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450B1 - Cylindrical sorter - Google Patents

Cylindrical so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450B1
KR101759450B1 KR1020160179185A KR20160179185A KR101759450B1 KR 101759450 B1 KR101759450 B1 KR 101759450B1 KR 1020160179185 A KR1020160179185 A KR 1020160179185A KR 20160179185 A KR20160179185 A KR 20160179185A KR 101759450 B1 KR101759450 B1 KR 101759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ing
crops
sorting
sorter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1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계훈
Original Assignee
노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계훈 filed Critical 노계훈
Priority to KR1020160179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4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4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늘 또는 밤 등의 작물을 선별하는 선별기에 복수개의 선별통을 적용하고, 상기 선별통에는 복수개의 간격봉을 형성하되, 상기 간격봉이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정렬됨으로써, 작물 선별의 정확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선별물품의 품질의 상승시키는 한편, 간격봉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량의 작물도 선별할 수 있도록 한 원통형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선별기는, 마늘 또는 밤 등의 작물을 선별하는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선별기는 회전축거치대가 구비된 메인프레임; 상기 회전축거치대에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작물을 선별하는 선별통조립체;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통조립체에 작물을 투입하는 투입부;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통조립체로부터 선별된 작물을 특정장소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되, 상기 선별통조립체는 복수개의 간격봉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선별통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복수개의 간격봉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lindrical sor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rter for sorting garlic or chestnuts by applying a plurality of sorters to a sorter, wherein a plurality of spacers are formed in the sor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lindrical sorter capable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sorting of crops, thereby increasing the quality of the sorted goods, and also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gaps to select a large number of crops.
To this end, the cylindrical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rting machine for sorting crops such as garlic, chestnuts, etc., wherein the sorter comprises a main frame having a rotating shaft rest; A rotating shaft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holder; A separator assembly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to sort crops; An input unit formed in the main frame for inputting crops into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And a guide portion formed in the main frame and guiding the selected crop from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to a specific place, wherein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creening tubes including a plurality of spacers, And the rods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Description

원통형 선별기{Cylindrical sorter}[0001] Cylindrical sorter [0002]

본 발명은 원통형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늘 또는 밤 등의 작물을 선별하는 선별기에 복수개의 선별통을 적용하고, 상기 선별통에는 복수개의 간격봉을 형성하되, 상기 간격봉이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정렬됨으로써, 작물 선별의 정확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선별물품의 품질의 상승시키는 한편, 간격봉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량의 작물도 선별할 수 있도록 한 원통형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lindrical sor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rter for sorting garlic or chestnuts by applying a plurality of sorters to a sorter, wherein a plurality of spacers are formed in the sor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lindrical sorter capable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sorting of crops, thereby increasing the quality of the sorted goods, and also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gaps to select a large number of crops.

일반적으로, 선별기는 사과, 배, 귤 등과 같은 과일이나 감자, 양파, 고구마, 마늘 등과 같은 구근류 등 각종 선별대상물을 크기별로 분류하기 위한 장치이다.Generally, the sorting device is a device for classifying various sorting objects such as fruit, potatoes such as apple, pear, and mandarin, etc., such as bulbs, such as onion, sweet potato,

예를들어, 마늘을 먹기 위해서는 통마늘에서 쪽을 분리함과 아울러 마늘의 껍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해야되고, 각 가정에서는 소량을 먹기 때문에 일일이 손으로 쪽 분리 및 껍질 제거 작업을 하게 된다.For example, in order to eat garlic,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garlic from the garlic while removing the side of the garlic, and in each household, the small amount of garlic is hand-picked and peeled.

물론, 상기한 마늘을 까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이미 껍질이 제거된 깐마늘을 구입하여 사용하게 되고, 상기한 마늘을 대량으로 손질하기 위해서는 수작업으로는 할 수 없고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Of course, since garlic is very inconvenient to work, most households have already purchased peeled garlic, which is already peeled off. In order to massively clean the above-described garlic, .

즉, 다량의 통마늘에서 쪽을 분리하고 마늘을 크기별로 선별함과 동시에 마늘의 껍질을 다량 연속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상기한 마늘을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해서는 마늘 선별기가 사용된다.That is, it is necessary to separate a large amount of garlic from each other, to sort garlic by size, and to remove a large amount of garlic shell continuously. In order to sort garlic by size, a garlic separator is used.

이에, 종래에는 저면에 토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한 호퍼에서 토출된 마늘을 일정 개수씩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한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송된 마늘이 크기별로 걸러지도록 병렬 설치된 다단 스크류로 구성된 선별기(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2546호 참조)를 사용하였다.Conventionally, a hopper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 conveyor belt installed to move the garlic discharged from the hopper by a predetermined number, and a multi-stage screw installed in parallel so that the garlic transferred from the conveyor belt is sorted by size A separator (se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62546) was used.

이러한, 종래 선별기는 다단 스크류의 각단의 폭이 서로 상이하도록 설정됨으로써, 상기한 스크류의 폭보다 작은 마늘만이 낙하되고 큰 마늘은 이송되어 다음 스크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In such a conventional sorter, the width of each end of the multistage screw is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only the garlic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crew drops, and the large garlic is transferred and moved to the next screw.

즉, 종래의 선별기는 작업자가 통마늘에서 분리된 쪽마늘을 호퍼에 충진시키게 되면, 호퍼에서 낙하되는 마늘이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이동하면서 첫 번째(가장 폭이 작은) 스크류에 떨어지게 되고, 스크류에 마늘이 낙하된 후 상기한 폭보다 큰 마늘은 계속 이동하게 되고, 상기한 폭보다 작은 마늘은 아래로 낙하하게 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sorting machine, when the worker fills the hopper with the side garlic separated from the whole garlic, the garlic falling from the hopper moves on the conveyor belt and falls on the first (smallest) screw, After falling, the garlic larger than the above-mentioned width continues to move, and the garlic smaller than the above-mentioned width falls downward.

