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020B1 - 차량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020B1
KR101760020B1 KR1020140125113A KR20140125113A KR101760020B1 KR 101760020 B1 KR101760020 B1 KR 101760020B1 KR 1020140125113 A KR1020140125113 A KR 1020140125113A KR 20140125113 A KR20140125113 A KR 20140125113A KR 101760020 B1 KR101760020 B1 KR 101760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unit
vehicle
license plat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4064A (ko
Inventor
박종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Priority to KR1020140125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02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4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6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illumination properties, e.g. using a reflectance or lighting mod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차량 번호 인식 장치에 있어서, 차량을 검지하기 위한 차량검지부, 차량검지부로부터 획득한 차량 검지 정보와 상기 차량 번호 인식 장치 주위의 조도에 따라, 촬영 조명을 선택하는 조명선택부,조명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조명에 따라 트리거(trigger)시간을 지연시켜 조명 동기 신호를 전달하는 동기화부, 동기화부로부터 획득한 조명 동기신호를 기반으로 조명을 동기화 시키고, 촬영 동기 신호를 전달하는 조명부 및 촬영 동기 신호에 따라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for Recognizing Car Numb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 조명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번호는 각 차량마다 식별을 위해 부여된 고유한 번호이다. 차량번호를 통해서 차량의 이름, 제작사, 배기량 등의 기본정보 확인이 가능하며, 주행 중 사고이력, 정비이력, 차량 등록 상태와 같은 차량 상태 정보의 확인도 가능하다.
최근에는, 주차장 등 특정장소에서 차량 출입 상태 및 출입 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들이 다수 소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는 여러 가지 인식 장치 및 기술들이 적용되는데, 이중 차량번호인식 기술은 도난차량 검색, 불법 주 정차 차량검색, 과속 차량검색, 신호 위반 차량 검색 등에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 차량번호 인식장치는 조도변화로 인한 환경변화에 조도조절 기계 대응이 빠르게 작동할 수가 없는 이유로 에러율(error rate)이 높은 실정이다.
또한, 차량 번호판에서 빛 반사가 심할 경우, 차량 번호판 촬영 이후, 번짐 등과 같은 현상으로 인해 차량 번호를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번호인식 장치는 야간에 차량용 조명이 켜져 번호판을 촬영할 수 없게 되고, 번호판 촬영을 위해 차량에 장착된 조명 이외의 다른 조명을 차량에 비추게 되면,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조명 및 차량 번호판의 반사 성질에 따라 조명 동기 신호, 촬영 동기 신호 및 조명 필터를 조정하여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장치는 차량을 검지하기 위한 차량검지부, 차량검지부로부터 획득한 차량 검지 정보와 차량 번호 인식 장치 주위의 조도에 따라, 촬영 조명을 선택하는 조명선택부, 조명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조명에 따라 트리거(trigger)시간을 지연시켜 조명 동기 신호를 전달하는 동기화부, 동기화부로부터 획득한 조명 동기신호를 기반으로 조명을 동기화 시키고, 촬영 동기 신호를 전달하는 조명부 및
촬영 동기 신호에 따라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한다.
조명부는 가시광 영역(400nm~700nm)의 조명을 조정하는 차량 조명부 및 가시광 영역을 제외한 파장의 조명을 조정하는 일반 조명부를 포함한다.
카메라부는 일반 조명부로부터 획득한 촬영 동기 신호에 의해 동기화 되어, 차량 번호판 또는 보행자를 포함하는 물체를 촬영하는 제 1카메라 및 차량 조명부로부터 획득한 촬영 동기 신호에 의해 동기화 되어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 2카메라를 포함한다.
