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866B1 - 여과수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여과수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866B1
KR101754866B1 KR1020150182079A KR20150182079A KR101754866B1 KR 101754866 B1 KR101754866 B1 KR 101754866B1 KR 1020150182079 A KR1020150182079 A KR 1020150182079A KR 20150182079 A KR20150182079 A KR 20150182079A KR 101754866 B1 KR101754866 B1 KR 101754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frequency
tank
pur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3320A (ko
Inventor
정휘동
조철민
남미혜
박종구
Original Assignee
정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휘동 filed Critical 정휘동
Priority to KR1020150182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8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3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여과수 공급 장치는,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 가능한 복수의 필터들을 구비하며, 이온성 물질이 포함된 정수 또는 이온성 물질이 제거된 순정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필터 유닛;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 저장 공간과, 정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정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정수 취수구를 구비하는 정수 탱크; 순정수가 저장되는 순정수 저장 공간과, 순정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순정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순정수 취수구를 구비하는 순정수 탱크; 정수가 정수 탱크에 보충되거나 순정수가 순정수 탱크에 보충되도록 필터 유닛을 정수 탱크와 순정수 탱크 중 어느 하나의 탱크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여과 유로; 및 정수 취수구와 순정수 취수구를 이용한 정수 취수 빈도와 순정수 취수 빈도를 각각 산출하고, 정수 취수 빈도가 순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고, 순정수 취수 빈도가 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순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여과 유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상이한 성질을 갖는 여과수가 각각 저장되는 다수의 저장 탱크들에 일시에 여과수를 보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음용자가 주로 음용하는 여과수가 저장된 저장 탱크에 여과수를 우선적으로 보충할 수 있으므로, 음용자가 주로 음용하는 여과수의 보충을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과수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filtered water}
본 발명은 원수를 다양한 필터들을 이용해 여과하여 생성한 여과수를 공급하기 위한 여과수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과수 공급 장치는 원수를 필터들을 이용해 여과하여 생성한 여과수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여과수 공급 장치는, 필터들에 의해 생성된 여과수가 그대로 저장되는 여과수 탱크와, 여과수를 냉각하여 생성한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 탱크와, 여과수를 가열하여 생성한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 탱크 등 다수 저장 탱크들을 포함한다.
이처럼 저장 탱크들에는 서로 상이한 성질을 갖는 여과수가 각각 저장되는데, 각각의 저장 탱크에 저장된 여과수는 각각의 저장 탱크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보충된다. 그런데,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만 여과수의 보충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러한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만 여과수를 보충하면 되므로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수의 저장 탱크들에 저장된 여과수들이 일시에 배수 또는 취수된 경우나 어느 저장 탱크에 여과수를 보충하던 중 다른 저장 탱크에 저장된 여과수가 취수된 경우와 같이 다수의 저장 탱크들에 일시에 여과수의 보충이 필요한 경우에는, 여과수의 보충 순서가 문제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여과수 공급 장치는, 제품의 제조 시에 여과수들의 보충 순서를 미리 정해두어, 다수의 저장 탱크들에 여과수를 보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전술한 보충 순서를 따라 여과수를 보충한다. 그런데,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는 음용 목적, 음용자의 연령 및 음용자의 취향 기타 원인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여과수 공급 장치는, 제품의 제조 시에 미리 정해진 여과수들의 보충 순서와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음용자가 필요한 여과수를 신속하게 취수하지 못하고 여과수가 보충되기까지 장시간 동안 대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은, 여과수의 보충을 위해 원수의 여과 시간과 여과수의 냉각 또는 가열 시간이 함께 필요한 냉수 또는 온수를 보충하여야 할 때 더욱 심화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과수 공급 장치에 서로 상이한 여과수가 각각 저장된 다수의 저장 탱크들이 마련된 경우에, 음용자의 취수 빈도에 맞게 여과수들의 보충 순서가 정해지도록 구조를 개선한 여과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수 공급 장치는,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 가능한 복수의 필터들을 구비하며, 이온성 물질이 포함된 정수 또는 이온성 물질이 제거된 순정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필터 유닛;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 저장 공간과, 정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정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정수 취수구를 구비하는 정수 탱크; 순정수가 저장되는 순정수 저장 공간과, 순정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순정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순정수 취수구를 구비하는 순정수 탱크; 정수가 정수 탱크에 보충되거나 순정수가 순정수 탱크에 보충되도록 필터 유닛을 정수 탱크와 순정수 탱크 중 어느 하나의 탱크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여과 유로; 및 정수 취수구와 순정수 취수구를 이용한 정수 취수 빈도와 순정수 취수 빈도를 각각 산출하고, 정수 취수 빈도가 순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고, 순정수 취수 빈도가 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순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여과 유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어 유닛은, 정수 탱크와 순정수 탱크 중 취수 빈도가 낮은 탱크에 정수 또는 순정수가 보충되는 동안 정수 탱크와 순정수 탱크 중 취수 빈도가 높은 탱크에 정수 또는 순정수를 보충할 필요가 발생되는 경우에, 취수 빈도가 낮은 탱크에 대한 정수 또는 순정수의 보충이 중지되고 취수 빈도가 높은 탱크에 정수 또는 순정수가 보충되도록 여과 유로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제어 유닛은, 취수 빈도가 높은 탱크에 대한 정수 또는 순정수의 충전이 완료되면 취수 빈도가 낮은 탱크에 정수 또는 순정수가 보충되도록 여과 유로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정수가 저장되는 냉수 저장 공간과, 냉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는 냉각 부재와, 냉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냉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냉수 취수구를 구비하는 냉수 탱크를 더 포함하며, 제어 유닛은, 냉수 취수구를 이용한 냉수 취수 빈도를 더 산출한다.
바람직하게, 정수 탱크와 냉수 탱크는, 정수가 정수 저장 공간에서 자동으로 배출되어 냉수 저장 공간에 보충되도록 마련되며, 제어 유닛은, 정수 취수 빈도가 냉수 취수 빈도와 순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거나 냉수 취수 빈도가 정수 취수 빈도와 순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정수 탱크에 우선적으로 보충되고, 순정수 취수 빈도가 정수 취수 빈도와 냉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순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여과 유로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여과 유로는, 정수가 정수 탱크에 보충되거나 정수가 냉수 탱크에 보충되거나 순정수가 순정수 탱크에 보충되도록 필터 유닛을 정수 탱크, 냉수 탱크 및 순정수 탱크 중 어느 하나의 탱크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며, 제어 유닛은, 정수 취수 빈도가 냉수 취수 빈도와 순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고, 냉수 취수 빈도가 정수 취수 빈도와 순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냉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고, 순정수 취수 빈도가 정수 취수 빈도와 냉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순정수 탱크에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여과 유로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순정수가 저장되는 온수 저장 공간과, 온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순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가열 부재와, 온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온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온수 취수구를 구비하는 온수 탱크를 더 포함하며, 제어 유닛은, 온수 취수구를 이용한 온수 취수 빈도를 더 산출한다.
