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500B1 -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 - Google Patents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500B1
KR101762500B1 KR1020150096008A KR20150096008A KR101762500B1 KR 101762500 B1 KR101762500 B1 KR 101762500B1 KR 1020150096008 A KR1020150096008 A KR 1020150096008A KR 20150096008 A KR20150096008 A KR 20150096008A KR 101762500 B1 KR101762500 B1 KR 10176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ase
hole
storage space
case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653A (ko
Inventor
남상용
남상우
소창호
Original Assignee
(사)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장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장관) filed Critical (사)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96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5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5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01G9/104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방이나 핸드백 등에 매달아 다닐 수 있도록 휴대가 가능하며, 내부에 식재된 다육식물을 빛의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식재된 다육식물을 확대하여 관상할 수 있는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은 하부는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부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공간부가 구비되되 상기 저장공간부 외주 상단에는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주입구를 밀봉할 수 있는 밀봉부재와 상기 외부 케이스가 안착되어 체결할 수 있도록 단턱부가 하부측면에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미니 다육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배양토가 충진된 식재공간부가 구비된 하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 {Mini flowerpot for decorative fleshy plant}
본 발명은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방이나 핸드백 등에 매달아 다닐 수 있도록 휴대가 가능하며, 내부에 식재된 다육식물을 빛의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식재된 다육식물을 확대하여 관상할 수 있는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초를 재배하거나 관상용으로 재배할 때 화분을 주로 사용하며, 이 화분은 식물의 뿌리가 배양토에 묻히도록 해주는 것이며 화분에 물을 주면 배수되도록 화분 저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 화분의 구조 및 형상이다.
상기의 화분의 크기 및 무게는 한 손으로 드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작은 크기에서부터 여러 사람이 같이 힘을 합쳐야지 이동이 가능할 정도로 부피 및 크기가 큰 화분 등 여러 가지의 화분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화분을 사무실 안이나 아파트의 베란다, 일반주택의 계단 및 뜰에서 가꾸는 목적은 세상이 너무나 이기적이면서 각박하게 돌아감으로 인해 조금이나마 환경 친화적이면서 정서 순화를 위해 재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까지의 모든 사람들은 화분은 항상 일정한 장소에 놓여 지며 그 크기 또한 항상 휴대하기는 불편할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인 사람들의 공통된 생각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작은 형태의 미니 화분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77697호의 액세서리를 겸하는 휴대용 식물재배용기는 일정량의 배양토가 충진된 하부용기(10)의 개방된 상면에는 식재된 식물의 줄기가 빠져나올 수 있을 정도의 통공(22)을 갖는 고정판(20)을 몰입시켜 배양토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하부용기(10)의 상부에는 투명한 캡슐형의 덮개(30)가 형성되어 휴대와 관상이 자유로운 캡슐형의 휴대용 식물재배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10)의 내면에는 다수의 유도방지돌기(12)가 등 간격을 이루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 면에 상기 유도방지돌기(12)에 대응결합하는 안내홈(24)이 형성된 고정판(20)이 통공(22)을 중심으로 적어도 2편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지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액세서리를 겸하는 휴대용 식물재배용기는 가방이나 핸드백 등에 매달아 다닐 수 있도록 휴대가 가능하여 관상할 수 있으나 식재된 식물이 다육식물인 경우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면 햇빛의 직사광선에 다육식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또한, 내부에 식재된 미니형태의 다육식물을 자세하게 볼 수 없는 문제점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77697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식재된 다육식물을 빛의 직사광선으로부터 다육식물을 보호할 수 있고, 식재된 다육식물을 확대하여 관상할 수 있는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는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부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공간부가 구비되되 상기 저장공간부 외주 상단에는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주입구를 밀봉할 수 있는 밀봉부재와 상기 외부 케이스가 안착되어 체결할 수 있도록 단턱부가 하부측면에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미니 다육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배양토가 충진된 식재공간부가 구비된 하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육식물 미니화분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의 저장공간부 외주 상부에 형성된 주입구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저장공간부와 연결된 주입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는 중심부에 액체가 주입될 수 있도록 유도홈이 형성되고 외주 일측끝단은 상기 주입구의 주입통공과 대응되는 십자형 칼집 형태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의 저장공간부 내측 하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노즐부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부와 연결된 고무재질의 엘자형 펌핑부재가 상기 외부케이스 하단과 공간부 내측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식재공간부에 식재된 다육식물을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확대경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 외주 일측면에는 중심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내측면에 삽입홈부가 형성된 본체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삽입홈부에는 중심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원형팽창튜브가 설치되고 상기 원형팽창튜브의 일측면에는 상기 원형팽창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핑부가 설치되며 상기 원형팽창튜브의 상부와 하부면은 상기 원형팽창튜브의 저장공간을 밀봉 및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필름이 구비되고, 상기 투명필름의 일측면에는 상기 원형팽창튜브의 저장공간에 물을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는 주입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은 외부케이스가 이중형태로 내부에 투명액체가 담수되어 빛의 직사광선을 산란시켜 식재된 다육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에 확대경이 설치되어 내부에 식재된 다육식물을 확대하여 세밀하게 다육식물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액세서리를 겸하는 휴대용 식물재배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밀봉부재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5a, 5b는 도 4에 대한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을 나타낸 실시예.
