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536B1 - 조립식 워킹타워 - Google Patents

조립식 워킹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536B1
KR101761536B1 KR1020170010262A KR20170010262A KR101761536B1 KR 101761536 B1 KR101761536 B1 KR 101761536B1 KR 1020170010262 A KR1020170010262 A KR 1020170010262A KR 20170010262 A KR20170010262 A KR 20170010262A KR 101761536 B1 KR101761536 B1 KR 101761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welded
members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원
Original Assignee
김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원 filed Critical 김성원
Priority to KR1020170010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1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bars or members which are parallel or in end-to-end re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공사시 높은 곳으로 재료를 운반하거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의 역할을 수행하며, 장방형 프레임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발판의 수를 증대시키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워킹 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 단부가 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2×3 방식으로 설치되는 6개의 베이스 부재(50)와; 수평부재(21)의 양측에 수평 방향의 커플링(22)이 각각 용접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50)에 끼움 결합되는 3개의 수평 연결 프레임(20)과; 양쪽 측벽과 후방벽을 형성하도록 수직부재(11)가 상기 수평 연결 프레임(20)에 끼움 결합되거나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메인 프레임(10)과; 후방벽용 메인 프레임(10a)과 측벽용 메인 프레임(10b)을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연결하여 보조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수평 보강대(25)와; 입구측의 상측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입구 프레임(30)과; 최상층에 위치하는 출구측에 설치되는 출구 프레임(40)과; 양측 메인 프레임(10)을 폭 방향으로 연결하여 각 층을 형성하는 발판(60)과; 각 층의 발판(60)을 연결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양측에 각각 난간부재(75)가 설치된 안전 계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워킹 타워{Prefabricated Working Tower}
본 발명은 토목공사 또는 건축공사시 높은 곳으로 재료를 운반하거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의 역할을 수행하는 워킹 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방형 프레임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발판의 수를 증대시키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워킹 타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飛階; Scaffolding)는 건축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로,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이 된다. 이러한 비계는 재료와 용도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고 있으며, 단위 비계를 타워 형태로 적층한 가설물을 워킹 타워(Working Tower)라 한다.
통상적인 워킹 타워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 부재에, 2개의 수직부재와 2개의 수평 부재를 서로 연결함과 아울러 하나의 보강부재를 경사지게 연결한 높이 1500mm, 폭 1500mm의 단위 프레임을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후, 이들을 X자형 교차 가세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여 직육면체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하고, 이 구조물을 상하로 적층함과 아울러 각 구조물의 하부에 일정 폭의 발판을 거치하고 계단을 이용하여 상부의 발판과 하부의 발판을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워킹타워는 발판을 하나만 설치할 수 있어 고소 작업시 사람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보강부재가 핀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하 프레임 사이의 유격이 많아 흔들림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 단위 프레임 사이의 수평 연결을 위하여 X자형 교차 가세를 핀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이용함에 따라 유격이 발생하여 흔들림이 발생하고, 출입구의 높이가 낮아 고개를 숙여야만 출입할 수 있게 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지주에 일정 간격으로 높낮이가 상이하게 반원고리를 십자상으로 형성하고, 반원고리에는 중간에 돌편이 돌출된 발판받침판 또는 횡지지관의 양단부에 형성된 걸이돌부를 끼워 쐐기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발판받침판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경사버팀관의 단부에 핀으로 유착된 걸이쇠를 반원고리에 씌워 쐐기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반원관과 조임쇠 및 고정쇠에 의해 견고하게 죄임을 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비계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진 주관체 및 배출공이 천성된 지지편을 구비하여 