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054B1 - On-line and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POS system - Google Patents

On-line and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PO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054B1
KR101758054B1 KR1020160178468A KR20160178468A KR101758054B1 KR 101758054 B1 KR101758054 B1 KR 101758054B1 KR 1020160178468 A KR1020160178468 A KR 1020160178468A KR 20160178468 A KR20160178468 A KR 20160178468A KR 101758054 B1 KR101758054 B1 KR 101758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ment
unit
amount
inventory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4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기
Original Assignee
(주)비엠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엠아이티 filed Critical (주)비엠아이티
Priority to KR1020160178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0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0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F17/6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3Inventory monito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06K2017/005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8Industrial image insp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의 쇼핑몰 및 오프라인의 매장에서의 출고량, 재고량을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포스 시스템으로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매장 입고시 상품의 고유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품별 입고량과 입고날짜를 포함하는 입고정보를 획득하고, 매장 출고시 상품의 고유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품별 출고량과 출고날짜를 포함하는 출고정보를 획득하는 상품스캔부; 매장 출고시 상기 상품스캔부에 의해 상품의 스캔됨과 동시에 출고상품의 오프라인 출고량을 입력받는 오프라인 출고량 입력부; 상기 입고정보를 토대로 하여 온라인상의 쇼핑몰에 등록된 상품의 쇼핑몰 출고시 출고상품의 주문정보가 생성됨과 동시에 상기 출고상품의 온라인 출고량을 입력받는 온라인 출고량 입력부; 및 상기 입고량에서 상기 오프라인 출고량 및 온라인 출고량을 합산한 총 출고량을 차감하여 재고량을 집계하는 재고량 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that is used as a force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nd efficiently managing the quantity of shipment and inventory in an online shopping mall and an offline store using a force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scan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a product at the time of goods receipt at the store to obtain the goods receipt information including the goods receipt amount and the receipt date and scan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goods at the time of shipment to obtain the shipp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duct shipment amount and the shipment date A product scanning unit to acquire the product; An offline shipment quantity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ffline shipment quantity of the shipped merchandise at the same time that the product is scanned by the product shipment unit at the shipment of the shipment; An online shipment volume input unit for generating order information of a shipped merchandise at the time of shipment of a commodity registered on a shopping mall on-line based on the shipment information and inputting an online shipment volume of the shipped merchandise; And an inventory counting unit for counting an inventory amount by subtracting the total shipment amount obtained by adding the off-line shipment amount and the online shipment amount from the shipment amount.

Description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 {On-line and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POS system}[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POS system,

본 발명은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의 쇼핑몰 및 오프라인의 매장에서의 출고량, 재고량을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포스 시스템으로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n-line and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을 통한 구매는 오프라인에서 발생하고 있는 매출을 이미 추월하고 있는 상황이다.Internet, mobile, and other online purchases are already overtaking offline sales.

이와 같은 온라인 판매의 급속한 증가 추세에 따라 기존 백화점이나 대형마트를 보유한 업체는 온라인 매출의 비중을 높이기 위해 기존 오프라인 매장과 연관된 온라인 쇼핑몰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기존 오프라인 매장을 보유한 업체들은 각 지역마다 매장을 가지고 있으며, 상품 특성을 고려한 판매 전략과 브랜드 차별화를 위해 여러 개의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도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Due to the rapid increase in online sales, existing department stores and large discount stores have established online shopping malls related to existing offline stores in order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online sales. Companies that have existing offline stores have stores in each region, and they also operate several online shopping malls to differentiate their sales strategies and brands in consideration of product characteristics.

기존 오프라인 매장을 보유한 업체에 의해 운영되는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는 각 지역 매장과 연관되어 있어서,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는 해당 지역 매장에서 취급하는 상품이 전시되어 판매되고 있다.An online shopping mall site operated by a company having a conventional offline store is associated with each local store, and the products handled in the corresponding local store are displayed on the online shopping mall site.

이와 반대로, 온라인 상에서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는 업체도 오프라인 매출의 비중을 높이기 위해 기존 쇼핑몰과 연관된 오프라인 매장을 구축하여 운영하는 추세이다.On the contrary, companies that operate online shopping malls tend to build and operate offline stores related to existing shopping malls in order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offline sales.

즉, 상품의 판매는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쇼핑몰에서 모두 이루어지므로, 재고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쇼핑몰을 연동하여 상품의 품목코드에 따라 출고량, 재고량을 매칭하여 관리하였으나, 종래의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은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총 재고량과, 실제 재고량이 일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를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since sales of products are performed both in the offline store and the online shopping mall, in order to grasp the inventory status, the offline store and the online shopping mall interlocked to manage the shipment quantity and the stock quantity according to the item code of the product, The inven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errors that occur due to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total inventory quantity in the offline store and the online shopping mall and the actual inventory quantity.

