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991B1 - 전도성 종이와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종이와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991B1
KR101756991B1 KR1020110002183A KR20110002183A KR101756991B1 KR 101756991 B1 KR101756991 B1 KR 101756991B1 KR 1020110002183 A KR1020110002183 A KR 1020110002183A KR 20110002183 A KR20110002183 A KR 20110002183A KR 101756991 B1 KR101756991 B1 KR 101756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delete delete
paper
solar cell
organ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777A (ko
Inventor
박병은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02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991B1/ko
Publication of KR20120080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6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material in insulating or poorly conductive material, e.g. conductive rubb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 H01L31/039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including thin films deposited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 characterised by specific substrate materials or substrate features or by the presence of intermediate layers, e.g. barrier layers, on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는 하부 기판(51)과 태양전지층(52) 및 상부 기판(5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 기판(51)과 상부 기판(5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종이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종이는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이나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이 흡착되어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종이의 일측면에는 도전성 무기물로 구성되는 도전판 또는 메시 구조를 갖는 도전판이 결합된다.

Description

전도성 종이와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Conductive paper, solar cell using the conductive paper and method of the manufactur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도성 종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도성 종이를 사용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청정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데 대한 관심도 크게 증가되고 있다.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소자를 통상 솔라셀 또는 태양전지로서 칭하고 있다.
태양전지는 구성하는 물질에 따라 실리콘, 화합물 반도체와 같은 무기소재로 이루어진 무기물 태양전지와 유기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물 태양전지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유기물 태양전지로서는 예컨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와 유기폴리머(organic polymer) 태양전지 등이 있다.
또한 태양전지는 구조에 따라 크게 웨이퍼 구조(벌크 실리콘 태양전지), 박막구조(화합물, 실리콘 박막 및 유기 폴리머 태양전지 등) 및 광전기 화학구조(염료감응 태양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현재 개발된 태양전지에 있어서는 통상 무기소재로 이루어진 태양전지가 광전변환 효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무기소재로 이루어지는 태양전지는 기판으로서 유리 또는 반도체 기판을 이용한다. 이러한 재질은 대면적화가 불가능하고 태양전지의 무게가 무거워진다. 그리고 종래의 태양전지는 기판상에 별도의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하부 전극, 또는 이면 전극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조 공정은 고가의 반도체 장비를 사용하는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게 되므로 태양전지의 제조 비용을 높이에 된다.
한편 유기물을 이용하는 태양전지는 기판으로서는 유기물 필름 등의 기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함과 더불어 제조공정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기물 태양전지 중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경우에는 비정실 실리콘을 사용하는 무기물 태양전지에 가까운 광전변환 효율을 나타내므로 매우 유용한 태양전지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기물 기판을 사용하게 되면 그 기판상에 형성되는 전극으로서 금속 등의 도전성 무기물을 사용하는데 제약이 따르게 된다. 통상 도전성 무기물을 이용하여 배선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조 과정에 고온이 요구되고, 이러한 고온은 기판으로서 사용되는 유기물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한다.
