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260B1 -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260B1
KR101760260B1 KR1020160174613A KR20160174613A KR101760260B1 KR 101760260 B1 KR101760260 B1 KR 101760260B1 KR 1020160174613 A KR1020160174613 A KR 1020160174613A KR 20160174613 A KR20160174613 A KR 20160174613A KR 101760260 B1 KR101760260 B1 KR 101760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management server
building
terminal
construction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한
이준형
Original Assignee
조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한 filed Critical 조재한
Priority to KR1020160174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주가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서버를 통하여 의뢰부터 건축물 완공까지의 과정을 제시하고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서버를 통하여 건축주가 시공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언제든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주가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서버를 통한 건설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건축주와 건축사, 시공사 간의 정보공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건축주가 도면과 실제 시공현장을 비교하여 건축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omitted}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주가 계획부터 준공까지 전체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비아이엠(BIM)기반의 건설관리서버를 구축하여 인터넷서버를 통하여 관리하는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건축물을 신축하기 위해서 의뢰부터 건축물설계에 관한 계획,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유지관리, 제반의 과정이 거쳐진다. 이와 같이 건축물 신축 과정에서 건축사, 시공사와 같은 많은 업체들이 관여하게 되며, 각 업체 사이의 교류되는 정보의 양도 상당히 많다. 즉 건축물을 신축하려면 건축사와 시공사 및 각종 설비공사가 필요하다.
여기서 건축사는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한 기본계획, 건축 및 구조설계, 인허가, 감리 업무를 진행하며 건축설계의 전반적인 부분을 담당하고, 시공사는 홍보, 영업, 제작도, 납품업무 등을 진행하며 시공의 전반적인 부분을 담당한다.
건축주의 의뢰에 따라 여러 건축사와 시공사 중에 건축주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건축사, 시공사와 계약을 맺고 시공을 한다. 하지만 건축주는 계약을 맺은 시공사가 설계된 도면대로 공사를 진행하는지 확인하는 시스템이 갖춰있지 않아 진행상황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요즘 부실공사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지만 건축물 시공에 사용되는 자재가 교체되지는 않았는지 등 시공 상태를 즉각 확인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00547호 (2008.01.28)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주가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서버를 통하여 의뢰부터 건축물 완공까지의 과정을 제시하고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서버를 통하여 건축주가 시공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언제든지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건축사로부터 입력된 건축사정보와 다수의 시공사로부터 입력된 시공사정보가 저장되고, 건축사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건축물설계정보를 토대로 건축물량에 대한 단가가 적용된 건축물내역서가 생성되는 건설관리서버(10); 건축주가 건축물건설을 의뢰하도록 의뢰요청이 입력되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건축사정보, 건축물내역서를 제공받는 건축주단말기(20);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건축주의 의뢰요청을 제공받고, 제공된 의뢰요청을 확인한 건축사관리자가 선정공모참여를 입력하여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건축사관리자를 통해 건축물설계정보가 입력되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시공사를 선정하기 위한 다수의 시공사정보를 제공받아, 건축사관리사가 제공된 다수의 시공사정보 중에 하나의 시공사정보를 선정함으로써 선정시공사정보가 입력되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는 건축사단말기(30);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선정시공사정보를 전송받으면, 시공관리자로부터 공사현장정보가 입력되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는 시공사단말기(40);를 포함하고, 상기 건설관리서버(10)는 건축사단말기(30)로부터 전송받은 건축물설계정보를 통하여 건축물량이 자동으로 산출되고, 산출된 건축물량이 입력된 산출내역서가 생성되는 물량자동산출부(11); 물량자동산출부(11)로부터 산출내역서를 전송받으면, 산출내역서에 입력된 건축물량과, 건축물량에 대한 단가를 토대로 건축물내역서가 생성되는 내역서생성부(17);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주단말기(20)는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공모에 참여하는 건축사정보를 제공받아, 건축주가 제공된 다수의 건축사정보 중에 하나의 건축사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선정건축사정보가 입력되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건축주가 실제 시공현장과 비교하도록 상기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공사현장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시스템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건축주단말기, 건축사단말기, 시공사단말기 및 건설관리서버로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을 통한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에 