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373B1 - 백연제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백연제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373B1
KR101756373B1 KR1020160054580A KR20160054580A KR101756373B1 KR 101756373 B1 KR101756373 B1 KR 101756373B1 KR 1020160054580 A KR1020160054580 A KR 1020160054580A KR 20160054580 A KR20160054580 A KR 20160054580A KR 101756373 B1 KR101756373 B1 KR 101756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outside air
unit
mixing
white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동
Original Assignee
이해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동 filed Critical 이해동
Priority to KR102016005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precipitation or mist formation, outside the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03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comprising outlet ducts for exhaust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연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수증기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유체의 수분을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가 하얀 연기처럼 보이는 백연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백연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증기가 함유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흡입유닛, 상기 유체흡입유닛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유체의 수분을 제거하는 흡습유닛,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흡입유닛 및 상기 흡습유닛을 거친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흡입유닛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외기를 섞는 혼합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수증기가 함유된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유체의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유체에 외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백연제거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WHITE-SMOKE}
본 발명은 백연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수증기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유체의 수분을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가 하얀 연기처럼 보이는 백연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백연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의 쿨링타워에서 굴뚝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는 수증기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굴뚝을 통해 외부로 배출 시 하얀 연기(백연)처럼 보이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백연현상은 가열된 습공기가 대기의 찬 공기와 희석되는 과정에서 이슬점 이하로 냉각될 때 형성되는 것으로 습공기선도의 100% 포화곡선 상부측의 조건으로 냉각되는 환경에서 발생된다.
특히, 백연 현상은 따뜻한 유체가 찬 대기의 공기와 혼합되는 경우 발생된다.
이러한 백연은 오염물질은 아니지만 외부에서 바라볼 때 시각적으로 부담을 주는 가시오염처럼 보이기도 하고, 또한 물방울이 과도하게 형성되면서 굴뚝 주변으로 낙하하여 인근주민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도로에 떨어져 동절기에 물방울이 얼어붙어 빙판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100291호(2001.11.14.공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수증기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유체의 수분을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가 하얀 연기처럼 보이는 백연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백연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백연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백연제거장치는 수증기가 함유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흡입유닛(100); 상기 유체흡입유닛(100)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유체의 수분을 제거하는 흡습유닛(200);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흡입유닛(300); 및 상기 흡습유닛(200)을 거친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흡입유닛(300)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외기를 섞는 혼합유닛(400); 을 포함한다.
이러한 백연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흡입유닛(100)은 상기 유체가 집적되도록 확관 형성된 흡입후드(110); 상기 흡입후드(110)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가 유동되는 흡입덕트(120); 상기 흡입덕트(120)의 내부에 설치된 유체공급팬(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연제거장치의 상기 흡습유닛(200)은 상기 유체흡입유닛(100)으로부터 상기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부(210); 상기 유입부(210)를 거친 상기 유체의 수분이 제거되는 흡습부(220); 상기 흡습부(220)를 거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백연제거장치의 상기 흡습부(220)는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데미스터(240)와 활성탄필터(250)가 이격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연제거장치의 상기 흡습유닛(200)은 저면에 드레인밸브(2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연제거장치의 하부 양측에 경사부(271, 27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연제거장치의 상기 외기흡입유닛(300)은 외기공급팬(310); 상기 외기공급팬(310)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기가 유동되는 외기유동관(320);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연제거장치의 상기 혼합유닛(400)은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가 접촉하는 초입부(410); 상기 초입부(4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가 혼합되는 혼합부(420); 상기 혼합부(420)로부터 연장되고, 혼합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부(430);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연제거장치의 상기 혼합유닛(400)은 내주면에 스크류(421)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연제거장치의 상기 스크류(421)는 직경의 중심을 기준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유로(F)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연제거장치의 상기 스크류(421)의 앵글(θ)은 35~65도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연제거장치의 상기 스크류의 피치(P)는 1~1.5m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연제거장치의 상기 스크루(421)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펠티어소자(425) 및 온도센서(424)가 순차적 이격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연제거장치의 상기 스크류(421)는 좌나사형 스크류(422)와 우나사형 스크류(423)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연제거장치의 상기 좌나사형 스크류(422)와 상기 우나사형 스크류(423)는 상호 교차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연제거장치의 상기 토출부(430)는 확관조절부(431)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백연제거장치를 이용한 백연제거방법은 수증기가 함유된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S110); 상기 유체의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S120); 상기 유체에 외기를 공급하는 단계(S130);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를 혼합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백연제거장치를 이용한 백연제거방법의 상기 유체에 외기를 공급하는 단계(S130)는 상기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131); 상기 외기의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S132), 상기 백연제거장치의 혼합유닛(400) 내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펠티어소자(425)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외기 및 상기 유체를 냉각하는 단계(S133);를 포함한다.
