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918B1 - 스푼형 저울 - Google Patents

스푼형 저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918B1
KR101756918B1 KR1020150050176A KR20150050176A KR101756918B1 KR 101756918 B1 KR101756918 B1 KR 101756918B1 KR 1020150050176 A KR1020150050176 A KR 1020150050176A KR 20150050176 A KR20150050176 A KR 20150050176A KR 101756918 B1 KR101756918 B1 KR 101756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ever
tube
spo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585A (ko
Inventor
최용우
Original Assignee
최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우 filed Critical 최용우
Publication of KR20150142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5/00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 G01G5/04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with means for measuring the pressure imposed by the load on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18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ing liquid as the pressure-sensitive medium, e.g. liquid-column gauges
    • G01L7/18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ing liquid as the pressure-sensitive medium, e.g. liquid-column gauges 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받침점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지렛대의 타단부가 가하는 압력에 따라 액체가 튜브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게 함으로써, 전원 및 전자식 센서 없이 소량의 분말 또는 액체의 무게를 ㎎ 단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스푼형 저울에 관한 것으로,
일단부에 스푼이 형성되고, 받침점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지렛대; 및 상기 지렛대의 타단부와 접하는 위치에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에서 연장되는 튜브가 형성되며, 상기 지렛대의 타단부가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의 액체가 상기 튜브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푼형 저울{Spoon scale}
본 발명은 전원 및 전자식 센서 없이 소량의 분말 또는 액체의 무게를 ㎎ 단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스푼형 저울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고령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점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 및 한국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서는 국민건강증진의 일환으로써, 심장병 등의 여러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나트륨 줄이기 운동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에서 권장하는 하루 나트륨 섭취량 2000㎎을 일반인이 어떻게 정확하게 측정하여 섭취할 것인지가 문제이다. 하루 나트륨 권장 섭취량이 2000㎎이므로 이를 세 끼의 식사로 나누게 되면, 한번에 1g도 되지 않는 소량의 분말을 정확하게 측정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탄성 금속판을 구비한 인장 및 압축 무게감지센서를 이용한 ‘저울을 장착한 숟가락’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8420호에 소개되었으며, 중력센서 등의 각종 전자식 센서를 이용한 저울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각종 전자식 센서를 이용한 저울은 고가이기 때문에 소비자가 구입하는데 상당한 부담을 느낄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를 구동하기 위하여 배터리 등의 전원이 반드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들 센서들은 상당히 민감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 또는 보관 중에 주의를 조금만 소홀히 하면 고장 및 측정 오류 등의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하고, 소량의 분말이나 액체 등을 측정한 후에 물 세척을 할 수 없어서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받침점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지렛대의 타단부가 가하는 압력에 따라 액체가 튜브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게 함으로써, 전원 및 전자식 센서 없이 소량의 분말 또는 액체의 무게를 ㎎ 단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스푼형 저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푼형 저울은, 일단부에 스푼이 형성되고, 받침점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지렛대; 및 상기 지렛대의 타단부와 접하는 위치에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에서 연장되는 튜브가 형성되며, 상기 지렛대의 타단부가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의 액체가 상기 튜브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의 끝단부에는 마개가 씌워지고, 상기 마개에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는 모세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렛대의 타단부에는 영점조절나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를 볼 수 있도록 케이스에는 투명창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창에는 눈금과 무게값이 표시된다.
