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135B1 - 무선 통신 기기와 연동하는 차량 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기기와 연동하는 차량 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135B1
KR101759135B1 KR1020150146692A KR20150146692A KR101759135B1 KR 101759135 B1 KR101759135 B1 KR 101759135B1 KR 1020150146692 A KR1020150146692 A KR 1020150146692A KR 20150146692 A KR20150146692 A KR 20150146692A KR 101759135 B1 KR101759135 B1 KR 101759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rtab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do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403A (ko
Inventor
홍정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135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 시동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차량의 문 열림을 위한 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 등록된 휴대용 통신장치와 근거리 통신기술을 통해 연동하는 단계,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시동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부가 정보를 전달받아 네트워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서버의 시동 신호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기기와 연동하는 차량 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GNITION CONTROL IN VEHICLE ENGAG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기와 연동하는 차량 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사용자)가 차량 시동을 위한 키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에도 무선 통신 기기를 통해 차량을 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용 무선통신 기술인 텔레매틱스(telematics)가 탑재된 차량이 확대되고 있다. 텔레매틱스는 무선통신 기술과 차량에 탑재된 센서를 활용한 자율주행, 안전 등의 기능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텔레매틱스는 차량 알람장치 및 표시장치(Land Vehicle Alarms and Indicators), 외장표시 및 알람장치(External Condition Vehicle Mounted Indicator), 특수 애플리케이션(Special Application) 등의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는 주로 차량 보안이나 상태 등에 대한 경고, 외부 신호등 시스템, 장애물과의 거리 및 충돌을 경고하는 등 차량 경고음을 알리는 장치에 적용된다. 또 원격 감시, 차량 추적 등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차량 상태를 제어하는 기술도 포함한다.
한편, 차량을 소유하거나 운전하는 운전자(사용자)의 대부분은 휴대용 무선통신 기기(예를 들면, 모바일폰 등)를 보유하고 있다. 운전자(사용자)는 자신의 휴대용 무선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텔레매틱스가 적용된 기능/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조작할 수도 있다.
휴대용 무선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기능을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차량의 문을 열고 닫을 수는 있어도 키(스마트 키 등)가 없으면 차량에 시동을 걸 수 없다. 또한, 휴대용 무선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원격 시동을 제어하는 기능의 경우, 키가 없으면 문을 열 수 없거나 문을 연다고 하더라도 차량의 시동이 꺼지고 만다. 또한, 차량의 액세서리 전장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ACC 상태) 또는 전체 전장 시스템이 작동하는 상태(ON/IGN 상태)에서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휴대용 무선통신 기기와 차량을 연동하여 핸즈프리/폰북다운로드/오디오스트리밍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운전자(사용자)가 키를 잃어 버리거나 소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운전자는 차량의 문을 열 수도 없거나 문을 연다고 하더라도 시동을 걸 수도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운전자(사용자)가 차량을 운행해야 하는 긴급한 상황이 도래하면, 운전자(사용자)는 무선통신 기기를 통해 차량을 운행을 제어하고자 할 수 있다.
