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911B1 -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협잡물종합처리기 - Google Patents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협잡물종합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911B1
KR101757911B1 KR1020140110924A KR20140110924A KR101757911B1 KR 101757911 B1 KR101757911 B1 KR 101757911B1 KR 1020140110924 A KR1020140110924 A KR 1020140110924A KR 20140110924 A KR20140110924 A KR 20140110924A KR 101757911 B1 KR101757911 B1 KR 101757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flow rate
water level
drinking water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287A (ko
Inventor
박경인
Original Assignee
이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근 filed Critical 이동근
Priority to KR1020140110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9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장에 설치되어 하폐수 중에 포함된 협잡물을 분리 제거하고, 침사를 침전, 제거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유량은 통상적으로 하루 중 시간에 따라 유입유량의 변화가 심하고, 이로 인해 침사조의 관리 및 처리 효율이 낮으므로 극심한 유입유량의 변화에도 협잡물종합처리기로 유입된 하폐수 중 협잡물 및 침사를 안정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유량변화에 따른 협잡물 포획량이 변하여도 협잡물 탈수기의 탈수효율을 안정적으로 처리함과, 침사조를 통과하는 유량의 주기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응하여 항시 일정한 통과유속을 유지하고 경사식수문을 구비함으로 하폐수 수위의 변화에 따른 침사의 침강거리가 변하는 것에 대응하여 침사조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서 유기물 침전을 방지하고 침사의 침전 및 침사 제거 효율을 높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협잡물종합처리기는 유입프랜지, 스크린조, 협잡물제거스크린, 협잡물 탈수기, 침사조, 횡형침사스크류, 침사인출스크류, 레벨센서, 침사조 길이를 변화시키는 경사식수문, 배출프랜지로 구성되며, 협잡물의 탈수효율을 높이고, 유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침사조의 체적을 변화시킴으로 일정 규격이상의 침전물만 인출하여 배출함으로 처리 효율 및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협잡물종합처리기{CONCOMITANT AND GRIT CONSTANT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협잡물종합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폐수가 처리장으로 유입되어 협잡물종합처리기로 유입되면 하폐수 중 협잡물을 협잡물제거스크린으로 분리 제거하고 포획된 협잡물은 협잡물 탈수기에 의하여 탈수효율을 높여 배출되고, 침사조를 통과하는 유량의 주기적 변화에 따라 수위의 하강 및 상승 변동으로 침사의 침강거리가 변함으로 침사조의 길이를 조절하여 침사조의 체적 및 상부 표면적을 이에 대응시켜 항시 일정한 통과유속을 유지함으로 유기물 침전을 방지하고, 침사의 침전 및 침사 제거 효율을 높이는 협잡물종합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폐수는 그 발생원에서의 배출량이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상당한 변동을 보이게 되는데, 하루 중 아침시간과 저녁시간 이후에 급격히 하폐수의 배출이 증가되고, 그 외의 시간 동안에는 통상 하폐수의 유량이 최고 유량의 약10 ~ 2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협잡물종합처리기 경우 하루 최대 유입량을 고려하여 침사조의 통과유속 및 침사조 길이 등 그 규격이 최대 유입량을 기준으로 설계 제작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최대 유량으로 제작 된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경우 통상 유량 유입 시에는 침전되지 않고 다음 처리공정으로 흘러 들어가야 할 유기물과 뻘 등이 침사와 함께 침전되어 협잡물종합처리기 침사조 내부에 설치된 침사인양 장치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는 문제가 있고, 통상 유량을 고려하여 협잡물종합처리기의 침사조 길이를 짧게 할 경우 하루 중 몇 차례의 최대 유량 유입 시 침사가 유실되어 유기물과 뻘 등과 함께 유량 조정조로 유입되어 펌프 임펠라의 마모로 인해 유량조정조 및 협잡물종합처리기의 침수 및 처리공정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제 10-0668722에서와 같이 침사조에서, 물막이 격벽에 상부로부터 하부측으로 내려가며 개방되는 수직 수문이 설치되고, 이 수직 수문의 개폐를 침사조에 유입 또는 유출되는 하폐수의 유량을 감지하고 있는 유량측정수단과 연계하여 가변식으로 수행함으로써 침사조 내 하폐수의 통과단면을 가변시키고, 이에 따라 침사조 내 하폐수의 통과유속이 저 유량 시에도 일정하게 유지되게 함으로써 침사 이외의 비중이 낮은 유기물 및 뻘 등이 침사조의 침전영역 