본 발명은 각종 전자식 센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원이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 및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푼형 저울은 물 세척이 가능하여 항상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푼형 저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푼형 저울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푼형 저울의 A-A선 작동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푼형 저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푼형 저울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푼형 저울의 A-A선 작동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푼형 저울은, 일단부에 스푼(11)이 형성되고, 받침점(17)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지렛대(10); 및 지렛대(10)의 타단부와 접하는 위치에 저장부(21)가 형성되고, 저장부(21)에서 연장되는 튜브(27)가 형성되며, 지렛대(10)의 타단부가 가하는 압력에 따라 저장부(21)의 액체가 튜브(27)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20);를 포함한다.
지렛대(10)의 일단부에는 케이스(30)의 외부로 노출되어 무게를 측정하려는 분말이나 액체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스푼(11)이 형성되고, 지렛대(10)는 받침점(17)을 통과하는 회전축으로 케이스(10)에 결합되어 받침점(17)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핀으로 형성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베어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렛대(10)는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지렛대(10)의 상부에는 액체 표시부(20)가 위치하고, 액체 표시부(20)는 저장부(21)와 튜브(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21)는 지렛대(10)의 타단부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저장부(21)에서 연장되어 튜브(27)가 형성된다. 저장부(21)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지렛대(10)의 타단부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저장부(21) 내부의 체적이 변하므로 저장부(21)의 액체가 튜브(27)로 이동하게 되며, 지렛대(10)의 타단부가 저장부(21)에 가하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저장부(21)의 체적 변화량이 달라지고, 저장부(21)의 액체가 튜브(27)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도 달라진다. 상기 액체가 튜브(27) 내에서 이동한 거리를 무게로 환산하여 소량의 분말이나 액체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즉, 액체 표시부(20)는 실험기구인 스포이트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저장부(21)는 스포이트의 고무주머니에 해당하고, 튜브(27)는 스포이트의 유리관에 해당한다. 다만, 튜브(27)로 이동하는 상기 액체는 지렛대(10)의 타단부가 가하는 압력의 작은 변화를 표시하여야 하므로 튜브(27)로는 모세관과 같이 직경이 작은 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21)와 튜브(27)는 다른 재질로 제작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지렛대(10)의 타단부가 저장부(21)에 가하는 압력이 튜브(27) 내에서 액체의 이동 거리로 잘 변환될 수 있도록 저장부(21)의 주위에 가이드(32)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32)는 받침점(17)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지렛대(10)의 타단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받침점(17)을 중심으로 곡률지게 형성한다.
지렛대(10)의 타단부가 저장부(21)에 압력을 가할 때에 저장부(21)의 유체가 갑자기 튀지 않고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튜브(27)의 끝단부에는 마개(28)를 씌우고, 마개(28)에는 미세한 통공(29)을 형성한다. 이때, 통공(29)는 마개의 상부에 하나를 형성할 수 있으나, 사용되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혹시 상기 액체가 흘러나오는 경우에 상기 액체를 흡수할 수 있도록 마개(28)를 아주 미세한 통공이 형성되는 스폰지와 같은 재질로 할 수도 있다.
오랜 사용에 의하여 저장부(21)의 액체가 조금 감소하거나 기온에 따라 상기 액체의 체적 변화가 발생하는 등의 미세한 변화에 대하여 영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렛대(10)의 타단부에는 영점조절나사(18)를 형성한다. 영점조절나사(18)를 조절하여 지렛대(10)의 평형상태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평형상태에서 항상 지렛대(1)의 타단부가 저장부(21)에 압력을 가함 없이 접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케이스(30)의 상면에는 튜브(27) 내의 액체를 볼 수 있도록 투명창(31)이 형성되고, 투명창(31)에는 눈금과 무게값이 표시되어 있어서 상기 액체가 가리키는 무게값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다. 즉, 상기 액체가 이동한 양을 무게로 환산한 눈금과 무게값이 투명창(31)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정확한 무게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투명창(31)을 돋보기로 형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정확하게 무게값을 읽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푼형 저울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측정을 원하는 소량의 분말 또는 액체를 스푼(11)에 위치시키면, 평형을 유지하고 있던 지렛대(10)는 그 무게에 의해 받침점(1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지렛대(10)의 타단부는 접촉하고 있던 저장부(21)를 가압하게 되며, 저장부(21)의 액체는 튜브(27)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저장부(21) 둘레에 가이드(32)가 형성되면, 저장부(21)에 가해진 압력이 상기 액체의 이동량으로 더욱 원활하게 변환될 것이다.
상기 액체의 이동량을 무게로 환산한 무게값과 눈금이 투명창(31)에 표시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 단위의 소량의 무게를 읽을 수 있고, 투명창(31)에 돋보기가 형성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더욱 정확하게 무게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푼형 저울은 센서와 외부 전원이 전혀 필요 없으므로 생산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의 염려 없이 물에서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렛대(10)의 길이와 형태, 받침점(17)의 위치, 저장부(21)의 크기, 튜브(27)의 직경과 길이, 및/또는 상기 액체의 종류 또는 점성 등의 변수를 변경함으로써, 측정하려는 ㎎ 단위의 측정값의 범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푼형 저울은 스푼뿐만 아니라 국자 또는 계량컵 등을 지렛대(10)의 일단부에 체결하여 소량의 무게 측정이 요구되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지렛대 11: 스푼
17: 받침점 18: 영점조절나사
20: 액체표시부 21: 저장부
27: 튜브 28: 마개
29: 통공 30: 케이스
31: 투명창 32: 가이드