이때, 상기한 다단 스크류의 저면에는 낙하된 마늘을 받을 수 있도록 다수의 저장통이 설치되어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reservoir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ulti-stage screw to receive dropped garlic.

따라서, 상기한 다단 스크류를 통해 마늘은 계속 이동되는 한편, 선별되어 마늘의 크기별로 저장통에 저장되는 것이다.Therefore, while the garlic continues to be moved through the multi-stage screw, it is sor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rlic.

또 다른 선별기로는, 서로 직경이 상이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한쌍의 원형프레임과 상기 원형프레임 내주면에 한쌍의 원형프레임 연결하도록 복수개의 간격봉이 형성된 선별기를 사용하였다.As another sorting machine, a pair of circular frames having diameter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having hollows therein were used, and a sorter having a plurality of spacers for connecting a pair of circular fram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ircular frame was used.

이러한, 선별기는 직경이 작은 원형프레임에 작물이 투입되고, 작물이 직경이 큰 원형프레임으로 이동되면서 크기순으로 선별된다.These sorting machines are sorted in order of size as the crops are put into a circular frame having a small diameter and the crops are moved to a circular frame having a large diameter.

보다 상세하게는, 직경이 작은 원형프레임에 근접하게 형성된 간격봉은, 그 간격봉 간의 사이가 좁게 형성되고, 상기 직경이 큰 원형프레임 측으로 이동할수록 상기 간격봉 간의 사이가 점차 넓어지는 형식이므로, 상기 직경이 작은 원형프레임에 투입된 작물은 직경이 큰 원형프레임으로 이동되면서 크기순으로 간격봉 간의 사이로 낙하되어 선별된다.More specifically, the spacing bars formed close to the circular frame having a small diameter are form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pacing rods is narrow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pacing rods is gradually widened as the diameter is moved toward the large circular frame. The crops put into the small circular frame are dropped into the interval rods in order of size while being moved to the circular frame having a large diameter.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선별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마늘이 스크류를 타고 계속 이동되면서 폭보다 작은 마늘은 낙하되고 그렇지 않은 마늘은 이동하게 되는 도중, 스크류의 폭보다 큰 마늘이 이동되다가 스크류의 사이에 끼게 되면 스크류 사이에 낀 마늘이 엄폐물이 되어 마늘의 순차적인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이로 인해, 마늘의 선별이 중지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eparator, as the garlic continues to move on the screw, the garlic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falls and the garlic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garnet is moved while being mov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garlic clogged between the screws becomes cover and the garlic is not sequentially moved, thereby discontinuing the selection of garlic.

또한, 상기한 스크류를 다단으로 길게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한 마늘 선별기의 설치 장소에 따른 공간 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crew must be installed in a long multi-sta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consumed by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arlic separator is large.

아울러, 또 다른 종래의 선별기는 선별된 작물간의 경계가 확실치 않아, 선별된 작물의 구별이 어렵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conventional sorting devic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iscriminate the selected crops because the boundaries between the selected crops are not certain.

즉, 작물의 선별에 있어서 정확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curacy of selection of crops is low.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84276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칭함)에 "마늘 선별기"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garlic sorting machine"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8427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선행문헌 1은 사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지지대와, 상기한 지지대에 베어링 하우징으로 설치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축과, 상기한 회전축에 동심축상으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됨과 아울러 소정 간격을 갖도록 다단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낙하공 크기가 외곽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다수의 선별통으로 이루어진 선별 롤러와, 상기한 선별 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구동수단과, 상기한 다수의 선별통에서 선별되어 낙하되는 마늘을 크기별로 나누어진 각각의 저장통으로 유도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와, 상기한 선별통에 마늘을 투입하도록 설치된 호퍼 및 투입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한다.In the prior art document 1, there is shown a support structure comprising a support frame made of a square frame, a rotation shaft installed as a bearing housing on the support frame, a rotation shaft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in a concentric manner,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shaft, A plurality of sorting rollers each having a plurality of sorting rollers each of which is gradually reduced in size toward the outer periphery thereof, drive means provided to rotate the sorting rollers, and garbage falling down from the plurality of sorting rollers, A plurality of guides installed to guide the tub into the hopper, and a hopper and an inlet for charging garlic into the screen.

이러한, 선행문헌 1은 마늘 선별기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3중 원통으로 형성된 선별 롤러를 사용하여 매우 컴팩트하게 마늘 선별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마늘 선별 효율 향상 및 설치 공간 축소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s prior art document 1 improves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garlic separator and constitutes a very compact garlic sorting apparatus using a sorting roller formed of a triple cylinder to improve garlic sorting efficiency and reduce installation space have.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1은 선별통이 동심축상에서 다단으로 형성됨으로써, 투입 및 선별될 수 있는 마늘의 수량이 적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1, since the screening tube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on the concentric ax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ntity of garlic to be injected and sorted is small.

또한, 상기 선별통에 형성된 낙하공을 통해 마늘이 낙하되어 선별됨으로써, 마늘이 선별되는 한편 낙하공에 끼게 될 경우 전체적인 마늘의 선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낙하공에 끼게 된 마늘의 외면에 손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arlic is dropped and sorted through the falling hole formed in the screening tube, when the garlic is sorted and inserted into the dropping hole, it not only hinders the selection of the whole garlic but also causes damag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arlic There is a problem.

