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561B1 -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561B1
KR101761561B1 KR1020160081553A KR20160081553A KR101761561B1 KR 101761561 B1 KR101761561 B1 KR 101761561B1 KR 1020160081553 A KR1020160081553 A KR 1020160081553A KR 20160081553 A KR20160081553 A KR 20160081553A KR 101761561 B1 KR101761561 B1 KR 101761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pipe
hot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남수
Original Assignee
장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남수 filed Critical 장남수
Priority to KR1020160081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85Pip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난방처에 설치되어 난방처를 난방하는 온수배관의 송수부와 환수부를 보일러 물통에 해당하는 송수구와 환수구에 연결하고,
상기 환수부에 온수배관에서 온수 부피가 팽창하거나 팽창된 부피가 수축할 경우 온수가 드나들도록 보조통을 연결한 상태에서, 보일러 물통에서 버블을 일으켜 송수부로 토출하면 이 버블에 의해 온수가 순환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난방처에 설치되어 난방처를 난방하는 온수배관(200)의 송수부(201)에 해당하는 송수구(202)와 상기 온수배관(200)의 환수부(203)에 해당하는 환수구(204)를 보일러 물통(100)에 해당하는 토출구(101)와 회수구(102)에 연결하되
상기 온수배관(200)에서 온수 부피가 팽창하거나 팽창된 부피가 수축할 경우 온수가 드나들도록 환수부(203)에 연결한 보조통(110)과, 상기 보조통(110)을 환수부(203)에 연결한 상태에서
히터(210)에 의해 물통(100)에서 발생된 크고 작은 버블을 지속적으로 상기 온수배관(200)의 송수구(202)로 토출시켜
이 토출시킨 토출압력과 온수 팽창에 의해 상기 온수배관(200)에 충전된 물이 버블과 함께 지속적으로 상기 보조통(110)까지 이동시키면 상기 보조통(110)과 환수부(203)가 연결된 연결부분부터 물통(100)까지는 흘러가 상기 물통(100)으로 환수되는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

Description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The hot-water naturally circulation h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난방처에 설치되어 난방처를 난방하는 온수배관의 송수부와 환수부를 보일러 물통에 해당하는 송수구와 환수구에 연결하고,
상기 환수부에 온수배관에서 온수 부피가 팽창하거나 팽창된 부피가 수축할 경우 온수가 드나들도록 보조통을 연결한 상태에서 보일러 물통에서 버블을 일으켜 송수부로 토출하면 이 버블에 의해 온수가 순환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욱 상세하게 첨부한 도면을 바탕으로 설명하면,
난방처에 설치되어 난방처를 난방하는 온수배관(200)의 송수부(201)에 해당하는 송수구(202)와 상기 온수배관(200)의 환수부(203)에 해당하는 환수구(204)를 보일러 물통(100)에 해당하는 토출구(101)와 회수구(102)에 연결하되
히터(210)에 의해 물통(100)에서 발생된 크고 작은 버블을 지속적으로 상기 온수배관(200)의 송수구(202)로 토출시켜
이 토출시킨 토출압력에 의해 상기 온수배관(200)에 충전된 물이 지속적으로 보조통(110)방향으로 이동하면 이 이동한 온수가 보조통(110)과 환수부(203)가 연결된 연결부분을 기준점으로 하여 물통(100)의 회수구(102)를 지나 물통(100)으로 흘러가 상기 물통(100)으로 환수되는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온수매트는 내부에 구비된 온수저장탱크 내의 저장된 물을 전기히터 등으로 가열하여 온수를 형성한 후, 이 온수를 전기 순환모터 등을 이용하여 연결호스로 연결된 매트 내부에 순환공급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난방용 매트를 말한다. 