바람직하게, 순정수 탱크와 온수 탱크는, 순정수가 순정수 저장 공간에서 자동으로 배출되어 온수 저장 공간에 보충되도록 마련되며, 제어 유닛은, 정수 취수 빈도가 순정수 취수 빈도와 온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고, 순정수 취수 빈도가 정수 취수 빈도와 온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거나 온수 취수 빈도가 정수 취수 빈도와 순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순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여과 유로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여과 유로는, 정수가 정수 탱크에 보충되거나 순정수가 순정수 탱크에 보충되거나 순정수가 온수 탱크에 보충되도록 필터 유닛을 정수 탱크, 순정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중 어느 하나의 탱크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며, 제어 유닛은, 정수 취수 빈도가 순정수 취수 빈도와 온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고, 순정수 취수 빈도가 정수 취수 빈도와 온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순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고, 온수 취수 빈도가 정수 취수 빈도와 순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온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여과 유로를 제어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수 공급 장치는,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여 적어도 한 종류의 여과수를 생성하는 필터 유닛; 여과수가 저장되는 여과수 저장 공간과, 여과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여과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여과수 취수구를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저장 탱크들; 저장 탱크들 중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 여과수가 선택적으로 보충되도록 필터 유닛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와 연결하는 여과 유로; 및 여과수 취수구를 이용한 취수 빈도를 산출하고, 저장 탱크들 중 취수 빈도가 높은 저장 탱크에 여과수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여과 유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어 유닛은, 저장 탱크들 중 취수 빈도가 낮은 저장 탱크가 보충되는 동안 저장 탱크들 중 취수 빈도가 높은 저장 탱크를 보충할 필요가 발생된 경우에, 취수 빈도가 낮은 저장 탱크에 대한 여과수의 보충이 중지되고 취수 빈도가 높은 저장 탱크에 여과수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여과 유로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제어 유닛은, 취수 빈도가 높은 저장 탱크에 대한 여과수의 보충이 완료되면 취수 빈도가 낮은 저장 탱크에 여과수가 보충되도록 여과 유로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수 공급 장치는, 서로 상이한 성질을 갖는 여과수가 각각 저장되는 다수의 저장 탱크들에 일시에 여과수를 보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음용자가 주로 음용하는 여과수가 저장된 저장 탱크에 여과수를 우선적으로 보충할 수 있으므로, 음용자가 주로 음용하는 여과수의 보충을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수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여과수 공급 장치의 제어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저장 탱크들에 여과수들을 보충하는 순서를 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수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저장 탱크들에 여과수들을 보충하는 순서를 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수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수 공급 장치(1)는, 복수의 필터들을 구비하며,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 유닛(10); 필터 유닛(10)의 필터들을 미리 정해진 순서로 연결하는 여과 유로(20); 원수가 필터 유닛(10)의 필터들에 의해 여과되어 생성된 여과수를 저장하는 복수의 탱크들을 구비하는 저장 유닛(30); 여과수 공급 장치(1)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40);을 포함한다.
여과수 공급 장치(1)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여과수 공급 장치(1)는 얼음 정수기, 냉장고 등과 같이 여과수를 공급 가능한 여과수 공급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먼저, 필터 유닛(10)은,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부재이다.
필터 유닛(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에 포함된 침전물이나 유해한 화학 물질이나 중금속 등을 제거하는 전처리 필터(11)와, 원수에 포함된 불쾌감을 일으키는 성분이나 각종의 세균을 제거하는 후처리 필터(12)와, 원수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탈이온 필터(13)를 포함한다. 이러한 필터들은 여과 유로(20)에 의해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연결되며, 원수는 여과 유로(20)를 따라 필터들을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순환할 수 있다. 원수는 수돗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수는 수돗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수돗물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원수는 형성 과정 또는 이송 과정에서 이온성 물질을 포함하게 되므로, 이하에서는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처리 필터(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에 포함된 먼지, 찌꺼기, 부유 물질 등의 침전물을 제거하는 침전 필터(14)와, 침전 필터(14)를 통과한 원수에 포함된 발암 물질, 합성 세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 물질과 잔류 염소를 제거하는 선카본 필터(15)와, 선카본 필터(15)를 통과한 중금속이나 각종 병원균 등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멤브레인 필터(16)를 포함한다. 침전 필터(14), 선카본 필터(15) 및 멤브레인 필터(16)는, 여과 유로(20)에 의해 침전 필터(14), 선카본 필터(15) 및 멤브레인 필터(16) 순으로 연결된다.
침전 필터(14)와 원수 공급원을 연결하는 유로(20a) 사이에는 누수 차단 밸브(20b)가 설치되며, 침전 필터(14)는 이러한 유로(20a)를 통과한 원수를 여과할 수 있다. 누수 차단 밸브(20b)는, 여과수 공급 장치(1)의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한 경우에, 이러한 누수를 감지하여 침전 필터(14)에 대한 원수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침전 필터(14)와 선카본 필터(15) 사이의 유로(20c)에는 원수 차단 밸브(20d)가 설치되며, 선카본 필터(15)는 이러한 유로(20c)를 통과한 원수를 여과할 수 있다. 원수 차단 밸브(20d)는, 침전 필터(14)를 통과한 원수의 진행을 차단하거나 허용하여, 원수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16)는 역삼투압 필터(RO 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멤브레인 필터(16)는 중공사막 필터 또는 나노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역삼투압 필터는, 필터에 유입되는 물에 삼투압력 이상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오염 물질을 농축시켜 제거수(폐수 또는 농축수라고도 함)로 배출하고, 여과된 물은 다른 필터에 전달하는 필터이다. 따라서, 멤브레인 필터(16)가 이러한 역삼투압 필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거수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수 배수 유로(16b)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제거수 배수 유로(16b)는, 멤브레인 필터(16)의 제거수 배출구(16a)와 연결되어, 제거수 배출구(16a)를 통해 배출된 제거수를 외부로 안내한다.