주관체의 외주면에 삽착되는 플랜지로 구성되어 수직부재의 역할을 수행하는 지주부재와 대각선부재의 역할을 수행하는 연결부재가 쐐기에 의해 상호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재에 걸리는 부하를 플랜지와 지주부재의 양측으로 분배시켜 플랜지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비교적 영구적인 구조물을 세우는데 적합한 지주의 연결방법 및 지주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비계지주에 일정간격으로 연결편(10)을 형성하여 비계지주를 중심으로 등간격에 8개의 체결공(101)을 방사형으로 천공하여 가로,세로연결대와 보강대의 연결부에 형성된 연결공을 일치시켜 쐐기형 체결구(21)로 체결케하고 발판밑에 양측으로 걸고리를 가진 발판받침대를 가설케하며 발판은 양단에 연결돌기와 연결공을 형성하여 세로연결대(3)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비계설비의 설치와 분해가 용이하고 조립후 사용이 안전할 뿐아니라 설비자재를 운반할 때 부피가 적도록 묶을 수 있어서 운반이나 보관까지 용이하도록 한, 건축 공사용 비계의 조립구조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하부자키에 축결합되는 하측부와 일정간격으로 용접결합된 플랜지로 이루어진 수직부재와, 양단에 결합뭉치부재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한쌍의 결합홀을 포함하는 수평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수직부재들이 상기 하부자키에 끼워지고, 상기 수직부재의 플랜지를 통해 상기 수평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수평부재의 결합홀을 통해 타 수평부재가 추가적으로 연결되어, 자재가 간소화되어 작업효율과 경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조립식 워킹 타워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KR 20-1993-0000909 U KR 10-1993-0001033 B1 KR 20-0323788 Y1 KR 10-1162471 B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레임의 길이를 늘려 두 개의 발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프레임들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작업원들이 더욱 안전하게 이동 및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워킹 타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 단부가 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2×3 방식으로 설치되는 6개의 베이스 부재와; 수평부재의 양측에 수평 방향의 커플링이 각각 용접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에 끼움 결합되는 3개의 수평 연결 프레임과; 양쪽 측벽과 후방벽을 형성하도록 수직부재가 상기 수평 연결 프레임에 끼움 결합되거나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메인 프레임과; 후방벽용 메인 프레임과 측벽용 메인 프레임을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연결하여 보조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수평 보강대와; 입구측의 상측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입구 프레임과; 최상층에 위치하는 출구측에 설치되는 출구 프레임과; 양측 메인 프레임을 폭 방향으로 연결하여 각 층을 형성하는 발판과; 각 층의 발판을 연결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양측에 각각 난간부재가 설치된 안전 계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조립식 워킹 타워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부에 커플링이 일체로 용접되고 외주면 상부와 하부에 90도 간격으로 3개의 핀 결합부가 용접되며 하단부와 커플링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2개의 수직부재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수직부재에 양단이 각각 용접되며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되는 2개의 수평부재와, 수평 방향 중간 부분이 연결된 H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상기 수직부재에 각각 용접되며 상기 수평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H 브레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워킹 타워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은 커플링을 제외한 전체 높이가 1500mm이고 좌우 폭은 1829mm이며, 상기 발판은 2개씩 설치되어 각 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조립식 워킹 타워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수직부재에 구비된 핀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핀이 상기 수평 보강대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워킹 타워에 따르면, 상기 입구 프레임은 상부에 커플링이 일체로 용접되고 외주면 상부와 하부에 90도 간격으로 3개의 핀 결합부가 용접되며 하단부와 커플링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2개의 수직부재와, 수평 방향 중간 부분이 연결된 H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수직부재에 각각 용접되는 H 브레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조립식 워킹 타워에 따르면, 상기 출구 프레임은 상부에 커플링이 일체로 용접되고 외주면 상부와 하부에 90도 간격으로 3개의 핀 결합부가 용접되며 하단부와 커플링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2개의 수직부재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에 양단이 각각 용접된 수평부재와, 일단은 상기 수평부재의 중간에 용접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부재 중 하나에 용접되는 'ㄱ' 형상의 앵글부재 및 이 앵글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에 용접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바로 