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435B1 -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435B1
KR101755435B1 KR1020160090131A KR20160090131A KR101755435B1 KR 101755435 B1 KR101755435 B1 KR 101755435B1 KR 1020160090131 A KR1020160090131 A KR 1020160090131A KR 20160090131 A KR20160090131 A KR 20160090131A KR 101755435 B1 KR101755435 B1 KR 101755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hole
pipe
flooring
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후종
박관일
Original Assignee
김후종
박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후종, 박관일 filed Critical 김후종
Priority to KR1020160090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를 통해 시공이 용이하고, 소금생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염전의 증류지의 바닥을 형성하기 위한 염전용 바닥재로서, 프롬시멘트와 규사, 패분, 석분 및 물을 혼합하여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염전용 바닥재의 시공방법은 증류지를 형성하기 위한 대상지역의 바닥을 건조시키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지역의 상면에 상호 교차하는 복수개의 유공관홈을 하방으로 인입되게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공관홈에 유공관을 매설하는 단계와, 상기 유공관이 매설된 후 유공관홈에 골재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증류지 형성 대상지역의 상면에 상기 염전용 바닥재를 몰탈 포설하는 단계와, 상기 염전용 바닥재의 몰탈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SALT FARM FLOOR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멘트를 통해 시공이 용이하고, 소금생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일염전은 저수지, 증발지(제 1 증발지, 제 2 증발지), 결정지로 이루어져 있어 만조 시 수문을 열어 증발지에서 농축된 염수를 만들고 결정지로 보내 소금 결정을 얻는 공정을 거친다. 천일염전은 저수지, 증발지, 및 결정지 이외에도 함수탱크, 소금창고, 수로, 작업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저수지, 증발지, 함수탱크, 소금창고, 수로, 작업로는 대부분이 갯벌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보온덮개, 건축자재, 합판, 결정지에서 폐기된 장판 등이 갯벌을 커버하는데 사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결정지에는 채염을 위한 기반시설에서 발생된 녹, 보온덮개의 부스러기, 모래 알갱이, 해충, 식물체와 같은 이물질, 해안의 갯벌에서와 저류지의 갯벌에서 유입된 불용분, 오염된 바닷물의 오염물질이 지반에 섞여 있게 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이 채염용으로 수집해둔 바닷물이나 소금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고무판, 플라스틱 장판이나, 타일, 옹기와 같은 바닥마감부재로 결정지의 지면을 피복하여 염전의 결정지의 염판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염전의 바닥마감부재의 상부로 공급되는 바닷물은 태양열과 바람에 의해 수분이 증발되고 소금이 석출되며, 고무래(대파 : 소금을 모으는 도구) 등을 이용하여 바닥마감부재의 상부 표면을 긁어내어 채염을 하게 된다. 이때, 바닥마감부재의 평탄도가 우수해야 소금의 석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고무래(대파)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어 채염하는데 힘이 덜 소요된다.
타일과 옹기는 평탄도는 우수하지만 고가이며,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낮아 쉽게 깨지며, 깨진 타일을 교체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어 현재 염전의 90% 이상이 바닥마감부재로서 고무판, 플라스틱 장판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플라스틱 장판과 같은 바닥마감부재는 시공 시 합성수지 접착제의 사용으로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뻘이 외부 공기와 소통되는 것을 차단시켜 뻘 중의 생명체가 사멸하고 뻘이 부패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의 발생으로 장판이 불룩해질 수 있어 채염 작업에 불리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유지 보수를 위해 주기적인 교체작업이 필요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폐기물이 다량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370534호 한국특허등록 제0812301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폐기물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는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류지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하여, 소금 생산업자의 노동력 절감 및 친환경적인 염수를 생산할 수 있는 염수 생산전용 바닥재를 제공하고, 이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염전의 증류지 및 결정지의 바닥을 형성하기 위한 염전용 바닥재로서, 시멘트와 규사, 패분, 석분 및 물을 혼합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염전용 바닥재는, 상기 물 100기준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시멘트는 40 내지 130 중량부, 규사는 140 내지 300 중량부, 패분은 80 내지 200 중량부, 석분은 260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전용 바닥재는 착색을 위한 천연안료가 더 혼합될 수 있는데, 상기 천연안료는 상기 물 100기준중량부에 대하여 4 내지 17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전용 바닥재에서 상기 시멘트는 불로 굽지 않는 세라믹 기반의 시멘트로서, 예시적으로 세라크리트 시멘트일 수 있다.
