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733B1 -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733B1
KR101758733B1 KR1020160046475A KR20160046475A KR101758733B1 KR 101758733 B1 KR101758733 B1 KR 101758733B1 KR 1020160046475 A KR1020160046475 A KR 1020160046475A KR 20160046475 A KR20160046475 A KR 20160046475A KR 101758733 B1 KR101758733 B1 KR 101758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device
usb memory
cloud server
data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배
이상호
이성
권정은
구본영
홍성혁
Original Assignee
(주) 임픽스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임픽스,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 임픽스
Priority to KR1020160046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8Techniques for file synchronisation in file systems
    • G06F17/3017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06Intercommunication techniques
    • G06F15/17325Synchronisation; Hardware support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06F17/305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는 USB 메모리 장치로서, 상기 USB 메모리 장치(10)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상기 결합된 기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전용 프로그램,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저장부(100), 및 상기 USB 메모리 장치(10)의 사용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버튼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에 따르면, USB 메모리 장치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결합된 기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되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USB 메모리 장치 내의 데이터가 동기화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USB 메모리 장치에 원하는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버튼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용도에 맞도록 USB 메모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USB 메모리 장치가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한 후,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전, 본인인증을 함으로써, USB 메모리 장치가 분실되어 타인에게 습득된 경우, 타인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USB MEMORY DEVICE FOR ENABLING DATA SYNCHRONIZING WITH DATA STORED IN CLOUD SERVER}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USB 메모리 장치가 컴퓨터에 결합될 시, 결합된 컴퓨터의 통신모듈을 통해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되어,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USB 메모리 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파일이 대용량화되면서 저장 용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휴대성에 있어서 불편한 플로피 디스켓 및 CD의 효용이 줄어들고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USB 메모리의 용량이 대용량화되었고, 가격 또한 저렴해지고 있어 그 사용자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USB 메모리 장치에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에 저장하고, USB 메모리 장치를 해당 장치에 결합시킨 후 해당 데이터를 복사해서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해야만 했다. 이에 따라, USB 메모리 장치에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매번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만 했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낭비될 수밖에 없었다.
한편, 스마트폰이 보편화되면서 웹서버 데이터를 보관하고, PC 및 모바일에 동기화 및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점차 확산되고 있어 사용자들에게 큰 편의를 주고 있는 반면, 아직도 USB 메모리 장치에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업데이트할 데이트를 수동으로 USB 메모리 장치에 복사하여 저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USB 메모리 장치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0717호(발명의 명칭: 유에스비 메모리 저장장치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공개일자: 2009년 01월 08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USB 메모리 장치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결합된 기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되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USB 메모리 장치 내의 데이터가 동기화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USB 메모리 장치에 원하는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버튼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용도에 맞도록 USB 메모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USB 메모리 장치가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한 후,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전, 본인인증을 함으로써, USB 메모리 장치가 분실되어 타인에게 습득된 경우, 타인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는 USB 메모리 장치로서,
상기 USB 메모리 장치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상기 결합된 기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전용 프로그램,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저장부; 및
상기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 모드는,
상기 USB 메모리 장치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상기 결합된 기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되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상기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는 동기화 모드, 및 상기 USB 메모리 장치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상기 USB 메모리 장치를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SB 메모리 장치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상기 결합된 기기의 인터넷 접속 여부, 및 상기 USB 메모리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 간의 동기화 진행 상태를 표시해주는 LED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부는,
녹색 LED부 및 적색 LED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USB 메모리 장치와 결합된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USB 메모리 장치와 클라우드 서버 간에 동기화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녹색 LED부가 깜박거리고, 상기 USB 메모리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 간에 동기화가 완료되면 녹색 LED부가 점등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USB 메모리 장치와 결합된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가 인터넷과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적색 LED부가 깜박거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용 프로그램에서,
상기 USB 메모리 장치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상기 결합된 기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접속될 클라우드 서버의 경로를 새로 입력,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USB 메모리 장치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되어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된 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상기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전, 본인인증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에 따르면, USB 메모리 장치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결합된 기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되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USB 메모리 장치 내의 데이터가 동기화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USB 메모리 장치에 원하는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버튼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용도에 맞도록 USB 메모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USB 메모리 장치가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한 후,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전, 본인인증을 함으로써, USB 메모리 장치가 분실되어 타인에게 습득된 경우, 타인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에서,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 모드를 동기화 모드로 설정하고 컴퓨터에 결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된 후, 본인인증 화면이 나타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에서,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 모드를 동기화 모드로 설정하고 컴퓨터에 결합하여 자동으로 접속된 클라우드 서버에서 본인인증을 마친 후, 클라우드 서버와 USB 메모리 장치 간에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에서, 녹색 LED부 및 적색 LED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LED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에서, USB 메모리 장치를 컴퓨터에 결합했을 시, 해당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USB 메모리 장치와 클라우드 서버 간에 동기화가 진행되는 동안 녹색 LED부가 깜박거리다가 USB 메모리 장치와 클라우드 서버 간에 동기화가 완료되어 녹색 LED부가 점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에서, USB 메모리 장치를 컴퓨터에 결합했을 시, 해당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지 않아 적색 LED부가 깜박거리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10)는, 파일 저장부(100), 버튼부(200) 및 LED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1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파일 