한편, 이러한 전처리 필터(11)는, 전술한 필터들 중 일부의 필터만을 포함하거나 전술한 필터들 이외에 다른 필터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전처리 필터(11)가 침전 필터(14), 선카본 필터(15) 및 멤브레인 필터(16)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후처리 필터(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필터(11) 또는 탈이온 필터(13)를 통과한 원수에 포함된 불쾌한 맛, 냄새 및 색을 유발하는 성분을 흡착 제거하는 후카본 필터(17)와, 후카본 필터(17)를 통과한 원수에 포함된 세균을 자외선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 필터(18)를 포함한다. 후카본 필터(17)와 자외선 살균 필터(18)는, 여과 유로(20)에 의해 후카본 필터(17) 및 자외선 살균 필터(18) 순으로 연결된다.
후카본 필터(1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여과 유로(20)의 직결 유로(21)에 의해 전처리 필터(11)의 멤브레인 필터(16)와 바로 연결되거나 또는 후술할 여과 유로(20)의 우회 유로(22)에 의해 탈이온 필터(13) 쪽으로 우회되어 멤브레인 필터(16)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후카본 필터(17)는, 전처리 필터(11)를 통과한 원수와 탈이온 필터(13)를 통과한 원수 중 어느 하나의 원수를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전술한 어느 하나의 원수를 여과할 수 있다.
자외선 살균 필터(18)는, 필라멘트 타입 또는 냉음극 타입의 자외선 램프(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살균 필터(18)는, 후처리 필터(12)를 통과한 원수를 자외선 램프를 둘러싸는 유로(미도시)로 흘려 보내며, 원수에 존재하는 세균 등의 각종의 미생물을 자외선 램프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을 이용해 살균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후처리 필터(12)는, 전술한 필터들 중 일부의 필터만을 포함하거나 전술한 필터들 이외에 다른 필터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후처리 필터(12)가 후카본 필터(17)와 자외선 살균 필터(18)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탈이온 필터(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회 유로(22)에 설치된다. 탈이온 필터(13)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않는다. 예를 들어, 탈이온 필터(13)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교환수지 필터(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이온교환수지 필터(19)는, 양이온을 제거 가능한 양이온교환수지와 음이온을 제거 가능한 음이온교환수지의 혼합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이온교환수지와 음이온교환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탈이온 필터(13)는, 멤브레인 필터(16)를 통과한 후 우회 유로(22)에 의해 탈이온 필터(13) 쪽으로 우회된 원수를 전달 받으며,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보론 이온(B), 중금속 이온, 염소 이온 및 질산성 이온 등 원수에 미리 포함되어 있던 다양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여과 유로(20)는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필터 유닛(10)의 필터들을 순환시켜 저장 유닛(30)으로 전달하기 위한 부재이다.
여과 유로(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 필터(16)를 통과한 원수를 후처리 필터(12)에 바로 전달하는 직결 유로(21)와, 멤브레인 필터(16)를 통과한 원수를 탈이온 필터(13)를 먼저 통과하도록 우회시켜 후처리 필터(12)에 전달하는 우회 유로(22)와, 직결 유로(21)와 우회 유로(22) 중 어느 하나를 전처리 필터(11)의 하류 측의 유로(20e)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유로 전환 밸브(23)와, 직결 유로(21)와 우회 유로(22)를 후처리 필터(12)의 상류 측의 유로(20f)와 연결하는 제1 T형 연결관(24)을 포함한다.
직결 유로(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제1 유로 전환 밸브(23)에 의해 멤브레인 필터(16)의 하류 측의 유로(20e)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 T형 연결관(24)에 의해 후카본 필터(17)의 상류 측의 유로(20f)와 연결된다. 이러한 직결 유로(21)는, 멤브레인 필터(16)와 후카본 필터(17)를 직접적으로 연결한다.
우회 유로(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제1 유로 전환 밸브(23)에 의해 멤브레인 필터(16)의 하류 측의 유로(20e)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 T형 연결관(24)에 의해 후카본 필터(17)의 상류 측의 유로(20f)와 연결된다. 우회 유로(22)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이온 필터(13)가 설치된다. 이러한 우회 유로(22)는, 멤브레인 필터(16)와 후카본 필터(17)를 탈이온 필터(13)가 개재된 상태로 간접적으로 연결한다.
제1 유로 전환 밸브(23)는, 멤브레인 필터(16)의 하류 측의 유로(20e)와 연결된 유입 포트(23a)와, 직결 유로(21)의 일단과 연결된 제1 배출 포트(23b)와, 우회 유로(22)의 일단과 연결된 제2 배출 포트(23c)를 갖는 전동식 3방 밸브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유로 전환 밸브(23)는, 제1 배출 포트(23b)와 제2 배출 포트(23c) 중 어느 하나가 유입 포트(23a)와 연결되면 제1 배출 포트(23b)와 제2 배출 포트(23c) 중 다른 하나와 유입 포트(23a)와의 연결이 차단되는 ON/OFF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제1 유로 전환 밸브(23)를 전동식 3방 밸브로 구성하면, 직결 유로(21)와 우회 유로(22)에 각각 개폐 밸브를 설치하여 직결 유로(21)와 우회 유로(22)를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경우에 비해 밸브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밸브를 마련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유로 전환 밸브(23)는, 유입 포트(23a)가 제1 배출 포트(23b)와 연결된 경우에, 멤브레인 필터(16)를 통과한 원수를 직결 유로(21)로 유입시킨다. 그러면, 직결 유로(21)로 유입된 원수는 제1 T형 연결관(24)에 전달된다. 또한, 제1 유로 전환 밸브(23)는, 유입 포트(23a)가 제2 배출 포트(23c)와 연결된 경우에, 멤브레인 필터(16)를 통과한 원수를 우회 유로(22)로 유입시킨다. 그러면, 우회 유로(22)로 유입된 원수는 탈이온 필터(13)에 의해 이온성 물질이 제거된 후 제1 T형 연결관(24)에 전달된다.