또한, 상기 복수개의 선별통에 의해 마늘이 여러차례로 낙하되어 마늘이 손상(멍)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garlic is dropped several times by the plurality of screening tubes, and garlic is damaged (bruises).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84274호Prior Art 1: Registration of Practical New Korean Patent No. 20-028427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원통형 선별기는 다량의 작물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물의 선별과정 중 작물에 손상(상처, 멍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마늘의 선별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ylindrical sorter capable of sorting a large amount of crops and preventing damages (scratches, bruises, etc.) And an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sorting accuracy of garlic.

또한, 작물을 선별하는 과정 및 장치에 있어서, 작물을 선별하는 한편, 작물의 끼임 또는 작물의 파손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and a device for sorting crops and preventing the crops from being pinched or damag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선별기는, 마늘 또는 밤 등의 작물을 선별하는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선별기는 회전축거치대가 구비된 메인프레임; 상기 회전축거치대에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작물을 선별하는 선별통조립체;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통조립체에 작물을 투입하는 투입부;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통조립체로부터 선별된 작물을 특정장소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되, 상기 선별통조립체는 복수개의 간격봉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선별통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복수개의 간격봉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rter for sorting crops such as garlic, chestnuts, and the like, the sorter comprising: a main frame having a rotating shaft rest; A rotating shaft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holder; A separator assembly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to sort crops; An input unit formed in the main frame for inputting crops into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And a guide portion formed in the main frame and guiding the selected crop from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to a specific place, wherein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creening tubes including a plurality of spacers, And the rods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선별통은 한쌍의 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링프레임 간에는 상기 복수개의 간격봉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간격봉 간의 간격은 선별통 마다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creening box includes a pair of ring frames, and the plurality of spacing rod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ring frames, and the intervals between the spacing rod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ach screening chamber.

또한, 상기 간격봉은 상기 링프레임의 내경보다 내측으로 더 노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acer may be further exposed to the inner side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frame.

또한, 상기 복수개의 선별통 중에 상기 투입부로부터 작물이 투입되는 선별통의 간격봉의 길이는 다른 선별통의 간격봉보다 그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length of the spacing bar of the screening trough into which the crop is fed from the feeding portion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interval rods of the other screening troughs in the plurality of screening troughs.

또한, 상기 투입부로부터 작물이 투입되는 선별통의 링프레임에는 낙오방지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all-preventing plate is further formed on the ring frame of the screening cylinder into which the crop is injected from the loading unit.

또한, 상기 투입부는 그 단부가 상기 선별통 내부로 삽입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n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creening container.

또한, 상기 선별통조립체에는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통조립체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가 더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 중 상기 투입부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지지대는 상기 투입부로부터 투입된 작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그 몸체가 상기 투입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s formed on the rotary shaft and supporting the separator assembly are formed in the separator assembly, and a support, which is formed adjacent to the introducer,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And the body is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harging unit.

또한, 상기 선별통조립체는 상기 투입부로부터 작물을 투입받는 선별통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기울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a slope is formed so that the screening cylinder receiving the crop from the loading unit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원통형 선별기는,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간격봉을 포함함으로써, 작물을 선별할 때, 작물 선별의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The cylindrical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sorting the crops when sorting the crops by including the spacers form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또한,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간격봉은 선별통 마다 그 간격봉 간의 간격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됨으로써, 선별통 별로 다른 크기의 작물을 선별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pacing bars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re formed so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spacing bar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ach sorting barrel, thereby sorting crops having different sizes for each sorting barrel.

또한, 상기 간격봉은 선별통의 링프레임의 내경보다 내측으로 더 노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작물이 이송되는 도중 선별통 간의 경계면에서 상기 링프레임에 방해받지 않고 이송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pacing bar is formed so as to be more exposed to the inner side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frame of the screening contain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rop is conveyed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ring fram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creening containers.

또한, 투입부로부터 작물이 투입되는 선별통의 간격봉의 길이는 다른 선별통의 간격봉보다 그 길이를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다량의 작물이 투입되어도 선별되지 않고 다음 선별통으로 넘어가는 작물이 발생하지 않고, 선별함과 동시에 다량의 작물을 넓게 퍼트리므로 선별작업의 효율성도 높이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length of the spacing bar of the screening trough into which the crop is introduced from the dispensing portion is set longer than the interval rods of the other screening troughs, even if a large amount of crops are introduced, no crops are passed through to the next screening container ,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orting work by sorting out a large amount of crops at the same time.

또한, 투입부로부터 작물이 투입되는 선별통의 링프레임에는 낙오방지판이 더 형성됨으로써, 다량의 작물이 투입될 때, 선행한 작물에 막혀 후방에 작물이 선별통 외부로 낙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fall-prevent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in the ring frame of the screening cylinder into which the crop is injected from the inputting section, whereby when the large amount of crops is introduce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rops from falling behind the screening tube have.

또한, 투입부의 단부가 선별통 내부에 삽입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선별통에 작물을 투입할 때, 작물이 낙오되지 않고 상기 선별통 내부로 확실하게 투입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nd of the feed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serted in the inside of the screening container, there is an effect that when the crop is put into the screening container, the crop is surely put into the screening container without falling.

또한, 선별통조립체는 상기 투입부로부터 작물을 투입받는 선별통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기울기가 형성됨으로써, 투입된 작물이 자중에 의해 이동되므로, 투입된 작물이 보다 원활하게 이송되며 선별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has a slope such that the screening tube receiving the crop from the inputting unit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introduced crop is moved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introduced crop can be smoothly transported and sorted.

