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258B1 -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258B1
KR101758258B1 KR1020100136940A KR20100136940A KR101758258B1 KR 101758258 B1 KR101758258 B1 KR 101758258B1 KR 1020100136940 A KR1020100136940 A KR 1020100136940A KR 20100136940 A KR20100136940 A KR 20100136940A KR 101758258 B1 KR101758258 B1 KR 101758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deo conten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4945A (ko
Inventor
김정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6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2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5Generation of a revocation list, e.g. of client devices involved in piracy a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6Monitoring of piracy processes or acti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어, 녹화 기능이 구비된 아이피 텔레비전(IP-TV) 또는 아이피 셋탑 박스(IP-STB)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 수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콘텐츠 수신 단말기에서, 복제 방지설정된 비디오 콘텐츠를 불법으로 녹화하는 경우에 아이피 어드레스(IP Address), 시리얼 번호(Serial Number), 사용자 아이디(User ID) 등과 같은 수신측 식별 정보를 획득한 후, 그에 상응하는 오에스디(OSD) 영상을 생성하여, 비디오 콘텐츠와 함께 녹화함으로써, 콘텐츠를 불법 복제한 용의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게 되므로, 저작권이 설정된 비디오 콘텐츠의 불법 복제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video content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녹화 기능이 구비된 아이피 텔레비전(IP-TV) 또는 아이피 셋탑 박스(IP-STB)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 수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서버(Contents Provider Server)(100)는, 예를 들어,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아이피 텔레비전(300), 아이피 셋탑 박스(310), 그리고 개인용 컴퓨터(320) 등과 같은 콘텐츠 수신 단말기들과 연결 접속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에서는, 영화 콘텐츠 또는 음악 콘텐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접속된 콘텐츠 수신 단말기로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에서는, 피브이알(PVR: Personal Video Record)과 같은 녹화 기능이 구비된 아이피 텔레비전(300)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사용자 인증(User Authentication) 절차 등을 수행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한 콘텐츠를 선별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딩(Downloading) 방식 또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피 텔레비전(300)에서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디코딩(Decoding)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를 출력 표시하게 되며, 또한, 하드 디스크(HDD) 등과 같은 스토리지(Storage) 내에 녹화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에서는, 저작권(Copyright)이 설정된 유료 콘텐츠의 경우,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의 녹화를 원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임의의 사용자가, 불법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유료 콘텐츠를,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스토리지 내에 무단으로 녹화한 후, 대량으로 복제하여 판매 및 배포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 방안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콘텐츠 수신 단말기에서, 복제 방지설정된 비디오 콘텐츠를 불법으로 녹화하는 경우, 아이피 어드레스, 시리얼 번호, 사용자 아이디 등과 같은 수신측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오에스디(OSD) 영상을 생성하여, 비디오 콘텐츠와 함께 녹화함으로써, 콘텐츠를 불법 복제한 용의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콘텐츠의 녹화가 요청되면, 수신측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상기 획득된 수신측 식별 정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오에스디(OSD) 영상을 생성하는 오에스디 생성부; 상기 생성된 오에스디 영상을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는 합성부; 및 상기 합성된 오에스디 영상과 비디오 콘텐츠를 녹화하는 녹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수신측 식별 정보는, 콘텐츠 수신 단말기의 아이피 어드레스(IP Address) 또는 시리얼 번호(Serial Number)이거나,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사용자 인증 절차를 통해 승인된 사용자 아이디(User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측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수신측 단말기 자체 내에서 상기 수신측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는, 상기 획득된 수신측 식별 정보에 따라 시청 연령 표시 마크(Mark)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합성부는, 상기 생성된 오에스디 영상을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는, 상기 획득된 수신측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비디오 콘텐츠의 메인 화면의 임의의 위치와 중첩 표시되는 도트(Dot) 형상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합성부는, 상기 생성된 오에스디 영상을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는, 상기 획득된 수신측 식별 정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자막(Subtitle)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합성부는, 상기 생성된 오에스디 영상을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는, 상기 획득된 수신측 식별 정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바(Bar)코드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합성부는, 상기 생성된 오에스디 영상을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는, 상기 획득된 수신측 식별 정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큐알(QR)코드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합성부는, 상기 생성된 오에스디 영상을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에스디 영상이 녹화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합성된 비디오 콘텐츠의 파일 헤더 또는 태그 영역에 기록하거나,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와 