Claims (5)

  1. 일단부에 스푼(11)이 형성되고, 받침점(17)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지렛대(10); 및
    상기 지렛대(10)의 타단부와 접하는 위치에 저장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21)에서 연장되는 튜브(27)가 형성되며, 상기 지렛대(10)의 타단부가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21)의 액체가 상기 튜브(27)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지렛대(10)의 타단부에는 영점조절나사(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푼형 저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27)의 끝단부에는 마개(28)가 씌워지고, 상기 마개(28)에는 통공(2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푼형 저울.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50176A 2014-06-12 2015-04-09 스푼형 저울 KR101756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4419 2014-06-12
KR2020140004419 2014-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585A KR20150142585A (ko) 2015-12-22
KR101756918B1 true KR101756918B1 (ko) 2017-07-11

Family

ID=55081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176A KR101756918B1 (ko) 2014-06-12 2015-04-09 스푼형 저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9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6202194U (zh) * 1986-04-04 1987-05-20 罗克非 计量调羹
KR200329726Y1 (ko) 2003-07-29 2003-10-10 박건기 중량 계량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6202194U (zh) * 1986-04-04 1987-05-20 罗克非 计量调羹
KR200329726Y1 (ko) 2003-07-29 2003-10-10 박건기 중량 계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585A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5933A2 (en) System and method for tongue force detection and exercise
CN201341883Y (zh) 一种可随意调节的医用角度仪
KR101823638B1 (ko) 저울
KR101756918B1 (ko) 스푼형 저울
KR20100088591A (ko) 계량 스푼
JP7300137B2 (ja) とろみ判別器
KR101669942B1 (ko) 스푼형 저울
KR101756917B1 (ko) 스푼형 저울
CN201127743Y (zh) 准确计量引流盒
CN102058401A (zh) 旋进式毛细血管压测量装置
CN108652668B (zh) 一种甲状腺检测装置
CN206565940U (zh) 血压计
CN209085701U (zh) 一种医用量杯
KR20160001943U (ko) 무선통신장치를 구비한 스푼저울
CN104457924A (zh) 粘接薄膜单囊式地面秤
CN203785755U (zh) 中药计量秤
KR20080001757U (ko) 온도측정가능 요소를 장착한 액체를 담는 용기
CN210138158U (zh) 一种小便收集瓶
WO2019016570A1 (en) DEVICE, FLUID TEST KIT AND USES THEREOF
CN215305878U (zh) 前、后足平面角度测量仪
CN206905918U (zh) 一种体温计
CN103190895A (zh) 可测脚温的脂肪秤
CN202141531U (zh) 一种方便读取的温度计
CN213099543U (zh) 一种便携式可计量安全储痰器
CN202066550U (zh) 医用调温量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