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705B1 - 다중 곡률형 실링 구조를 갖는 볼 밸브 - Google Patents

다중 곡률형 실링 구조를 갖는 볼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705B1
KR101758705B1 KR1020150180650A KR20150180650A KR101758705B1 KR 101758705 B1 KR101758705 B1 KR 101758705B1 KR 1020150180650 A KR1020150180650 A KR 1020150180650A KR 20150180650 A KR20150180650 A KR 20150180650A KR 101758705 B1 KR101758705 B1 KR 101758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urface
ball
ball member
ball valve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471A (ko
Inventor
정낙신
성우제
박민선
김상명
김신형
우일국
황인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0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7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72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63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63Packings
    • F16K5/0689Packings between housing and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볼 밸브의 실링 효과를 높이고 실링면의 분포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중 곡률형 실링 구조를 갖는 볼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구(112)와 배출구(114) 사이를 연결하는 내부유로(116)를 가지는 밸브 몸체(110)와, 상기 내부유로(116) 상에 설치되어 스템(125)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내부유로(116)를 개폐하는 볼 부재(120) 및 상기 볼 부재(120)의 유로 방향으로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 부재(120)의 구면을 환형 형태로 밀착하는 메탈 타입의 시트 리테이너(130)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리테이너(130)는 상기 볼 부재(120)를 향하는 곡률 반경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중의 실링면(3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곡률형 실링 구조를 갖는 볼 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곡률형 실링 구조를 갖는 볼 밸브{BALL VALVE WITH SEALING STRUCTURE OF MULTIPLE CURVATURE TYPE}
본 발명은 볼 밸브의 고압 환경에서 실링 효과를 높이고, 실링면에 대한 하중 및 응력의 집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중 곡률형 실링 구조를 갖는 볼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밸브는 2개 이상의 배관(PIPE)에 연결되어 배관에 연결된 직선 유로를 폐쇄 요소의 1/4 회전에 의하여 유체(FLUID)의 흐름을 정지 또는 개시하는 단순 개폐용 회전밸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볼 밸브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하여 밸브 몸체 내부에 2개 이상의 유로와 연통되는 챔버 내에 구형의 폐쇄 요소인 볼 부재가 유로에 직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볼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작동된다.
볼 밸브는 구형의 폐쇄 요소인 볼 부재의 포트(PORT) 형태에 따라 배관의 내경과 동일한 치수를 가지며 직선 유로가 형성된 풀 포트 볼 밸브, L자 또는 T자 형상으로 유로가 형성된 쓰리웨이 볼밸브와 포웨이 볼밸브, 사용되지 않는 볼 부재의 일부 형상을 제거한 세그먼트 볼 밸브 등으로 나뉜다. 그리고 볼 부재를 지지하는 방식에 따라 볼 부재를 상하에서 고정하는 부가적인 지지 구조를 갖는 트러니언 마운티드 볼 밸브와 트러니언 없이 시트나 유체에 의해 고정되는 플로팅 볼 밸브로 나뉜다.
종래에는 쉽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저압의 플로팅 볼 밸브가 널리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고온 고압용 트루니언 마운티드 풀 포터 볼 밸브를 요구하는 곳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볼 밸브의 일예로서, 선 특허출원에 의해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7663호에 기재된 볼 밸브를 들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7663호(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볼 밸브는 중앙을 관통하는 유로가 형성된 구면을 갖는 볼 부재가 밸브 몸체의 중앙부 챔버(CHABER) 내에 설치되어, 개방 상태에서는 볼 부재에 형성된 볼 구멍을 통해 유로를 서로 연통시키고, 폐쇄 상태에서는 볼 부재가 개방 상태로부터 회전하여 볼의 구면으로 유로를 막아 차단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챔버 내에는 볼 작동 공간이 형성되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스템(STEM)에 의해 볼 부재가 챔버 내에서 대략 90°로 회전하여 유로를 개폐한다.
또한, 볼 밸브는 유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실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볼 부재의 주변에 시트 리테이너가 설치되고, 시트 리테이너와 볼 부재의 사이에는 시트링이 개재된다.
