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194B1 -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 및 이의 센싱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 및 이의 센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194B1
KR101757194B1 KR1020160038294A KR20160038294A KR101757194B1 KR 101757194 B1 KR101757194 B1 KR 101757194B1 KR 1020160038294 A KR1020160038294 A KR 1020160038294A KR 20160038294 A KR20160038294 A KR 20160038294A KR 101757194 B1 KR101757194 B1 KR 101757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gas
source
drain electrodes
electric field
carbon nano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석
이성만
정인혜
한재희
김홍석
정다운
양우주
Original Assignee
(주)센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서테크 filed Critical (주)센서테크
Priority to KR1020160038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14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 G01N27/4141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specially adapted for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14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 G01N27/4146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involving nanosized elements, e.g. nanotubes, nanowi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by investigating the dielectric properties
    • G01N2027/2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by investigating the dielectric properties for analysing ga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높은 감도를 가지고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 및 이의 센싱 방법이 제공된다. 이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는, 플렉시블 기판 상에 형성되어 화학가스가 흡착되는 화학가스 센싱부와, 화학가스가 흡착됨에 따라 화학가스 센싱부의 정전용량 변화를 측정하여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를 산출하는 정전용량 측정부와,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에 관한 정보를 외부 모바일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학가스 센싱부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전극 상에 절연되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소스 및 드레인 전극, 및 마주보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소스 및 드레인 전극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다수의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탄소나노튜브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전용량 측정부는 화학가스가 탄소나노튜브층에 흡착되면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 및 이의 센싱 방법{Wearable chemical-gas sensor and sen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 및 이의 센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가스 테러물질을 감지하기 위하여 헬멧 또는 의복에 부착가능하며 미량의 화학가스라도 그 성분 및 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 및 이의 센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공학적으로 생산된 유독 화학가스를 무기로서 대규모로 사용한 것은 제1차 세계대전 때이다. 독일군이 대량의 염소가스를 방사하여 연합군을 공격한 것이다. 그 후 군 또는 민간 영역에서 화학가스 테러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러한 화학전 및 화학가스 테러를 방지 및 감지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지속해오고 있다.
군사 또는 테러 목적으로 사용되는 화학작용제(Chemical warfare agent)는 사람, 동물 및 식물에게 직접적으로 독성 효과를 나타나게 하는 액체, 기체 또는 고체 상태의 화학 물질을 말하는데, 크게 신경작용제, 혈액작용제, 수포제, 최루작용제, 질식작용제, 구토제, 살초제 등으로 나뉜다. 특히 화학테러물질로서 기체 상태인 화학가스를 주로 사용되는데, 바람 또는 포탄 등과 함께 방사될 경우 광대한 범위에 걸쳐 살상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전장과 같은 환경에서 탐지 장비로서의 화학가스센서는 통상의 군용품이 무거운 중량인 것을 감안할 때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화를 필요로 한다. 또한, 화학가스센서는 초소형으로 제작되어 헬멧이나 의복에 부착 가능하도록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나아가 미량의 화학가스라 하더라도 치사량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감도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화학가스의 종류에 따라 대응방안이 달라지기 때문에 화학가스의 성분을 판별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최근 들어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가스센서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함께, 탄소나노튜브를 화학가스센서에도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있었으나, 현재까지 개발 또는 상용화에 성공된 사례는 없었다. 구체적으로, 종래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센서는 열분해법, 레이저증착법,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 열화학기상증착법 등에 의해 제조되고 있는데, 이들 제조방법을 이용해서는 화학가스센서에 적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만들기 힘들다. 웨어러블 센서는 플렉시블 기판 상에 탄소나노튜브를 형성하여 제조되는데, 상기 제조방법에는 고온 공정이 수반되기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에 변형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긴 튜브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그 정렬된 방향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매우 달라진다. 높은 감도를 가지는 화학가스센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탄소나노튜브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정렬될 필요가 있는데, 종래 방법에 따르면 탄소나노튜브의 방향성을 제어하기 매우 어렵다.