제1 T형 연결관(24)은, 직결 유로(21)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1 유입 포트(24a)와, 우회 유로(22)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 유입 포트(24b)와, 후카본 필터(17)의 상류 측의 유로(20f)와 연결되는 배출 포트(24c)를 갖는다. 제1 T형 연결관(24)은, 제1 유입 포트(24a)와 제2 유입 포트(24b)를 배출 포트(24c)와 연결할 수 있다. 제1 유입 포트(24a)와 제2 유입 포트(24b)에는 각각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 T형 연결관(24)은, 제1 유로 전환 밸브(23)의 유입 포트(23a)와 제1 배출 포트(23b)가 연결된 경우에는, 직결 유로(21)를 통과한 원수를 제1 유입 포트(24a)를 통해 배출 포트(24b)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T형 연결관(24)은, 제1 유로 전환 밸브(23)의 유입 포트(23a)와 제2 배출 포트(23c)가 연결된 경우에는, 우회 유로(22)를 통과한 원수를 제2 유입 포트(24b)를 통해 배출 포트(24c)로 전달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유입 포트(24a) 또는 제2 유입 포트(24b)를 통해 배출 포트(24c)로 전달된 원수는, 후카본 필터(17)의 상류 측 유로(20f)를 통해 후카본 필터(17)에 전달됨으로써 후카본 필터(17)와 자외선 살균 필터(18)에 의해 순차적으로 여과될 수 있다.
그런데, 직결 유로(21)에 의해 탈이온 필터(13)를 통과하지 않도록 후카본 필터(17)에 바로 전달된 원수는, 이온성 물질이 전처리 필터(11)와 후처리 필터(12)에 의해서만 제한적으로 제거되므로, 전처리 필터(11)와 후처리 필터(12)에 의해 미처 제거되지 못한 이온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처럼 원수가 전처리 필터(11)와 후처리 필터(12)에 의해서만 여과된 여과수를 정수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정수는, 필터들 중 최후단에 위치한 자외선 살균 필터(18)의 하류 측 유로(20g)를 통해 저장 유닛(3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우회 유로(22)에 의해 탈이온 필터(13)를 먼저 거친 후 후카본 필터(17)에 전달된 원수는, 탈이온 필터(13)에 의해 이온성 물질이 추가적으로 제거되므로, 정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이온성 물질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처럼 원수가 전처리 필터(11), 탈이온 필터(13) 및 후처리 필터(12) 모두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순정수라고 하기로 한다. 이러한 순정수는, 정수와 마찬가지로, 필터들 중 최후단에 위치한 자외선 살균 필터(18)의 하류 측 유로(20g)를 통해 저장 유닛(3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필터 유닛(10)에서는 정수와 순정수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생성되므로, 이러한 정수와 순정수는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개별적으로 이송 및 저장되는 것이 바림직하다. 이를 위하여, 여과 유로(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살균 필터(18)를 통과한 정수를 후술할 저장 유닛(30)의 정수 탱크(32)에 전달하는 정수 유로(25)와, 자외선 살균 필터(18)를 통과한 순정수를 후술할 저장 유닛(30)의 순정수 탱크(36)에 전달하는 순정수 탱크(36)와, 정수 유로(25)와 순정수 유로(26)를 자외선 살균 필터(18)의 하류 측의 유로(20g)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유로 전환 밸브(27)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 유로(2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제2 유로 전환 밸브(27)에 의해 자외선 살균 필터(18)의 하류 측의 유로(20g)와 연결되고, 타단이 정수 탱크(32)와 연결된다.
순정수 유로(2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제2 유로 전환 밸브(27)에 의해 자외선 살균 필터(18)의 하류 측의 유로(20g)와 연결되고, 타단이 순정수 탱크(36)와 연결된다.
제2 유로 전환 밸브(27)는, 자외선 살균 필터(18)의 하류 측의 유로(20g)와 연결된 유입 포트(27a)와, 정수 유로(25)의 일단과 연결된 제1 배출 포트(27b)와, 순정수 유로(26)의 일단과 연결된 제2 배출 포트(27c)를 갖는 전동식 3방 밸브로 구성된다. 제2 유로 전환 밸브(27)는, 제1 배출 포트(27b)와 제2 배출 포트(27c) 중 어느 하나가 유입 포트(27a)와 연결되면 제1 배출 포트(27b)와 제2 배출 포트(27c) 중 다른 하나와 유입 포트(27a)와의 연결이 차단되는 ON/OFF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제2 유로 전환 밸브(27)를 전동식 3방 밸브로 구성하면, 정수 유로(25)와 순정수 유로(26)에 각각 개폐 밸브를 설치하여 정수 유로(25)와 순정수 유로(26)를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경우에 비해 밸브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밸브를 마련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유로 전환 밸브(27)는, 정수가 생성된 경우에, 유입 포트(27a)와 제1 배출 포트(27b)가 연결되도록 구동되어 자외선 살균 필터(18)를 통과한 정수를 정수 유로(25)로 유입시킨다. 그러면, 정수 유로(25)로 유입된 정수는 정수 탱크(32)에 전달된다. 또한, 제2 유로 전환 밸브(27)는, 순정수가 생성된 경우에, 유입 포트(27a)와 제2 배출 포트(27c)가 연결되도록 구동되어 자외선 살균 필터(18)를 통과한 순정수를 순정수 유로(26)로 유입시킨다. 그러면, 순정수 유로(26)로 유입된 순정수는 순정수 탱크(36)에 전달된다.
이처럼 여과수 공급 장치(1)는, 탈이온 필터(13)를 통과하지 않은 정수와 탈이온 필터(13)를 통과한 순정수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수는 이에 함유된 미네랄 성분으로 인해 좋은 촉감과 진한 맛을 가질 수 있고, 순정수는 보론(B) 기타 이온성 유해 물질이 더욱 완전히 제거되어 더욱 뛰어난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정수와 순정수는 각각 탈이온 필터의 통과 여부에 따라 서로 상이한 성질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정수와 순정수는 각각 그 성질에 맞추어 다양한 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는 요리수 등으로 사용 가능하고, 순정수는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의 분유물 즉, 아기수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여과수 공급 장치(1)는, 음용자의 연령 기타 음용 조건에 따라 이온성 물질의 함량이 서로 상이한 정수와 순정수를 각각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장 유닛(30)은, 필터 유닛(10)에서 생성된 정수 또는 순정수를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개별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저장 유닛(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유로(25)를 통과한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 탱크(32)와, 정수 탱크(32)로부터 전달된 정수가 냉각되어 생성된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 탱크(34)와, 순정수 유로(26)를 통과한 순정수가 저장되는 순정수 탱크(36)와, 순정수로부터 전달된 순정수가 가열되어 생성된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 탱크(38)를 포함한다.
