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561B1 - 휴대용 전자 침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 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561B1
KR101763561B1 KR1020160142010A KR20160142010A KR101763561B1 KR 101763561 B1 KR101763561 B1 KR 101763561B1 KR 1020160142010 A KR1020160142010 A KR 1020160142010A KR 20160142010 A KR20160142010 A KR 20160142010A KR 101763561 B1 KR101763561 B1 KR 10176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user
laser
disease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민
이의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42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2Devices for locating such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17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with leads or electrodes penetrating the sk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질환에 대한 경혈위치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휴대용 전자 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화각 범위 내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촬영하여 신체부위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와 상기 신체부위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상기 사용자의 질환에 대한 경혈위치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포인터 및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상기 질환에 대한 경혈위치에 위치하여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자 침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침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 침 장치{PORTABLE ELECTRONIC ACUPUNCTURE NEED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침을 놓을 부위를 가이드해주는 휴대용 전자 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침술은 한의학을 비롯한 동양의학에서 신체의 특정 부위를 찔러 자극함으로써 신경계에 자극을 주어 특정한 치료 효과를 거두기 위한 기법을 의미한다. 침술에서 침을 놓거나 뜸을 뜨는 부위를 경혈이라고 하며, 각 질병이나 증상마다 치료 효과가 있는 경혈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침술은 가늘고 예민한 바늘을 이용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시술 중 실수가 발생하거나 침을 방치하여 두는 등의 부주의로 한의사나 환자에게 상처를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패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전자 침이 고안되었다. 전자 침이란 신체의 특정 부위에 전기 자극을 주어 치료 효과를 얻는 침술 용 장비를 의미한다.
그러나 전자 침을 이용하더라도 전기 자극의 대상이 되는 경혈을 특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한의사 등 침술을 수행하는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전자 침이 각기 다른 위치에 부착되어 치료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534525호 (문헌명: 휴대형 다기능 치료기, 공개일: 2015년 5월 28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으로서,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와 촬영된 신체부위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특정 질환에 대한 경혈위치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휴대용 전자 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침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화각 범위 내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촬영하여 신체부위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와 신체부위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사용자의 질환에 대한 경혈위치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포인터 및 레이저가 조사된 질환에 대한 경혈위치에 위치하여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자 침을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부는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카메라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경우 신체부위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 침 장치는 신체부위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신체부위 영상정보 및 화각 범위 내의 기설정된 영역을 표시하는 지시선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지시선은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 또는 신체부위 영상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침 장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와 촬영된 신체부위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특정 질환에 대한 경혈위치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사용자의 특정 질환에 대한 경혈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침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침 장치에서 화각 범위 내의 기설정된 영역을 표시하는 지시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침 장치의 구성 중 전자 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침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침 장치(1)는 카메라부(12), 레이저포인터(13) 및 전자 침(1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침 장치(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 주 제어부(14) 및 데이터베이스(16)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부(12)는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화각 범위 내의 기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촬영하여 신체부위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 신체부위는 손바닥, 손등, 팔, 다리 등 신체의 일부를 의미한다. 후술하는 '특정 신체부위'라 함은 앞서 설명한 신체부위 중 카메라부(12)가 촬영한 대상이 된 신체부위를 의미한다.
카메라부(12)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가 자체의 화각 범위 내에 감지되는 경우에 동작을 시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가 자체의 화각 범위 내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할 때까지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를 반복적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가 기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서의 특정 신체부위에 대한 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카메라부(12)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서만 촬영을 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레이저포인터(13)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와 신체부위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 중 사용자의 특정 질환에 대한 경혈위치에 레이저를 조사한다.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란 각 질환 별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경혈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질환 A에 대한 경혈의 위치가 a인 경우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는 특정 질환 A와 경혈 위치 a를 매칭하여 저장한 정보(A-a)를 의미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다른 질환 B에 대한 경혈의 위치가 b인 경우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는 다른 질환 B와 경혈 위치 b를 매칭하여 저장한 정보(B-b)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는 복수일 수 있다.
