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053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053B1
KR101761053B1 KR1020160021130A KR20160021130A KR101761053B1 KR 101761053 B1 KR101761053 B1 KR 101761053B1 KR 1020160021130 A KR1020160021130 A KR 1020160021130A KR 20160021130 A KR20160021130 A KR 20160021130A KR 101761053 B1 KR101761053 B1 KR 101761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ovable member
air
inlet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김원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1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053B1/ko
Priority to PCT/KR2016/002532 priority patent/WO2016148468A1/en
Priority to EP19176074.3A priority patent/EP3553391B1/en
Priority to EP16765224.7A priority patent/EP3271657B1/en
Priority to US15/075,618 priority patent/US102951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053B1/ko
Priority to US16/212,235 priority patent/US1089033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92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extendable or pivo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 장치는, 오염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하며, 다수의 날개를 구비하는 스월러(swirler)와, 상기 베이스에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오염 공기의 상승을 차단하기 위한 가동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열원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 중 후드 기능을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후드 겸용 조리기기라 이름할 수 있다.
후드 겸용 조리기기는 주방의 일측에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조리기기는 다른 조리기기, 예를 들면, 가스 오븐레인지 등의 상방에 설치되어, 가스 오븐레인지 등과 같은 다른 조리기기에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선행문헌1(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1607호, 공개일(2008.10.14))에는 벽걸이형 전자레인지가 개시된다.
선행문헌1의 벽걸이형 전자레인지는, 환기 유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환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팬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의 하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주방의 오염 공기가 상기 환기 유로로 유입될 수 있다.
선행문헌2(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8-0094412호(공개일 2008.10.23))에는, 와류형 국소배기 장치가 개시된다.
선행문헌2의 개시된 국소배기 장치는, 배기관과, 배기관 내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다수의 날개를 구비하는 스월러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유동 및 흡입한다.
그런데, 선행문헌1의 경우, 개구부와 팬 모터 어셈블리 간의 거리가 길어 팬 모터 어셈블리에서 발생된 흡입력이 개구부로 전달될 때까지의 흡입력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개구부에서의 흡입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선행문헌1의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의 하방에 가스 오븐레인지가 위치될 수 있고, 가스 오븐레인지는 전측 가열부와, 후측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 오븐레인지의 전후 길이가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의 전후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가스 오븐레인지의 전측 가열부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의 개구부로 흡입되지 못하고 상승하여 오염 공기가 주방에 널리 퍼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선행문헌2의 경우에는 스월러에 형성되는 홀과 정렬되는 배기관 내에 구동부가 설치됨에 따라서, 구동부가 설치되기 위한 배기관의 길이가 길어지고, 이는 국소배기 장치의 설치 위치에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기관 내에 구동부가 배치됨에 따라서, 국소배기 장치가 한번 설치되는 경우, 구동부의 수리 및 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선행문헌1에 선행문헌2의 배기 장치를 적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선행문헌2의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의 높이가 커지게 되어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의 하측에 조리물이나 조리용기가 위치되기 위한 공간의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문헌2의 스월러 만을 선행문헌1에 적용하는 것을 생각하더라도 가스 오븐레인지의 전측 가열부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될 때의 오염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지 못하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또한, 선행문헌1의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에 스월러를 구비하는 배기장치를 적용하는 시도가 없었으며 이는 비용적인 부분과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에 배기장치를 적용하기 위한 공간 부족 등의 문제의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와류를 형성하는 배기장치를 사용하여 오염 공기의 유입 성능이 향상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가동 부재에 의해서 조리기기 하방에 위치된 다른 조리기기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가 상승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배기 장치에 의해서 유입 성능이 향상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가동 부재에 의해서 조리기기 전방의 공기가 배기장치에 의해서 형성되는 와류에 영향을 주는 것이 방지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가동 부재가 오염 공기를 유입할 수 있어 유입 면적이 증가되고, 배기 성능이 향상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 부재가 베이스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베이스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 장치의 높이가 최소화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가동부재가 조리기기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는 배기 장치 내의 구조물과 간섭이 방지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오염 공기의 배기 성능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하부 조리기기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기 장치는, 와류 형성을 위한 스월러와, 상기 스월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 장치는, 본체의 하측에 연결되며 유입구를 구비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승하는 오염 공기의 상승이 차단되도록 상기 배기 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일 예로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월러에 의해서 와류 형성이 원활해지도록 상기 베이스는 유동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 장치의 높이가 줄어들도록 상기 스월러는 상기 유동 가이드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스월러는 회전판과 회전판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날개의 반경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공기가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면은 라운드진 면이거나 평면일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승하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추가적인 유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추가적인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상기 베이스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로 오염 공기가 원활히 유입되도록, 상기 추가적인 유입구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베이스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의 유입구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부재로 오염 