나아가 종래의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가스센서는 특정 타켓 가스에 대해 선택적인 작용기를 사용함으로써 해당 화학가스의 농도만을 검출할 수 있다. 화학가스의 종류가 바뀔 때마다 가스센서의 작용기를 달리해야 하는 것이다. 즉,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화학가스에 대한 성분 및 농도를 동시에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가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와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높은 감도를 가지고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러한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의 센싱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는 화학가스를 감지하기 위하여 헬멧 또는 의복에 부착가능하도록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는, 플렉시블 기판 상에 형성되어 화학가스가 흡착되는 화학가스 센싱부와, 상기 화학가스가 흡착됨에 따라 상기 화학가스 센싱부의 정전용량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를 산출하는 정전용량 측정부와, 상기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에 관한 정보를 외부 모바일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화학가스 센싱부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절연되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소스 및 드레인 전극, 및 마주보는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다수의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탄소나노튜브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는 상기 화학가스가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에 흡착되면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투하한 후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에 교류전기장과 직류전기장을 동시에 인가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인가되는 상기 교류전기장(Eac)과 상기 직류전기장(Edc)은 0.2 ≤ Edc / Eac ≤ 0.4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의 센싱 방법은, 화학가스를 감지하기 위하여 헬멧 또는 의복에 부착가능하도록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 방법은, 플렉시블 기판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막 상에 서로 이격된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투하하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다수의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탄소나노튜브층을 형성하여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를 준비한 다음에, 상기 화학가스가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에 흡착되면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상기 변화로부터 상기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에 교류전기장과 직류전기장을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인가되는 상기 교류전기장(Eac)과 상기 직류전기장(Edc)은 0.2 ≤ Edc / Eac ≤ 0.4를 만족할 수 있다.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여 상기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를 외부 모바일 디스플레이로 전송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 및 이의 센싱 방법에 의하면, 전장의 탐지 장비로서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헬멧이나 의복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BLE 기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외부 장치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교류 및 직류 전기장을 인가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에 무리를 주지 않는 상태에서 탄소나노튜브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켜 화학가스센서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화학가스 흡착에 따른 탄소나노튜브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다양한 화학가스에 대하여 그 성분이 무엇인지, 농도는 얼마인지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학가스 센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학가스 센싱부를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화학가스 센싱부의 SEM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의 센싱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교류전기장과 직류전기장의 변화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정렬 상태를 나타낸 SEM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화학가스 센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화학가스 센싱부를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화학가스 센싱부의 SEM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100)는 플렉시블 기판(10) 위에 형성된 화학가스 센싱부(30), 정전용량 측정부(60), 전원부(20), 무선 송수신부(40) 및 이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플렉시블 기판(10)은 본 발명의 화학가스센서가 헬멧 또는 의복 등에 부착가능하도록 유연성 소재 보드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기판(10)으로는 폴리머, 유리 또는 절연층을 가진 얇은 금속층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화학가스 센싱부(30)는 플렉시블 기판 위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110)과, 게이트 전극(110) 상에 형성된 절연막(120)과, 절연막(120) 상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소스 전극(130) 및 드레인 전극(140)과, 상기 소스 전극(130) 및 드레인 전극(140) 사이에 형성된 탄소나노튜브층(150)을 포함한다.
소스 전극(130)에서 연장된 복수의 가지들과 드레인 전극(140)에서 연장된 복수의 가지들은 서로 대향하며 깍지가 끼워진 손가락 형태로 패턴되어 있는데, 이러한 깍지 구조는 소스 전극(130)과 드레인 전극(140)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을 넓혀주어 화학가스의 센싱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탄소나노튜브층(150)은 소스 전극(130) 및 드레인 전극(140)에 대하여 평균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 다수의 탄소나노튜브(152)로 구성된다. 탄소나노튜브(152)는 지구 상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탄소로 이루어진 탄소 동소체로서 하나의 탄소가 다른 탄소원자와 육각형 벌집무늬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튜브 구조를 이룬다. 튜브의 직경은 대량 1nm 수준이며, 그 구조에 의해 높은 비표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화학기체가 표면에 흡착하기가 용이하다. 특히,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152)는 소스 전극(130)과 드레인 전극(14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무질서하게 정렬되어 있을 때보다 균일하고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진다. 이에 본 발명의 화학가스센서(100)는 화학가스에 대하여 높은 감도와 빠른 반응속도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하부에 위치한 플렉시블 기판(10)에 변형을 가하지 않으면서 탄소나노튜브(152)를 일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탄소나노튜브층(150)의 양쪽에 위치한 소스 전극(130) 및 드레인 전극(140)에 교류 및 직류 전압을 동시에 인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탄소나노튜브층(150)은 소스 전극(130) 및 드레인 전극(14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층(150)의 정렬방법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화학가스가 반응성이 높은 탄소나노튜브층(150)에 흡착되면 탄소나노튜브층(150)의 정전용량(capacitance)가 변하게 된다. 정전용량 측정부(60)는 이러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흡착된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를 산출한다.