이러한, 시트 리테이너는 볼 부재의 양쪽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스프링의 지지력과 유로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힘을 이용하여 실링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볼 부재와 인접하는 부분의 시트링이 볼 부재에 완전히 밀착하여야 누수 또는 누기를 차단할 수 있는데 시트링의 밀착력은 스프링에 의해 1차적으로 유지되고, 밸브 내 유체의 압력이 커질수록 그 유체의 압력을 시용하여 시트링이 볼 부재를 밀착하여 실링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참고로, 상기한 시트링은 소프트 타입으로 구성되어 시트 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거나, 메탈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메탈 타입으로 제작될 경우 시트 리테이어와 시트링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볼 밸브는 볼 부재가 유체 흐름을 차단한 상태에서 볼 밸브 내부의 유체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볼 부재의 살이 얇은 곳에서는 곡률 반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변형이 발생된다.
도 1은 종래의 볼 밸브의 시트 리테이너(30)와 볼 부재(20) 간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볼 밸브의 시트 리테이너(30)는 볼 부재(20)의 구면 부위를 환형 형상으로 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실링면(3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실링면(32)은 볼 부재(20)에 밀착되는 구면 부위와 동일한 단일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단일 곡률 형상의 실링면(32)은 볼 밸브의 내부 유체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볼 부재(20)에 효과적으로 밀착이 될 수 있지만, 볼 밸브의 내부 유체 압력이 증가할 시에는 볼 구멍(22)에 의해 형성되는 살이 얇은 부위에서 곡률의 변형이 발생됨으로써, 시트 리테이너(30)의 실링면(32)과 볼 부재(20)와의 곡률 반경이 서로 상이해져서 밀착 면적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실링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리테이너(30)의 일측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홈(34)을 형성하여, 볼 밸브 내부의 압력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밀착력이 조절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이러한 홈(34)을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상기한 실링면(32)의 효과적인 실링을 보장하기에는 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볼 밸브는 내부 유체 압력의 증가에 따른 볼 부재(20)의 변형이 발생될 경우 실링면(32)과 볼 부재(20)간에 밀착되는 면적이 줄어들어 최종적으로는 선접촉을 하게 되거나, 틈이 발생하여 누수 및 누기가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볼 밸브 내의 최고 압력 하에서 시트 리테이너(30)의 실링면(32)과 볼 부재(20)의 접촉부에 하중 및 응력의 집중이 발생하고, 심할 경우에는 항복 응력을 넘어 소성이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97663호(2011.08.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밸 브 내부의 고압 환경 하에서 발생되는 볼 부재의 부분적인 곡률의 변형을 추종하여 시트 리테이너에 형성된 실링면의 밀착 면적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볼 밸브의 실링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실링면의 극소 부위에 하중 및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중 곡률형 실링 구조를 갖는 볼 밸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내부유로를 가지는 밸브 몸체와, 상기 내부유로 상에 설치되어 스템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내부유로를 개폐하는 볼 부재 및 상기 볼 부재의 유로 방향으로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 부재의 구면을 환형 형태로 밀착하는 메탈 타입의 시트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리테이너는 상기 볼 부재를 향하는 곡률 반경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중의 실링면이 구비되고, 실링면은 상기 시트 리테이너의 반경 방향의 일측으로 점차 곡률 반경이 감소되는 적어도 2 이상의 다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실링면은 상기 시트 리테이너의 내주측에 위치되는 제1실링면과, 상기 시트 리테이너의 외주측에 위치되는 제2실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실링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제1실링면의 곡률 반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면의 반경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실링면의 반경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 내의 고압 환경에서 시트 리테이너의 실링면과 볼 부재 간의 밀착 면적을 증가시켜 실링 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유체의 누수 및 누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 내의 고압 환경에서 시트 리테이너의 실링면과 볼 부재 간의 밀착 면적의 감소함에 따라, 실링면의 극소 부위에 하중 및 응력이 집중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시트 리테이너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볼 밸브의 일요부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일요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 