KR 10-2005-0094166 A
본 발명은 운전자(사용자)가 키 없이 휴대용 통신장치를 사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사용자)의 휴대용 통신장치와 차량에 연동되는 네트워크 서버를 사용하여 차량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도난 방지 및 안전 주행을 위한 감시를 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동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차량의 문 열림을 위한 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 등록된 휴대용 통신장치와 근거리 통신기술을 통해 연동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시동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부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서버의 시동 신호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시동 제어 방법은 상기 문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문이 열리는 지 감시하는 단계; 및 열린 문이 닫혔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시동 제어 방법은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차량 전원상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전원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상기 전원상태가 포함된 차량 전원상태 알림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전원상태 알림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시동상태(Ignition/Start), 전체 전장시스템 동작상태(On), 전원 오프 상태(Off/Lock)인 경우 해당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차량이 액세서리 장치 동작상태(Acc)인 경우, 전체 전장시스템 동작상태(On)로 변경한 뒤,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울트라와이드밴드(Ultra Wide Band, UWB), 및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mmWa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동 요청신호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송된 제어 메시지에 대해 일정 시간 이내에 응답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에서 전달된 운전자의 개인정보 및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에서 상기 시동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촬영된 운전자의 이미지 및 촬영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와 상기 근거리 통신기술을 통한 연동은 상기 문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문이 열리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시동 제어 방법은 차량 고유 정보를 사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서버와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동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차량의 문 열림을 위한 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기 등록된 휴대용 통신장치와 근거리 통신기술을 통해 연동하고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시동 요청신호와 부가 정보를 전달받는 연동부; 상기 시동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네트워크 서버의 시동 신호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열린 문이 닫혔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시동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전달된 차량 전원상태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전원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상기 전원상태가 포함된 차량 전원상태 알림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부는 상기 차량이 시동상태(Ignition/Start), 전체 전장시스템 동작상태(On), 전원 오프 상태(Off/Lock)인 경우 해당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차량이 액세서리 장치 동작상태(Acc)인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체 전장시스템 동작상태(On)로 변경시킨 뒤,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울트라와이드밴드 (Ultra Wide Band, UWB), 및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mmWa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동 요청신호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송된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응답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에서 전달된 운전자의 개인정보 및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에서 상기 시동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촬영된 운전자의 이미지 및 촬영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동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서버는 휴대용 통신장치 및 차량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 또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전달부;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전달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신호 또는 정보를 상기 차량정보 및 상기 운전자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문 열림을 위한 문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문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차량의 시동을 위한 시동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시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동 요청신호와 함께 전달되는 정보는 운전자의 개인정보,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의 개인정보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전달되고,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의 개인정보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에서 상기 시동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촬영된 운전자의 이미지 및 촬영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장치와 차량 텔레매틱스를 연계하여 사용자(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차량에 대한 보안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적용 차량의 상품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키를 휴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운전자)의 휴대용 통신장치와 네트워크 서버를 연결하여, 사용자(운전자)가 직접 차량의 시동을 켜고 주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차량 시동 제어를 위한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는 차량 시동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차량 시동 제어를 위한 휴대용 통신장치, 차량 시동 제어 장치 및 네트워크 서버의 제1동작을 설명한다.
도 4은 차량 시동 제어를 위한 휴대용 통신장치, 차량 시동 제어 장치 및 네트워크 서버의 제2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휴대용 통신장치, 차량 시동 제어 장치 및 네트워크 서버를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 시동 제어를 위한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된 차량 시동 제어 장치(2)는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서버(6)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통신 기술 또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휴대용 통신 장치(4)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6)는 차량에 탑재된 텔레매틱스(telematics)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차량의 고유 정보, 차량의 운행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6)는 차량의 주행 중 또는 주행 전/후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과 연동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6)는 운전자(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고, 차량 주행 및 안전과 관련된 장치/기능의 조작을 도울 수 있다. 특히, 차량의 키가 없을 경우에도 휴대용 통신 장치(4)와 네트워크 서버(6)를 통해 차량의 시동을 켤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운전자(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 휴대용 통신 장치(4)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켤 수 없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휴대용 통신 장치(4)는 운전자(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휴대용 통신 장치(4)는 무선 통신 기술 및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차량 또는 네트워크 서버(6)와 연동할 수 있으며, 차량의 고유 정보 또는 운전자의 개인 정보 등을 저장하거나 취득할 수 있다.
도 2는 차량 시동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시동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차량의 문 열림을 위한 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10), 기 등록된 휴대용 통신장치와 근거리 통신기술을 통해 연동하는 단계(12),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시동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14),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부가 정보를 전달받아 네트워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16), 및 네트워크 서버의 시동 신호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18)를 포함할 수 있다.