이 온수매트는 기존의 전기 매트가 가진 문제점 즉, 유해 전자파 및 전기 열선에 의한 화재나 감전 등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순환모터를 이용하는 구성은, 기본적으로 모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므로 특히 사용자가 밤에 숙면을 취하는데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또한 순환모터는 그 특성상 고온에서 동작하게 되므로, 순환모터의 수명이 비교적 짧다는 단점이 있었고, 또, 사용자가 매트위에 누웠을 때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온수호스가 눌려지면, 그 압력으로 인해 온수호스가 좁아져 온수의 순환이 방해되므로 순환모터가 더욱 강하게 동작하게 되어 그만큼 소음이 커지는 동시에, 이러한 일이 반복되면 모터의 수명이 더욱 단축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등록특허 제10-085979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순환모터와 같은 기계적인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수증기 온수순환장치가 제공 되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밸브[제 1밸브(13), 제 2밸브(14)]를 번갈아가면서 밀폐와 개방을 반복하도록 하여 온수를 순환하는 구성이므로 밸브에 문제가 발생하면 온수 순환에 지장이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는 아래 기술을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가 2015년 5월 13일자에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을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하였다. (미공개중)
출원번호는 제10-2015-0066389호이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1,2,3,4 참조)
가열된 온수를 온수배관에서 순환시키는 온수순환에 있어서
난방처를 가열하기 위해 지그재그로 위치되고, 온수배관 양끝을 난방처 외부에서 상측으로 세운 온수배관(3)과, 상기 온수배관(3) 일측(A)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온수배관(3) 내부에 버블(기체 포함)을 발생시켜 세워진 상기 온수배관(3) 일측(A) 상단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버블공급부(4)와,
상기 버블공급부(4)에서 발생된 버블에 의해 온수배관(3) 일측(A)에 있는 액체를 평창시켜 상측으로 세워진 온수배관(3) 타측(B)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난방처를 가열하기 위해 지그재그로 위치되고, 온수배관(온수와 액체는 동일함) 양끝을 난방처 외부에서 수직으로 세운 온수배관(3)과, 상기 온수배관(3) 일측(A)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온수배관(3) 내부에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발생부(4)와, 온수배관(3)에 연결되어 온수를 가열하는 액체가열부(6)와 버블에 의해 온수배관(3) 일측(A)에 있는 액체를 평창시켜 타측(B) 온수배관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체가열부(6)는 온수배관(3) 일측(A) 방향에 설치하여 온수배관(3) 내의 액체를 가열시켜 버블을 생산하여 상기 버블을 상측으로 세워진 상기 온수배관(3) 일측(A) 상단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버블발생은 히터에 의해 버블공급부(4) 내지는 액체가열부(60)를 가열하면 상기 버블공급부(4) 내지는 상기 액체가열부(6)는 액체를 가열한다.
그 가열과정에 공기방울(기체 포함)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공기방울이 온수배관(3) 일측(A) 상단으로 이동한다.
이 공기방울에 의해 일측에 있는 액체가 상층으로 상승하여 온수배관 타측(B)으로 이동한다.
상기 버블공급부(4)는 외부에서 공기를 생산받아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실시예를 도 3에 의해 살펴보면,
온수배관(3)에 액체를 충전하면 수직으로 세워진
온수배관(3) 양단에 있는 액체가 도 3의 가)와 같이 서로 수평을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도 3 나)와 같이 버블을 발생하면 온수배관(3) 일측(A)에 있는 액체가 버블에 의해 떠밀려(팽창) 상측으로 상승한 다음 온수배관(3) 타측(B)으로 이동한다.
상기 버블을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액체는 온수배관에서 순환하게 된다.
즉 일측의 액체가 타측으로 이동함으로 액체는 온수배관(3) 전체를 순환하면서 액체가열부(6)를 경우하게 된다.
이 과정이 반복되므로 난방처는 특별한 순환기기(순환펌프)없이 난방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상기 액체이동부(5) 내지는 온수배관 양끝(A,B) 부분이 외부와 관통되어 있다.
상기 온수배관(3) 일측(A)과 타측(B) 어느 위치에 상기 온수배관(3)과 관통되도록 연결배관(9) 일측이 연결되고 연결배관(3) 타측은 보충수액체통(8)과 관통되도록 연결하여 상기 온수배관(3)에서 팽창된 액체가 수축하면 상기 보충수액체통(8)의 액체가 상기 온수배관(3)으로 흡입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액체가열부(6)로부터 팽창된 액체 일부가 보충수액체통(8)으로 이동하나 온수배관에서 부족한 액체가 충전되기도 한다.