밸브의 저압 상태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 밸브의 중압 상태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볼 밸브의 고압 상태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곡률형 실링 구조를 갖는 볼 밸브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 내부의 시트 리테이너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볼 밸브(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환경에서 사용하여 실링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내부유로(116)를 갖는 밸브 몸체(110)와, 밸브 몸체(110)의 내부유로(116)를 개폐하는 볼 부재(120)와, 볼 부재(120)를 밀착하여 실링을 수행하는 메탈 타입의 시트 리테이너(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밸브 몸체(110)는 일측으로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구(112)와, 상기 유입구(112)로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유입구(112)와 배출구(114)측에는 각각 볼 밸브(10)를 설치하기 위한 배관의 각 단부에 결합되기 위한 플렌지(112a, 114a)가 각각 형성된다. 유입구(112)와 배출구(114)는 밸브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유로(116)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내부유로(116)의 중앙에는 볼 부재(120)를 설치하여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볼 부재(120)는 상기한 밸브 몸체(110)의 내부유로(116) 상의 공간에 설치되어, 내부유로(116)의 상측으로부터 밸브 몸체(110)의 외부로 이어지는 스템(125)의 일단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볼 부재(120)는 밸브 몸체(110)의 내부유로(116)의 구경과 동일한 안지름을 가지는 볼 구멍(122)이 형성된다. 상기한 스템(125)은 볼 부재(120)의 타단이 밸브 몸체(110)의 외부로 연장되어, 밸브 몸체(110)의 외부에서 스템(125)을 회전시도록 하는 조작기구(미도시함)에 연결된다. 이때, 조작기구는 사람이 수동으로 잡고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나, 전/자동으로 회전력 가할 수 있는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조작기구를 통해 스템(125)을 회전시키면 스템(125)에 고정된 볼 부재(120)가 함께 회전을 하여, 볼 부재(120)에 형성된 볼 구멍(122)이 향하는 위치에 따라서 내부유로(116)의 유체 흐름을 개방하거나, 또는 차단하도록 작동된다.
시트 리테이너(130)는 밸브 몸체(110)의 내부유로(116) 상에 위치되는 볼 부재(120)의 유로 방향의 양측 면을 가압하여 볼 부재(120) 사이의 틈새로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시트 부재(130)는 볼 부재(120)의 유로방향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어느 1개 면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한 시트 리테이너(130)는 유로 방향의 일측에 위치되는 볼 부재(120)의 구면을 환형 형태로 밀착하여 실링하는 실링면(300)이 구비되되, 이러한 실링면(300)은 볼 부재(120)를 향하는 곡률 반경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져, 시트 리테이너(130)의 반경 방향으로 다중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실링면(300)은 시트 리테이너(130)의 내주측에 위치되는 제1실링면(300a)과, 시트 리테이너(130)의 외주측에 위치되는 제2실링면(30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실링면(300a)은 볼 부재(120)의 구면과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형성되며, 제2실링면(300b)은 볼 밸브(10) 내부 압력의 증가 시 볼 부재(120)의 특정 부위의 곡률이 변형되는 것을 추종하여 밀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제1실링면(300a)과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부재(120)는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볼 구멍(122; 도 2를 참조)으로 인해 시트 리테이너(130)의 외주측에 가깝게 위치되는 일측은 살의 두께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한 볼 부재(120)를 통해 볼 밸브(10) 내부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여 높은 압력이 형성되면, 볼 부재(120)는 살이 얇은 부위의 곡률 반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시트 리테이너(130)의 외주측에 가깝게 위치되는 제2실링면(300b)은 이러한 볼 부재(120)의 곡률 변형을 추종할 수 있도록 제1실링면(300a) 보다 작은 곡률 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2실링면(300b)의 곡률 반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 부재(120)의 살이 얇은 부분이 위치되는 형태에 따라 시트 리테이너(130)의 내주측에 가깝게 위치되는 제1실링면(300a)의 곡률 반경이 더 작은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기한 실링면(300)이 제1실링면(300a)과 제2실링면(300b)의 2 중 구조로 이루어진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실링면(300)은 적어도 2 이상의 다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 이상의 다중으로 형성되는 실링면(300)은 시트 리테이너(130)의 반경 방향의 일측으로 연속해서 점차 곡률 반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실링면(300b)의 반경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실링면(300a)의 반경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다른 볼 밸브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볼 