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764B1 -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764B1
KR101763764B1 KR1020170071751A KR20170071751A KR101763764B1 KR 101763764 B1 KR101763764 B1 KR 101763764B1 KR 1020170071751 A KR1020170071751 A KR 1020170071751A KR 20170071751 A KR20170071751 A KR 20170071751A KR 101763764 B1 KR101763764 B1 KR 10176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rope
sonic
acquiring unit
image acqu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우
박순영
양형석
Original Assignee
(주)선영종합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영종합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선영종합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71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5/00Measuring propagation velocity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e.g. of pressure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1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속측정기가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등에 걸렸을 경우 해당 상태에서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상단부의 플라스틱 안전고리가 터져 뒤집힌 후 하단부에 연결된 고리에 의해 물 밖으로 견인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음속측정기가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등에 최대한 걸리지 않으면서 견인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음속측정기가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등에 걸렸을 시 자체 추진력을 통해 그 안전고리의 터지는 현상 없이 해당 방해 물체의 걸림으로부터 벗어나는 작용이 우선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는 안전고리, 비상 견인용 로프, 견인력 측정센서, 상부 몸체, 제1 조명장치, 제2 조명장치, 제1 영상획득부, 제2 영상획득부, 에어분출장치, 하부 몸체, 추력 발생부, 기울기 센서, 제어부 및 태양전지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안전고리 상기 음속측정기가 견인되는 과정에서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또는 기타 음속측정기의 견인을 방해하는 물체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비상 견인용 로프의 고리부를 통해 기설정된 견인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견인력 작용 시 터지면서 상기 음속측정기가 하부의 결합고리 및 상기 비상 견인용 로프를 통해 계속해서 견인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to lose SVP}
본 발명은 수중 음속측정기(SVP)가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등에 걸렸을 경우 해당 상태에서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상단부의 플라스틱 안전고리가 터져 뒤집힌 후 하단부에 연결된 고리에 의해 물 밖으로 견인될 수 있도록 하는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해양을 인류의 미래를 위한 생활의 장으로 활용하려는 기대감이 커짐에 따라, 해양의 특성들을 밝혀내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더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
해양은 대기처럼 시공간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지구의 70%를 차지하는 해양의 변화는 지구 전체의 환경 변화를 이끌고 있다. 지구 온난화가 가속되고 있는 지구의 상태를 시공간적으로 관측하기 위하여, 인공위성(Satellite), 연구선(Research Vessel), 해양 관측부이(Observation Buoy), 해양 관측탑(Observation Tower), 해저면 계류시스템(Bottom Mooring System), 무선표류부이(Wireless Drift Buoy), 무인수중탐사체(Unmanned Underwater Vehicle)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탐사 센서가 탑재되는 시스템을 플랫폼이라 부르며, 관측 방식에 따라 크게 오일러 방식(Eulerian Method)과 라그랑지안 방식(Lagrangian Method)의 계측으로 분류된다. 오일러 방식은 하나의 정점을 지나는 해수의 물리적 특징을 시계열적으로 관측하는 방식으로, 해양관측 부이, 해양관측탑, 해저면 계류시스템 등이 이에 해당한다. 라그랑지안 방식은 플랫폼 자체가 해양공간을 이동하며 해수의 상태를 관측하는 방식으로 연구선, 무선 표류 부이, 무인수중탐사체 등이다.
특히, 해수의 수직공간상의 변화를 관측하기 위하여 다양한 무인 플랫폼이 활용되고 있다. 기존 방식으로, 해수면과 해저면을 연결한 계류선에 특정 간격으로 센서를 부착하여 일정기간 관측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일명, CTD 센서체인). 요즘에는 계류선을 이용하지 않고, 부이에 윈치를 장착하여 관측 센서를 특정 수심까지 내렸다가 올리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수직 공간의 해양환경을 계측하는 수직 연속 관측기(Vertical Profiler)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해저면에 수중 윈치를 설치하고, 센서를 해면까지 부상시키거나 감아내리는 동작을 통해 같은 효과를 얻어내는 장치도 활용되고 있다.
