 선회 궤적을 따라 요홈되는 요홈부(164)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111) 일 측에서 상기 요홈부(164)에 삽입되는 삽입 바아(11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body 161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tooth 163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161, A recessed groove 164 is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gear portion 111 along a turning path of the gear portion 111 and an insertion bar 116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164 at one side of the gear portion 111, May be formed.

즉, 상기 기어부(111)의 선회 궤적을 따라 요홈부(164)를 상기 홀더 본체(161) 바닥면에 형성한 후 상기 기어부(111)에 설치되는 삽입 바아(116)가 상기 요홈부(164)에 삽입되도록 하면 상기 기어부(111)가 상기 요홈부(164)를 따라 선회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선회되는 것이다.That is, after the recessed groove 164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main body 161 along the turning path of the gear portion 111, the insertion bar 116 installed in the gear portion 111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164, the gear portion 111 is pivoted along the recessed portion 164, so that the gear portion 111 is turned more stably.

이때, 상기 기어부(111)의 경우 상기 구동부(M)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M)에 설치되는 샤프트(114)가 상기 기어부(111)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부(111)가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샤프트(114)가 상기 기어부(111)를 관통하여 상술한 삽입 바아(116)의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gear portion 111 is driven by the driving portion M. For this purpose, a shaft 114 installed in the driving portion M is installed in the gear portion 111, And the shaft 114 penetrates the gear portion 111 to serve as the insertion bar 116 described above.

물론 상기 기어부(111)에 별도의 삽입 바아(116)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eparate insertion bar 116 in the gear portion 11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홀더(160)에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홀더(160)의 저면에 앞서 설명된 광 발생부(13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light detecting unit 110 can be pivotally mounted on the holder 160 and the light generating unit 130 described above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160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즉, 도 2a에서는 상기 광 발생부(130)가 제1지지판(150)의 저면에 배치되어 있으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60)의 저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2A, the light generating unit 13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150, but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160 as shown in FIG. 2B.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관체(B)를 세우는 방법에 대해 아래의 실시예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ethod for setting up the tube body B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second embodiment.

실시예2Example 2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관체(B)를 직립하는 직립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3, the upright apparatus 200 that stands up the tubular body B will be described.

상기 직립 장치(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E)를 포함한다. 상기 굴삭기(E)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를 말한다.The upright device 200 includes an excavator E as shown. The excavator (E) is widely known as an excavator that performs excavation work for digging the ground i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construction site, loading work for carrying earthworks, crushing work for dismantling the building, Construction machinery.

이러한 굴삭기(E)는 크레인 등의 중장비에 비해 크기가 작고 이동이 편리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산길 등에서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Such an excavator E is small in size and easy to move compared with a heavy equipment such as a crane, and can be moved easily on a relatively narrow mountain road or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굴삭기(E)를 이용하는 관계로 산길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ain roads and the like can be moved more efficiently because the excavator E is used.

이러한 굴삭기(E)의 붐(E1)에 고정부(270)를 설치하여 관체(B)가 고정되게 한다. 상기 고정부(270)는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강도가 높은 천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oom (E1) of the excavator (E) is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270) to fix the pipe (B). The fixing portion 270 may hav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loth having high strength.

이러한 고정부(270)에 의해 관체(B)가 붐(E1)에 고정되어 상기 붐(E1)이 올려질 때 관체(B)가 직립되는 것이다.The tube B is fixed to the boom E1 by the fixing portion 270 and the tube B is erected when the boom E1 is lifted.

한편, 상기 관체(B)의 하단 일 측과 기초부(250)의 후크(210)사이에 연결 체인(240)이 설치된다.A connecting chain 240 is installed betwee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body B and the hook 210 of the base 250.

또한, 상기 연결 체인(240)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후크(210)와 관체(B) 하단사이의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부(220)를 포함한다.And a length adjusting unit 22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chain 240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chain 240 between the hook 210 and the lower end of the tube B. [

즉, 본 발명의 경우 관체(B)의 하단부에 연결 체인(240)이 설치되어 상기 관체(B)가 직립된 경우 그 저면이 원하는 곳에 배치하도록 상기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chain 24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body B to adjust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chain 240 so that the bottom of the tubular body B is positioned at a desired position.

