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181B1 -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having side drain perforated drainpipe - Google Patents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having side drain perforated drain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181B1
KR101755181B1 KR1020170011335A KR20170011335A KR101755181B1 KR 101755181 B1 KR101755181 B1 KR 101755181B1 KR 1020170011335 A KR1020170011335 A KR 1020170011335A KR 20170011335 A KR20170011335 A KR 20170011335A KR 101755181 B1 KR101755181 B1 KR 101755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catching
pipe
channel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3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1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1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1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층에 침투한 빗물을 용이하게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집수구의 설치가 간단하며, 선배수관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하고, 유입 유량의 증가에 따른 쓰레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는, 교량의 방호벽과 교량 상판에 포설된 포장층과의 사이에 교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집수홈에 설치되고, 하부 일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종방향 유공관 포켓과, 상부에 서로 대향되는 격판 삽입홈을 갖는 집수채널과; 상기 집수채널에 대향하는 격판 삽입홈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어 이웃한 것끼리 집수구를 형성시키는 집수구 격판과; 이웃한 집수채널의 접합면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그 접합면에 수밀을 형성시키는 실리콘 가스켓과; 상기 실리콘 가스켓의 밑면에 교축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횡방향 유공관과; 상기 종방향 유공관 포켓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횡방향 유공관에 접속되어 집수채널과 포장층의 긴 틈새 사이로 유입된 빗물을 배수하는 종방향 유공관과; 교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상기 방호벽의 하면에 두께 방향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집수채널에 접속되고 타단이 방호벽의 외측으로 일정량 돌출되고, 그 돌출된 구간의 하면에 수직배수구를 갖는 횡배수관과; 상기 방호벽의 측벽에 지지되고 상기 수직배수구의 하방에 위치하여 교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선배수관;을 포함하여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drain rainwater infiltrated into a packaging layer, simplify the installation of a catching hole, facilitate adjustm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line pipe, and prevent the inflow of waste due to an increase in inflow flow rate. And a drainage device for the bridge.
A drainage device for a bridge having a side drainage pi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collection groove form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throttle between a barrier wall of a bridge and a package layer laid on a bridge top plate, A water collecting channel having a longitudinal hole formed therein and a diaphragm insertion groove facing each other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catching partition plate which is fit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diaphragm insertion grooves opposed to the catchment channel to form a catching part between adjacent ones; A silicon gasket interposed between the joint surfaces of adjacent water collecting channels to form a watertight seal on the joint surfaces; A lateral pillar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licon gaske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hrottling axis; A longitudinally-oriented pip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ly-positioned pipe pocket and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ipe, for discharging rainwater flowing between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and the long gap of the wrapping layer; And a vertical drain pipe having a vertical drain at a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section, the other end being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barrier wall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And a line drain pipe supported by a sidewall of the barrier wall and disposed below the vertical drain port and disposed along a throttling direction.

Description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having side drain perforated drainpip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device for a bridge having a side drainage pipe,

본 발명은 교량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층에 침투한 빗물을 용이하게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집수구의 설치가 간단하며, 선배수관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하고, 유입 유량의 증가에 따른 쓰레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drainag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inage apparatus for a bridge capable of easily discharging rainwater infiltrated into a packing layer, facilitating installation of a catchment port, facilitating adjustment of a slope of a line discharge pipe, To a drainage device of a bridge having one side drainage pipe so as to block inflow.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판은 콘크리트 또는 철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포장 재료인 아스팔트와는 온도팽창계수가 다르고, 이로 인해 상판 본체와 아스팔트 포장층의 경계면에는 틈이 벌어지게 된다. 이렇게 틈이 발생하게 되면 빗물이나 이물이 침투하게 되어 포장의 수명이 단축된다. 따라서 발생된 틈에 침투된 빗물을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 시설이 요구된다.Generally, since the top plate of the bridge is made of concrete or steel,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asphalt, which is a packaging material, and thus a gap is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upper plate body and the asphalt pavement layer. When such a gap is formed, rainwater or foreign matter penetrates, and the service life of the package is shortened. Therefore, a drainage facility capable of draining the rainwater infiltrated in the generated gap is required.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17944호로서, '교량 침투수 배수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내부에 배수로가 형성된 사각단면의 박스본체, 상기 박스본체의 측벽과 천정부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침투수 유입공/다수의 노면수 유입공, 상기 박스본체의 저부에 형성되어 박스본체의 배수로에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드레인관 및 상기 박스본체의 일측 단부에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앵커볼트를 매개로 하여 교량 상판의 방호책에 고정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져 상기 아스콘 포장층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배수박스와; 그리고, 상기 아스콘 포장층의 측면과 상기 배수박스의 침투수 유입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아스콘 포장층에 침투한 침투수를 흡수하여 상기 배수박스로 유도하는 망사형 흡수패널로 이루어져, 교량 상판의 아스콘 포장층 내부에 침투한 침투수를 신속하게 배수하여 침투수에 의한 아스콘 포장층의 균열과 파손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a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17944 has proposed a " bridge infiltration water drainage structure ". A plurality of infiltration water inflow holes / a plurality of road surface water inflow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side wall and the ceiling portion of the box body, and a plurality of road surface water inflow holes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box body, And at least one drain pipe for discharging inflow water and a flange extending upward at one end of the box body and fixed to a barrier of the bridge top plate via an anchor bolt, A box; And a mesh type absorbing panel sandwiched between a side surface of the asbestos packing layer and the infiltration water inflow hole of the drain box to absorb infiltration water infiltrating into the asphalt pavement layer and guide the infiltrated water to the drain box, The infiltration water penetrated into the inside of the pavement layer is quickly drained to prevent cracking and breakage of the asbestos pavement layer caused by infiltration water.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흡수패널이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면 망사의 막힘이 일어나 흡수와 배수의 기능이 떨어져 교량 침투수의 처리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는다.However, the above background art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absorption panel is used for a long time, the mesh is clogged and the functions of absorption and drainage are deteriorated and the processing ability of the bridging water is deteriorated.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17944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17944

