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067B1 -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 - Google Patents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067B1
KR101756067B1 KR1020170073108A KR20170073108A KR101756067B1 KR 101756067 B1 KR101756067 B1 KR 101756067B1 KR 1020170073108 A KR1020170073108 A KR 1020170073108A KR 20170073108 A KR20170073108 A KR 20170073108A KR 101756067 B1 KR101756067 B1 KR 101756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hip
pocket
infan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형
Original Assignee
(주)끄레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끄레델 filed Critical (주)끄레델
Priority to KR1020170073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보호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기 위해 사용되는 유아용 캐리어와 이러한 유아용 캐리어에서 쿠션이 삽입되는 쿠션 포켓을 포함하는 힙시트의 상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이 개시된다. 이러한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은, 상기 쿠션 포켓의 상면에 고정되는, 엉덩이 하부 지지부와,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보호 쿠션이 삽입된, 엉덩이 후방 지지부와,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를 상기 쿠션 포켓의 상면에 고정하는 경우, 상기 쿠션 포켓의 상면의 외연보다 넓게 위치하여, 유아의 허벅지를 보호하기 위한 허벅지 보호부와,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이 상기 쿠션 포켓의 상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보조 쿠션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CARRIER FOR INFANT AND REMOVABLE ASSISTANT CUSHION FOR USE IN HIP SEAT THEREOF}
본 발명은 유아를 안거나 등에 업고자 할 경우 사용되는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유아용 캐리어에서 힙시트 위에 유아를 앉힌 상태에서 등에 업는 경우, 보호자가 캐리어를 완착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 보호자의 등에 유아가 밀착되지 않고 멀어져서, 보호자와 유아가 불편하게 되는 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호자가 유아와 함께 외출하고자 하는 경우 유아용 캐리어를 사용하고 있다. 유아용 캐리어의 형상이나 모양 등도 인체공학 기술을 접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고 발전해오고 있다.
유아용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아기띠나 포대기 등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유아의 엉덩이(힙(hip))가 닿는 부분은 그 내부에 쿠션 기능을 갖는 시트 베이스(seat base)가 내장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유아용 캐리어의 일 예는,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6-0047259에 개시되어 있고, 또한, 위와 같은 형태들의 유아용 캐리어에서 등받이 또는 등받이와 힙 지지부가 함께 있는 의자와 같은 형태의 구조를 채용하여 등에 업힌 아이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는데, 그러한 예는 대한민국등록특허 10-1679218 또는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022794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의 유아용 캐리어에 있어서는, 유아용 캐리어에 유아를 안착시켜 보호자가 안거나 등에 업는 경우, 유아가 보호자의 몸에 밀착되지 않고 멀어지게 되어 보호자나 유아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어, 유아의 척추가 휘어지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1)가 유아용 캐리어(10)를 이용하여 유아(2)를 등에 업은 경우, 유아(2)의 힙(3) 부분을 등받이의 아랫부분 및 시트 베이스(11)가 지지하고는 있으나, 보호자(1)와 유아(2)가 밀착되지 않고 등받이 측으로 밀리게 되어 이격 공간(4)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10-2011-022794와 같이 등받이 형태이면서 엉덩이 지지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보호자 측과 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호자 측으로 미끄러지게 되어 등받이와 유아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유아를 안거나 업을 경우 안정감이 떨어지게 되고, 유아와 보호자를 더 힘들게 하는 원인이 된다. 유아의 엉덩이가 뒤로 밀려서 보호자의 몸과 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엉덩이 받침대 부분에 미끄럼 방지 패드를 부착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도 또한 유아의 엉덩이가 뒤로 밀려서 보호자의 몸과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는 근본적으로 어려움이 있다.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유아용 캐리어 기술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6-0047259(2016.05.02.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1679218(2016.11.18. 등록)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022794(2011.03.08.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아용 캐리어를 이용하여 보호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는 경우, 유아의 엉덩이가 뒤로 밀려서 보호자의 몸과 멀어지거나, 등받이 측과 유아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안정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유아용 캐리어를 이용하여 보호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은 상태에서 유아가 대변 또는 소변을 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즉각적으로 기저귀를 교환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보호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기 위해 사용되는 유아용 캐리어는, 쿠션(200)이 삽입되는 쿠션 포켓(20)을 포함하는, 힙시트와, 상기 쿠션 포켓의 상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쿠션 포켓의 상부에는, 상기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의 부착을 위한 힙시트 측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은, 상기 쿠션 포켓(20)의 상면에 고정되는,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와,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보호 쿠션이 삽입된, 엉덩이 후방 