백연제거장치를 이용한 백연제거방법의 상기 기설정 온도는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백연제거장치를 이용한 백연제거방법의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를 혼합하는 단계(S140)는 상기 백연제거장치의 혼합유닛(400)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141); 상기 혼합유닛(400)의 내부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S142), 상기 혼합유닛(400)에 설치된 확관조절부(431)의 직경을 확장하는 단계(143);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연제거장치를 이용한 백연제거방법의 상기 기설정 온도는 54℃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백연제거장치 및 방법은 유체흡입유닛, 흡습유닛, 외기흡입유닛 및 혼합유닛을 통해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응축수를 포집하여 백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의 계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류(421)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분 ‘A’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에서 혼합유닛(400)의 계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에서 혼합유닛(400)의 토출부(430) 계략도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확관조절부(431)의 직경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확관조절부(431)가 원위치로 복원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3 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의 백연제거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8에 도시된 S130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S140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내용에 표현된 방향에 있어서, “상부”의 상(上)은 도 1에 도시된 흡습유닛(200)을 기준하여 유체흡입유닛(100) 측으로 향한 방향이며, “하부”의 하(下)는 유체흡입유닛(100)을 기준하여 흡습유닛(200) 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의 계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류(421)의 개략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분 ‘A’의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백연제거장치(1000)는 유체흡입유닛(100), 흡습유닛(200), 외기흡입유닛(300), 혼합유닛(400)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흡입유닛(100)은 수증기가 함유되어 쿨링타워(10)로부터 토출된 유체를 상기 흡습유닛(200)에 공급한다.
상기 유체흡입유닛(100)은 상기 쿨링타워(10)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유체가 집적되도록 확관 형성된 흡입후드(110)와, 상기 흡입후드(110)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가 유동되는 흡입덕트(120), 상기 흡입덕트(120)의 내부에 설치된 유체공급팬(130)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덕트(120)는 장길이로 형성된 복수 개의 유체유동관(121)과, 상기 유체유동관(121)을 이어주는 연결관(122)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122)은 상기 유체의 유동저항을 줄여주기 위하여 라운딩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면 상에 상기 유체공급팬(130)은 단독으로 상기 유체유동관(121)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흡습유닛(200)에 공급되는 유체량에 따라 복수 개가 상기 유체유동관(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공급팬(130)은 상기 연결관(122)에 설치하여 상기 유체의 유동저항을 보다 줄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습유닛(200)은 상기 유체흡입유닛(100)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유체의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흡습유닛(200)은 상기 유체흡입유닛(100)으로부터 상기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부(210), 상기 유입부(210)를 거친 상기 유체의 수분이 제거되는 흡습부(220), 상기 흡습부(220)를 거친 상기 유체가 상기 혼합유닛(400)으로 배출되는 유출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흡습부(220)는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데미스터(240)와 활성탄필터(250)가 이격배치되어 있다.
상기 데미스터(240)는 미세한 와이어로 직조하여 주름지게 만든 후 겹겹이 포개어서 제작되며, 상기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형성된 액적(droplet)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유체가 상기 데미스터(240) 통과 시, 액적은 높은 밀도로 인하여 상기 데미스터(240)의 와이어 표면에 충돌하여 머물게 되고, 머문 액적의 사이즈는 점진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따라서, 사이즈가 커진 액적은 중력에 의하여 상기 데미스터(24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유체의 수분이 제거된다.
상기 활성탄필터(250)는 목재, 갈탄, 무연탄 및 야자 껍질 등을 원료로 제조되는 무정형 탄소의 집합체로서, 상기 유체의 이물질을 흡착하여 상기 유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냄새를 제거해줄 수 있다.
