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569B1 -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569B1
KR101755569B1 KR1020167007383A KR20167007383A KR101755569B1 KR 101755569 B1 KR101755569 B1 KR 101755569B1 KR 1020167007383 A KR1020167007383 A KR 1020167007383A KR 20167007383 A KR20167007383 A KR 20167007383A KR 101755569 B1 KR101755569 B1 KR 101755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reatment
hearing
unit
tinni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8329A (ko
Inventor
용 데이비드 쟈오
제니퍼 진핑 쟈오
빙빙 쟈오
홍웨이 쉬
Original Assignee
쟈앙수 베터라이프 메디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앙수 베터라이프 메디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쟈앙수 베터라이프 메디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78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8Audiometering evaluating tinnitus
    • G06F19/3418
    • G06F19/345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8Remote control, e.g. of amplification,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5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5Communication between hearing aids and external devices via a network for data ex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urosurge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 및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포함한다. 한 대 이상의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는 한 명 이상의 전문가가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을 통해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연결하여 제어하고,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는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을 통해 한 명 이상의 환자가 사용하는 한 대 이상의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에 연결된다. 상기 시스템은 한 명 이상의 전문가가 한 명 이상의 환자를 원격으로 청력 진단 및 치료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한 명 이상의 환자가 진단 및 치료 결과 데이터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로 전송하여 전문가가 원격으로 분석하거나, 전문가가 청력 진단 및 치료를 하도록 원격으로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시간을 절약해주며 환자가 외출하지 않고도 전문가로부터 청력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더욱이 병원 방문이 어려울 정도로 먼 곳에 있는 환자에게까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INTERACTIVE HEARING DIAGNOSIS AND TREATMENT SYSTEM BASED O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PLATFORM}
본 발명은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미국 청력학회는 귀나 머리에서 들리는 이명은 비(非)외부 소리에 대한 청각적 인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외부 소리가 없는 상황에서 귀 내부(한쪽 또는 양쪽) 또는 머리에서 소리가 느껴지는 것을 말하는 의학용어라고 정의 내렸다. 통상적으로 이명은 쉿 하는 소리, 화내는 소리, 휙 하는 소리, 새 소리 또는 누르는 소리 등의 소리가 간헐적으로, 연속적으로, 단음조로, 다음조로, 강약이 일정하거나 바뀌면서 들린다.
디지털 보청기와 디지털 이명 치료기는 전문 서비스 센터에서 전문 기술자가 환자에게 맞춤형 청력 테스트, 이명 진단을 하는 데에 사용되며, 피팅 프로그래밍과 디버깅을 진행한 후에 착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1. 통상적으로 두 세트 이상의 값비싼 테스트 설비기기와 두 명의 기술자가 필요하다.
2. 환자가 반드시 병원이나 전문 서비스 센터를 방문해야만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하다.
3. 환자 청력과 이명 변화에 따라 즉각적으로 조절하기가 쉽지 않다.
4. 기술 서비스 효율이 낮고 1번에 1명의 환자에게만 서비스가 가능하다.
5. 서비스 비용이 비싸다.
6. 먼 지역까지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어렵다.
7. 현대 네트워크 기술 이용에 부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문제는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여, 한 명 이상의 전문가가 한 명 이상의 환자를 원격으로 청력 진단 및 치료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한 명 이상의 환자가 스스로 청력을 진단 및 치료한 후 그 결과 데이터를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에 전송하여 전문가가 원격으로 분석하거나, 전문가의 청력 진단 및 치료를 원격으로 요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하고 외출하지 않고도 전문가로부터 청력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며, 더욱이 병원 방문이 어려울 정도로 먼 곳에 있는 환자에게까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방안을 채택하였다. 본 발명은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 및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를 포함하고, 한 명 이상의 전문가가 상기 한 대 이상의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에 의하여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로 연결되고,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는 상기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에 의하여 한 명 이상의 환자가 사용하는 한 대 이상의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에 연결되고, 상기 환자용 지능형 청력 치료기의 내부 구조는 사운드 플레이어 모듈, 제1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 보청기 피팅 처방 모듈, 제1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 이명 치료 처방 모듈, 제1 무선통신 모듈 및 제1 조작시스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은 각각 보청기 피팅 처방 모듈, 이명 치료 처방 모듈 및 제1 조작시스템 모듈과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제1 조작시스템 모듈은 각각 제1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과 제1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과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제1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과 제1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은 각각 사운드 플레이어 모듈과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은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와도 통신 연결되고; 상기의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의 내부 구조는 복합사운드 생성기 모듈, 제2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 보청기 피팅 모듈, 제2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 이명 치료 프로그래밍 모듈, 제2 무선통신 모듈 및 제2 조작시스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과 제2 조작시스템 모듈은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제2 조작시스템 모듈은 각각 상기 복합사운드 생성기 모듈, 제2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 보청기 피팅 모듈, 제2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 이명 치료 프로그래밍 모듈과 통신 연결되고, 상기의 제2 무선통신 모듈은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와도 통신 연결되고; 상기의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의 내부 구조는 데이터 처리 모듈, 데이터 저장 모듈, 전문가 라이브러리 모듈, 교류 센터 모듈 및 무선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제어 모듈은 각각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 데이터 저장 모듈, 전문가 라이브러리 모듈, 교류 센터 모듈과 통신 연결된다.