따라서 기판으로서 유기물 필름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전성 유기물을 이용하여 배선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도전성 유기물은 도전성 무기물에 비해 저항값이 높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이유 등으로 인하여 유기물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태양전지의 경우에도 유리 등의 기판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기판으로서 유리 등을 사용하게 되면 대면적화가 어렵고 태양전지의 무게가 무거워지며 유연성 있는 태양전지를 구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초래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태양전지의 기판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태양전지의 제조에 적용함에 있어서 별도로 하부 전극이나 이면 전극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전도성 종이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전도성 종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태양전지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전도성 종이를 이용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전도성 종이는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이 흡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이에 내열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유기물이 종이의 일정 영역에만 제한적으로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유기물이 흡착되지 않은 부분에는 비도전성 유기물이 흡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전도성 종이는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이 흡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이 종이의 일정 영역에만 제한적으로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이 흡착되지 않은 부분에는 비도전성 유기물이 흡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종이.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전도성 종이는 종이의 일측면에 도전판이 형성되고, 상기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이 흡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유기물이 종이의 일정 영역에만 제한적으로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유기물이 흡착되지 않은 부분에는 비도전성 유기물이 흡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판이 메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전도성 종이는 종이의 일측면에 도전판이 형성되고,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이 흡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이 종이의 일정 영역에만 제한적으로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이 흡착되지 않은 부분에는 비도전성 유기물이 흡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판이 메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따른 전도성 종이의 제조방법은 종이를 준비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도전성 유기물을 종이에 흡착시키는 단계 및, 도전성 유기물로부터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따른 전도성 종이의 제조방법은 종이를 준비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종이에 흡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따른 전도성 종이의 제조방법은 종이를 준비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비도전성 유기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종이의 일정 영역에 비도전성 유기물을 흡착시키는 단계, 비도전성 유기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비도전성 유기물이 흡착된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을 흡착시키는 단계 및, 도전성 유기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 따른 전도성 종이의 제조방법은 종이를 준비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비도전성 유기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종이의 일정 영역에 비도전성 유기물을 흡착시키는 단계, 비도전성 유기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비도전성 유기물이 흡착된 종이에 상기 혼합 용액을 흡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관점에 따른 전도성 종이의 제조방법은 종이를 준비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을 준비하는 단계, 종이의 일측면에 도전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성 유기물을 종이에 흡착시키는 단계 및, 도전성 유기물로부터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판이 도전성 무기물 또는 도전성 무기물의 화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판이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판이 메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 관점에 따른 전도성 종이의 제조방법은 종이를 준비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을 준비하는 단계, 메시 구조를 갖는 도전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종이와 도전판을 적층시키고, 그 적층 구조에 상기 도전성 유기물을 흡착키는 단계 및, 도전성 유기물로부터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 관점에 따른 전도성 종이의 제조방법은 종이를 준비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메시 구조를 갖는 도전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종이와 도전판을 적층시키고, 그 적층 구조에 상기 상기 혼합 용액을 흡착키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 관점에 따른 태양전지는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상에 구비되는 태양전지층 및, 상기 태양전지층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 기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기판이 전도성 종이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종이는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이 흡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종이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이 흡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종이는 종이의 일측면에 도전판이 형성되고, 상기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이 흡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종이는 종이의 일측면에 도전판이 형성되고,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이 흡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층이 무기물 반도체 물질로 구성되는 PN 접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양전지층이 유기물 반도체 물질로 구성되는 PN 접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층이 무기물 반도체 물질과 유기물 반도체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PN 접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층이 염료반응형 태양전지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기판이 전도성 종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3 관점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하부 기판으로서 전도성 종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기판상에 태양전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태양전지층의 상측에 상부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4 관점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하부 기판으로서 전도성 종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기판상에 태양전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태양전지층의 상측에 상부 기판으로서 전도성 종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5 관점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하부 기판으로서 제1 전도성 종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기판상에 태양전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전도성 종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태양전지층의 상측에 제2 전도성 종이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연성이 있고 대면적을 형성하기가 용이한 전도성 종이가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전도성 종이는 태양전지의 하부 및 상부 기판으로서 용이하게 사용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대면적을 형성할 수 있는 태양전지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종이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종이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종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종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종이는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 즉 금속의 혼합물이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이나 도전성 무기물을 흡착시키게 되면 종이를 구성하는 섬유질의 사이 공간에 도전성 유기물 또는 무기물이 충진된다. 그리고 여기에 전류를 인가하게 되면 이와 같이 충전된 도전성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하나의 전도성 기판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종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1)를 준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종이라 함은 펄프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된 일체의 종이와 더불어, 이러한 종이를 포함하는 재질, 예컨대 종이에 세라믹 등의 내열성 재료가 혼합된 것을 포함한다.
이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종이(1)에 도전성 유기물 용액,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유기물 용액과 도전성 무기물 분말을 혼합한 혼합 용액을 주입 또는 흡착시키고, 일정 이하의 열을 가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킨다.
이때 도전성 유기물로서는 예컨대 전도성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예컨대 폴리아닐린, 폴리(3, 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 등의 혼합물이나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물과 무기물의 혼합물을 결합하여 박막이나 적층구조를 형성하게 되면 유기물과 무기물 사이의 결합력이 불충분함으로 인하여 박막이나 적층구조에 크랙이 발생될 우려가 있게 된다.