공기가 원활히 유입되도록, 상기 추가적인 유입구는 상기 베이스의 유입구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 내부의 유로의 면적이 줄어드는 것이 방지되면서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베이스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동 부재의 인출입을 위한 개구가 구비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이 상기 베이스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차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함몰부에서 상기 가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가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차폐 부재의 하측 단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베이스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에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동 부재의 인출입을 위한 개구가 구비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전측에 구비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이 상기 베이스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 내부의 구조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개구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에 의해서 상승이 차단된 오염 공기가 상기 베이스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동 부재의 인출입을 위한 개구가 구비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는 오염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추가적인 유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전측에 구비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이 상기 베이스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추가적인 유입구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 내부의 구조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추가적인 유입구를 차폐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 장치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본체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 장치는, 사익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 주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를 반경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베이스의 하방에서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스월러(swirl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 장치는, 상승되는 공기의 상승을 차단함으로써,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와류에 의해서 상기 유입구로 유동되록 하기 위한 가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가동 부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가동 부재에 의해서 상승이 차단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추가적인 유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스월러에 의해서 스월러의 하방에 와류가 발생함에 따라서, 오염 공기의 유입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가동 부재가 인출됨에 따라서, 조리기기의 하방에 위치된 다른 조리기기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가 상승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배기장치의 유입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가동 부재가 인출됨에 따라서, 배기장치의 유동 압력이 작용하는 영역이 증가되어, 가동 부재의 전방에서 가동 부재의 상방으로 상승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가동 부재의 전방이나 상방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하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가동 부재에서도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배기 장치에서의 유입 면적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배기 성능 및 배기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에서 함몰된 공간에 스월러가 위치되고, 구동 모터의 축이 상기 베이스의 유입구를 관통하여 상기 스월러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 모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내에 위치됨에 따라서 상기 배기 장치의 높이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동 부재에 베이스에 구비되는 유동 가이드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 방지부가 구비됨에 따라서, 가동 부재가 배기 장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는 배기 장치 내의 구조물과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동 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 차단부재가 베이스의 개구로 사용자의 손이 인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 부재가 인입된 상태에서의 배기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 부재가 인입된 상태에서의 배기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 부재가 인입된 상태에서의 배기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 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배기 장치의 상측 구조를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 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배기 장치의 하측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 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배기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가동 부재가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기 장치의 작동 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유입구를 구비하지 않은 가동 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 배기 장치의 작동 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유입구를 구비하는 가동 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 배기 장치의 작동 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일 예로 주방의 벽(W)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조리기기(1)는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조리기기(1)가 벽(W)에 설치될 수 있는 한 조리기기(1)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조리기기(1)는, 조리 공간(11)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상기 조리 공간(11)을 개폐하는 도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기기(1)는, 상기 조리 공간(11)에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는 일 예로 주방의 다른 조리기기(2)(이하 "하부 조리기기"라고 함)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가 상기 하부 조리기기(2)의 상방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조리기기(1)와 상기 하부 조리기기(2) 사이 공간에서 사용자가 음식물이나 조리용기를 이동시키거나 위치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상기 하부 조리기기(20)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상기 하부 조리기기(20)에 조리물을 놓은 상태에서 조리를 수행과정에서 사용자와 상기 조리기기(1) 간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조리기기(1)의 전후 길이는 상기 하부 조리기기(2)의 전후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조리기기(2)는 다양한 조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전측 가열부(2a)와 후측 가열부(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기기(1)의 전후 길이는 상기 하부 조리기기(2)의 전후 길이 보다 짧을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전측 가열부(2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조리기기(1)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조리기기(2)에 의해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는 하부 조리기기 주변의 공기가 오염되고, 이렇게 오염된 공기는 주변의 다른 공기에 비하여 온도가 높으므로 상승하게 된다.