다시 말해서, 관체(B)가 도립된 상태에서 직립되는 중에는 상대적으로 연결 체인(240)의 길이가 여유가 있으므로 상기 연결 체인(240)을 길이를 감소시켜 가면서 상기 관체(B)의 저면이 설치될 장소에 정확하게 접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연결 체인(240) 일 측에 길이 조정부(220)를 설치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chain 240 is relatively long while the tubular body B is erected in an upright st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ular body B is installed while decreas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chain 240 And a length adjusting unit 2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chain 240 for this purpose.

이러한 직립 장치(200)에 의해 관체(B)를 직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A method of erecting the tubular body B by the upright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E)의 붐(E1)을 들어 올린다. 이때, 상기 붐(E1)에는 고정부(270)가 설치도어 관체(B)가 상기 붐(E1)의 상승에 연동되어 점자 직립된다.First, the boom E1 of the excavator E is lifted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door body B provided with the fixing portion 270 is interlocked with the elevation of the boom E1 and is braille standing upright on the boom E1.

이때, 상기 관체(B)의 하단에는 연결 체인(2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체인(240)을 당기거나 혹은 후술하는 길이 조정부(220)에 의해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감소시키게 된다.At this time, a connecting chain 24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body B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chain 240 is reduced by pulling the connecting chain 240 or by a length adjusting unit 220 described later.

이러한 연결 체인(240)의 길이 감소 과정에 의해 관체(B)가 설치되어야 하는 위치 즉, 기초부(250)의 고정 볼트(251)에 후술되는 관체(B)의 관통공(B2)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length of the connecting chain 240 is reduced so that the through hole B2 of the tubular body B is inserted into the fixing bolt 251 of the base 250 .

이를 위한 길이 조정부(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블록을 이용하되, 상기 레버 블록의 일 측은 상기 후크(210)에 고정되고, 타 측에는 상기 연결 체인(240)이 경유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ength adjusting unit 240 uses a lever block. One side of the lever block is fixed to the hook 21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chain 240.

이때, 상기 연결 체인(240)의 일 측은 상기 관체(B)의 하단 일부에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레버 블록을 경유하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connecting chain 240 is install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tube B and the other side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lever block.

상기 레버 블록이라고 하는 것은 핸들의 작동에 의해 상기 레버 블록을 경유하는 연결 체인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으로서 이는 널리 알려진 구성(예를 들어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84728호)인 관계로 상기 레버 블록 자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The lever block is a member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ink chain via the lever block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This is a widely known configuration (for exampl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84728)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이러한 레버 블록을 길이 조정부(220)로 이용한다. 즉, 상기 연결 체인(240)의 일 측은 상기 관체(B)의 하단 일부에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레버 블록을 경유한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such a lever block as the length adjuster 220. [ That is, one side of the connecting chain 240 is install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tube B and the other side passes through the lever block.

따라서, 상기 레버 블록을 작동시키면 상기 연결 체인(220)이 레버 블록 측으로 당겨지게 되어 상기 연결 체인(220)의 길이가 감소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lever block is operated, the connecting chain 220 is pulled toward the lever block,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chain 220 is reduced.

이때, 상기 레버 블록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2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lever block is fixed to the hook 210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ength of the link chain 240 can be effectively adjusted.

즉, 상기 붐(E1)을 들어 올려서 관체(B)를 점차 직립하면 상기 후크(210)와 관체(B) 일 측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체인(240)의 길이에 여유가 발생한다. 이 때, 상기 레버 블록을 작동시켜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감소시키면 상기 관체(B)가 연결 체인(2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상기 관체(B)를 안정적으로 직립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boom E1 is lifted and the tubular body B is gradually erected, there is a margin in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chain 240 installed between the hook 210 and one side of the tubular body B. At this time, if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chain 240 is reduced by operating the lever block, the tubular body B is stably supported by the connecting chain 240, so that the tubular body B can be stably uprighted.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체(B) 직립 시 상기 관체(B)의 하단 플랜지(B1)에 형성되는 관통공(B2)이 상기 기초부(250)에 설치되는 고정 볼트(251)에 끼움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hrough hole B2 formed in the lower end flange B1 of the tubular body B is inserted into the fixing bolt 251 provided on the base portion 250 when the tubular body B stands up, As shown in Fig.

즉, 본 발명의 길이 조정부(220) 즉, 레버 블록에 의해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상기 관체(B)의 직립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관통공(B2)에 기초부(250)의 고정 볼트(251)가 삽입되도록 하며, 이 후, 상기 고정 볼트(251)에 너트 등을 채워 관체(B)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upright position of the tube B is adjusted while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chain 240 by the length adjusting unit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lever block, so that the through- The fixing bolt 251 is inserted and then the fixing bolt 251 is filled with a nut or the like so that the tubular body B is stably fixed.