도면 상에 상기 데미스터(240)와 상기 활성탄필터(250)는 단독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 개가 상호 교차되어 상기 흡습부(220)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의 수분 및 냄새 제거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데미스터(240)에서 분리된 액적이 상기 흡습유닛(200)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흡습유닛(200)은 저면에 드레인밸브(260)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레인밸브(260)는 상기 데미스터(240)의 전후에 배치되도록 상기 흡습유닛(20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액적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습유닛(200)은 하부 양측에 경사부(271, 272)가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부(271, 272)는 상기 유입부(210)와 상기 유출부(2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부(271, 272)가 상기 흡습부(220)의 전후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데미스터(240)로부터 분리된 액적이 상기 드레인밸브(260) 측으로 수집될 수 있어 상기 흡습유닛(200) 내부의 건전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271, 272)는 상기 유입부(210)와 상기 유출부(230)를 통해 유동되는 상기 유체의 유동저항을 줄여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외기흡입유닛(300)은 상기 혼합유닛(400)에 외기를 공급하며, 외기공급팬(310)과, 상기 외기공급팬(310)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혼합유닛(400)에 연결된 외기유동관(320)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유닛(400)은 상기 흡습유닛(200)을 거친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흡입유닛(300)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외기를 섞는다.
상기 혼합유닛(400)은 상기 외기와 혼합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굴뚝을 의미한다.
상기 혼합유닛(400)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가 접촉하는 초입부(410), 상기 초입부(4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가 섞이는 혼합부(4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부(420)로부터 연장되고, 혼합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외기와 상기 유체의 혼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혼합유닛(400)은 내주면에 스크류(4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421)는 직경의 중심을 기준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유로(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초입부(410)에서 접촉된 상기 외기와 상기 유체는 상기 스크류(421)에 의하여 와류가 형성되며, 혼합된 상기 외기와 상기 유체는 상기 스크류(421)의 나선날과 상기 유로(F)를 따라 상기 혼합부(420)를 거쳐 상기 토출부(430) 측으로 유동된다.
즉, 상기 초입부(410)에서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가 접촉되어 상기 스크류(421)에 의해 혼합되면서 상기 유체의 온도가 하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유체의 이슬점 온도가 하강하게 되며, 결국 상기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응축된 응축수의 양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유체에 함유된 수분이 줄어들어 백연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생성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하여 상기 혼합유닛(400)에 설치된 별도의 저장유닛에 수집되거나 드레인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와 상기 유체의 혼합을 보다 원활히 진행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421)의 앵글(θ)은 35~65도로 형성되고, 피치(P)는 1~1.5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루(421)에는 펠티어소자(425) 및 온도센서(424)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외기의 온도가 급속히 상승하는 하절기에 상기 혼합유닛(400)의 내부에 유입되는 상기 외기 및 상기 유체를 냉각하여 상기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응축수의 양을 증가시켜 백연제거효과를 높여주기 위함이다.
상기 펠티어소자(425) 및 상기 온도센서(424)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4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스크류(421)의 나선날에 순차적 이격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온도센서(424-1,2~n)를 통해 상기 초입부(410), 상기 혼합부(420), 상기 토출부(430)의 구간별 온도를 측정하고, 각 구간별로 상기 펠티어소자(425-1,2~n)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외기와 상기 유체를 고르게 냉각시켜 백연제거효과를 보다 높여줄 수 있다.
도면 상에 상기 펠티어소자(425) 및 상기 온도센서(424)는 상기 스크류(421)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기 않고 상기 혼합유닛(400)의 내주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3 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전술된 제 1 실시예와 중복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에서 상기 혼합유닛(400)의 계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전술된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유닛(400)의 내주면에 좌나사형 스크류(422)와 우나사형 스크류(4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좌나사형 스크류(422)와 상기 우나사형 스크류(423)는 상호 교차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 직경의 중심을 기준하여 길이방향을 유로(F1, F2)가 형성되어 있다.
상호 교차된 상기 좌나사형 스크류(422)와 상기 우나사형 스크류(423) 및 상기 유로(F1, F2)에 의하여 상기 초입부(410)에서 접촉된 상기 외기와 상기 유체에 복잡한 와류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된 제 1 실시예의 상기 스크류(421)(도 1 도시)보다 상기 외기와 상기 유체의 혼합이 보다 원활히 진행되어 응축수의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백연제거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에서 상기 혼합유닛(400)의 토출부(430) 계략도이고,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확관조절부(431)의 직경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확관조절부(431)가 원위치로 복원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전술된 제 1,2 실시예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부(430)에 확관조절부(4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확관조절부(431)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431a)로 구성되며, 상기 블레이드(431a)는 상기 토출부(430) 단부의 원주를 따라 겹겹이 설치된다.