밸브(10) 내부가 저압인 상태에서 시트 리테이너(130)와 볼 부재(120)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볼 밸브(10) 내부가 중압인 상태에서 시트 리테이너(130)와 볼 부재(120)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6은 볼 밸브(10) 내부가 고압인 상태에서 시트 리테이너(130)와 볼 부재(120)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도 4와 같이, 볼 밸브(10)의 내부 유체의 압력이 작은 상태에서는 저압의 유체에 의해 볼 부재(120)가 거의 변형되지 않으며, 살이 얇은 부위의 곡률 반경도 거의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시트 리테이너(130)는 스프링의 탄성력과 저압의 유체 힘만으로 볼을 가압하게 되며, 볼 부재(120)는 곡률 반경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된 시트 리테이너(130)의 제1실링면(300a)에만 접촉이 이루어지며 실링을 하게 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볼 밸브(10)의 내부 유체 압력이 증가하는 중압의 환경에서는 볼 밸브(10) 내에 유체 압력에 의해 볼 부재(120)가 점차 변형하기 시작하여, 살이 얇은 부위는 미세하게 오목하게 변형하여 곡률 반경이 작아지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시트 리테이너(130)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중압의 유체의 힘이 더해져 볼 부재(120) 측으로 더욱 가압이 되는데, 볼 부재(120)는 변형으로 인해 시트 리테이너와 처음 접하고 있던 제1실링면(300a)이 차츰 떨어지지만, 곡률 반경이 작게 형성된 제2실링면(300b)이 볼 부재(120)의 외측 부위와 곡률이 같은 곳에서 접촉이 이루어진다.
또한, 볼 밸브(10) 내의 압력이 설계 최대 압력까지 도달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부재(120)는 고압의 유체의 힘을 받아 살이 얇은 부위에서는 시트 리테이너(130)의 최초 실링면으로부터 이탈될 정도로 오목하게 형태로 변형하여 곡률반경이 작아지게 된다. 이때, 시트 리테이너의 제1실링면(300a)은 변형된 볼 부재(120)의 곡률 반경을 추종하지 못하고 떨어지게 되지만,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곡률반경이 작은 제2실링면(300b)이 완전히 밀착되게 된다. 시트 리테이너 (130)를 볼 부재 (120) 측으로 미는 고압의 유체의 힘은 스프링의 탄성력 보다 10배 이상 커져 지배적인 힘으로 작용하는데 시트 리테이너는 (130) 이 힘을 이용하여 제2실링면 (300b)의 밀착력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볼 밸브(10) 내부가 고압인 상태에서 볼 부재(120)의 곡률이 변형되면 종래의 볼 밸브는 단일 곡률을 갖는 실링면(32: 도 1을 참조)이 형성되므로, 볼 밸브 내부 고압에 의해 변형된 볼 부재의 곡률 반경이 실링면의 곡률 반경과 서로 상이하여 밀착 면적이 작아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볼 밸브(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압에 의해 볼 부재(120)의 곡률이 부분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추종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다중의 실링면이 적용됨으로써, 볼 밸브(10)의 시트 리테이너(130)의 실링 면적을 증가시켜 효과적인 실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밸브 내의 고압 환경에서 추가 밀착되는 제2실링면(300b)은 반경 방향으로의 길이가 제1실링면(300a)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여, 저압 환경일 경우에 비해 고압 환경에서 실링면(300a, 300b)의 전체 밀착 면적을 크게 향상시킴으로써, 실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밸브 내의 고압 환경에서 실링면(300a, 300b)과 볼 부재(120) 간의 극소 부위의 접촉에 의한 하중 및 응력 집중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등의 해결 방안을 동시에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볼 밸브(10)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볼 밸브
110: 밸브 몸체
112: 유입구
114: 배출구
116: 내부유로
120: 볼 부재
125: 스템
130: 시트 리테이너
300: 실링면
300a: 제1실링면
300b: 제2실링면

Claims (4)

  1. 유입구(112)와 배출구(114) 사이를 연결하는 내부유로(116)를 가지는 밸브 몸체(110)와; 상기 내부유로(116) 상에 설치되어 스템(125)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내부유로(116)를 개폐하는 볼 부재(120); 및 상기 볼 부재(120)의 유로 방향으로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 부재(120)의 구면을 환형 형태로 밀착하는 메탈 타입의 시트 리테이너(130); 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리테이너(130)는, 상기 볼 부재(120)를 향하는 곡률 반경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중의 실링면(300)이 구비되고,
    상기 실링면(300)은, 상기 시트 리테이너(130)의 반경 방향의 일측으로 연속해서 곡률 반경이 감소되는 적어도 2 이상의 다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곡률형 실링 구조를 갖는 볼 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면(300)은, 상기 시트 리테이너(130)의 내주측에 위치되는 제1실링면(300a)과, 상기 시트 리테이너(130)의 외주측에 위치되는 제2실링면(30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실링면(300b)의 곡률 반경이 상기 제1실링면(300a)의 곡률 반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곡률형 실링 구조를 갖는 볼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면(300b)의 반경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실링면(300a)의 반경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곡률형 실링 구조를 갖는 볼 밸브.