내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나, 침사지의 하수도시설기준에 따르면, 통과유속은 약 0.3m/sec 정도의 유속으로 하폐수가 침사지를 통과하도록 하여 약 30~60초 사이의 적정 체류시간 동안에 약 0.2mm 입도 이상의 침사가 침전되도록 하고, 0.2mm 입도 침사의 침강 시간을 0.021m/sec로 설계되는 바, 하폐수의 유입 유량이 줄어드는 경우에는 자연히 통과유속이 그에 비례하여 줄어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최대 유량 시와 최소 유량 시는 수위의 변화가 생기고, 이로 인해 침사의 침강 시간 0.021m/sec과 수위에 비례하여 침사조의 체적 또한 달라짐으로 침사조의 길이와 폭을 조절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최대 유량 시와 최소 유량 시 협잡물제거스크린에서 포획되어 협잡물탈수기로 유입되는 협잡물의 발생량 또한 변화함으로 협잡물탈수기의 탈수 능력 및 효율에도 악영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통상 유입 유량 시에도 유기물, 뻘의 침전을 방지하고, 최대 유입 유량 시에도 모래의 유실 없이 고 비중 물질만을 침전, 인출시키므로 처리효율 증대 및 후 처리공정의 악영향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최대 유량 시와 최소 유량 시 협잡물제거스크린에서 포획되어 협잡물탈수기로 유입되는 협잡물의 발생량 또한 변화함으로 협잡물 탈수기의 간단한 배압 조절장치로 탈수 능력 및 효율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협잡물종합처리기는 하폐수가 유입되어 스크린조에 구성된 협잡물제거스크린에서 협잡물은 분리되어 협잡물탈수기에 의해 탈수 배출되고, 하폐수는 침사조로 유입되어 하폐수 중의 고 비중 침전물 및 침사는 침사조의 하부로 침강되어 횡형무주축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침사트랩과 침사인출스크류를 지나 침사세정샤워에 의하여 세정되어 배출되고, 비중이 낮은 유기물과 뻘은 하폐수와 함께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용 침사조이 있어서, 하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침사조의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는 경사식수문;과 상기 경사식수문의 경사식수문격벽을 상하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격벽가이드레일 및 경사식수문격벽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체인과 스프로켓 및 인양 축, 축을 구동하기 위한 수문구동모터;와 상기 침사조의 한 측벽을 또는 유량이 대용량의 경우 양 측벽을 단계별로 넓어지는 침사조; 및 침사조 상부에 설치되는 협잡물 탈수기의 배출구 단면적을 수직으로 축소시킴으로서 스트레이너의 사이에 압력을 증가시켜 협잡물의 탈수 효율을 조절하는 원터치블럭; 상기 협잡물 탈수기의 원터치블럭은 배압블럭을 상하로 조절하는 한쌍의 리프트블럭과 리프트블럭을 좌우로 움직이게 조절하는 원터치스크류 및 원터치스크류를 수동 및 자동 구동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침사조 내부에 상부표면적과 체적을 가변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사조는 하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침사조의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식 수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사조는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경사식수문의 경사식수문격벽을 상하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격벽가이드레일 및 경사식수문격벽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체인과 스프로켓 및 인양 축, 축을 구동하기 위한 수문구동모터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사조는 한 측벽을 유량변화에 대응하여 하부부터 상부로 상승 할수록 단계별로 넓어지도록 구성하고, 유량이 대용량의 경우 양 측벽을 단계별로 넓어지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협잡물탈수기는 유입되는 협잡물량의 변화에 있어 협잡물 탈수기 배출구의 단면적을 수직으로 축소시킴으로서 스트레이너의 사이에 압력을 증가시켜 협잡물의 탈수 효율을 조절하는 원터치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협잡물탈수기의 원터치블럭은 배압블럭을 상하로 조절하는 한쌍의 리프트블럭과 리프트블럭을 좌우로 움직이게 조절하는 원터치스크류 및 원터치스크류를 수동 및 자동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사조는 한 측벽 또는 양 측벽을 단계별로 하부로부터 상부로 넓어지도록 하고, 경사식수문에 의하여 침사조의 길이를 변화시켜 침사조 내부에 상부표면적과 체적을 변화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협잡물종합처리기에 따르면, 협잡물종합처리기는 유입관, 스크린조, 협잡물제거스크린, 협잡물 탈수기, 침사조, 횡형침사스크류, 침사인출스크류, 레벨센서, 침사조 길이를 변화시키는 경사식수문, 배출관을 구비하여, 협잡물 분리 제거 기능과 침사 제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협잡물의 탈수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유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침사조의 체적 및 표면적을 변화시킴으로 기존의 협잡물종합처리기에 