지지부(120)와,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를 상기 쿠션 포켓의 상면에 고정하는 경우, 상기 쿠션 포켓의 상면의 외연보다 넓게 위치하여, 유아의 허벅지를 보호하기 위한 허벅지 보호부(130)와,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이 상기 쿠션 포켓의 상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힙시트 측 결합부에 결합되는 보조 쿠션 결합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은, 보호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기 위해 사용되는 유아용 캐리어에서 상기 유아용 캐리어의 쿠션(200)이 삽입되는 쿠션 포켓(20)의 상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으로서, 상기 쿠션 포켓(20)의 상면에 고정되는,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와,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보호 쿠션이 삽입된, 엉덩이 후방 지지부(120)와,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를 상기 쿠션 포켓의 상면에 고정하는 경우, 상기 쿠션 포켓의 상면의 외연보다 넓게 위치하여, 유아의 허벅지를 보호하기 위한 허벅지 보호부(130)와,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이 상기 쿠션 포켓의 상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보조 쿠션 결합부(1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 쿠션 결합부(140)는, 벨크로테이프, 스냅단추 및 지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 및 상기 엉덩이 후방 지지부(120)는 합성섬유, 면, 기모 및 메쉬직물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은,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 내에 위치하여,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에서의 온도 상승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30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에서의 온도 상승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온도 센서는, 보호자의 모바일 기기 측으로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의 온도 상승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은, 유아용 캐리어와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을 제공함으로써, 유아용 캐리어를 이용하여 보호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는 경우, 유아의 엉덩이가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하여 보호자의 몸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등받이 측과 유아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을 제공함으로써, 유아용 캐리어를 이용하여 보호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은 상태에서 유아가 대변 또는 소변을 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즉각적으로 기저귀를 교환할 수 있도록 알려준다.
도 1은 종래의 유아용 캐리어의 사용 상태 및 사용시 불편한 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을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유아용 캐리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을 유아용 캐리어의 쿠션(200)이 삽입되는 쿠션 포켓(20)의 상부에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의 샘플을 유아용 캐리어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설명을 위해 등받이부를 생략한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의 샘플을 유아용 캐리어에 적용하여 유아가 앉은 상태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설명을 위해 등받이부를 생략한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예시되고 간략화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을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유아용 캐리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을 유아용 캐리어의 쿠션(200)이 삽입되는 쿠션 포켓(20)의 상부에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의 샘플을 유아용 캐리어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설명을 위해 등받이부를 생략한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의 샘플을 유아용 캐리어에 적용하여 유아가 앉은 상태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설명을 위해 등받이부를 생략한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보호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기 위해 사용되는 유아용 캐리어는, 쿠션(200)이 삽입되는 쿠션 포켓(20)을 포함하는, 힙시트와, 쿠션 포켓(20)의 상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110, 120, 130, 140)을 포함한다. 쿠션 포켓의 상부에는,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의 부착을 위한 힙시트 측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후에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힙시트 측 결합부에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의 보조 쿠션 결합부(140) 측이 결합된다. 본 명세서 내에서, 힙시트는 쿠션(200)이 삽입되는 쿠션 포켓(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을 개재한 상태로 유아의 엉덩이가 위치하는 부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20이 쿠션 포켓 또는 힙시트이고, 참조부호 24는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이 부착되는 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은, 보호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기 위해 사용되는 유아용 캐리어에서 유아용 캐리어의 쿠션(200)이 삽입되는 쿠션 포켓(20)의 상부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상기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은,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와, 엉덩이 후방 지지부(120)와, 허벅지 보호부(130)와, 보조 쿠션 결합부(140)를 포함한다.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는, 쿠션 포켓(2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유아의 엉덩이를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부분, 즉 유아의 엉덩이가 전반적으로 닿는 부분이다.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는 쿠션 포켓(20)의 상면에 면 접촉 고정되며, 소정의 두께로 쿠션이 삽입된다.