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한 명 이상의 환자는 상기 한 대 이상의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를 통해 직접 자신의 청력을 진단 및 치료하여 결과 데이터를 얻고, 상기 결과 데이터는 상기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에 의하여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로 전송되고,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에서 상기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을 통하여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기에 전송하여 전문가가 원격으로 사용하거나 원격으로 진단 및 치료를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은 GPRS 및/또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 모듈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비디오 및 오디오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는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으로서, 모니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의 메인 인터페이스는 이명 치료 유닛, 치료 방안 유닛, 치료 기록 유닛 및 이명 보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명 치료 유닛은 왼쪽 귀 음량, 오른쪽 귀 음량 및 전체 음량을 설치하고 이어폰에 전송하여 플레이시키고;
상기 치료 방안 유닛은 치료의 시간 또는 치료 과정, 이명 치료 방안의 선택과 혼합 방식 및 치료 오디오 음조 플레이의 순서와 시간을 설치하고, 양쪽 귀를 함께 또는 좌우 귀에 대해 독립적으로 상기 설치를 진행하고;
상기 치료 기록 유닛은 사용한 치료 방안, 치료 날짜, 시간 및 길이를 기록하거나 치료 기록을 삭제하고;
상기 이명 보고 유닛은 테스트 보고와 치료 보고를 변환하고 의사 지시를 나타내며 동시에 현재 보고에서 저장카드 루트 디렉토리를 찾아 보관하거나 출력한다.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는 외부에 연결된 이어폰, 프린터, 보청기 및 이명 치료기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전체 주파수 대역 이어폰이고, 이어폰의 주파수 범위는 0 내지 20kHz이다.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는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 설비로서, 모니터 및 필로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의 메인 인터페이스는 테스트 피팅 모듈과 시스템 조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피팅 모듈은 메인 인터페이스의 우측단에 위치하고, 상기 시스템 조작 모듈은 메인 인터페이스의 좌측단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피팅 모듈은 청력 테스트 유닛, 이명 테스트 유닛, 이명 치료 유닛, 이도 검사 유닛 및 보청기 피팅 유닛을 포함하는데,
상기 청력 테스트 유닛은 기도 또는 골도 출력 청력도를 사용하고 청력도를 저장하고;
상기 이명 테스트 유닛은 다중 채널 소리 합성, 음조 곡선적합 및 배경 오디오 음조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고, 다중 모드 이명 오디오 음조 신호를 합성 또는 복합시키고, 상기 다중 채널 소리 합성은 8개 주파수 채널과 같이 다수 개를 포함하고, 각각 오른쪽 귀와 왼쪽 귀의 주파수 및 주파수 채널을 설치하고, 주파수 범위는 0 내지 20kHz이고, 단계적으로 ≥1Hz이고, 10Hz를 넘지 않고, 라우드니스 범위는 0 내지 120dB이고, 단계적으로 ≥1이고, 10을 넘지 않고; 상기 음조 곡선적합은 지정 시간 구간의 파수와 파형 설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 오디오 음조 데이터베이스는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에서 다운로드한 자료일 수 있고, 배경 오디오 음조 데이터를 찾은 후 주파수, 라우드니스, 구성 성분 삭제 또는 첨가 등 파라미터 조절을 진행하고, 반대로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에 이명 테스트 유닛에서 생성된 오디오 음조 데이터를 전송하여 타인이 참고하여 사용하도록 제공함으로써 환자 간, 환자와 전문가 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하고;
상기 이명 치료 유닛은 환자 진단 병례를 생성하고 마스킹 치료를 진행하고;
상기 이도 검사 유닛은 이도 디지털 영상으로 이도 내부와 고막의 외표면을 검사하고;
상기 보청기 피팅 유닛은 환자의 청력 테스트에 대응하여 환자 피팅 정보를 도출한 후, 환자에게 적합한 보청기 제품을 선정하고, 동시에 이명 진단 및 치료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명 보청기 또는 이명 치료기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 조절 또는 프로그래밍 디버깅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시스템 조작 모듈은 신규 추가 유닛, 파일 유닛, 테스트 보고 유닛, 치료 보고 유닛, 고객 단말 유닛, 삭제 유닛 및 나가기 유닛을 포함하는데,
상기 신규 추가 유닛은 환자의 파일 정보 추가 및 이명 정도 기록에 사용하고;
상기 파일 유닛은 환자의 파일 정보를 검색 또는 수정하고;
상기 테스트 보고 유닛은 요구에 따라 다수 유형의 테스트 보고 템플릿을 생성하고;
상기 치료 보고 유닛은 테스트 보고에 따라 상응하는 치료 보고를 생성하고;
상기 삭제 유닛은 다수 유형의 데이터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나가기 유닛은 저장 후 나가기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은 한 명 이상의 전문가가 한 명 이상의 환자를 원격으로 청력 진단 및 치료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한 명 이상의 환자가 직접 청력을 진단 및 치료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에 전송하여 전문가가 원격으로 분석하거나, 전문가가 청력 진단 및 치료를 하도록 원격으로 요청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때문에 이명 치료 효율이 약 80%에 달하고 시간을 절약해 주며, 환자가 외출하지 않고도 전문가로부터 청력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며, 더욱이 병원 방문이 어려울 정도로 먼 곳에 있는 환자에게까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실시예에서 사용한 도면을 간단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아래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창조적인 노동력을 투입하지 않고 아래 도면을 기반으로 다른 도면을 더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비교저거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 내부 구조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 내부 구조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내부 구조도;
도 5는 도 1에 있어서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의 메인 인터페이스 설명도;
도 6은 도 1에 있어서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의 메인 인터페이스 설명도.