이 충전은 액체가 지속적으로 수축과 팽창하므로 수축할 경우 보충수액체통(8)의 액체를 흡입한다.
상기 보충수액체통(8)은 사방이 밀폐하고 상기 보충수액체통 내지는 온수배관(3)라인 어느 위치에 액체의 팽창 압력을 흡수하는 팽창부(미도시)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보충수액체통(8)이 팽창과 수축함으로 가열한 액체가 팽창하더라도 그 팽창압력은 흡수할 수 있다.
만약, 보충수액체통(8)이 팽창하지 않을 경우 팽창압력을 흡수할 수 없어 연결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고 더 나가 압력이 증가하면 어느 부분에서 파손된다.
이와 같이 보충수액체통(8)이 밀폐되어 있어 액체가 외부로 증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소비자가 자주 액체를 보충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이와 같은 기술적인 원리를 본원이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2008년 1월부터 현재(2016년 5월)까지 수많은 실험과 수많은 연구를 반복한 끝에 온수순환방식을 버블현상으로 순환시키는 기술을 터득하게 되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 건을 바라보기 바란다.
상기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종래의 순환모터를 이용한 온수순환방식은 순환모터의 소음에 관한 문제점으로 수많은 제조사측(온수매트제조사)이 도산되었고 현재도 도산이 진행되고 있다.
상기 순환모터는 온수순환을 위해 회전속도가 1분에 3천5백회전이상 회전한다. 그 이하에서는 펌프력이 약해 온수가 원활하게 순환할 수 없다. 따라서 회전축마모가 빠르게 진행되어 수명을 단축시키고, 사용시간이 길어지면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여 소비자가 외면한다.
또, 상기에서 언급한 또 다른 종래기술 중 수증기 온수순환장치(10)는 제1밸브와 제2밸브가 원활하게 동작하지 않거나 밀폐력이 약해 온수순환에 장애가 되고 있다.
더 나가, 수증기의 압력으로 강제로 밸브를 틀어막거나 강제로 밸브를 개방하여 온수를 순환하므로 안전에 문제점이 있는 기술이다.
이에 반해 본원의 목적은, 난방처에 설치되어 난방처를 난방하는 온수배관의 송수부와 환수부를 보일러 물통에 해당하는 송수구와 환수구에 연결하고
상기 환수부에 온수배관에서 온수 부피가 팽창하거나 팽창된 부피가 수축할 경우 온수가 드나들도록 보조통을 연결한 상태에서, 보일러 물통에서 버블을 일으켜 송수부로 토출하면 이 버블에 의해 온수가 순환되는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게되면 특별한 문제(부품파손, 물 부족현상 등)가 없는 한 온수 자연순환은 영구적이다.
상기 이상의 과제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좀 더 밝혀진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난방처에 설치되어 난방처를 난방하는 온수배관(200)의 송수부(201)에 해당하는 송수구(202)와 상기 온수배관(200)의 환수부(203)에 해당하는 환수구(204)를 보일러 물통(100)에 해당하는 토출구(101)와 회수구(102)에 연결하되, 상기 온수배관(200)에서 온수 부피가 팽창하거나 팽창된 부피가 수축할 경우 온수가 드나들도록 환수부(203)에 연결한 보조통(110)과, 상기 보조통(110)을 환수부(203)에 연결한 상태에서
히터(210)에 의해 물통(100)에서 발생된 크고 작은 버블을 지속적으로 상기 온수배관(200)의 송수구(202)로 토출시켜
이 토출시킨 토출압력과 온수 팽창에 의해 상기 온수배관(200)에 충전된 물이 버블과 함께 지속적으로 상기 보조통(110)까지 이동시키면 상기 보조통(110)과 환수부(203)가 연결된 연결부분부터 물통(100)까지는 흘러(흐르다)가 상기 물통(100)으로 환수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본원의 효과는, 난방처에 설치되어 난방처를 난방하는 온수배관의 송수부와 환수부를 보일러 물통에 해당하는 송수구와 환수구에 연결하고
상기 환수부에 온수배관에서 온수 부피가 팽창하거나 팽창된 부피가 수축할 경우 온수가 드나들도록 보조통을 연결한 상태에서, 보일러 물통에서 버블을 일으켜 송수부로 토출하면 이 버블에 의해 온수가 순환되는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 온수순환에 있어서 고장률이 낮고
종래와 비교할 경우 온수순환 시스템에 있어서는 연구[永久]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욱 상세하게 밝혀진다.