이루어진 차단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워킹 타워에 따르면, 상기 안전 계단은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된 걸고리가 상기 발판의 고정용 봉에 걸쳐져 상층과 하층을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부재와, 양측 사이드 부재 사이에 배치되도록 사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계단판과, 양단이 상기 사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기울어진 'ㄷ' 형상의 난간봉 및 그 상부측에 고정되는 보강체로 이루어진 한 쌍의 난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워킹 타워는 메인 프레임의 좌우 폭이 커짐에 따라 2개의 발판을 설치할 수 있어 발판을 통한 이동, 재료의 운반 및 작업시의 안전도가 향상되고, 기존의 X자형 가세 대신 수평 보강대를 이용하여 메인 프레임을 연결하고 수직부재에 커플링이 용접되어 일체화됨에 따라 메인 프레임을 적층하였을 때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조립식 워킹 타워에 따르면, 타워의 입구측 상부에 입구 프레임이 설치됨에 따라 입구의 높이를 메인 프레임의 높이보다 크게 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작업자가 머리를 숙이거나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도 통과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워킹 타워에 따르면, 타워의 출구측에 출구 프레임이 설치되어 차단 프레임으로 출구의 일부를 차단함에 따라 작업원의 낙하 사고가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조립식 워킹 타워에 따르면, 계단판의 양측에 각각 난간부재가 설치되고 난간부재의 난간봉이 기울어진 'ㄷ'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계단을 통해 작업원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부주의 등으로 인해 난간봉에 찔리는 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워킹 타워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워킹 타워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메인 프레임이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수평 연결 프레임과 수평 보강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입구 프레임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출구 프레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발판의 설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인 안전계단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수직부재 사이의 결합 구조와 수평 보강재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인 베이스 부재와 수평 연결 프레임 및 메인 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 내지 14는 본 발명의 조립식 워킹 타워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워킹 타워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워킹 타워는 도 1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단부가 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2×3 방식으로 설치되는 6개의 베이스 부재(50)와; 수평부재(21)의 양측에 수평 방향의 커플링(22)이 각각 용접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50)에 끼움 결합되는 3개의 수평 연결 프레임(20)과; 양쪽 측벽과 후방벽을 형성하도록 수직부재(11)가 상기 수평 연결 프레임(20)에 끼움 결합되거나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메인 프레임(10)과; 후방벽용 메인 프레임(10)과 측벽용 메인 프레임(10)을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연결하여 보조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수평 보강대(25)와; 입구측의 상측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입구 프레임(30)과; 최상층에 위치하는 출구측에 설치되는 출구 프레임(40)과; 양측 메인 프레임(10)을 폭 방향으로 연결하여 각 층을 형성하는 발판(60)과; 각 층의 발판(60)을 연결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양측에 각각 난간부재(75)가 설치된 안전 계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도 3과 같이, 상부에 커플링(14)이 일체로 용접되고 외주면 상부와 하부에 90도 간격으로 3개의 핀 결합부(15)가 용접되며 하단부와 커플링(14)에 각각 관통공(16)이 형성된 2개의 수직부재(1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수직부재(11)에 양단이 각각 용접되며 상기 수직부재(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되는 2개의 수평부재(12)와, 수평 방향 중간 부분이 연결된 H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상기 수직부재(11)에 각각 용접되며 상기 수평부재(12) 사이에 위치되는 H 브레이스(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커플링(14)을 제외한 전체 높이가 1500mm이고 좌우 폭은 1829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높이는 기존 프레임과 동일하지만 좌우 폭을 길게 함으로써 도 7과 같이,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60)은 2개씩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원의 이동이나 재료의 운반 및 작업 수행시 작업원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수직부재(11)에 구비된 핀 결합부(15)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핀(26)이 상기 수평 보강대(25)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평 