도 7a는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b는 도 7a에 대한 "A"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9a는 도 8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9b는 도 9a에 대한 부분확대도.
도 10은 도 9a, 9b에 대한 작동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1)은 하부는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간부(12)가 형성되며 상부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관통공(14)이 형성되고 외주면부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공간부(16)가 구비되되 상기 저장공간부(16) 외주 상단에는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18)가 형성된 외부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주입구(18)를 밀봉할 수 있는 밀봉부재(20)와 상기 외부 케이스(10)가 안착되어 체결할 수 있도록 단턱부(32)가 하부측면에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미니 다육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구(33)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관통공(34)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배양토(36)가 충진된 식재공간부(38)가 구비된 하부케이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14)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 공간부(12)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하나 내지 다수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부 외주 중심부에는 가방이나 핸드백 등에 매달아 다닐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케이스(10)는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식재공간부(38)에 식재된 다육식물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저장공간부(16)에 주입되는 액체 또한 식재된 다육식물을 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저장공간부(16) 외주 상단에 형성된 상기 주입구(18)에는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저장공간부(16)에 담수된 액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고무재질의 밀봉부재(20)로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저장공간부(16)에 액체를 주입과 밀봉이 용이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저장공간부(16) 외주 상부에 형성된 주입구(18)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에는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저장공간부(16)와 연결된 주입통공(18-2)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18)를 밀봉하는 밀봉부재(20)는 중심부에 액체가 주입될 수 있도록 유도홈(22)이 형성되고 외주 일측끝단은 상기 주입구(18)의 주입통공(18-2)과 대응되는 십자형 칼집 형태의 배출공(2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저장공간부(16) 외주 상단에 형성된 주입구(18)에 상기 밀봉부재(20)를 삽입결합 후 상기 밀봉부재(20)의 유도홈(22)에 액체가 충진된 주사기를 삽입하여 주입시 상기 밀봉부재(20)의 유도홈(22)에 충진된 액체가 상기 밀봉부재(20)의 배출공(24)으로 배출되어 상기 주입구(18)의 주입통공(18-2)에 공급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저장공간부(16)에 담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저장공간부(16)에 액체가 담수되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20)의 유도홈(22)에 액체를 주입하는 주사기를 이탈시키면 상기 밀봉부재(20)의 배출공(24)이 원상으로 복귀되어 밀봉되므로 상기 밀봉부재(20)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주입구(18)로부터 탈부착 되지 않고 밀봉됨과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20)를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주입구(18)로부터 탈부착 되지 않아 분실될 문제점이 없는 효과가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저장공간부(16)에 담수되는 액체는 증발되지 않는 기름형태의 오일로 충진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오일은 누출시 오염이 발생하기 때문에 오염이 발생되지 않고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물로 충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1)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저장공간부(16)에 담수된 액체로 인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광선의 빛이 산란되어 상기 하부케이스(20)에 식재된 다육식물을 직사광선의 빛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저장공간부(16)에 담수된 액체에 다양한 효과를 부가하기 위해 물감,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셀로판지 등과 같이 혼합하여 다양하게 연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저장공간부(16)에 담수된 액체에 다양한 연출과 상기 외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30)가 