비하여 침사조를 통과하는 하폐수의 통과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경사식 수문에 의하여 침사조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 비중이 낮은 유기물 및 뻘 등이 침사조 내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 비중 침전물의 유실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배출시킴으로 처리 효율 및 비용을 절감하고 후처리 공정에 악영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대 유입과 이상 발생으로 인해 유입 유량의 잦은 변화에도 미처리되어 바이패스되는 문제없이 효율적으로 유입 유량을 처리함으로 바이패스되어 배출된 미 처리수에 의한 후처리 공정에서 발행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차단함으로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기존의 협잡물종합처리기에서 배출되어지는 침전물인 유기물과 뻘을 함수율이 높아 특수 폐기물처리 등의 처리비용이 발생되나, 본 협잡물종합처리기는 유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침사조의 길이를 조절함으로 침사조의 체적을 변화시켜 일정 규격이상의 침전물만 인출하여 배출함으로 함수율이 낮아 일반폐기물로 분리하여 매립함으로 폐기물 처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협잡물탈수기는 배압장치를 부착함으로 협잡물의 탈수 효율을 증대시켜 침출수의 발생을 방지하고, 일반폐기물 매립지로 이동이 편리하고 또한 함수율이 낮아 소각 시에도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침사인출스크류와 연동되는 침사세정샤워는 침사가 배출 전 추가 세정을 함으로써 침사에 혼합되어 있는 일부 유기물과 미세협잡물을 분리함으로 함수율을 낮추는 효과가 이동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를 도시한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측벽을 제거한 내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협잡물탈수기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협잡물탈수기 배압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경사식수문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경사식수문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경사식수문 설치전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경사식수문이 최저수위에 위치한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경사식수문이 최고수위에 위치한 종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협잡물종합처리기의 목적 및 특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를 도시한 외형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측벽을 제거한 내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협잡물탈수기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협잡물탈수기 배압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경사식수문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경사식수문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경사식수문 설치전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경사식수문이 최저수위에 위치한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경사식수문이 최고수위에 위치한 종단면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협잡물종합처리기을 각각의 구성 요소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종합처리기는 유입관(101), 스크린조(100), 침사조(200), 배출관(201), 협잡물제거스크린(300), 협잡물 탈수기(400), 횡형침사스크류(500), 침사인출스크류(600), 초음파레벨센서(700), 침사조(200) 길이를 변화시키는 경사식수문(800)를 포함한다.
도3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조(100)에는 하폐수를 유입 시킬 수 있는 유입관(101)과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제거스크린(300)을 구비하고, 스크린을 통과한 하폐수를 침사조(200)로 유입 시킬 수 있는 개구부(102)로 구성된다.
이때, 협잡물제거스크린(300)에는 하폐수의 미처리수의 발생을 차단하는 물막이판(301)과 하폐수로부터 협잡물을 분리하기 위한 스크린부(302) 스크린(302)에서 분리된 협잡물을 상부로 인양하는 레이크부(303) 상부로 인양된 협잡물을 협잡물 탈수기(400)로 배출시키는 배출슈트(304)와 레이크부(303)를 구동하기 위한 레이크 구동부(305)로 구성된다.
그리고, 침사조(200)에는 침강된 침사를 한쪽으로 모으는 횡형침사스크류(500), 침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사인출스크류(600), 수위를 감지하는 초음파레벨센서(700), 침사조 길이를 변화시키는 경사식수문(800), 하폐수를 배출하는 배출관(201), 횡형침사스크류(500)에서 한쪽으로 모여진 침사를 침사인출스크류(600)로 원활히 보내기 위한 침사트랩(202)으로 구성된다.