차량 번호 인식 장치는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차량번호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처리부 및 추출된 번호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영상처리부는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차량 번호 영상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거나,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방법은 근접한 차량의 검지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근접한 차량의 검지 정보 및 주위의 조도에 따라, 근접한 차량을 촬영하는 조명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조명에 따라 트리거(trigger)시간을 지연시켜 조명 동기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조명 동기신호를 기반으로 조명을 동기화 시키고, 촬영 동기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촬영 동기 신호에 따라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명 동기 신호는 가시광 영역(400nm~700nm)의 조명을 조정하는 가시광 조명 동기 신호 및 적외선 영역(800nm~900nm)의 조명을 조정하는 적외선 조명 동기 신호를 포함한다.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단계는 적외선 조명에 의해 동기화 되어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거나, 적외선 조명을 제외한 다른 조명에 의해 동기화 되어 차량 번호판을 촬영한다.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단계는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차량번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번호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단계는 촬영된 차량 번호 영상 정보를 관제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주간, 야간, 기후 및 주변 조명으로 인한 조도 변화를 포함하는 환경 변화와 차량 번호판의 반사율을 고려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반사율이 높은 재질의 번호판을 설치한 차량에서도 차량 번호 인식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장치의 부가 구성을 추가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장치의 조명 동기 신호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장치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장치에 따른 인식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주간, 야간의 조도 변화, 기후 변화로 인한 촬영 환경 변화 및 차량 번호판의 반사율을 고려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번호 인식장치는 차량 검지부(100), 조도 감지부(200), 조명 선택부(300), 동기화부(400), 조명부(500) 및 카메라부(600)를 포함한다.
차량 검지부(100)는 기 설치된 센서 등으로부터 차량 존재 유무 정보인 차량 검지 정보를 획득하면, 획득한 차량 검지 정보를 조명 선택부(300)로 전달한다. 또한, 조도 감지부(200)는 주변의 기후, 조명, 주간, 야간 등에 따른 조도를 감지하여 조명 선택부(300)로 전달한다.
조명 선택부(300)는 조도 정보 및 차량 검지 정보를 획득하여, 검지한 차량의 번호판 촬영을 위한 조명을 선택한다. 예컨대, 조명 선택부(300)는 차량 검지 시, 700nm 대역의 가시광선 조명을 선택하고, 차량이 검지 되지 않을 경우, 800nm~900nm 대역의 적외선 조명을 선택한다. 선택된 조명 정보는 동기화부(400)로 전달된다.
동기화부(400)는 선택된 조명 정보에 따라, 가시광 조명 동기화 신호 또는 적외선 조명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부(500)로 전달한다.
조명부(500)는 전달받은 조명 동기화 신호를 기초로, 촬영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부(600)로 전달한다.
카메라부(600)는 촬영동기 신호에 따라, 차량 번호판 등을 촬영한다. 예컨대,
카메라부(600)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장치 인근에 차량이 검지된 경우, 가시광선 조명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고, 차량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 적외선 조명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 인식 장치 주변의 물체 등을 촬영한다.
또한, 카메라부(600)는 차량 번호 판 촬영 시, 차량 번호 판의 재질에 의한 반사율 때문에 백색 이미지 등이 촬영되어, 상기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 추출이 불가능할 경우, 촬영을 위한 조명을 다시 선택하는 신호를 조명 선택부(300)로 전달한다. 이후, 카메라부(600) 다시 선택된 조명을 통해 차량 번호판을 촬영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장치의 부가 구성을 추가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번호 인식 장치는 추가적으로, 영상 처리부(700) 및 디스플레이부(8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영상 처리부(700)는 카메라부(600)로부터 획득한 차량 번호판 이미지 에서 차량 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차량 번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800)로 전달하면, 디스플레이부(800)는 전달받은 차량 번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800)는 차량 번호 정보를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차량 번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영상 처리부(700)는 카메라부(600)에 의해 촬영된 차량 번호판 이미지에서 차량 번호를 추출하는 과정이 불가능할 경우, 카메라 변경 신호를 카메라부(600)로 전달하거나, 카메라의 셔터와 게인(gain)의 설정을 변경하는 신호를 카메라부(6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검지부(100)는 차량의 접근을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번호 인식을 위해, 차량이 지나갈 때, 루프 센서나 레이저 센서의 트리거 신호를 받아 일회 차량을 촬영한다. 이후, 차량검지부(100)는 촬영 결과를 통해 차량을 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시 조명의 발광시간은 1~2msec 이내로 매우 짧아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다. 차량검지부(100)에서 촬영 결과 및 기타 검지신호로 차량을 검지한 경우, 조명 선택부(300)에 의해 조명이 선택된다.
아울러, 조도 감지부(200)는 조도 센서 등으로, 주간, 야간, 기후변화 및 조명에 따른 조도 및 조도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조도 정보를 조명 선택부(300)로 전달한다.
조명 선택부(300)는 조도정보 및 차량 검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번호판 및 주위의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조명을 선택한다. 예컨대, 조명 선택부(300)는 차량을 검지한 경우, 차량 조명부(510)를 선택하고, 차량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 일반 조명부(530)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 정보는 동기화부(400)로 전달된다.