아래에서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체 실시예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력을 투입하지 않고 얻은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 및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를 포함하고, 한 명 이상의 전문가가 상기 한 대 이상의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를 제어하고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에 의하여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로 연결하고,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는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에 의하여 한 명 이상의 환자가 사용하는 한 대 이상의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에 연결된다.
상기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은 GPRS 및/또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이고, 한 명 이상의 전문가가 여러 명의 환자와 연결할 수 있고,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을 빌어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통해 한 터미널의 전문가용 청력 진단 및 치료기를 다른 터미널의 환자용 청력 진단 및 치료기와 연결함으로써, 원격 청력 진단 및 치료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의 내부 구조는 사운드 플레이어 모듈, 제1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 보청기 피팅 처방 모듈, 제1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 이명 치료 처방 모듈, 제1 무선통신 모듈 및 제1 조작시스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은 각각 보청기 피팅 처방 모듈, 이명 치료 처방 모듈 및 제1 조작시스템 모듈과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제1 조작시스템 모듈은 각각 제1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과 제1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과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제1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과 제1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은 각각 사운드 플레이어 모듈과 통신 연결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은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와도 통신 연결된다.
상기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는 외부에 연결된 이어폰, 프린터, 보청기 및 이명 치료기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어폰은 전체 주파수 대역 이어폰이고, 이어폰의 주파수 범위는 0 내지 2kHz이다.
여기에서 상기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는 휴대형의 소형화 및 스마트화된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으로서 모니터는 터치스크린을 채택하였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의 메인 인터페이스는 이명 치료 유닛, 치료 방안 유닛, 치료 기록 유닛 및 이명 보고 유닛을 포함한다.
이명 치료 유닛은 왼쪽 귀 음량, 오른쪽 귀 음량 및 전체 음량을 설치하고 이어폰에 전송하여 플레이시킨다.
치료 방안 유닛은 치료의 시간 또는 치료 과정, 이명 치료 방안의 선택과 혼합 방식 및 치료 오디오 음조 플레이의 순서와 시간을 설치하고, 양쪽 귀를 함께 또는 좌우 귀에 대해 독립적으로 상기 설치를 진행한다.
치료 기록 유닛은 사용한 치료 방안, 치료 날짜, 시간 및 길이를 기록하거나 치료 기록을 삭제하고;
이명 보고 유닛은 테스트 보고와 치료 보고를 변환하고 의사 지시를 나타내며 동시에 현재 보고에서 저장카드 루트 디렉토리를 찾아 보관하거나 출력한다.
사용자는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의 메인 인터페이스 중의 이명 치료 유닛을 클릭하여 진입한다. 치료 방안이 정의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리스트에서 특정 치료 오디오를 선택해야 하나, 치료 방안이 정의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가 1분 동안 터치 동작을 하지 않을 경우 시스템은 자동으로 절전 모드로 진입하고 스크린이 어두워지는데, 이때 다시 한 번 스크린을 터치하면 활성화된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의 내부 구조는 복합사운드 생성기 모듈, 제2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 보청기 피팅 모듈, 제2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 이명 치료 프로그래밍 모듈, 제2 무선통신 모듈 및 제2 조작시스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과 제2 조작시스템 모듈은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제2 조작시스템 모듈은 각각 복합사운드 생성기 모듈, 제2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 보청기 피팅 모듈, 제2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 이명 치료 프로그래밍 모듈과 통신 연결되고, 여기에서 상기의 제2 무선통신 모듈은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와도 통신 연결된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는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 설비로서, 모니터 및 필로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의 메인 인터페이스는 테스트 피팅 모듈과 시스템 조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피팅 모듈은 메인 인터페이스의 우측단에 위치하고, 상기 시스템 조작 모듈은 메인 인터페이스의 좌측단에 위치한다. 동시에 상기 테스트 피팅 모듈과 시스템 조작 모듈의 인터페이스는 대칭으로 조절하거나 상하 위치 설치로 설계할 수도 있다.
상기 테스트 피팅 모듈은 청력 테스트 유닛, 이명 테스트 유닛, 이명 치료 유닛, 이도 검사 유닛 및 보청기 피팅 유닛을 포함한다.