만약, 상기 오염 공기가 상승하여 조리기기(1)(2) 들이 놓인 주방에서 정체되어 있는 경우, 주방의 쾌적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오염 공기에 포함된 냄새가 주방에 배어 장시간의 환기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기기(1)는 상기 하부 조리기기(2)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오염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오염 공기를 상기 조리기기(1)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장치(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배기 장치(20)는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배기 장치(20)에 의해서 유동하는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오염 공기의 흡입을 위하여 작동하는 흡입팬(14)과, 오염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공기 유로(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 장치(20)에 의해서 유입된 오염 공기는 상기 본체(10) 내부의 공기 유로(13)를 유동한 후에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조리기기(1)의 공기 유로(13)에는 공기를 필터링하거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기 장치(20)가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 장치(20)의 배출구가 벽에 형성된 배기 구멍과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기 장치(20)는 상기 본체(10)의 조리 동작과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리기기(1)에서 조리 만이 수행되거나, 상기 조리기기(1)에서 배기 장치(20)에 의해서 배기 만이 수행되거나 조리와 배기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배기 장치(20)가 상기 조리기기(1)의 하측에 설치된 경우, 상기 조리기기(1)의 전후 길이의 제한에 의해서, 상기 배기 장치(20)는 상기 하부 조리기기(2)의 하측 가열부(2b)와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상기 전측 가열부(2a)의 적어도 일부와는 상하 방향으로 충접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기 장치(20)가 단순히 흡입 기능 만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조리기기(2)의 후측 가열부(2b)에 의해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나, 상기 전측 가열부(2a)에 의해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흡입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상기 배기 장치(20)로 흡입되지 못한 오염 공기는 상기 조리기기(1)의 앞쪽 공간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염 공기가 상기 조리기기(1)의 앞쪽 공간으로 상승하는 경우, 상기 조리기기(1)(2) 들이 놓인 주방에서 퍼지게 되어 주방의 쾌적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 장치(20)에 의해서 상기 하부 조리기기(2)의 전측 가열부(2a)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가 상기 조리기기(1)의 앞쪽 공간으로 상승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배기 장치(20)에 차단 기능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기 장치(2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 부재가 인입된 상태에서의 배기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 부재가 인입된 상태에서의 배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 부재가 인입된 상태에서의 배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 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배기 장치의 상측 구조를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 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배기 장치의 하측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동 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배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스월러 커버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20)는, 오염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오염 공기를 상기 본체의 공기 유로(13)로 안내한다.