레이저포인터(13)는 카메라부(12)가 촬영한 신체부위 영상정보에서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질환에 대한 경혈 위치에 대해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질환은 현재 사용자가 보유한 질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침 장치가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인 치료 대상 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레이저포인터(13)는 레이저포인터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레이저포인터 구동부(미도시)는 상술한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 중 사용자의 특정 질환에 대한 경혈위치에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레이저포인터(13)의 레이저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전자 침(15)은 레이저가 조사된 특정 질환에 대한 경혈위치에 위치하여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전자 침(15)은 바늘 형태의 전자 침, 패치 형태의 전자 침을 비롯하여 경혈위치에 전기 자극을 가하기 위한 각종 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침(15)은 레이저가 조사된 지점에 위치할 때만 전기 자극이 가해질 수 있게 작동되고, 레이저가 조사된 지점을 벗어난 경우 전기 자극을 차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상술한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6)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치료의 대상이 되는 상술한 사용자의 특정 질환을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6)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주 제어부(1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 카메라부(12), 레이저포인터(13), 전자 침(15) 및 데이터베이스(16)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6)는 사용자의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 치료의 대상이 되는 치료 대상 질병인 특정 질병을 비롯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침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침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침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는 신체부위 영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부(12)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2)를 촬영하며, 카메라부(12)의 촬영 결과 생성된 신체부위 영상정보 및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포인터(13)는 사용자의 치료 대상 질환에 대한 경혈의 위치에 레이저(13a)를 조사할 수 있다.
카메라부(12)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와 기설정된 이격 거리(D)를 유지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 신체부위를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카메라부(12)는 카메라의 초점이 맞는 경우에만 신체부위 영상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침 장치에서 화각 범위 내의 기설정된 영역을 표시하는 지시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카메라부(12)가 촬영한 신체부위 영상정보(2a) 및 지시선(17a)이 디스플레이부(17)를 통해 함께 출력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7)는, 화면 상에 화각 범위 내의 기설정된 영역을 표시하는 지시선(17a)을 더 출력할 수 있다. 지시선(17a)이란 알맞은 경혈에 레이저포인터가 조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위치되도록 가이드해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상의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신체부위를 본 딴 모양의 테두리 선 등이 될 수 있다.
지시선(17a)은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 또는 신체부위 영상정보(2a)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변비 질환의 경혈위치정보가 손등의 '제2 이간'이고, 지시선(17a)은 이에 따라 손등 모양의 테두리 선으로 결정되어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영상정보(2a)가 손등 영상정보로 입력된 경우, 지시선(17a)은 손등 모양의 테두리 선으로 결정되어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지시선(17a)은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 및 신체부위 영상정보(2a)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비만 질환의 경혈위치정보가 다리의 '족삼리'와 팔뚝의 '곡지'이고, 신체부위 영상정보(2a)가 팔뚝 영상정보인 경우에 지시선(17a)은 팔뚝 모양의 테두리 선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지시선(17a)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상으로 지시 텍스트(미도시)가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변비 질환의 경혈위치정보가 손등의 '제2 이간'인 경우 디스플레이에는 "손등을 갖다 대시오."라는 지시 텍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텍스트가 아니라 시각장애인 등을 위하여 음성으로 "손등을 갖다 대시오."라고 음성 지시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7)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화면 상에 출력되는 신체부위 영상정보(2a)와 지시선(17a)을 확인하여 자신의 특정 신체부위의 위치가 치료 대상 질병에 대한 경혈을 추정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신체부위 영상정보(2a)가 지시선(17a)의 영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특정 신체부위를 이동하여 신체부위 영상정보(2a)가 지시선(17a)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레이저포인터(13)가 레이저를 조사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자신의 특정 신체부위를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7)를 통해 출력되는 지시선(17a)을 통해 레이저포인터(13)가 레이저를 조사하는 특정 질환에 대한 경혈위치가 보다 정확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침 장치의 구성 중 전자 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침(15)은 특정 질환에 대한 경혈위치에 위치하여 전기 자극을 가하는 패치 형태의 침을 포함할 수 있다. 패치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전자 침이 본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앞선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참조된 도면 각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각 화면에 표시된 정보들의 항목, 내용과 이미지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휴대용 전자 침 장치