따라서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가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상품의 판매에 의해 상품을 출고할 때 출고량과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총 재고량과 실제 재고량의 불일치에 따른 오류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when the goods are shipped by the sale of the goods in the state where the offline store and the online shopping mall site are operate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hipment quantity and the inventory quantity in real time, and it is possible to grasp an error due to the discrepancy between the total inventory quantity in the offline store and the online shopping mall,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grated online / offlin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that minimizes the incidence rat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26774호 (2002년 02월 19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26774 (February 19, 20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가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상품의 판매에 의해 상품을 출고할 때 출고량과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총 재고량과 실제 재고량의 불일치에 따른 오류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re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on-line / off-lin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that minimizes a rate of errors caused by a mismatch between a total inventory quantity in an online shopping mall and an actual inventory quantity.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은 매장 입고시 상품의 고유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품별 입고량과 입고날짜를 포함하는 입고정보를 획득하고, 매장 출고시 상품의 고유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품별 출고량과 출고날짜를 포함하는 출고정보를 획득하는 상품스캔부; 매장 출고시 상기 상품스캔부에 의해 상품의 스캔됨과 동시에 출고상품의 오프라인 출고량을 입력받는 오프라인 출고량 입력부; 상기 입고정보를 토대로 하여 온라인상의 쇼핑몰에 등록된 상품의 쇼핑몰 출고시 출고상품의 주문정보가 생성됨과 동시에 상기 출고상품의 온라인 출고량을 입력받는 온라인 출고량 입력부; 및 상기 입고량에서 상기 오프라인 출고량 및 온라인 출고량을 합산한 총 출고량을 차감하여 재고량을 집계하는 재고량 집계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tegrated on-line and off-lin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PO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can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a product at the time of goods receipt at the warehouse to obtain goods receipt information including goods- A product scanning unit that scan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roduct to obtain the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duct shipment amount and the product shipment date; An offline shipment quantity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ffline shipment quantity of the shipped merchandise at the same time that the product is scanned by the product shipment unit at the shipment of the shipment; An online shipment volume input unit for generating order information of a shipped merchandise at the time of shipment of a commodity registered on a shopping mall on-line based on the shipment information and inputting an online shipment volume of the shipped merchandise; And an inventory amount counting unit for counting the inventory amount by subtracting the total discharge amount by adding the offline shipment amount and the online shipment amount from the shipment amount.

또한, 상기 재고량 및 실제 재고량이 불일치하면 상기 재고량의 파악 오류를 판단하는 오류판단부; 및 상기 오류판단부를 통해 상기 재고량의 파악 오류를 알리는 오류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rror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n error in identifying the inventory amount if the inventory amount and the actual inventory amount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an error notification unit for informing an error of grasping the inventory amount through the error determination unit.

또한, 상기 재고량 및 실제 재고량이 불일치할 경우에, 매장 입고되는 상품을 영상으로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입고상품의 수량을 확인하기 위한 입고상품 이미지로 변환하는 입고상품 촬영모듈 및 상기 입고상품 이미지로부터 상기 입고상품의 입고량을 추출하는 입고량 추출모듈을 포함하는 입고량 촬영부; 매장 출고되는 상품을 영상으로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출고상품의 수량을 확인하기 위한 출고상품 이미지로 변환하는 출고상품 촬영모듈 및 상기 출고상품 이미지로부터 상기 출고상품의 오프라인 출고량을 추출하는 오프라인 출고량 추출모듈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출고량 촬영부; 및 쇼핑몰 출고되는 출고상품의 상기 주문정보를 상기 출고상품의 수량을 확인하기 위한 주문정보 이미지로 캡처하는 주문정보 캡처모듈 및 상기 주문정보 이미지로부터 상기 출고상품의 온라인 출고량을 추출하는 온라인 출고량 추출모듈을 포함하는 온라인 출고량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f there is an inconsistency between the stock amount and the actual stock amount, a goods receipt image photographing module captures the goods in the store and converts the goods into the goods receipt image for confirming the quantity of the goods in the image, An stock amount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n stock amount extracting module for extracting an stock amount of the goods receipt; An output goods photographing module for photographing a product shipped from a store and converting the image into a goods image for goods confirmation for confirming the quantity of the goods shipped, and an offline shipment quantity extracting module for extracting the shipment quantity of the shipment goods from the shipment product image An off-line shipment amount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n off- And an order information capturing module for capturing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shipped merchandise shipped from the shopping mall to an order information image for confirming the quantity of the shipped merchandise and an online shipment quantity extracting module for extracting the online shipment quantity of the shipped merchandise from the order information image And an on-line shipment amount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the on-line shipment amount photographing unit.

또한, 상기 재고량 및 실제 재고량이 일치할 경우에, 상기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재고량 표시부; 및 상기 쇼핑몰 상에 상기 재고량이 표시되도록 상기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재고량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ory quantity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ventory quantity on a screen in real time when the inventory quantity and the actual inventory quantity match; And an inventory quantity delivering unit for delivering the inventory quantity in real time so that the quantity of the goods is displayed on the shopping mall.

또한, 상기 오류판단부는 매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실제 재고량을 입력받는 실제 재고량 입력모듈 또는 매당 내의 재고 상품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재고상품 촬영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rror judging unit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of an actual stock quantity input module for receiving the actual stock quantity existing in the store or an inventory commodity photographing module for photographing the inventory goods in real time.

또한, 상기 입고정보 및 출고정보는 상품별 단위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품별 단위정보로 일정 수량의 묶음단위 또는 낱개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가 지정되도록 상품별 단위를 선택하는 단위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unit selection unit that selects unit-specific units such that the goods receipt information and the goods information further include unit-specific unit information, and the unit-specific unit information is such that any one of a bundle unit or a single unit is specified .

