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007B1 -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007B1
KR101756007B1 KR1020160043509A KR20160043509A KR101756007B1 KR 101756007 B1 KR101756007 B1 KR 101756007B1 KR 1020160043509 A KR1020160043509 A KR 1020160043509A KR 20160043509 A KR20160043509 A KR 20160043509A KR 101756007 B1 KR101756007 B1 KR 101756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vehicle
running
processing apparatus
re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3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5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according to engine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055Special engine operating conditions, e.g. for regeneration of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젤 엔진이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노선을 고려함으로써 차량의 정차 시 자동재생을 탈출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Method for regeneration controlling of Diesel Particulate Filter considering driving route}
본 발명은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젤 엔진이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노선을 고려함으로써 차량의 정차 시 자동재생을 탈출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디젤 엔진은 출력 및 연비가 뛰어나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매연 발생문제가 있어 각국에서는 이에 대해 규제하고 있다. 최근 강화되는 각종 배기가스 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해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총탄화수소(THC), 입자상물질(PM)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러 형태의 후처리 장치가 장착된다.
예컨대, 상기 후처리 장치로 DOC(Diesel Oxidation Catalyst),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촉매 등이 장착된다.
상기 후처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및 터보 차저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DOC, DPF, SCR 촉매, 암모니아 산화장치인 AOC(Ammonia Oxidation Catalyst) 순으로 배치된다. 상기 SCR 촉매의 전단에는 상기 SCR 촉매로 요소수를 분사하는 도징(Dosing) 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DOC는 HC, CO 의 산화반응과 입자상 물질 중 산화가 용이한 SOF(Soluble Organic Fraction) 성분을 저감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DPF는 수트(SOOT)를 필터에 흡착 및 퇴적시켜 고온에서 자동재생 또는 수동재생을 통하여 포집된 수트를 태워서 제거하게 되며, 상기 SCR 촉매는 환원제인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NOx를 화학반응으로 분해 제거한다.
상기 DPF의 수동재생은 수트가 일정량 이상 포집되었을 경우 운전자가 직접 작동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차량의 아이들 상태가 500rpm이라고 할 때 1350rpm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DPF의 자동재생은 수트가 일정량 이상 포집되었을 경우 주행 중에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차량의 아이들 상태가 500rpm이라고 할 때 900rpm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작동되어진다.
이러한 상기 DPF의 자동재생은 1회 재생 시 약 20분 이상이 소요되는데, 종래에는 차량의 주행 시 자동재생에 돌입하였다가 자동재생이 완료되기 전에 차량이 1분 이상 정차하게 되면 자동재생이 완료되지 못하고 자동재생 조건을 탈출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자동재생 완료 전에 자동재생을 탈출하게 되면 자동재생을 위해 분사된 연료가 불필요해져 연료의 소모가 발생하게 되고, 완료되지 못한 자동재생으로 인해 DPF 부품의 내구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자동재생에 돌입은 하지만 완료는 되지 못해 수트가 계속 쌓이게 되므로 차량에 대한 고객의 신뢰성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243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디젤 엔진이 장착된 상용 차량의 반복적인 주행 노선을 고려하여, 차량의 정차 시 자동재생을 탈출하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기록장치(Digital Tacho Graph)에 저장된 주행 노선 프로파일(profile)을 이용하여 후처리 장치의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생 제어 방법은,
상기 주행기록장치에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이 있다고 확인되면 상기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을 이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을 이용할 경우 자동재생이 가능한 구간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이 자동재생 가능한 구간이라고 확인되면 캔(CAN)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기록장치에서 엔진 ECU로 자동재생이 가능함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상기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으로 주행 시 자동재생 가능한 시점에 돌입하면 상기 엔진 ECU에서 자동재생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기록장치(Digital Tacho Graph)에 저장된 주행 노선 프로파일(profile)을 이용하여 후처리 장치의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생 제어 장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내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 데이터를 확인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주행기록장치;