협잡물종합처리기는 하폐수처리장으로 유입된 하폐수는 유입관(101)으로 유입되고, 하폐수 중의 협잡물은 스크린조(100)에 구성된 물막이판(301)에 막혀 협잡물제거스크린(300)의 스크린부(302)로 통과하면서 협잡물은 포획되어 레이크부(303)에 의하여 분리되어지고 협잡물탈수기(400)의 호퍼(407)로 유입되어 탈수된 후 배출된다. 협잡물제거스크린(300)을 통과한 하폐수는 스크린조(100)의 개구부(102)를 지나 침사조(200)로 유입되고, 침사조(200)로 유입된 하폐수는 배출관(201)방향으로 흘러가면서 고 비중 침전물 및 침사는 침사조(200)의 하부로 침강되어 횡형무주축스크류(501)의 회전에 의하여 스크린조(100)의 개구부(102)측으로 이송되어지다 침사트랩(202)으로 떨어지고 침사인출스크류(600)에 의하여 배출되어지며, 비중이 낮은 유기물과 뻘은 하폐수와 함께 침사조(200) 길이를 변화시키는 경사식수문(800)을 월류하여 배출관(201)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침사인출스크류(600)는 횡형침사스크류(500)의 작동 시 이를 감지하여 작동하고, 침사인출스크류(600)이 작동시 미리 설정한 타이머에 의하여 일정시간 후 침사세정샤워(601)가 동시에 작동하며, 침사인출스크류(600)가 정지 시 침사세정샤워(601)의 작동도 정지되도록 구성하여 침사의 함수율을 낮추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도5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잡물탈수기(400)에는 협잡물제거스크린(300)에서 분리된 협잡물을 협잡물탈수기(400)로 유입시키는 호퍼(407), 탈수부로 이송시키는 스크류 로타(401), 탈수여액을 분리시키기 위한 스트레이너(402), 탈수된 협잡물을 배출시키는 협잡물배출구(403), 스트레이너(402)를 세척하기 위한 샤워장치(404), 협잡물의 탈수 효율을 조절하기 위한 원터치블럭(405), 스트레이너(402)에서 발생된 여액수를 배출하기 위한 여액배출구(408), 스크류로타(401)를 구동하기 위한 스크류구동부(406)로 구성된다.
도 7은 도시한 바와 같이 협잡물종합처리기의 협잡물탈수기(400) 배압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로 원터치스크류(409), 리프트블럭(410), 배압블럭(411), 배압케이싱(412), 구동모터(4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원터치블럭(405)은 협잡물을 탈수하기 위한 장치로 협잡물탈수기(400)의 호퍼(407)로 협잡물이 유입되면 스크류로타로(401)에 의해 점진적으로 스트레이너(402) 방향으로 밀려들어가고 배압블럭(411)에 의하여 스트레이너(402)의 사이에 압력을 발생시켜 협잡물 내부에 남아있던 여액수를 스트레이너(402)의 다공사이로 배출시켜 여액배출구(408)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지고, 탈수된 협잡물은 협잡물배출구(403)로 배출되어 진다.
이때, 협잡물의 탈수 효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배압블럭(411)을 상하로 조절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한다.
배압블럭(411)을 상하로 조절하기 위하여 원터치스크류(409)의 한편에는 왼나사와 반대편에는 오른나사를 만들고, 끝단의 한편에는 스패너와 같은 수동 공구로 조절 할 수 있는 사각 또는 육각면을 가공하며, 다른 끝단에는 구동모터(413)와 연결 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 및 수동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쌍의 리프트블럭(410)도 왼나사와 오른나사를 가공하여 원터치스크류(409)를 회전시켜 한 쌍의 리프트블럭(410)을 중앙부로 모으면 배압블럭(411)이 하강하여 협잡물 배출구(403)의 단면적을 수직으로 축소시킴으로서 스트레이너(402)의 사이에 압력을 증가시켜 협잡물의 탈수 효율을 조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8 내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폐수는 침사조(200)를 통과하여 배출구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경사식수문(800)을 월류하여 배출구로 배출되어진다.
경사식수문(800)은 하폐수의 월류수위를 조절하는 경사식수문격벽(801), 경사식수문격벽(801)이 상하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격벽 가이드레일(802), 이를 구동하기 위한 인양체인(803), 인양 스프로켓(804), 인양 축(805), 수문 구동모터(806)로 구성된다.