청력 테스트 유닛은 기도 또는 골도 출력 청력도를 사용하고 청력도를 저장하고;
이명 테스트 유닛은 다중 채널 소리 합성, 음조 곡선적합 및 배경 오디오 음조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고, 다중 모드 이명 오디오 음조 신호를 합성 또는 복합시키고, 다중 채널 소리 합성은 8개 주파수 채널과 같이 다수 개를 포함하고, 각각 오른쪽 귀와 왼쪽귀의 주파수 및 주파수 채널을 설치하고, 주파수 범위는 0 내지 20kHz이고, 단계적으로 ≥1Hz이고, 10Hz를 넘지 않고, 라우드니스 범위는 0 내지 120dB이고, 단계적으로 ≥1이고, 10을 넘지 않고; 음조 곡선적합은 지정 시간 구간의 파수와 파형 설치를 포함하고, 배경 오디오 음조 데이터베이스는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에서 다운로드한 자료한 자료일 수 있고, 배경 오디오 음조 데이터를 찾은 후 주파수, 라우드니스, 구성 성분 삭제 또는 첨가 등 파라미터 조절을 진행하고, 반대로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에 이명 테스트 유닛에서 생성된 오디오 음조 데이터를 전송하여 타인이 참고하여 사용하도록 제공함으로써 환자 간, 환자와 전문가 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하고;
이명 치료 유닛은 환자 진단 병례를 생성하고 마스킹 치료를 진행하고;
이도 검사 유닛은 이도 디지털 영상으로 이도 내부와 고막의 외표면을 검사하고;
보청기 피팅 유닛은 환자의 청력 테스트에 대응하여 환자 피팅 정보를 도출한 후, 환자에게 적합한 보청기 제품을 선정하고, 동시에 이명 진단 및 치료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명 보청기 또는 이명 치료기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 조절 또는 프로그래밍 디버깅을 진행한다.
상기 시스템 조작 모듈은 신규 추가 유닛, 파일 유닛, 테스트 보고 유닛, 치료 보고 유닛, 고객 단말 유닛, 삭제 유닛 및 나가기 유닛을 포함한다.
신규 추가 유닛은 환자의 파일 정보 추가 및 이명 정도 기록에 사용하고;
파일 유닛은 환자의 파일 정보를 검색 또는 수정하고;
테스트 보고 유닛은 요구에 따라 다수 유형의 테스트 보고 템플릿을 생성하고;
치료 보고 유닛은 테스트 보고에 따라 상응하는 치료 보고를 생성하고;
삭제 유닛은 다수 유형의 데이터 정보를 삭제하고;
나가기 유닛은 저장 후 나가기 기능을 수행한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는 데이터 처리 모듈, 데이터 저장 모듈, 전문가 라이브러리 모듈, 교류 센터 모듈 및 무선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제어 모듈은 각각 데이터 처리 모듈, 데이터 저장 모듈, 전문가 라이브러리 모듈, 교류 센터 모듈과 각각 통신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제어 모듈은 양방향 통신의 비디오와 오디오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여러 명의 전문가와 여러 명의 환자는 모두 독립적으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연결할 수 있으며, 무선 제어 모듈을 통해 양방향으로 청력 진단 및 치료를 원격으로 조작하고;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관리자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의 작동 유지보수, 기술 지원, 데이터 저장 모듈 중의 전형적인 데이터를 전문가 라이브러리 모듈로 카피하는 것을 포함한 데이터 분류 저장을 책임지고, 전형적인 고객 데이터를 누적시켜 전문가 라이브러리 모듈을 확장시키고 대중이 사용하도록 제공하고;
데이터 처리 모듈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교환, 변환, 전송하고;
데이터 저장 모듈은 환자와 전문가의 데이터베이스를 분류에 따라 저장하고;
전문가 라이브러리 모듈은 저장한 전형적인 병례의 청력 보상 처방, 각종 다양한 이명 모드 데이터 및 상응하는 이명 마스킹 및 소리 순응 치료 처방을 수집한 후 분류대로 저장하고;
교류 센터 모듈은 전문가와 환자에게 기술, 데이터, 경험 또는 친구 채팅의 다자간 교류 기능을 제공하는데, 특히 환자 자신의 커뮤니티를 만들어 유사한 청력 손실 또는 이명을 겪은 환자가 서로 교류하고 도움을 주도로고 함으로써 청력 진단 및 치료 효과를 향상시켜 준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는 스스로 다양한 치료 방안을 관리 또는 조절하거나, 전문가의 원격 제어 하에서 상기 치료 방안을 관리 또는 조절할 수 있다. 한 명 이상의 환자는 상기 한 대 이상의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를 통해 스스로 청력을 진단 및 치료하여 결과 데이터를 얻고, 상기 결과 데이터는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을 통해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로 전송되고,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에서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을 통해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기에 전송하여 전문가가 원격으로 사용하거나 원격으로 진단 및 치료를 하도록 한다.