차량의 운행 중 차량정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cluster);
주행기록장치로부터 캔(CAN) 메시지를 받는 엔진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 노선이 일정하고 자주 정차하는 차량에 대해 불필요한 자동재생 모드가 삭제됨으로써 연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재생의 불필요한 돌입 및 탈출을 방지하여 DFP(Diesel Particulate Filter)의 깨짐 및 막힘 등의 문제를 줄여 품질 개선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헐적으로 다른 주행노선을 보이는 학원 버스, 관광 버스 등과 같은 차량에 대해 자동재생 돌입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젤 엔진 차량의 후처리 장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흐름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디젤 엔진이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패턴을 고려함으로써 차량의 정차 시 자동재생을 탈출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장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내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 데이터를 확인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4)와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주행기록장치(Digital Tacho Graph, DTG)(2)와 상기 차량의 운행 중 차량정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cluster)(6)와 상기 주행기록장치(2)로부터 캔(CAN) 메시지를 받는 엔진 ECU(Electronic control unit)(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엔진 ECU(8)는 상기 주행기록장치(2)에서 캔 메시지를 받아 재생 스위치(10)의 온(ON)을 인가시키게 되며, 상기 클러스터(6)는 캔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를 상기 주행기록장치(2)에 전송하게 되고, 상기 GPS(4)는 상기 주행기록장치(2)와 와이어링(wiring)되어 상기 차량의 위치 데이터를 상기 주행기록장치(2)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은 디젤 엔진 차량에 장착된 상기 내비게이션에 운전자가 목적지를 설정하면 차량의 상기 주행기록장치(2)에 저장된 주행 노선 프로파일(profile)을 이용하여 후처리 장치의 재생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흐름도를 보며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운전자가 상기 내비게이션에 목적지를 설정하면, 상기 차량에 장착된 상기 주행기록장치(2)에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이 있는지 확인(S100)하게 된다.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이 있다고 확인되면 운전자는 상기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을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주행할 것인지를 판단(S110)하게 된다.
운전자가 상기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을 이용하겠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이 자동재생 가능한 구간인지를 확인(S120)하게 된다.
상기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이 자동재생 가능한 구간이라고 확인되면 캔(CAN)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기록장치(2)에서 상기 엔진 ECU(8)로 자동재생이 가능함을 전달(S130)하고 상기 차량은 목적지를 향해 주행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차량이 상기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으로 주행 시 상기 주행 노선에서 자동재생 가능한 시점이라고 저장된 시점에 돌입하면 상기 엔진 ECU(8)에서 자동재생을 동작(S140)시키게 되어 자동재생의 완료시점 이전에 자동재생이 탈출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자동재생이 가능한 구간인지 확인하는 단계(S120)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이 자동재생 불가능한 구간이라고 확인되면 캔(CAN)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기록장치(2)에서 상기 엔진 ECU(8)로 자동재생이 불가능함을 전달(S150)하고, 상기 엔진 ECU(8)에서는 자동재생을 금지(S160)시키게 된다.
반면에, 상기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을 이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에서 운전자가 상기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을 이용하지 않겠다고 판단하게 되면 기존에 입력된 수동재생 및 자동재생 로직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기존에 입력된 수동재생은 운전자가 아이들(idle) 상태에서 재생 스위치(10)를 직접 동작시키는 것이고, 상기 기존에 입력된 자동재생은 주행 중 엔진 ECU(8)에서 일정량 이상의 DPF가 쌓였다고 판단하면 자동으로 재생 동작이 시작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주행기록장치(2)에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00)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이 없다고 확인되면, 상기 차량을 목적지까지 운행하면서 수동재생스위치가 10초 이상 동작되는 구간이 있는지 확인(S170)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고, 수동재생스위치가 10초 이상 동작될 경우, 상기 클러스터(6)에서는 주행노선 입력 중임을 표시하고 상기 GPS(4)의 차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기록장치(2)에서는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 입력 동작을 통해 주행 노선을 구성하여 저장(S180)하게 된다.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180) 이후 상기 목적지까지 계속하여 주행하였을 때 수동재생스위치가 5초 이상 동작되는 구간이 있는지를 추가 확인(S190) 하게 된다.
상기 목적지까지 계속하여 주행하였을 때 수동재생 스위치가 5초 이상 동작되지 않으면,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180)로 돌아가 프로파일 입력 동작을 유지하게 된다.