이때, 경사식 수문(800)을 경사지게 구성하고 경사식수문격벽(801)이 상승에 의하여 침사조(200)의 길이가 길어지는 효과로 최대 유입 유량 시에도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하고, 최소 유량 시에도 경사식수문격벽(801)이 하강하여 침사조(200)의 수위를 낮춤과 동시에 침사조(200)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서 유기물, 뻘의 침전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9 내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잡물종합처리기의 침사조(200)는 한 측벽(204)을 유량변화에 대응하여 단계별로 침사조(200)의 폭 방향을 하부부터 상부로 상승 할수록 점차적으로 넓게 구성하는 침사조(200)로서 침사조(200) 영역 내 하폐수의 수위를 최고수위(LH)와 최저수위(LL)를 기준으로 등분하여 다수의 수위(예를 들면, LL, L1, L2, ..., LH)로 설정하여, L1구간의 단면적을 Q1유입 유량에 대응 할 수 있도록 측벽(204)를 구성하고, 유입 유량이 더 많아져 Q2로 상승 할 경우 L2의 단면적은 Q2에 대응 할 수 있도록 측벽(204)을 넓게 하여 침사조(200)의 통과유속을 일정하게 설정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침사조(200)의 한 측벽을 유량변화에 대응하여 단계별로 넓게 구성하고, 유량이 대용량의 경우 양 측벽(204)을 단계별로 할 수도 있다.
도10에 도시한 협잡물종합처리기의 경사식수문(800) 설치 전 종단면도와 같이 횡형무주축스크류(501)가 설치되는 침사조중판(203)의 원형 부분을 밀폐시킴으로 침사의 유실을 방지 할 수 있다.
도11 내지 도12는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식 수문격벽(801)이 최저수위(LL)에 위치 할 때와 경사식 수문격벽(801)이 최고수위(LH)에 위치 할 때의 종단면도로 콘트롤러에 입력되어 있는 값과 초음파레벨센서(700)에 의해 수위 값이 입력 될 때 경사식수문격벽(801)이 일단에 장착된 수문 구동모터(806)에 의해 상하로 구동되어 개폐될 수 있으며, 경사식수문격벽(801)은 한 측벽(204)의 단계별 영역(예를 들면, LL, L1, L2, ..., LH)에 근거하고, 초음파레벨센서(700)측정값을 비교하여 경사식수문격벽(801)의 위치(예를 들면, LL-월류수위값, L1-월류수위값, L2-월류수위값, ..., LH-월류수위값)를 결정하는 비교 제어수단이 되는 것이다.
이때, 경사식수문(800)은 침사조(200)를 통과하는 하폐수의 통과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위를 최저수위(LL)에서 L1, L2, .. 최고수위(LH)까지의 값을 콘트롤러에 입력하고, 초음파레벨센서(700)에서 침사조(200)를 통과하는 하폐수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여 콘트롤러의 입력 값과 수위감지 값을 연산하여 동일한 값이 입력 될 경우 경사식수문격벽(801)은 지정된 위치(예를 들면, LL-월류수위값, L1-월류수위값, L2-월류수위값, ..., LH-월류수위값)에 고정되고 침사조(200)의 체적은 유량에 맞추어 변화됨으로 통과 유속을 일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최저수위(LL)에서 L1, L2, .. 최고수위(LH)까지의 콘트롤러 입력 값과 초음파레벨센서(700)에서 침사조(200)를 통과하는 하폐수의 수위 변화의 감지 값이 중간 값을 표시 할 경우 경사식수문격벽(801)은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서로의 중간 값으로 위치 할 수 있도록 함으로 단계별로 설정한 것보다, 2배의 경사식수문격벽(801)의 치위제어로 유량변화에 적절히 대응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최소유량(QL)부터 ...Q2, Q3, Q4, 최대유량(QH)까지 유량에 대응 할 수 있도록 침사조(200)의 한 측벽(204)을 단계별로 침사조(200)폭 방향을 하부부터 상부로 최저수위(LL)와 L1, L2...최고수위(LH)를 기준으로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등분하여 구성한 후 경사식수문격벽(801)이 다수의 높이(예를 들면, LL-월류수위값, L1-월류수위값, L2-월류수위값, ..., LH-월류수위값)에 맞추어 위치하도록 콘트롤러를 설정한다.