문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10), 차량은 운전자(사용자)가 차량의 문을 열 수 있도록 운전석 문을 언락(unlock)할 수 있다. 차량 시동 제어 방법은 문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차량의 문이 열리는 지 감시하는 단계, 및 열린 문이 닫혔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운전석 문이 언락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운전석 문이 열리지 않는 경우 차량은 다시 운전석 문을 잠글 수 있다(lock). 이러한 경우는 차량의 도난 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차량의 문이 운전자(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 열리는 것이 아니라 기 설정된 제어 신호에 의해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계된 차량의 경우에는,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전달된 문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문을 자동으로 열 수 있다.
차량의 문이 열리면, 차량은 운전자(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휴대용 통신장치와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12). 이때, 차량은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통신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핸즈프리기능을 위해 차량과 휴대용 통신장치가 페어링(pairing)되는 과정과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차량과 휴대용 통신장치의 연결은 차량 또는 휴대용 통신장치에 탑재된 근거리 통신기술을 수행하는 장치/모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외에도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울트라와이드밴드(Ultra Wide Band, UWB), 및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mmWave)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운전자(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차량은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시동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14).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장치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차량을 시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시동 요청신호는 차량에서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송된 제어 메시지에 대해 일정 시간 이내에 응답되는 신호일 수 도 있다.
시동 요청신호뿐만 아니라, 차량은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부가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16). 부가 정보는 휴대용 통신장치에 저장된 개인 정보일 수 있으며, 운전자(사용자)에 대한 검증절차를 수행할 있도록 차량은 부가 정보를 네트워크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16). 휴대용 통신장치가 전달할 수 있는 부가 정보는 시동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휴대용 통신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운전자(사용자)의 사진일 수 있다. 차량은 운전자(사용자)의 이미지를 전달받아, 차량의 위치정보와 시간 정보를 함께 네트워크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네트워크 서버가 시동 신호를 차량에 전달하면, 차량은 시동을 켤 수 있다(18).
도 3은 차량 시동 제어를 위한 휴대용 통신장치, 차량 시동 제어 장치 및 네트워크 서버의 제1동작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사용자)는 휴대용 통신장치(4)를 사용하여 차량 시동 제어장치(2)에 차량 전원상태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차량 전원상태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차량 시동 제어장치(2)는 차량의 전원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원 상태는 시동이 걸린 시동상태(엔진이 시동을 시작한 상태, Start/Ignition), 차량 내 전체 전장 시스템이 작동하는 상태(ON), 자동차 내 악세서리 전장 부품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ACC), 및 전원이 꺼진 상태(OFF/LOCK)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자동차 내 악세서리 전장 부품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ACC)는 차량에 포함된 액세서리(accessories) 장치에만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로, 통상적으로 오디오와 시가라이터, 시계 등이 작동하는 경우를 말한다. 