저장부(100)는, USB 메모리 장치(10)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결합된 기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전용 프로그램,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용 프로그램은, 실시예에 따라, USB 메모리 장치(10)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자동으로 실행되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로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용 프로그램에서, USB 메모리 장치(10)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결합된 기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접속될 클라우드 서버의 경로를 새로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의 경로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USB 메모리 장치(10)를 결합시킬 컴퓨터는, 실시예에 따라,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마트기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200)는, USB 메모리 장치(10)의 사용 모드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버튼부(200)를 이용하여, USB 메모리 장치(10)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결합된 기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되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USB 메모리 장치(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는 동기화 모드, 및 USB 메모리 장치(10)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USB 메모리 장치(10)를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모드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동기화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USB 메모리 장치(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에서,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 모드를 동기화 모드로 설정하고 컴퓨터에 결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된 후, 본인인증 화면이 나타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200)를 이용하여 USB 메모리 장치(10)를 동기화 모드로 설정한 후, 컴퓨터에 결합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된 후, 본인인증 화면이 나타나게 되는데, 사용자는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본인인증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본인인증 방식은, 실시예에 따라, 아이디 및 패스워드 입력 방식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는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본인인증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이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USB 메모리 장치(10)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되어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된 후,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USB 메모리 장치(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전, 본인인증을 함으로써, USB 메모리 장치가 분실되어 타인에게 습득된 경우, 타인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에서,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 모드를 동기화 모드로 설정하고 컴퓨터에 결합하여 자동으로 접속된 클라우드 서버에서 본인인증을 마친 후, 클라우드 서버와 USB 메모리 장치 간에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USB 메모리 장치(10)가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되고, 본인인증 과정을 마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USB 메모리 장치(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간에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서버에 새롭게 업데이트된 데이터는 자동으로 USB 메모리 장치(10)에 다운로드될 수 있고, USB 메모리 장치(10)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업로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와 USB 메모리 장치(10) 간에 데이터가 동기화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USB 메모리 장치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결합된 기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되고,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간에 동기화가 이루어져,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USB 메모리 장치(10)에 원하는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LED부(300)는, USB 메모리 장치(10)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결합된 기기의 인터넷 접속 여부, 및 USB 메모리 장치(10)와 클라우드 서버 간의 동기화 진행 상태를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에서, 녹색 LED부 및 적색 LED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LED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부(300)는, 녹색 LED부(310) 및 적색 LED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녹색 LED부(310) 및 적색 LED부(320)의 특징 및 역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녹색 LED부(310)는, USB 메모리 장치(10)와 결합된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깜박거리게 되는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의 인터넷 접속 여부를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인터넷에 접속되는 컴퓨터와 결합되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되고, 본인인증을 마친 후, 클라우드 서버와 USB 메모리 장치(10)간에 데이터 동기화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 녹색 LED부(310)는 깜박거리며, USB 메모리 장치(10)와 클라우드 서버 간에 데이터 동기화가 완료되면 녹색 LED부(310)는 점등상태로 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에서, USB 메모리 장치를 컴퓨터에 결합했을 시, 해당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USB 메모리 장치와 클라우드 서버 간에 동기화가 진행되는 동안 녹색 LED부가 깜박거리다가 USB 메모리 장치와 클라우드 서버 간에 동기화가 완료되어 녹색 LED부가 점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메모리 장치(10)와 결합된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해당 컴퓨터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되어, 클라우드 서버와 USB 메모리 장치 간에 데이터 동기화가 진행 중인 경우, 녹색 LED부(310)는 깜박거리게 되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메모리 장치(10)와 클라우드 서버 간에 데이터 동기화가 완료되면, 녹색 LED부(310)는 점등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는 녹색 LED부(310)를 통해, USB 메모리 장치(10)와 결합된 장치의 인터넷 접속 여부, 및 USB 메모리 장치(10)와 클라우드 서버 간의 동기화 진행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적색 LED부(320)는, USB 메모리 장치(10)와 결합된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깜박거리게 되는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의 인터넷 접속 여부를 표시해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에서, USB 메모리 장치를 컴퓨터에 결합했을 시, 해당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지 않아 적색 LED부가 깜박거리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메모리 장치와 결합된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적새 LED부(320)가 깜박거리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컴퓨터의 인터넷 접속 여부를 재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에 따르면, USB 메모리 장치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결합된 기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되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USB 메모리 장치 내의 데이터가 동기화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USB 메모리 장치에 원하는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버튼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용도에 맞도록 USB 메모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USB 메모리 장치가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한 후,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전, 본인인증을 함으로써, USB 메모리 장치가 분실되어 타인에게 습득된 경우, 타인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
100: 파일 저장부 200: 버튼부
300: LED부 310: 녹색 LED부
320: 적색 LED부

Claims (8)

  1.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는 USB 메모리 장치(10)로서,
    상기 USB 메모리 장치(10)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상기 결합된 기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전용 프로그램,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저장부(100); 및
    상기 USB 메모리 장치(10)의 사용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버튼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 모드는,
    상기 USB 메모리 장치(10)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상기 결합된 기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되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상기 USB 메모리 장치(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는 동기화 모드, 및 상기 USB 메모리 장치(10)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상기 USB 메모리 장치(10)를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1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메모리 장치(10)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상기 결합된 기기의 인터넷 접속 여부, 및 상기 USB 메모리 장치(10)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 간의 동기화 진행 상태를 표시해주는 LED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ED부(300)는,
    녹색 LED부(310) 및 적색 LED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10).