셀프 디버깅 또는 원격 제어 청력 진단 및 치료와 보청기 피팅 디버깅에 있어서, 환자는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에 삽입된 교정한 청력계를 가동시키고, 사운드 플레이어 모듈과 이어폰을 통해 직접 청취한 오디오 신호를 인식할 수 있고, 조작 시스템 모듈을 통해 다른 주파수의 청력역치를 기록함으로써 상기 청력 손실의 청력도 특징을 생성하고, 청력도를 무선으로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에 전송하여 전문가가 원격으로 청력도를 수신한 후,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에서 보청기 프로그래밍 피팅을 진행하고, 피팅 결과 또는 처방이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와 연결된 보청기 상에 다시 전송되고, 환자는 직접 청력도와 보청기 피팅 처방 모듈을 연결하여 자동으로 착용한 보청기를 매칭 및 디버깅할 수 있고; 청력 진단 및 치료도 전문가와 환자가 무선으로 연결하여 진행할 수 있고, 전문가는 자신의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 중의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을 제어하여, 오디오 신호를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와 이어폰으로 전송함으로써 환자가 소리를 인지하도록 하고, 양자는 양방향이므로 맞춤형 청력도 생성이 가능하다.
셀프 디버깅 또는 원격 제어 이명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환자는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 중에 삽입된 교정한 다중 모드 이명 진단기를 가동시키고, 사운드 프레이어 모듈과 이어폰을 통해 직접 청취한 오디오 음조 신호를 인식하고, 그 이명 모드가 유사하거나 일치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사운드 플레이어 모듈과 이어폰을 통해 바로 청취한 오디오 음조 신호를 인식하고, 조작 시스템 모듈을 통해 선택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이명 상태와 이명 모드를 기록하고, 다시 이명 치료 처방 모듈이 이명 마스킹 또는 순응 치료 처방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다른 방법은 환자가 직접 무선으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와 전문가에 연결하고, 전문가가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중의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을 제어아고, 선택한 이명 모드를 원격으로 환자의 귀에 전송하고, 환자는 인식한 후에 전문가에게 피드백을 주고, 이러한 방식으로 환자와 전문가가 서로 몇 회 진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적합한 이명 모드를 확진하고,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 중의 이명 치료 처방을 입력하고, 하나 이상의 이명 마스킹 또는 순응 치료 처방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환자가 착용하는 이명 치료기에 전송한다.
청력 손상이 있는 상태에서 이명이 있는 환자의 경우, 상기 두 가지 단계를 결합하여 이명 처방을 보청기에 전송할 수 있다.
청력 손상 또는 이명의 증상이 바뀌기 때문에, 전문가 또는 환자는 개인별 증상에 따라 여러 치료과정의 청력 치료 처방 또는 이명 치료 처방을 설계하여 환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여러 처방의 혼합과 디버깅을 통해 새로운 치료 처방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한 명 이상의 전문가는 한 명 이상의 환자에 대하여 원격으로 청력 진단 및 치료를 진행할 수 있으며, 한 명 이상의 환자가 직접 청력을 진단 및 치료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에 전송하여 전문가가 원격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제공하거나, 전문가가 청력 진단 및 치료를 하도록 원격으로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을 이용하여 각 진료 및 치료 단계를 연계시킴으로써 전자동 의료 정보화 관리를 구현하며, 시간을 절약하고 외출하지 않고도 전문가로부터 청력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며, 더욱이 병원 방문이 어려울 정도로 먼 곳에 있는 환자에게까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설명 내용을 기반으로 동등한 구조 또는 프로세스를 교체하거나, 직간접적으로 이를 다른 관련 기술분야에 응용할 경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특허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 및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를 포함하고, 한 명 이상의 전문가가 상기 한 대 이상의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에 의하여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로 연결되고,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는 상기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에 의하여 한 명 이상의 환자가 사용하는 한 대 이상의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에 연결되고, 상기 환자용 지능형 청력 치료기의 내부 구조는 사운드 플레이어 모듈, 제1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 보청기 피팅 처방 모듈, 제1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 이명 치료 처방 모듈, 제1 무선통신 모듈 및 제1 조작시스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은 각각 보청기 피팅 처방 모듈, 이명 치료 처방 모듈 및 제1 조작시스템 모듈과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제1 조작시스템 모듈은 각각 제1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 및 제1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과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제1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과 제1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은 각각 사운드 플레이어 모듈과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은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와도 통신 연결되고; 상기의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의 내부 구조는 복합사운드 생성기 모듈, 제2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 보청기 피팅 모듈, 제2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 이명 치료 프로그래밍 모듈, 제2 무선통신 모듈 및 제2 조작시스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과 제2 조작시스템 모듈은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제2 조작시스템 모듈은 각각 상기 복합사운드 생성기 모듈, 제2 청력 테스트 진단 모듈, 보청기 피팅 