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190B1 -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190B1
KR101759190B1 KR1020110000476A KR20110000476A KR101759190B1 KR 101759190 B1 KR101759190 B1 KR 101759190B1 KR 1020110000476 A KR1020110000476 A KR 1020110000476A KR 20110000476 A KR20110000476 A KR 20110000476A KR 101759190 B1 KR101759190 B1 KR 101759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emergency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270A (ko
Inventor
정용수
박진
김민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0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190B1/ko
Priority to US13/342,364 priority patent/US8750821B2/en
Publication of KR20120079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automatic activation of emergency service functions, e.g. upon sensing an ala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81Call monitoring, e.g. for law enforcement purposes; Call tracing; 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icious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116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for emergency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통화도중 해당 키워드에 상응하는 통화 음성을 포착하는 단계 및 제3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FOR REPORTING EMERGENCY STATEDURING CALL SERVICE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화중 상대방과의 통화정보를 네트워크상의 제3자에게 알리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 통신 단말기(셀룰러폰), 전자수첩, 개인 복합 단말기 등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근래 들어, 이러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이외에 다양한 멀티 미디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를 만족시키고 있다.
그러나, 최근 주지하다시피 이러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악용하는 범죄(예 ; 보이스피싱, 협박, 사기 , 스토킹)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휴대용 단말기가 삶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면서 이러한 범죄가 극성을 부리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범죄는 가해자 확보를 위하여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종래에 협박성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일반적으로 피해자는 일단 통화를 마치고 경찰서에 전화를 걸어 범죄행위를 신고한다. 이후 경찰서는 가해자와의 통화기록을 확인하여 범죄정황 및 가해자 위치 등을 판단하고 수사에 착수한다. 이와 같은 사후 처리 방식은 범죄행위를 증명할 수 있는 증거를 조기에 확보한다거나 가해자를 조기에 검거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도중 범죄행위(또는 위급상황)를 실시간으로 신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도중 기 정의 또는 기 등록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음성이 포착되면 통화정보를 네트워크상의 제3자가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제3자를 통화에 참가시켜 제3자가 통화를 감청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제 1 견지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통화도중 해당 키워드에 상응하는 통화 음성을 포착하는 단계 및 제3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견지로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 간의 통화에서 해당 키워드에 상응하는 통화 음성을 포착하는 단계 및 단말 간의 통화를 감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3 견지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통화도중 해당 키워드에 상응하는 통화 음성이 포착되면 제3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통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4 견지로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단말간의 통화에서 해당 키워드에 상응하는 통화 음성을 포착하면 단말간의 통화를 감청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5 견지로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통화도중 해당 키워드에 상응하는 통화 음성을 포착하면 위급상황을 통보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위급상황을 통보받으면 통화를 감청하는 제3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은 실시간으로 전화범죄의 증거를 확보하고 가해자(또는 위급상황에 처해 있는 사람)의 위치를 추적 및 신고됨으로써 보다 조속한 사후 처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반적인 네트워크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반적인 네트워크 시스템;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각 장치들간의 통신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반적인 네트워크 시스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각 장치들간의 통신 흐름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화중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상대방과의 통화정보를 네트워크상의 제3자에게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통화정보는 전화번호, 통화 내용, 통화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상대방과의 통화중 기 정의 또는 기 등록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통화 음성이 포착되면 이 통화정보를 허가된 제3자가 감청하도록 요청한다. 