녹화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한 후에 사전에 설정된 특정 위치에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콘텐츠 처리 방법은, 콘텐츠 수신 단말기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콘텐츠의 녹화가 요청되면 수신측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수신측 식별 정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오에스디(OSD) 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여 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수신측 식별 정보는, 콘텐츠 수신 단말기의 아이피 어드레스(IP Address) 또는 시리얼 번호(Serial Number)이거나,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사용자 인증 절차를 통해 승인된 사용자 아이디(User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수신측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측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수신측 단말기 자체 내에서 상기 수신측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여 녹화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수신측 식별 정보에 따라 시청 연령 표시 마크(Mark)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여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여 녹화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수신측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비디오 콘텐츠의 메인 화면의 임의의 위치에 중첩하여 표시되는 도트(Dot) 형상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여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여 녹화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수신측 식별 정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자막(Subtitle)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여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여 녹화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수신측 식별 정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바(Bar)코드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여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여 녹화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수신측 식별 정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큐알(QR)코드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함께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오에스디 영상이 녹화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합성된 비디오 콘텐츠의 파일 헤더 또는 태그 영역에 기록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한 후, 사전에 설정된 특정 위치에 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어, 콘텐츠 수신 단말기에서, 비디오 콘텐츠를 불법으로 녹화하는 경우, 아이피 어드레스, 시리얼 번호, 사용자 아이디 등과 같은 수신측 식별 정보를 획득한 후, 그에 상응하는 오에스디(OSD) 영상을 생성하여, 비디오 콘텐츠와 함께 녹화함으로써, 콘텐츠를 불법 복제한 용의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게 되므로, 저작권이 설정된 비디오 콘텐츠의 불법 복제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텐츠 제공 서버와 다수의 콘텐츠 수신 단말기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접속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아이피 텔레비전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콘텐츠 처리 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동작에 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시청 연령 표시 마크(Mark)의 오에스디 영상이 생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메인 화면의 임의의 위치에 중첩 표시되는 도트(Dot) 형상의 오에스디 영상이 생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자막(Subtitle)의 오에스디 영상이 생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바(Bar)코드의 오에스디 영상이 생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큐알(QR) 코드의 오에스디 영상이 생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오에스디 합성 구간의 위치 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어, 녹화 기능(예: PVR)이 구비된 아이피 텔레비전(IP-TV), 아이피 셋탑 박스(IP-STB) 그리고 개인용 컴퓨터(P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 수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아이피 텔레비전(3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너 모듈(30), 디먹스(31), 오디오 디코더(32), 비디오 디코더(33), 서브타이틀 디코더(34), 합성부(35), 스피커(36), 표시부(37), 오에스디 생성부(38), 제어부(39)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피 텔레비전(300)은, 하드디스크(HDD)와 같은 스토리지(Storage)가 구비된 녹화부(40)와, 네트워크 모듈(41), 아이디 체크부(42), 아이디 삽입부(43), 램(44), 그리고 롬(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9)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튜너 모듈(30)을 동작 제어하여, 임의의 한 디지털 방송 채널을 선국하게 되고, 상기 디먹스(31)에서는,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 스트림, 예를 들어, MPEG-2 데이터 스트림을, 오디오 패킷(Audio Packet), 비디오 패킷(Vid대 Packet), 그리고 서브타이틀 패킷(Subtitle Packet)으로 디먹싱하여, 분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디코더(32)는, 상기 오디오 패킷을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36)로 출력하고, 상기 비디오 디코더(33)는, 상기 비디오 패킷을 디코딩하여 비디오 신호를 상기 합성부(35)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타이틀 디코더(34)는, 상기 서브타이틀 패킷을 디코딩하여, 자막 신호를 상기 합성부(35)로 출력하고,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38)는, 상기 제어부(39)의 동작 제어에 따라 임의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합성부(35)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합성부(35)는, 상기 비디오 신호와 자막 신호, 그리고 오에스디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표시부(37)를 통해 화면 표시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39)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모듈(41)을 동작 제어하여,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연결 접속된 콘텐츠 제공 서버(100)와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네트워크 모듈(41)은, 고유의 아이피 어드레스(IP Address)를 할당한다.