도 1은 본 발명에 원통형 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원통형 선별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메인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회전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선별통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선별통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선별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선별통조립체를 나타낸 상세도
도 9는 도 7의 선별통을 나타낸 상세도
도 10은 도 2의 가이드라인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원통형 선별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도 2의 투입부를 나타낸 모식도
도 13은 도 2의 유도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유도부를 나타낸 모식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ylindric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ylindrical separator of Fig.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frame of Figure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tation axis of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or assembly of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or assembly of FIG.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creening container of Fig.
FIG. 8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sorting container assembly of FIG.
Fig. 9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screening container of Fig. 7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uideline of Fig.
Fig. 11 is a side view of the cylindrical separator of Fig. 1
Fig.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harging unit of Fig. 2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uide portion of Fig.
Fig. 1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guide portion of Fig.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general term that is widely used at present. However, in some cases, there is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this cas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eaning.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하좌우, 우측, 좌측, 저면 등 방향과 관련된 표현은 모두 제시한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음을 밝혀둔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xpressions related to the directions of up and down, left and right, right, left, and bottom are all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선별기는 다량의 작물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물의 선별과정 중 작물에 손상(상처, 멍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마늘의 선별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The cylindrical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electing a large amount of crops and preventing damages (scratches, bruises, etc.) to the crops during the sorting process of the crops and enhancing the sorting accuracy of garlic.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원통형 선별기(1)는 상기 선별기는 회전축거치대(11)가 구비된 메인프레임(10); 상기 회전축거치대(11)에 형성되는 회전축(20); 상기 회전축(20)에 형성되어 작물을 선별하는 선별통조립체(30); 상기 메인프레임(10)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통조립체(30)에 작물을 투입하는 투입부(40); 상기 메인프레임(10)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통조립체(30)로부터 선별된 작물을 특정장소로 유도하는 유도부(5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cylindrical sor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frame (10) having a rotation axis rest (11); A rotary shaft 20 formed on the rotary shaft holder 11; A separator assembly (30) formed on the rotary shaft (20) to sort crops; An input unit 40 formed on the main frame 10 to input a crop into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30; And an induction part 50 formed on the main frame 10 to guide the selected crop from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30 to a specific place.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상기 회전축(20), 선별통조립체(30), 투입부(40), 유도부(50)가 형성되기 위한 구성이다.The main frame 10 is configured to form the rotation shaft 20, the screen container assembly 30, the charging unit 40, and the guide unit 50.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은,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수평프레임(13) 및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5)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 간에 또는 수평프레임 간에 보강프레임(17)을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3, the main frame 10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3 and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15, and a reinforcing frame 17 is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frames or between the horizontal frames.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0) 상측에는 상기 회전축(20)이 거치되는 회전축거치대(11)가 대치되는 형태의 한쌍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축(20)이 상기 한쌍의 회전축거치대(11)에 양측이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frame 10 is formed with a pair of opposed upper and lower rotatable shafts 11 on which the rotary shafts 20 are mounted, so that the rotary shafts 20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pair of rotary shafts 11, And can be coupled to the main frame.

아울러, 상기 회전축거치대(11)는 상기 메인프레임(10)에 형성되는 프레임고정부(111) 및 하기할 회전축의 축대가 결합되는 축대고정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고정부 및 축대고정부 간에는 베어링(115)이 형성되어 축대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상기 회전축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된다.The rotation axis holder 11 includes a frame fixing part 111 formed on the main frame 10 and a shaft fixing part 113 to which a shaft of a rotation axis is coupled, A bearing (115)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in frames so that the rotation axis is fixed to the main frame in a stable state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main frame.

상기 회전축(20)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거치된 상태에서 동력장치(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선별통조립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이다.The rotating shaft 20 receives power from a power unit (not shown) while being mounted on the main frame, and rotates the separator assembly.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축(20)은, 도 4를 참조하면, 축대(21), 상기 축대 단부에 형성되어 동력장치(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송신장치(23)를 포함한다.4, the rotary shaft 20 includes a shaft 21, and a power transmission device 23 formed on the shaft end and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unit (not shown).

이때, 상기 축대(21)는 다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축(20)에 형성되는 선별통조립체(30)에 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At this time, the stem 21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thereby effectively transmitting power to the separator assembly 30 formed on the rotary shaft 20. [

아울러, 동력장치(미도시)에는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송신장치(23)는 동력전달장치(미도시)인 체인 또는 벨트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기어 또는 풀리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motor or the like may be used for the power unit (not shown),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3 may be formed of a gear or a pulley so as to receive power from a chain or belt, which is a power transmission device have.

상기 선별통조립체(30)는 상기 회전축(2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한편, 그 내부로 투입된 작물을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30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rotating shaft 20, and is adapted to sort the crops injected into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into sizes.

이를 위하여, 상기 선별통조립체(30)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간격봉(31)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선별통(33) 및 상기 선별통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통과 회전축에 결합되는 지지대(35)를 포함한다.5 to 9,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30 includes a plurality of screening tubes 33 including a plurality of spacers 31 and a plurality of screening tubes 33 formed inside the screening tube, (Not shown).

이때, 상기 선별통(33)은 한쌍의 링프레임(331)을 포함하고, 상기 링프레임 간에는 상기 복수개의 간격봉(31)이 원을 그리며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복수개의 간격봉(31)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간격봉(31) 간의 간격(t)은 간격 중 어느 부분을 측정해도 동일하게 나오고, 이러한 간격(t)을 통해 선별하는 작물 또한 상기 간격(t)보다 작은 작물만 일관적으로 선별된다.At this time, the screening tube 33 includes a pair of ring frames 331, the plurality of spacers 3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 circle between the ring frames, and the plurality of spacers 31 The distance t between the spacing rods 31 is the same regardless of which part of the interval is measured and the crop selected through the interval t is also smaller than the interval t, Are selected consistently.