정수 탱크(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유로(25)의 타단과 연결되어, 정수 유로(25)를 통과한 정수를 전달받는다. 이러한 정수 탱크(32)는, 정수 유로(25)를 통과한 정수가 유입 및 저장되는 정수 저장 공간(32a)과, 정수 탱크(32)의 정수 저장 공간(32a)과 냉수 탱크(34)의 냉수 저장 공간(34a)이 연통되도록 바닥면에 천공된 연통구(32b)를 포함한다.
냉수 탱크(3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탱크(32)와 일체를 이루도록 정수 탱크(32)의 하측에 마련되며, 정수 탱크(32)로부터 정수를 전달받는다. 이러한 냉수 탱크(34)는, 정수 탱크(32)로부터 전달된 정수가 유입 및 저장되는 냉수 저장 공간(34a)과, 냉수 저장 공간(34a)에 저장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는 냉각 부재(34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정수 탱크(32)와 냉수 탱크(34)가 마련됨에 따라, 정수 탱크(32)의 정수 저장 공간(32a)으로 유입된 정수는, 중력에 의해 연통구(32b)에 자동으로 배출되어 냉수 탱크(34)의 냉수 저장 공간(34a)에 유입 및 저장된 후, 냉수 탱크(34)의 냉수 저장 공간(34a)이 가득 차면 정수 탱크(32)의 정수 저장 공간(32a)에 비로서 저장된다. 냉수 탱크(34)의 냉각 부재(34b)는, 이처럼 냉수 저장 공간(34a)에 저장된 정수를 미리 정해진 온도로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한다.
정수 탱크(32)의 정수 저장 공간(32a)에 저장된 정수는 정수 탱크(32)의 정수 저장 공간(32a)과 연결된 정수 취수구(32c)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냉수 탱크(34)의 냉수 저장 공간(34a)에 저장된 냉수는 냉수 탱크(34)의 냉수 저장 공간(34a)과 연결된 냉수 취수구(34c)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순정수 탱크(3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정수 유로(26)의 타단과 연결되어, 순정수 유로(26)를 통과한 정수를 전달받는다. 이러한 순정수 탱크(36)는, 순정수 유로(26)를 통과한 순정수가 유입 및 저장되는 순정수 저장 공간(36a)과, 순정수 탱크(36)의 순정수 저장 공간(36a)과 온수 탱크(38)의 온수 저장 공간(38a)을 연결하는 연결 유로(36b)를 포함한다. 연결 유로(36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정수 탱크(36)의 순정수 저장 공간(36a)의 하층에 충전된 순정수가 유입되도록 순정수 탱크(36)의 순정수 저장 공간(36a)의 하층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 탱크(3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정수 탱크(36)와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순정수 탱크(36)의 하측에 마련되며, 순정수 탱크(36)로부터 순정수를 전달 받는다. 이러한 온수 탱크(38)는, 순정수 탱크(36)로부터 전달된 순정수가 유입 및 저장되는 온수 저장 공간(38a)과, 온수 저장 공간(38a)에 저장된 순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가열 부재(38b)와, 온수가 생성될 때 발생된 수증기를 정수 탱크(32)의 정수 저장 공간(32a)으로 안내하는 에어 벤트(38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순정수 탱크(36)와 온수 탱크(38)가 마련됨에 따라, 순정수 탱크(36)의 순정수 저장 공간(36a)으로 유입된 정수는, 중력에 의해 연결 유로(36b)에서 자동으로 배출되어 온수 탱크(38)의 온수 저장 공간(38a)에 유입 및 저장된 후, 온수 탱크(38)의 온수 저장 공간(38a)이 가득 차면 순정수 탱크(36)의 순정수 저장 공간(36a)에 비로서 저장된다. 온수 탱크(38)의 가열 부재(38b)는, 온수 저장 공간(38a)에 저장된 순정수를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한다.
순정수 탱크(36)의 순정수 저장 공간(36a)에 저장된 순정수는 순정수 탱크(36)의 순정수 저장 공간(36a)과 연결된 순정수 취수구(36c)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온수 탱크(38)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온수는 온수 탱크(38)의 온수 저장 공간(38a)과 연결된 온수 취수구(38d)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냉수 탱크(34)는 정수 탱크(32)로부터 정수를 전달받아 냉수를 생성하고, 온수 탱크(38)는 순정수 탱크(36)로부터 순정수를 전달받아 온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냉수 탱크(34)는 순정수 탱크(36)로부터 순정수를 전달받아 냉수를 생성하고, 온수 탱크(38)는 정수 탱크(32)로부터 정수를 전달받아 온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저장 탱크들에 여과수들을 보충하는 순서를 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시점에서 정수와 순정수는 이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생성 가능하고, 냉수와 온수는 이러한 정수와 순정수를 이용해 생성 가능하다. 따라서, 정수 탱크(32), 냉수 탱크(34), 순정수 탱크(36), 온수 탱크(38) 등의 저장 탱크들에 정수, 냉수, 순정수, 온수 등의 여과수들을 보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러한 여과수들의 보충 순서가 문제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수의 보충을 위하여, 정수 탱크(32)는 정수 저장 공간(32a)에 저장된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정수 수위 센서(32d)를 더 포함하고, 순정수 탱크(36)는 순정수 저장 공간(36a)에 저장된 순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순정수 수위 센서(36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 수위 센서(32d)는 정수 저장 공간(32a)에 저장된 정수의 최저 수위와 최대 수위를 감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순정수 수위 센서(36d)는 순정수 저장 공간(36a)에 저장된 순정수의 최저 수위와 최대 수위를 감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유닛(40)은, 정수 저장 공간(32a)의 수위가 최저 수위 이하이고, 순정수 저장 공간(36a)의 수위가 최저 수위 이상인 경우에, 필터 유닛(10)에서 정수가 생성되어 정수 유로(25)를 통해 정수 탱크(32)에 보충되도록 제1 유로 전환 밸브(23)와 제2 유로 전환 밸브(27) 등을 제어한다. 그런데, 정수 탱크(32)와 냉수 탱크(34)는, 정수 탱크(32)에 전달된 정수가 연통구(32b)를 통해 냉수 저장 공간(34a)에 자동으로 전달되어 냉수 저장 공간(34a)이 가득 차면 정수 저장 공간(32a)에 비로소 저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정수 저장 공간(32a)의 수위가 최저 수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정수 탱크(40)에 정수를 보충하면 냉수 탱크(34)에 정수를 보충하는 문제는 별도로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제어 유닛(40)은, 정수 저장 공간(32a)의 수위가 최저 수위 이상이고, 순정수 저장 공간(36a)의 수위가 최저 수위 이하인 경우에, 필터 유닛(10)에서 순정수가 생성되어 순정수 유로(26)를 통해 순정수 탱크(36)에 보충되도록 제1 유로 전환 밸브(23)와 제2 유로 전환 밸브(27) 등을 제어한다. 그런데, 순정수 탱크(36)와 온수 탱크(38)는, 순정수 탱크(36)에 전달된 순정수가 연결 유로(36b)를 통해 온수 저장 공간(38a)에 자동으로 전달되어 온수 저장 공간(38a)이 가득 차면 온수 저장 공간(38a)에 비로소 저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순정수 저장 공간(36a)의 수위가 최저 수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순정수 탱크(36)에 순정수를 보충하면 온수 탱크(38)에 순정수를 보충하는 문제는 별도로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제어 유닛(40)은, 정수 저장 공간(32a)의 수위가 최대 수위이고, 순정수 저장 공간(36a)의 수위가 최대 수위인 경우에, 원수의 공급이 차단되어 정수와 순정수의 생성이 모두 정지되도록 원수 차단 밸브(20d)를 제어한다.