상기 감청은 통화 내용을 녹음 또는 채록 및 통화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키워드는 범죄행위, 위급행위 등을 알리는 단어나 문장이 될 수 있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통화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겠으나 개인 정보 보호라는 측면에서 허가된 제3자가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실제로, 일부 국가에서는 통화 녹음은 불법이다. 허가된 제3자는 해당 서버 또는 경찰서, 소방서 등의 SOS 기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반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 10-2)와, 이동통신망(2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망(20)은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21)과, 제어국(BSC ; Base Station Controller)(22)과,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23) 및 SOS서버(40)를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21)은 이동 단말과 무선 구간으로 연결되어 이동 단말을 제어하는 통화채널을 연결한다. 상기 제어국(22)은 여러 대의 기지국을 관리하면서, 상기 교환국(23)과 연동한다. 상기 교환국(23)은 이통통신망의 핵심 요소로서, 음성통화 및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어하고, 통화로를 설정하며 여러 다른 장비들 및 외부망과의 연결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21)은 상기 단말기들(10-1, 10-2)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제어국(22)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국(22)은 음성데이터를 교환국(23)으로 전달한다. 상기 교환국(23)은 상기 단말기들(10-1, 10-2)들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때, 필요하다면 다른 망(PSTN, 인터넷, 사설망)을 이용해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SOS서버(40)는 통화 내용중 기 정의 또는 기 등록된 키워드가 포착될 경우 통화를 감청한다. 감청하는 통화의 정보는 전화번호, 통화 내용, 통화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1), 기지국(21), 제어국(22), 교환국(23), SOS 서버(40) 중 어느 하나가 통화 내용중 기 정의 또는 기 등록된 키워드를 포착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가 상대방과의 통화도중 해당 키워드에 해당하는 통화 음성을 포착하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위급상황 신호를 이동통신망(20)으로 전송한다. 위급상황 신호가 수신되면 SOS서버(40)는 통화 감청을 시작한다. 즉, 상기 SOS서버(40)는 현재 통화의 전화번호, 통화 내용, 통화 위치를 상기 교환국(23)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단, 이러한 통화 감청은 합법적으로 행해진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위급상황 신호가 발생하면 단말기(10-1)와 SOS서버(40) 양측은 통화 감청을 동의하는 것으로 인정한다. 상기 SOS서버(40)는 경찰서, 소방서 등의 기관에 비치된 것이거나 또는 이러한 기관과 통신하는 것일 수 있다. 위급상황 신호가 수신되면 SOS서버(40)는 해당 기관에 위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메시지를 우선하여 보낼 수도 있다. 따라서, 해당 기관은 위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조속히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SOS서버(40)는 감청한 통화정보를 해당 기관에 제공한다. 그러므로, 전화 범죄가 발생하였을 경우 조속한 신고가 이루어지고 실시간으로 획득한 통화 정보는 사후 처리를 수월하게 한다.
상기 키워드는 텍스트 형태이거나 음성 형태일 수 있고, 상기 키워드는 단말기에 이미 등록된 것이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계좌번호' 등과 같은 문자를 입력 후 이를 키워드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살려주세요'를 녹음하고 이를 키워드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음성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통화 중 텍스트 형태의 키워드에 상응하는 통화 음성을 포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통화 중 음성 형태의 키워드와 동일한 음성을 포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반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 10-2)와, 이동통신망(20)과, 네트워크(30) 및 SOS기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망(20)은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21)과, 제어국(BSC ; Base Station Controller)(22) 및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21)은 이동 단말과 무선 구간으로 연결되어 이동 단말을 제어하는 통화채널을 연결한다. 상기 제어국(22)은 여러 대의 기지국을 관리하면서, 상기 교환국(23)과 연동한다. 상기 교환국(23)은 이통통신망의 핵심 요소로서, 음성통화 및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어하고, 통화로를 설정하며 여러 다른 장비들 및 외부망과의 연결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30)는 일반공중전화망(PSTN) 혹은 인터넷(Internet)이 될 수 있다. 상기 SOS기관(50)는 소방서 및 경찰서가 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21)은 상기 단말기들(10-1, 10-2)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제어국(22)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국(22)은 음성데이터를 교환국(23)으로 전달한다. 상기 교환국(23)은 상기 단말기들(10-1, 10-2)들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때, 필요하다면 다른 망(PSTN, 인터넷, 사설망)을 이용해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상기 교환국(23)은 통화 내용중 기 정의 또는 기 등록된 키워드가 포착될 경우 통화를 감청한다. 감청하는 통화의 정보는 전화번호, 통화 내용, 통화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교환국(23)은 도 1의 SOS서버(40)를 대체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1), 기지국(21), 제어국(22), 교환국(23) 중 어느 하나가 통화 내용중 기 정의 또는 기 등록된 키워드를 포착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가 상대방과의 통화도중 해당 키워드에 해당하는 통화 음성을 포착하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위급상황 신호를 교환국(23)으로 전송한다. 위급상황 신호가 수신되면 교환국(23)은 통화 감청을 시작한다. 즉, 상기 교환국(23)은 전화번호, 통화 내용, 통화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교환국(23)은 위급상황 신호가 수신되면 통화 녹음을 시작한다.