있어서,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하여 건설관리서버(10)로 건축의뢰요청을 전송하면, 건축사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단계별로 제작된 설계도서를 저장하는 설계도서저장단계(s1);건축사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에 저장된 설계도서저장단계(s1)의 설계도서를 기반으로 비아이엠(BIM)도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비아이엠(BIM)도면에 관한 정보를 건설관리서버(10)로 입력하며, 입력된 비아이엠(BIM)도면에 관한 정보가 건설관리서버(10)에 포함된 물량자동산출부(11)로 전송되는 단계(s30);건설관리서버(10)에서 생성된 비아이엠(BIM)도면을 토대로 설정된 부자재정보를 건축사단말기(30)로부터 입력받아 물량이 자동으로 산출되어 산출내역서가 생성되는 산출내역서생성단계(s40); 건설관리서버(10)에서 산출내역서생성단계(s40)로부터 생성된 산출내역서를 토대로 산출된 건축물량에 대한 단가가 계산되어 입력됨으로써 예상가격이 입력된 건축내역서가 생성되는 건축내역서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축주가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서버를 통한 건설관리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건축주와 건축사, 시공사 간의 정보공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건축주가 도면과 실제 시공현장을 비교하여 건축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통한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에 적용되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통한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주가 건축물의 계획부터 비용까지 전체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비아이엠(BIM)기반의 건설관리서버를 구축함으로써, 건축주가 의뢰부터 건축사선정, 시공사선정, 견적, 공사관리, 하자보수 등을 인터넷서버를 통해 관리되도록 하는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비아이엠(BIM)은 프로젝트(예컨대, 건설 공사 등)에 대한 모델링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프로젝트에 대한 모든 내부의 설계요소(예컨대, 철근, 설비, 파이프 등과 같은 부재의 종류, 공사 일정, 공사비용 등)를 3D로 설계하여 건물에 대한 모델링을 하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에서 비아이엠(BIM)은 가장 기본적인 3D로부터, 4차원(4D)(3D에 Time을 고려한 공정관리를 추가한 것)과 5차원(5D)(4D에 Cost를 고려한 견적관리를 추가한 것)까지 하나의 3D 모델을 기반으로 해서 3D의 모델링을 이루어가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본 발명의 비아이엠(BIM)에 의해 프로젝트 진행에 따른 예산과 실행을 비교할 수 있고, 이를 시각화하여 직감적으로 문제 등을 파악 및 해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비아이엠(BIM)에 따른 3D는 설계 오류를 바로 잡고 시각화를 통해 이해를 도우면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4D는 공정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법상, 안전상에 있어서 더 나은 대안을 제시하면서 일정 등의 효율화와 공종 간의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5D는 공정과 비용과의 연결고리를 바탕으로 문제를 모니터링하고 심각도를 사전에 감지하여 문제의 핵심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비아이엠(BIM)(3D, 4D, 5D) 기반의 3D 모델을,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에 미리 저장된 공정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 등과 같은 EVMS 데이터와 연계하고, 또한 상기 EVMS 데이터와 연계된 3D 모델을 웹상에서 시뮬레이션 구동이 가능하도록 인터넷 모델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웹 기반의 비아이엠(BIM)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건설 공사의 공정과 비용(예컨대, 공사비)을 통합 관리하는 EVMS와 시공 과정에 대한 3D 모델링된 모델 데이터를 웹상에서 연계시켜 건설 공사의 진행 상황을 3차원적인 그래픽으로 확인 가능하며, 그에 따른 시공 관련 정보를 동시에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사에 따른 대상인 구조물에 대한 3D 구조물 모델(모델 데이터)과 EVMS 데이터(예컨대, 공정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를 연계하여 실제 구조물의 단위별로 3D 진행상황을 연속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주어진 디바이스(예컨대, 사용자 디바이스)를 이용한 웹 서비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공정을 점검할 수 있는 3D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그리고 3D 구조물과 공사관련 데이터의 연계를 통해 특정 구조물 선택 시 선택된 해당 구조물에 대한 설계도서(도면, 시방서) 및 해당구간 관련 자료 등을 열람할 수 있는 3D 정보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3D 모델이 EVMS와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공정 및 비용정보 관리가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웹 기반 시스템이므로 현장, 본사 및 발주처 간 정보 공유 및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통한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에 적용되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하드웨어 시스템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건설관리서버(10), 건축주단말기(20), 건축사단말기(30), 시공사단말기(40)로 이루어진다.
건설관리서버(10)는 건설관리서버(10)는 비아이엠(BIM)기반으로 설계된 서버로서,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하여 건설관리서버(10)로 접속하여 시공되고 있는 건축물에 관한 정보를 어느 장소에서도 확인하도록 한다.
건설관리서버(10)는 다수의 건축사로부터 입력된 건축사정보와 다수의 시공사로부터 입력된 시공사정보가 저장되고, 건축사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건축물설계정보를 토대로 건축물량이 입력된 산출내역서와 산출내역서의 건축물량에 대한 단가가 적용된 건축물내역서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설관리서버(10)는 물량자동산출부(11)와 내역서생성부(17)를 포함한다.