본 발명은 포장층에 침투한 빗물을 용이하게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집수구의 설치가 간단하며, 선배수관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하고, 유입 유량의 증가에 따른 쓰레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drain rainwater infiltrated into a packaging layer, simplify the installation of a catching hole, facilitate adjustm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line pipe, and prevent the inflow of waste due to an increase in inflow flow rat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는, 교량의 방호벽과 교량 상판에 포설된 포장층과의 사이에 교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집수홈에 설치되고, 하부 일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종방향 유공관 포켓과, 상부에 서로 대향되는 격판 삽입홈을 갖는 집수채널과; 상기 집수채널에 대향하는 격판 삽입홈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어 이웃한 것끼리 집수구를 형성시키는 집수구 격판과; 이웃한 집수채널의 접합면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그 접합면에 수밀을 형성시키는 실리콘 가스켓과; 상기 실리콘 가스켓의 밑면에 교축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횡방향 유공관과; 상기 종방향 유공관 포켓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횡방향 유공관에 접속되어 집수채널과 포장층의 긴 틈새 사이로 유입된 빗물을 배수하는 종방향 유공관과; 교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상기 방호벽의 하면에 두께 방향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집수채널에 접속되고 타단이 방호벽의 외측으로 일정량 돌출되고, 그 돌출된 구간의 하면에 수직배수구를 갖는 횡배수관과; 상기 방호벽의 측벽에 지지되고 상기 수직배수구의 하방에 위치하여 교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선배수관;을 포함하여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rainage device for a bridge having a side drainage pi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collection groove form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throttle between a barrier wall of a bridge and a package layer laid on a bridge top plate, A water collecting channel having a longitudinal hole formed therein and a diaphragm insertion groove facing each other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catching partition plate which is fit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diaphragm insertion grooves opposed to the catchment channel to form a catching part between adjacent ones; A silicon gasket interposed between the joint surfaces of adjacent water collecting channels to form a watertight seal on the joint surfaces; A lateral pillar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licon gaske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hrottling axis; A longitudinally-oriented pip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ly-positioned pipe pocket and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ipe, for discharging rainwater flowing between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and the long gap of the wrapping layer; And a vertical drain pipe having a vertical drain at a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section, the other end being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barrier wall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And a line drain pipe supported by a sidewall of the barrier wall and disposed below the vertical drain port and disposed along a throttling direction.

또한, 상기 횡배수관은 배수 단면의 증가에 따른 쓰레기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4각의 중공형 각관 단면을 갖고 내부 일정 높이에 대향하는 결합홈을 구비한 횡배수관 본체와; 횡배수관 본체의 결합홈에 수평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상부 유입구와 하부 유입구를 형성시키는 쓰레기 유입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nsverse drain pipe includes: a transverse drain pipe main body having a four-sided hollow pipe cross-section and having an engaging groove facing an internal constant height to block the incoming of waste according to an increas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drainage; And a waste inflow blocking plate horizontally fitt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transverse water pipe main body to form an upper inflow port and a lower inflow port.

또한, 상기 선배수관을 방호벽에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방호벽의 측벽에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앵커 볼트로 고정된 수직채널과; 상기 수직채널의 하부에 일단이 지지되어 수평 배치된 수평채널과; 일단이 수직채널의 상단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수평채널의 타단측에 힌지 연결된 사재와; 상기 사재에 양단이 삽통하고 그 양단에 체결되어 있는 행거 너트에 의해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연결된 U자형 행거와; 상기 U자형 행거에 삽입되어 원하는 높낮이 위치에 볼트의 체결로 고정되는 선배수관 고정용 클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rtical channel may include means for supporting the line pipe to the barrier wall, the vertical channel being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wall of the barrier wall and fixed by anchor bolts; A horizontal channel horizontally disposed at one end of the vertical channel; A first end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channel and a second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channel; A U-shaped hanger having both ends thereof inserted into the workpiece and connected to the workpiece by means of a hanger nut fastened at both ends thereof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And a clip for fixing the line inserted into the U-shaped hanger and fixed to the desired elevation position by fastening the bolt.