탄소나노튜브층(150)의 정전용량은 다음의 수식 1을 만족한다.
[수식 1]
C = ε × A / t = εO × εT × A / t
여기서, C는 정전용량(capacitance)이고, ε는 탄소나노튜브층의 유전율이고, εO는 진공의 유전율이고, εT는 탄소나노튜브층의 비유전율(dielectric constant)이고, A는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의 대향 면적이고, t는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간의 간격이다.
화학가스가 탄소나노튜브층(150)에 흡착되면 소스 전극(130)과 드레인 전극(140)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하게 된다. 화학가스의 성분에 따라 비유전율이 다르고 화학가스의 농도에 따라 흡착 면적이 다르기 때문에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화학가스의 농도뿐만 아니라 성분까지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100)는 사용자의 헬멧, 헤드셋, 의복이나 피복 등에 부착되어 휴대 가능하기 때문에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20)를 포함한다.
무선 송수신부(40)는 검출된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에 대한 정보를 외부 모바일 디스플레이(70) 또는 스마트폰 등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저전력 소비를 구현하기 위하여, 무선 송수신부(40)로서 근거리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의 센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의 센싱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f는 교류전기장과 직류전기장의 변화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정렬 상태를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를 준비한다. 이를 위해, 플렉시블 기판(10) 상에 게이트 전극(110)을 형성하고(S110), 게이트 전극(110) 상에 절연막(120)을 형성한다(S120).
이어서 절연막(120)상에 소스 전극(130)과 드레인 전극(140)을 서로 이격되게 형성한다(S130). 반도체 사진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소스 전극(130)과 드레인 전극(140)이 서로 깍지가 끼워진 손가락 형태로 패터닝할 수 있다.
소스 전극(130)과 드레인 전극(140) 사이에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투하한다(S140). 이때 탄소나노튜브 용액 내의 다수의 탄소나노튜브는 무질서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를 정렬하기 위하여 소스 전극(130)과 드레인 전극(140)에 교류전기장 및 직류전기장(이를 "혼합전기장"이라 한다)을 동시에 인가한다(S150). 이 경우 균일하지 않은 전기장에서 극성이 없는 물질의 쌍극자(dipole) 또는 편극성(polarizability)에 의해 야기되는 중성입자(neutral particle)의 이동이 일어나는데, 이를 유전영동(dielectrophoresis)라 한다.
도 6과 표 1을 참조하면, 인가되는 전기장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정렬 상태에 큰 차이가 있다. 인가되는 교류전기장(Eac)에 대한 직류전기장(Edc)의 비율이 0.2 ≤ Edc / Eac ≤ 0.4을 만족하는 경우 탄소나노튜브가 소스 및 드레인 전극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정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로 평행한 양 전극 사이에 혼합전기장을 인가하게 되면, 양 전극 사이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직류전기장은 전기삼투유동(electroosmotic flow)를 발생시키고, 교류전기장은 양 전극 간 거리보다 작거나 같은 길이의 탄소나노튜브를 정렬시켜 도포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직류전기장이 너무 강하여 교류전기장의 0.4배보다 큰 경우, 탄소나노튜브가 양 전극으로 치우치는 현상이 발생하여 두 전극 사이에 탄소나노튜브가 존재하지 않거나 불필요한 나노입자들이 도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직류전기장이 너무 약하여 교류전기장의 0.2배보다 작은 경우,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되기는 하지만 교류전기장의 주파수에 선택적인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탄소나노튜브들만이 도포되어 탄소나노튜브층의 도포밀도 및 전체적인 전기적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No. DC (V) AC (Vrms) Edc / Eac 정렬 상태
1 0 3.53 0 불량
2 0.5 3.53 0.14 불량
3 0.7 3.53 0.20 양호
4 1.1 3.53 0.31 좋음
5 1.4 3.53 0.40 양호
6 1.6 3.53 0.45 불량
7 4.3 3.53 1.22 불량
8 4.3 0 불량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준비된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100)를 화학가스가 있는 환경에 노출시키게 되면(S160), 화학가스가 반응성이 좋은 탄소나노튜브층(150)에 흡착하게 되고 탄소나노튜브층(150)의 전체적인 정전용량에 변화가 생긴다. 따라서 소스 전극(130)과 드레인 전극(140)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한다(S170).