차량 시동 제어장치(2)는 차량의 전원 상태를 파악한 후, 휴대용 통신장치(4)에 차량 전원상태 알림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차량 시동 제어장치(2)는 차량의 전원이 꺼진 상태(OFF/LOCK)인 경우에는 휴대용 통신장치(4)로부터 차량 전원상태 요청 신호가 전달되더라도, 계속 전원이 꺼진 상태(OFF/LOCK)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전원 상태가 시동이 걸린 시동상태(엔진이 시동을 시작한 상태, Start/Ignition), 차량 내 전체 전장 시스템이 작동하는 상태(ON)인 경우에는, 차량 시동 제어장치(2) 해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전원 상태가 자동차 내 악세서리 전장 부품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ACC)인 경우에는 차량 내 전체 전장 시스템이 작동하는 상태(ON)로 변경된 뒤, 휴대용 통신장치(4)에 전원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차량 시동 제어장치(2)로부터 차량의 전원 상태가 전체 전장 시스템이 작동하는 상태(ON)인 경우, 휴대용 통신장치(4)는 차량 시동 제어장치(2)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시동 제어장치(2)와 휴대용 통신 장치(4)의 페어링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량 시동 제어장치(2)와 휴대용 통신장치(4)가 연결되면, 차량 시동 제어장치(2)는 휴대용 통신장치(4)에 제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메시지는 운전자(사용자)가 차량의 키를 소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차량의 시동을 켜고자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운전자(사용자)가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키 없이 차량의 시동을 켜고자 하지 않을 경우, 차량과 네트워크 장치는 차량의 시동을 켜기 위한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여 휴대용 통신장치(4)가 시동 요청 신호를 차량 시동 제어장치(2)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통신장치(4)는 내부에 탑재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운전자(사용자)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사진은 네트워크 서버(6)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사진은 현재의 운전자(사용자)의 정보의 예로서, 휴대용 통신 장치(4)를 통해 운전자(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또 다른 현재 정보로 대체될 수도 있다. 휴대용 통신장치(4)는 운전자(사용자)의 다양한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휴대용 통신장치(4) 역시 도난/분실의 위험이 높다. 따라서, 휴대용 통신장치(4)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아닌 현재의 정보를 차량에 전달하고, 네트워크 서버(6)가 이를 분석하는 경우, 차량의 도난 사고를 방지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차량 시동 제어장치(2)는 휴대용 통신장치(4)에서 전달된 운전자(사용자)의 현재 정보뿐만 아니라, 차량의 현재정보(예를 들면,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네트워크 서버(6)로 전달할 수 있다. 전달된 데이터를 이미 저장된 데이터와 네트워크 서버(6)가 비교하고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는 차량의 도난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통신장치(4)는 촬영한 운전자(사용자)의 사진을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서버(6)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시동 제어장치(2)는 차량의 현재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개별적으로 네트워크 서버(6)로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 정보는 특정 이벤트에 따라 전송될 수도 있고, 차량 시동 제어장치(2)와 네트워크 서버(6) 사이의 기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른 데이터 교환을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비교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6)는 시동 신호를 차량 시동 제어장치(2)로 전달할 수 있다. 차량 시동 제어장치(2)는 시동 신호에 대응하여 차량의 시동을 켤 수 있다.
도 4는 차량 시동 제어를 위한 휴대용 통신장치, 차량 시동 제어 장치 및 네트워크 서버의 제2동작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사용자)는 휴대용 통신장치(4)를 사용하여 잠겨있는 차량의 문을 언락(unlock)해달라는 문 열림 요청 신호를 네트워크 서버(6)로 보낸다. 이때, 휴대용 통신장치(4)의 고유 정보가 네트워크 서버(6)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네트워크 서버(6)는 차량의 문 열림을 허가하는 문 제어 신호를 차량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6)는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네트워크 서버(6)가 저장하고 있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비교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서버(6)는 문 열림 요청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의 고유 정보와 이력 정보 등을 휴대용 통신장치가 전달한 운전자(사용자)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차량의 문 열림을 위해 네트워크 서버(6)가 비교할 수 있는 정보는 운전자(사용자)의 전화번호, 차량의 위치 정보 등 네트워크 서버(6)가 저장하고 있는 운전자 개인 정보 또는 차량의 고유 정보, 차량의 운행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6)가 비교하고 데이터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는 차량의 도난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문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차량의 문이 언락(unlock)되고, 운전자(사용자)가 차량의 문을 열면, 차량 시동 제어장치(2)는 휴대용 통신 장치(4)와 페어링(pairing)을 시도한다. 