엉덩이 후방 지지부(120)는,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가능하게(화살표 a1으로 표시) 연결된다. 그리고, 엉덩이 후방 지지부(120)는 그 내부에는 등받이부(22)와 유아의 엉덩이 후방 사이에서 위치하여 유아를 보호자 측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직경을 갖는 입체형상의 보호 쿠션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과 관련하여,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의 전방 측은 보호자와 가깝게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하고,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의 후방 측은 그 반대측, 즉 등받이부(22)와 가깝게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 및 엉덩이 후방 지지부(120)는 합성섬유, 면, 기모 및 메쉬직물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기후의 변화, 계절의 변화에 따라 적절히 탈부착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들에서 유아용 캐리어의 쿠션에 대하여는 참조부호를 200으로 부여하였으나,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의 쿠션, 엉덩이 후방 지지부(120)의 보호 쿠션에 대하여는 별도로 표시하지 아니하였다.
허벅지 보호부(130)는,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의 양측에 위치하고,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를 쿠션 포켓(20)의 상면에 고정하는 경우, 쿠션 포켓(20)의 상면의 외연보다 넓게 위치하여, 유아의 허벅지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조 쿠션 결합부(140)는,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의 하면에 형성되어,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이 쿠션 포켓(20)의 상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조 쿠션 결합부(140)는, 벨크로테이프, 스냅단추 및 지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도면상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쿠션 포켓(20)의 상면에도 이러한 보조 쿠션 결합부(140)에 대응하는 구조물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예컨대, 보조 쿠션 결합부(140)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구조물(예컨대, 보조 쿠션 결합부(140) 측이 수 벨크로테이프 구조라면, 쿠션 포켓(20)의 상면에는 암 벨크로테이프 구조)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의 샘플을 사용하여 보호자(1)가 유아용 캐리어(20, 21, 22, 23)를 이용하여 유아를 등에 업은 상태를 설명한다. 도 5에서, 포켓(20), 허리 고정부(21), 등받이부(22), 및 어깨 걸이부(23)는 직물 재료이다. 포켓(20) 내에는 쿠션(200)이 삽입되어 있다. 보호자(1)는, 쿠션(200)이 삽입된 포켓(20)의 상면에 본 발명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110, 120, 130)을 부착하고(보조쿠션 결합부(도 2의 140)를 통해), 허리에 허리 고정부(21)를 착용한 후,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110, 120, 130) 상부에 유아(2)를 안착시키고, 어깨 걸이부(23)와 등받이부(22)를 적절히 조절하여 유아(2)와 보호자(1)가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110, 120, 130)의 엉덩이 후방 지지부(120)는 유아(2)의 엉덩이가 유아용 캐리어 내에서 놀지 않도록 해줌으로써 보호자와 유아가 편안하도록 해준다. 뿐만 아니라, 허벅지 보호부(130)가 유아(2)의 허벅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의 양측에서 포켓(20)의 상부의 외연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경우, 허벅지 보호부(130)를 설명하기 위해 유아(2)의 하체 부분을 생략하고 도시하였으며, 보다 구체적인 적용 예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유아용 캐리어의 포켓 상부에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을 부착한 상태가 도 6의 (a) 및 (b)에 사진으로 나타나 있다. 등받이부는 결합시키지 않은 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허벅지 보호부(130)가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엉덩이(3)가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 측에 밀착되고, 엉덩이(3)의 후방도 엉덩이 후방 지지부(120) 측과 밀착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허벅지 보호부(130)에 의해 유아의 허벅지 안쪽이 지지된다. 허벅지 보호부(130) 내부에도 소정의 두께를 갖는 쿠션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은,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 내에서 온도 상승을 감지하기 위한 온데 센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아용 캐리어를 이용하여 보호자가 유아를 업거나 앉은 경우, 유아가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변이나 소변을 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변이나 소변의 영향으로 온도의 상승이 있게 되는데, 이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온도 센서는, 블루트스 통신을 통해 보호자의 모바일 기기측으로 유아의 대변이나 소변으로 인해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의 온도가 상승했다는 정보를 전송하여 보호자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해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엉덩이 하부 지지부
120 : 엉덩이 후방 지지부
130 : 허벅지 보호부
140 : 보조쿠션 결합부
20 : 포켓
200 : 쿠션
21 : 허리 고정부
22 : 등받이부
23 : 어깨 걸이부
300 : 온도 센서

Claims (5)

  1. 보호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기 위해 사용되는 유아용 캐리어로서,
    쿠션(200)이 삽입되는 쿠션 포켓(20)을 포함하는, 힙시트; 및
    상기 쿠션 포켓의 상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쿠션 포켓의 상부에는, 상기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의 부착을 위한 힙시트 측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은,
    상기 쿠션 포켓(20)의 상면에 고정되는,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보호 쿠션이 삽입된, 엉덩이 후방 지지부(120);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를 상기 쿠션 포켓의 상면에 고정하는 경우, 상기 쿠션 포켓의 상면의 외연보다 넓게 위치하여, 유아의 허벅지를 보호하기 위한 허벅지 보호부(130); 및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이 상기 쿠션 포켓의 상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힙시트 측 결합부에 결합되는 보조 쿠션 결합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캐리어.