또한, 상기 단위선택부는 상기 상품별 단위정보를 일정 수량의 묶음 단위에서 낱개단위로 변환하는 낱개단위 변환모듈과, 상기 상품별 단위정보를 낱개단위에서 일정 수량의 묶음 단위로 변환하는 묶음단위 변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nit selection unit may include a unit conversion module for converting the unit-specific unit information into a unit of a unit of a certain number of units, and a unit conversion module for converting the unit-specific unit information of a unit of the unit into a unit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units. .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은 오프라인 출고량 입력부, 온라인 출고량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출고량을 토대로 하여 재고량을 집계하는 재고량 집계부를 포함하므로, 자동으로 재고량을 집계할 수 있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한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O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ventory quantity aggregation unit for aggregating inventory quantities based on the quantity of products received from the offline shipment quantity input unit and the online shipment quantity input unit, , An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amount of inventory that integrates online and offline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의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품의 출고시 입력받은 온라인/오프라인 출고량에 따른 재고량과 실제 재고량이 불일치한 오류를 판단하는 오류판단부를 포함하므로, 입고량, 온라인/오프라인 출고량의 재확인을 유도하여 재고량의 파악 오류를 즉각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 보다 더 정확한 재고량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O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rror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n error of an inconsistency between an inventory quantity and an actual inventory quantity according to an inputted online / offline shipment quantity at the time of shipment of a product, It is possible to instantaneously solve the mistake of the inventory quantity by inducing the revalidation of the offline shipment quantity, an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more accurate inventory quantity.

또한, 본 발명의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품별 단위를 선택하는 단위선택부를 통해 특정 단위를 지정할 수 있으므로, 상품의 입고 또는 출고시 발생할 수 있는 단위정보의 입력오류에 의한 입고 또는 출고상품의 수량 파악의 오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O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signate a specific unit through a unit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unit for each produc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errors in the quantity of the goods being shipp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grated online / offlin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grated online / offlin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is provided to inform the person completely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herei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품스캔부(110), 오프라인 출고량 입력부(120), 온라인 출고량 입력부(130) 및 재고량 집계부(140)를 포함한다.1, the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OS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duct scanning unit 110, an offline shipment quantity input unit 120, an online shipment quantity input unit 130, And an inventory counting unit 140.

상품스캔부(110)는 매장 입고시 상품의 고유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품별 입고량과 입고날짜를 포함하는 입고정보를 획득하고, 매장 출고시 상품의 고유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품별 출고량과 출고날짜를 포함하는 출고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고유식별코드는 상품별로 부여되는 바코드를 말하며, 이 고유식별코드를 스캔하는 상품스캔부는 바코드 리더기(또는 바코드 스캐너)일 수 있다.The product scanning unit 110 scan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roduct upon receipt of the goods to obtain the goods receipt information including the goods receipt amount and the receipt date and scan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goods at the time of shipment, To obtain the factory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refers to a bar code assigned to each product, and the product scanning unit for scann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may be a bar code reader (or a bar code scanner).

오프라인 출고량 입력부(120)는 매장 출고시 상품스캔부(110)에 의해 상품의 스캔됨과 동시에 출고상품의 오프라인 출고량을 입력받는다.The offline shipment amount input unit 120 receives the offline shipment amount of the shipped merchandise at the same time that the product is scanned by the product shipment unit 110 at the store shipment.

온라인 출고량 입력부(130)는 입고정보를 토대로 하여 온라인상의 쇼핑몰에 등록된 상품의 쇼핑몰 출고시 출고상품의 주문정보가 생성됨과 동시에 상기 출고상품의 온라인 출고량을 입력받는다.On the basis of the goods receipt information, the online shipment quantity input unit 130 generates order information of the goods shipped from the shopping mall at the time of shipment of the goods registered in the shopping mall on-line, and receives the online shipment quantity of the shipment goods.

재고량 집계부(140)는 입고량에서 오프라인 출고량 및 온라인 출고량을 합산한 총 출고량을 차감하여 재고량을 집계한다. 이때, 재고량 집계부(140)는 상품별로 입고량, 오프라인 출고량 및 온라인 출고량을 각각 합산하여 재고량을 집계한다.The inventory counting unit 140 counts the inventory amount by subtracting the total shipment amount obtained by adding the offline shipment amount and the online shipment amount from the shipment amount. At this time, the inventory counting unit 140 sums the stock amount, the off-line shipment amount, and the online shipment amount for each product.

예를 들어 상품이 연필일 경우, 연필의 입고량 20개, 연필의 오프라인 출고량 4개, 연필의 온라인 출고량 6개이면, 총 출고량은 10개이고 재고량은 입고량 20개에서 총 출고량 10개를 차감한 10개이다.For example, if the product is a pencil, the total quantity of shipment is 10, the quantity of pencil is 20, the quantity of pencil is 4, the quantity of pencil is 4, and the quantity of pencil is 6.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은 온라인 출고량 및 오프라인 출고량을 입력받아 자동으로 재고량을 집계할 수 있으므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한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us, the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OS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ollect inventory amounts by receiving the online shipment volume and the offline shipment volume, As shown in FIG.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품스캔부(110), 오프라인 출고량 입력부(120), 온라인 출고량 입력부(130), 재고량 집계부(140)와 함께, 오류판단부(210) 및 오류알림부(220)를 더 포함한다.2, the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OS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duct scanning unit 110, an off-shipment shipment amount input unit 120, an on-line shipment amount input unit 130, And includes an error determination unit 210 and an error notification unit 220 together with an inventory counting unit 140.