물량자동산출부(11)는 건축사단말기(30)로부터 전송받은 건축물설계정보를 통하여 건축물량이 자동으로 산출되고, 산출된 건축물량이 입력된 산출내역서가 생성된다. 물량자동산출부(11)는 물량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프로그램으로써, 건축물설계정보를 토대로 건축물량만을 뽑아내는 것이다. 즉, 물량자동산출부(11)는 적산을 하는 것으로, 적산이란 건축 공사에 있어서 설계 도서 등에 공사비를 예측하는 작업으로 좁은 뜻으로는 수량 산출을 의미하고, 금액산출에 중점을 둔 견적과 대비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물량자동산출부(11)는 적산의 좁은 뜻인 수량 산출만을 의미하는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내역서생성부(17)는 물량자동산출부(11)로부터 산출내역서를 전송받으면, 산출내역서에 입력된 건축물량과, 건축물량에 대한 단가를 토대로 건축물내역서가 생성된다. 내역서생성부(17)는 물량자동산출부(11)와 연동되는 것으로, 물량자동산출부(11)로부터 전송된 산출내역서를 통해 건축물량이 자동으로 산출된 후에 산출내역서를 생성하는 것이다.
즉 내역서생성부(17)는 사전에 각 물량에 대한 단가가 저장되어 있으며, 저장된 단가를 건축물량에 적용됨으로써 산출내역서가 생성된다.
그리고 건설관리서버(10)는 추가로 건설관리 DB(12)를 포함한다.
건설관리DB(12)는 건설관리서버(10)에 저장되는 DB(Database)로써 대지위치, 규모, 용도 등의 정보가 입력되는 대지DB, 문헌법규 및 비아이엠(BIM)법규가 저장되는 법규DB, 설계에 필요한 비용의 입출내역이 저장되는 설계비DB, 건축사를 입찰하기위한 공고내용 및 공모방법과 설계계약내용 등 설계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설계DB, 가설계도면, 설계도서 등 설계에 관한 도면이 저장된 도면DB, 비아이엠(BIM)도면과 그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비아이엠(BIM)도면DB, 현장에서 작성된 현장일보를 저장하는 일보DB, 각종 내역서가 저장되는 내역DB, 입찰에 참여하는 시공사가 저장되는 입찰업체DB, 공모에 참여하는 건축사가 저장되는 건축사DB 등의 DB가 있다.
상기 서술된 DB 이외에 건축관리에 필요한 DB는 추가될 수 있다.
건설관리서버(10)는 상기 다수의 건축사가 각각의 건축사단말기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각 건축사에 해당하는 건축사정보를 입력하고, 다수의 시공사도 각각의 시공사단말기를 통해 각 시공사에 해당하는 시공사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건축사정보는 건축사의 업체정보, 이전건축물이력 등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시공사정보는 시공사의 업체정보, 이전시공이력 등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상기 건설관리서버(10)는 건축주단말기, 건축사단말기 및 시공사단말기를 통해 각각 건축주, 건축사 및 시공사에게 건설관리서버(10)에 저장된 여러가지 정보를 제공한다.
건축주단말기(20)는 건축주가 건축물건설을 의뢰하도록 의뢰요청이 입력되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건축사정보를 제공받아, 건축주가 제공된 다수의 건축사정보 중에 하나의 건축사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선정건축사정보가 입력되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건축주가 실제 시공현장과 비교하도록 하기 시공사단말기(40)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된 공사현장정보를 제공받는다.
건축주단말기(20)는 건축주가 소지한 단말기로 스마트폰, 노트북PC 등과 같이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하여 건축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건축의뢰를 하고 건축사 및 시공사를 선정하며, 건축물설계의 전반적인 계획, 비용, 기간, 도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건축사단말기(30)는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건축주의 의뢰요청을 제공받고, 제공된 의뢰요청을 확인한 건축사관리자가 선정공모참여를 입력하여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선정건축사정보가 전송되면, 건축사관리자를 통해 건축물설계정보가 입력되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시공사를 선정하기 위한 다수의 시공사정보를 제공받아, 건축사관리사가 제공된 다수의 시공사정보 중에 하나의 시공사정보를 선정함으로써 선정시공사정보가 입력되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한다.
건축사단말기(30)는 건축사의 건축사관리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스마트폰, 노트북PC 등과 같이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건축사관리자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하여 건축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건축의뢰를 하는 건축주의 건축주단말기(20)로 계약정보를 전송하고, 건축사관리자로부터 제작한 설계도면 및 비아이엠(BIM)도면 등 건축에 필요한 건축물설계정보를 입력받아 건축관리서버(10)로 전송하여 건축관리서버(10)에서 공유하도록 한다.
시공사단말기(40)는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선정시공사정보를 전송받으면, 시공관리자로부터 공사현장정보가 입력되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한다.
시공사단말기(40)는 시공관리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스마트폰, 노트북PC 등과 같이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시공관리자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하여 건축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건축주의 건축주단말기(20)로 계약정보를 전송하고, 건축물을 착공시 시공관리자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해 현장에서 공사현장정보인 현장일보를 입력하여 건축관리서버(10)로 전송함으로 건축관리서버(10)의 일보DB에 저장된다.
건축주, 건축사, 시공사는 각각의 건축주단말기(20), 건축사단말기(30),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하여 상기 건축관리서버(10)에서 각각 원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특히 건축주는 건축주단말기(20)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시공이 계획과 같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건축물을 설계하는 과정부터 시공이 완료된 과정까지 전체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시공사가 부실공사를 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아래는 본 발명의 인터넷을 통한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에 관한 설명이다.