이처럼 정수 탱크(32)와 순정수 탱크(36) 중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만 여과수를 보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 저장 탱크에만 여과수를 보충하면 되므로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데, 정수 탱크(32)와 순정수 탱크(36) 모두에 일시에 여과수를 보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정수 탱크(32)와 순정수 탱크(36) 중 어느 저장 탱크에 여과수를 먼저 보충해야 할지 문제될 수 있다. 이처럼 정수 탱크(32)와 순정수 탱크(36) 모두에 일시에 여과수를 보충할 필요가 있을 경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수 저장 공간(32a)과 순정수 저장 공간(36)이 모두 최저 수위 이하가 되도록 저장 탱크들에서 여과수를 취수 또는 배수한 경우에, 정수 탱크(32)와 순정수 탱크(36) 모두에 일시에 여과수를 보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 유닛(40)은, 정수 취수구(32c), 냉수 취수구(34c), 순정수 취수구(36d) 및 온수 취수구(38d) 등의 취수구들을 이용한 정수 취수 빈도, 냉수 취수 빈도, 순정수 취수 빈도, 온수 취수 빈도 등의 취수 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40)은, 이러한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를 이용해 정수 탱크(32)와 순정수 탱크(36)에 대한 여과수의 보충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정수 탱크(32)와 순정수 탱크(36)에 모두에 여과수를 보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를 이용해 여과수의 보충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 유닛(40)은, 음용자가 미리 정해진 기준 취수 회수 동안 여과수들 중 어느 여과수를 취수하는지를 파악하여,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를 산출한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취수구에는 음용자의 취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취수 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취수 회수는 10회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40)은,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를 이용해 여과수들의 보충 순서를 결정한다. 즉, 제어 유닛은, 각각의 여과수의 취수 빈도를 비교하여, 취수 빈도의 순서대로 여과수들의 보충 순서를 결정한다. 그런데, 냉수는 정수를 이용해 생성하고, 온수는 순정수를 이용해 생성하므로, 여과수들의 보충 순서의 결정에는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취수 빈도가 나머지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에 비해 높거나 냉수 취수 빈도가 나머지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은 경우에, 정수 탱크(10)에 정수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제1 유로 전환 밸브(24)와 제2 유로 전환 밸브(27)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정수 취수 빈도가 나머지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에 비해 높거나 온수 취수 빈도가 나머지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은 경우에, 순정수 탱크(10)에 순정수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제1 유로 전환 밸브(24)와 제2 유로 전환 밸브(27)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취수 빈도를 갖는 여과수가 2개 이상이고 이처럼 동일한 취수 빈도를 갖는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가 나머지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은 경우에, 여과수들의 보충 순서의 변경 없이 이전에 설정된 여과수들의 보충 순서에 따라 저장 탱크들에 여과수가 보충되도록 제1 유로 전환 밸브(24)와 제2 유로 전환 밸브(27) 등을 제어한다.
그런데, 정수 탱크(32)와 순정수 탱크(36) 중 취수 빈도가 낮은 저장 탱크에 여과수가 보충되는 동안 정수 탱크(32)와 순정수 탱크(36) 중 취수 빈도가 높은 저장 탱크에 여과수를 보충할 필요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정수 취수 빈도 또는 냉수 취수 빈도가 나머지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은 경우에, 순정수 탱크(32)에 순정수를 보충하는 동안 정수 또는 냉수의 취수에 의하여 정수 저장 공간(32a)의 수위가 최저 수위 이하로 내려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유닛(40)은, 취수 빈도가 낮은 저장 탱크의 여과수의 보충이 중지되고 취수 빈도가 높은 저장 탱크에 여과수가 보충되도록 제1 유로 전환 밸브(24)와 제2 유로 전환 밸브(27)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 유닛(40)은, 취수 빈도가 높은 저장 탱크에 대한 여과수의 보충이 완료되면 다시 취수 빈도가 낮은 저장 탱크에 여과수가 보충되도록 제1 유로 전환 밸브(24)와 제2 유로 전환 밸브(27) 등을 제어한다.
한편, 정수, 냉수, 순정수 및 온도의 취수 빈도를 개별적으로 파악하여, 정수 탱크(32)와 순정수 탱크(36)에 각각 정수 또는 순정수를 보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 유닛(40)은, 정수 취수 빈도와 냉수 취수 빈도를 합산하여 제1 합산 빈도를 산출하고, 순정수 취수 빈도와 온수 취수 빈도를 합산한 제2 합산 빈도를 산출하여, 이러한 제1 합산 빈도와 제2 합산 빈도에 따라 정수와 순정수의 보충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40)은, 제1 합산 빈도가 제2 합산 빈도에 비해 높으면 정수 탱크(32)에 정수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제1 유로 전환 밸브(24)와 제2 유로 전환 밸브(27)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은, 제2 합산 빈도가 제1 합산 빈도에 비해 높으면 순정수 탱크(36)에 순정수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제1 유로 전환 밸브(24)와 제2 유로 전환 밸브(27)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수를 취수하면 정수 탱크(32)에 저장된 정수가 냉수 탱크(34)에 자동으로 보충되고, 온수를 취수하면 순정수 탱크(36)에 저장된 순정수가 온수 탱크(38)에 자동으로 보충된다. 그러므로, 제1 합산 빈도는 정수의 실질적인 취수 빈도에 해당하고 제2 합산 빈도는 순정수의 실질적인 취수 빈도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처럼 제1 합산 빈도와 제2 합산 빈도에 따라 정수와 순정수의 보충 순서를 결정하여, 정수와 순정수의 실질적인 취수 빈도에 맞게 정수 탱크(32)와 순정수 탱크(36)에 정수 또는 순정수를 보충할 수 있다.