오류판단부(210)는 재고량 및 실제 재고량이 불일치하면 재고량의 파악 오류를 판단한다. 이때, 오류판단부(210)는 상품별 재고량 및 실제 재고량을 매칭하여 해당 상품의 재고량 파악 오류를 판단한다.The error judging unit 210 judges an error of grasping the stock quantity when the stock quantity and the actual stock quantity do not match. At this time, the error judging unit 210 judges the inventory quantity misidentification of the product by matching the inventory quantity and the actual inventory quantity by product.

예를 들어, 연필의 재고량 및 실제 재고량이 각각 10개, 15개이고, 지우개의 재고량 및 실제 재고량이 각각 10개, 10개이면, 오류판단부는 상품별로 재고량 및 실제 재고량을 매칭하고, 재고량 및 실제 재고량이 일치하지 않는 연필의 재고량 파악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재고량 및 실제 재고량이 일치하는 지우개는 재고량 파악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데, 재고량 및 실제 재고량이 일치하는 경우는 후술할 도 4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For example, if the stock quantity of the pencil and the actual stock quantity are respectively 10 and 15, and the stock quantity and the actual stock quantity of the eraser are 10 and 10, respectively, the error judgment part matches the stock quantity and actual stock quantity for each product, It is judged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inventory amount of the pencil which does not match. 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eraser having the matching stock amount and the actual stock amount does not cause an error in the stock amount determination. If the stock amount and the actual stock amount match,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in FIG.

한편, 오류판단부(210)는 매장 내에 존재하는 실제 재고량을 입력받는 실제 재고량 입력모듈(미도시) 또는 매장 내의 재고 상품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재고상품 촬영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error judging unit 210 may store at least one of an actual stock quantity input module (not shown) for inputting the actual inventory quantity present in the store or an inventory goods photographing module (not shown) It is possible to include.

이러한 오류판단부(210)는 실제 재고량 입력모듈 또는 재고상품 촬영모듈을 포함하므로, 재고량의 비교대상이 되는 실제 재고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error judging unit 210 includes an actual stock quantity input module or an inventory commodity photographing modu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ctual inventory quantity to be compared with the stock quantity can be accurately grasp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오류판단부(210)를 통해 재고량 파악 오류를 검출함으로써, 상품스캔부(110), 오프라인 출고량 입력부(120) 또는 온라인 출고량 입력부(130)의 입고량, 오프라인 출고량 또는 온라인 출고량의 입력오류임을 판단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an error in detecting the stock amount through the error determination unit 210, the stock amount of the product scanning unit 110, the offline shipment amount input unit 120 or the online shipment amount input unit 130, It is possible to judge that it is an input error of the shipment quantity or the online shipment quantity.

또한, 오류알림부(220)는 오류판단부(210)를 통해 판단된 입고량, 오프라인 출고량 또는 온라인 출고량의 입력오류임을 알림으로써, 입고량, 오프라인 출고량 또는 온라인 출고량의 재확인을 유도하여 재고량의 파악 오류를 즉각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The error notifying unit 220 notifies the error determination unit 210 of an input error of the input stock amount, the offline shipment amount, or the online shipment amount, thereby inducing the reconfirmation of the shipment amount, the offline shipment amount, or the online shipment amount, It can be solved immediately.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grated online / offlin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품스캔부(110), 오프라인 출고량 입력부(120), 온라인 출고량 입력부(130), 재고량 집계부(140), 오류판단부(210), 오류알림부(220)와 함께, 입고량 촬영부(310), 오프라인 출고량 촬영부(320) 및 온라인 출고량 촬영부(330)를 더 포함한다.3, the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OS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duct scanning unit 110, an offline shipment amount input unit 120, an online shipment amount input unit 130, An offline shipment quantity photographing unit 320 and an online shipment quantity photographing unit 330 together with an inventory quantity aggregating unit 140, an error judging unit 210 and an error notifying unit 220.

입고량 촬영부(310)는 매장 입고되는 상품을 영상으로 촬영하고, 영상을 입고상품의 수량을 확인하기 위한 입고상품 이미지로 변환하는 입고상품 촬영모듈(312) 및 입고상품 이미지로부터 입고상품의 입고량을 추출하는 입고량 추출모듈(314)을 포함한다. 즉, 입고상품 촬영모듈(312)을 통해 입고상품을 촬영하여 입고시 상품의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고량 추출모듈(314)을 통해 입고상품 이미지로부터 입고량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고, 상품스캔부(110)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입고량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loading amount photographing unit 310 photographs the goods to be received at the store, implements the images, and converts the goods into the goods receipt image for confirming the quantity of the goods. Extracting module 314 for extracting a stock amount.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apture the goods receipt through the goods receipt shooting module 312 and to grasp the overall state of the goods at the time of goods receipt, as well as to automatically extract the goods receipt quantity from the goods receipt image through the goods receipt quantity extraction module 314,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loading amount can be confirmed mo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than when the scanning unit 110 is used.

오프라인 출고량 촬영부(320)는 매장 출고되는 상품을 영상으로 촬영하고, 영상을 출고상품의 수량을 확인하기 위한 출고상품 이미지로 변환하는 출고상품 촬영모듈(322) 및 출고상품 이미지로부터 출고상품의 오프라인 출고량을 추출하는 오프라인 출고량 추출모듈(324)을 포함한다. 즉, 출고상품 촬영모듈(322)을 통해 출고상품을 촬영하여 출고시 상품의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출고량 추출모듈(324)을 통해 출고상품 이미지로부터 출고량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고, 오프라인 출고량 입력부(120)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오프라인 출고량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offline shipment quantity photographing unit 320 photographs the goods shipped from the shipment, images the shipped goods image module 322 for converting the image into a shipped commodity image for confirming the quantity of the shipped commodity, And an offline shipment quantity extraction module 324 for extracting shipment quantity.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shipped goods through the shipped goods shooting module 322, to grasp the overall condition of the shipped goods, and also to automatically extract the shipment amount from the shipped goods image through the offline shipped warehouse quantity extraction module 324,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ffline shipment amount can be confirmed mo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than when the offline shipment amount input unit 120 is used.