모듈, 제2 이명 테스트 진단 모듈, 이명 치료 프로그래밍 모듈과 통신 연결되고, 상기의 제2 무선통신 모듈은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와도 통신 연결되고; 상기의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의 내부 구조는 데이터 처리 모듈, 데이터 저장 모듈, 전문가 라이브러리 모듈, 교류 센터 모듈 및 무선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제어 모듈이 각각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 데이터 저장 모듈, 전문가 라이브러리 모듈, 교류 센터 모듈과 통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한 명 이상의 환자는 상기 한 대 이상의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를 통해 직접 자신의 청력을 진단 및 치료하여 결과 데이터를 얻고, 상기 결과 데이터는 상기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에 의하여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로 전송되고,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에서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을 통하여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기에 전송하여 전문가가 원격으로 사용하거나 원격으로 진단 및 치료를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이 GPRS 및/또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 모듈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비디오 및 오디오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는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으로서, 모니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의 메인 인터페이스는 이명 치료 유닛, 치료 방안 유닛, 치료 기록 유닛 및 이명 보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명 치료 유닛은 왼쪽 귀 음량, 오른쪽 귀 음량 및 전체 음량을 설치하고 이어폰에 전송하여 플레이시키고;
    상기 치료 방안 유닛은 치료의 시간 또는 치료 과정, 이명 치료 방안의 선택과 혼합 방식 및 치료 오디오 음조 플레이의 순서와 시간을 설치하고, 양쪽 귀를 함께 또는 좌우 귀에 대해 독립적으로 상기 설치를 진행하고;
    상기 치료 기록 유닛은 사용한 치료 방안, 치료 날짜, 시간 및 길이를 기록하거나 치료 기록을 삭제하고;
    상기 이명 보고 유닛은 테스트 보고와 치료 보고를 변환하고 의사 지시를 나타내며 동시에 현재 보고에서 저장카드 루트 디렉토리를 찾아 보관하거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가 외부에 연결된 이어폰, 프린터, 보청기 및 이명 치료기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전체 주파수 대역 이어폰이고, 상기 이어폰의 주파수 범위가 0 내지 20k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용 지능형 청력 진단 및 치료기는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 설비로서, 모니터 및 필로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의 메인 인터페이스는 테스트 피팅 모듈과 시스템 조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피팅 모듈은 메인 인터페이스의 우측단에 위치하고, 상기 시스템 조작 모듈은 메인 인터페이스의 좌측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피팅 모듈은 청력 테스트 유닛, 이명 테스트 유닛, 이명 치료 유닛, 이도 검사 유닛 및 보청기 피팅 유닛을 포함하는데,
    상기 청력 테스트 유닛은 기도 또는 골도 출력 청력도를 사용하고 청력도를 저장하고;
    상기 이명 테스트 유닛은 다중 채널 소리 합성, 음조 곡선적합 및 배경 오디오 음조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고, 다중 모드 이명 오디오 음조 신호를 합성 또는 복합시키고, 상기 다중 채널 소리 합성은 8개 주파수 채널과 같이 다수 개를 포함하고, 각각 오른쪽 귀와 왼쪽 귀의 주파수 및 주파수 채널을 설치하고, 상기 주파수 범위는 0 내지 20kHz이고, 단계적으로 ≥1Hz이고, 10Hz를 넘지 않고, 라우드니스 범위는 0 내지 120dB이고, 단계적으로 ≥1이고, 10을 넘지 않고; 상기 음조 곡선적합은 지정 시간 구간의 파수와 파형 설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 오디오 음조 데이터베이스는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에서 다운로드한 자료일 수 있고, 배경 오디오 음조 데이터를 찾은 후 주파수, 라우드니스, 구성 성분 삭제 또는 첨가 등 파라미터 조절을 진행하고, 반대로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에 이명 테스트 유닛에서 생성된 오디오 음조 데이터를 전송하여 타인이 참고하여 사용하도록 제공함으로써 환자 간, 환자와 전문가 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하고;
    상기 이명 치료 유닛은 환자 진단 병례를 생성하고 마스킹 치료를 진행하고;
    상기 이도 검사 유닛은 이도 디지털 영상으로 이도 내부와 고막의 외표면을 검사하고;
    상기 보청기 피팅 유닛은 환자의 청력 테스트에 대응하여 환자 피팅 정보를 도출한 후, 환자에게 적합한 보청기 제품을 선정하고, 동시에 이명 진단 및 치료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명 보청기 또는 이명 치료기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 조절 또는 프로그래밍 디버깅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의 시스템 조작 모듈은 신규 추가 유닛, 파일 유닛, 테스트 보고 유닛, 치료 보고 유닛, 고객 단말 유닛, 삭제 유닛 및 나가기 유닛을 포함하는데,
    상기 신규 추가 유닛은 환자의 파일 정보 추가 및 이명 정도 기록에 사용하고;
    상기 파일 유닛은 환자의 파일 정보를 검색 또는 수정하고;
    상기 테스트 보고 유닛은 요구에 따라 다수 유형의 테스트 보고 템플릿을 생성하고;
    상기 치료 보고 유닛은 테스트 보고에 따라 상응하는 치료 보고를 생성하고;
    상기 삭제 유닛은 다수 유형의 데이터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나가기 유닛은 저장 후 나가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KR1020167007383A 2013-10-31 2013-11-11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KR101755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529945.8 2013-10-31
CN201310529945.8A CN103549961B (zh) 2013-10-31 2013-10-31 基于无线移动通讯平台的互动式听力诊疗系统
PCT/CN2013/001364 WO2015061925A1 (zh) 2013-10-31 2013-11-11 基于无线移动通讯平台的互动式听力诊疗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329A KR20160078329A (ko) 2016-07-04
KR101755569B1 true KR101755569B1 (ko) 2017-07-07

Family