상기 배기 장치(20)는 오염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베이스(base: 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1)는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21)의 내부 공간은 상기 본체(10) 내부의 공기 유로(13)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1)는 상기 조리기기(1)의 하측 외관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오염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므로, 상기 배기 장치(20)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베이스(21)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223)를 구비하는 유동 가이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베이스(21)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되거나 상기 베이스(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 장치(20)는, 구동 모터(50)와, 상기 구동 모터(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월러(swirler: 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월러(30)는, 회전판(310)과, 상기 회전판(310)의 테두리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날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기가 회전판을 통과하기 전에 공기의 일부를 반경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날개(320) 각각은 상기 회전판(31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월러(30)는 상기 유동 가이드(22)가 형성하는 공간(229)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월러(30)에 의해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하방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스월러(30)는 상기 유입구(223)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스월러(swirler: 3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스월러(30)에 의해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하방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21)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되는 제1면(221)과, 상기 제1면(221)과 상기 베이스(21)의 저면을 연결하는 제2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월러(3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스월러(30)의 날개(320)는 상기 회전판(310)의 홀(330)을 향하여 유동하는 오염 공기 중 일부를 상기 회전판(310)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이때, 반경 방향으로 밀려난 공기가 하방으로 유동하되, 반경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하여야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하방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경 방향으로 밀려난 공기가 하방으로 유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2면(222)은 경사면으로서, 상기 제1면(221)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2면(222)은 라운드면이거나 평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면(222)이 라운드면이거나 평면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반경 방향으로 밀려난 공기가 하방으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동 가이드(22)가 경사면인 제2면(222)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날개(320)에 의해서 상기 회전판(310)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밀려난 공기의 유동 방향은 상기 제2면(222)에 의해서 하방으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날개(320)에서 밀려난 공기가 상기 제2면(222)을 따라 유동함에 따라서, 상기 배기 장치(20)의 제2면(222)에서 벗어난 공기는 하향 경사지게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1)의 유입구(223)를 오염 공기가 통과하면, 상기 유입구(223)를 통과하는 오염 공기 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공기도 상기 베이스(21)의 유입구(223)를 통과하려고 한다. 이와 같은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상기 스월러(30)의 하방에는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21)의 유동 가이드(22)가 상기 스월러(30)의 반경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하방으로 가이드함에 따라서, 상기 스월러(30)의 하방에서 와류가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구(223)는 상기 제1면(221)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월러(3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유입구(223)로 공기가 유입되기 전에 일부 공기가 상기 날개(320)에 의해서 반경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다.
상기 회전판(310)에는 오염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홀(3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320)의 단부에서 밀려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배기 장치(20)의 하측에서 와류가 원활히 형성되도록, 상기 스월러(30) 전체가 상기 유동 가이드(22)가 형성하는 공간(229) 내에 위치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함몰 깊이가 상기 각 날개(320)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스월러(30)는 상기 구동 모터(50)의 축(51)과 연결되기 위한 축 결합부(340)와, 상기 축 결합부(340)를 상기 회전판(310)에 연결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리브(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염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하여, 상기 홀(330)은, 상기 베이스(21)의 유입구(223)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 결합부(340)는 상기 회전판(310)의 홀(3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월러(30)의 축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방향 전환 없이 상기 홀(330) 및 상기 유입구(223)를 지나 상기 배기 장치(20)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홀(330)과 상기 유입구(223) 간의 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에는 상기 구동 모터(50)가 설치되는 설치부(2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224)는 상기 설치부(224)를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제1면(221)과 연결시키는 연결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50)는 상기 설치부(224)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50)가 상기 설치부(224)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모터(50)의 축(51)이 상기 스월러(30)와 체결되기 위하여 상기 구동 모터(50)의 축(51)은 상기 유입구(223)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50)가 상기 설치부(224)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 장치(20)의 높이가 줄어들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모터(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 모터(50)가 상기 베이스(21)에 구비되는 설치부(224)에 설치됨에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50)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1)에서 함몰된 공간(229)에 상기 스월러(30)가 위치되고, 상기 구동 모터(50)의 축(51)이 상기 베이스(21)의 유입구(223)를 관통하여 상기 스월러(223)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모터(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10) 내에 위치됨에 따라서 상기 배기 장치(20)의 높이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배기 장치(20)는, 상기 스월러(30)의 하측에서 상기 스월러(30)를 커버하는 스월러 커버(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월러 커버(70)는 일 예로 상기 베이스(2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스월러 커버(70)는 공기를 일차적으로 필터링하는 필터일 수 있다.