한편, 상기 레버 블록과 후크(210)는 기초부(250)상에 일정 각도 이격되도록 다수 개 설치하는 한편, 상기 연결 체인(240)은 상기 레버 블록과 후크(210)사이에 각각 설치하여, 관체(B) 직립시 각 연결 체인(240)의 길이가 각 레버 블록에 의해 조정되도록 하며 관체(B)를 직립하는 것도 가능하다.A plurality of the lever blocks and the hooks 210 are spaced apart from the base 250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the connecting chain 240 is installed between the lever blocks and the hooks 210,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ength of each connecting chain 240 is adjusted by each lever block and the tubular body B is erected when the legs B are upright.

즉, 관체(B)를 직립하는 경우 다양한 각도로 관체(B)가 기울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That is, when the tube B is erected, the tube B may be inclined at various angles.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레버 블록과 후크(210)를 다수 개 배치한 후 관체(B) 직립시 각 연결 체인(240)의 길이가 각 레버 블록에 의해 조정되도록 하여 관체(B)가 정확하게 직립하도록 할 수 있다.The length of each connecting chain 240 is adjusted by each lever block when the tubular body B is erected so that the tubular body B can be correctly erected have.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레버 블록과 후크(210)가 4개 씩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4개의 레버 블록과 후크(210)에 의해 4방향 제어가 가능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관체(B)가 다양한 각도로 경사지는 경우라도 정확하게 직립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four lever blocks and hooks 210 are arranged at four positions. Since the four lever blocks and the hooks 210 enable four-directional control, Even if it is inclined at an angle, it can be correctly erect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B)를 직립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체(B)는 상술된 바와 같이 고정부(270)에 의해 붐(E1)에 연결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ubular body B can be erected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tubular body B is connected to the boom E1 by the fixing portion 270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상기 관체(B)가 직립된 후에는 상기 고정부(270)를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70)는 상기 붐(E1) 일 측 주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부(270)와 붐(E1)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걸이부(40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5 and 6, the fixing part 270 is provided on the boom E1 so that the boom E1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boom E1, And a sub hanging part 400 disposed between the fixed part 270 and the boom E1 to surround the one side.

이때, 상기 보조 걸이부(400)는 상기 고정부(270)가 걸림 되는 샤클(410)과, 상기 샤클(410) 일 측에 설치되는 인출부(420)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hook part 400 includes a shackle 410 to which the fixing part 270 is hooked, and a lead-out part 42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hackle 410.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샤클(410)에 고정부(270)가 걸림되어 있으며, 상기 샤클(410)은 상기 인출부(420)에 의해 개방되어 고정부(270)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hackle 410 is fastened to the fixing part 270, and the shackle 410 is opened by the drawing part 420 to separate the fixing part 270.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클(410)은 일부가 개방된 C자 형상을 가져 그 내부에 상기 고정부(270)가 배치되는 샤클 본체(411)와, 상기 샤클 본체(411)의 개방된 양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방된 부분을 닫는 한편, 상기 인출부(420)가 설치되는 걸림 바아(41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hackle 410 includes a shark main body 411 having a partially C-shaped opening in which the fixing portion 270 is disposed, an open amount of the shark main body 411 And a latching bar 412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opening 420 to close the opened portion and on which the lead portion 420 is installed.

즉, 상기 샤클 본체(411)의 개방부를 통해 고정부(270)가 샤클 본체(411) 내부로 진입하고 상기 걸림 바아(412)가 상기 샤클 본체(411)의 개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27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That is, the fixing portion 270 enters into the shaker main body 411 through the opening of the shaker main body 411 and the locking bar 412 is installed in the opening portion of the shaker main body 411, 270 from detaching.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관체(B)가 직립된 후 작업자가 상기 인출부(420)를 당겨 상기 걸림 바아(412)를 상기 샤클 본체(411)로부터 이탈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샤클 본체(411)는 다시 개방된 상태로 된다.In this case, after the tube B is erec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worker pulls the pull-out portion 420 to release the hook bar 412 from the shaker main body 411, (411) is again opened.

이후, 붐(E1)을 후퇴(도 4에서 굴삭기 방향)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70)의 조임 상태를 완화하고 상기 고정부(270)가 상기 샤클 본체(411)의 개방부를 통해 샤클 본체(411)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6, the tightening state of the fixing portion 270 is relaxed, and the fixing portion 270 is moved to the opening portion of the shaker main body 411 (see FIG. 6)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shaker main body 411.