KR1020150180650A 2015-12-17 2015-12-17 다중 곡률형 실링 구조를 갖는 볼 밸브 KR101758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650A KR101758705B1 (ko) 2015-12-17 2015-12-17 다중 곡률형 실링 구조를 갖는 볼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650A KR101758705B1 (ko) 2015-12-17 2015-12-17 다중 곡률형 실링 구조를 갖는 볼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471A KR20170072471A (ko) 2017-06-27
KR101758705B1 true KR101758705B1 (ko) 2017-07-18

Family

ID=5944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650A KR101758705B1 (ko) 2015-12-17 2015-12-17 다중 곡률형 실링 구조를 갖는 볼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7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598B1 (ko) * 2018-05-24 2019-02-08 화성밸브 주식회사 볼 밸브
KR101964528B1 (ko) 2017-09-29 2019-08-07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볼 밸브 조립체
KR20200140033A (ko) * 2019-06-05 2020-12-15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유량제어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528B1 (ko) 2017-09-29 2019-08-07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볼 밸브 조립체
KR101918598B1 (ko) * 2018-05-24 2019-02-08 화성밸브 주식회사 볼 밸브
KR20200140033A (ko) * 2019-06-05 2020-12-15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유량제어밸브
KR102202525B1 (ko) * 2019-06-05 2021-01-13 지엠비코리아(주) 유량제어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471A (ko)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9256B2 (en) Valve
US9446485B2 (en) Double offset ball member usable in ball valves and other flow control applications
KR101758705B1 (ko) 다중 곡률형 실링 구조를 갖는 볼 밸브
US20180340620A1 (en) Ball valve and sealing element for ball valve
CN1987170A (zh) 用于基本气密地关闭流道的阀
KR101819691B1 (ko) 볼 밸브용 금속 시일과 이러한 시일을 포함하는 볼 밸브
JPH0384268A (ja) シール付き回転弁
US8256450B2 (en) Butterfly valves with undulating sealing surface
JPH01188771A (ja)
KR20170103126A (ko) 이중밀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볼 밸브
CN111140670A (zh) 多向转换阀的密封件和包括密封件的多向转换阀
JP2023527339A (ja) 密封組立体及び回転バルブ
US20130032747A1 (en) Face sealing annular valve for a fluid-working machine
US20160153574A1 (en) Ball valve with an improved seat ring
US8029672B2 (en) Filter head
JP6021702B2 (ja) 漏洩防止シール、原子炉冷却材ポンプ
RU2626873C2 (ru) Уплот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ы
KR100449779B1 (ko) 이물질에 의한 누수 및 파손을 방지하는 볼밸브
JPWO2020021911A1 (ja) バルブ装置、流体制御装置、流体制御方法、半導体製造装置及び半導体製造方法
JP2002276830A (ja) ボールバルブのシール構造およびそれが設けられたボールバルブ
US20190162325A1 (en) Bushing having a shaft seal
JPH07113472A (ja) 偏芯型バタフライ弁における弁座装置
CN110953372A (zh) 用于阀门的密封系统
KR200326530Y1 (ko) 버터플라이 밸브
WO2008071707A1 (e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