밀착결합이 용이하도록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저장공간부(16) 내측 하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노즐부(42)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부(42)와 연결된 고무재질의 엘자형 펌핑부재(40)가 상기 외부케이스(10) 하단과 공간부(12) 내측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식재공간부(38) 외주면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공간부(12) 내측에 삽입결합시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식재공간부(38) 외주면과 상기 외부케이스(10)에 설치되는 엘자형 펌핑부재(40)의 수직내측면과 맞닿아 체결하므로서 더욱더 밀착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저장공간부(16)에 설치된 노즐부(42)와 연결된 엘자형 펌핑부재(40)에 의해 상기 외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30)를 가압시 상기 엘자형 펌핑부재(40)에 내측에 유입된 액체가 펌핑되어 상기 노즐부(42)로 분사하므로서 시각적인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엘자형 펌핑부재(40)는 고무재질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튜브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식재공간부(38)에는 다육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배양토(36)가 충진되는데, 상기 배양토(36)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식재공간부(38) 하부에는 관통공(34)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부케이스(30)의 하부를 물에 일정부분 담그면 상기 하부케이스(30)의 관통공(34)을 통해 흡입된 물이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식재공간부(38)에 충진된 배양토(36)로 충진되어 일정한 물을 지속적으로 식재된 다육식물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식재공간부(38)에 식재된 다육식물을 보다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식재공간부(38)에 식재된 다육식물을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확대경(5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외주면에 설치된 상기 확대경(50)을 통해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식재공간부(38)에 식재된 다육식물을 확대하여 볼 수 있어 식물의 상태 및 모양 등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확대경(50)은 렌즈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렌즈형태로 사용시 빛에 의해 식재된 다육식물을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도 9a,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대경(50)은 상기 외부케이스(10) 외주 일측면에는 중심부에 통공(51-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51-2) 내측면에 삽입홈부(51-4)가 형성된 본체프레임(51)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프레임(51)의 삽입홈부(51-4)에는 중심부에 저장공간(52-2)이 형성된 원형팽창튜브(52)가 설치되고 상기 원형팽창튜브(52)의 일측면에는 상기 원형팽창튜브(52)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핑부(53)가 설치되며 상기 원형팽창튜브(52)의 상부와 하부면은 상기 원형팽창튜브(52)의 저장공간(52-2)을 밀봉 및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필름(54)이 구비되고, 상기 투명필름(54)의 일측면에는 상기 원형팽창튜브(52)의 저장공간(52-2)에 물을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는 주입구(54-2)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54-2)를 통해 물을 상기 원형팽창튜브(52)의 저장공간(52-2)에 일정한 양을 공급 후 밀봉하며 상기 펌핑부(53)를 펌핑하여 상기 원형팽창튜브(52)에 공기를 주입시키면 상기 원형팽창튜브(52)의 저장공간(52-2)으로 팽창하여 담수된 물이 가압되어 중심부가 볼록한 볼록렌즈가 형성되어 내부에 식재된 식물을 확대하여 볼 수 있으며, 사용을 하지 않을 때는 상기 펌핑부(52)를 통해 상기 원형팽창튜브(52)의 공기를 배출하여 평판형태로 유지하여 빛에 의한 직사광선으로부터 식재된 다육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주입구(54-2)는 상기 원형팽창튜브(52)의 저장공간(52-2)에 물을 공급 및 배출하는 동시에 밀봉할 수 있도록 주입구(54-2)에 탈부착할 수 있는 마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1)은 외부케이스가 이중형태로 내부에 투명액체가 담수되어 빛의 직사광선을 산란시켜 식재된 다육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에 확대경이 설치되어 내부에 식재된 다육식물을 확대하여 세밀하게 다육식물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
10 : 외부케이스 12 : 공간부
14 : 관통공 16 : 저장공간부
18 : 주입구 18-2 : 주입통공
20 : 밀봉부재 22 : 유도홈
24 : 배출공
30 : 하부케이스 32 : 단턱부
33 : 개방구 34 : 관통공
36 : 배양토 38 : 식재공간부
40 : 엘자형 펌핑부재 42 : 노즐부
50 : 확대경 51 : 본체프레임
51-2 : 통공 51-4 : 삽입홈부
52 : 원형팽창튜브 52-2 : 저장공간
53 : 펌핑부 54 : 투명필름
54-2 : 주입구

Claims (5)