이때, 입고상품 촬영모듈(312) 및 출고상품 촬영모듈(322)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정지영상인 이미지로 변환함으로써, 입고상품 촬영모듈(312) 및 출고상품 촬영모듈(322)의 메모리 및 프로세스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converting the images photographed through the goods receipt shooting module 312 and the goods shipment module 322 into still images, the memories and processes of the goods receipt shooting module 312 and the goods shipment module 322 The amount of usage can be minimized.

또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입고량 및 출고량을 추출함으로써, 영상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더 정확한 입고량 및 출고량을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by extracting the stock amount and the output quantity using the ima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ccurate inventory quantity and the output quantity can be grasp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the image.

온라인 출고량 촬영부(330)는 쇼핑몰 출고되는 출고상품의 주문정보를 출고상품의 수량을 확인하기 위한 주문정보 이미지로 캡처하는 주문정보 캡처모듈(332) 및 주문정보 이미지로부터 출고상품의 온라인 출고량을 추출하는 온라인 출고량 추출모듈(334)을 포함한다. 즉, 온라인 출고량 입력부(130)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온라인 출고량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online shipment quantity photographing unit 330 includes an order information capturing module 332 for capturing order information of the shipped commodity shipped from the shopping mall to an order information image for confirming the quantity of the shipped commodity and an online shipment quantity of the shipment commodity from the order information image And an on-line shipment amount extraction module 334.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nline shipment amount can be confirmed mo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than when the online shipment amount input unit 130 is use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입고량 촬영부(310), 오프라인 출고량 촬영부(320) 및 온라인 출고량 촬영부(330)는 재고량과 실제 재고량이 불일치하여 재고량의 파악 오류로 판단될 경우에만 동작되도록 하여 촬영모듈 및 캡처모듈의 프로세스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tock amount photographing unit 310, the offline stock output photographing unit 320, and the online shipment amount photographing unit 330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be operated only when the stock quantity and the actual stock quantity are inconsistent, Thereby minimizing the process usage of the photographing module and the capture module.

또한, 입고량 촬영부(310), 오프라인 출고량 촬영부(320) 및 온라인 출고량 촬영부(330)를 통해 입고량, 오프라인 출고량 및 온라인 출고량을 다시 확인함으로써, 재고량의 파악 오류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firming the stock amount, the offline shipment amount, and the online shipment amount through the stock amount photographing unit 310, the offline shipment amount photographing unit 320, and the online shipment amount photographing unit 330,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solve the error of the stock amount.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품스캔부(110), 오프라인 출고량 입력부(120), 온라인 출고량 입력부(130), 재고량 집계부(140), 오류판단부(210), 오류알림부(220)와 함께, 재고량 표시부(340) 및 재고량 전달부(350)를 더 포함한다.4, the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OS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duct scanning unit 110, an offline shipment amount input unit 120, an online shipment amount input unit 130, An inventory quantity display unit 340 and an inventory quantity transfer unit 350 together with an inventory quantity aggregation unit 140, an error determination unit 210, and an error notification unit 220.

재고량 표시부(340)는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화면상에 표시한다. The stock quantity display unit 340 displays an inventory quantity on the screen in real time.

재고량 전달부(350)는 쇼핑몰 상에 재고량이 표시되도록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전달한다.The stock quantity transferring unit 350 delivers the stock quantity in real time so that the stock quantity is displayed on the shopping mall.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재고량과 실제 재고량이 일치할 경우에만 재고량 표시부(340) 및 재고량 전달부(350)를 통해 재고량을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쇼핑몰 상에 표시함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재고량을 제공할 수 있고, 재고가 모두 소진될 시 품절상태를 알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ck quantity is displayed on the screen or displayed on the shopping mall through the stock quantity display unit 340 and the stock quantity transfer unit 350 only when the stock quantity matches the actual stock quantity,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notify the sold out condition when the stock is exhaus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grated online / offlin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품스캔부(110), 오프라인 출고량 입력부(120), 온라인 출고량 입력부(130), 재고량 집계부(140)와 함께, 단위선택부(410)를 더 포함한다.5, the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OS system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duct scanning unit 110, an offline shipment amount input unit 120, an online shipment amount input unit 130, Together with an inventory counting unit 140, a unit selection unit 410. [

이때, 입고정보 및 출고정보는 상품별 단위정보를 더 포함한다. 상품별 단위정보는 상품의 수를 세는 단위를 말하며, 연필 한 "자루", 지우개 한 "개", 공책 한 "권" 등의 단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oods receipt information and the goods issue information further include unit-specific unit information. The unit-specific unit information is a un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items, and unit information such as a pencil "sack", an eraser "dog", and a notebook can be included.