또한, 상기 롬(45)에는, 예를 들어, 아이피 텔레비전(300)에 할당된 고유의 시리얼 번호(Serial Number)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상기 아이피 어드레스(IP Address), 또는 시리얼 번호(Serial Number) 등을 참조하여, 상기 아이피 텔레비전(300)을 임의의 다른 콘텐츠 수신 단말기들과 구분하여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상기 네트워크 모듈(41)을 통해 연결접속된 제어부(39)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영화 또는 음악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저작권(Copyright)이 설정된 유료 콘텐츠의 경우에 사용자 아이디(User ID)와 패스워드(Password) 등을 확인하는 소정의 사용자 인증(User Authentication) 절차 등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 절차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유효하면, 해당 콘텐츠를 다운로딩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39)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수신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먹스(31)와, 오디오 디코더(32), 비디오 디코더(33), 서브타이틀 디코더(34) 등을 거쳐, 오디오 및 비디오로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39)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유료 콘텐츠, 예를 들어, 비디오 콘텐츠를 녹화하는 경우, 아이피 어드레스, 시리얼 번호, 사용자 아이디 등과 같은 수신측 식별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38)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 수신측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오에스디(OSD) 영상을 생성한 후, 비디오 콘텐츠와 함께 녹화하여, 콘텐츠를 불법 복제한 용의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콘텐츠 처리 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아이피 텔레비전(300)의 제어부(39)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모듈(41)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100)와 연결접속하게 된다(S10).
또한, 상기 제어부(39)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와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저작권이 설정된 비디오 콘텐츠의 전송을 요구하는 경우에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유효성을 판별하는 소정의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S11).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증 절차를 통해 사용자 승인이 완료되면,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콘텐츠를 수신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 표시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2).
한편, 상기 제어부(39)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녹화 동작이 요청되는 경우(S13)에 현재 수신되는 콘텐츠가 비디오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별하게 되는 데(S14), 이 경우에 상기 콘텐츠가 복제 방지설정된 비디오 콘텐츠인 지를 판별하는 동작은, 상기 제어부(39)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양방향 통신 중인 콘텐츠 제공 서버(100)에서 전송되는 커맨드에 의해 판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콘텐츠가 복제 방지설정된 비디오 콘텐츠인 경우, 상기 제어부(39)는, 수신측 식별 정보로서 상기 네트워크 모듈(41)에 할당된 고유의 아이피 어드레스 또는 상기 롬(45)에 저장된 시리얼 번호 또는 사용자 인증 절차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아이디 등을 획득하게 된다(S15).
한편,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상기 제어부(39)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 확인된 아이피 어드레스, 시리얼 번호, 사용자 아이디 등의 수신측 식별 정보를, 상기 제어부(39)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9)는, 상기 획득된 수신측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38)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 수신측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오에스디 영상을 서로 다르게 생성하게 된다(S16).