하폐수가 유입되면 경사식수문격벽(801)은 LL-월류수위로 위치하고 초음파레벨센서(700)의 수위 값을 비교한 후 유입량이 Q1보다 많이 유입 될 경우 점차적으로 L1-월류수위값, L2-월류수위값 위치로 상승하면서 초음파레벨센서(700)와 비교하다 비교값이 설정한 콘트롤러의 값과 일치 할 경우 경사식수문격벽(801)의 위치가 고정되며, 비교값이 Q3와 Q4 사이의 값일 경우 경사식수문격벽(801)은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서로의 중간 값으로 위치한다.
수위가 최고수위(LH)인 경우에 경사식수문격벽(801)이 최고높이(LH-월류수위값)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이 상태에서 하폐수의 유입량이 줄어들어 최고높이(LH-월류수위값)이하로 초음파레벨센서(700)가 수위를 검출하는 경우 입력된 콘트롤러의 값과 비교(수위가 낮아지는 경우)하고, 수문 구동모터(806)를 구동하여 경사식수문격벽(801)이 보다 낮은 다음 단계로 L4-월류수위값으로 조절된다. 하폐수의 유입량이 더 줄어들어 수위가 낮아지면, 수위의 변동량에 따라 경사식수문격벽(801)이 대응하는 높이 L3-월류수위값, L2-월류수위값, L1-월류수위값, LL-월류수위값)로 조절된다.
이처럼, 하폐수의 유입량이 줄어들어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에 수위의 변동량에 대응하여 경사식수문격벽(801)이 점차 낮게 조절됨으로 침사조(200)의 길이가 짧아지고 침사조(200)의 측벽(204) 또한 단계별로 좁아짐으로 침사조(200)의 체적 및 상부표면적이 축소되어 유량에 따라 통과유속을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폐수의 수위가 최저수위(LL)이고 이에 대응하여 경사식수문격벽(801)이 최저높이(LL-월류수위값)인 상태에서, 하폐수의 유입량이 증가하여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에 초음파레벨센서(700)가 각 위치별로 수위를 검출하고, 콘트롤러의 값과 비교한 후 하폐수의 유입량이 늘어나 최저높이(LL-월류수위값)이상으로 초음파레벨센서(700)가 수위를 검출하는 경우 입력된 콘트롤러의 값과 비교(수위가 높아질 경우)하고, 수문 구동모터(806)를 구동하여 경사식수문격벽(801)이 보다 높은 다음 단계로 L1-월류수위값으로 조절된다. 하폐수의 유입량이 더 늘어나 수위가 높아지면, 수위의 변동량에 따라 경사식수문격벽(801)이 대응하는 높이 L2-월류수위값, L3-월류수위값, L4-월류수위값, LH-월류수위값으로 조절된다.
물론, 하폐수의 유입량이 늘어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에 수위의 변동량에 대응하여 경사식수문격벽(801)이 점차 높게 조절됨으로 침사조(200)의 길이가 길어지고 침사조(200)의 측벽(204) 또한 단계별로 넓어짐으로 침사조(200)의 체적 및 상부표면적이 증가되어 유량의 증가에 따라 통과유속을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초음파레벨센서(700)의 비교수단 역할을 별도의 유량계의 유량값을 입력함으로 비교 연산 수단으로도 가능하다.