이는 도 2의 인터넷을 통한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통한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은 건축주가 건설관리서버(10)를 통하여 의뢰하는 단계부터 건축사선정, 시공사선정단계를 거치며 기성된 건축물을 확인하도록 기성도면을 제작하고 시공이 완료되면 완공된 건축물에 관한 비용을 정산하는 등 건축물을 시공하기 전부터 시공이 끝난 후까지의 과정을 전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첫번째 단계는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하여 건설관리서버(10)로 건축의뢰요청을 전송하면, 건축사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단계별로 제작된 설계도서를 저장하는 설계도서저장단계(s1)이다.
설계도서저장단계(s10)는 s10,s20단계로 나뉘며 아래와 같다.
먼저, s10단계는 건축주가 의뢰하고 건축사를 선정하는 단계로써,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하여 건설관리서버(10)로 건축의뢰요청을 전송하고, 건설관리서버(10)에 등록된 전체 또는 일부 건축사단말기 중에 하나를 선정하는 단계(s10)이다.
구체적으로는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건축의뢰시 대지정보를 입력하며, 입력된 대지정보가 건설관리서버(10)의 대지DB에 저장된다.
대지DB에 저장된 대지정보를 토대로 건축물의 규모, 용도와 같은 건축법규인 문헌법규, 비아이엠(BIM)법규를 분석하여 건축DB에 저장한다. 상기 건축DB에 저장된 내용이 건축주단말기(20)로 전송되면, 건축주단말기(20)는 건설관리서버(10)에 승인신호를 전송하고 건축DB에 저장된 내용을 토대로 공모 또는 지명설계를 위한 가설계비가 건설관리서버(10)로 전달되어 설계비DB로 입금된 가설계비내역이 저장된다.
상기 대지정보로는 대지의 위치, 규모, 용도, 예산 등이 있고 이를 토대로 건축법규를 분석한다. 건축법규 중 문헌법규를 분석하는 내용은 지목, 대지면적, 법령에 다른 용도구분, 건폐율, 용적률, 도로 현황, 최대 건축가능 면적, 최대 건축가능 층수, 예상 건축물, 주차대수 조경면적, 대지안의 공지 기준, 일조권, 도로사선, 최고고도, 층별 면적 및 용도 계획, 기타 검토내용이 있다.
또한 다른 건축법규인 비아이엠(BIM)법규를 분석하는 내용은 주변 대지현황, 최대 건축가능 면적 및 층수, 일조권, 도로사선, 건축선 등을 시각화하여 분석하는 내용이다.
상기와 같이 분석된 내용들이 건설관리서버(10)의 법규DB에 저장되어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이용하여 열람이 가능하다.
건축주로부터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승인신호를 전송받으면, 건축사를 선정하도록 공모방법과 공고내용을 설계DB에 저장한다.
그 후 건설관리서버(10)에 설계DB에 저장된 공모방법을 토대로 건설관리서버(10)에 등록된 전체 건축사를 대상으로 공모하거나 특정(일부) 건축사를 지명하여 건축사를 선정하고 선정된 건축사의 건축사단말기(30)로 공모참여여부를 선택하도록 요청한다.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공모참여를 선택한 건축사는 건설관리서버(10)의 설계DB를 토대로 설계된 가설계도면을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여 도면DB에 저장한다.
건설관리서버(10)의 도면 DB에 저장된 가설계도면을 기반으로 비아이엠(BIM)분석을 진행하고, 분석된 비아이엠(BIM)을 토대로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축사를 선정하게 된다.
건축사가 선정되면 상기 설계비DB에 저장된 가설계비내역을 토대로 미선정된 건축사의 건축사단말기(30)로 할당된 가설계비가 입금되고 선정된 건축사의 건축사단말기(30)를 대신하여 건축주의 건축주단말기(20)로 할당된 가설계비가 입금된다.
그 후 선정된 건축사의 건축사단말기(30)와 건축주의 건축주단말기(20)는 건설관리서버(10)를 통하여 건설관리서버(10)에서 설계계약을 하고 설계계약내용을 건설관리서버(10)의 설계 DB로 저장하며, 저장된 설계계약내용을 토대로 건축주는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하여 건축사의 건축사단말기(30)로 계약비를 전달한다.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로부터 건축사의 건축사단말기(30)로 계약비를 전달하는 방법은 건설관리서버(10)를 통하여 건축사단말기(30)로 전달하거나 건축주단말기(20)가 건축사에 해당하는 계좌를 통하여 건축사단말기(30)로 바로 전달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건축주단말기(20), 건축사단말기(30), 시공사단말기(40) 사이에서 각 단계에서 발생되는 비용을 전달방법은 건설관리서버(10)를 통하여 전달하거나 각 단말기의 해당계좌로 전달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내용에는 이에 관한 것을 생략한다.