단위선택부(410)는 상품별 단위정보로 일정 수량의 묶음단위 또는 낱개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가 지정되도록 상품별 단위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낱개단위는 연필 한 "자루", 지우개 한 "개", 공책 한 "권" 등이 있을 수 있고, 묶음단위는 연필 한 "다스", 공책 한 "묶음" 등이 있을 수 있다.The unit selection unit 410 selects a product-specific unit such that any unit of bundle unit or individual unit is specified as the unit-specific unit information. For example, an individual unit may have a pencil "sack", an eraser "dog", a notebook "book", and the bundle unit may be a pencil "dozen" or a notebook "bundle".

구체적으로, 단위선택부(410)는 상품별 단위정보를 일정 수량의 묶음단위에서 낱개단위로 변환하는 낱개단위 변환모듈(412)과, 상품별 단위정보를 낱개단위에서 일정 수량의 묶음단위로 변환하는 묶음단위 변환모듈(414)을 더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unit selection unit 410 includes a unit conversion module 412 for converting unit-specific unit information from a batch unit to a unit, and a batch conversion unit 412 for converting the unit-specific unit information from a single unit to a batch unit And a unit conversion module 414.

이때, 상품의 입고 또는 출고시 단위정보의 입력오류에 의해 입고상품 또는 출고상품의 수량 파악에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단위선택부(410)를 통해 특정 단위를 지정하여 정확하게 상품의 수량을 파악할 수 있다.In this case, an error may occur in the number of goods receipt or shipment item due to an error in inputting the unit information at the time of goods receipt or shipment. The unit selection unit 410 may specify a specific unit to accurately grasp the quantity of goods have.

예를 들어, 상품이 연필이라면, 단위가 "자루"와 "다스"가 혼합되어 지정되어 있을 경우, 단위선택부(410)를 통해 연필의 단위를 "자루" 또는 "다스" 중 하나로 통일하여 연필의 입고 또는 출고시 정확한 수량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f the product is a pencil, the unit of the pencil is unified into one of "sack" or "dozen" through the unit selection unit 410 when the unit is designated by mixing "sack" It is possible to check the exact quantity at the time of goods receipt or shipment.

더 나아가, 하나의 묶음단위에 해당하는 낱개단위의 수량은 일반적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의 묶음단위에 해당하는 낱개단위의 수량을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필의 경우 한 다스는 12자루의 연필을 말하고, 공책 한 묶음은 10권의 공책을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10자루의 연필을 한 다스로 지정하거나, 공책 5권을 한 묶음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Furthermore, although the number of individual units corresponding to one bundle unit is generally specified, the number of individual units corresponding to one bundle unit may be arbitrarily designated as necessary.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encil, a dozen refers to twelve pencils, and a bundle of notebooks refers to ten notebooks, but ten cartridges may be designated as a dozen, or five notebooks may be designated as one bundle. It is possibl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을 통해 재고량을 파악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Referring to FIG. 6, a description will now be made of a procedure for determining an inventory amount through an integrated online / offlin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 force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품의 매장 입고시 상품스캔부는 상품의 고유식별코드를 스캔(S10)하여 입고정보를 획득한다.First, at the store entrance of the merchandise, the merchandise scanning unit scan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merchandise (S10) to acquire the merchandise receipt information.

그리고 상품의 매장 출고시, 상품의 고유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출고정보를 획득하는데, 이때 오프라인 출고량 입력부는 오프라인 출고상품의 오프라인 출고량을 입력받는다. 또한, 상품의 쇼핑몰 출고시, 출고상품의 주문정보가 생성됨과 동시에 온라인 출고량 입력부는 온라인 출고상품의 온라인 출고량을 입력받는다(S20).At the time of shipment of the goods, the offline shipment quantity input unit receives the offline shipment quantity of the off-shipment goods by scann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merchandise to obtain the shipment information. At the time of shipment of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of the shipment item is gener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online shipment quantity input unit receives the online shipment quantity of the shipment item (S20).

그러면, 재고량 집계부는 상품별로 오프라인 출고량 및 온라인 출고량을 합산하여 총 출고량을 계산하고, 입고량에서 총 출고량을 차감하여 재고량을 계산한다(S30).Then, the inventory counting unit sums the offline shipment amount and the online shipment amount for each product, calculates the total shipment amount, and calculates the stock amount by subtracting the total shipment amount from the shipment amount (S30).

계산된 재고량과 실제 재고량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S40), 오류판단부는 재고량의 파악 오류로 판단하고, 오류알림부는 이러한 오류를 알린다. If the calculated inventory amount does not match the actual stock amount (S40), the error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inventory amount is an error in grasping the inventory amount, and the error notification unit notifies the error.

재고량 파악 오류를 해소하고자 다시 재고량을 파악하기 위해, 오프라인 출고량 촬영부 및 온라인 출고량 촬영부를 통해 오프라인 출고량 및 온라인 출고량을 각각 재추출하고, 재추출된 오프라인 출고량 및 온라인 출고량으로 재고량을 재집계한다. 이때, 입고량의 획득 오류일 수도 있으므로 입고량 촬영부를 통해 입고량을 재획득할 수도 있다(S45).In order to solve the inventory count error, the off-line shipment quantity and the online shipment quantity are re-extracted through the offline shipment quantity shooting unit and the online shipment quantity shooting unit, respectively, and the inventory quantity is re-counted by the re-extracted offline shipment quantity and online shipment quantity. At this time, since it may be an acquisition error of the stock amount, the stock amount may be reacquired through the stock image capturing unit (S45).