이에 의해 상기 고정부(270)가 관체(B)에서 바닥으로 흘러내리게 하여 상기 고정부(270)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Thus, the fixing portion 270 flows down to the floor from the tubular body B to remove the fixing portion 270.

한편, 상기 고정부(2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붐(E1)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삭기(E)의 붐(E1) 일 측에 버킷(E2)을 설치한 후, 상기 버킷(E2)에 상기 고정부(270)를 설치하여 관체(B)를 직립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fixing portion 270 may be installed on the boom E1 as described above. The bucket E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om E1 of the excavator E as shown in Fig. 7 and then the bucket E2 is provided with the fixing portion 270, It is also possible to do.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 110 : 시각 탐지 장치
120 : 소음 발생부 130 : 광 발생부
140 : 연무 발생부 150 : 제1지지판
160 : 제2지지판 200 : 직립 장치
210 : 후크 220 : 길이 조정부
240 : 연결 체인 270 : 고정부
100: All automatic disaster alarm device 110: Visual detection device
120: noise generating unit 130: light generating unit
140: a mist generation unit 150: a first support plate
160: second support plate 200: upright device
210: hook 220:
240: connection chain 270:

Claims (11)

굴삭기(E)의 붐(E1) 일 측에 설치되어 관체(B)를 들어올리는 고정부(270)와, 상기 관체(B)의 하단 일 측과 기초부(250)의 후크(210)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체인(240)과 상기 연결 체인(240)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후크(210)와 관체(B) 하단사이의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부(220)를 포함하는 직립 장치(200)에 의해 전 재난 자동 경보 장치의 관체(B)를 직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굴삭기(E)의 붐(E1)을 들어 올리는 한편 관체(B)를 점차 직립하는 한편 상기 길이 조정부(220)에 의해 상기 후크(210)와 관체(B) 하단사이의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관체(B)를 직립시키고,
상기 전 재난 자동 경보 장치는 내부관(I)이 내장되는 관체(B) 일 측에 설치되는 시각 탐지 장치(110)와, 상기 관체(B) 타 측에 설치되는 소음 발생부(120)와, 상기 관체(B)의 또 다른 타 측에 설치되는 광 발생부(130)와, 상기 관체(B)의 또 다른 타 측에 설치되는 연무 발생부(140) 및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와 소음 발생부(120) 그리고 광 발생부(130)와 연무(140) 발생부에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되,
상기 관체(B)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판체 형상의 제1지지판(150)과, 상기 제1지지판(15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지지판(160)을 포함하며,
상기 광 발생부(130)는 상기 제1지지판(150) 저면에 일정 각도 이격되게 다수 개 설치되고, 상기 소음 발생부(120)는 상기 제1지지판(150) 상면 또는 상기 제1지지판(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외주연에 일정 각도 이격되게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연무 발생부(140)는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면 또는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연무 발생부(140)는 상기 제2지지판(16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B)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관체(B)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관(I)은 상기 제2지지판(160) 상부로 노출된 후 절곡되되, 상기 절곡된 내부관(I)의 높이는 상기 연무 발생부(14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
A fixed portion 27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om E1 of the excavator E to lift up the tubular body B and a fixing portion 270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body B and the hook 210 of the base portion 250 A length adjusting unit 22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chain 240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chain 240 between the hook 210 and the lower end of the tube B, A method for erecting a tubular body (B) of a pre-emergency automatic alarm device by an upright device (200)
The boom E1 of the excavator E is lifted and the tubular body B is gradually erected while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chain 240 between the hook 210 and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body B The tube (B) is erected while decreasing the length,
The automatic emergency alarm system includes a visual detection device 110 installed on one side of a pipe B having an internal pipe I, a noise generating part 12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pipe B, A light generating unit 13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tube B and a fog generating unit 14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tube B and the noise detecting unit 110, And a control unit CON connected to the generating unit 120 and the light generating unit 130 and the fume generating unit 140,
A first support plate 150 in the form of a plate provided horizontally on the tube B and a second support plate 16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1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the light generating units 1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150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noise generating unit 1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150, A plurality of fog generating units 140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60 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60 And the fume generator 1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e B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60 and the inner tube 140 installed inside the tube B, (I) is bent upward after being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60, and the height of the bent inner pipe I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og generating part 14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정부(220)는 레버 블록을 이용하되, 상기 레버 블록의 일 측은 상기 후크(210)에 고정되고, 타 측에는 상기 연결 체인(240)이 경유하고
상기 연결 체인(240)의 일 측은 상기 관체(B)의 하단 일부에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레버 블록을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관체(B) 직립 시 상기 레버 블록의 핸들을 작동하여 상기 레버 블록과 관체(B) 하단부사이의 연결 체인(240)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adjusting unit 220 uses a lever block, one side of the lever block is fixed to the hook 21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chain 240
One side of the connecting chain 240 is install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tube B and the other side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lever block,