이후, 상기 교환국(23)은 감청한 통화정보를 해당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상기 SOS기관(50)에 제공한다. SOS기관(50)은 제공받은 통화정보를 이용하여 조속한 사후 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교환국(23)은 SOS기관(50)과 통신 연결을 요청할 때 위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메시지를 함께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OS기관(50)은 위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조속히 알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각 장치들간의 통신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단말(10-1)과 제2단말(10-2)이 통화(301 단계) 중 제1단말(10-1)이 등록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통화 음성을 포착한다(303 단계). 통화 음성은 제1단말(10-1)에서 출력되는 것과 제2단말(10-2)에서 출력된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단말(10-1)이 등록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통화 음성을 포착하면, 상기 제1단말(10-1)은 SOS서버(40)로 위급상황 신호를 송신한다(305 단계). 상기 SOS서버(40)가 위급상황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SOS 서버(40)는 통화 녹음을 시작하고, 단말들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307 단계). 이후, 상기 SOS 서버(40)와 SOS 기관(50)은 네트워크 연결한다(309 단계). 이때, 상기 SOS 서버(40)는 네트워크 연결시 상기 SOS 기관(50)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SOS 기관(50)은 위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조속히 알 수 있다. 다음, 상기 SOS 서버(40)는 기 획득한 통화 내용과 위치 정보를 상기 SOS기관(50)에 전송한다(311 단계). 이후, 상기 SOS기관(50)은 이를 저장한다(313 단계). 따라서, 상기 SOS기관(50)은 통화중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조속한 신고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통화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함으로 신속하게 사후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반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10-1, 10-2)와, SOS기관(50)과, 이동통신망(2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망(20)은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21)과, 제어국(BSC ; Base Station Controller)(22)과,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23)을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21)은 이동 단말과 무선 구간으로 연결되어 이동 단말을 제어하는 통화채널을 연결한다. 상기 제어국(22)은 여러 대의 기지국을 관리하면서, 상기 교환국(23)과 연동한다. 상기 교환국(23)은 이통통신망의 핵심 요소로서, 음성통화 및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어하고, 통화로를 설정하며 여러 다른 장비들 및 외부망과의 연결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21)은 상기 단말기들(10-1, 10-2)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제어국(22)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국(22)은 음성데이터를 교환국(23)으로 전달한다. 상기 교환국(23)은 상기 단말기들(10-1, 10-2)들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때, 필요하다면 다른 망(PSTN, 인터넷, 사설망)을 이용해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SOS기관(40)은 통화 내용중 기 정의 또는 기 등록된 키워드가 포착될 경우 통화를 감청한다. 감청하는 통화의 정보는 전화번호, 통화 내용, 통화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1), 기지국(21), 제어국(22), 교환국(23) 중 어느 하나가 통화 내용중 기 정의 또는 기 등록된 키워드를 포착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가 상대방과의 통화도중 해당 키워드에 해당하는 통화 음성을 포착하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위급상황 신호를 이동통신망(20)으로 전송한다. 위급상황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통신망(20)은 현재 개통중인 통화채널에 상기 SOS기관(50)을 3자 통화 방식으로 참가시킨다. 상기 이동통신망(20)은 SOS기관(50)에 3자 통화 참가를 요청할 때 위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함께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OS기관(50)은 위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조속히 알 수 있다. 3자 통화가 이루어지면, 상기 SOS기관(50)은 두 단말(10-1, 10-2)간의 통화를 감청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망(20)은 SOS기관(50)에게 통화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SOS기관(50)은 전화 범죄가 발생하였을 경우 조속한 사후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각 장치들간의 통신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단말(10-1)과 제2단말(10-2)이 통화(501 단계) 중 제1단말(10-1)이 등록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통화 음성을 포착한다(503 단계). 제1단말(10-1)이 등록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통화 음성을 포착하면, 상기 제1단말(10-1)은 교환국(23)에게 위급상황 신호를 송신한다(505 단계). 상기 교환국(23)이 위급상황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교환국(23)은 이동통신망(20)의 SOS기관(50)에게 두 단말들(10-1, 10-2) 간에 참가할 것을 요청한다(507 단계). 이때, 상기 교환국(23)은 위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메시지를 함께 전송하면 상기 SOS기관(50)은 위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조속히 알 수 있다. 이후, 상기 SOS기관(50)이 응답하여 3 통화에 참여하고(509 단계), 상기 제1단말과 제2단말의 통화를 감청한다(511 단계). 더욱이, 상기 SOS기관(50)은 상기 교환국(23)으로부터 단말들(10-1, 10-2)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통화중 등록된 키워드에 상응하는 통화 음성이 포착되면 위험상황이라 판단하고, 이후 통화 내용을 제3자가 녹음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즉,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통화 내용이 저장되지 않고 허가된 제3자에 저장함으로 보안상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 범죄에 대한 사후 처리를 신속하게 하게 한다. 