또한, 상기 선배수관은 배수량에 대응하기 위해 U자 단면을 갖는 하부 배수트랙과; 하부 배수트랙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상부 배수트랙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하부 배수트랙에는 선배수관 고정용 클립에 결합되는 선형의 결합돌기가 구성되되; 상기 선배수관 고정용 클립은 행거 삽입공을 갖는 클립 원통부와, 클립 원통부에 일정 폭으로 절단되어 개구되어 있는 절개부, 클립 원통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뻗어나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볼트 삽입공을 갖는 한 쌍의 선배수관 파지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line drain pipe includes a lower drainage track having a U-shaped cross-section to correspond to a drainage amount; And an upper drainage track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drainage track; Wherein the upper and lower drainage tracks are provided with linear engagement protrusions coupled to the line-drain pipe fixing clip, The line pipe fixing clip is composed of a clip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hanger insertion hole, a cutout portion cut open at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clip cylindrical portion, a cutou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lip cylindrical portion, And a pair of line water pipe grasping portions having a hole.

또한, 상기 집수구 격판은 집수구 상판과, 집수구 상판에 하방으로 입설되어 집수채널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복수개 이상의 집수구 보강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tching gate partition plate is composed of an upper catchment plate and a plurality of catchment reinforcement plates which are installed below the catchment platform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tchment channel.

또한, 상기 집수구 격판은 하면에 결합홈을 갖는 집수구 상판과, 상부에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갖고 집수채널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호형의 집수구 보강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tching gate partition plate is composed of a catching upper plate having a coupling groove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n arc-shaped catching reinforcement plate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tching channel.

또한, 상기 집수채널은 집수구 격판의 집수구가 포장층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is provided such that the catching port of the catching port partition faces the packed bed.

또한, 상기 상,하부 배수트랙의 맞닿는 단부에 L형의 걸림턱을 구성한 후, 길이 방향의 단면에 T형 홈을 갖는 C형 클램프로 걸림턱을 연결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L-shaped engaging step is formed at the end of the upper and lower drainage tracks, and a C-type clamping jaw having a T-shaped groove is connected to the end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선배수관은 배수량에 대응하기 위해 U자 단면을 갖는 하부 배수트랙과, 하부 배수트랙의 상단에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상부 배수트랙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배수트랙과 하부 배수트랙 그리고 이웃한 하부 배수트랙의 사이에는 일단에 선배수관 고정용 클립에 결합되는 걸림턱을 갖고 타단에 상하로 대칭되는 한 쌍의 선배수관 끼움홈을 갖는 조인트 실링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line water pipe is composed of a lower drainage track having a U-shaped cross-section to correspond to a drainage amount, and an upper drainage track sequentially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drainage track; Between the upper drainage track, the lower drainage track and the neighboring lower drainage track, there is provided a joint seal having a pair of drainage pipe fitting grooves which are provided at one end with a latching jaw to be coupled to the line pipe fixing clip and vertically symmetrical at the other end .

본 발명에 따른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는, 종방향 유공관과 횡방향 유공관에 의해 포장층에 침투한 빗물을 신속히 배수시킬 수 있다.The drainage device for a bridge having a side drain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drain rainwater infiltrating the packaging layer by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pipes.

또한, 집수구 격판을 집수채널에 조립시켜 집수구의 설치가 간단해진다.In addition, the catcher diaphragm is assembled to the catchment channel to simplify the installation of the catchment.

또한, U자형 행거를 행거 너트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선배수관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하다.In addition, it is easy to adjust the tilt of the line by making it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by U-shaped hanger with the hanger nut.

또한, 횡배수관은 상,하부 유입구를 구비하여 유입 유량의 증가에 따른 쓰레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배수 통로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Also, since the horizontal drain pipe includes the upper and lower inlet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of the wast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inflow flow rate, thereby preventing clogging of the drain passag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배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a는 도 2의 'A'부 확대도.
도 3b는 도 2의 'B'부 확대도.
도 4는 도 1에서 방호벽을 제거하여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에서 방호벽을 제거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선배수관 고정용 클립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채널 및 집수구 격판의 변형된 설치상태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채널 및 집수구 격판의 다른 변형된 설치상태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채널 및 집수구 격판의 또 다른 변형된 설치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배수장치의 변형된 일측면도.
도 10은 도 9의 'J'부에 조립된 집수채널 및 집수구 격판의 일부 사시도 및 분해도.
도 11은 도 9의 'K'부 확대도.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배수장치의 다른 변형된 일측면도.
도 12b는 도 12a의 "L"부 확대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inage device of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FIG. 3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2;
3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rrier shown in FIG. 1 taken in another direction;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rrier shown in FIG. 1; FIG.
6A and 6B are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clip for fixing a lin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modified installation view of a collecting channel and a catch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8a is another modified installation view of a catchment channel and a catchmen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nother modified installation view of the catchment channel and catchmen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modified side view of a drainage device of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partially perspective view and exploded view of a collecting channel and a catching plate assembled in the 'J' portion of FIG. 9;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K' in FIG.
12A is another modified side view of a drainage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B is an enlarged view of the "L"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배수장치는 도 1 내지 5와 같이 집수채널(20)이 설치된다. 집수채널(20)은 교량(10)의 방호벽(12)과 교량 상판(14)에 포설된 포장층(16)과의 사이에 교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집수홈(18)에 설치된다. 집수채널(20)은 하부 일측 모서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종방향 유공관 포켓(201)과, 상부에 서로 대향되는 격판 삽입홈(202)을 갖는다. 집수채널(20)은 상호간의 접합될 단부에 배수홀(20a)을 갖는다.The drainage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llecting channel 20 as shown in Figs.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20 is installed in the water collecting groove 18 form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throttle between the barrier wall 12 of the bridge 10 and the packing layer 16 laid on the bridge top plate 14. [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20) has a longitudinally oriented fluid tube pocket (201) formed concavely in the lower one side edge portion and a diaphragm insertion groove (202)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upper side.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20) has a drain hole (20a) at an end to be joined to each other.