화학가스의 성분에 따라 비유전율이 다르고 화학가스의 농도에 따라 흡착 면적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된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를 산출한다(S18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플렉시블 기판 20: 전원부
30: 화학가스 센싱부 40: 무선 송수신부
50: 제어부 60: 정전용량 측정부
70: 모바일 디스플레이 100: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
110: 게이트 전극 120: 절연막
130: 소스 전극 140: 드레인 전극
150: 탄소나노튜브층 152: 탄소나노튜브

Claims (8)

  1. 화학가스를 감지하기 위하여 헬멧 또는 의복에 부착가능하도록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를 이용한 센싱 방법으로서:
    플렉시블 기판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막 상에 서로 이격된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투하하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다수의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탄소나노튜브층을 형성하여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를 준비한 다음에,
    상기 화학가스가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에 직접 흡착되면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상기 변화로부터 상기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의 하부와 중첩되지 않게 형성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전기장을 인가할 때, 교류전기장 및 직류전기장을 동시에 인가하는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의 센싱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인가되는 상기 교류전기장(Eac)과 상기 직류전기장(Edc)은 0.2 ≤ Edc / Eac ≤ 0.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의 센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여 상기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를 외부 모바일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의 센싱 방법.
  5. 화학가스를 감지하기 위하여 헬멧 또는 의복에 부착가능하도록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로서:
    플렉시블 기판 상에 형성되어 화학가스가 흡착되는 화학가스 센싱부와, 상기 화학가스가 흡착됨에 따라 상기 화학가스 센싱부의 정전용량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를 산출하는 정전용량 측정부와, 상기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에 관한 정보를 외부 모바일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학가스 센싱부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절연되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소스 및 드레인 전극, 및 마주보는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다수의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탄소나노튜브층을 포함하고,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는 상기 화학가스가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에 직접 흡착되면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화학가스의 성분 및 농도를 산출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은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의 하부와 중첩되지 않게 형성되고,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투하한 후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에 교류전기장과 직류전기장을 동시에 인가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을 형성하는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인가되는 상기 교류전기장(Eac)과 상기 직류전기장(Edc)은 0.2 ≤ Edc / Eac ≤ 0.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
KR1020160038294A 2016-03-30 2016-03-30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 및 이의 센싱 방법 KR101757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294A KR101757194B1 (ko) 2016-03-30 2016-03-30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 및 이의 센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294A KR101757194B1 (ko) 2016-03-30 2016-03-30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 및 이의 센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194B1 true KR101757194B1 (ko) 2017-07-13

Family

ID=5935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294A KR101757194B1 (ko) 2016-03-30 2016-03-30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 및 이의 센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1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021A (ko) * 2019-09-05 2021-03-15 국방과학연구소 바이오 재료를 코팅 물질로 이용하는 정전용량변화 검지형 나노화학센서
KR20210029020A (ko) * 2019-09-05 2021-03-15 국방과학연구소 순수 금속성 또는 반도체성을 갖는 나노 재료를 액티브 소재로 이용하는 정전용량변화 검지형 나노화학센서
KR20210048785A (ko) * 2019-10-24 2021-05-04 (주)센서테크 단일 센서의 기울기 기반 적응형 가스 탐지 장치
KR20220147313A (ko) * 2021-04-27 2022-11-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염기성 가스 센서 모듈,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센싱 기능을 갖는 의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2286A (ja) * 1999-10-27 2003-04-02 ウィリアム・マーシュ・ライス・ユニバーシティ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巨視的に配置された集成体