상기 확관조절부(431)는 상기 펠티어소자(425)를 보완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도 6a를 참조하면 외기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하절기에 상기 확관조절부(431)의 직경을 확장하여 상기 토출부(43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외기와 상기 유체의 압력 및 온도를 낮춰주어 응축수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백연제거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평상 시의 상기 확관조절부(431)는 상기 블레이드(431a)를 상기 토출부(430)의 원주를 따라 회전시켜 그 직경을 줄여준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내지 3 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의 백연제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3 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의 백연제거과정의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8에 도시된 S130의 순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S140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백연제거장치(1000)의 백연제거과정은 우선, 상기 유체흡입유닛(100)이 상기 쿨링타워(10)로부터 배출된 상기 유체를 상기 흡습유닛(200)에 공급한다.(S110)
그 후, 상기 흡습유닛(200)이 상기 유체의 수분을 제거한다.(S12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체흡입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유체는 상기 유입부(210)를 거쳐 상기 흡습부(220)에 설치된 상기 데미스터(240)와 상기 활성탄필터(250)를 통과하여 함유된 수분 및 냄새가 제거된다.
그 후, 상기 외기흡입유닛(300)이 상기 유출부(230)를 거쳐 배출되어 상기 혼합유닛(400)에 유입된 상기 유체에 외기를 공급한다.(S130)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초입부(410)의 인근에 배치된 상기 온도센서(424)가 상기 외기의 온도를 측정한다.(S131)
일반적으로, 상기 유출부(230)를 거쳐 상기 혼합유닛(400)에 유입되는 유체의 온도는 62~70℃이며, 백연제거를 위하여 상기 유체와 혼합되는 상기 외기의 온도는 26~30℃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측정된 상기 외기의 온도가 기설정 온도, 즉 30℃ 이상인 경우(S132), 상기 복수 개의 펠티어소자(425)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유체 및 상기 외기를 냉각한다.(S133)
측정된 상기 외기의 온도가 30℃ 미만인 경우(S132), 상기 펠티어소자(425)를 작동시키지 않거나, 전류인가를 중단한다.(S134)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 및 상기 외기의 냉각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하여 상기 온도센서(424-1,2~n)를 통해 상기 초입부(410), 상기 혼합부(420), 상기 토출부(430)의 구간별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값에 따라 각 구간별로 상기 펠티어소자(425-1,2~n)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외기와 상기 유체를 고르게 냉각시켜 백연제거효과를 보다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기 혼합유닛(400)이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를 혼합한다.(S140)
보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가 상기 스크류(421(422, 423))의 나선날 및 유로를 따라 이동되어 혼합되며 상기 혼합유닛(400)의 내부온도를 측정한다.(S141)
일반적으로, 혼합된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의 온도는 43~54℃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혼합유닛(400)의 내부온도가 기설정 온도, 즉 54℃ 이상인 경우(S142), 상기 혼합유닛(400)에 설치된 상기 확관조절부(431)의 직경을 확장한다.(S143)
측정된 상기 혼합유닛(400)의 내부온도가 54℃ 미만인 경우(S142), 상기 확관조절부(431)를 작동시키지 않거나, 원위치로 복원시킨다.(S144)
전술된 과정을 거친 상기 유체는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상기 토출부(4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백연제거과정이 완료된다.(S150)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 및 방법은 상기 유체흡입유닛(100), 상기 흡습유닛(200), 상기 외기흡입유닛(300) 및 상기 혼합유닛(400)을 통해 상기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응축수를 포집하여 백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쿨링타워 1000 : 백연제거장치
100 : 유체흡입유닛 200 : 흡습유닛
300 : 외기흡입유닛 400 : 혼합유닛

Claims (5)

  1. 수증기가 함유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흡입유닛(100);
    상기 유체흡입유닛(100)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유체의 수분을 제거하는 흡습유닛(200);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흡입유닛(300); 및
    상기 흡습유닛(200)을 거친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흡입유닛(300)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외기를 섞는 혼합유닛(400); 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유닛(400)은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가 접촉하는 초입부(410);
    상기 초입부(4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유체와 상기 외기가 혼합되는 혼합부(420);