다음은 선정된 건축사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하여 건설관리서버(10)로 설계계약승인을 하면, 건축사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단계별로 제작된 설계도서를 저장하고,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하여 건설관리서버에 저장된 설계도서를 확인하여 승인하는 단계(s20)이다.
구체적으로는 건축사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계약비를 전달받으면 건축을 하는 단계별로 제작된 설계도서를 건설관리서버(10)의 도면 DB로 저장하고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의 설계도면을 확인하여 승인여부를 선택한다. 그리고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승인을 전송하면,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에 전송된 승인을 확인하여, 건축사의 건축사단말기(30)로 설계도면에 대한 설계비를 지급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설계비지급내역은 설계비DB에 저장되어 건축주는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서 건설관리서버(10)에서, 건축사는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서 건설관리서버(10)에서 언제든지 열람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은 건설관리서버(10)에 포함된 비아이엠(BIM)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과정으로 아래와 같다.
건축사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에 저장된 설계도서를 기반으로 비아이엠(BIM)도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비아이엠(BIM)도면에 관한 정보를 건설관리서버(10)로 입력하며, 입력된 비아이엠(BIM)도면에 관한 정보가 건설관리서버(10)에 포함된 물량자동산출부(11)로 전송된다(s30).
상기 비아이엠(BIM) 도면에 관한 정보는 실별 및 구조별 부호, 명칭 등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비아이엠(BIM)도면과 그에 관한 정보는 비아이엠(BIM) DB에 저장된다.
다음은 건설관리서버(10)에서 생성된 비아이엠(BIM)도면을 토대로 설정된 부자재정보를 건축사단말기(30)로부터 입력받아 물량이 자동으로 산출되어 산출내역서가 생성되는 산출내역서생성단계(s40)이다.
즉, 건설관리서버(10)의 물량자동산출부(11)로 비아이엠(BIM)도면이 전송되어 전송된 비아이엠(BIM)도면을 토대로 설정된 부자재정보가 입력되는 단계이다(s40).
부자재정보로는 구조 부호, 배근자료, 마감 창호 등의 부자재에 관한 정보이다.
그후, 건축내역서단계(s50)는 건설관리서버(10)에서 산출내역서생성단계(s40)로부터 생성된 산출내역서를 토대로 산출된 건축물량에 대한 단가가 계산되어 입력됨으로써 예상가격이 입력된 건축내역서가 생성된다.
즉 물량자동산출부(11)로 전송된 비아이엠(BIM)도면에 관한 정보와 부자재정보를 기반으로 건설물량이 자동으로 산출되며 산출된 건축물량에 따라 건축내역서(공내역서) 및 예상가격이 자동 생성되어 건설관리서버(10)에 저장된다(s50).
상기 공내역서는 건설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내역서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입찰DB에 저장된 내용을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이용하여 열람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는 건설관리서버(10)에 등록된 전체 또는 일부 시공사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하여 저장된 공내역서 및 예상가격을 확인하여 공모참석승인을 하면,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공모참석승인한 시공사를 확인하여 그중 하나를 선정한다(s60).
구체적으로는 건설관리서버(10)에 등록된 전체 시공사나 시공될 건축물종류에 관련된 일부 시공사를 대상으로 하여 입찰 DB에 저장된 공내역서를 토대로 입찰을 시작하고, 입찰에 참여하는 시공사의 정보가 입찰업체 DB로 저장된다. 그리고 공내역서를 토대로 단가가 입력된 내역서가 업체별로 내역DB에 저장된다.
상기 건설관리서버(10)의 입찰 DB에 저장된 예상가격과 입찰업체 DB에 저장된 시공사와 내역DB에 저장된 내역서를 토대로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에서 시공사를 선정하면, 시공사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하여 건설관리서버(10)의 시공사DB에 시공에 참여하는 시공사의 정보를 저장하고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하여 선정된 시공사의 시공사단말기(40)와 계약하도록 계약내역서를 생성한다. 그 후 계약내역서를 토대로 건축주는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시공사의 시공사단말기(40)로 공사비를 전송하고 계약내역서와 공사비 내역은 계약내역 DB로 저장된다.
시공사와 계약이 되면, 선정된 시공사의 시공담당자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하여 건설관리서버(10)로 공사가 진행되는 현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이다(s70).
구체적으로는 건설관리서버(10)의 현장일보DB에 공사가 진행되는 현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만일 공사 중 설계변경이 필요할 경우 아래 s130~s150 단계가 진행된다.
건축주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에 저장된 설계도서를 수정하여 저장시, 건설관리서버(10)를 통해 건축주단말기(20)로 변경된 설계도서에 따른 변경설계비가 요청된다(s130).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요청된 변경설계비를 확인하여 건축사단말기(30)로 변경설계비를 전송한다(s140).