또한, 상기 간격봉 간의 간격(t)은 선별통 마다 서로 상이하게 형성됨으로써, 작물을 크기별로 순차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terval t between the spacers is different for each sorting bin, the crops can be sequentially sorted by size.

예를 들어, 상기 선별통조립체(30)는, 도 6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선별통(33-1,33-2,33-3,33-4)으로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40)를 통해 작물이 상기 제1 선별통(33-1)으로 투입될 때, 상기 제1 내지 제4 선별통(33-1,33-2,33-3,33-4)의 각각의 간격봉 간의 간격(t)은 상기 제1 선별통의 간격봉 간의 간격(t1)이 가장 작게 형성되고, 그 다음으로 크기순으로 제2 선별통의 간격봉 간의 간격(t2), 제3 선별통의 간격봉 간의 간격(t3), 제4 선별통의 간격봉 간의 간격(t4)이 형성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30 is formed of first to fourth screening tubes 33-1, 33-2, 33-3, and 33-4, (33-1, 33-2, 33-3, 33-4) when the crop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creening tank (33-1) through the first screening tank (40) The interval (t) between the spacers is formed such that the interval t1 between the spacers of the first screen is the smallest, the interval t2 between the spacers of the second screener in the order of size, (T3) between the spacing rods of the fourth screening container, and the interval t4 between the spacing rods of the fourth screening container are formed.

이러한, 상기 선별통조립체(30)는 상기 제1 선별통(33-1)에서 소(小)사이즈의 작물을 선별하고, 이어서 상기 제2 선별통(33-2)에서 중소(中小)사이즈의 작물을 선별, 상기 제3 선별통(33-3)에서 중대(中大)사이즈 작물을 선별, 상기 제4 선별통(33-4)에서 대(大)사이즈 작물을 선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30 selects small sized crops in the first screening tank 33-1 and then selects small and medium sized crops in the second screening tank 33-2. Size crops can be selected in the third screening container 33-3 and large-size crops can be selected in the fourth screening container 33-4.

이때, 상기 투입부로부터 작물이 투입되는 선별통(33), 예시로 설명하자면 제1 선별통(33-1)의 간격봉의 길이(L1)는 다른 선별통(33-2,33-3,33-4)의 간격봉의 길이(L2,L3,L4)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다량의 작물이 투입되어도 전체적으로 작물을 선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물량으로 인한 밀림현상을 통해 선별되지 않고 다른 선별통으로 넘어가는 작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ength L1 of the interval bar of the first screening tube 33-1, which is illustratively the length of the screening tube 33 into which the crop is injected, 4, the crops can be selected as a whole even if a large amount of crops are introduced, and the crops can be selected as a whole due to the water quantity, The occurrence of crops can be prevented.

또한, 다량의 작물을 길이가 긴 간격봉을 통해 제1 선별통(33-1) 내부에 넓게 퍼트림으로써, 순차적으로 다음의 제2 선별통(33-2)으로 이송할 수 있고, 이를통해 작물의 선별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Further, by spreading a large amount of crops widely inside the first screening tube 33-1 through the long spacing rod, it can b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next second screening tube 33-2, The efficiency of sorting of crops can be improved.

아울러, 상기 투입부로부터 작물이 투입되는 선별통(33), 예시로 설명하자면 제1 선별통(33-1)의 링프레임(331)에는 낙오방지판(333)이 더 형성됨으로써, 투입된 작물이 선별통 외부로 낙오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a drop prevention plate 333 is further formed in the screening box 33 into which the crop is introduced from the input unit, for example, the ring frame 331 of the first screening tank 33-1, Prevent falling out of the screening tub.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선별통(33-1)에는 낙오방지판(333)이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에 다량의 작물(C)이 투입될 때, 선행한 작물에 막혀 후방에 작물이 제2 선별통(33-2)으로 전진하지 못하고 반대로 밀림현상을 통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제1 선별통(33-1) 외부로 낙오되는 것을 낙오방지판(333)으로 작물을 막아 작물의 낙오를 방지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creen 33-1 is formed with the fall-back prevention plate 333, so that when a large amount of crops C are introduced into the first screen, the preceding crop is clogged, 2 can not advance to the screening tank 33-2 but is moved rearwardly through a jumping phenomenon to fall outside the first screening tank 33-1. The fallowing prevention plate 333 prevents crops from falling do.

더불어, 상기 간격봉(31)은 상기 링프레임(331)의 내경(Φ)보다 내측으로 더 노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간격봉(31) 상에서 작물이 이송되는 도중 선별통 간의 경계면에서 작물이 상기 링프레임에 방해받지 않고 이송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terval rods 31 are formed so as to be further exposed inward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frame 331, the crops are transported on the interval rods 31, It can be transported unimpeded to the fram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간격봉(31)은 상기 링프레임(331)의 내경(Φ)보다 내측으로 더 노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간격봉(31) 상에서 이송되는 작물은 상기 링프레임(331)과 접촉되지 않고 상기 간격봉(31) 상에서 다음 선별통의 간격봉 상으로 바로 이송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작물이 링프레임(331)에 접촉됨으로써 발생하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terval rods 31 are formed so as to be exposed further inward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frame 331, so that the crops to be conveyed on the interval rods 31 are separated from the ring frame 33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caused by the contact of the crop with the ring frame 331 since it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interval bar of the next screening container on the interval bar 31 without being contacted.