상기 스월러 커버(70)가 상기 스월러(30)를 커버함에 따라서, 외부에서 사용자가 상기 스월러(30)에 접근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안전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월러 커버(70)가 상기 스월러(30)를 커버함에 따라서, 상기 스월러(30)의 서비스나 점검 등을 위하여, 상기 스월러 커버(70)를 분리하여 상기 스월러(3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잇다.
상기 배기 장치(20)는, 상기 베이스(2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 조리기기(2)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의 상승을 차단하는 가동 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 부재(40)는 상기 하부 조리기기(2)의 전측 가열부(2a)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의 상승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40)는, 하부 조리기기(2)에 의한 조리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베이스(21)에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조리기기(2)의 전측 가열부(2a)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의 상승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 부재(40)는 상기 베이스(21)에서 상기 조리기기(1)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조리기기(2)의 전측 가열부(2a)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 부재(40)가 상기 베이스(21)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 부재(40)는 상기 전측 가열부(2a)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1)에는 상기 가동 부재(40)의 인출입을 위한 개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40)는, 오염 공기의 상승을 차단하기 위한 제1프레임(410)과, 상기 제1프레임(410)의 전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2프레임(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410)은 레일 어셈블리(460)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410)은 상기 베이스(21)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상기 제2프레임(4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프레임(410)이 상기 베이스(21)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2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2프레임(43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프레임(430)을 당기면 상기 제1프레임(410)이 상기 베이스(21)에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410)이 상기 베이스(21) 내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프레임(410)은 상기 베이스(21)에 구비되는 고정유닛(470)에 의해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유닛(470)에 의해서 상기 제1프레임(410)이 상기 베이스(21) 내부로 인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410)은, 상승하는 오염 공기 중 일부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4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414)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베이스(21) 내부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410)은 안내 유로(416)를 형성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안내 유로(416)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프레임(410)은 하부 프레임(412)과, 상기 하부 프레임(412)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4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412)에 상기 유입구(4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베이스(21)에 구비되는 유입구(223)를 "제1유입구"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가동 부재(40)에 구비되는 유입구(414)를 "제2유입구"라 이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유입구(414)는 상기 제1유입구(223) 보다 상기 조리기기(1)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유입구(414)가 상기 제1유입부(223) 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하부 조리기기(2)의 전측 가열부(2a)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가 상기 제2유입구(414)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구(414)를 통하여 공기가 원활히 유입되기 위해서는 상기 안내 유로(416)의 높이가 높아야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안내 유로(416)의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412)은 상기 베이스(21)의 저면과 최대한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21)의 제1유입구(223) 보다 상기 가동 부재(40)의 제2유입구(414)가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 들의 배치에 의하면, 상기 하부 조리기기(2)의 전측 가열부(2a)에서 조리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가 조리기기(1)의 주변으로 벗어나기 전에 상기 제2유입구(414)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유입구(223) 및 제2유입구(414) 각각에서 오염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오염 공기의 유입 면적이 증가되어 유입 성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오염 공기의 배기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1)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22)가 위치되므로, 상기 하부 프레임(412)이 상기 베이스(21)의 저면과 최대한 가깝게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가동 부재(40)가 상기 베이스(21)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상기 하부 프레임(412)이 상기 유동 가이드(22)와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412)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함몰부(4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413)는 상기 하부 프레임(412)의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됨에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가동 부재(40)에서 상기 안내 유로(416)의 높이가 최대화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프레임(410)이 상기 베이스(21)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프레임(410)과 상기 유동 가이드(22)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프레임(410)이 상기 베이스(21)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413)의 함몰면(413a)은 상기 유동 가이드(22)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제1면(221) 보다 높게 위치되며, 서로 이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 7과 같이 상기 제1프레임(410)이 상기 베이스(21)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프레임(410)의 함몰부(413)와 상기 