한편, 음향측심법에 있어서 해수중의 음파속도는 해수중의 수온, 염분, 압력 등의 상태에 따라 변화한다. 즉, 음속도는 시간과 수괴의 위치에 의하여 일정한 것이 아니라 계절, 해역, 깊이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한 수심을 얻기 위해서는 수심 측정 시 그 위치에 있어서 음속도의 분포를 보다 자세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음속도의 측정방법에는 Bar-Check법, 계산법, 음속도 계측법 등이 있다. 수심측량의 실시해역, 측심정도, 사용 기기의 조건, 자료정리나 성과작성의 조건에 의해서 이러한 방법을 선택하여 필요한 정도의 보정자료를 취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음속도 계측법에는 음속측정기(SVP)를 수중에 투하하여 계측하여 MBES에 적용하거나, 측량선 선저에 음속측정 센서를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음속도를 측정하여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음속측정기는 멀티빔 측량 전후에 줄에 묶여 해저면으로 내려지는데, 이 과정에서 음속측정기의 컨넥트에 해저 장애물이나 그물 또는 로프 등이 걸리게 되면서 해당 음속측정기를 분실할 우려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23551호(2013.01.17.공고), “해양의 수직 구조 연속 연직 관측을 위한 수중 측정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1357763호(2014.02.03.공고), “자동기록식 수중청음기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수중방사소음 측정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음속측정기가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등에 걸렸을 경우 해당 상태에서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상단부의 플라스틱 안전고리가 터져 뒤집힌 후 하단부에 연결된 고리에 의해 물 밖으로 견인될 수 있도록 하는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음속측정기가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등에 최대한 걸리지 않으면서 견인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음속측정기가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등에 걸렸을 시 자체 추진력을 통해 그 안전고리의 터지는 현상 없이 해당 방해 물체의 걸림으로부터 벗어나는 작용이 우선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는 음속측정기(SVP:1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홀(11)에 결속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안전고리(110)와, 상기 안전고리(110)와 결합되는 고리부(121)가 길이방향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리부(121)에 상기 음속측정기(10)의 견인을 위한 로프(20)가 결속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은 상기 음속측정기(1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고리(12)에 결속되는 비상 견인용 로프(120)와, 상기 음속측정기(10)의 견인 시 상기 로프(20)를 통해 상기 음속측정기(10)를 당기는 힘을 측정하는 견인력 측정센서(130)와, 상기 음속측정기(10)의 상부에 상기 음속측정기(10)의 둘레를 따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몸체(140)와, 상기 상부 몸체(140)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음속측정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측 방향을 조명하는 제1 조명장치(150)와, 상기 상부 몸체(140)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음속측정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하측 방향을 조명하는 제2 조명장치(160)와, 상기 상부 몸체(140)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음속측정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측 방향에 대한 수중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영상획득부(170)와, 상기 상부 몸체(140)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음속측정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하측 방향에 대한 수중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영상획득부(180)와, 상기 상부 몸체(140)에 설치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며, 에어의 분출되는 줄기가 상기 음속측정기(10)의 상측 방향에서 교차되도록 서로 반대되는 사선 방향으로 에어를 각각 분출하는 한 쌍의 에어분출장치(190)와, 상기 음속측정기(10)의 하부에 상기 음속측정기(10)의 둘레를 따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몸체(200)와, 상기 하부 몸체(200)에 상기 음속측정기(10)의 둘레 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복수의 추력 발생부(210)와, 상기 상부 몸체(140) 및 하부 몸체(2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설치되어 상기 음속측정기(10)의 기울기를 실시간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220)와, 상기 견인력 측정센서(13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속측정기(10)에 대한 상기 로프(20)의 견인력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기울기 센서(220)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음속측정기(10)의 현재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기 추력발생부(210)들의 일부 또는 전체를 작동시키되 상기 추력발생부(210)별 추력 크기를 조정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조명장치(160) 및 제2 영상획득부(180)를 작동시켜 상기 제2 영상획득부(180)로부터 획득되는 수중 영상정보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고, 상기 로프(20)를 통해 상기 음속측정기(10)가 상측 방향으로 견인 시 상기 제1 조명장치(150) 및 제1 영상획득부(170)를 작동시킨 후 상기 제1 영상획득부(170)로부터 전송되는 수중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음속측정기(10)의 견인되는 방향에 견인을 방해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 시 상기 한 쌍의 