상기 규사는 10mm 이하인 것이 사용되고, 상기 석분은 5mm 이하이며, 화강암, 맥반석, 오석, 백운석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패분은 5mm 이하이고, 굴껍질을 파쇄하여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전용 바닥재의 시공방법은 증류지 및 결정지를 형성하기 위한 대상지역의 바닥을 건조시키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지역의 상면에 상호 교차하는 복수개의 유공관홈을 하방으로 인입되게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공관홈에 유공관을 매설하는 단계와, 상기 유공관이 매설된 후 유공관홈에 골재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증류지 형성 대상지역의 상면에 상기 염전용 바닥재를 몰탈 포설하는 단계와, 상기 염전용 바닥재의 몰탈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공관홈은 폭과 깊이가 각각 250 내지 300mm 가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유공관홈의 형성 후 상기 유공관홈에 골재를 30 내지 50mm로 깔고 유공관을 안착한 후 유공관홈에 골재를 충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공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이며, 외주면으로부터 중공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공관의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관과, 상기 유공관과 나란하거나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침출수를 배출하는 침출수배출관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전용 바닥재의 몰탈을 포설하는 단계에서 염전용 바닥재 몰탈은 두께가 12mm 내지 30mm가 되도록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전용 바닥재의 건조는 2일간 진행하며, 염전용 바닥재가 건조된 후 바닥재의 상부에 줄눈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이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소금 생산을 위한 바닥재의 교체가 필요하지 않아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이물질의 발생 및 유입을 최소화하여 고품질의 소금 생산을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바닥재가 시공된 염전의 단면도,
도 2는 유공관홈 및 유공관의 삽입을 표시한 부분절단면도
도 3은 유공관이 삽입된 염전의 단면도,
도 4는 유공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스배출관 및 침출수배출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염전용 바닥재의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표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염전의 증류지 및 결정지를 형성하기 위한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염전용 바닥재 시공방법에 따르면 증류지 및 결정지를 형성하기 위한 대상지역의 바닥을 건조시키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지역의 상면에 상호 교차하는 복수개의 유공관홈(35)을 하방으로 인입되게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공관홈(35)에 유공관(30)을 매설하는 단계와, 상기 유공관(30)이 매설된 후 유공관홈(35)에 골재(20)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증류지 형성 대상지역의 상면에 상기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염전용 바닥재(10)를 몰탈 포설하는 단계와, 상기 염전용 바닥재(10)의 몰탈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줄눈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대상지역의 바닥을 건조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자연건조를 통해 증류지 및 결정지 형성 대상지역의 상부를 건조시키고, 이물질들을 제거한다.
이후, 대상지역에 유공관홈(35)을 형성하는데, 유공관홈(35)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십(十)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공관(30)은 본 실시예와는 달리 복수개의 유공관(30)들이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유공관홈(35)의 라인이 세 개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유공관홈(35)을 형성한 후에는 유공관홈(35)에 골재(20)를 30 내지 50mm로 깐 다음 유공관(30)을 매설한다.
상기 유공관(30)은 중공을 갖는 원통형의 부재로서, 외주면으로부터 중공으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통공(31)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가스나 침출수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유공관(30)은 본 실시예의 경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사각이나 삼각기둥 또는 오각기둥 이상의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유공관홈(35)에 매설되는 유공관(30)의 직경은 50 내지 1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공관(30)은 가스의 배출 및 침출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염전용 바닥재(10)가 시공되는 증류지 및 결정지 대상지역의 뻘(1)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유공관(30)의 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스배출관(51) 및 침출수배출관(52)이 설치될 수 있다.
도신 바와 같이 연결관(50)을 유공관(30)의 단부에 연결하는데, 연결관(50)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스배출관(51)이 연결되고, 유공관(30)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침출수배출관(52)이 연결된다.