베이스(21)의 개구(212)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21) 내부의 구조물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 경우, 조리기기(1)의 미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이 상기 함몰부(413)와 상기 베이스(21)의 개구(212)를 통해 상기 베이스(2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 부재(40)가 상기 베이스(21)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21) 내부의 구조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사용자의 손이 상기 베이스(21) 내부에 인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동 부재(40)는 차폐 부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440)는 일 예로 상기 하부 프레임(4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413)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 부재(440)는 상기 개구(212)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410)이 상기 베이스(21)로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프레임(430)이 상기 개구(212)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440)에 의해서 사용자의 손이 상기 개구(212)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21)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도록, 상기 가동 부재(40)가 상기 베이스(21)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차폐 부재(440)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21)의 저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거나 낮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410)이 상기 베이스(21)에 인입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차폐 부재(440)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에 의해서 일 예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유동 가이드(22)와의 간섭이 방지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제1면(221)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폐 부재(440)가 상기 하부 프레임(4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차폐 부재(440)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440)는 상기 베이스(21)의 개구(212)를 통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차폐 부재(440)가 상기 베이스(21)의 개구(212)를 통하여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폐 부재(440)가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차폐 부재(440)에는 공기 유동을 위한 하나 이상의 홀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기 장치(2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가동 부재가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기 장치의 작동 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유입구를 구비하지 않은 가동 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 배기 장치의 작동 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유입구를 구비하는 가동 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 배기 장치의 작동 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배기 장치(20)의 작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구동 모터(50)가 온된다. 상기 구동 모터(50)가 온되면, 상기 스월러(3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일 예로 별도의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배기 장치(20)의 작동 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가동 부재(40)의 인출이 도시되지 않은 감지부에 의해서 감지되면 작동 명령이 입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배기 장치(20)의 작동 시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스월러(3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스월러(30)의 날개(320)는 상기 회전판(310)의 홀(330)을 향하여 유동하는 오염 공기 중 일부를 상기 회전판(310)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이때, 상기 유동 가이드(22)가 경사면인 제2면(222)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날개(320)에 의해서 상기 회전판(310)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밀려난 공기의 유동 방향은 상기 제2면(222)에 의해서 하방으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날개(320)에서 밀려난 공기가 상기 제2면(222)을 따라 유동함에 따라서, 도면과 같이 상기 배기 장치(20)의 제2면(222)에서 벗어난 공기는 하향 경사지게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1)의 유입구(223)를 오염 공기가 통과하면, 상기 유입구(223)를 통과하는 오염 공기 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공기도 상기 베이스(21)의 유입구(223)를 통과하려고 한다. 이와 같은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상기 스월러(30)의 하방에는 와류가 형성된다.
본 발명과 같이 스월러(30)와 유동 가이드(22)에 의해서 스월러(30)의 하방에 와류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조리기기(1)의 하방에서 상승하는 오염 공기가 원활히 상기 배기 장치(20)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베이스(21)의 유동 가이드(22)가 상기 스월러(30)의 반경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하방으로 가이드함에 따라서, 와류가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오염 공기의 일부(B1 참조)가 상기 스월러(30)에 의해서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기 장치(20)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배기 장치(20)에서 토출되고(A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스월러(30) 하부에서 와류가 발생된다.
그런데, 상기 가동 부재(40)가 베이스(21) 내로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오염 공기의 다른 일부(B2)는 상기 배기 장치(20)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조리기기(1)의 전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어 오염 공기의 포집율(전체 오염 공기 중에서 배기 장치로 인입되는 오염 공기의 비율)이 저하되고, 주방에서 퍼지게 되어 주방의 쾌적성이 저하된다.
또한, 배기 장치(20)의 스월러(30)에 의해서 반경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상기 배기 장치(20)의 전방 측의 공기가 하방으로 유동(C 참조)함으로써, 와류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가동 부재(40)가 상기 베이스(21)의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오염 공기의 일부(B1 참조)는 상기 배기 장치(20)의 유입구(223) 측으로 바로 이동되고, 오염 공기의 다른 일부(B3 참조)는 상기 가동 부재(40) 측으로 유동한다. 이때, 상기 가동 부재(40) 측으로 유동한 공기는 상기 가동 부재(40)에 의해서 유동 속도가 저하되어 상기 가동 부재(40)의 상방으로 유동하는 것이 차단된다(차단 효과(Blockage effect)).