ID=5000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383A KR101755569B1 (ko) 2013-10-31 2013-11-11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249835A1 (ko)
EP (1) EP3064135A4 (ko)
JP (1) JP6329627B2 (ko)
KR (1) KR101755569B1 (ko)
CN (1) CN103549961B (ko)
WO (1) WO20150619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644B1 (ko) 2023-03-16 2023-10-31 (주)해우기술 소아 청력 예측 인공지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6640B2 (en) 2013-02-26 2021-04-06 db Diagnostic Systems, Inc. Hearing assessment system
US9883300B2 (en) * 2015-02-23 2018-01-30 Oticon A/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earing instrument to relieve tinitus, hyperacusis, and hearing loss
US10623564B2 (en) 2015-09-06 2020-04-14 Deborah M. Manchester System for real time, remote access to and adjustment of patient hearing aid with patient in normal life environment
US10348891B2 (en) * 2015-09-06 2019-07-09 Deborah M. Manchester System for real time, remote access to and adjustment of patient hearing aid with patient in normal life environment
CN105380661A (zh) * 2015-12-10 2016-03-09 佛山博智医疗科技有限公司 耳鸣验配治疗桌
CN105999509A (zh) * 2016-05-06 2016-10-12 苏州桑德欧声听觉技术有限公司 一种耳鸣治疗音乐的生成方法及耳鸣治疗系统
CN106037755A (zh) * 2016-05-20 2016-10-26 深圳市易特科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o2o模式下的听力健康管理系统及方法
CN106714064B (zh) * 2017-02-28 2022-06-17 浙江诺尔康神经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人工耳蜗音频实时处理方法
CN106993024A (zh) * 2017-03-08 2017-07-28 杭州惠耳听力技术设备有限公司 基于无线移动终端远程验配的助听器在线系统及调试方式
WO2018169730A1 (en) * 2017-03-15 2018-09-20 Levine Steven Brian Diagnostic hearing health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CN106921926B (zh) * 2017-04-17 2020-11-13 西安音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自助验配助听器系统
CN107569236B (zh) * 2017-09-06 2020-03-06 杨捷 一种多功能听力测试和助听系统及其听力测试方法
CN107661106A (zh) * 2017-09-20 2018-02-06 佛山博智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助式听力检测系统及助听器验配系统
CN109218951A (zh) * 2018-09-25 2019-01-15 深圳市博音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主检验矫正功能的助听方法及系统
US11191456B2 (en) 2018-11-27 2021-1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n-demand testing for selected conditions
KR102179726B1 (ko) * 2019-01-28 2020-11-1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재활 훈련 모듈
KR20200103321A (ko) 2019-02-25 2020-09-02 한국이앤에스(주) 무선 이동통신 모듈이 내장된 보청기를 이용한 원격 청력 검사 피팅시스템
CN110269626B (zh) * 2019-06-21 2022-07-19 佛山博智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客观的模拟并调控真耳听力状态的装置及方法
CN110613459B (zh) * 2019-09-12 2023-03-24 江苏贝泰福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共享云计算平台的耳鸣耳聋检测验配及治疗系统
CN111407286A (zh) * 2020-04-21 2020-07-14 陈一波 多通道波形复合脑电波组合声刺激的耳鸣诊断治疗系统
KR102386604B1 (ko) * 2020-05-14 2022-04-1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
KR102463243B1 (ko) 2020-05-28 2022-11-0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음성 분석 기반의 이명 상담 시스템
US20220020481A1 (en) 2020-07-20 2022-01-20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11840791A (zh) * 2020-08-06 2020-10-30 深圳有名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种模式控制颈椎眼部理疗仪
CN112289397A (zh) * 2020-10-30 2021-01-29 北京康之声听力技术集团有限公司 一种听力检查和助听器验配效果评估综合管理系统
CN113349764B (zh) * 2021-05-24 2022-10-04 无锡清耳话声科技有限公司 一种耳鸣检测和声治疗设备
CN113596692A (zh) * 2021-07-28 2021-11-02 苏州海卡缔听力技术有限公司 助听器装配系统和装配助听系统的方法
WO2024011105A1 (en) * 2022-07-05 2024-01-11 Mahana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tinnitus using digital therapeutics
CN116211292A (zh) * 2022-12-06 2023-06-06 江苏米笛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端的听力检测系统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4314A2 (en) 2004-03-01 2005-09-15 Spl Development, Incorporated Audioligical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5971A (en) * 1999-01-29 2000-12-05 Scientific Learning Corporation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for reducing the effects of tinnitus
US6322521B1 (en) * 2000-01-24 2001-11-27 Audia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hearing examination and correction
JP2002222263A (ja) * 2001-01-24 2002-08-09 Iscg Kk 健康の自己管理用携帯端末、及び健康の自己管理支援システム
WO2002062221A1 (en) * 2001-02-07 2002-08-15 East Carolina University Hearing assessment via computer network
EP1488618B1 (en) * 2002-03-12 2011-11-23 Era Centre Pty Ltd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for medical diagnosis and rehabilitation