즉, 수동재생스위치를 5초 이상 입력해야 주행 노선 프로파일 입력 동작이 끝나게 되므로 상기 목적지까지 계속하여 주행하였을 때 수동재생스위치가 5초 이상 동작된다고 확인되면 상기 주행기록장치(2)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최종적으로 저장(S200)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단계(S200)에서 저장된 주행 노선 프로파일은 실제 주행에 바로 사용될 수 없으며, 상기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단계(S200)에서 저장된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5회 주행하였을 때, 3회 이상의 주행이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S210)한 후 실제 주행에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일정 조건은 상기 차량이 출발하는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 주행하였을 때 25분 이상 지속하여 주행 가능한 구간이 존재해야 하는 것으로 즉, 상기 차량의 주행 시 기준 시점에서부터 25분 이내에 차속이 0kph가 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3회 이상의 주행이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210)에서 상기 일정 조건이 만족되어지면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최종적으로 저장(S200)단계에서 저장된 주행 노선 프로파일이 상기 주행기록장치(2)에 자동재생 가능구간으로 저장(S220)된다.
하지만 상기 일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최종적으로 저장(S200)단계에서 저장된 주행 노선 프로파일은 자동재생 불가 구간으로 저장되어진다.
한편, 상기 목적지까지 운행하면서 수동재생스위치가 10초 이상 동작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170)에서 수동재생스위치가 10초 이상 동작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기존에 입력된 수동재생 및 자동재생 로직을 이용하여 차량의 재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차량의 일정 구간 주행 시 GPS(4), 클러스터(6) 등에서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기록장치(2)에서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작성하고, 상기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검토하여 상기 일정 구간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정차가 발생하는 구간이 있는지를 확인한 후 상기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자동재생 가능 구간으로 저장할지를 판단함으로써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을 이용하면 자동재생 가능 구간에서는 자동재생을 동작시키고, 자동재생 불가능 구간에서는 수동재생만 동작시킬 수 있게 하는 등 자동재생이 가능한 구간과 불가능한 구간을 구분하여 재생 제어를 이원화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버스 등과 같이 주행 노선이 일정하고 자주 정차하는 차량에 대해 불필요한 자동재생 모드가 삭제됨으로써 연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자동재생의 불필요한 돌입 및 탈출을 방지하여 DPF의 깨짐 및 막힘 등의 문제를 줄여 차량의 품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헐적으로 다른 주행패턴을 보이는 학원 버스, 관광 버스 등과 같은 차량에 대해 자동재생 돌입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명시된 차량의 상기 일정 조건은 일 실시예에 불과한 조건으로 차량의 자동재생이 완료되기까지의 시간에 따라 상기 일정 조건은 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 주행기록장치(DTG)
4 : GPS
6 : 클러스터
8 : 엔진 ECU
10 : 재생 스위치
S100 : 주행기록장치에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S110 : 확인된 주행 노선을 이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
S120 : 자동재생이 가능한 구간인지 확인하는 단계
S130 : 주행기록장치에서 엔진 ECU로 자동재생이 가능함을 전달하는 단계
S140 : 엔진 ECU에서 자동재생을 동작시키는 단계
S150 : 주행기록장치에서 엔진 ECU로 자동재생이 불가능함을 전달하는 단계
S160 : 엔진 ECU에서 자동재생을 금지시키는 단계
S170 : 자동재생이 10초 이상 동작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S180 : 주행기록장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S190 : 자동재생이 5초 이상 동작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S200 :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S210 :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S220 : 주행기록장치에서 자동재생 가능구간으로 저장하는 단계

Claims (19)

  1. 디젤 엔진 차량에 장착된 내비게이션(navigation)에 목적지 설정 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기록장치(Digital Tacho Graph)에 저장된 주행 노선 프로파일(profile)을 이용하여 후처리 장치의 재생을 제어하며,
    상기 재생 제어 방법은,
    상기 주행기록장치에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00)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이 있다고 확인되면 상기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을 이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
    상기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을 이용할 경우 자동재생이 가능한 구간인지 확인하는 단계(S120)
    상기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이 자동재생 가능한 구간이라고 확인되면 캔(CAN)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기록장치에서 엔진 ECU로 자동재생이 가능함을 전달하는 단계(S130)
    상기 차량이 상기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으로 주행 시 자동재생 가능한 시점에 돌입하면 상기 엔진 ECU에서 자동재생을 동작시키는 단계(S140)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기록장치에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00)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이 없다고 확인되면, 목적지까지 운행하면서 수동재생스위치가 10초 이상 동작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을 이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기존에 입력된 수동재생 및 자동재생 로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재생이 가능한 구간인지 확인하는 단계(S120)에서 확인된 주행 노선이 자동재생 불가능한 구간이라고 확인되면 캔(CAN)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기록장치에서 상기 엔진 ECU로 자동재생이 불가능함을 전달하는 단계(S150)
    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록장치에서 상기 엔진으로 자동재생이 불가능하다고 전달되면 엔진 ECU에서 자동재생을 금지시키는 단계(S160)