JP2006220513A (ja) * 2005-02-09 2006-08-24 Fujitsu Ltd 標的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標的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2286A (ja) * 1999-10-27 2003-04-02 ウィリアム・マーシュ・ライス・ユニバーシティ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巨視的に配置された集成体
JP2006220513A (ja) * 2005-02-09 2006-08-24 Fujitsu Ltd 標的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標的検出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021A (ko) * 2019-09-05 2021-03-15 국방과학연구소 바이오 재료를 코팅 물질로 이용하는 정전용량변화 검지형 나노화학센서
KR20210029020A (ko) * 2019-09-05 2021-03-15 국방과학연구소 순수 금속성 또는 반도체성을 갖는 나노 재료를 액티브 소재로 이용하는 정전용량변화 검지형 나노화학센서
KR102315828B1 (ko) * 2019-09-05 2021-10-22 국방과학연구소 금속성 또는 반도체성을 갖는 나노 재료를 액티브 소재로 이용하는 정전용량변화 검지형 나노화학센서
KR102340020B1 (ko) * 2019-09-05 2021-12-20 국방과학연구소 바이오 재료를 코팅 물질로 이용하는 정전용량변화 검지형 나노화학센서
KR20210048785A (ko) * 2019-10-24 2021-05-04 (주)센서테크 단일 센서의 기울기 기반 적응형 가스 탐지 장치
KR102280677B1 (ko) 2019-10-24 2021-07-22 (주)센서테크 단일 센서의 기울기 기반 적응형 가스 탐지 장치
KR20220147313A (ko) * 2021-04-27 2022-11-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염기성 가스 센서 모듈,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센싱 기능을 갖는 의류
KR102530421B1 (ko) * 2021-04-27 2023-05-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염기성 가스 센서 모듈,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센싱 기능을 갖는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194B1 (ko) 웨어러블 화학가스센서 및 이의 센싱 방법
Rauf et al. Highly selective metal–organic framework textile humidity sensor
Tao et al. Graphene-paper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human motions
Mamun et al. Recent progress in nanomaterial enabled chemical sensors for wearable environmental monitoring applications
KR102368550B1 (ko)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한 스타일러스
Zhang et al. Flexible and thermally induced switchable fire alarm fabric based on layer-by-layer self-assembled silver sheet/Fe3O4 nanowire composite
Kulkarni et al. Transparent flexible multifunctional nanostructured architectures for non-optical readout, proximity, and pressure sensing
Alam et al. Ultra-flexible nanofiber-based multifunctional motion sensor
Zhang et al. Flexible gas sensor based on graphene/ethyl cellulose nanocomposite with ultra-low strain response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rapid detection
Zheng et al. Versatile electronic textile enabled by a mixed‐dimensional assembly strategy
Kim et al. In situ formation of Ag nanoparticles for fiber strain sensors: toward textile-based wearable applications
Yu et al. Soft human–machine interface sensing displays: materials and devices
Farmanzadeh et al. Electric field effects on the adsorption of formaldehyde molecule on the ZnO nanotube surface: A theoretical investigation
He et al. Facile fabrication of multi-hierarchical porous polyaniline composite as pressure sensor and gas sensor with adjustable sensitivity
Isano et al. Transparent and breathable ion gel‐based sensors toward multimodal sensing ability
TWI672487B (zh) 氣體檢測晶片及其製作方法
Jana et al. Fabrication of PN heterojunction based MoS2 modified CuPc nanoflowers for humidity sensing
Lan et al. Flexible silicon nanowires sensor for acetone detection on plastic substrates
Ma et al. Metal–Organic Framework Bas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a Self-Powered Methanol Sensor with High Sensitivity and Selectivity
Li et al. Wearable Gas Sensor Based on Reticular Antimony-Doped SnO2/PANI Nanocomposite Realizing Intelligent Detection of Ammonia within a Wide Range of Humidity
Midya et al. Reduced graphene oxide–rose bengal hybrid film for improved ammonia detection with low humidity interference at room temperature
Wang et al. Collaborative Enhancement of Humidity Sensing Performance by KCl-Doped CuO/SnO2 p–n Heterostructures for Monitoring Human Activities
Zhou et al. High-Sensitivity Pressure Sensors Using PPy/MWCNTs/PDMS@ Melamine Foam for Human Motion Detection on Land and Underwater
ur Rahman et al. Electrical and hyster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based humidity sensor and its dualistic interactive approach to H2O molecules
Yan et al. Patterned, flexible, self-supporting humidity sensor with core-sheath structure for real-time sensing of human-related humid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