  2. 보호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기 위해 사용되는 유아용 캐리어에서 상기 유아용 캐리어의 쿠션(200)이 삽입되는 쿠션 포켓(20)의 상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으로서,
    상기 쿠션 포켓(20)의 상면에 고정되는,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보호 쿠션이 삽입된, 엉덩이 후방 지지부(120);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를 상기 쿠션 포켓의 상면에 고정하는 경우, 상기 쿠션 포켓의 상면의 외연보다 넓게 위치하여, 유아의 허벅지를 보호하기 위한 허벅지 보호부(130); 및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이 상기 쿠션 포켓의 상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보조 쿠션 결합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쿠션 결합부(140)는, 벨크로테이프, 스냅단추 및 지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 및 상기 엉덩이 후방 지지부(120)는 합성섬유, 면, 기모 및 메쉬직물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은,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110) 내에 위치하여, 상기 엉덩이 하부 지지부에서의 온도 상승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
KR1020170073108A 2017-06-12 2017-06-12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 KR101756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108A KR101756067B1 (ko) 2017-06-12 2017-06-12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108A KR101756067B1 (ko) 2017-06-12 2017-06-12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067B1 true KR101756067B1 (ko) 2017-07-11

Family

ID=59354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108A KR101756067B1 (ko) 2017-06-12 2017-06-12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0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261B1 (ko) *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KR102205260B1 (ko) *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US10905253B2 (en) 2018-04-19 2021-02-02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carrier
WO2022211276A1 (ko) * 2021-04-02 2022-10-06 남지영 아기용 폴딩 힙시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5253B2 (en) 2018-04-19 2021-02-02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carrier
US10905252B2 (en) 2018-04-19 2021-02-02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carrier
US11026519B2 (en) 2018-04-19 2021-06-08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carrier
US11026520B2 (en) 2018-04-19 2021-06-08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carrier
US11039695B2 (en) 2018-04-19 2021-06-22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carrier
KR102205261B1 (ko) *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KR102205260B1 (ko) *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WO2022211276A1 (ko) * 2021-04-02 2022-10-06 남지영 아기용 폴딩 힙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067B1 (ko)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의 힙시트 전용 착탈식 보조 쿠션
KR100906369B1 (ko) 수유 쿠션
US7841657B2 (en) Cushion for retaining posture of child and structure using same cushion
US8556343B2 (en) Versatile seat liner
US20110101051A1 (en) Infant carrier with leg straps
KR101559720B1 (ko) 모유수유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유쿠션과 수유의자 및 이를 활용한 모유수유량 모니터링 방법
WO2019146810A1 (ko) 영아용 속싸개
KR200481152Y1 (ko) 유아용 캐리어
KR20160112243A (ko) 유아용 캐리어
KR20090008715U (ko) 유아용 아기띠
KR101922307B1 (ko) 영아용 속싸개
KR102173981B1 (ko)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
KR200482010Y1 (ko) 멀티 백 겸용 아기띠
KR200474275Y1 (ko)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JP3168619U (ja) 乳母車、およびおむつ替えシート
US10918138B2 (en) Wearable baby blanket with insulated interchangeable upper and lower pockets for a customized fit and utility that easily converts into a traditional blanket
JP2019051308A (ja) ベビーキャリア
CN203693071U (zh) 腰凳
KR20200053179A (ko)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KR200474432Y1 (ko) 유아용 포대기
KR101447831B1 (ko) 영유아용다용도포대기
KR20160046224A (ko) 유아용 캐리어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CN201920998U (zh) 一种尿布套
JP2016120842A (ja) ベルト固定装置、ベビーシート及びベビ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