이와 반대로, 재고량과 실제 재고량이 일치할 경우(S40), 재고량 파악이 완료된 것이므로 재고량을 화면에 표시하거나, 쇼핑몰 상에 재고량이 표시되도록 재고량을 전달한다(S50).On the contrary, if the quantity of the stock matches the actual quantity of the stock (S40), the quantity of the stock is completed, so the quantity of the stock is displayed on the screen or the quantity of the stock is displayed on the shopping mall (S50).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e claims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상품스캔부
120: 오프라인 출고량 입력부
130: 온라인 출고량 입력부
140: 재고량 집계부
210: 오류판단부
220: 오류알림부
310: 입고량 촬영부
312: 입고상품 촬영모듈
314: 입고량 추출모듈
320: 오프라인 출고량 촬영부
322: 출고상품 촬영모듈
324: 오프라인 출고량 추출모듈
330: 온라인 출고량 촬영부
332: 주문정보 캡처모듈
334: 온라인 출고량 추출모듈
340: 재고량 표시부
350: 재고량 전달부
410: 단위선택부
412: 낱개단위 변환모듈
414: 묶음단위 변환모듈
110:
120: Offline shipment quantity input unit
130: Online output quantity input unit
140:
210:
220: error notification unit
310:
312: goods receipt shooting module
314: Stock Extraction Module
320: Off-line shipment quantity photographing section
322: goods shipment module
324: Off-line shipment quantity extraction module
330: Online shipment quantity shooting section
332: Order Information Capture Module
334: Online output quantity extraction module
340:
350:
410: Unit selection unit
412: Single Unit Conversion Module
414: Bundle unit conversion module

Claims (7)

매장 입고시 상품의 고유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품별 입고량과 입고날짜를 포함하는 입고정보를 획득하고, 매장 출고시 상품의 고유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상품별 출고량과 출고날짜를 포함하는 출고정보를 획득하는 상품스캔부;
매장 출고시 상기 상품스캔부에 의해 상품의 스캔됨과 동시에 출고상품의 오프라인 출고량을 입력받는 오프라인 출고량 입력부;
상기 입고정보를 토대로 하여 온라인상의 쇼핑몰에 등록된 상품의 쇼핑몰 출고시 출고상품의 주문정보가 생성됨과 동시에 상기 출고상품의 온라인 출고량을 입력받는 온라인 출고량 입력부;
상기 입고량에서 상기 오프라인 출고량 및 온라인 출고량을 합산한 총 출고량을 차감하여 재고량을 집계하는 재고량 집계부;
매장 내에 존재하는 재고 상품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실제 재고량 파악하는 재고상품 촬영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재고량 및 상기 실제 재고량이 불일치하면 상기 재고량의 파악 오류를 판단하는 오류판단부;
상기 오류판단부를 통해 상기 재고량의 파악 오류를 알리는 오류알림부;
상기 재고량 및 실제 재고량이 불일치할 경우에, 매장 입고되는 상품을 영상으로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입고상품의 수량을 확인하기 위한 정지영상 형태의 입고상품 이미지로 변환하는 입고상품 촬영모듈 및 상기 입고상품 이미지로부터 상기 입고상품의 입고량을 추출하는 입고량 추출모듈을 포함하는 입고량 촬영부;
상기 재고량 및 실제 재고량이 불일치할 경우에, 매장 출고되는 상품을 영상으로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출고상품의 수량을 확인하기 위한 정지영상 형태의 출고상품 이미지로 변환하는 출고상품 촬영모듈 및 상기 출고상품 이미지로부터 상기 출고상품의 오프라인 출고량을 추출하는 오프라인 출고량 추출모듈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출고량 촬영부; 및
상기 재고량 및 실제 재고량이 불일치할 경우에, 쇼핑몰 출고되는 출고상품의 상기 주문정보를 상기 출고상품의 수량을 확인하기 위한 주문정보 이미지로 캡처하는 주문정보 캡처모듈 및 상기 주문정보 이미지로부터 상기 출고상품의 온라인 출고량을 추출하는 온라인 출고량 추출모듈을 포함하는 온라인 출고량 촬영부;
를 포함하는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
A product that scan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roduct when it is in the store to acquire the goods receipt information including the goods receipt amount and the receipt date and scan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goods at the time of shipment to obtain the shipp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duct shipment amount and the shipment date A scan unit;
An offline shipment quantity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ffline shipment quantity of the shipped merchandise at the same time that the product is scanned by the product shipment unit at the shipment of the shipment;
An online shipment volume input unit for generating order information of a shipped merchandise at the time of shipment of a commodity registered on a shopping mall on-line based on the shipment information and inputting an online shipment volume of the shipped merchandise;
An inventory counting unit for counting an inventory amount by subtracting a total shipment amount obtained by adding the offline shipment amount and an online shipment amount from the shipment amount;
An error judging unit for judging an error of grasping the inventory quantity when the inventory quantity and the actual inventory quantity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An error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an error of grasping the inventory amount through the error determination unit;
A goods receipt photographing module for photographing a commodity received at a store and converting the image into an image of a goods receipt image in the form of a still image for checking the quantity of the commodity when the image is received, An stock amount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n stock amount extracting module for extracting an stock amount of the goods receipt from the image;
A shipment commodity photographing module for photographing a commodity shipped from a store and converting the image into a shipment commodity image of a still image type for confirming the quantity of the commodity shipped when the inventory quantity and the actual inventory quantity do not match, An offline shipment quantity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n offline shipment quantity extracting module for extracting an off-shipment shipment quantity of the shipped merchandise from the image; And
An order information capturing module that captures the order information of a shipped merchandise shipped from a shopping mall to an order information image for confirming the quantity of the shipped merchandise when the stock quantity and the actual stock quantity do not match, An online shipment amount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n online shipment amount extracting module for extracting an online shipment amount;
An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POS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량 및 상기 실제 재고량이 일치할 경우에,
상기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재고량 표시부; 및
상기 쇼핑몰 상에 상기 재고량이 표시되도록 상기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재고량 전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inventory quantity and the actual inventory quantity match,
An inventory quantity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ventory quantity on a screen in real time; And
An inventory quantity delivering unit for delivering the inventory quantity in real time so that the inventory quantity is displayed on the shopping mall;
And an online /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OS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정보 및 출고정보는 상품별 단위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품별 단위정보로 일정 수량의 묶음단위 또는 낱개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가 지정되도록 상품별 단위를 선택하는 단위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oods receipt information and the goods issue information further include unit-specific unit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a unit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product-specific unit such that any one of a bundle unit or a single unit is specified as the unit-specific unit inform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선택부는
상기 상품별 단위정보를 일정 수량의 묶음단위에서 낱개단위로 변환하는 낱개단위 변환모듈과,
상기 상품별 단위정보를 낱개단위에서 일정 수량의 묶음단위로 변환하는 묶음단위 변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unit selector
A unit conversion module for converting the unit-specific unit information from a batch unit to a unit;
And a bundle unit conversion module for converting the unit-specific unit information into a bundle unit of a certain number in units of one unit.
KR1020160178468A 2016-12-23 2016-12-23 On-line and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POS system KR1017580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468A KR101758054B1 (en) 2016-12-23 2016-12-23 On-line and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PO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468A KR101758054B1 (en) 2016-12-23 2016-12-23 On-line and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POS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054B1 true KR101758054B1 (en) 2017-07-14