집수채널(20)에 'ㄷ'자 형태의 집수구 격판(30)이 조립되어 있다. 집수구 격판(30)은 격판 삽입홈(202)을 통해 집수채널(20)에 길이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어 이웃한 것끼리 집수구(30a)를 형성시킨다.The water collecting channel 20 is assembled with a 'C' shaped catching plate 30. The catching plate 30 is longitudinally fitted to the catching channel 20 through the plate insertion groove 202 so that adjacent catching holes 30a are formed.

따라서 우천시 빗물은 교량(10)의 측방으로 흘러내려 집수구(30a)로 유입되어 집수채널(20)로 모아진 후, 배수홀(20a)을 통해 횡배수관(70)으로 배출된다.Therefore, the rainwater flows down to the side of the bridge 10, flows into the catchment 30a, is collected by the catchment channel 20, and is discharged to the transverse drainage pipe 70 through the drainage hole 20a.

이웃한 집수채널(30과 30)의 접합면 사이에 실리콘 가스켓(40)이 끼움 결합되어 있다. 실리콘 가스켓(40)은 집수채널(30과 30)간의 접합면에 수밀을 형성시킨다.A silicon gasket (40) is fitted between the joining surfaces of the adjacent collecting channels (30, 30). The silicon gasket 40 forms a watertight seal on the joint surface between the water collecting channels 30 and 30.

실리콘 가스켓(40)의 밑면에 교축 직각 방향으로 횡방향 유공관(50)이 배치되어 있고, 횡방향 유공관(50)은 일단이 종방향 유공관(60)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횡배수관(70)에 연결되어 있다. 횡방향 유공관(50)과 종방향 유공관(60)은 표면에 관통된 작은 홀이 분포되어져 있다. 종방향 유공관(60)은 종방향 유공관 포켓(201)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종방향 유공관(60)은 집수채널(20)측에 일정 간격마다 고정 설치된 앵글 브라켓(62)에 의해 종방향 유공관 포켓(201)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방향 유공관(60)은 집수채널(20)과 포장층(16)의 긴 틈새 사이로 유입된 빗물을 유입시켜 횡방향 유공관(50)을 통해 횡배수관(70)으로 흐름시킨다.A transverse port tube 5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licon gasket 40 at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ottling axis. The transverse port tube 5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port tube 6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ateral pipeline 70 It is connected. The transverse hole (50) and the longitudinal hole (60) have small holes distributed in the surface. The longitudinal tube 60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tube tube pocket 201. The longitudinally oriented perforated pipe 60 is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ly positioned pipe pocket 201 by an angle bracket 62 fixed to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20 at regular intervals. Thus, the longitudinally-oriented perforated pipe 60 flows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gap between the collecting channel 20 and the package layer 16 and flows through the transverse pipe 50 to the transverse pipe 70.

이같이 횡방향 유공관(50)과 종방향 유공관(60)은 집수채널(20)과 포장층(16)의 긴 틈새 사이로 유입된 빗물을 횡배수관(70)을 통해 배수시킴으로써 포장층(16)에 생긴 틈새는 물론이고 포장층(16)과 집수채널(20)과의 틈새에 스며든 빗물의 제거가 신속히 이루어진다.The transverse port hole 50 and the longitudinal port hole 60 are formed in the package layer 16 by draining the rainwater flowing between the water catching channel 20 and the long gap of the package layer 16 through the lateral water pipe 70, The clearance between the packing layer 16 and the collecting channel 20 as well as the clearance can be quickly removed.

횡배수관(70)은 교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상기 방호벽(12)의 하면에 두께 방향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횡배수관(70)은 일단이 집수채널(20)에 접속되고 타단이 방호벽(12)의 외측으로 일정량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된 구간의 하면에 수직배수구(72c)를 갖는다.The side water pipes 70 are arranged to penetrate the lower surface of the barrier wall 12 in the thickness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hrottling direction. One end of the side water pipe 70 is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20 and the other end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barrier wall 12 by a certain amount and the vertical drain 72c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ded section.