이와 같이 오염 공기의 일부(B3 참조)가 상기 가동 부재(40)에 의해서 상승이 차단되는 경우, 오염 공기의 일부(B3 참조)의 유동 속도가 0에 가깝게 되어 상기 오염 공기의 일부(B3)가 와류의 영향에 의해서 상기 배기 장치(20)의 유입구(223)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과 같이 상기 가동 부재(40)가 상기 베이스(21)에서 인출되면, 오염 공기의 상승이 차단되어, 상기 배기 장치(20)의 오염 공기 포집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부재(40)가 상기 베이스(21)에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월러(30)에 의해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 압력이 작용하는 영역이 증가된다(Effect of flange).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 부재(40)가 상기 베이스(21)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압력장이 작용하는 전후 방향으로의 영역(화살표 D 방향의 영역)이 증가된다.
이 경우, 오염 공기가 상기 가동 부재(40)의 전방에서 상기 가동 부재(40)의 상방으로 상승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가동 부재(40)의 전방이나 상방에서 상기 가동 부재(40)의 하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동 부재(40)에 유입구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가동 부재(40)에 의해서 유동 방향이 변화되는 공기가 상기 베이스(21)의 유입구(223)를 통하여 상기 배기 장치(20)로 인입될 수 있다.
반면, 도 10과 같이 상기 가동 부재(40)에 유입구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오염 공기의 일부(B4 참조)가 상기 가동 부재(40)의 유입구(414)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즉, 도 10과 같은 경우에는 베이스의 유입구 및 가동 부재의 유입구 각각에서 오염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오염 공기의 유입 면적이 증가되어 유입 성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오염 공기의 배기 속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베이스의 유입구 및 가동 부재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배기 장치는, 베이스(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1)는 전면 플레이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230)에는 오염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면 유입구(2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면 유입구(232)는 하부 조리기기(2)의 전측 가열부(2a)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1)에는 오염 공기의 상승을 차단하고 오염 공기를 상기 전면 유입구(232)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동 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60)는 상기 베이스(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동 부재(60)는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한 레일 어셈블리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21)에 인출인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60)는 상기 베이스(21)에 인입될 수 있는 제1프레임(601)과, 상기 제1프레임(60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프레임(6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601)은 오염 공기의 상승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602)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2프레임(602)을 잡고 상기 제2프레임(602)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230)에는 상기 제1프레임(601)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개구(2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234)는 일 예로 상기 전면 플레이트(230)의 상단부 일부가 절개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개구(234)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230)의 상단부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개구(234)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212)의 높이가 측면 플레이트(210a)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됨에 따라서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602)은 상기 제1프레임(601)이 상기 베이스(21)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230)의 전면 유입구(232)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602)가 상기 베이스(21)에 상기 제2프레임(602)이 상기 전면 유입구(232)를 커버하므로, 상기 전면 유입구(23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이물질이 상기 전면 유입구(232)를 통하여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해서,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베이스에서 인출되면, 오염 공기의 상승을 차단하고, 오염 공기가 상기 베이스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안내되므로, 유입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조리기기 10: 본체
20: 배기 장치 21: 베이스
22: 유동 가이드 221: 제1면
222: 제2면 223: 유입구
224: 설치부 30: 스월러
310: 회전판 320: 날개
330: 홀 340: 축 결합부
350: 연결리브 40: 가동 부재
410: 제1프레임 414: 유입구
414: 제2프레임 440: 차폐 부재
50: 구동 모터

Claims (15)

  1.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장치는,