상기 유공관(30)에 의해 증류지의 하부 뻘(1) 지역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되거나 외기가 유입될 수 있고, 침출수가 배출됨에 따라 뻘(1)이 살아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유공관(30)의 설치 후에는 유공관홈(35)의 나머지 부분에 골재(20)를 충진시킨다. 골재(20)는 자갈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골재(20)들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공관(30)으로 가스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것이 용이하다.
골재(20)의 충진후 골재(20)의 상부에는 유공관홈(35)을 형성하면서 걷어낸 뻘(1)을 소정두께로 깔아줄 수 있다.
유공관(30)의 매설 및 골재(20) 충진이 완료되면 대상지역에 염전용 바닥재(10)를 몰탈형태로 포설한다.
상기 염전용 바닥재(10)는 친환경 재료로서, 시멘트와 규사, 패분, 석분, 천연안료 및 물을 혼합하여 형성한 것이다. 시멘트는 고강도, 고속경, 내염성, 내화학성, 등의 특징을 갖는데, 불로 굽지 않은 세라믹에 의해 몰탈 포설 직후부터 규사를 포함한 골재를 응결시킴으로써 단시간 내에 경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시멘트는 예시적으로 세라크리트 시멘트를 지칭할 수 있지만, 일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세라크리트 시멘트는, 다양한 물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비교적 단시간 내에 암반과 같이 경화되며, 수시간 동안으로 지연시킬 수도 있는데, 자갈이나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도 10Mpa의 강도를 유지하며, 다양한 혼합재 및 보강재와 잘 혼합되는 속성을 갖는다. 특히, 석면과 같은 인체 유해물질이 전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바닥재를 구현함에 있어 바람직한 기반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전용 바닥재(10)의 조성을 위해 물 100기준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세라크리트 시멘트는 40 내지 130 중량부, 규사는 140 내지 300 중량부, 패분은 80 내지 200 중량부, 석분은 260 내지 500 중량부, 천연안료는 4 내지 17 중량부가 혼합된다.
상기 규사는 10mm 이하인 것이 사용되고, 상기 석분은 5mm 이하이며, 화강암, 맥반석, 오석, 백운석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분은 5mm 이하이고, 굴껍질을 파쇄하여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크리트 시멘트와 규사, 패분, 석분, 천연안료를 물과 함께 혼합할 때, 500rpm 이하의 믹서로 3분 이상 믹싱을 한 뒤 시공지역에 포설한다.
염전용 바닥재(10)의 포설 두께는 12mm 내지 30mm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설 후 2일간 건조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염전용 바닥재(10)를 2일간 건조 및 경화시킨 후에는 친환경 우레탄을 이용해 줄눈작업을 실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바닥재(10)는 세라크리트 시멘트와 규사, 패분 및 석분을 물과 혼합한 뒤 몰탈 상태로 증류지 시공 대상지역에 타설함으로써 신속하게 시공을 마칠 수 있으며, 친환경적 소재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시공지역 하부의 뻘(1)이 가스와 침출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외기가 유입됨으로써 살이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뻘
10: 염전용 바닥재
20: 골재
30: 유공관
31: 통공
35: 유공관홈
50: 연결관
51: 가스배출관
52: 침출수배출관

Claims (8)

  1. 삭제
  2. 염전의 증류지 및 결정지의 바닥을 형성하기 위한 염전용 바닥재로서,
    시멘트와 규사, 패분, 석분, 천연안료 및 물을 혼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염전용 바닥재는, 상기 물 100기준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시멘트는 40 내지 130 중량부, 상기 규사는 140 내지 300 중량부, 상기 패분은 80 내지 200 중량부, 상기 석분은 260 내지 500 중량부, 상기 천연안료는 4 내지 1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멘트는, 세라크리트 시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바닥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규사는 10mm 이하인 것이 사용되고,
    상기 석분은 5mm 이하이며, 화강암, 맥반석, 오석, 백운석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패분은 5mm 이하이고, 굴껍질을 파쇄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바닥재.