횡배수관(70)은 배수 단면의 증가에 따른 쓰레기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4각의 중공형 각관 단면을 갖고 내부 일정 높이에 대향하는 결합홈(721)을 구비한 횡배수관 본체(72)와, 횡배수관 본체(72)의 결합홈(721)에 수평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상부 유입구(72a)와 하부 유입구(72b)를 형성시키는 쓰레기 유입차단판(7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ateral water pipe (70) has a lateral water pipe main body (72) having an engaging groove (721) having an inner predetermined height and having a hollow square pipe cross section of four angles in order to block the incoming of waste along with the increase of the water pipe cross section, And a waste inflow blocking plate 74 horizontally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721 of the drain pipe body 72 to form an upper inflow port 72a and a lower inflow port 72b.

방호벽(12)의 측벽에 선배수관(80)이 지지되어 있다. 선배수관(80)은 수직배수구(72c)의 하방에 위치하여 교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A line drain pipe (80) is supported on the side wall of the barrier wall (12). The line drain pipe 80 is disposed below the vertical drain port 72c and disposed along the throttling direction.

선배수관(80)을 방호벽(12)에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호벽(12)의 측벽에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앵커 볼트로 고정된 수직채널(91)과, 수직채널(91)의 하부에 일단이 지지되어 수평 배치된 수평채널(92)과, 일단이 수직채널(91)의 상단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수평채널(92)의 타단측에 힌지 연결된 사재(93)와, 사재(93)에 양단이 삽통하고 그 양단에 체결되어 있는 행거 너트(94)에 의해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연결된 U자형 행거(95)와, U자형 행거(95)에 삽입되어 원하는 높낮이 위치에 볼트(96)의 체결로 고정되는 선배수관 고정용 클립(9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선배수관 고정용 클립(97)은 행거 삽입공(971a)을 갖는 클립 원통부(971)와, 클립 원통부(971)에 일정 폭으로 절단되어 개구되어 있는 절개부(972), 클립 원통부(971)에서 직각 방향으로 뻗어나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볼트 삽입공(973a)을 갖는 한 쌍의 선배수관 파지부(973)로 구성되어 있다.A vertical channel 91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arrier wall 12 at regular intervals and fixed by an anchor bolt as a means for supporting the line discharge pipe 80 to the barrier wall 12, A workpiece 93 which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channel 91 and whose other end is hing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horizontal channel 92, Shaped hanger 95 which is inserted into the U-shaped hanger 95 to be adjustable in height by a hanger nut 94 whose both ends are inserted and fastened at both ends thereof, And a fixing line clip 97 for fixing the line. 6A and 6B, the line water pipe fixing clip 97 includes a clip cylindrical portion 971 having a hanger insertion hole 971a and a cutout portion 971 cut open at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clip cylindrical portion 971 972, and a pair of line water pipe grasping portions 973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lip cylinder portion 971 and facing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having bolt insertion holes 973a.

이때 선배수관(80)은 배수량에 대응하기 위해 U자 단면을 갖는 하부 배수트랙(81)과, 하부 배수트랙(81)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상부 배수트랙(82)으로 구성되고, 상,하부 배수트랙(82,81)에는 선배수관 고정용 클립(97)에 결합되는 선형의 결합돌기(83)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하부 배수트랙(82,81)을 연결하는 방법은 도 11과 같이 상,하부 배수트랙(82,81)의 맞닿는 단부에 L형의 걸림턱(81a,82a)을 구성한 후, 길이 방향의 단면에 T형 홈(88a)을 갖는 C형 클램프(88)로 걸림턱(81a,82a)을 연결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ne drain pipe 80 is composed of a lower drainage track 81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and an upper drainage track 82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drainage track 81 to correspond to the drainage amount, The drainage tracks 82 and 81 are formed with a linear engagement protrusion 83 to be coupled to the line drain pipe fixing clip 97. In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drainage tracks 82 and 81, L-shaped latching protrusions 81a and 82a are form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drainage tracks 82 and 81, respectively, The engagement protrusions 81a and 82a can be connected to the C-shaped clamp 88 having the T-shaped groove 88a in the cross s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s.

따라서 행거 너트(94)를 조절하면 U자형 행거(95)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선배수관(80)의 배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우천시 노면 포장층에 떨어지는 빗물은 집수구(30a)를 통해 집수채널(20)로 유입된 후, 배수홀(20a)을 통해 횡배수관(70)을 거쳐 선배수관(40)을 따라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진다. 또한 선배수관 고정용 클립(97)을 사용하여 상부 배수트랙(82)을 U자형 행거(95)에 증설할 수 있어 배수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by adjusting the hanger nut 94, the height of the U-shaped hanger 95 can be adjusted and the drainage slope of the line drain pipe 80 can be easily adjusted. The rainwater falling on the road surface packaging layer in a rainy period flows into the catchment channel 20 through the catch 30a and then drained smoothly along the line 40 through the drainage hole 20a, . Further, the upper drainage track 82 can be added to the U-shaped hanger 95 by using the line drain pipe fixing clip 97, thereby increasing the drainage cross-sectional area.