건축사관리자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의 변경된 설계도서를 토대로 비아이엠(BIM)도면을 건설관리서버(10)로 입력저장하고, 저장된 비아이엠(BIM)도면이 건설관리서버(10)에 포함된 물량산출모듈로 전송되어 비아이엠(BIM)도면에 대한 건축물량이 자동으로 산출되고, 산출된 건축물량에 대한 단가가 입력되어 건축내역서가 생성된다(s150).
다음은 공사가 진행되는 중간과정으로 건축물이 일정분량만큼 기성되면, 건축사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기성된 건축물에 관한 기성비아이엠(BIM)도면을 입력저장하면, 건축사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에 저장된 기성비아이엠(BIM)도면과 실제 기성된 건축물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건축사단말기(30)로 설정된 기성금을 전송한다(s80).
구체적으로는 기성된 건축물에 관한 정보가 건축사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하여 건설관리서버(10)에 기성비아이엠(BIM)도면으로 작성되어 도면DB에 저장되며, 작성된 기성비아이엠(BIM)도면이 물량자동산출모듈(11)로 전송되어 물량이 자동으로 산출된다. 그 다음 산출된 물량과 기성금이 포함된 기성내역서가 생성되어 내역DB에 저장된다.
저장된 기성 비아이엠(BIM)도면과 기성된 시공건축물이 일치하는 것이 확인된 건축주는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하여 건설관리서버(10)에 저장된 기성내역서를 토대로 건축사단말기(30)로 기성금을 전달한다.
상기 s80단계를 통하여 건설현장에서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이용하여 건설관리서버(10)에 저장된 기성비아이엠(BIM)도면과 실제 시공건축물이 동일한지 비교검토를 할 수 있다. 건축주가 비교검토하여 기성비아이엠(BIM)도면과 실제 시공건축물이 동일하다고 판단했을때 기성금을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하여 건축사의 건축사단말기(30)로 전달한다. 또한 전달된 기성금내역은 건설관리서버(10)의 기성금DB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건축물 시공이 완료되면, 건축물이 완공시 시공관리자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완공된 건축물에 관한 완공비아이엠(BIM)도면이 입력저장하면,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완공비아이엠(BIM)도면에 대한 준공금이 산출되어 저장되고, 건축주는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에 저장된 준공금을 확인하여 시공사단말기(40)로 준공금을 전송하는 단계(s90)이다.
그 다음은 시공관리자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상기 완공된 건축물에 대한 시공데이터와 하자보증기간을 입력저장하는 단계(s100)이다.
건축물이 하자가 발생하여 수리가 필요할 경우를 대비하여 하자DB에 시공데이터와 하자보증기간이 저장된다.
하자 발생시 시공관리자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의 시공데이터를 확인하고, 하자보수된 하자보수정보를 건설관리서버(10)에 입력저장한다(s110).
건축주 또는 건축물사용자가 각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건설관리서버(10)로 하자보수를 요청하면 보수자가 선정되며 보수자의 단말기가 건설관리서버(10)의 하자DB로부터 시공데이터를 얻어 하자보수를 시행하고 보수보고서을 하자보수DB에 저장한다.
하자보증기간이 만료시, 시공관리자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유지데이터를 입력저장하고,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유지보수요청을 전송하면, 시공관리자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된 유지보수요청을 확인하여 건축물을 유지보수하여 건설관리서버(10)로 유지보수정보를 입력저장된다(s1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치므로 건축주가 건축과정을 관리할 수 있어 부실공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축주와 건축사, 시공사 간의 정보공유가 원활한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 건설관리서버
11 물량자동산출모듈
12 건설관리DB
20 건축주단말기
30 건축사단말기
40 시공사단말기

Claims (4)

  1. 다수의 건축사로부터 입력된 건축사정보와 다수의 시공사로부터 입력된 시공사정보가 저장되고, 건축사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건축물설계정보를 토대로 건축물량에 대한 단가가 적용된 건축물내역서가 생성되는 건설관리서버(10)와, 건축주가 건축물건설을 의뢰하도록 의뢰요청이 입력되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건축사정보, 건축물내역서를 제공받는 건축주단말기(20)와,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건축주의 의뢰요청을 제공받고, 제공된 의뢰요청을 확인한 건축사관리자가 선정공모참여를 입력하여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건축사관리자를 통해 건축물설계정보가 입력되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시공사를 선정하기 위한 다수의 시공사정보를 제공받아, 건축사관리자가 제공된 다수의 시공사정보 중에 하나의 시공사정보를 선정함으로써 선정시공사정보가 입력되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는 건축사단말기(30)와,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선정시공사정보를 전송받으면, 시공관리자로부터 공사현장정보가 입력되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는 시공사단말기(40)를 포함하고,
    상기 건설관리서버(10)는 건축사단말기(30)로부터 전송받은 건축물설계정보를 통하여 건축물량이 자동으로 산출되고, 산출된 건축물량이 입력된 산출내역서가 생성되는 물량자동산출부(11)와, 물량자동산출부(11)로부터 산출내역서를 전송받으면, 산출내역서에 입력된 건축물량과, 건축물량에 대한 단가를 토대로 건축물내역서가 생성되는 내역서생성부(17)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주단말기(20)는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공모에 참여하는 건축사정보를 제공받아, 건축주가 제공된 다수의 건축사정보 중에 하나의 건축사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선정건축사정보가 입력되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건축주가 실제 시공현장과 비교하도록 상기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공사현장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건축사정보는 건축사의 업체정보, 이전건축물이력에 관한 정보이고, 시공사정보는 시공사의 업체정보, 이전시공이력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에 있어서,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하여 건설관리서버(10)로 건축의뢰요청을 전송하면, 건축사관리자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단계별로 제작된 설계도서를 저장하는 설계도서저장단계(s1);