한편, 실시예에서 조명 선택부(300)는 차량 검지 여부에 관계없이, 조도를 고려하여 데이터 베이스(database)를 통해 차량 번호판 이미지 및 주변 물체 이미지를 보다 선명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을 선택 가능하다.
동기화부(400)는 조명 선택부(300)에 의해 선택된 조명을 기반으로 트리거(trigger) 시간을 지연시켜 일반조명 동기 신호와 차량 조명 동시 신호를 일반 조명부(530)와 차량 조명부(510)에 각각 송출한다.
이때, 차량 조명 동기 신호는 차량 검지 시,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기 위해 차량 조명부(510)를 동기화 시키기 위한 신호이고, 일반 조명 신호는 차량이 검지 되지 않은 경우, 보행자 등을 촬영하기 위한 일반 조명부(530)를 동기화 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동기화부(400)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검지 신호 발생시 셔터 게인 변경 지연 시간을 발생시켜, 지연된 차량 조명 동기 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촬영 후에 일반 조명 동기 신호를 다시 제공한다.
조명부(500)은 조명 동기 신호에 따라, 촬영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부(60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한 조명부(500)는, 차량 조명부(510) 및 일반 조명부(530)를 포함한다. 조명부(500)는 동기화부(400)로부터 차량 조명 동기 신호를 전달 받은 경우, 차량 조명부(510)으로 전달한다.
차량 조명부(510)는 차량 검지 시,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기 위한 조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적외선 파장대역의 조명을 제공하여,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게 한다. 적외선은 780nm 에서 1300nm까지의 파장 대역을 차지하는 빛으로서, 700nm 대역 조명은 차량번호 인식용으로 사용하며, 800nm 대역 조명은 사람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조명으로 사용하여 점등 시 정면에서 동작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다.
반면, 조명부(500)는 동기화부(400)로부터 일반 조명 동기 신호를 전달 받은 경우, 일반 조명부(530)으로 전달한다.
일반 조명부(530)는 차량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 보행자 등 차량 번호 인식 장치 주변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조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적외선 이외의 파장 대역의 조명을 제공하여, 촬영하게 한다.
특히, 일반 조명부(530)는 차량에 장착된 번호판의 재질에 따라, 적외선 조명으로 촬영 시, 조명 반사율에 의해 차량 번호의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어려운 경우, 차량 번호판 촬영을 위한 조명을 제공한다.
카메라부(600)는 촬영 동기 신호에 따라, 차량 번호판 및 차량 번호 인식 장치 주위의 물체를 촬영한다. 이를 위한 카메라부(600)는 제 1 카메라(610) 및 제 2 카메라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제 1 카메라(610)는 적외선 조명 등으로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등으로, 차량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 일반 조명부(530)에 의한 조명을 통해, 보행자 등을 촬영한다.
제 2카메라(630)는 가시광선 조명으로 촬영하는 가시광선 카메라 등으로서, 차량이 검지된 경우, 차량 조명부(510)에 의한 조명을 통해 검지된 차량의 번호판을 획득한다.
한편, 제 1 카메라(610)는 제 2 카메라에서 차량 번호판 촬영 시, 차량 번호판 재질에 따른 조명 반사율 때문에 차량 번호 이미지 획득이 불가능하거나, 획득된 이미지에서 차량 번호 추출 등이 불가능한 경우, 일반 조명부(530)의 조명을 통해, 차량 번호판을 촬영한다. 이때, 일반 조명부(530)의 조명은 차량 조명부(510)에서 제공하는 가시광선 파장대역의 조명을 제외한 파장대역의 조명을 제공한다. 예컨대, 차량 조명부(510)에서 가시광선 파장대역의 조명을 제공한다면, 일반 조명부(530)에서는 적외선 파장대역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600)는 차량 번호판 재질에 따른 조명 반사율에 따라, 조명 동기 신호 등을 조명 선택부(300)로 전달한다. 전달된 신호로 일반 조명부(530)를 구동시켜,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게 한다.
카메라부(600)는 조명 동기 신호를 조명선택부(300)에 전송하며, 조명 동작 후 획득된 카메라 영상 신호를 영상처리부(700)로 송출한다.