제 1도는 종래의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의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상태에서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 3,4도는 종래의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의 요부도로서
가)는 버블을 발생하기 전 상태이고,
나)는 버블을 발생한 상태이다.
제 5도는 본 발명의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의 사시도와 사시도의 일부를 절개하고 확대한 사시도임.
제 6도의 가)와 나)는 제 5도의 일부를 절개한 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제 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8,9도는 본 발명의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의 실험과정을 보인 사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이 건은 2015년 5월 13일자에 선출원한 기술과 그 원리가 동일한 기술이다. 이 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첨부 도면 1,2,3,4를 먼저 이해함으로서 이 건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다른점이 있다면 선출원 기술은 버블을 상측으로 토출하고, 이 건은 수평방향으로 버블을 토출한 것이다.이 둘다 버블을 이용한 순환방법이다.
후술로 이어지는 본원발명의 온수배관(200)은 그 전체가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물의 저항을 받지않아 온수 순환이 잘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원발명의 온수배관(200)은 열전도율이 유수한 금속을 사용하고 있다.
금속을 사용하지 않고 고무호스를 사용할 경우 열전도율이 낮아 난방을 하는데 다소 지장이 있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제차 살펴보고 그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난방처에 설치되어 난방처를 난방하는 온수배관(200)의 송수부(201)해당하는 송수구(202)와, 상기 온수배관(200)의 환수부(203)에 해당하는 환수구(204)를 보일러 물통(100)에 해당하는 토출구(101)와 회수구(102)에 각각 연결하되
상기 온수배관(200)에서 온수 부피가 팽창하거나 팽창된 부피가 수축할 경우 온수가 드나들도록 환수부(203)에 보조통(110)을 연결한 상태에서
히터(210)에 의해 물통(100)에서 발생된 크고 작은 버블을 지속적으로 상기 온수배관(200)의 송수구(202)로 토출시켜
이 토출시킨 토출압력과 온수 팽창에 의해 상기 온수배관(200)에 충전된 물을 버블과 함께 지속적으로 상기 보조통(110) 내지는 상기 보조통(110)과
환수부(203)가 연결된 연결부(110A)까지 이동시키면
상기 보조통(110)과 환수부(203)가 연결된 연결부분(110')부터 물통(100)까지는 온수의 자중에 의해 흘러가 상기 물통(100)으로 환수되는 구성이다.
상기 환수부(203)는 물통(100)의 회수관(102') 상측 부분까지 해당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물통(100)은 토출구(101)와 회수구(102)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은 사방이 막혀있고, 또 히터(기타 가열수단 포함)가열로 물통(100)에서 버블이 발생하면 버블이 온수배관(200)의 송수구(202)로 토출되도록 물통(100)의 토출구(101)와 회수구(102)는 그 높낮이를 비교할 경우 회수구(102)보다 토출구(101)가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물통(100)에서 버블이 발생하면 그 버블은 온수 부피 팽창과 함께 온수배관(200)의 송수구(202)로 토출되어 송수부(201)와 환수부(203)를 지나 물통(100)의 회수구(102)로 환수된다.
이 순환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보면(도 5,6참조),
먼저, 본원발명은 물통(100)에서 지속적으로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해 물통속의 온수 온도를 90℃이상 지속적으로 히터를 통해 가열한다.
본 발명은, 온수 온도가 90℃이하에서는 미세한 버블이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버블을 이용할 경우 온수순환속도가 너무 느려 이용자가 원하는 난방처를 난방할 수 없어 제품으로서 무용지물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속적으로 96℃이상이 바람직하다.
열매체유를 이용할 경우 100℃ 이상 온도를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열매체유의 경우라 하더라도 아주 작은 버블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 (도 3,4 참고로 참조)
물통(100)에 충전된 물은 히터(210) 가열로 버블을 발생시켜 송수부(201)의 송수구(202)로 토출한다.