보강대(25)가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수직부재(11)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입구 프레임(30)은 도 5와 같이, 상부에 커플링(32)이 일체로 용접되고 외주면 상부와 하부에 90도 간격으로 3개의 핀 결합부(33)가 용접되며 하단부와 커플링(32)에 각각 관통공(34)이 형성된 2개의 수직부재(31)와, 수평 방향 중간 부분이 연결된 H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수직부재(31)에 각각 용접되는 H 브레이스(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입구 프레임(30)은 타워의 입구측 양측에 있는 메인 프레임(10)의 수직부재(11)의 상측에 상기 입구 프레임(30)의 수직부재(31)가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수직부재(31)의 중간 부분에만 H 브레이스(35)가 용접됨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높이보다 더 큰 입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도 출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구 프레임(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커플링(42)이 일체로 용접되고 외주면 상부와 하부에 90도 간격으로 3개의 핀 결합부(43)가 용접되며 하단부와 커플링(42)에 각각 관통공(44)이 형성된 2개의 수직부재(4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수직부재(41)의 하부에 양단이 각각 용접된 수평부재(45)와, 일단은 상기 수평부재(45)의 중간에 용접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부재(41) 중 하나에 용접되는 'ㄱ'형상의 앵글부재(46a) 및 이 앵글부재(46a)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41)에 용접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바(46b)로 이루어진 차단 프레임(46)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타워의 최상단에 위치한 출구 측에 별도의 출구 프레임(40)을 설치하는 이유는, 각 층에 2개의 발판(60)이 설치됨에 따라 최상단 출구가 넓어져 추락 위험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출구 프레임(40)에 구비된 차단 프레임(46)으로 인해 작업자의 이동 통로가 어느 정도 제한되어 출구를 통해 출입하는 과정에서 추락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대폭 감소하게 된다.
또, 상기 안전 계단(70)은 도 8과 같이,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된 걸고리(72)가 상기 발판(60)의 고정용 봉(65)에 걸쳐져 상층과 하층을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부재(71)와, 양측 사이드 부재(71) 사이에 배치되도록 사이드 부재(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계단판(73)과, 양단이 상기 사이드 부재(71)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기울어진 'ㄷ' 형상의 난간봉(75a) 및 그 상부측에 고정되는 보강체(75b)로 이루어진 한 쌍의 난간부재(75)와, 상기 사이드 부재(7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난간부재(75)의 난간봉(75a) 양단이 삽입되는 난간 결합구(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난간부재(75)가 계단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난간부재(46)의 난간봉(46a)이 기울어진 'ㄷ'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계단을 통한 이동시의 안전이 확보됨은 물론 난간부재(46)의 끝부분이 곡선 형태를 가지게 되어 작업원이 다치는 일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0)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하부의 수직부재(11)에 구비된 커플링(14)에 상부의 수직부재(11)를 삽입한 후, 이들의 관통공(16)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핀(81)을 삽입하여 관통시킨 후 돌출된 체결핀(81)에 형성된 구멍(81')에 체결핀 고정구(82)를 삽입하여 체결핀(81)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입구 프레임(30)이나 출구 프레임(40)을 결합시키는 경우에도 마찬가지 방식을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11)에 수평 보강대(25)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부재(11)에 구비된 핀 결합부(15)에 수평 보강대(25)의 결합핀(26)을 삽입하면 된다. 이때, 상기 결합핀(26)은 일측이 경사진 판재의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핀 결합부(15)에는 이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평 보강대(25)를 누름에 따라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 타워의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다.
또, 상기 베이스 부재(50)에 수평 연결 프레임(2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10과 같이, 상기 베이스 부재(50)의 돌출부에 상기 수평 연결 프레임(20)의 커플링(22)을 결합시키면 된다. 이후, 상기 수평 연결 프레임(20)의 커플링(22)에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수직부재(11) 하단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메인 프레임(10)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식 워킹 타워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6개의 베이스 부재(50)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2×3으로 바닥면에 설치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50)의 설치가 완료되면 3개의 수평 연결 프레임(20)을 베이스 부재(50)에 결합시킨다. 즉, 앞쪽 2개의 베이스 부재(50)를 좌우로 연결하도록 전방 수평 연결 프레임(20)을 설치함과 아울러, 뒤쪽 4개의 베이스 부재(50)를 전후로 각각 연결하도록 2개의 후방 수평 연결 프레임(20)을 설치한다.