    상기 본체의 하측에 연결되며, 유입구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유입구를 통하여 오염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하며, 다수의 날개를 구비하는 스월러(swirler);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스월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베이스에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 장치의 하방에 위치되는 하부 조리기기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의 상승을 차단하기 위한 가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스월러에 의해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하방으로 안내하며, 내부 공간에 스월러가 위치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면과, 상기 스월러의 각 날개에서 반경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면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함몰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승하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추가적인 유입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유입구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베이스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의 유입구 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조리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유입구는 상기 베이스의 유입구 보다 낮게 위치되는 조리기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동 부재의 인출입을 위한 개구가 구비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차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함몰부에서 상기 가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차폐 부재의 하측 단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베이스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 보다 낮게 위치되는 조리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에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홀이 구비되는 조리기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동 부재의 인출입을 위한 개구가 구비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전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2. 삭제
  13. 삭제
  14.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장치는,
    상기 본체의 하측에 연결되며, 유입구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 주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를 반경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베이스의 하방에서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스월러(swirler); 및
    상기 베이스에서 인출되며, 상승되는 공기의 상승을 차단함으로써,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와류에 의해서 상기 유입구로 유동되록 하기 위한 가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동 부재의 인출입을 위한 개구가 구비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가동 부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가동 부재에 의해서 상승이 차단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추가적인 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160021130A 2015-03-19 2016-02-23 조리기기 KR101761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130A KR101761053B1 (ko) 2016-02-23 2016-02-23 조리기기
PCT/KR2016/002532 WO2016148468A1 (en) 2015-03-19 2016-03-14 Cooking device
EP19176074.3A EP3553391B1 (en) 2015-03-19 2016-03-14 Cooking device
EP16765224.7A EP3271657B1 (en) 2015-03-19 2016-03-14 Cooking device
US15/075,618 US10295195B2 (en) 2015-03-19 2016-03-21 Cooking device
US16/212,235 US10890335B2 (en) 2015-03-19 2018-12-06 Coo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130A KR101761053B1 (ko) 2016-02-23 2016-02-23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053B1 true KR101761053B1 (ko) 2017-07-24

Family

ID=5942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130A KR101761053B1 (ko) 2015-03-19 2016-02-23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0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075A1 (ko) * 2018-03-27 2019-10-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국소 배기 장치
WO2020171459A1 (ko) * 2019-02-20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075A1 (ko) * 2018-03-27 2019-10-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국소 배기 장치
KR20190113167A (ko) * 2018-03-27 2019-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국소 배기 장치
KR102060144B1 (ko) * 2018-03-27 2019-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국소 배기 장치
US11306922B2 (en) 2018-03-27 2022-04-19 Lg Electronics Inc. Local exhaust device
WO2020171459A1 (ko) * 2019-02-20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1657B1 (en) Cooking device
CN107923631B (zh) 具有烹调区域和排烟设备的组合式装置
CN107923630B (zh) 具有烹调区域和排烟设备的组合式装置
KR101936199B1 (ko) 조리 기기 및 배기 장치
KR102060144B1 (ko) 국소 배기 장치
EP3023702B1 (en) Cooking device
KR20130054722A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JP6790247B2 (ja) 空気取入れ口を有する換気装置
KR20160003022U (ko) 주방용 배기후드
KR101761053B1 (ko) 조리기기
KR20180006641A (ko) 후드 및 조리기기
KR20130036415A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2111328B1 (ko) 배기 장치
JP2022526151A (ja) スライド式レンジフード
KR20110012038U (ko) 보조 흡입구가 구비된 주방용 레인지 후드 장치
CN114763918B (zh) 一种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
CN209877015U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CN111503672A (zh) 一种带有烹饪装置的集成灶
CN217274273U (zh) 一种集成灶
CN219083200U (zh) 一种吸油烟机
CN216307914U (zh) 一种集成烹饪器具
US20230175702A1 (en) Extractor apparatus, and kitchen arrangement having a hob and an extractor apparatus
CN117823981A (zh) 一种机头以及集成灶
KR20160072484A (ko) 조리기기
EP4375581A2 (en) Cookware and exhaus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