또한, 카메라부(600)는 영상처리부(700)에서 송출되는 셔터와 게인(gain)의 설정 변경 값을 획득하여 카메라 설정을 변경한다. 예컨대, 차량통과가 예상되는 경우, 조명선택부(300)는 700nm대역의 가시광 조명을 선택하여 번호인식이 가능하도록 변경하고, 영상처리부(700)는 카메라의 셔터와 Gain을 고속이동물체에 적절한 값으로 조정(예: 셔터 1/250~1/2000, Gain: Standard Gain)하게 된다.
차량을 촬영한 후, 조명선택부(300)는 다시 800~900nm대역의 적외선 조명을 선택하여 조명의 파장을 일반 촬영용으로 변경한다. 더불어, 영상처리부(700)는 카메라부의 셔터와 Gain을 보행자 이동속도에 적절한 값으로 조정(예: 셔터 1 ~ 1/30, Gain: High Gain)한다. 한편, 일부 카메라의 경우, 셔터, Gain 변경 시 일정시간의 지연시간을 요구함으로, 트리거 시간을 셔터와 Gain이 변경된 이후로 지연하게 되며, 트리거 지연 시 동영상 전송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영상을 반복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카메라부(600)는 촬영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부(700)로 전달한다.
영상 처리부(700)는 전달받은 영상 정보에서, 차량 번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차량 번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이미지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영상처리부(700)는 추출부(710) 및 네트워크부(730)을 포함한다.
추출부(710) 전달받은 차량 번호판 이미지에서 차량 번호를 추출한다. 예컨대, 추출부(710)는 이지미 내의 가로 및 세로에지 인식, 색 인식 등 일반적딘 이미지 처리과정을 통해, 차량 번호를 추출한다.
네트워크부(730)는 추출부(710)로부터 추출된 차량 번호 정보를 전달 받거나, 카메라부(600)로부터 차량 번호판 이미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전달받은 정보를 관제 서버 및 주위의 모바일 단말에 전송한다. 여기서, 관제 서버에는 도난 차량을 추적을 위한 경찰서 등의 공공기관 및 안전 관리 기관의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영상처리부(700)는 추출부(710)에서 획득한 차량 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 정보 추출이 불가능한 경우, 카메라 변경 신호를 카메라부(600)에 전달한다. 그러면, 카메라부(600)는 조명 동기신호를 조명 선택부(300)에 다시 전달하여, 다른 카메라로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차량 번호 정보 추출을 가능하게 한다.
디스플레이부(800)는 추출된 차량 번호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800)는 영상 신호 내에 차량 번호 정보를 포함시켜 디스플레이 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장치의 동작과 상응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장치에 따른 인식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10 단계에서는 차량 검지부(100)에서 근접한 차량을 검지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S20 단계에서는 조명 선택부(300)에서 차량 검지 여부 및 조도에 따라, 촬영 조명을 선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촬영조명은 가시광 조명 및 적외선 조명 등을 포함하고,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특정 조도조건에서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조명을 선택한다.
S30 단계에서는 선택된 조명에 따라, 동기화부(400)에서 조명 동기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조명 동기 신호는 차량 번호판 촬영을 위한 차량 조명부의 동기 신호 또는 일반 조명부의 동기 신호를 포함한다.