상기 수평 연결 프레임(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수평 연결 프레임(20)에 결합되도록 메인 프레임(10)을 설치한다. 즉, 후방 수평 연결 프레임(20)의 뒤쪽 커플링(22)에 메인 프레임(10)의 양쪽 수직부재(11)를 각각 결합시켜 후방벽용 메인 프레임(10)을 설치하고, 전방 수평 연결 프레임(20)의 양측 커플링(22)과 후방 수평 연결 프레임(20)의 앞쪽 커플링(22)에 메인 프레임(10)의 양쪽 수직부재(11)를 각각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2개의 측벽용 메인 프레임(10)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어, 보조 측벽이 형성되도록 상기 후방벽용 메인 프레임(10)의 수직부재(11)와 측벽용 메인 프레임(10)의 뒤쪽 수직부재(11)를 각각 수평 보강대(25)로 연결한다. 상기 수평 보강대(25)는 수직부재(1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된 핀 결합부(15)에 결합핀(26)이 삽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2개씩 설치한다.
이에 따라 워킹 타워의 최하층 조립이 완료된다. 이어, 최하층 타워의 후방 상측 좌우에 각각 메인 프레임(10)을 적층 설치하고, 이들 메인 프레임(10)을 수평 보강대(25)로 연결한다. 이후,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하측 수평부재(12)에 발판 고정봉(65)의 양단에 구비된 고리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상부 발판(60)과 하부 발판(60)을 각각 설치하고, 이들 발판(6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안전 계단(70)을 설치한다. 즉, 한 쌍의 사이드 부재(71)와 복수의 계단판(73)이 일체로 형성된 계단부재로 상부와 하부의 발판(60)을 서로 연결하고, 이 계단부재의 양측에 각각 난간부재(75)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측벽용 메인 프레임(10)의 상측에 입구 프레임(30)을 설치한다. 즉, 상기 측벽용 메인 프레임(10)의 앞쪽 수직부재(11)에 입구 프레임(30)의 수직부재(31)를 각각 결합시켜 고정함으로써 입구 프레임(30)을 고정하고, 상기 입구 프레임(30)의 양측 수직부재(31)와 후방에 위치한 메인 프레임(10)의 수직부재(11)를 수평 보강대(25)로 각각 연결함으로써 워킹 타워의 2층 조립을 완료하는 것이다.
이어, 2층 타워의 전방 상측 좌우에 각각 측벽용 메인 프레임(10)을 적층 설치하고, 이들 메인 프레임(10)을 수평 보강대(25)로 연결함과 아울러 발판(60) 및 안전 계단(70)을 설치한다. 상기 안전 계단(70)의 설치가 끝나면 2층 타워의 후방 상측에 후방벽용 메인 프레임(10)을 적층 설치하고, 측벽용 메인 프레임(10)의 수직부재(11)와 후방벽용 메인 프레임(10)의 수직부재(11)를 수평 보강재(25)로 연결하여 타워의 제3층 조립을 완료한다.