2: 신체부위
2a: 신체부위 영상정보
11: 사용자 인터페이스
12: 카메라부
13: 레이저포인터
14: 주 제어부
15: 전자 침
16: 데이터베이스
17: 디스플레이부
17a: 지시선

Claims (4)

  1.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화각 범위 내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촬영하여 신체부위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와 상기 신체부위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상기 사용자의 질환에 대한 경혈위치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포인터;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상기 질환에 대한 경혈위치에 위치하여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자 침; 및
    상기 신체부위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경우 상기 신체부위를 촬영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신체부위 영상정보 및 상기 화각 범위 내의 기설정된 영역을 표시하는 지시선을 출력하고,
    상기 지시선은 상기 질환 별 경혈위치정보 또는 상기 신체부위 영상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레이저포인터는 상기 사용자의 질환에 대한 경혈위치에 상기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레이저포인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침은,
    상기 전자 침의 위치가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지점인 경우에는 전기 자극이 가해지도록 작동하고, 상기 전자 침의 위치가 상기 레이저가 조사된 지점을 벗어난 경우 상기 전기 자극을 차단시키는 휴대용 전자 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42010A 2016-10-28 2016-10-28 휴대용 전자 침 장치 KR10176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010A KR101763561B1 (ko) 2016-10-28 2016-10-28 휴대용 전자 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010A KR101763561B1 (ko) 2016-10-28 2016-10-28 휴대용 전자 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561B1 true KR101763561B1 (ko) 2017-08-10

Family

ID=5965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010A KR101763561B1 (ko) 2016-10-28 2016-10-28 휴대용 전자 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5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721A (ko)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세이가 경혈점의 위치 측정, 분석 및 자극 방법
IT201900009498A1 (it) * 2019-06-19 2020-12-19 Giacomo Copelli Un apparecchiatura per il trattamento di patologi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593B1 (ko) * 2005-09-30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수지침 기능 지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593B1 (ko) * 2005-09-30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수지침 기능 지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721A (ko)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세이가 경혈점의 위치 측정, 분석 및 자극 방법
IT201900009498A1 (it) * 2019-06-19 2020-12-19 Giacomo Copelli Un apparecchiatura per il trattamento di patologi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66419T3 (es) Alineamiento automatico ayudado por ordenador, de puntos de acupuntura vitales y sistema electronico de acupuntura.
US9675518B2 (en) Non-invasive methods for prevention, detection, treatment, and healing of neoplastic processes in humans
Fei et al. Methodological challenges in design and conduct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in acupuncture
EP3019138B1 (en) Guiding means for administering acupuncture and other healing procedures
KR101816886B1 (ko) 호흡 유도 시스템 및 방법
SG161097A1 (en) Iris pattern recognition and alignment
KR101763561B1 (ko) 휴대용 전자 침 장치
KR20130133969A (ko) 영상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시술영역 및 조사강도가 조절되는 레이저 시술장치
KR20120027074A (ko) 피부두께, 색채감별 및 영상인식장치를 이용한 레이저 시술시스템
KR20160007700A (ko) 레이저 수술 유도 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100700593B1 (ko) 휴대용 수지침 기능 지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060178661A1 (en) System for the stimulation of acupuncture points
US20200105396A1 (en) Phototherapeutic apparatus
Zhang et al. Evaluation of Reflexology by
JPWO2016190285A1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システム、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プログラム、及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方法
US9839578B2 (en) Non-invasive methods for prevention, detection, treatment, and healing of neoplastic processes in dogs and cats
JP2015188559A (ja) 医療用イメージング装置
WO2018006201A1 (zh) 针灸装置
JP2007252553A (ja) 鍼治療訓練装置及び鍼治療訓練システム
KR20140079184A (ko) 초음파 치료기기
TWM507277U (zh) 利用智慧型手機控制電子針灸功能的裝置
TWI283593B (en) Automatic laser displacement control method of laser treatment equipment
CN112823772A (zh) 超声可视化针灸装置
JP2016067796A (ja) 視機能開発装置
WO2016039001A1 (ja) イメージ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