에어분출장치(190)를 작동시키는 제어 및 상기 추력발생부(210)들의 일부 또는 전체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작동되는 상기 추력발생부(210)별 추력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또는 둘 모두의 제어 동작을 하는 제어부(230)와, 상기 로프(20)를 통해 상기 음속측정기(10)를 견인하는 모체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상기 견인력 측정센서(130), 제1 조명장치(150), 제2 조명장치(160), 제1 영상획득부(170), 제2 영상획득부(180), 한 쌍의 에어분출장치(190), 복수의 추력발생부(210), 기울기 센서(220) 및 제어부(230)에 공급되기 위한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패널(240)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고리(110)는 상기 음속측정기(10)가 견인되는 과정에서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또는 기타 음속측정기(10)의 견인을 방해하는 물체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비상 견인용 로프(120)의 고리부(121)를 통해 기설정된 견인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견인력 작용 시 터지면서 상기 음속측정기(10)가 하부의 결합고리(12) 및 상기 비상 견인용 로프(120)를 통해 계속해서 견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음속측정기가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등에 걸렸을 경우 해당 상태에서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상단부의 플라스틱 안전고리가 터져 뒤집힌 후 하단부에 연결된 고리에 의해 물 밖으로 견인될 수 있으므로, 음속측정기의 견인 과정에서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등에 걸리는 현상으로 인한 해당 음속측정기의 분실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음속측정기가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등에 최대한 걸리지 않으면서 견인될 수 있고, 음속측정기가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등에 걸렸을 시 자체 추진력을 통해 그 안전고리의 터지는 현상 없이 해당 방해 물체의 걸림으로부터 벗어나는 작용이 우선 진행될 수 있어, 음속측정기를 수중에서 상하 이동시키면서 측정 작업 시 해당 측정 작업이 방해 물체들로 인해 중단되는 현상이 최대한 배제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가 음속 측정기에 적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에서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에서 에어분출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면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가 음속 측정기에 적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에서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는 안전고리(110), 비상 견인용 로프(120), 견인력 측정센서(130), 상부 몸체(140), 제1 조명장치(150), 제2 조명장치(160), 제1 영상획득부(170), 제2 영상획득부(180), 에어분출장치(190), 하부 몸체(200), 추력 발생부(210), 기울기 센서(220), 제어부(230) 및 태양전지패널(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전고리(110)는 수중 음속측정기(SVP:1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홀(11)에 결속되는 형태로 결합되며, 이러한 안전고리(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비상 견인용 로프(120)는 안전고리(110)와 결합되는 고리부(121)가 길이방향의 일단에 구비되어 이러한 고리부(121)에 음속측정기(10)의 견인을 위한 로프(20)가 결속된다. 그리고 비상 견인용 로프(120)의 길이방향 타단은 음속측정기(1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고리(12)에 결속된다.
견인력 측정센서(130)는 음속측정기(10)의 견인 시 로프(20)를 통해 음속측정기(10)를 당기는 힘을 측정한다.
상부 몸체(140)는 음속측정기(10)의 상부에 음속측정기(10)의 둘레를 따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 몸체(140)가 길이방향의 일단은 상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에는 각각 결합 기능의 플랜지부(141)가 형성되어 이러한 플랜지부(141)가 조임볼트(142)를 통해 결합되면서 음속측정기(10)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몸체(140)가 음속측정기(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조명장치(150)는 상부 몸체(140)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1 조명장치(150)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음속측정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측 방향을 조명한다.
제2 조명장치(160)는 상부 몸체(140)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2 조명장치(160)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음속측정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하측 방향을 조명한다.
제1 영상획득부(170)는 상부 몸체(140)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1 영상획득부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음속측정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측 방향에 대한 수중 영상을 획득한다.
제2 영상획득부(180)는 상부 몸체(140)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2 영상획득부(180)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음속측정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하측 방향에 대한 수중 영상을 획득한다.
에어분출장치(19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부 몸체(140)가 음속측정기(10)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태가 되도록 상부 몸체(140)에 설치되며, 이러한 한 쌍의 에어분출장치(190)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되, 에어의 분출되는 줄기가 음속측정기(10)의 상측 방향에서 교차되도록 서로 반대되는 사선 방향으로 에어를 각각 분출한다.