Family

ID=5935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468A KR101758054B1 (en) 2016-12-23 2016-12-23 On-line and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POS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054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001B1 (en) * 2019-02-07 2019-12-17 조홍제 Produ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store using POS system
CN111130009A (en) * 2019-12-26 2020-05-08 智洋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determining running state of visual image equipment of power transmission line channel
KR102347645B1 (en) 2021-03-30 2022-01-10 유비씨엔(주) System for certification of access to unmanned stores, goods sales, and inventory management using smartphones
WO2023008630A1 (en) * 2021-07-30 2023-02-02 쿠팡 주식회사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related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CN116308055A (en) * 2023-03-22 2023-06-23 湖北光舜科技有限公司 Sort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scanning input
KR20230138797A (en) 2022-03-24 2023-10-05 한병엽 Method for generating stock
KR102619030B1 (en) * 2023-02-20 2023-12-28 주식회사 오렌지유통 Server, system, method and program that provide matching service between apartment complexes and distribut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8957A (en) * 2003-11-06 2005-06-02 Okamura Corp Method for goods input and output management in automatic warehouse
JP2012043026A (en) * 2010-08-13 2012-03-01 Seikodo Corp Store front oper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8957A (en) * 2003-11-06 2005-06-02 Okamura Corp Method for goods input and output management in automatic warehouse
JP2012043026A (en) * 2010-08-13 2012-03-01 Seikodo Corp Store front operation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001B1 (en) * 2019-02-07 2019-12-17 조홍제 Produ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store using POS system
CN111130009A (en) * 2019-12-26 2020-05-08 智洋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determining running state of visual image equipment of power transmission line channel
KR102347645B1 (en) 2021-03-30 2022-01-10 유비씨엔(주) System for certification of access to unmanned stores, goods sales, and inventory management using smartphones
WO2023008630A1 (en) * 2021-07-30 2023-02-02 쿠팡 주식회사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related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KR20230138797A (en) 2022-03-24 2023-10-05 한병엽 Method for generating stock
KR102619030B1 (en) * 2023-02-20 2023-12-28 주식회사 오렌지유통 Server, system, method and program that provide matching service between apartment complexes and distributors
CN116308055A (en) * 2023-03-22 2023-06-23 湖北光舜科技有限公司 Sort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scanning inpu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054B1 (en) On-line and off-line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POS system
US10078826B2 (en) Digital point-of-sale analyzer
US104307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ception handling in self-checkout and automated data capture systems
WO2019165892A1 (en) Automatic ven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U2010246468B2 (en) Digital point-of-sale analyzer
JP6043094B2 (en) Product display information aggregation system
JP2018160140A (en)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JP2007206745A (en) Electronic shelf tag, electronic shelf tag system server, electronic shelf tag system and electronic shelf tag display method
JP6679891B2 (en) Inspection processing device, inspection system, inspec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923962B2 (en) Information analysis system
US8957970B1 (en) Receiving items into inventory
JP2007153577A (en) Sorting system
CN111626215A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rticle in and out of warehouse
JP2018139062A (en) Commodity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US89443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60150170A (en) Delivery packaging management system
JP5280133B2 (en) Self-checkout system, terminal device, management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KR20110012052A (en)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using photo picture and the methtod thereof
JP6649084B2 (en) Home delivery system
JP3474269B2 (en) Delivery inspection equipment
JP6981495B2 (en) Inspection processing equipment
TW202004588A (en) Method of managing inventory, method of searching inventory, server for managing inventory and server for searching inventory
US115810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review of a pharmaceutical product filling process
CN112381512A (en) Verification system and verification method
JP6443499B2 (en) Information analysi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