한편, 본 발명은 도 7, 도 9 및 도 10과 같이 집수채널(20)은 집수구 격판(30)의 집수구(30a)가 포장층(16)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7, 9, and 10, the collecting channel 20 may be installed such that the collecting port 30a of the collecting port partition 30 faces the packed layer 16. As shown in FIG.

또한, 도 8a와 같이 집수구 격판(30)은 집수구 상판(301)과, 집수구 상판(301)에 하방으로 입설되어 집수채널(20)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복수개 이상의 집수구 보강판(3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 이상의 집수구 보강판(302)은 서로 나란하게 입설된다.8A, the catching portion partition plate 30 is composed of a catching upper plate 301 and a plurality of catching reinforcement plates 302 which are installed below the catching upper plate 301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tching channel 20 .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atchment reinforcement plates 302 are arranged side by side.

또한, 도 8b와 같이 집수구 격판(30)은 하면에 결합홈(301a)을 갖는 집수구 상판(301)과, 상부에 상기 결합홈(301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02b)를 갖고 집수채널(20)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호형의 집수구 보강판(302)으로 구성될 수 있다.8B, the catching gate partition plate 30 has a catching upper plate 301 having a coupling groove 301a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coupling projections 302b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01a at an upper portion thereof. Shaped catching reinforcement plate 302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tching plate 302. As shown in FIG.

여기서, 집수구 보강판(302)은 집수구 상판(301)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그 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갖아 집수구 격판(30와 30) 사이에 형성된 집수구(30a)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Here, the catcher reinforcement plate 302 has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load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catcher upper plate 301, thereby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catcher 30a formed between the catcher seats 30 and 30 do.

또한,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선배수관(80)과 선배수관 고정용 클립(97)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조인트 실링(110)이 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the joint seal 110 may be a means for connecting the line drain pipe 80 and the line pipe fixing clip 97.

조인트 실링(110)은 선배수관(80)의 상부 배수트랙(82)과 하부 배수트랙(81) 그리고 이웃한 하부 배수트랙(81과 81)의 사이에 설치된다. 조인트 실링(110)은 길이재로서 일단에 선배수관 고정용 클립(97)에 결합되는 걸림턱(110a)을 갖고 타단에 상하로 대칭되는 한 쌍의 선배수관 끼움홈(110b)을 갖는다. 조인트 실링(110)은 합성수지나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된 것이 될 수 있다.The joint seal 110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drainage track 82 and the lower drainage track 81 and the neighboring lower drainage tracks 81 and 81 of the line drainage pipe 80. The joint seal 110 has a pair of line pipe fitting grooves 110b having a latching protrusion 110a at one end thereof coupled to the line pipe fixing clip 97 at one end and being vertically symmetrical at the other end. The joint seal 110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rubber, or silicone.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20: 집수채널
30: 집수구 격판
40: 실리콘 가스켓
50: 횡방향 유공관
60: 종방향 유공관
70: 횡배수관
80: 선배수관
20: Collecting channel
30: Drainage plate
40: Silicone gasket
50: transverse direction pipe
60: longitudinally oriented pipe
70: Side water pipe
80: Line drain

Claims (9)