JP4114392B2 (ja) * 2002-04-26 2008-07-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検査センター装置、端末装置、聴力補償方法、聴力補償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聴力補償方法のプログラム
US7258671B2 (en) * 2002-05-23 2007-08-21 Tympany, Inc. Wearable apparatus for conducting multiple diagnostic hearing tests
US7779153B2 (en) * 2005-10-27 2010-08-17 Cochlear Limited Automated collection of operational data from distributed medical devices
EP2001365A1 (en) * 2006-03-01 2008-12-17 Cabot Safety Intermediate Corporation Wireless interface for audiometers
WO2007112918A1 (en) * 2006-04-04 2007-10-11 Cleartone Technologies Limited Calibrated digital headset and audiometric test methods therewith
US7974716B2 (en) * 2007-04-25 2011-07-05 Schumaier Daniel R Preprogrammed hearing assistance device with program selection based on patient usage
DE102007046020B4 (de) * 2007-09-26 2013-01-0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nalyse und Synthese von Audiosignalen, insbesondere Tinnitustherapievorrichtung und Tinnitustherapieverfahren
CN101939041B (zh) * 2007-12-05 2013-07-17 加州大学评议会 用于抑制耳鸣的设备和方法
KR101003379B1 (ko) * 2008-03-25 2010-12-22 [주]이어로직코리아 이명 탐색/치료 방법 및 시스템
AU2009308102B9 (en) * 2008-10-24 2014-02-20 East Carolina University Internet based multi-user diagnostic hearing assessment systems having client-server architecture with user-based access levels for secure data exchange
CN105877914B (zh) * 2009-10-09 2019-07-05 奥克兰联合服务有限公司 耳鸣治疗系统和方法
US9138178B2 (en) * 2010-08-05 2015-09-22 Ace Communication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elf-managed sound enhancement
JP5721510B2 (ja) * 2011-04-14 2015-05-20 シャープ株式会社 遠隔診断システム、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及びそれらに用いられる通信端末装置、データ解析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CN102831285A (zh) * 2011-06-14 2012-12-19 李晓璐 新生儿/婴幼儿听力筛查数据库自动化管理工作站
CN202342040U (zh) * 2011-09-08 2012-07-25 江苏贝泰福医疗科技有限公司 便携式听力测试和助听器验配一体化系统
CN102342834B (zh) * 2011-09-08 2013-05-29 江苏贝泰福医疗科技有限公司 便携式听力测试和助听器验配一体化系统
CN103095792B (zh) * 2011-10-31 2016-07-06 黄能富 通话系统及其通话连接方法
CN103239237B (zh) * 2013-04-27 2015-06-24 江苏贝泰福医疗科技有限公司 耳鸣诊断测试装置
CN203244396U (zh) * 2013-04-27 2013-10-23 江苏贝泰福医疗科技有限公司 听力诊疗装置
WO2014210463A1 (en) * 2013-06-28 2014-12-31 Otoharmonic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tinnitus therap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4314A2 (en) 2004-03-01 2005-09-15 Spl Development, Incorporated Audioligical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644B1 (ko) 2023-03-16 2023-10-31 (주)해우기술 소아 청력 예측 인공지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49835A1 (en) 2016-09-01
EP3064135A1 (en) 2016-09-07
EP3064135A4 (en) 2017-08-09
CN103549961A (zh) 2014-02-05
CN103549961B (zh) 2015-06-24
JP6329627B2 (ja) 2018-05-23
WO2015061925A1 (zh) 2015-05-07
KR20160078329A (ko) 2016-07-04
JP2016540538A (ja)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569B1 (ko)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CN106921926B (zh) 一种高效自助验配助听器系统
US8287462B2 (en) Systems, methods and products for diagnostic hearing assessments distributed via the use of a computer network
AU2007224297B2 (en) Portable audiometer enclosed within a patient response mechanism housing
CN1913828B (zh) 耳鸣康复设备和方法
US20080167575A1 (en) Audiologist Equipment Interface User Database For Providing Aural Rehabilitation Of Hearing Loss Across Multiple Dimensions Of Hearing
US20170273602A1 (en) System for defining and executing audiometric tests
US7856276B2 (en) Remote support system for programming active implantable medical devices such as cardiac pacemakers, defibrillators, cardiovertors or multisite devices
CN107569236B (zh) 一种多功能听力测试和助听系统及其听力测试方法
CN110613459B (zh) 一种基于共享云计算平台的耳鸣耳聋检测验配及治疗系统
CN105769211A (zh) 一种耳鸣治疗系统及治疗仪
CN110225443A (zh) 一种助听器无线验配系统
CN112289397A (zh) 一种听力检查和助听器验配效果评估综合管理系统
CN202051690U (zh) 耳鸣治疗的验配装置
WO2006002036A2 (en) Audiometer instrument computer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7661106A (zh) 一种自助式听力检测系统及助听器验配系统
AU2018315630B2 (en) Hearing evaluation system
CN102727340A (zh) 耳鸣治疗的验配方法及装置
US11228852B2 (en) Remote hearing tes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for establishing an auditory profile and adjusting hearing aids using such a system
CN109602425B (zh) 一种耳鸣检测装置及治疗系统
CN116370783A (zh) 一种多终端声学刺激神经调控治疗康复管理系统与方法
KR20190134314A (ko) 원격 진단 시스템
WO2006032101A1 (en) Hearing testing
KR20060006118A (ko) 유에스비포트를 이용한 무선 디지털청진기
CN205866949U (zh) 耳鸣治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