    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재생스위치가 10초 이상 동작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170)에서 수동재생스위치가 10초 이상 동작될 경우 클러스터와 GPS의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기록장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180)
    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180) 이후 상기 목적지까지 계속하여 주행하였을 때 수동재생스위치가 5초 이상 동작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190)
    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까지 계속하여 주행하였을 때 수동재생스위치가 5초 이상 동작된다고 확인되면 상기 주행기록장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단계(S200)
    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까지 계속하여 주행하였을 때 수동재생스위치가 5초 이상 동작하지 않는다고 확인되면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180)로 돌아가 프로파일 입력 동작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록장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단계(S200)에서 저장된 주행 노선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5회 주행하였을 때, 3회 이상의 주행이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210)
    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3회 이상의 주행이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210)에서 상기 일정 조건을 만족한다면 상기 주행기록장치에서 자동재생 가능구간으로 저장하는 단계(S220)
    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3회 이상의 주행이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210) 에서 상기 일정 조건은 상기 차량이 25분 이상 지속하여 주행 가능해야 하며, 상기 차량의 주행 시 기준 시점에서부터 25분 이내에 차속이 0kph가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까지 운행하면서 수동재생스위치가 10초 이상 동작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170)에서 수동재생스위치가 10초 이상 동작되지 않을 경우 기존에 입력된 수동재생 및 자동재생 로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60043509A 2016-04-08 2016-04-08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KR101756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509A KR101756007B1 (ko) 2016-04-08 2016-04-08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509A KR101756007B1 (ko) 2016-04-08 2016-04-08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007B1 true KR101756007B1 (ko) 2017-07-07

Family

ID=5935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509A KR101756007B1 (ko) 2016-04-08 2016-04-08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0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931A (ko) 2017-12-06 2019-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엔진의 후처리 장치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후처리 장치 컨트롤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3156A (ja) * 2004-02-23 2005-09-02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3156A (ja) * 2004-02-23 2005-09-02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931A (ko) 2017-12-06 2019-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엔진의 후처리 장치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후처리 장치 컨트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5504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otor vehicle, in particular a motor car
JP6121402B2 (ja) 低圧EGRを備えた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NOx吸蔵触媒コンバータを再生する方法
JP6305128B2 (ja) リーンノックストラップの脱硫装置および方法
US8720190B2 (en) Method for predicting SOx stored at DeNOx catalyst and exhaust system using the same
JP2005214203A (ja) 排気ガス後処理装置の再生方法
JP6446445B2 (ja) 触媒化された基材のための車載式診断システム
KR101637758B1 (ko) Scr 시스템의 고장진단방법 및 고장진단장치
JP2013512375A (ja) 還元剤容器における還元剤の状態を特定するための方法
US20120227379A1 (en) Filter Cleaning With An Engine Idle Bump
KR101756007B1 (ko) 주행 노선을 고려한 후처리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KR101631235B1 (ko) 운행차용 강제 출력 제한 및 모니터링 장치
JP6973195B2 (ja) 排気浄化装置、車両および排気浄化制御装置
JP2009520145A (ja) 自動車における窒素酸化物吸蔵還元触媒の地域毎の燃料品質を考慮した作動方法
US8763373B2 (en) System for purifying exhaust ga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507697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システム
WO20210258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control of aftertreatment systems
KR101534699B1 (ko) 질소산화물 저감 촉매의 탈황 장치 및 탈황 방법
KR20190088382A (ko) 재생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재생 방법
JP6657876B2 (ja) 内燃機関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105949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4635868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101519276B1 (ko) Scr 촉매 정화효율에 따른 엔진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scr 촉매 정화 시스템
US10746066B2 (en)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an exhaust-gas purification system
KR102563490B1 (ko) 배기 정화 장치의 내구수명 향상을 위한 배기 정화 장치의 재생 제어 방법
KR102440666B1 (ko) 배기가스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