    상기 혼합부(420)로부터 연장되고, 혼합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부(430); 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430)의 단부에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431a)로 구성되어 상기 블레이드(431a)의 이동시 유체가 이동하는 단면을 증대시키는 확관조절부(431)가 설치되며,
    상기 혼합유닛(400)은
    내주면에 스크류(421)가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421)는
    직경의 중심을 기준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유로(F)가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421)의 외면에는 외기
    의 온도에 따라 유체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펠티어소자(425)가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421)의 외면에는 상기 스크류(421)을 지나는 유체의 온도를 센싱하는 복수 개의 온도센서(424)가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421)의 앵글(θ)은 35~65도로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의 피치(P)는 1~1.5m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54580A 2016-05-03 2016-05-03 백연제거장치 및 방법 KR101756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580A KR101756373B1 (ko) 2016-05-03 2016-05-03 백연제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580A KR101756373B1 (ko) 2016-05-03 2016-05-03 백연제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373B1 true KR101756373B1 (ko) 2017-07-11

Family

ID=5935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580A KR101756373B1 (ko) 2016-05-03 2016-05-03 백연제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3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886B1 (ko) 2017-09-22 2018-06-18 조영호 백연 제거장치
KR101881387B1 (ko) 2017-09-22 2018-07-24 이호승 백연 저감장치
KR101929418B1 (ko) 2017-09-05 2018-12-14 (주)그린웨이브이엔지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식품 조리과정의 악취 제거 장치
KR20200130923A (ko) 2019-05-13 2020-11-23 조영호 고효율 열교환기를 이용한 백연(유해물질포함)제거장치
KR20220113596A (ko) * 2021-02-05 2022-08-16 (주)하나파워시스템서비스 백연 제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9471A (ja) * 2009-04-20 2010-11-04 Takeshi Sakura 水蒸気発生源から発生する白煙の除去装置及び白煙除去方法
JP2013234274A (ja) * 2012-05-10 2013-11-21 Ihi Corp 固体燃料乾燥装置および固体燃料乾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9471A (ja) * 2009-04-20 2010-11-04 Takeshi Sakura 水蒸気発生源から発生する白煙の除去装置及び白煙除去方法
JP2013234274A (ja) * 2012-05-10 2013-11-21 Ihi Corp 固体燃料乾燥装置および固体燃料乾燥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418B1 (ko) 2017-09-05 2018-12-14 (주)그린웨이브이엔지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식품 조리과정의 악취 제거 장치
KR101867886B1 (ko) 2017-09-22 2018-06-18 조영호 백연 제거장치
KR101881387B1 (ko) 2017-09-22 2018-07-24 이호승 백연 저감장치
KR20200130923A (ko) 2019-05-13 2020-11-23 조영호 고효율 열교환기를 이용한 백연(유해물질포함)제거장치
KR20220113596A (ko) * 2021-02-05 2022-08-16 (주)하나파워시스템서비스 백연 제거 장치
KR102494302B1 (ko) * 2021-02-05 2023-02-07 (주)하나파워시스템서비스 백연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373B1 (ko) 백연제거장치 및 방법
US8943844B2 (en) Desiccant-based air conditioning system
TWI664377B (zh) Dehumidifier
CN202133061U (zh) 制冷剂泄漏探测系统及其制冷剂传感器组件
KR101949984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238952B1 (ko) 의류 건조기
CN204329165U (zh) 空调机的室内机以及空调机
JP4423499B2 (ja) 吸収式除湿空調システム
CN107339763A (zh) 新风换气机
JP2005016747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US20070022774A1 (en) Microclimate creator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units
CN112503650B (zh) 凝水装置、控制方法、控制装置、电器及存储介质
CN205807680U (zh) 一种空调室外机及空调
KR100505273B1 (ko) 자동차의 김서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N106196729A (zh) 一种热泵热回收式蒸发系统
CN106524298A (zh) 一种恒温恒湿净化空调机组
CN109692544B (zh) 气液分离器及大气采样设备
KR102013702B1 (ko) 능동형 실내외 냉각공기 복합 유동제어 방식의 배터리공조장치
CN206106879U (zh) 车载空调的鼓风机下蜗壳以及车载空调
KR20120004949A (ko) 히트펌프 실외기 시스템
KR100556117B1 (ko) 차량용 에어 컨디셔너
TWI630354B (zh) Circulating device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nergy-saving mobile air conditioner
JP2010065618A (ja) 車両用エアクーラ
CN115450765A (zh) 一种燃气轮机进气等湿冷却装置及方法
CN106168429A (zh) 防冻组合空调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