일 예로, 협박 전화를 받는 상황에서, 피해자가 이전에 습득한 키워드를 말하면 경찰서에 곧바로 신고되고 사후 처리에 필요한 통화 정보 또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하였지만, 경찰서는 3자간 통화로 가해자와 피해자간의 통화를 감청할 수도 있다. 어린이나 노약자와 같이 상대적으로 단말기를 다루는데 미숙하거나 범죄에 대한 사후처리가 미흡한 사람이라도 간단한 교육으로 극복가능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4G(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입력을 위한 입력부(61)와, 출력을 위한 출력부(62)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63)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64)와,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65)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61)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65)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부(62)는 상기 제어부(65)의 제어에 따라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 또는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63)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과 상기 단말기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63)는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거나 기 등록된 키워드들을 저장한다. 전술하였지만, 상기 키워드는 통화중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통신부(64)는 상기 제어부(65)의 제어하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65)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65)는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대방과의 통화도중 해당 키워드에 해당하는 음성이 포착되면 허가된 제3자가 통화정보를 감청하는 것을 시작하게 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3자는 이동통신망이거나 해당 네트워크상의 SOS 기관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대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통화 내용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통화 음성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통화 음성의 검출에 대한 응답으로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통화 내용을 녹음하도록 위급상황의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대 휴대용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중인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내용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통화 음성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통화 음성의 검출에 대한 응답으로 위급상황의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위급상황의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통화 내용을 감청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통화 내용을 감청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상대 휴대용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채널에 액세스하여 상기 통화 내용을 감청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상대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 및 상기 녹음된 통화 내용을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통화 내용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통화 음성을 검출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통화 음성의 검출에 대한 응답으로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통화 내용을 녹음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위급상황의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대 휴대용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통화 내용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통화 음성을 검출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통화 음성의 검출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위급상황의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위급상황의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통화 내용을 감청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통화 내용을 감청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상대 휴대용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채널에 액세스하여 상기 통화 내용을 감청하는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6.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대 휴대용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통화 내용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통화 음성을 검출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통화 음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통화 음성의 검출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위급상황의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위급상황의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녹음된 통화 내용을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상대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를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110000476A 2011-01-04 2011-01-04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59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476A KR101759190B1 (ko) 2011-01-04 2011-01-04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3/342,364 US8750821B2 (en) 2011-01-04 2012-01-03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emergency in call state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476A KR101759190B1 (ko) 2011-01-04 2011-01-04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270A KR20120079270A (ko) 2012-07-12