이렇게 버블을 토출하면 버블과 함께 온수가 팽창하여 도시를 보아 송수부(201) 전방으로 이동하면, 이 팽창에 따른 압력으로 송수부(201)와 환수부(203)에 충전된 온수는 버블과 함께 환수부(203)로 이동을 진행하여 환수부(203)와 보조통(110)이 연결된 연결부분(110')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이 연결부분(110')까지 이동한 온수는 연결부분(110') 아래에 있는 물통(100)의 회수구(102)로 흘러가 물통으로 환수된다.
이 과정에 버블(일부는 온수배관 내에서 소멸됨)은 보조통(110)에 머물다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소멸된다.
이러한 과정에 온수 일부가 보조통(110)으로 이동하는데 이 보조통(110)으로 이동한 온수는 물통(100)과 온수배관(200)에 충전된 온수가 수축하면 다시 온수배관(200)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일부는 온수배관(200)의 환수부(203) 방향으로 이동하고 일부 이상은 물통(100)의 회수구(102) 방향으로 흘러가 물통(100)으로 환수된다. 이러한 원리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면서 온수가 순환된다.
설명을 보충하면, 물통(100)에서 히터(210)에 의해 지속적으로 물을 가열하더라도 온수배관(200)에서 열을 소진한 낮은 온도의 온수가 물통(100)으로 유입되면 물통(100) 내부온도가 낮아지므로 이 경우 온수가 수축한다. (다른요인도 있을 수 있음)
이때 보조통(110)으로 이동한 온수가 다시 환수부(203)와 회수구(102)로 유입되는 것이다.
다음은 독립적인 밀폐공간을 갖은 물통과 독립 온수배관을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참고로, 본원에서 설명한 온수배관(200)은 길이가 설정(3미터~6미터 이내)한 길이 이상이면 온수 저항 때문에 온수 부피가 팽창하더라도 온수는
보조통(110)까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없다. 이 경우 물통(100)에서
지속적으로 끓고 있는 온수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없어 폭발하듯이 소음이 발생한다.
여기서 다시한번 설명하면, 본원발명은 물이 지속적으로 끓어(버블발생)야만 온수가 순환되는 원리이므로 반드시 물이 끓어야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물통(100)에 충전된 온수 온도가 90℃인 경우 버블 발생이 약하여 온수순환속도가 너무느려 난방처를 원할하게 난방할 수 없다.(난방기구로서 무용지물이고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음)
이를 감안하여 본원발명은 독립적으로 물이 충전되는 물통(100)에 미리설정한 길이 내의 온수배관(200)을 연결한 독립난방순환관로(200') 복수를 난방처에 시설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난방온도에 도달하고자 한 것이다.
구성, 난방처에 설치되어 난방처를 난방하는 온수배관(200)의 송수부(201)에 해당하는 송수구(202)와 상기 온수배관(200)의 환수부(203)에 해당하는 환수구(204)를 보일러 물통(100)에 해당하는 토출구(101)와 회수구(102)에 연결하되
상기 온수배관(200)에서 온수 부피가 팽창하거나 팽창된 부피가 수축할 경우 온수가 드나들도록 환수부(203)에 연결한 보조통(110)과, 상기 보조통(110)을 환수부(203)에 연결한 상태에서
히터(210)에 의해 물통(100)에서 발생된 크고 작은 버블을 지속적으로 상기 온수배관(200)의 송수구(202)로 토출시켜
이 토출시킨 토출압력과 온수 팽창에 의해 상기 온수배관(200)에 충전된 물이 버블과 함께 지속적으로 상기 보조통(110)까지 이동시키면 상기 보조통(110)과 환수부(203)가 연결된 연결부분부터 물통(100)까지는 흘러가 상기 물통(100)을 기준점으로 하여 물통(100)의 회수구(102)를 지나 물통(100)으로 흘러가 상기 물통(100)으로 환수되는 구성을 포함한 독립난방순환관로(200'),
상기 독립난방순환관로(200') 복수를 난방처에 시설하여 난방을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독립난방순환관로(200') 하나를 난방처에 설치하게되면 1인이 이용하는 침대의 경우 1인이 이용할 수 있는 난방효율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독립난방순환관로(200') 하나일 경우 난방기구로서 무용지물이다.