또한, 상기 제어부(39)는, 상기 합성부(35)와 녹화부(40)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 생성된 오에스디 영상이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되어 녹화되도록 하고(S17), 이후 사용자가 요청하는 임의의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S18), 상기와 같이 수신측 식별 정보에 따라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하는 동작에는 다양한 여러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측 식별 정보 중 하나인 아이피 어드레스가 IP_Address=0110.xxxx.xxxx.xxxx 인 경우, 시청 연령 표시 마크(Mark)의 오에스디 영상을 상기 아이피 어드레스에 따라 각기 다르게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여 녹화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청 연령 표시 마크의 배경 색이 밝으면 0의 값에 해당하고, 어두우면 1의 값에 해당하도록 설정하는 방식으로, 재생 화면에 표시되는 시청 연령 표시 마크(Mark)의 배경 색의 밝기를 유심히 관찰하여 상기 아이피 어드레스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측 식별 정보 중 하나인 사용자 아이디가, User_ID=ab12xxxx 인 경우, 메인 화면의 임의의 위치에 중첩 표시되는 도트(Dot) 형상의 오에스디 영상을 상기 사용자 아이디에 따라 각기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여 녹화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 크기의 흑색 도트가 중첩 표시되는 위치가, 메인 화면의 최 좌측상단이면 a의 값에 해당하고, 소형 크기의 백색 도트가 중첩 표시되는 위치가 메인 화면의 최 좌측하단이면 1의 값에 해당하도록 설정하면, 재생 화면에 표시되는 도트의 위치를 유심히 관찰하여, 상기 사용자 아이디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불법 복제한 사용자가, 도트의 표시 상황을 쉽게 알 수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측 식별 정보 중 하나인 시리얼 번호가, Serial Number=LT01xxxx 인 경우에 자막(Subtitle)으로 표시되는 오에스디 영상을, 상기 시리얼 번호에 따라 각기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여 녹화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화면에 중첩 표시되는 자막 영상의 끝 부분에는, 시리얼 번호를 나타내는 L, T, 0, 1 등이 분산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화면에 표시되는 자막 영상을 유심히 관찰하면, 상기 시리얼 번호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데, 이 경우도, 불법 복제한 사용자가, 시리얼 번호의 표시 상황을 쉽게 알 수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38)는, 아이피 어드레스, 사용자 아이디, 시리얼 번호 등과 같은 수신측 식별 정보를, 바(Bar)코드의 오에스디 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코드의 오에스디 영상에는, 상기 수신측 식별 정보는 물론, 녹화 일자 등과 같은 부가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바코드 의 오에스디 영상은 메인 화면에 중첩되어 표시되거나, 별도의 독립된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으므로, 재생 화면에 표시되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불법 복제한 용의자를 효율적으로 추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38)는, 아이피 어드레스, 사용자 아이디, 시리얼 번호 등과 같은 수신측 식별 정보를, 큐알(QR: Quick Response) 코드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큐알 코드의 오에스디 영상은, 상기 수신측 식별 정보는 물론, 녹화 일자 등과 같은 부가 정보들이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큐알 코드 오에스디 영상은 메인 화면에 중첩 표시되거나, 별도의 독립된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으므로, 재생 화면에 표시되는 큐알 코드를 이용하여, 불법 복제한 용의자를 효율적으로 추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39)는,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38)와 녹화부(4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와 같이 생성된 오에스디 영상을,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화 콘텐츠의 일부 구간에 간헐적으로 녹화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생성된 오에스디 영상의 해당 위치 정보(예: Area # mixed OSD #_Position)가 확인되어, 녹화 콘텐츠의 헤더(Header) 영역 또는 태그(Tag) 영역 등에 기록되는 파일 정보(File Information) 내에 부가되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9)에서는,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38)와 녹화부(40)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와 같이 생성된 오에스디 영상을, 녹화 콘텐츠의 특정 구간(예: 시작 구간과 끝 구간)에 고정적으로 녹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성된 오에스디 영상을 녹화 콘텐츠의 일부 구간에 간헐적으로 녹화하고, 생성된 오에스디 영상의 해당 위치 정보(예: Area # mixed OSD #_Position)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바(Bar)코드 또는 큐알(QR)코드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하여, 녹화 콘텐츠의 특정 구간(예: 시작 구간과 끝 구간)에 고정적으로 녹화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비디오 콘텐츠가 임의의 콘텐츠 수신 단말기에 의해 녹화되는지 여부를, 양방향 통신을 통해 감시한 후에, 상기와 같이 수신측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수신 단말기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콘텐츠 제공 서버 200 : 네트워크