  5. 제4항에 있어서,
    USB 메모리 장치(10)와 결합된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USB 메모리 장치(10)와 클라우드 서버 간에 동기화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녹색 LED부(310)가 깜박거리고, 상기 USB 메모리 장치(10)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 간에 동기화가 완료되면 녹색 LED부(310)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10).
  6. 제4항에 있어서,
    USB 메모리 장치(10)와 결합된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가 인터넷과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적색 LED부(320)가 깜박거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1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프로그램에서,
    상기 USB 메모리 장치(10)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될 시, 상기 결합된 기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접속될 클라우드 서버의 경로를 새로 입력,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1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메모리 장치(10)가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되어 기 설정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된 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상기 USB 메모리 장치(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전, 본인인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10).
KR1020160046475A 2016-04-15 2016-04-15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 KR10175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475A KR101758733B1 (ko) 2016-04-15 2016-04-15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475A KR101758733B1 (ko) 2016-04-15 2016-04-15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733B1 true KR101758733B1 (ko) 2017-07-18

Family

ID=5943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475A KR101758733B1 (ko) 2016-04-15 2016-04-15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7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225B1 (ko) * 2018-10-11 2019-04-22 옥임식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전송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90078198A (ko) 2017-12-26 2019-07-0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성을 높인 클라우드 저장소 기반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인증 제어 방법
CN110308874A (zh) * 2019-06-27 2019-10-08 青海民族大学 一种便携式智能存储设备及方法
KR102500172B1 (ko) 2022-11-16 2023-02-14 젬텍(주) 장치 간의 메모리 동기화 방법,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198A (ko) 2017-12-26 2019-07-0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성을 높인 클라우드 저장소 기반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인증 제어 방법
KR102008691B1 (ko) * 2017-12-26 2019-08-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성을 높인 클라우드 저장소 기반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인증 제어 방법
KR101971225B1 (ko) * 2018-10-11 2019-04-22 옥임식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전송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CN110308874A (zh) * 2019-06-27 2019-10-08 青海民族大学 一种便携式智能存储设备及方法
KR102500172B1 (ko) 2022-11-16 2023-02-14 젬텍(주) 장치 간의 메모리 동기화 방법, 제어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9705B2 (en) Method for connecting to Wi-Fi hotspot device, Wi-Fi hotspot device, and user equipment
US10432597B1 (en) Digital security bubble
KR101758733B1 (ko)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usb 메모리 장치
US20210297506A1 (en) Method, User Equipment, Server,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Information Sharing
US9386098B2 (en) Smartpho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6470239B (zh) 一种任务切换方法及相关设备
US10320560B1 (en) Key management and dynamic perfect forward secrecy
US20140013100A1 (en) Establish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ing visual codes
CN109691151A (zh) 用于控制uicc和euicc的方法和系统
WO2017049736A1 (zh) 一种移动通信网络接入方法及装置
US102125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grating data between devices
US20080133775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Intelligent Synchronization
EP3043285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data
CN102857546B (zh) 云存储平台和云存储终端
US9747945B2 (en) Method for creating a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924361B1 (en) Secure time-to-live
JP2018528501A (ja) デバイス間の情報をプッシュ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化された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486370A (zh) 一种多终端联系人更新方法
US10084761B1 (en) In-band identity verification and man-in-the-middle defense
WO2018103370A1 (zh) 系统重置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4579665B (zh) 鉴权方法及装置
CN103685341A (zh) 云存储数据中心及云存储数据的提供方法
KR101754526B1 (ko) 배신 시스템, 배신 방법, 및 배신 프로그램
KR2015013730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무선 네트워크 접속 방법
CA2728969A1 (en) File sharing using customized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