그러나 종이에 유기물과 무기물 분말의 혼합 용액을 흡착시켜 박막이나 적층구조를 형성하게 되면 종이이 섬유질에 의해 유기물과 무기물이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크랙 등의 발생이 크게 저감된다.
또한 종이에 유기물 등이 흡착되면 종이에 흡착되는 유기물이 태양광 등의 전달 매체로서 작용하게 되므로 종이의 광투과성이 크게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종이는 태양전지에 광이 입사되는 상부 전극 또는 윈도우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도전성 종이는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을 흡착시켜 형성하게 되므로 용이하게 대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종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종이에 원하는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1)를 준비하고,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을 하고자 하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파라핀이나 비전도성 유기물층을 형성 또는 흡착시킨다.
그리고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에 전체적으로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 용액을 흡착시킨 후, 종이(1)에 일정 이하의 열을 가하여 용매를 증발시킨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종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종이(1)의 일측면에 예컨대 금, 은 등의 도전성 무기물로 구성되는 도전판(31)이 형성되고, 종이(1)에는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 용액이 흡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이(1)의 일측면에 도전판(31)이 형성되므로 전도성 종이(1)의 저항값이 크게 낮아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1)는 우선 종이(1)에 도전성 무기물로 구성되는 도전판(31)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도전판(31)의 형성은 예컨대 진공증착법을 통해 실행된다. 또한 이때 도전판(31)의 형성에 앞서서 종이(1)를 아르곤(Ar)이나 질소(N) 등의 비활성 가스 분위기내에서 일정 온도 이하고 가열함으로써 종이(1)에 흡착되어 있는 공기나 습기를 제거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전판(31)을 형성한 후에는 종이(1)에 도전성 유기물이나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 용액을 흡착시키고, 일정 온도 이하로 종이(1)를 가열함으로써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판(31)으로서는 도전성 유기물이나 도전성 유기물과 무기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전극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종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는 종이(1)에 메시 구조를 갖는 도전판(31)이 결합되고, 이 결합 구조에 전체적으로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이 흡착 또는 침적된다. 이때 도전판(31)은 유연성이 좋은 예컨대 구리, 금, 은 및 이들의 혼합물질 또는 합성물질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종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종이(1)에 진공증착 등을 이용하여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도전판(31)을 메시 구조로 증착하거나, 종이(1)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메시 형태의 도전성 금속층을 형성한 후, 전체적인 구조체에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을 흡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종이는 메시 구조를 갖는 도전판(41)을 형성한 후, 여기에 종이(1)를 적층하거나 도전성 풀을 이용하여 접착한 상태에서 도전성 유기물이나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을 흡착시켜 형성하는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종이는 메시 구조를 갖는 도전판(41)이 종이(1)에 부착되므로 도전성이 우수하고, 견고하며, 유연성이 좋은 도전성 종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한 도전성 종이를 이용하는 태양전지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서 참조번호 51은 하부 기판(51)이다. 이 하부 기판(51)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전성 종이가 이용된다. 그리고 이 하부 기판(51)의 상측에 태양전지층(52)이 형성된다.
상기 태양전지층(52)은 예컨대 무기물 반도체 물질로 구성되는 PN 접합층, 유기물 반도체 물질로 구성되는 PN 접합층, 무기물 반도체 물질과 유기물 반도체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PN 접합층, 또는 염료와 전해질층을 구비하는 염료반응형 태양전지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 태양전지층(52)을 구성하는 태양전지의 구조는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현재 알려진 어떠한 구조의 태양전지층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층(52)의 상측에는 상부 기판(53)이 구비된다. 이 상부 기판(53)은 통상적인 태양전지의 것과 마찬가지로 유리 또는 무기물에 투명전극을 적층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기판(53)으로서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나타낸 도전성 종이를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이에 유기물이나 유기물과 무기물의 혼합물을 흡착시키게 되면, 종이에 흡착된 유기물 등이 태양광의 전달통로로서 기능하게 됨으로써 종이의 광투과도가 매우 높아지게 된다.