Wherein a length of the connecting chain (240) between the lever block and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body (B) is reduced by operating a handle of the lever block when the tubular body (B) is erec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B) 직립 시 상기 관체(B)의 하단 플랜지(B1)에 형성되는 관통공(B2)이 상기 기초부(250)에 설치되는 고정 볼트(251)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 through hole B2 formed in a lower flange B1 of the tubular body B when the tubular body B stands up is inserted and fixed in a fixing bolt 251 provided on the base 250, Method of erecting the body of a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블록과 후크(210)는 기초부(250)상에 일정 각도 이격되도록 다수 개 설치하는 한편,
상기 연결 체인(240)은 상기 레버 블록과 후크(210)사이에 각각 설치하여,
관체(B) 직립시 각 연결 체인(240)의 길이가 각 레버 블록에 의해 조정되도록 하며 관체(B)를 직립하는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 plurality of the lever blocks and the hooks 210 are installed on the base 25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connecting chain 240 is installed between the lever block and the hook 210,
Wherein the length of each connecting chain (240) is adjusted by each lever block when the tubular body (B) is uprighted and the tubular body (B) is uprigh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70)는 상기 붐(E1) 일 측 주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부(270)와 붐(E1)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걸이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걸이부(400)는 상기 고정부(270)가 걸림되는 샤클(410)과, 상기 샤클(410) 일 측에 설치되는 인출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샤클(410)은 일부가 개방된 C자 형상을 가져 그 내부에 상기 고정부(270)가 배치되는 샤클 본체(411)와, 상기 샤클 본체(411)의 개방된 양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방된 부분을 닫는 한편, 상기 인출부(420)가 설치되는 걸림 바아(412)를 포함하여,
상기 관체(B)가 직립한 후 작업자가 상기 인출부(420)를 당겨 상기 걸림 바아(412)를 상기 샤클 본체(411)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고정부(270)가 상기 샤클 본체(411)의 개방부를 통해 샤클 본체(411)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270)를 관체(B)로부터 분리하는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270 further includes a supplementary hook part 400 disposed to surround the side of the boom E1 and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part 270 and the boom E1,
The auxiliary hook part 400 includes a shackle 410 to which the fixing part 270 is hooked and a lead part 4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hackle 410,
The shackle 410 includes a shackle main body 411 having a partially C-shaped shape and having the fixing portion 270 disposed therein, and a shackle main body 411 detachably mounted on both open sides of the shake main body 411 And a latching bar (412) for closing the open portion and installing the lead portion (420)
After the tubular body B stands up, the worker pulls the pull-out portion 420 to release the hook bar 412 from the shaker main body 411,
Wherein the securing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shackle main body through the opening of the shackle main body so as to separate the securing portion from the tubula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삭기(E)의 붐(E1) 일 측에 버킷(E2)을 설치한 후,
상기 버킷(E2)에 상기 고정부(270)를 설치하여 관체(B)를 직립하는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bucket E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om E1 of the excavator E,
Wherein the fixing part (270) is provided on the bucket (E2) to erect the body (B).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150)의 저면에 배치되어 일 측에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설치되고 그 저면에 상기 광 발생부(130)가 설치되는 홀더(1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는 상기 홀더(160) 일 측에 원주 방향 선회 가능하게 다수 개 설치되는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lder 160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150 and having 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light generating part 130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Wherein a plurality of the visual detection devices (110)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lder (160) so as to be able to tur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60)는 측면이 일부 개방되고 내측면에 치형(163)이 형성된 홀더 본체(161)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는 영상 획득부(112)와 구동부(M)가 일 측에 설치되는 케이스(113)와, 상기 케이스(113)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M)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홀더 본체(161)의 치형(163)과 결합되는 기어부(111)를 포함하여,
상기 기어부(1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시각 탐지 장치(110)가 원주 방향으로 선회하는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holder 160 includes a holder body 161 having a side surface partially opened and a tooth 163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includes a case 113 in which an image acquisition unit 112 and a driving unit M are installed at one side and a case 113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ase 113 and driven by the driving unit M And a gear portion 111 coupled with a tooth 163 of the holder body 161,
Wherein the visual detection device (110)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rotation of the gear part (1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161)의 바닥면에는 상기 기어부(111)의 선회 궤적을 따라 요홈되는 요홈부(164)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111) 일 측에서 상기 요홈부(164)에 삽입되는 삽입 바아(116)가 형성되는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의 관체 직립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 recessed groove 164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body 161 along a locus of the gear portion 111,
Wherein an insertion bar (116)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16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gear portion (111).
KR1020160027055A 2016-03-07 2016-03-07 Erecting method of plumber for automatically operated disaster warning apparatus KR1017642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055A KR101764239B1 (en) 2016-03-07 2016-03-07 Erecting method of plumber for automatically operated disaster war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055A KR101764239B1 (en) 2016-03-07 2016-03-07 Erecting method of plumber for automatically operated disaster warning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825A Division KR101626074B1 (en) 2015-06-02 2015-06-02 Automatically operated disaster warn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223A KR20160142223A (en) 2016-12-12
KR101764239B1 true KR101764239B1 (en) 2017-08-04