여기서 참고로, 실험에 의하면 1인용 흙침대의 난방처를 난방하기 위해서는 2개의 독립난방순환관로(200')를 설치해야만 난방효율이 발생하고, 2인용 흙침대의 경우 4개의 독립난방순환관로(200')을 설치해야만 2인이 이용할 수 있는 난방효율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방바닥에 시설할 경우 너무 많은 독립난방순환관로(200')를 설치해야 함으로 현재(이 건 출원일)로서는 시설에 따른 어려움 등을 감안할 때 현실성이 없다.
다음은 하나의 히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물통을 가열시켜 물통에 충전된 물을 가열하고자 한다.
도면 7을 보아 하나의 히터(210)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밀폐공간을 갖는 복수의 물통(100)을 동시에 가열한다.
그 가열로 독립적으로 온수가 부피가 팽창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수가 순환된다.
여기서 확인할 점은, 물통(100)이 다른 옆 물통과 관통되어 서로 물이 드나들 경우 물통(100)에서 부피가 팽창된 온수가 옆 물통으로 이동하여 옆 물통에 해당하는 독립난방순환관로의 온수를 팽창시키므로
팽창된 온수 압력을 받지 못한 독립난방순환관로는 온수가 순환되지 않는다. 이 문제점은 수년간 반복실험을 통해 터득한 결과이다.
그러므로 물통(100)이 외부와 관통되어있는 부분이 있으면 순환이 되지 않는다. 즉, 그 관통된 부분으로 버블과 함께 온수가 이동하므로 온수순환에 있어서는 무용지물이 된다.
상기 보조통(110)은 온수 부피가 팽창하면 팽창되는 부피를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공간을 마련하고, 온수가 외부로 증발하지 않도록 밀폐시킨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보조통(110)을 밀폐함으로서 온수의 증기가 외부로 증발하지 않아 물을 자주 보충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도시를 보아 보조통(110)이 물통(100)으로부터 가까이 있기 때문에 물통(100)에서 가열된 온수 일부가 역으로 보조통(110)으로 부피가 팽창한다.
이런 문제점으로 보조통(110) 어느 부분이 외부와 관통되어 있으면 그 관통부분으로 증기가 배출된다.
이로 인해 증발량이 너무 많다.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보조통(110)에 따라 다르지만 매일 물을 보충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제품으로서 가치가 없었다.
상기 보조통(110)는 환수부(203) 어느 위치에 연결할 수 있다.
특히, 보조통(110)은 회수구(102)의 회수관(102')에 연결될 경우 회수관(102') 상측부분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유는, 온수배관(200)에서 부피가 팽창한 온수가 보조통(110)까지 밀려온 다음 보조통(110)부터는 밀려온 온수가 물통(100)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만약, 회수관(102') 하단에 연결하게되면 물의 저항 때문에 부피가 팽창한 온수가 보조통(110)까지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한다.
그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면 물통(100)에서 폭발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이게스팅 제조방법에 생산할 경우 물통(100)과 히터(210)는 금속(F)[알뉴미륨 포함]에 매립된다.
그러므로 히터(210)에 전원을 인가하며 금속이 물통(100)으로 열을 전달하여 물통을 가열한다.