교량의 방호벽(12)과 교량 상판(14)에 포설된 포장층(16)과의 사이에 교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집수홈(18)에 설치되고, 하부 일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종방향 유공관 포켓(201)과, 상부에 서로 대향되는 격판 삽입홈(202)을 갖는 집수채널(20)과;
상기 집수채널(20)에 대향하는 격판 삽입홈(202)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어 이웃한 것끼리 집수구(30a)를 형성시키는 집수구 격판(30)과;
이웃한 집수채널(30과 30)의 접합면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그 접합면에 수밀을 형성시키는 실리콘 가스켓(40)과;
상기 실리콘 가스켓(40)의 밑면에 교축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횡방향 유공관(50)과;
상기 종방향 유공관 포켓(201)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횡방향 유공관(50)에 접속되어 집수채널(20)과 포장층(16)의 긴 틈새 사이로 유입된 빗물을 배수하는 종방향 유공관(60)과;
교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상기 방호벽(12)의 하면에 두께 방향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배수 단면의 증가에 따른 쓰레기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4각의 중공형 각관 단면을 갖고 내부 일정 높이에 대향하는 결합홈(721)을 구비한 횡배수관 본체(72)와, 횡배수관 본체(72)의 결합홈(721)에 수평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상부 유입구(72a)와 하부 유입구(72b)를 형성시키는 쓰레기 유입차단판(74)과, 횡배수관 본체(72)의 하면에 형성된 수직배수구(72c)로 구성되어, 일단이 상기 집수채널(20)에 접속되고 타단이 방호벽(12)의 외측으로 일정량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그 돌출된 구간의 하면에 수직배수구(72c)가 위치하는 횡배수관(70)과;
상기 방호벽(12)의 측벽에 지지되고 상기 수직배수구(72c)의 하방에 위치하여 교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선배수관(80);을 포함하여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
A longitudinally positioned fluid pipe pocket 201 (see Fig. 1) provided in the water collecting groove 18 formed along the throttle direction between the barrier wall 12 of the bridge and the packing layer 16 laid on the bridge top plate 14, And a collecting channel (20) having a diaphragm insertion groove (202) opposed to each other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catching partition plate 30 which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partitioning plate insertion groove 202 opposed to the catchment channel 20 so as to form a catching hole 30a adjacent to the catching channel 20;
A silicon gasket (40) fitted between the joint surfaces of the adjacent water collecting channels (30 and 30) to form a watertight seal on the joint surfaces;
A transverse piercing tube (50)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licone gasket (4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ottling axis;
A longitudinal pore tube 60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pore tube pocket 201 and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ore tube 50 to drai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gap between the collecting channel 20 and the pavement layer 16; ;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direction of the throttle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of the barrier wall 12 and has a hollow square cross section having four angles in order to block the inflow of waste as the cross section of the drainage increases, A lateral water pipe main body 72 provided with an engaging groove 721 and a waste water pipe 72 which is horizontally fitted to the engaging groove 721 of the lateral water pipe main body 72 and is fitted horizontally to form an upper inlet port 72a and a lower inlet port 72b And a vertical drain port 72c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verse drain pipe main body 72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20 and the other end is protruded outside of the barrier wall 12 by a certain amount A transverse drain pipe (70) in which a vertical drain hole (72c) is loca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section;
And a line drain pipe (80) supported on a sidewall of the barrier wall (12) and disposed below the vertical drain port (72c) and disposed along a throttling direction. The drainage pipe Devi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배수관(80)을 방호벽(12)에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방호벽(12)의 측벽에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앵커 볼트로 고정된 수직채널(91)과;
상기 수직채널(91)의 하부에 일단이 지지되어 수평 배치된 수평채널(92)과;
일단이 수직채널(91)의 상단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수평채널(92)의 타단측에 힌지 연결된 사재(93)와;
상기 사재(93)에 양단이 삽통하고 그 양단에 체결되어 있는 행거 너트(94)에 의해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연결된 U자형 행거(95)와;
상기 U자형 행거(95)에 삽입되어 원하는 높낮이 위치에 볼트(96)의 체결로 고정되는 선배수관 고정용 클립(9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s a means for supporting the line drain pipe 80 to the barrier wall 12,
A vertical channel 91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wall of the barrier wall 12 and fixed by anchor bolts;
A horizontal channel 92 horizontally disposed at one end of the vertical channel 91;
(93) hinged at one end of the vertical channel (91) and hinged at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channel (92);
A U-shaped hanger 95 connected to the work piece 93 by means of a hanger nut 94 whose both ends are inserted and fastened at both ends thereof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And a line drain pipe fixing clip 97 inserted into the U-shaped hanger 95 and fixed to the desired elevation position by fastening of the bolt 96. The drainage pipe of the bridge having the side drainage pipe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배수관(80)은 배수량에 대응하기 위해 U자 단면을 갖는 하부 배수트랙(81)과;
하부 배수트랙(81)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상부 배수트랙(82)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하부 배수트랙(82,81)에는 선배수관 고정용 클립(97)에 결합되는 선형의 결합돌기(83)가 구성되되;
상기 선배수관 고정용 클립(97)은 행거 삽입공(971a)을 갖는 클립 원통부(971)와, 클립 원통부(971)에 일정 폭으로 절단되어 개구되어 있는 절개부(972), 클립 원통부(971)에서 직각 방향으로 뻗어나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볼트 삽입공(973a)을 갖는 한 쌍의 선배수관 파지부(97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line drain pipe (80) has a lower drainage track (81)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to correspond to the drainage amount;
And an upper drainage track (82)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drainage track (81);
The upper and lower drainage tracks 82 and 81 are formed with a linear engagement protrusion 83 to be coupled to the line drain pipe fixing clip 97;
The line water pipe fixing clip 97 includes a clip cylindrical portion 971 having a hanger insertion hole 971a, a cutout portion 972 cut open at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clip cylindrical portion 971, And a pair of line water pipe grasping portions (973)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walls (971) facing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having bolt insertion holes (973a).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 격판(30)은 집수구 상판(301)과, 집수구 상판(301)에 하방으로 입설되어 집수채널(20)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복수개 이상의 집수구 보강판(30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tching port partition plate 30 comprises a catching upper plate 301 and a plurality of catching reinforcement plates 302 which are installed below the catching upper plate 301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tching channel 20 Drainage of bridges with drainage pip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 격판(30)은 하면에 결합홈(301a)을 갖는 집수구 상판(301)과, 상부에 상기 결합홈(301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02b)를 갖고 집수채널(20)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호형의 집수구 보강판(30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tching gate partition plate 30 has a catching upper plate 301 having a coupling groove 301a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coupling protrusion 302b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01a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upport plate (302) which is supported on the side wall of the brid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채널(20)은 집수구 격판(30)의 집수구(30a)가 포장층(16)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20) is installed so that the catching port (30a) of the catching gate partition (30) faces the packing layer (1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배수트랙(82,81)의 맞닿는 단부에 L형의 걸림턱(81a,82a)을 구성한 후, 길이 방향의 단면에 T형 홈(88a)을 갖는 C형 클램프(88)로 걸림턱(81a,82a)을 연결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shaped latching protrusions 81a and 82a are form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drainage tracks 82 and 81 whic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C-type clamp 88 having the T- And the jaws (81a, 82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배수관(80)은 배수량에 대응하기 위해 U자 단면을 갖는 하부 배수트랙(81)과, 하부 배수트랙(81)의 상단에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상부 배수트랙(82)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배수트랙(82)과 하부 배수트랙(81) 그리고 이웃한 하부 배수트랙(81과 81)의 사이에는 일단에 선배수관 고정용 클립(97)에 결합되는 걸림턱(110a)을 갖고 타단에 상하로 대칭되는 한 쌍의 선배수관 끼움홈(110b)을 갖는 조인트 실링(110)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line drain pipe 80 is composed of a lower drainage track 81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and an upper drainage track 82 sequentially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drainage track 81 to correspond to the drainage amount;
A hooking protrusion 110a is formed at one end between the upper drainage track 82 and the lower drainage track 81 and between the neighboring lower drainage tracks 81 and 81, And a joint seal (110) having a pair of upward and downward symmetrical line-drain pipe fitting grooves (110b).
KR1020170011335A 2017-01-24 2017-01-24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having side drain perforated drainpipe KR1017551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335A KR101755181B1 (en) 2017-01-24 2017-01-24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having side drain perforated drain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335A KR101755181B1 (en) 2017-01-24 2017-01-24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having side drain perforated drainpi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181B1 true KR101755181B1 (en) 2017-07-06