전술한 여과수의 취수 빈도는, 음용 목적, 음용자의 연령, 음용자의 취향, 여과수 공급 장치(1)의 설치 장소 등 다양한 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런데, 여과수 공급 장치(1)는, 이러한 여과수의 취수 빈도에 따라 여과수의 보충 순서가 결정된다. 따라서, 여과수 공급 장치(1)는, 다수의 저장 탱크들에 일시에 여과수를 보충해야 할 경우에, 여과자가 주로 취수하는 여과수를 먼저 보충할 수 있으므로, 음용자가 주로 음용하는 여과수가 보충되기까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수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수 공급 장치(2)는, 필터 유닛(10)을 통과한 정수 또는 원수가 각각의 저장 탱크에 개별적으로 전달된다는 점에서, 냉수 탱크(34)는 정수 탱크(36)로부터 정수를 전달받아 냉수를 생성하고, 온수 탱크(38)는 순정수 탱크(36)로부터 정수를 전달받아 온수를 생성하는 전술한 여과수 공급 장치(1)와 차이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여과수 공급 장치(2)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필터 유닛(10)을 통과한 정수 또는 원수를 각각의 저장 탱크에 개별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여과 유로(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살균 필터(18)를 통과한 정수를 정수 탱크(32)에 전달하는 제1 정수 유로(25')와, 자외선 살균 필터(18)를 통과한 정수를 냉수 탱크(34)에 전달하는 제2 정수 유로(26')와, 자외선 살균 필터(18)를 통과한 순정수를 순정수 탱크(36)에 전달하는 제1 순정수 유로(27')와, 자외선 살균 필터(18)를 통과한 순정수를 온수 탱크(38)에 전달하는 제2 순정수 유로(28)'와, 자외선 살균 필터(18)의 하류 측의 유로(20g)를 제1 정수 유로(25'), 제2 정수 유로(26'), 제1 순정수 유로(27') 및 제2 순정수 유로(28)'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유로 전환 밸브(2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여과수 공급 장치(1)에서 정수와 순정수의 전달을 위해 마련된 연통구(32b)와 연결 유로(36b)는 여과수 공급 장치(2)에서는 삭제된다.
제2 유로 전환 밸브(29')는, 자외선 살균 필터(18)의 하류 측의 유로(20g)를 제1 정수 유로(25'), 제2 정수 유로(26'), 제1 순정수 유로(27') 및 제2 순정수 유로(28)'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전동식 5방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여과 유로는, 전술한 정수 유로(25), 순정수 유로(26) 및 제2 유로 전환 밸브(27)를 대신하여, 제1 정수 유로(25'), 제2 정수 유로(26'), 제1 순정수 유로(27'), 제2 순정수 유로(28)' 및 제2 유로 전환 밸브(29')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여과수 공급 장치(2)는, 냉수 탱크(36)와 온수 탱크(38)에 여과수가 자동으로 보충되는 구조를 갖는 전술한 여과수 공급 장치(1)와 달리, 냉수 탱크(36)와 온수 탱크(38)에도 여과수가 개별적으로 보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냉수 탱크(36)는 냉수 저장 공간(36a)에 저장된 냉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냉수 수위 센서(36d)를 더 포함하고, 온수 탱크(38)는 온수 저장 공간(38a)에 저장된 온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온수 수위 센서(36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수 수위 센서(36d)는 냉수 저장 공간(36a)의 최저 수위와 최대 수위를 감지 가능하게 마련되고, 온수 수위 센서(38e)는 온수 저장 공간(38a)의 최저 수위와 최대 수위를 감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여과수 공급 장치(2)의 경우에도, 전술한 여과수 공급 장치(1)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저장 탱크들에 여과수를 일시에 보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그 순서가 문제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저장 탱크들에 여과수들을 보충하는 순서를 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복수의 저장 탱크들에 여과수를 일시에 보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를 이용해 여과수의 보충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 유닛(40)은, 음용자가 미리 정해진 기준 취수 회수 동안 여과수들 중 어느 여과수를 취수하는지를 파악하여,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40)은,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를 이용해 여과수들의 보충 순서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40)은, 각각의 여과수의 취수 빈도를 비교하여 취수 빈도의 순서대로 여과수들의 보충 순서를 결정하며, 여과수의 보충이 필요한 저장 탱크들 중 취수 빈도가 높은 저장 탱크에 여과수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제1 유로 제어 밸브(24)와 제2 유로 제어 밸브(29')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4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취수 빈도가 나머지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은 경우에, 정수가 정수 탱크(32)에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제1 유로 제어 밸브(24)와 제2 유로 제어 밸브(29')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4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 취수 빈도가 나머지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은 경우에, 정수가 냉수 탱크(34)에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제1 유로 제어 밸브(24)와 제2 유로 제어 밸브(29')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4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정수 취수 빈도가 나머지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은 경우에, 순정수가 순정수 탱크(36)에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제1 유로 제어 밸브(24)와 제2 유로 제어 밸브(29')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4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취수 빈도가 나머지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은 경우에, 순정수가 온수 탱크(38)에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제1 유로 제어 밸브(24)와 제2 유로 제어 밸브(29')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4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취수 빈도를 갖는 여과수가 2개 이상이고 이처럼 동일한 취수 빈도를 갖는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가 나머지 여과수들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은 경우에, 여과수들의 보충 순서의 변경 없이 이전에 설정된 여과수들의 보충 순서에 따라 저장 탱크들에 여과수를 보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40)은, 여과수들 중 취수 빈도가 낮은 저장 탱크에 여과수가 보충되는 동안 여과수들 중 취수 빈도가 높은 저장 탱크에 여과수를 보충할 필요가 발생되는 경우에, 취소 빈도가 낮은 저장 탱크의 여과수의 보충이 중지되고 취소 빈도가 높은 저장 탱크에 여과수가 보충되도록 제1 유로 전환 밸브(24)와 제2 유로 전환 밸브(29')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 유닛(40)은, 취수 빈도가 높은 저장 탱크에 대한 여과수의 보충이 완료되면 다시 취수 빈도가 낮은 저장 탱크에 여과수가 보충되도록 제1 유로 전환 밸브(24)와 제2 유로 전환 밸브(29') 등을 제어한다.