이후에는 상기한 2층 조립과정과 3층 조립과정을 반복하여 원하는 층수의 타워를 완성하면 된다. 다만, 타워의 최상층에서는 측벽용 메인 프레임(10) 중 하나를 출구 프레임(40)으로 대체하여 설치함으로써, 타워의 상부 출구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메인 프레임
11...수직부재
12...수평부재
13...H 브레이스
14...커플링
15....핀 결합부
16...관통공
20...수평 연결 프레임
21...수평부재
22...커플링
25...수평 보강대
26...결합핀
30...입구 프레임
31...수직부재
32...커플링
33...핀 결합부
34...관통공
35...H 브레이스
40...출구 프레임
41...수직부재
42...커플링
43...핀 결합부
44... 관통공
45...수평부재
46...차단 프레임
46a...앵글부재
46b...수평바
50...베이스 부재
60...발판
65...고정용 봉
70...안전계단
71...사이드 부재
72...걸고리
73...계단판
74...난간 결합구
75...난간부재
75a...난간봉
75b... 보강체
81...체결핀
81'...관통공
82...체결핀 고정구

Claims (7)

  1. 상측 단부가 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2×3 방식으로 설치되는 6개의 베이스 부재(50)와;
    수평부재(21)의 양측에 수평 방향의 커플링(22)이 각각 용접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50)에 끼움 결합되는 3개의 수평 연결 프레임(20)과;
    양쪽 측벽과 후방벽을 형성하도록 수직부재(11)가 상기 수평 연결 프레임(20)에 끼움 결합되거나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메인 프레임(10)과;
    후방벽용 메인 프레임(10)과 측벽용 메인 프레임(10)을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연결하여 보조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수평 보강대(25)와;
    입구측의 상측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입구 프레임(30)과;
    최상층에 위치하는 출구측에 설치되는 출구 프레임(40)과;
    양측 메인 프레임(10)을 폭 방향으로 연결하여 각 층을 형성하는 발판(60)과;
    각 층의 발판(60)을 연결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양측에 각각 난간부재(75)가 설치된 안전 계단(7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상부에 커플링(14)이 일체로 용접되고 외주면 상부와 하부에 90도 간격으로 3개의 핀 결합부(15)가 용접되며 하단부와 커플링(14)에 각각 관통공(16)이 형성된 2개의 수직부재(1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수직부재(11)에 양단이 각각 용접되며 상기 수직부재(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되는 2개의 수평부재(12)와, 수평 방향 중간 부분이 연결된 H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상기 수직부재(11)에 각각 용접되며 상기 수평부재(12) 사이에 위치되는 H 브레이스(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워킹 타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커플링(14)을 제외한 전체 높이가 1500mm이고 좌우 폭은 1829mm이며,
    상기 발판(60)은 2개씩 설치되어 각 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워킹 타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수직부재(11)에 구비된 핀 결합부(15)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핀(26)이 상기 수평 보강대(25)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워킹 타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프레임(30)은 상부에 커플링(32)이 일체로 용접되고 외주면 상부와 하부에 90도 간격으로 3개의 핀 결합부(33)가 용접되며 하단부와 커플링(32)에 각각 관통공(34)이 형성된 2개의 수직부재(31)와, 수평 방향 중간 부분이 연결된 H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수직부재(31)에 각각 용접되는 H 브레이스(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워킹 타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프레임(40)은 상부에 커플링(42)이 일체로 용접되고 외주면 상부와 하부에 90도 간격으로 3개의 핀 결합부(43)가 용접되며 하단부와 커플링(42)에 각각 관통공(44)이 형성된 2개의 수직부재(4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수직부재(41)의 하부에 양단이 각각 용접된 수평부재(45)와, 일단은 상기 수평부재(45)의 중간에 용접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부재(41) 중 하나에 용접되는 'ㄱ' 형상의 앵글부재(46a) 및 이 앵글부재(46a)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41)에 용접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바(46b)로 이루어진 차단 프레임(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워킹 타워.
  7.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계단(70)은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된 걸고리(72)가 상기 발판(60)의 고정용 봉(65)에 걸쳐져 상층과 하층을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부재(71)와, 양측 사이드 부재(71) 사이에 배치되도록 사이드 부재(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계단판(73)과, 양단이 상기 사이드 부재(71)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기울어진 'ㄷ' 형상의 난간봉(75a) 및 그 상부측에 고정되는 보강체(75b)로 이루어진 한 쌍의 난간부재(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워킹 타워.