Family

ID=59353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335A KR101755181B1 (en) 2017-01-24 2017-01-24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having side drain perforated drain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18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9349A (en) * 2018-08-06 2018-12-14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Discharge structure
KR102017871B1 (en) * 2018-10-30 2019-09-03 현빈개발 주식회사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using cantilever de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20240014210A (en) 2022-07-25 2024-02-01 베스트플랜에이 주식회사 Bridge Drainage System
CN117966586A (en) * 2024-03-29 2024-05-03 太原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Road and bridge drainage device
CN117966586B (en) * 2024-03-29 2024-05-31 太原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Road and bridge drainag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485Y1 (en) * 2000-03-10 2000-08-16 주식회사경동기술공사 Expansion joint eaves mounting an upper plate to bridge
KR200319781Y1 (en) * 2003-04-16 2003-07-22 주식회사 케이.알 A drain pipe fixing plat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connection device block out are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485Y1 (en) * 2000-03-10 2000-08-16 주식회사경동기술공사 Expansion joint eaves mounting an upper plate to bridge
KR200319781Y1 (en) * 2003-04-16 2003-07-22 주식회사 케이.알 A drain pipe fixing plat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connection device block out area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9349A (en) * 2018-08-06 2018-12-14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Discharge structure
KR102017871B1 (en) * 2018-10-30 2019-09-03 현빈개발 주식회사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using cantilever de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20240014210A (en) 2022-07-25 2024-02-01 베스트플랜에이 주식회사 Bridge Drainage System
CN117966586A (en) * 2024-03-29 2024-05-03 太原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Road and bridge drainage device
CN117966586B (en) * 2024-03-29 2024-05-31 太原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Road and bridge drainag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181B1 (en)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having side drain perforated drainpipe
US7413372B2 (en) Trench drain frame and grate assembly
KR10093697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of bridge
KR101088163B1 (en) Drain-pipe for bridge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CA2001930C (en) Roadway water drainage installation
KR101956742B1 (en) Waterproof Expansion Joint for Bridges
KR101776805B1 (en) Prefabricated bridge drainage system
RU157316U1 (en) LINEAR WATER DRAINAGE CHANNEL
KR20190053670A (en) Bridge drainage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869551B1 (en) Rainwater collector in bridge's expansion joint
JP4315843B2 (en) Drainage device for road structures
KR102526838B1 (en)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KR101944980B1 (en) Liner drain device using line type drainage guidance compone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CN215596570U (en) Self-adaptive anti-condensation bracket with gradient adjustment for floor condensed water pipeline
KR101973983B1 (en) Trench cover and l-type concrete block equipped with this, and construction method of l-type concrete block
KR20140101926A (en) Bridge drainpipe structure for damage prevent type
JP5013294B2 (en) Drainage structure
RU2731759C1 (en) Reinforced concrete gutter and channel
KR100978502B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slab form of bridge
JP4206006B2 (en) Side groove block for permeable pavement
RU215208U1 (en) DRAINAGE SECTION OF A DEVICE FOR COLLECTING AND REMOVING MOISTURE FROM THE DRIVING PART OF BRIDGES, FLASSES AND FROM ENGINEERING STRUCTURES
KR102337916B1 (en) Drain facility of bridge
KR102300295B1 (en) A straingt drainpipe of open type
KR102360446B1 (en) Catchment Pipe and Trench Drain Pipeline System fo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U2012261627B2 (en) Trench Draina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