  4. 증류지 및 결정지를 형성하기 위한 대상지역의 바닥을 건조시키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지역의 상면에 상호 교차하는 복수개의 유공관홈을 하방으로 인입되게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공관홈에 유공관을 매설하는 단계와;
    상기 유공관이 매설된 후 유공관홈에 골재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증류지 형성 대상지역의 상면에 상기 청구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염전용 바닥재를 몰탈 포설하는 단계와;
    상기 염전용 바닥재의 몰탈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바닥재의 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홈은 폭과 깊이가 각각 250 내지 300mm 가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유공관홈의 형성 후 상기 유공관홈에 골재를 30 내지 50mm로 깔고 유공관을 안착시킨 후 유공관홈에 골재를 충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바닥재의 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이며, 외주면으로부터 중공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공관의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관과, 상기 유공관과 나란하거나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침출수를 배출하는 침출수배출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바닥재의 시공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염전용 바닥재의 몰탈을 포설하는 단계에서 염전용 바닥재 몰탈은 두께가 12mm 내지 30mm가 되도록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바닥재의 시공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염전용 바닥재의 건조는 2일간 진행하며, 염전용 바닥재가 건조된 후 바닥재의 상부에 줄눈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20160090131A 2016-07-15 2016-07-15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55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131A KR101755435B1 (ko) 2016-07-15 2016-07-15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131A KR101755435B1 (ko) 2016-07-15 2016-07-15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435B1 true KR101755435B1 (ko) 2017-07-10

Family

ID=59356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131A KR101755435B1 (ko) 2016-07-15 2016-07-15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134B1 (ko) 2018-09-04 2019-08-19 박태환 염전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1385A (ja) * 2007-12-28 2009-07-23 Taiheiyo Materials Corp コンクリート混和用貝殻粉砕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コンクリート
KR100944222B1 (ko) * 2009-07-01 2010-02-26 주식회사 코스모스 염전토판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1385A (ja) * 2007-12-28 2009-07-23 Taiheiyo Materials Corp コンクリート混和用貝殻粉砕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コンクリート
KR100944222B1 (ko) * 2009-07-01 2010-02-26 주식회사 코스모스 염전토판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134B1 (ko) 2018-09-04 2019-08-19 박태환 염전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2020B1 (en) A procedure for making natural pools
CN101575850B (zh) 一种利用土壤固化剂加固土修建集雨工程集流面的施工及其养护方法
KR101467386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친환경 경관 판넬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경관 판넬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0582770B1 (ko) 폐콘크리트 미분말 및 순환골재와 산업부산물을 이용한친환경 옹벽용 고기능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친환경 옹벽블록
CN106542769A (zh) 一种铺设透水路面的复合材料
KR101755435B1 (ko)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CN107032660B (zh) 一种铺设透水路面的复合材料的制备方法
EP2243621B1 (en) A slab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KR101357770B1 (ko) 황토, 배양토, 씨앗이 부착된 포러스콘크리트 블록 및 제조방법
KR101266136B1 (ko) 옹벽 축조용 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03266A (ko)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1986A (ko)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
JP2009052234A (ja) 施工地盤の施工方法および施工地盤
KR100526057B1 (ko) 다공질을 갖는 생태블럭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생태블럭 및 그 시공방법
CN101139828B (zh) 河、湖底部铺设可透气防反渗层的施工方法
JPH0646008U (ja) 透水性セメント縁石
KR100845441B1 (ko) 수지콘크리트를 이용한 투과성 블록구조물의 설치방법
KR102359058B1 (ko) 세굴 방지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208950044U (zh) 一种建造于地库顶板与素土之上的水池结构
KR100806396B1 (ko) 패각을 이용한 건축자재 및 그 제작방법
KR101597252B1 (ko) 갯벌을 이용한 타일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된 염전바닥용 타일
KR100822061B1 (ko) 숯 분말과 재활용골재를 이용한 친환경 식재형 블록
KR200320807Y1 (ko) 자연토 투수블럭
US319575A (en) John gkant
KR100540531B1 (ko) 연탄재를 이용한 연못용 조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