그리고, 상기 간격봉은 원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외면의 곡면을 통해 간격봉 간의 간격에 작물이 끼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작물의 선별과정중 작물과 간격봉 간의 접촉으로 인한 작물의 파손을 방지한다.In addition, since the spacing bar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crops are prevented from being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spacing rods through the curved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and the damage of the crop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crop and the spacing rod during the sorting process of the crops is prevented.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선별통은 볼트같은 고정장치를 통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고정장치를 고정 및 해제하는 것을 통해 자유롭게 결합되었다가 분해되었다가 할 수 있으므로, 선별하기 위한 작물에 맞춰 다양하게 선별통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orting cans can be freely combined and disassembled through fixing and releasing the fixing device by being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fixing device such as a bolt, so that various sorting container assemblies .

상기 지지대(35)는 상기 선별통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통과 회전축을 연결하는 한편, 상기 회전축의 동력을 상기 선별통에 전달하여 상기 선별통이 상기 회전축과 동일회전되게 한다.The supporter 35 is formed inside the screening tube to connect the screening rotary shaft and transmit the power of the rotary shaft to the screening container so that the screening container is rotated with the rotation shaft.

이때, 상기 지지대(35)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상기 선별통 조립체의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support posts (35) can be formed, and basically one each of the support posts (35)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parator assembly.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35) 중 상기 투입부가 삽입되는 선별통에 결합되는 지지대(35-1)는 상기 투입부로 부터 투입되는 작물이 선별통 내부로 투입되는데에 방해되지 않도록 그 몸체가 선별통 내측으로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support 35-1 coupled to the sorting receptacle into which the input unit is inserted is provided with a support body 35-1 for supporting the body of the sorting receptacle 35 so that the crop input from the introduction unit is not interfered with into the inside of the sorting receptacle. Respectively.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대(35-1)에는 다단부(35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대(35-1)의 단부가 상기 낙오방지판(333)에 결합되는 한편, 그 몸체는 상기 낙오방지판에서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투입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로부터 투입되는 작물이 상기 선별통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base 35-1 is provided with a multi-end portion 351 so that an end of the support base 35-1 is coupled to the fall-away prevention plate 333, And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lat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troducing portion, so that the crop input from the introducing portion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creening container.

한편, 상기 선별통조립체(30) 내부에는 가이드라인(60)이 더 형성됨으로써, 작물의 이송효율을 높일 수 있다.Meanwhile, a guide line (60) is further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30), so that the feeding efficiency of the crop can be increase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별통조립체(30) 내부에는 가이드라인(60)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라인(60)은 상기 선별통조립체(30)에 고정된 상태로 동일하게 회전된다.More specifically, a guide line 60 is further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eparator assembly 30, and the guide line 60 is similarly rotated while being fixed to the separator assembly 30.

이때, 상기 가이드라인(60)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선별통조립체(30) 내주면을 따라 나사선 형태로 형성되고, 작물은 상기 나사선에 의해 등속도로 이송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guide line 60 is formed into a thread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30, and the crop is transported at the constant speed by the screw thread.

아울러, 상기 선별통조립체(30)는,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투입부로부터 작물을 투입받는 선별통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기울기(α)가 형성됨으로써, 작물이 이송이 원활하게 진행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1, in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30, a slope? Is formed so that the screening cylinder receiving the crop from the loading unit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feeding of the crop smoothly proceeds.

예시로 설명하자면, 상기 선별통조립체(30)는 상기 제1 선별통(33-1)이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4 선별통(33-4)이 하측에 위치하도록 기울기(α)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선별통(33-1)에 투입된 작물은 자중에 의해 하측에 위치한 제4 선별통(33-4) 측으로 이동된다.Illustratively,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30 is formed with a slope? Such that the first screening tube 33-1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ourth screening tube 33-4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 The crop inserted into the first screening tube 33-1 is moved to the fourth screening cylinder 33-4 located on the lower side by its own weight.

상기 투입부(40)는 상기 선별통조립체(30) 내부에 작물을 용이하게 투입시키기 위한 장치이다.The feeding portion 40 is a device for easily feeding a crop into the inside of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30. [

이를 위하여, 상기 투입부(40)는, 도 12를 참조하면, 반원기둥 형태의 틀로 형성된다.For this purpose, referring to FIG. 12, the charging unit 40 is formed as a semi-cylindrical mold.

이때, 상기 투입부(40)에는 구배가 형성되고, 기울기가 형성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작물을 상기 선별통조립체(30) 내부에 투입할 수 있다.At this time, a gradient is formed in the introducing part 40, and a slope is formed, so that the crop can be inserted into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30 more easily.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투입부(40)는 일단의 직경이 타단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직경이 작은 단부(41)가 하측에 위치되도록 기울기(β)가 형성됨으로써, 작물을 투입할 때는 직경이 큰 단부(43)를 통해 다량의 작물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고, 상기 투입부에 투입된 작물은 기울기(β)에 의해 자중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된 후, 직경이 작은 단부를 통해 상기 선별통조립체(30) 내부에 투입된다.More specifically, the feeding portion 40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of one end thereof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and the inclination beta is formed such that the end portion 41 having a small diameter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A large amount of crops can be easily introduced through the large end portion 43 and the crop introduced into the input portion is moved downward according to its own weight by the inclination beta, And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assembly 30.