S40 단계에서는 조명부(500)에서, 전달받은 조명 동기 신호를 기초로 카메라부(600)로 촬영 동기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카메라부(600)는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를 포함하여, 조명 동기 신호에 의한 카메라로 촬영한다. 실시예에서는 제 2 카메라까지 도시 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S50 단계에서는 카메라부(600)에서 전달받은 촬영 동기 신호에 따라,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후, 차량 번호판 이미지에서, 차량 번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차량 번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인근의 관제 서버 및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 검지여부 및 차량 번호판의 반사율에 따라, 차량 번호판 촬영을 위한 조명 선택을 제어하고, 선택된 조명에 따라,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선택하게 한다. 이로써, 차량이 검지되지 않을 때는, 주변 물체를 촬영할 수 있고, 특히, 차량 번호판 재질에 따른 반사율로 인한 차량 번호의 오인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차량 번호 인식 장치에 있어서,
    차량을 검지하기 위한 차량 검지부;
    기후, 조명, 주간, 야간을 포함하는 환경에 의해 변화하는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
    상기 차량 검지부 및 조도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차량 검지 정보와 상기 차량 번호 인식 장치 주위의 조도 및 차량 번호판 재질에 따른 조명 반사율에 따라, 촬영 조명을 선택하는 조명 선택부;
    상기 조명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조명에 따라 트리거(trigger)시간을 지연시켜 조명 동기 신호를 전달하는 동기화부;
    상기 동기화부로부터 획득한 조명 동기신호를 기반으로 조명을 동기화 시키고, 촬영 동기 신호를 전달하는 조명부;
    상기 촬영 동기 신호에 따라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차량번호 정보를 추출하고 차량의 이동속도에 대응하는 셔터와 게인(gain)설정값을 획득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추출된 번호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차량 번호판 촬영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 번호 인식 여부를 판단하여 조도 및 차량 번호판 재질에 따른 반사율로 인해 차량 번호 인식 불가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조명 선택부로 인식 불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조명 선택부는 기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조도 및 반사율을 고려하여 차량 번호판 이미지 및 주변 물체 이미지를 인식 하게 하는 조명을 제공하고,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송출되는 셔터와 게인(gain) 설정 변경 값을 획득하여 카메라 설정을 차량 이동속도에 따라 변경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차량 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 정보 추출이 불가능한 경우, 카메라 변경 신호를 상기 카메라부에 전달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조명 동기신호를 조명 선택부에 다시 전달하여, 다른 카메라로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차량 번호 정보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 인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가시광 영역(400nm~700nm)의 조명을 조정하는 차량 조명부; 및
    상기 가시광 영역을 제외한 파장의 조명을 조정하는 일반 조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 인식 장치.
  3.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일반 조명부로부터 획득한 촬영 동기 신호에 의해 동기화 되어, 차량 번호판 또는 보행자를 포함하는 물체를 촬영하는 제 1카메라; 및
    차량 조명부로부터 획득한 촬영 동기 신호에 의해 동기화 되어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 2카메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 인식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차량 번호 영상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거나,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 인식 장치.
  6. 차량 번호 인식 방법에 있어서,
    (A)차량 검지부에서 근접한 차량의 검지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B)조도 감지부에서 기후, 조명, 주간, 야간을 포함하는 환경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
    (C)조명 선택부에서 상기 근접한 차량의 검지 정보, 주위의 조도 및 차량 번호판 재질에 따른 조명 반사율에 따라, 상기 근접한 차량을 촬영하는 조명을 선택하는 단계;
    (D)동기화부에서 상기 조명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조명에 따라 트리거(trigger) 시간을 지연시켜 조명 동기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E)조명부에서 상기 조명 동기신호를 기반으로 조명을 동기화 시키고, 촬영 동기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F)카메라부에서 상기 촬영 동기 신호에 따라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단계;
    (G)영상처리부에서 차량 번호판 촬영 영상을 처리하여 차량번호 정보를 추출하고 차량의 이동속도에 대응하는 셔터와 게인(gain)설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H)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추출된 번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F)카메라부에서 상기 촬영 동기 신호에 따라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단계; 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차량 번호판 촬영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 번호 인식 여부를 판단하여 조도 및 차량 번호판 재질에 따른 반사율로 인해 차량 번호 인식 불가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조명 선택부로 인식 불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근접한 차량을 촬영하는 조명을 선택하는 단계; 는
    기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조도 및 반사율을 고려하여 차량 번호판 이미지 및 주변 물체 이미지를 인식 하게 하는 조명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조명 선택부에서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송출되는 셔터와 게인(gain) 설정 변경 값을 획득하여 카메라 설정을 차량 이동속도에 따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G)영상처리부에서 차량 번호판 촬영 영상을 처리하여 차량번호 정보를 추출하고 차량의 이동속도에 대응하는 셔터와 게인(gain)설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차량 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 정보 추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및
    차량 번호 추출이 불가능한 경우, 카메라 변경 신호를 상기 카메라부에 전달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조명 동기신호를 조명 선택부에 다시 전달하여, 다른 카메라로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획득하고, 차량 번호 정보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 인식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동기 신호는
    가시광 영역(400nm~700nm)의 조명을 조정하는 가시광 조명 동기 신호 및 적외선 영역(800nm~900nm)의 조명을 조정하는 적외선 조명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 인식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단계는
    적외선 조명에 의해 동기화 되어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거나, 상기 적외선 조명을 제외한 다른 조명에 의해 동기화 되어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 인식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차량번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번호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 인식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차량 번호 영상 정보를 관제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 인식 방법.