하부 몸체(200)는 음속측정기(10)의 하부에 음속측정기(10)의 둘레를 따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하부 몸체(200)가 길이방향의 일단은 상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에는 각각 결합 기능의 플랜지부(201)가 형성되어 이러한 플랜지부(201)가 조임볼트(202)를 통해 결합되면서 음속측정기(10)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몸체(200)가 음속측정기(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추력 발생부(210)는 복수로 이루어져 하부 몸체(200)에 음속측정기(10)의 둘레 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된다.
기울기 센서(220)는 상부 몸체(140) 및 하부 몸체(2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설치되어 음속측정기(10)의 기울기를 실시간 감지한다.
제어부(230)는 견인력 측정센서(130)로부터 전송되는 음속측정기(10)에 대한 로프(20)의 견인력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기울기 센서(220)를 통해 감지되는 음속측정기(10)의 현재 기울기를 기반으로 추력발생부(210)들의 일부 또는 전체를 작동시키되 추력발생부(210)별 추력 크기를 조정하며, 또한 제어부(230)는 제2 조명장치(160) 및 제2 영상획득부(180)를 작동시켜 제2 영상획득부(180)로부터 획득되는 수중 영상정보를 외부의 수신 대상, 다시 말해 수중측정기(10)를 운용 및 관리하는 관리자가 해당 수중측정기(10)의 측정 정보들을 확인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자기기에 전송한다.
즉, 제어부(230)는 견인력 측정센서(130)를 통해 전송되는 로프(20)를 통한 음속측정기(10)의 견인력이 정상적인 범위가 아닌 것으로 확인 시 추력발생부(210)들을 작동시켜 음속측정기(10)에 부상하는 힘을 제공하되, 기울기 센서(220)를 통해 감지되는 음속측정기(10)의 현재 기울기를 감안하여 음속측정기(10)가 최대한 수직 상태를 유지하면서 부상되는 힘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추력발생부(210)별 선택적인 작동 및 작동되는 추력발생부(210)의 추력 크기를 조정한다. 제어부(230)는 이와 동시에 제2 조명장치(160) 및 제2 영상획득부(180)를 작동시켜 음속측정기(10)의 하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관리자의 전자기기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관리자는 이렇게 전송되는 영상을 통해 음속측정기(10)가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등에 걸렸는지 여부 및 걸린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30)는 로프(20)를 통해 음속측정기(10)가 상측 방향으로 견인 시 제1 조명장치(150) 및 제1 영상획득부(170)를 작동시킨 후 제1 영상획득부(170)로부터 전송되는 수중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음속측정기(10)의 견인되는 방향에 견인을 방해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 시 한 쌍의 에어분출장치(190)를 작동시키는 제어 및 추력발생부(210)들의 일부 또는 전체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작동되는 추력발생부(210)별 추력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또는 둘 모두의 제어 동작을 한다.
즉, 제어부(230)는 음속측정기(10)의 로프(20)를 통한 견인 시 음속측정기(10)의 견인되는 방향에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등 음속측정기(10)의 견인을 방해하는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제1 영상획득부(170)의 영상정보를 통해 미리 확인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추력발생부(210)를 작동시켜 음속측정기(10)가 해당 방해 물체들을 피하면서 견인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에어분출장치(190)를 통해 음속측정기(10)의 견인 방향 전방에 에어가 분사되도록 하며, 이때,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에어분출장치(190)는 에어의 분출되는 줄기가 음속측정기(10)의 전방 쪽에서 교차되도록 서로 반대되는 사선 방향으로 에어를 각각 분출하는 형태이므로, 음속측정기(10)의 전방 쪽에 전방 방향으로 물살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물살에 따라 음속측정기(10)의 전방 쪽에 존재하는 방해 물체가 음속측정기(10)의 전방 쪽으로부터 바깥 쪽으로 밀려나면서 음속측정기(10)에 걸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태양전지패널(240)은 로프(20)를 통해 음속측정기(10)를 견인하는 모체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통해 견인력 측정센서(130), 제1 조명장치(150), 제2 조명장치(160), 제1 영상획득부(170), 제2 영상획득부(180), 한 쌍의 에어분출장치(190), 복수의 추력발생부(210), 기울기 센서(220) 및 제어부(230)에 공급되기 위한 전기를 생산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음속측정기(10)가 견인되는 과정에서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또는 기타 음속측정기(10)의 견인을 방해하는 물체에 걸린 상태에서 비상 견인용 로프(120)의 고리부(121)를 통해 기설정된 견인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견인력이 작용 시 안전고리(110)가 터지면서 음속측정기(10)는 하부의 결합고리(12) 및 비상 견인용 로프(120)를 통해 계속해서 견인될 수 있다.