  1. 하부는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부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공간부가 구비되되 상기 저장공간부 외주 상단에는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주입구를 밀봉할 수 있는 밀봉부재와;
    상기 외부 케이스가 안착되어 체결할 수 있도록 단턱부가 하부측면에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미니 다육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배양토가 충진된 식재공간부가 구비된 하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저장공간부 외주 상부에 형성된 주입구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저장공간부와 연결된 주입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는 중심부에 액체가 주입될 수 있도록 유도홈이 형성되고 외주 일측끝단은 상기 주입구의 주입통공과 대응되는 십자형 칼집 형태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저장공간부 내측 하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노즐부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부와 연결된 고무재질의 엘자형 펌핑부재가 상기 외부케이스 하단과 공간부 내측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식재공간부에 식재된 다육식물을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확대경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경은
    상기 외부케이스 외주 일측면 중심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내측면에 삽입홈부가 형성된 본체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삽입홈부에는 중심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원형팽창튜브가 설치되고 상기 원형팽창튜브의 일측면에는 상기 원형팽창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핑부가 설치되며 상기 원형팽창튜브의 상부와 하부면은 상기 원형팽창튜브의 저장공간을 밀봉 및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필름이 구비되고, 상기 투명필름의 일측면에는 상기 원형팽창튜브의 저장공간에 물을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는 주입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

KR1020150096008A 2015-07-06 2015-07-06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 KR101762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008A KR101762500B1 (ko) 2015-07-06 2015-07-06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008A KR101762500B1 (ko) 2015-07-06 2015-07-06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653A KR20170005653A (ko) 2017-01-16
KR101762500B1 true KR101762500B1 (ko) 2017-07-27

Family

ID=57993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008A KR101762500B1 (ko) 2015-07-06 2015-07-06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781A (ko) 2021-02-19 2022-08-26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다육식물 재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931Y1 (ko) 2002-06-26 2002-09-10 김영학 휴대용 선인장 재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697B1 (ko) 1997-03-28 2003-06-19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신호의 기록 재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931Y1 (ko) 2002-06-26 2002-09-10 김영학 휴대용 선인장 재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781A (ko) 2021-02-19 2022-08-26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다육식물 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653A (ko) 201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99018B (zh) 盆栽用被动式供水盆体构造
JP2012005484A (ja) 中空状プランター
KR200486547Y1 (ko) 다기능 화분장치
KR101762500B1 (ko) 관상용 다육식물 미니화분
US20150289461A1 (en) Self-watering flowerpot
JP4898161B2 (ja) 植木鉢
CN108064601A (zh) 一种新型盆栽花盆
US2639552A (en) Plant and flower holder
CN103749199A (zh) 一种具有透气和防止漏水功能的塑料花盆
CN206227090U (zh) 便于洒水的花盆
CN204031931U (zh) 储水盆栽
CN205454896U (zh) 漂浮花盆
KR20100000769A (ko) 투명 화분
CN201640063U (zh) 节水环保组合式栽盆
CN205962009U (zh) 一种具有储水盆托的种菜盆
CN202121967U (zh) 一种花盆
JP7178636B2 (ja) 給水機能付き植物栽培装置
JPS6023198Y2 (ja) 水中造花の装飾用容器
CN214902389U (zh) 一种漂浮花盆
KR200303993Y1 (ko) 수경화분
CN207236566U (zh) 植物墙单元
CN209609314U (zh) 智能花盆的内部水箱
KR20080002196U (ko)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CN206923346U (zh) 外加水式陶瓷懒人花盆
KR20100038352A (ko) 수압 물단지 화분급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