이 이유 하나의 히터로 복수의 물통을 가열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보다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버블 방법에 의해 온수를 순환하므로 아주 유익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100 : 물통 101 : 토출구
102 : 회수구 102 : 회수관
110 : 보조통 110': 연결부분
200 : 온수배관 200': 독립난방순환관로
201 : 송수부 202 : 송수구
203 : 환수부 204 : 환수구
210 : 히터 F : 금속

Claims (2)

  1. 난방처에 설치되어 난방처를 난방하는 온수배관(200)의 송수부(201)해당하는 송수구(202)와, 상기 온수배관(200)의 환수부(203)에 해당하는 환수구(204)를 보일러 물통(100)에 해당하는 토출구(101)와 회수구(102)에 각각 연결하되

    상기 온수배관(200)에서 온수 부피가 팽창하거나 팽창된 부피가 수축할 경우 온수가 드나들도록 환수부(203)에 보조통(110)을 연결한 상태에서
    히터(210)에 의해 물통(100)에서 발생된 크고 작은 버블을 지속적으로 상기 온수배관(200)의 송수구(202)로 토출시켜
    이 토출시킨 토출압력과 온수 팽창에 의해 상기 온수배관(200)에 충전된 물을 버블과 함께 지속적으로 상기 보조통(110) 내지는 상기 보조통(110)과
    환수부(203)가 연결된 연결부(110A)까지 이동시키면
    상기 보조통(110)과 환수부(203)가 연결된 연결부분(110')부터 물통(100)까지는 온수의 자중에 의해 흘러가 상기 물통(100)으로 환수되는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난방처에 설치되어 난방처를 난방하는 온수배관(200)의 송수부(201)에 해당하는 송수구(202)와 상기 온수배관(200)의 환수부(203)에 해당하는 환수구(204)를 보일러 물통(100)에 해당하는 토출구(101)와 회수구(102)에 연결하되

    상기 온수배관(200)에서 온수 부피가 팽창하거나 팽창된 부피가 수축할 경우 온수가 드나들도록 환수부(203)에 연결한 보조통(110)과, 상기 보조통(110)을 환수부(203)에 연결한 상태에서
    히터(210)에 의해 물통(100)에서 발생된 크고 작은 버블을 지속적으로 상기 온수배관(200)의 송수구(202)로 토출시켜
    이 토출시킨 토출압력과 온수 팽창에 의해 상기 온수배관(200)에 충전된 물이 버블과 함께 지속적으로 상기 보조통(110)까지 이동시키면 상기 보조통(110)과 환수부(203)가 연결된 연결부분부터 물통(100)까지는 흘러가 상기 물통(100)을 기준점으로 하여 물통(100)의 회수구(102)를 지나 물통(100)으로 흘러가 상기 물통(100)으로 환수되는 구성을 포함한 독립난방순환관로(200'),
    상기 독립난방순환관로(200') 복수를 난방처에 시설하여 난방을 하는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
KR1020160081553A 2016-06-29 2016-06-29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 KR101761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553A KR101761561B1 (ko) 2016-06-29 2016-06-29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553A KR101761561B1 (ko) 2016-06-29 2016-06-29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561B1 true KR101761561B1 (ko) 2017-07-26

Family

ID=5942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553A KR101761561B1 (ko) 2016-06-29 2016-06-29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5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701A1 (ko) * 2017-07-20 2019-01-24 장백지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701A1 (ko) * 2017-07-20 2019-01-24 장백지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1318B2 (ja) 過熱防止機能を備えた適応型セルフポンピング太陽熱給湯システム
US20120090312A1 (en) Low-Drag Hydro-Pneumatic Power Cylinder And System
KR101761561B1 (ko) 버블을 이용한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
CN104064232A (zh) 地下核电站安全壳热管非能动冷却系统
US20140348641A1 (en) Low-drag hydro-pneumatic power cylinder and system
KR20190009945A (ko) 온수 자연순환 시스템
ES2909673T3 (es) Calentador de proximidad capilar con alto ahorro energético equipado aguas arriba de un aparato de microfiltración para la eliminación de partículas calcáreas presentes en fluidos y aguas abajo de una tobera o circuito cerrado
KR20140001810U (ko) 발라스트 탱크의 결빙방지기구
JP6838336B2 (ja) 蒸気発生装置および地熱発電システム
CN106859330B (zh) 气泡水机
CN102418975A (zh) 冷暖汽型空调扇
KR101820498B1 (ko) 유압식 담수화 장치 및 방법
JP5959035B1 (ja) 熱交換システム
PT2053951E (pt) Termoacumulador, particularmente para uma máquina de café
KR101746570B1 (ko) 온풍기
KR101197371B1 (ko)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CN105299463B (zh) 低温容器的增压方法及装置
JPS5952152A (ja) 熱交換器
KR101419680B1 (ko)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JP2013501906A5 (ko)
WO2016126249A1 (en) Energy transfer systems and energy transfer methods
CN204227723U (zh) 三通气导管太阳能重力热管热水器
CN203966575U (zh) 地下核电站安全壳热管非能动冷却系统
CN202419786U (zh) 水泵换热式暖手器用的水循环暖水袋
JP2011141107A (ja) 地熱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