도 4는 이를 예시한 것으로서, 안전고리(110)가 터져 음속측정기(10)가 거꾸로 뒤집지면서 하부의 결합고리(12)를 매개로 비상 견인용 로프(120)를 통해 견인되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안전고리(110)가 터지는 과정이 발생되기 전에 음속측정기(10)가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등에 최대한 걸리지 않으면서 견인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 및 음속측정기(10)가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등에 걸렸을 시 추진력을 통해 안전고리(110)의 터지는 현상 없이 해당 방해 물체의 걸림으로부터 벗어나는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음속측정기(10)를 수면 위로 견인시킬 때 보다는 음속측정기(10)를 수중에서 상하 이동시키면서 측정 작업을 이어가는 과정에서 보다 유효하게 작용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음속측정기 11 : 결합홀
12 : 결합고리 20 : 로프
110 : 안전고리 120 : 비상 견인용 로프
121 : 고리부 130 : 견인력 측정센서
140 : 상부 몸체 141 : 플랜지부
142 : 조임볼트 150 : 제1 조명장치
160 : 제2 조명장치 170 : 제1 영상획득부
180 : 제2 영상획득부 190 : 에어분출장치
200 : 하부 몸체 201 : 플랜지부
202 : 조임볼트 210 : 추력 발생부
220 : 기울기 센서 230 : 제어부
240 : 태양전지패널

Claims (1)

  1. 수중 음속측정기(SVP:1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홀(11)에 결속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안전고리(110);
    상기 안전고리(110)와 결합되는 고리부(121)가 길이방향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리부(121)에 상기 음속측정기(10)의 견인을 위한 로프(20)가 결속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은 상기 음속측정기(1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고리(12)에 결속되는 비상 견인용 로프(120);
    상기 음속측정기(10)의 견인 시 상기 로프(20)를 통해 상기 음속측정기(10)를 당기는 힘을 측정하는 견인력 측정센서(130);
    상기 음속측정기(10)의 상부에 상기 음속측정기(10)의 둘레를 따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몸체(140);
    상기 상부 몸체(140)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음속측정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측 방향을 조명하는 제1 조명장치(150);
    상기 상부 몸체(140)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음속측정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하측 방향을 조명하는 제2 조명장치(160);
    상기 상부 몸체(140)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음속측정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측 방향에 대한 수중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영상획득부(170);
    상기 상부 몸체(140)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음속측정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하측 방향에 대한 수중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영상획득부(180);
    상기 상부 몸체(140)에 설치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며, 에어의 분출되는 줄기가 상기 음속측정기(10)의 상측 방향에서 교차되도록 서로 반대되는 사선 방향으로 에어를 각각 분출하는 한 쌍의 에어분출장치(190);
    상기 음속측정기(10)의 하부에 상기 음속측정기(10)의 둘레를 따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몸체(200);
    상기 하부 몸체(200)에 상기 음속측정기(10)의 둘레 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복수의 추력 발생부(210);
    상기 상부 몸체(140) 및 하부 몸체(2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설치되어 상기 음속측정기(10)의 기울기를 실시간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220);
    상기 견인력 측정센서(13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속측정기(10)에 대한 상기 로프(20)의 견인력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기울기 센서(220)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음속측정기(10)의 현재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기 추력발생부(210)들의 일부 또는 전체를 작동시키되 상기 추력발생부(210)별 추력 크기를 조정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조명장치(160) 및 제2 영상획득부(180)를 작동시켜 상기 제2 영상획득부(180)로부터 획득되는 수중 영상정보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고, 상기 로프(20)를 통해 상기 음속측정기(10)가 상측 방향으로 견인 시 상기 제1 조명장치(150) 및 제1 영상획득부(170)를 작동시킨 후 상기 제1 영상획득부(170)로부터 전송되는 수중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음속측정기(10)의 견인되는 방향에 견인을 방해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 시 상기 한 쌍의 에어분출장치(190)를 작동시키는 제어 및 상기 추력발생부(210)들의 일부 또는 전체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작동되는 상기 추력발생부(210)별 추력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또는 둘 모두의 제어 동작을 하는 제어부(230);