여기서, 상기 투입부(40)는 그 단부가 상기 선별통 내부로 삽입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선별통에 작물을 투입할 때, 작물이 낙오되지 않고 상기 선별통 내부로 확실하게 투입된다.In this case, since the end of the introducing part 40 is inserted into the screening tube, when the crop is put into the screening tube, the crop is surely put into the screening tube without falling down.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투입부의 직경이 작은 단부가 상기 선별통 내부로 삽입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선별통에 작물을 투입할 때, 작물이 낙오되지 않고 상기 선별통 내부로 확실하게 투입된다.More specifically, an end portion of a small diameter of the introduc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screening container, so that when the crop is put into the screening container, the crop is surely put into the screening container without dropping.

상기 유도부(50)는 상기 선별통조립체를 통해 각 크기별로 선별된 작물이 특정장소에 집적될 수 있도록 특정장소로 유도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induction unit 50 is a device for guiding crops sorted by each size through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to a specific place so that they can be integrated in a specific place.

이를 위하여, 상기 유도부(50)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선별통조립체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는 유도판(51), 상기 유도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유도판 상으로 낙하된 작물이 뒤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유도경계판(53)을 포함한다.13 and 14, the induction unit 50 includes an induction plate 51 formed on the main frame to be positioned below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a guide plate 51 formed on the induction plate, And an induction partition plate (53) for preventing the crops falling into the soil.

이때, 상기 유도경계판(53)은 상기 선별통의 개수만큼 상기 유도판(51) 상에At this time, the inductive partition plate (53) is arranged on the guide plate (51)

구획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유도경계판 간의 간격은 상기 복수개의 선별통의 간격봉의 길이에 상응하게 형성된다.And a distance between the guide plates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pacers of the plurality of screening tubes.

예시로 설명하자면, 상기 유도경계판(53)은 상기 제1 내지 제4 선별통으로 각각 선별된 작물을 각각의 구획에 낙하되도록 하기위해 5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유도경계판 간의 간격은 상기 제1 내지 제4 선별통의 각각의 간격봉 길이(L1,L2,L3,L4)에 상응하는 간격(L1',L2',L3',L4')로 형성된다.For example, the induction boundary plate 53 may be formed in five to drop the crop selected by the first to fourth sorting cylinders into each compartment,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induction boundary plates is L2 ', L3', L4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rod lengths (L1, L2, L3, L4) of the first to fourth screening tubes.

또한, 상기 유도경계판(53)은 상기 선별통조립체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상기 선별통조립체의 외면과 상응하는 형태의 라운드부(531)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duction partition plate 53 is formed with a round portion 531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so as to be formed adjacent to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아울러, 상기 유도판(51)은 상기 유도판(51) 상으로 낙하된 선별된 작물이 자중에 의해 특정장소로 이동될 수 있도록 기울기(γ)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duction plate 51 is formed with a slope γ so that the selected crop dropped onto the induction plate 51 can be moved to a specific place by its own weight.

이상으로 상기와 같은 원통형 선별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ylindrical separator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는 선별하기 위한 작물을 정하고, 그 작물의 선별기준을 정한 후에 그 기준에 상응하는 선별통을 선택하여 상기 선별통조립체를 조립한다.First, a user selects a crop to be sorted, determines a selection criterion for the crop, and then selects a sorting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criterion to assemble the separating container assembly.

이때, 상기 유도부는 상기 선별통조립체에 포함된 선별통의 개수에 상응하는 유도경계판이 형성되어야 하고, 상기 유도부를 통해 작물이 유도되는 특정구역에는 작물이 집적되어 보관 및 이동될 수 있는 물품(박스 등)을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guide portion should be formed with an induction partition plat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screening containers included in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and an article (box Etc.).

그 후, 선별준비가 완료된 사용자는 별도의 구동장치(미도시)와 상기 회전축의 동력송신장치를 동력전달장치(미도시)를 통해 연결한 후 상기 선별통조립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작동시킨다.Then, the user who is ready for sorting connects the separate drive device (not shown) and the power transmitting device of the rotating shaft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not shown) .

그리고, 사용자는 선별하기 위한 작물(밤,마늘,은행,토마토 등)을 상기 투입부를 통해 상기 선별통조립체에 투입한다.Then, the user inserts crops (chestnuts, garlic, bank, tomatoes, etc.) for screening into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through the inlet.

이 후에는 상기 가이드라인 및 선별통조립체의 기울기(α)에 의해 작물은 자동으로 이동 및 선별되고, 사용자는 작물의 투입 및 선별된 작물을 관리하면 된다.Thereafter, the crops are automatically moved and sorted by the slope (alpha) of the guide line and the screening assembly, and the user can manage the input of the crops and the selected crop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cover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echnical scop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y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원통형 선별기
10 : 메인프레임 11 : 회전축거치대
13 : 수평프레임 15 : 수직프레임
17 : 보강프레임 20 : 회전축
21 : 축대 23 : 동력송신장치
30 : 선별통조립체 31 : 간격봉
33 : 선별통 35 : 지지대
40 : 투입부 41 : 직경이 작은 단부
43 : 직경이 큰 단부 50 : 유도부
51 : 유도판 53 : 유도경계판
α : 선별통조립체의 기울기 β : 투입부의 기울기
γ : 유도부의 기울기 t : 간격봉 간의 간격
L : 간격봉의 길이 Φ : 링프레임의 내경
1: Cylinder sorting machine
10: main frame 11: rotating shaft holder
13: Horizontal frame 15: Vertical frame
17: reinforcing frame 20: rotating shaft
21: Axis 23: Power transmission device
30: separator assembly 31:
33: screening box 35: support
40: input part 41: small diameter end
43: large-diameter end portion 50: guide portion
51: guide plate 53: guide plate
α: Slope of the separator assembly β: Slope of the inlet
γ: Slope of the guiding portion t: Spacing between spacers
L: length of the spacer rod Φ: inner diameter of the ring frame