이때, 차량 시동 제어장치(2)와 휴대용 통신 장치(4)의 페어링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량 시동 제어장치(2)와 휴대용 통신장치(4)가 연결되면, 차량 시동 제어장치(2)는 휴대용 통신장치(4)에 제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메시지는 운전자(사용자)가 차량의 키를 소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차량의 시동을 켜고자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운전자(사용자)가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키 없이 차량의 시동을 켜고자 하지 않을 경우, 차량과 네트워크 장치는 차량의 시동을 켜기 위한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여 휴대용 통신장치(4)가 시동 요청 신호를 차량 시동 제어장치(2)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통신장치(4)는 내부에 탑재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운전자(사용자)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사진은 네트워크 서버(6)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사진은 현재의 운전자(사용자)의 정보의 예로서, 휴대용 통신 장치(4)를 통해 운전자(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또 다른 현재 정보로 대체될 수도 있다. 휴대용 통신장치(4)는 운전자(사용자)의 다양한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휴대용 통신장치(4) 역시 도난/분실의 위험이 높다. 따라서, 휴대용 통신장치(4)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아닌 현재의 정보를 차량에 전달하고, 네트워크 서버(6)가 이를 분석하는 경우, 차량의 도난 사고를 방지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차량 시동 제어장치(2)는 휴대용 통신장치(4)에서 전달된 운전자(사용자)의 현재 정보뿐만 아니라, 차량의 현재정보(예를 들면,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네트워크 서버(6)로 전달할 수 있다. 전달된 데이터를 이미 저장된 데이터와 네트워크 서버(6)가 비교하고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는 차량의 도난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통신장치(4)는 촬영한 운전자(사용자)의 사진을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서버(6)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시동 제어장치(2)는 차량의 현재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개별적으로 네트워크 서버(6)로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 정보는 특정 이벤트에 따라 전송될 수도 있고, 차량 시동 제어장치(2)와 네트워크 서버(6) 사이의 기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른 데이터 교환을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비교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6)는 시동 신호를 차량 시동 제어장치(2)로 전달할 수 있다. 차량 시동 제어장치(2)는 시동 신호에 대응하여 차량의 시동을 켤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6)는 차량의 도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차량 시동 제어장치(2) 또는 휴대용 통신장치(4)에 데이터를 다시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6) 또는 차량 시동 제어장치(2)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마다 일정 시간을 설정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설정된 시간에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차량 시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중지할 수도 있다.
차량 시동 제어장치(2)가 키 없이도 시동을 켤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사용자)가 텔레매틱스(telematics) 기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서버(6)에 해당 기능 및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을 해야 하고, 운전자(사용자)의 사진 등을 포함하여 도난 사고 방지를 위한 개인 정보를 네트워크 서버(6)에 먼저 등록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사용자)가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이용해 차량의 문을 열고 탑승하는 경우, 차량과 스마트폰은 블루투스를 이용해 자동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페어링 시 차량은 스마트폰으로 스마트키 없는 상태에서 차량 탑승상태로 시동을 걸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확인받기 위한 메시지 송부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사용자에게 시동 시도를 할 것인지에 대한 응답을 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자동으로 사용자의 얼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사진은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지원하는 센터로 보내지고, 센터에서는 전달받은 사용자 사진과 미리 사용자가 등록해둔 사진을 비교하여 시동을 승인하기 위한 신호를 차량에 전달할 수 있다. 차량은 시동 명령을 대응하여 시동을 켤 수 있다.