KR1020140125113A 2014-09-19 2014-09-19 차량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101760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113A KR101760020B1 (ko) 2014-09-19 2014-09-19 차량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113A KR101760020B1 (ko) 2014-09-19 2014-09-19 차량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064A KR20160034064A (ko) 2016-03-29
KR101760020B1 true KR101760020B1 (ko) 2017-07-31

Family

ID=5566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113A KR101760020B1 (ko) 2014-09-19 2014-09-19 차량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0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426B1 (ko) * 2019-04-24 2019-07-15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카메라 신호제어 및 시간 스케쥴링을 통한 차량 번호판 식별 방법 및 시스템
KR102259287B1 (ko) 2020-01-16 2021-06-0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플랜트 기자재 인식 장치 및 방법
US11477358B2 (en) 2020-08-13 2022-10-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in-pen livestock by using edge information about livestock
KR20220162204A (ko) 2021-05-31 2022-12-08 아엠아이테크 주식회사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355B1 (ko) * 2019-01-17 2020-11-20 주식회사 엠제이비전테크 인공지능 기반 차량 검색 시스템
KR102155753B1 (ko) * 2020-02-28 2020-09-14 트라웍스(주) 양방향 통행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45576B1 (ko) * 2020-06-15 2021-04-29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조명제어를 통한 번호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2656266B1 (ko) * 2023-11-16 2024-04-09 주식회사 엘리소프트 야간에 반사방식과 비반사식 번호판을 촬영할 수 있는 cctv 시스템 및 그 영상촬영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247B1 (ko) * 2007-04-09 2008-09-18 (주)탑뉴테크날리지 차량단속 장치 및 그 방법
KR101291302B1 (ko) * 2013-03-28 2013-07-30 심광호 차량번호 인식용 다중 파장대역 조명이 구성된 카메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247B1 (ko) * 2007-04-09 2008-09-18 (주)탑뉴테크날리지 차량단속 장치 및 그 방법
KR101291302B1 (ko) * 2013-03-28 2013-07-30 심광호 차량번호 인식용 다중 파장대역 조명이 구성된 카메라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426B1 (ko) * 2019-04-24 2019-07-15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카메라 신호제어 및 시간 스케쥴링을 통한 차량 번호판 식별 방법 및 시스템
KR102259287B1 (ko) 2020-01-16 2021-06-0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플랜트 기자재 인식 장치 및 방법
US11477358B2 (en) 2020-08-13 2022-10-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in-pen livestock by using edge information about livestock
KR20220162204A (ko) 2021-05-31 2022-12-08 아엠아이테크 주식회사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064A (ko) 201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020B1 (ko) 차량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EP2448251B1 (en) Bundling night vision and other driver assistance systems (DAS) using near infra red (NIR) illumination and a rolling shutter
JP5846872B2 (ja) 画像処理装置
CN107316488B (zh) 信号灯的识别方法、装置和系统
KR20180131428A (ko) 차량 검사 보안 시스템에서 개선된 안면 검출 및 인식을 위한 장비,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7133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688695B1 (ko) 차량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25573B1 (ko) 차량 번호판 인식과 차량 하부 검색을 동시에 이용한 입출차 보안 시스템
KR100964025B1 (ko) 차량 하부영상을 이용한 입출차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를 위한 장치
KR101625538B1 (ko) 도시방범이 가능한 다차선 자동차 번호판 인식시스템
US10124799B2 (en) Vehicle safet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cameras
KR101798979B1 (ko) 스마트 횡단보도 신호등 시스템
US10465429B2 (en) Controller,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0234851A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492473B1 (ko) 사용자 기반 상황 인지형 씨씨티비 통합관제시스템
JP2015041323A (ja) 処理装置
KR10158822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에서의 홍채 데이터 등록 및 인증 장치와 그 방법
KR20140078088A (ko)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KR101291302B1 (ko) 차량번호 인식용 다중 파장대역 조명이 구성된 카메라 장치
KR101299104B1 (ko) 보행자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53605A (ko) 차량의 주변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53385B1 (ko) 태블릿pc를 활용한 이동형 불법 주정차 자동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89028B2 (en) Non-same camera base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18162030A (ja) 車両用表示装置
US20160321509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