이때, 경사식수문격벽(801)을 개폐하기 위한 수문 구동모터(806)와 같은 수문 구동모터(806)는 일반적인 컨트롤용의 써보 모터류를 선정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 스크린조 101 : 유입관
102 : 개구부 200 : 침사조
201 : 배출관 202 : 침사트랩
203 : 침사조중판 204 : 측벽
300 : 협잡물제거스크린 301 : 물막이판
302 : 스크린부 303 : 레이크부
304 : 배출슈트 305 : 레이크구동부
400 : 협잡물탈수기 401 : 스크류로타
402 : 스트레이너 403 : 협잡물배출구
404 : 샤워장치 405 : 원터치블럭
406 : 스크류구동부 407 : 호퍼
408 : 여액배출구 409 : 원터치스크류
410 : 리프트블럭 411 : 배압블럭
412 : 배압 케이싱 413 : 구동모터
500 : 횡형침사스크류 501 : 횡형무주축스크류
600 : 침사인출스크류 601 : 침사세정샤워
602 : 침사 배출구 700 : 초음파레벨센서
800 : 경사식수문 801 : 경사식수문격벽
802 : 격벽 가이드레일 803 : 인양 체인
804 : 인양 스프로켓 805 : 인양 축
806 : 수문 구동모터

Claims (8)

  1. 하폐수 처리용 협잡물종합처리기에 있어서,
    하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침사조의 길이 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하여 침사조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경사식수문; 및
    상기 경사식수문의 경사식수문격벽을 상하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격벽가이드레일 및 경사식수문격벽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체인과 스프로켓 및 인양 축, 축을 구동하기 위한 수문구동모터와;
    상기 침사조의 한 측벽을 또는 유량이 대용량의 경우 양 측벽을 단계별로 넓어져 침사조 내부에 상부표면적과 체적을 가변시킬 수 있는 침사조와;
    상기 침사조 상부에 설치되는 협잡물 탈수기의 배출구 단면적을 수직으로 축소시킴으로써 스트레이너의 사이에 압력을 증가시켜 협잡물의 탈수 효율을 조절하는 원터치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원터치블럭은 배압블럭을 상하로 조절하는 한쌍의 리프트블럭과, 상기 리프트블럭을 좌우로 움직이게 조절하고 자동 및 수동의 기능을 갖는 원터치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용 협잡물종합처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110924A 2014-08-25 2014-08-25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협잡물종합처리기 KR101757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924A KR101757911B1 (ko) 2014-08-25 2014-08-25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협잡물종합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924A KR101757911B1 (ko) 2014-08-25 2014-08-25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협잡물종합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287A KR20160024287A (ko) 2016-03-04
KR101757911B1 true KR101757911B1 (ko) 2017-07-14

Family

ID=5553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924A KR101757911B1 (ko) 2014-08-25 2014-08-25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협잡물종합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9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2672A (zh) * 2017-09-12 2017-11-17 范科晨 一种污水处理用预处理沉淀箱
CN111794191B (zh) * 2020-07-08 2021-02-12 许家勇 一种基于水利工程的现场生态净水堰系统
CN114833135A (zh) * 2022-03-24 2022-08-02 无锡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体育器材清洁消毒收纳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465Y1 (ko) 2003-12-31 2004-03-30 주식회사 미래종합이엔지 하수내 침사및 협잡물 처리를 위한 일체형 스크린 장치
JP2009082860A (ja) 2007-10-01 2009-04-23 Tsukishima Kikai Co Ltd ろ過装置及びろ過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465Y1 (ko) 2003-12-31 2004-03-30 주식회사 미래종합이엔지 하수내 침사및 협잡물 처리를 위한 일체형 스크린 장치
JP2009082860A (ja) 2007-10-01 2009-04-23 Tsukishima Kikai Co Ltd ろ過装置及びろ過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287A (ko)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67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및 비점오염 물질 저감방법
KR101770412B1 (ko) 하수처리용 수조 장치
US20100140190A1 (en) Screened decanter assembly for a settling tank
KR102244107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2018800B1 (ko) 부유물 농도센서를 이용한 협잡물 종합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협잡물 처리방법
KR101757911B1 (ko)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협잡물종합처리기
KR20120024520A (ko) 다중 구조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 침전조
KR101247585B1 (ko) 경사판형 침전장치의 슬러지 자동배출장치
KR100991836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JP4016312B2 (ja) 固形物回収装置
KR101229011B1 (ko)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디켄터 및 이를 이용한 sbr 오폐수 처리장치
KR102268655B1 (ko) 협잡물 종합처리기
KR200420116Y1 (ko)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KR101247356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45342B1 (ko)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
KR20050009976A (ko) 응집 침전방법 및 장치
KR100988641B1 (ko) 상,하수 및 폐수의 종합 전처리장치
KR102507157B1 (ko)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CN112370857B (zh) 一种水利工程过滤装置
CN205328641U (zh) 一种新型格栅机
JP6716805B2 (ja) スクリーンシステム
JP6592705B2 (ja) 夾雑物除去スクリーン装置の運転方法、およびスクリーンシステム
KR100840373B1 (ko) 협잡물 처리장치
CN205461276U (zh) 一种带式机械格栅机
JP7292372B2 (ja) 廃水汚泥の含水量を低減する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