또한, 촬영 사진 전송 시 촬영 위치 및 촬영 시간도 함께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지원하는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지원하는 센터는 전송된 사진과 서버의 기 저장한 사진을 비교 하면서 시동 허가를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이미 저장된 사진을 차량에서 전송하는 경우, 보안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진의 형상 비교뿐만 아니라, 사진을 찍은 시간과 센터로 전송한 시간을 비교하고, 더불어 차량의 위치와 사진촬영 위치를 비교 함으로써, 시동 허가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휴대용 통신장치, 차량 시동 제어 장치 및 네트워크 서버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시동 제어 장치(2)는 네트워크 서버(6)로부터 차량의 문 열림을 위한 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2), 기 등록된 휴대용 통신장치(4)와 근거리 통신기술을 통해 연동하고 휴대용 통신장치(4)로부터 시동 요청신호와 부가 정보를 전달받는 연동부(34), 시동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부가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36), 및 네트워크 서버의 시동 신호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는 문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열린 문이 닫혔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시동 제어 장치(2)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전달된 차량 전원상태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전원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인부(40)는 차량의 전원상태를 확인하고, 송신부(36)를 통해 휴대용 통신장치(4)로 전원상태가 포함된 차량 전원상태 알림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부(40)는 차량이 시동상태(Ignition/Start), 전체 전장시스템 동작상태(On), 전원 오프 상태(Off/Lock)인 경우 해당 상태를 유지하고 휴대용 통신장치(4)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이 액세서리 장치 동작상태(Acc)인 경우, 확인부(40)는 제어부(38)를 통해 전체 전장시스템 동작상태(On)로 변경시킨 뒤,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시동 제어 장치(2)와 휴대용 통신장치(4)를 연동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울트라와이드밴드 (Ultra Wide Band, UWB), 및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mmWa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동 요청신호는 휴대용 통신장치(4)로 전송된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응답신호일 수 있다. 또한 부가 정보는 휴대용 통신장치(4)에서 전달된 운전자의 개인정보 및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부가 정보는 휴대용 통신장치(4)에서 시동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촬영된 운전자의 이미지 및 촬영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시동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서버(6)은 휴대용 통신장치(4) 및 차량에 탑재된 차량 시동 제어 장치(2)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 또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전달부(58),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52), 전달부(58)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 또는 정보를 저장부(52)에 저장된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부(54), 및 판단부(54)의 결과에 대응하여, 차량의 문 열림을 위한 문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문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차량의 시동을 위한 시동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시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시동 제어 장치(2) 또는 네트워크 서버(6)과 연동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장치(4)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제어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42),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정보 또는 신호를 직접 전달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부(44), 및 운전자(사용자)의 현재 정보(예를 들면, 사진 등)를 취득하기 위한 카메라(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포함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 차량 시동 제어 장치 4: 휴대용 통신장치
6: 네트워크 서버 32: 수신부
34: 연동부 36: 송신부
38: 제어부 40: 확인부
52: 저장부 58: 전달부
54: 판단부 56: 제어부
42: 송수신부 46: 카메라
44: 근거리통신부

Claims (24)

  1.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차량의 문 열림을 위한 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문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문이 열리는 지 감시하는 단계;
    열린 문이 닫혔는지 확인하는 단계;
    기 등록된 휴대용 통신장치와 근거리 통신기술을 통해 연동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시동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문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부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서버의 시동 신호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시동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차량 전원상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전원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상기 전원상태가 포함된 차량 전원상태 알림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동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원상태 알림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시동상태(Ignition/Start), 전체 전장시스템 동작상태(On), 전원 오프 상태(Off/Lock)인 경우 해당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차량이 액세서리 장치 동작상태(Acc)인 경우, 전체 전장시스템 동작상태(On)로 변경한 뒤,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달하는, 차량 시동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울트라와이드밴드(Ultra Wide Band, UWB), 및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mmWa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시동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요청신호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송된 제어 메시지에 대해 일정 시간 이내에 응답되는 신호인, 차량 시동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에서 전달된 운전자의 개인정보 및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시동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에서 상기 시동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촬영된 운전자의 이미지 및 촬영 시간을 포함하는, 차량 시동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와 상기 근거리 통신기술을 통한 연동은 상기 문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문이 열리면 자동으로 수행되는, 차량 시동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차량 고유 정보를 사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서버와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동 제어 방법.