    건축사관리자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에 저장된 설계도서저장단계(s1)의 설계도서를 기반으로 비아이엠(BIM)도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비아이엠(BIM)도면에 관한 정보를 건설관리서버(10)로 입력하며, 입력된 비아이엠(BIM)도면에 관한 정보가 건설관리서버(10)에 포함된 물량자동산출부(11)로 전송되는 단계(s30);
    건설관리서버(10)에 생성된 비아이엠(BIM)도면을 토대로 설정된 부자재정보를 건축사단말기(30)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s30의 비아이엠(BIM)도면에 관한 정보와 입력받은 부자재정보를 기반으로 물량자동산출부(11)를 통해 건축물량이 자동으로 산출되어 산출내역서가 생성되는 산출내역서생성단계(s40);
    s40로부터 생성된 산출내역서를 토대로 내역서생성부(17)를 통해 산출된 건축물량에 대한 단가가 계산되어 입력됨으로써 예상가격이 입력된 건축내역서가 자동으로 생성되는 건축내역서단계(s50);
    건설관리서버(10)에 등록된 전체 또는 일부 시공사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하여 s50에서 생성된 건축내역서 및 예상가격을 확인하여 공모참석승인을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하면,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공모참석승인를 확인하여 공모참석승인이 전송된 시공사 중 하나를 선정하는 단계(s60);
    S60에서 선정된 시공사의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하여 건설관서버(10)로 공사가 진행되는 현장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되는 단계(s70);를 포함하며,
    상기 설계도서저장단계(s1)는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하여 건설관리서버(10)로 건축의뢰요청을 전송하고, 건설관리서버(10)에 등록된 전체 또는 일부 건축사단말기 중에 하나를 선정하는 단계(s10);
    선정된 건축사의 건축사관리자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하여 건설관리서버(10)로 설계계약승인을 입력하면, 건축사관리자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단계별로 제작된 설계도서를 저장하고,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하여 건설관리서버(10)에 저장된 설계도서를 확인한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하여 건설관리서버(10)로 승인을 입력하는 단계(s20);를 포함하고,

    상기 s30의 비아이엠(BIM)도면에 관한 정보는 실별 및 구조별 부호, 명칭을 포함하고, 상기 산출내역서생성단계(s40)의 부자재정보는 구조 부호, 배근 자료, 마감칭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공사 진행 중에 설계 변경이 필요한 경우 건축사관리자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에 저장된 설계도서를 수정저장하면, 건설관리서버(10)를 통해 건축주단말기(20)로 변경된 설계도서에 따른 변경설계비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130);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전송된 변경설계비를 건축주단말기(20)로 전송받으면, 확인된 변경설계비를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축사단말기(30)로 전송하는 단계(s140);
    S140의 변경된 설계비를 건축사단말기(30)로 전송받고, 건축사관리자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의 변경된 설계도서를 전송받고,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된 변경된 설계도서를 토대로 작성된 비아이엠(BIM)도면을 입력 저장하고, 건설관리서버(10)에 저장된 비아이엠(BIM)도면은 건설관리서버(10)에 포함된 물량산출모듈(11)로 전송되어 비아이엠(BIM)도면에 대한 건축물량이 자동으로 산출되고, 내역서생성부(17)를 통해 산출된 건축물량에 대한 예상가격이 입력된 건축내역서가 생성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하고,

    공사가 진행되는 중에 건축물이 일정분량만큼 기성되면, 건축사관리자가 건축사단말기(3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기성된 건축물에 관한 기성비아이엠(BIM)도면을 입력 저장하고,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에 저장된 기성비아이엠(BIM)도면과 실제 기성된 건축물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면,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축사단말기(30)로 설정된 기성금을 전송되는 단계(s80);
    건축물 시공이 완료되면, 시공관리자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완공된 건축물에 관한 완공비아이엠(BIM)도면을 입력저장하고, 건설관리서버(10)를 통해 저장된 완공비아이엠(BIM)도면을 토대로 준공금이 산출되어 저장되고,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시공사단말기(40)로 준공금이 전송되는 단계(s90);
    시공관리자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상기 완공된 건축물에 대한 시공데이터와 하자보증기간을 입력저장하는 단계(s100);
    하자 발생시, 시공관리자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부터 저장된 시공데이터를 제공받아 확인하고, 선정된 보수자가 하자보수를 완료하면 시공관리자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하자보수된 하자보수정보를 입력 저장하는 단계(s110);
    하자보증기간이 만료시, 시공관리자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유지데이터를 입력저장하고, 건축주가 건축주단말기(2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유지보수요청을 전송하면, 시공관리자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의 유지보수요청을 확인하고, 건축물이 유지보수된 후, 시공관리자가 시공사단말기(40)를 통해 건설관리서버(10)로 전송된 유지보수정보를 입력 저장하는 단계(s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74613A 2016-12-20 2016-12-20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 KR101760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613A KR101760260B1 (ko) 2016-12-20 2016-12-20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613A KR101760260B1 (ko) 2016-12-20 2016-12-20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260B1 true KR101760260B1 (ko) 2017-07-21

Family