Claims (8)

작물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선별기는 회전축거치대가 구비된 메인프레임; 상기 회전축거치대에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작물을 선별하는 선별통조립체;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통조립체에 작물을 투입하는 투입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통조립체로부터 선별된 작물을 특정장소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통조립체는 복수개의 간격봉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선별통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복수개의 간격봉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투입부는 그 단부가 상기 선별통 내부로 삽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로부터 작물이 투입되는 선별통의 링프레임에는 낙오방지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선별통조립체에는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통조립체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가 더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 중 상기 투입부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지지대에는 다단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대의 단부가 상기 낙오방지판에 결합되는 한편, 그 몸체는 상기 낙오방지판에서 이격되게 형성되어 선별통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선별기.
A sorter for sorting crops by size,
The sorter includes a main frame having a rotating shaft rest; A rotating shaft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holder; A separator assembly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to sort crops; An input unit formed in the main frame for inputting crops into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And an inducing unit formed on the main frame to guide the selected crop from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to a specific place,
The sorter assembly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orting troughs including a plurality of spacers, wherein the plurality of spacers are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herein the introducing part is formed such that an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creening container,
A throw-away prevention plate is further formed on the ring frame of the screening cylinder into which the crop is injected from the input portion,
The separator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s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to support the separator assembly,
And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close to the introduction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end portions so that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is coupled to the fall-away prevention plate, and the body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all- Is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통은 한쌍의 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링프레임 간에는 상기 복수개의 간격봉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간격봉 간의 간격은 선별통 마다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선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creening box includes a pair of ring frames,
Wherein the plurality of spacing rod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ring frames,
And the intervals between the spac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each sorting cylind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간격봉은 상기 링프레임의 내경보다 내측으로 더 노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선별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pacing bar is formed so as to be exposed more inward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ring fram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선별통 중에 상기 투입부로부터 작물이 투입되는 선별통의 간격봉의 길이는 다른 선별통의 간격봉보다 그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선별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ength of the spacing bars of the screening trough into which the crops are fed from the dispensing portion is greater than the spacing bars of the other screening trough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통조립체는 상기 투입부로부터 작물을 투입받는 선별통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기울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선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ening container assembly is formed with a slope so that the screening cylinder receiving the crop from the loading unit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KR1020160179185A 2016-12-26 2016-12-26 Cylindrical sorter KR1017594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185A KR101759450B1 (en) 2016-12-26 2016-12-26 Cylindrical so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185A KR101759450B1 (en) 2016-12-26 2016-12-26 Cylindrical sor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450B1 true KR101759450B1 (en) 2017-07-19

Family

ID=5942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185A KR101759450B1 (en) 2016-12-26 2016-12-26 Cylindrical so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450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332B1 (en) 2017-08-31 2018-05-17 양중화 Rotary stone separation apparatus
KR20200041451A (en) 2018-10-12 2020-04-22 남병대 The Vibration isolation unit of Removal of garlic in between rails rotation sorting machine to garlic classification
KR20200117664A (en) 2019-04-05 2020-10-14 남병대 The A garlic screening machine for improving garlic screening efficiency
KR102192663B1 (en) * 2019-06-26 2020-12-17 이나라 White grub sorting device
CN114885663A (en) * 2022-06-20 2022-08-12 青海农牧科技职业学院 Drum-type separating and grading device of potato combine harvest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332B1 (en) 2017-08-31 2018-05-17 양중화 Rotary stone separation apparatus
KR20200041451A (en) 2018-10-12 2020-04-22 남병대 The Vibration isolation unit of Removal of garlic in between rails rotation sorting machine to garlic classification
KR102113402B1 (en) * 2018-10-12 2020-05-20 남병대 The Vibration isolation unit of Removal of garlic in between rails rotation sorting machine to garlic classification
KR20200117664A (en) 2019-04-05 2020-10-14 남병대 The A garlic screening machine for improving garlic screening efficiency
KR102192663B1 (en) * 2019-06-26 2020-12-17 이나라 White grub sorting device
CN114885663A (en) * 2022-06-20 2022-08-12 青海农牧科技职业学院 Drum-type separating and grading device of potato combine harves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450B1 (en) Cylindrical sorter
CN109953355A (en) The foreign body eliminating and sorting equipment of agricultural product after harvest
CN112077012A (en) Pepper piling-prevention sorting equipment
KR20150078718A (en) Sorting machine of agricultural products
CN212018575U (en) Circular fruit vegetables sorting machine
KR102016099B1 (en) Apparatus for seperating fishery products
KR20090014046A (en) The grain sorter
KR101378922B1 (en) Sorter for abalone
CN108114900B (en) A screening plant for screening chinese torreya fruit
CN110420829A (en) Screen mesh type tealeaves sorter
KR100330319B1 (en) Automatic equipment for sorting of fishes
EP3533525B1 (en) Waste separation device
KR101357334B1 (en) Separating Apparatus for kernel of pine cone
CN209918256U (en) Novel spiral screening machine
KR101302871B1 (en) Sorting Apparatus for Pine Nut
KR200446909Y1 (en) The Grain Sorter
KR101632355B1 (en) Bulb crop post processing system
CN210213986U (en) Guiding feeding device
US2989180A (en) Shrimp sorter
KR100958150B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space between objects
CN111804597A (en) Fruit size sorting equipment
KR200287410Y1 (en) A fruit sorter
JPH07213267A (en) Method for grading pholiota nameko s. ito et imai to be cut in stem cutter therefor and grader
KR20030015013A (en) a rotary sorting apparatus of the crops
CN217850234U (en) Mountain wampee thres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