  11.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청구항 제1항,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시동 제어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2. 삭제
  13.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차량의 문 열림을 위한 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기 등록된 휴대용 통신장치와 근거리 통신기술을 통해 연동하고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시동 요청신호와 부가 정보를 전달받는 연동부;
    상기 문 제어 신호 및 상기 시동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네트워크 서버의 시동 신호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열린 문이 닫혔는지 확인하는, 차량 시동 제어 장치.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전달된 차량 전원상태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전원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상기 전원상태가 포함된 차량 전원상태 알림 신호를 전달하는, 차량 시동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차량이 시동상태(Ignition/Start), 전체 전장시스템 동작상태(On), 전원 오프 상태(Off/Lock)인 경우 해당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차량이 액세서리 장치 동작상태(Acc)인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체 전장시스템 동작상태(On)로 변경시킨 뒤,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달하는, 차량 시동 제어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울트라와이드밴드 (Ultra Wide Band, UWB), 및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mmWa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시동 제어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요청신호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송된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응답신호인, 차량 시동 제어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에서 전달된 운전자의 개인정보 및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시동 제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에서 상기 시동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촬영된 운전자의 이미지 및 촬영 시간을 포함하는, 차량 시동 제어 장치.
  21. 통신망을 통해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차량의 문 열림을 위한 문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부;
    상기 문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문이 열리는 지 감시하고 열린 문이 닫혔는지 확인한 후, 휴대용 통신장치 및 차량으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신호 또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신호 또는 정보를 상기 차량정보 및 상기 운전자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문 열림을 위한 문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문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차량의 시동을 위한 시동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시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시동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서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요청신호와 함께 전달되는 정보는 운전자의 개인정보,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시동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서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개인정보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전달되고,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차량 시동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서버.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개인정보는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에서 상기 시동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촬영된 운전자의 이미지 및 촬영 시간을 포함하는, 차량 시동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서버.
KR1020150146692A 2015-10-21 2015-10-21 무선 통신 기기와 연동하는 차량 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59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692A KR101759135B1 (ko) 2015-10-21 2015-10-21 무선 통신 기기와 연동하는 차량 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692A KR101759135B1 (ko) 2015-10-21 2015-10-21 무선 통신 기기와 연동하는 차량 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403A KR20170046403A (ko) 2017-05-02
KR101759135B1 true KR101759135B1 (ko) 2017-07-18

Family

ID=5874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692A KR101759135B1 (ko) 2015-10-21 2015-10-21 무선 통신 기기와 연동하는 차량 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1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5907A (ja) * 2010-09-28 2013-12-26 ヴァレオ セキュリテ アビタクル 移動電話機と自動車のペアリング方法、および施錠/解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5907A (ja) * 2010-09-28 2013-12-26 ヴァレオ セキュリテ アビタクル 移動電話機と自動車のペアリング方法、および施錠/解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403A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13219B (zh) 以解锁机动车的系统形式的设备和用于解锁机动车的方法
CN110877597B (zh) 用户激活/停用的短程无线通信(srwc)辅助智能钥匙
CN107067563B (zh) 车辆共享附件设备和系统
CN112272631B (zh) 车辆远程控制系统、通信模块、车辆、服务器、车辆远程控制方法、车辆远程控制程序及存储介质
US93698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launching an application
US93573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launching an application
JP5999108B2 (ja) 車両遠隔操作情報提供装置、車載遠隔操作情報取得装置及びこれらの装置を備えた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CN110889912A (zh) 用户激活/去激活钥匙扣
US20190061687A1 (en) Auto security and auto safety system
US20120126998A1 (en) Automated geo-fence boundary configuration and activation
KR101365454B1 (ko)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원격 차량제어 방법
KR100843867B1 (ko)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12693A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101745443B1 (ko) 운전자 인증 시스템
CN108749765B (zh) 车辆智能解锁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CN111071203A (zh) 车辆的无钥匙控制系统及方法
CN105292053A (zh) 一种车辆防盗追踪系统
CN103457977A (zh) 信息处理方法、车辆安防方法、车载终端、终端及服务器
US108417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to mobile phone communication
US9867008B2 (en) Vehicle control system
US20130278446A1 (en) Vehicular observation system, apparatus, and server for the vehicular observation system
CN112172739A (zh) 一种汽车锁系统的解锁方法
KR101759135B1 (ko) 무선 통신 기기와 연동하는 차량 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5319911A (ja) 遠隔制御装置及び遠隔制御方法
JP2007046342A (ja) 遠隔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