상부 기판(53)으로서 도전성 종이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태양전지층(52)에 도전성 종이를 전도성 풀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등의 용이한 방법으로 태양전지층(52)에 도전성 종이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나타낸 도전성 종이는 태양전지 등에서 외부 광이 입사되는 부분의 기판으로서도 훌륭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는 하부 기판(51) 및 상부 기판(53)으로서 종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유연성이 우수하고, 대면적화가 유리하며,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저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는 태양전지가 제공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종이(1)에 도전판(31, 41)을 결합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을 흡착시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종이(1)에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을 흡착시킨 후 도전판(31, 41)을 예컨대 도전성 풀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방법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51: 하부 기판, 52: 태양전지층,
53: 상부 기판.

Claims (5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상에 구비되는 태양전지층 및,
    상기 태양전지층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 기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기판이 전도성 종이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도성 종이는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이 흡착되고,
    상기 종이에 내열성 물질이 포함되고,
    상기 전도성 종이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이 흡착되고,
    상기 전도성 종이는 종이의 일측면에 도전판이 형성되고, 상기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이 흡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도전판이 메시 구조를 갖고,
    상기 전도성 종이는 종이의 일측면에 도전판이 형성되고,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이 흡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태양전지가 무기물 반도체 물질과 유기물 반도체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PN 접합층을 갖고,
    상기 태양전지가 염료반응형 태양전지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KR1020110002183A 2011-01-10 2011-01-10 전도성 종이와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56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183A KR101756991B1 (ko) 2011-01-10 2011-01-10 전도성 종이와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183A KR101756991B1 (ko) 2011-01-10 2011-01-10 전도성 종이와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777A KR20120080777A (ko) 2012-07-18
KR101756991B1 true KR101756991B1 (ko) 2017-07-12

Family

ID=4671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183A KR101756991B1 (ko) 2011-01-10 2011-01-10 전도성 종이와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9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8684A (ja) * 2008-10-29 2010-05-13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透明導電性基板、及び電気化学表示素子
KR100972735B1 (ko) * 2007-09-18 2010-07-27 광주과학기술원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형 접합 소자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태양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735B1 (ko) * 2007-09-18 2010-07-27 광주과학기술원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형 접합 소자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태양전지
JP2010108684A (ja) * 2008-10-29 2010-05-13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透明導電性基板、及び電気化学表示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777A (ko)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Interfacial charge behavior modulation in 2D/3D perovskite heterostructure for potential high-performance solar cells
Corsini et al. Recent progress in encapsulation strategies to enhance the stability of organometal halide perovskite solar cells
Dewi et al. Highly efficient semitransparent perovskite solar cells for four terminal perovskite-silicon tandems
Ye et al. Recent advancements in perovskite solar cells: flexibility, stability and large scale
Salah et al. A comprehensive simulation study of hybrid halide perovskite solar cell with copper oxide as HTM
Ke et al. Efficient fully-vacuum-processed perovskite solar cells using copper phthalocyanine as hole selective layers
US10636923B2 (en) Photovoltaic module encapsulation
Yeom et al. Recent progress in metal halide perovskite‐based tandem solar cells
Ren et al. Strategies for high performance perovskite/crystalline silicon four-terminal tandem solar cells
US20150075602A1 (en) Photovoltaic cell with graphene-ferroelectric electrode
JP2007142386A (ja) 導電性ナノワイヤーアレイ電極を備えた光起電力構造体
WO2011105283A1 (ja) 球状化合物半導体セ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Pendyala et al. Fabrication of perovskite solar cells with digital control of transparency by inkjet printing
JP6554300B2 (ja) 光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
KR20230147195A (ko) 페로브스카이트 기재 다중-접합 태양 전지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Zhang et al. Toward high-performance electron/hole-transporting-layer-free, self-powered CsPbIBr2 photodetectors via interfacial engineering
Tang et al. Flexible perovskite solar cells: Materials and devices
JP2023060630A (ja) 光電変換素子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Han et al. Recent cutting-edge strategies for flexible perovskite solar cells toward commercialization
JP2013516783A (ja) 太陽光発電装置
CN110892496B (zh) 具有包括掺杂半导体材料的多个晶粒的光吸收层的光伏器件
Katubi et al. Over 35% efficiency of three absorber layers of perovskite solar cells using SCAPS 1-D
KR101756991B1 (ko) 전도성 종이와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TWI500175B (zh) 金屬柔性染料敏化太陽能電池及其製造方法
Ming et al. Photovoltaic performance study of Cs2SnI6-based perovskite solar cells with gradient structures: first-principles calculations and SCAPS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