ID=59462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613A KR101760260B1 (ko) 2016-12-20 2016-12-20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26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5326A (zh) * 2018-12-06 2019-04-12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正式变更管理方法、装置及系统
KR101987222B1 (ko) * 2017-10-12 2019-06-11 (주)태성에스엔아이 가상 건설 현장에서의 시뮬레이션 실행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1995885B1 (ko) * 2018-01-23 2019-10-01 한국도로공사 건축물 건설관리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 건설관리 통합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KR20200000549A (ko) 2018-06-25 2020-01-03 조기호 건축 중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13608B1 (ko) * 2022-11-24 2023-03-22 방재웅 건설공사의 품질 관리를 위한 스마트 검측 시스템
KR102522943B1 (ko) * 2022-12-26 2023-04-19 대한민국(조달청장) Wbs 데이터가 포함된 cbs 기반의 설계 내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가계산 및 입찰이 처리되는 시설공사 조달 관리 방법
KR102561303B1 (ko) 2023-02-21 2023-07-28 (주)원빔그룹 건축 설계 bim 데이터 및 시공 스케줄의 연동을 통한 공사 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01586B1 (ko) * 2022-11-07 2023-11-13 주식회사엔원종합건설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494680B2 (ja) 2020-09-25 2024-06-04 株式会社大林組 Bimモデルの管理方法、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222B1 (ko) * 2017-10-12 2019-06-11 (주)태성에스엔아이 가상 건설 현장에서의 시뮬레이션 실행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1995885B1 (ko) * 2018-01-23 2019-10-01 한국도로공사 건축물 건설관리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 건설관리 통합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KR20200000549A (ko) 2018-06-25 2020-01-03 조기호 건축 중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615326A (zh) * 2018-12-06 2019-04-12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正式变更管理方法、装置及系统
JP7494680B2 (ja) 2020-09-25 2024-06-04 株式会社大林組 Bimモデルの管理方法、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601586B1 (ko) * 2022-11-07 2023-11-13 주식회사엔원종합건설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13608B1 (ko) * 2022-11-24 2023-03-22 방재웅 건설공사의 품질 관리를 위한 스마트 검측 시스템
KR102522943B1 (ko) * 2022-12-26 2023-04-19 대한민국(조달청장) Wbs 데이터가 포함된 cbs 기반의 설계 내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가계산 및 입찰이 처리되는 시설공사 조달 관리 방법
KR102561303B1 (ko) 2023-02-21 2023-07-28 (주)원빔그룹 건축 설계 bim 데이터 및 시공 스케줄의 연동을 통한 공사 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260B1 (ko) 비아이엠(bim)기반 건설관리방법
Barbosa et al. Reinventing construction: A route of higher productivity
Shi et al.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for construction business management
Azambuja et al. Supply chain modeling: Issues and perspectives
Chelson The effects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on construction site productivity
Isatto et al. The role of commitments in the management of construction make-to-order supply chains
AU2020101652A4 (en) Building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
US11321791B1 (en) Comprehensiv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platform
JP2023524043A (ja) 大規模資本プロジェクトのモデル、コストおよびスケジュールのマッピングシステム
Lin et al. Offsite construction in the Australian low-rise residential buildings application levels and procurement options
Elfving Exploration of opportunities to reduce lead times for engineered-to-order products
Ottosson Practical project management for building and construction
KR101750100B1 (ko) 3차원건축정보 기반의 준공정산방법
Khan An overview of constructability: a management tool for architects
Pheng Project Management for the Built Environment
AU2020102657A4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and Construction Management and Resource Sharing
Nguyen Process-based cost modeling to support target value design
Sanchez et al. Benefits dictionary
Emdanat et al. The integrated project delivery (IPD) method
Mbachu et al. Productivity Improvement in Building Life Cycle
KR20020051894A (ko)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물 시뮬레이션 및 시공관리방법
Saeed Review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Software Packages Based on Assets Management
Forbes et al. Lean in design
JP2007328434A (ja) 出来高管理システム
Oyegoke et al. Managing construction risks and uncertainties: A management procurement and contracts perspec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