KR101759190B1 true KR101759190B1 (ko) 2017-07-19

Family

ID=4638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476A KR101759190B1 (ko) 2011-01-04 2011-01-04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50821B2 (ko)
KR (1) KR101759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6112B2 (en) * 2012-09-26 2016-04-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nding user device status information
US9264532B2 (en) * 2013-01-31 2016-0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chnology for combating mobile phone criminal activity
KR101650467B1 (ko) * 2015-04-24 2016-08-23 (주)아이티제이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5915696B (zh) * 2016-04-14 2019-04-26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通信连接建立方法及终端
CN107105099B (zh) * 2017-05-10 2020-02-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报警方法及其装置、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6962A (ja) * 2005-09-29 2007-04-12 Saxa Inc 電話装置
JP2007139864A (ja) * 2005-11-15 2007-06-07 Nec Corp 不審会話検出装置、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1879B1 (en) * 2000-07-19 2003-12-09 Xtend Communications Corp.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telephonic communications
US20030046710A1 (en) * 2001-09-05 2003-03-06 Moore John F.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disabled and others
WO2004027527A1 (ja) * 2002-09-20 2004-04-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対話型装置
US20070249406A1 (en) * 2006-04-20 2007-10-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system for retrieving information
US8135125B2 (en) * 2006-05-10 2012-03-13 Microsoft Corporation Multi-party information analysis in a VoIP system
US9543920B2 (en) * 2006-10-24 2017-01-10 Kent E. Dicks Methods for voice communication through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KR20100062172A (ko) 2008-12-01 2010-06-10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분석을 이용한 알림 메시지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254489B1 (ko) 2009-03-18 2013-04-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데이터 저장서비스 시스템 및 통화데이터 저장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6962A (ja) * 2005-09-29 2007-04-12 Saxa Inc 電話装置
JP2007139864A (ja) * 2005-11-15 2007-06-07 Nec Corp 不審会話検出装置、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50821B2 (en) 2014-06-10
US20120171986A1 (en) 2012-07-05
KR20120079270A (ko)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359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safety in a public safety communication system
US9595072B2 (en) Security social network
CN104285421B (zh) 用于减少通信会话期间的带宽使用的方法和系统
US91774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untethered two-way voice communication for an alarm system
US810793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ne-to-multiple emergency call communication
KR101759190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00027766A1 (en) Automatic Transmission of Audio and/or Video Content To Desired Recipient(s)
KR101431596B1 (ko) 보이스피싱 방지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보이스피싱 방지방법
US201203079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calls
CN101227499A (zh) 基于第三代移动通信系统实现远程视频监控的系统及方法
EP2887625A1 (en) Method for real-time reporting and prevention of call abuse
KR101586595B1 (ko) 그룹 통화들에서 예지적 합법적 감청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80089513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on, control and annunciation of speakerphone use
TW201843662A (zh) 緊急撥叫偵測系統
JP2011142370A (ja) 緊急の通報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携帯電話機、プログラム及び通報方法
KR1006159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전파 시스템
CN101588424B (zh) 通话监听的方法及设备
US86664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ting a sounder device
Shivankar et al. Comparative analysis on security techniques in VoIP environment
CN102110352A (zh) 一键报警的方法、装置及系统
JP2010187349A (ja) 振り込め詐欺防止装置、および振り込め詐欺防止方法
KR20150065017A (ko) 스미싱 방지 방법, 이를 수행하는 스미싱 방지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EP2862341B1 (en) Methods,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apparatuses enabling to conceal lawful interception from network operators
KR10072621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47994B1 (ko) 인증 콘텐츠 기반의 발신자 인증이 가능한 인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