KR1020170010262A 2017-01-23 2017-01-23 조립식 워킹타워 KR101761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262A KR101761536B1 (ko) 2017-01-23 2017-01-23 조립식 워킹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262A KR101761536B1 (ko) 2017-01-23 2017-01-23 조립식 워킹타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536B1 true KR101761536B1 (ko) 2017-07-25

Family

ID=5942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262A KR101761536B1 (ko) 2017-01-23 2017-01-23 조립식 워킹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53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453B1 (ko) * 2019-09-22 2020-02-25 춘천가설 주식회사 모듈조립형 시스템 비계 및 이를 위한 일체형 비계모듈
KR102081452B1 (ko) * 2019-09-22 2020-02-25 춘천가설 주식회사 일체형 비계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스마트 시스템 비계
CN112112408A (zh) * 2020-10-13 2020-12-22 孟远航 一种基于建筑主体结构安装拼接的安全脚手架
CN113089987A (zh) * 2021-03-16 2021-07-09 重庆振多弱电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高层住宅弱电井的线路检修辅助装置
KR102431423B1 (ko) * 2022-01-06 2022-08-11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사다리 개구부 추락방지 장치
KR200496177Y1 (ko) * 2020-09-07 2022-11-17 문승일 대형 렉 구조물 시공용 안전 작업 타워
KR200496251Y1 (ko) * 2021-12-08 2022-12-09 박현희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 설치 정비용 구조물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17Y1 (ko) * 2004-12-10 2005-03-10 광건티앤씨(주) 고소작업용 틀비계
JP2011080276A (ja) * 2009-10-08 2011-04-21 Nikko Co Ltd 吊り階段の設置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17Y1 (ko) * 2004-12-10 2005-03-10 광건티앤씨(주) 고소작업용 틀비계
JP2011080276A (ja) * 2009-10-08 2011-04-21 Nikko Co Ltd 吊り階段の設置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453B1 (ko) * 2019-09-22 2020-02-25 춘천가설 주식회사 모듈조립형 시스템 비계 및 이를 위한 일체형 비계모듈
KR102081452B1 (ko) * 2019-09-22 2020-02-25 춘천가설 주식회사 일체형 비계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스마트 시스템 비계
KR200496177Y1 (ko) * 2020-09-07 2022-11-17 문승일 대형 렉 구조물 시공용 안전 작업 타워
CN112112408A (zh) * 2020-10-13 2020-12-22 孟远航 一种基于建筑主体结构安装拼接的安全脚手架
CN113089987A (zh) * 2021-03-16 2021-07-09 重庆振多弱电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高层住宅弱电井的线路检修辅助装置
CN113089987B (zh) * 2021-03-16 2022-10-14 重庆振多弱电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高层住宅弱电井的线路检修辅助装置
KR200496251Y1 (ko) * 2021-12-08 2022-12-09 박현희 원자력 발전소 격납건물 폴라 크레인 상부 설치 정비용 구조물 장치
KR102431423B1 (ko) * 2022-01-06 2022-08-11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사다리 개구부 추락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536B1 (ko) 조립식 워킹타워
US20210180341A1 (en) Scaffolding
KR101641340B1 (ko) 상하부 작업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갱폼 케이지
US20130043095A1 (en) Masonry scaffold system with truss level rosettes
KR20090028716A (ko) 건축 현장에 사용하기 위한 계단
KR101289048B1 (ko) 가설벤트를 이용한 조립식 고하중 안전계단
CN204163364U (zh) 一种电梯井支模和操作钢平台
CN211114971U (zh) 用于预制楼梯间的临时防护爬梯
US3307653A (en) Demountable stairway unit
JP6590512B2 (ja) 階段仮設足場
US3382949A (en) Safety railing for tubular scaffolding
CN210316278U (zh) 多功能安全防护楼梯
CN112302320A (zh) 一种建筑立柱模块化装配式脚手架模块、系统及施工方法
CN213837623U (zh) 一种多用途组合式脚手架
CN216866122U (zh) 一种装配式建筑电梯井用临时安全楼梯
CN216380733U (zh) 一种伸缩型楼梯
JP2016204982A (ja) 階段仮設足場
CN214462476U (zh) 基于标准化的爬高装置
RU2756448C1 (ru) Инвентарные подмости ручной сборки
CN218406416U (zh) 一种防攀爬垂直安全通道结构
CN217557571U (zh) 一种楼梯间操作平台
US2997126A (en) Scaffolding
CN218147841U (zh) 一种模板施工平台一体化装置
CN218597806U (zh) 防护装置
CN209760880U (zh) 装配式钢结构楼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