    상기 로프(20)를 통해 상기 음속측정기(10)를 견인하는 모체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상기 견인력 측정센서(130), 제1 조명장치(150), 제2 조명장치(160), 제1 영상획득부(170), 제2 영상획득부(180), 한 쌍의 에어분출장치(190), 복수의 추력발생부(210), 기울기 센서(220) 및 제어부(230)에 공급되기 위한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패널(240)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고리(110)는 상기 음속측정기(10)가 견인되는 과정에서 해저 장애물, 그물, 로프 또는 기타 음속측정기(10)의 견인을 방해하는 물체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비상 견인용 로프(120)의 고리부(121)를 통해 기설정된 견인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견인력 작용 시 터지면서 상기 음속측정기(10)가 하부의 결합고리(12) 및 상기 비상 견인용 로프(120)를 통해 계속해서 견인될 수 있도록 하는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
KR1020170071751A 2017-06-08 2017-06-08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 KR101763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751A KR101763764B1 (ko) 2017-06-08 2017-06-08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751A KR101763764B1 (ko) 2017-06-08 2017-06-08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764B1 true KR101763764B1 (ko) 2017-08-16

Family

ID=5975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751A KR101763764B1 (ko) 2017-06-08 2017-06-08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7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473Y1 (ko) 2001-01-15 2001-06-15 우종식 수중 견인체의 자동 안전회수장치
KR101672723B1 (ko) 2016-04-14 2016-11-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어부가 분리된 사이드 스캔 소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473Y1 (ko) 2001-01-15 2001-06-15 우종식 수중 견인체의 자동 안전회수장치
KR101672723B1 (ko) 2016-04-14 2016-11-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어부가 분리된 사이드 스캔 소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ndtop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hydroacoustic instruments for ROV navigation along aquaculture net pens
AU2011323843B2 (en) Sonar data collection system
JP5223532B2 (ja) 水柱観測装置及び水柱観測方法
US5642330A (en) Sea state measuring system
BRPI0718763A2 (pt) Sistema de prospecção subaquática para uso em prospecções subterrâneas, e, métodos de condução de uma propecção subaquática e de planejamento de uma prospecção subterrânea subaquática.
US20090296527A1 (en) System for measuring acoustic signature of an object in water
US104956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rveying
US4794575A (en) Submarine launched sea-state buoy (SLSSB)
US20070022937A1 (en) Motion compensation system for under water sonar systems
Piskura et al. Development of a robust Line Capture, Line Recovery (LCLR) technology for autonomous docking of AUVs
US20150096484A1 (en) Wing Releasing System for a Navigation Control Device
KR20190141341A (ko) 드론과 소나를 이용한 수중구조물 무인 조사 방법
WO2014023925A1 (en) Survey apparatus and methods for collecting sensor data in a body of water
KR101763764B1 (ko) 수중 음속측정기 분실방지 장치
Hayashi et al. Customizing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nd developing a launch and recovery system
US9383468B2 (en) Streamers without tailbuoys
WO2015140526A1 (en) Underwater platform
CN110087985A (zh) 拖船接近控制
KR200415471Y1 (ko) 수중탐지기
KR100549431B1 (ko) 수중탐지기의 유실방지장치
KR101791679B1 (ko) 사이드 스캔 소나 로프 걸림 방지 견인 연결장치
JP2004347550A (ja) 浮体式風況調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647753B1 (ko) 음파 탐지기 및 음파 탐지기의 움직임 보정 장치
CN112977728A (zh) 用于声学评估系统的智能位置校正设备
KR20190089463A (ko)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를 위한 수신기 거리 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