300 : 아이피 텔레비전 310 : 아이피 셋탑 박스
320 : 개인용 컴퓨터 30 : 튜너 모듈
31 : 디먹스 32 : 오디오 디코더
33 : 비디오 디코더 34 : 서브타이틀 디코더
35 : 합성부 36 : 스피커
37 : 표시부 38 : 오에스디 생성부
39 : 제어부 40 : 녹화부
41 : 네트워크 모듈 42 : 아이디 체크부
43 : 아이디 삽입부 44 : 램
45 : 롬

Claims (18)

  1.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콘텐츠의 녹화가 요청되면, 수신측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상기 획득된 수신측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비디오 콘텐츠의 메인 화면의 임의의 위치와 중첩되는 도트(Dot) 형상의 오에스디(OSD) 영상을 생성하는 오에스디 생성부;
    상기 생성된 오에스디 영상을 비디오 콘텐츠와 합성하는 합성부; 및
    상기 합성된 오에스디 영상과 비디오 콘텐츠를 녹화하는 녹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식별 정보는, 콘텐츠 수신 단말기의 아이피 어드레스(IP Address) 또는 시리얼 번호(Serial Number)이거나,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사용자 인증 절차를 통해 승인된 사용자 아이디(User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측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수신측 단말기 자체 내에서 상기 수신측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에스디 영상이 녹화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합성된 비디오 콘텐츠의 파일 헤더 또는 태그 영역에 기록하거나,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와 녹화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한 후에 사전에 설정된 특정 위치에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00136940A 2010-12-28 2010-12-28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758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940A KR101758258B1 (ko) 2010-12-28 2010-12-28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940A KR101758258B1 (ko) 2010-12-28 2010-12-28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945A KR20120074945A (ko) 2012-07-06
KR101758258B1 true KR101758258B1 (ko) 2017-07-14

Family

ID=4670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940A KR101758258B1 (ko) 2010-12-28 2010-12-28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2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1416B (zh) * 2016-11-30 2019-10-29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流媒体的播放控制方法、装置和显示屏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6848A (ja) * 1998-11-19 2000-06-06 Toshiba Corp デジタル映像装置およびデジタル映像のコピープロテクト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6848A (ja) * 1998-11-19 2000-06-06 Toshiba Corp デジタル映像装置およびデジタル映像のコピープロテク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945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08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ontent protected media streams
US20050078334A1 (en) Printing control device and printing control method
JP6734743B2 (ja) コンテンツの保護方法
KR101758258B1 (ko) 비디오 콘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JP6736432B2 (ja) 受信装置
JP6734742B2 (ja) コンテンツの保護方法
JP6854948B2 (ja) コンテンツの保護方法
JP6854947B2 (ja) コンテンツの保護方法
JP6854950B2 (ja) コンテンツの保護方法
JP6854949B2 (ja) コンテンツの保護方法
JP6854951B2 (ja) コンテンツの保護方法
JP6854952B2 (ja) コンテンツの保護方法
JP7166485B2 (ja) コンテンツの出力方法
JP6806945B2 (ja) コンテンツの保護方法
JP6808881B2 (ja) コンテンツの出力方法
JP6808879B2 (ja) コンテンツの保護方法
JP6806944B2 (ja) コンテンツの保護方法
JP6808880B2 (ja) コンテンツの出力方法
JP6836685B2 (ja) コンテンツの出力方法
JP6836686B2 (ja) コンテンツの出力方法
JP2011259220A (ja) 放送送受信システム、受信装置及び再視聴制御方法
JP6892240B2 (ja) コンテンツの出力方法
JP6892239B2 (ja) コンテンツの出力方法
JP6885707B2 (ja) コンテンツの出力方法
JP6807193B2 (ja) コンテンツの保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