Family

ID=5757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055A KR101764239B1 (en) 2016-03-07 2016-03-07 Erecting method of plumber for automatically operated disaster war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23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6356A (en) * 2005-08-11 2007-02-22 Bridge Engineering:Kk Scaffold in bridge structure and its assembling method
JP5685667B1 (en) * 2014-05-19 2015-03-18 株式会社ケーエス・トクシュ興業 Boom raising mechanism of bucket excavator for building demoli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6519B2 (en) 1994-06-06 1997-04-02 秋元バルブ興業株式会社 Automatic elevating sprinkler for disaster prevention
KR100282459B1 (en) 1998-10-13 2001-02-15 황철성 Manufacturing method of ferroelectric ram capacitor
KR20070031974A (en) 2007-02-15 2007-03-20 이우성 The mountain of a fire bic used extinction nozzle mounting pipe system and the mountain a fire bic extinction on the prevention of rull there of it's for the early extinguished a fire.
KR100981287B1 (en) 2010-03-03 2010-09-10 (주) 삼진정밀 Forest fire of extinguisher
KR101331616B1 (en) 2012-10-11 2013-11-22 (주) 삼진정밀 Ground water layer tower for forest fire prenen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6356A (en) * 2005-08-11 2007-02-22 Bridge Engineering:Kk Scaffold in bridge structure and its assembling method
JP5685667B1 (en) * 2014-05-19 2015-03-18 株式会社ケーエス・トクシュ興業 Boom raising mechanism of bucket excavator for building demol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223A (en)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169028U (en) Personnel rescuing special equipment for vertical well with small caliber
KR101132845B1 (en)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of manhole cover
KR101764239B1 (en) Erecting method of plumber for automatically operated disaster warning apparatus
EP3969664A1 (en) Traffic control, site observation, and data management system and apparatus including a remotely-controllable arm
KR101626074B1 (en) Automatically operated disaster warning apparatus
AU2015101924A4 (en) Equipment tower
KR101497661B1 (en) foldable pole
JP2010121394A (en) Gondola for demolishing tower-like structure and method for demolishing tower structure using the gondola
KR102036588B1 (en) Underground line support for checking leak
KR101720486B1 (en) Supporting pole
CN206916786U (en) Pipe gallery escape well well lid
KR20100121160A (en) A equipment investigation appratus of manhole
CN210887239U (en) Municipal administration pipeline slot supporting construction
CN214993883U (en) Deep foundation pit operation device
KR102309655B1 (en) Providing method for pedestal structure
CN109356199A (en) A kind of anti-fall well device of municipal administration inspection well cover water drainage
JP2010029585A (en)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storage device
KR20150019167A (en) Manhole construction safety
JP2021098104A (en) Hydrant device and hydrant equipment
RU116518U1 (en) TOTAL WELL OF UNDERGROUND COMMUNICATIONS
JP2011032775A (en) Drilling method for vertical hole, and spattering preventive cover for hammer grab
CN105042186B (en) Crude oil of offshore platform standpipe repairs more changing device and crude oil standpipe maintenance replacing options
CN109989333A (en) Fashioned iron trestle work structur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for concrete horizontal support
JP2011058323A (en) Work safety device in sewerage system
JPH0720172Y2 (en) Manual sluice hoist with alarm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