이러한 여과수 공급 장치(2)는, 다수의 저장 탱크들에 일시에 여과수를 보충해야 할 경우에, 음용자가 주로 취수하는 여과수를 먼저 보충할 수 있으므로, 음용자가 주로 음용하는 여과수가 보충되기까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런데, 냉수와 온수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정수와 순정수를 생성하는 경우에 비해 가열 또는 냉각 공정을 더 수행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냉수와 온수는 정수와 순정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생성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여과수 공급 장치(2)는, 냉수 탱크(34)와 온수 탱크(38)에도 여과수를 개별적으로 보충할 수 있으므로, 음용자가 냉수 또는 온수를 주로 취수하는 경우에, 전술한 여과수 공급 장치(1)에 비해 냉수와 온수가 보충되기까지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여과수 공급 장치(2)는, 냉수 탱크(34)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고, 온수 탱크(38)는 순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냉수 탱크(34)와 온수 탱크(38)는 각각 정수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여과수 공급 장치(2)는, 정수, 순정수, 냉수, 온수 중 어느 하나가 각각 저장된 저장 탱크들에 취수 빈도에 따라 여과수를 보충하는 것으 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여과수 공급 장치(2), 전술한 정수, 순정수, 냉수, 온수 이외에도 이온수, 탄산수 등 서로 다른 종류의 여과수가 각각 저장된 저장 탱크들에 취수 빈도에 따라 여과수를 보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여과수 공급 장치
10 : 필터 유닛
11 : 전처리 필터
12 : 후처리 필터
13 : 탈이온 필터
14 : 침전 필터
15 : 선카본 필터
16 : 멤브레인 필터
17 : 후카본 필터
18 : 자외선 살균 필터
19 : 이온교환수지 필터
20 : 여과 유로
21 : 직결 유로
22 : 우회 유로
23 : 제1 유로 전환 밸브
24 : 제1 T형 연결관
25 : 정수 유로
26 : 순정수 유로
27 : 제2 유로 전환 밸브
30 : 저장 유닛
32 : 정수 탱크
34 : 냉수 탱크
36 : 순정수 탱크
38 : 온수 탱크
40 : 제어 유닛

Claims (12)

  1.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 가능한 복수의 필터들을 구비하며, 이온성 물질이 포함된 정수 또는 상기 이온성 물질이 제거된 순정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필터 유닛;
    상기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 저장 공간과, 상기 정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정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정수 취수구를 구비하는 정수 탱크;
    상기 순정수가 저장되는 순정수 저장 공간과, 상기 순정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순정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순정수 취수구를 구비하는 순정수 탱크;
    상기 정수가 상기 정수 탱크에 보충되거나 상기 순정수가 상기 순정수 탱크에 보충되도록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정수 탱크와 상기 순정수 탱크 중 어느 하나의 탱크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여과 유로; 및
    상기 정수 취수구와 상기 순정수 취수구를 이용한 정수 취수 빈도와 순정수 취수 빈도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정수 취수 빈도가 상기 순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상기 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고, 상기 순정수 취수 빈도가 상기 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상기 순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상기 여과 유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수 공급 장치.
  2. 제1항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정수 탱크와 상기 순정수 탱크 중 취수 빈도가 낮은 탱크에 상기 정수 또는 상기 순정수가 보충되는 동안 상기 정수 탱크와 상기 순정수 탱크 중 취수 빈도가 높은 탱크에 상기 정수 또는 상기 순정수를 보충할 필요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취수 빈도가 낮은 탱크에 대한 상기 정수 또는 상기 순정수의 보충이 중지되고 상기 취수 빈도가 높은 탱크에 상기 정수 또는 상기 순정수가 보충되도록 상기 여과 유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수 공급 장치.
  3. 제2항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취수 빈도가 높은 탱크에 대한 상기 정수 또는 상기 순정수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취수 빈도가 낮은 탱크에 상기 정수 또는 상기 순정수가 보충되도록 상기 여과 유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수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가 저장되는 냉수 저장 공간과, 상기 냉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는 냉각 부재와, 상기 냉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냉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냉수 취수구를 구비하는 냉수 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냉수 취수구를 이용한 냉수 취수 빈도를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수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탱크와 상기 냉수 탱크는, 상기 정수가 상기 정수 저장 공간에서 자동으로 배출되어 상기 냉수 저장 공간에 보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정수 취수 빈도가 상기 냉수 취수 빈도와 상기 순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거나 상기 냉수 취수 빈도가 상기 정수 취수 빈도와 상기 순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상기 정수 탱크에 우선적으로 보충되고, 상기 순정수 취수 빈도가 상기 정수 취수 빈도와 상기 냉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상기 순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상기 여과 유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수 공급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유로는, 상기 정수가 상기 정수 탱크에 보충되거나 상기 정수가 상기 냉수 탱크에 보충되거나 상기 순정수가 상기 순정수 탱크에 보충되도록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정수 탱크, 상기 냉수 탱크 및 상기 순정수 탱크 중 어느 하나의 탱크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정수 취수 빈도가 상기 냉수 취수 빈도와 상기 순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상기 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고, 상기 냉수 취수 빈도가 상기 정수 취수 빈도와 상기 순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상기 냉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고, 상기 순정수 취수 빈도가 상기 정수 취수 빈도와 상기 냉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상기 순정수 탱크에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상기 여과 유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수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정수가 저장되는 온수 저장 공간과, 상기 온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순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가열 부재와, 상기 온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온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온수 취수구를 구비하는 온수 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온수 취수구를 이용한 온수 취수 빈도를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수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순정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는, 상기 순정수가 상기 순정수 저장 공간에서 자동으로 배출되어 상기 온수 저장 공간에 보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정수 취수 빈도가 상기 순정수 취수 빈도와 상기 온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상기 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고, 상기 순정수 취수 빈도가 상기 정수 취수 빈도와 상기 온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거나 상기 온수 취수 빈도가 상기 정수 취수 빈도와 상기 순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상기 순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상기 여과 유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수 공급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유로는, 상기 정수가 상기 정수 탱크에 보충되거나 상기 순정수가 상기 순정수 탱크에 보충되거나 상기 순정수가 상기 온수 탱크에 보충되도록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정수 탱크, 상기 순정수 탱크 및 상기 온수 탱크 중 어느 하나의 탱크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정수 취수 빈도가 상기 순정수 취수 빈도와 상기 온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상기 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고, 상기 순정수 취수 빈도가 상기 정수 취수 빈도와 상기 온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상기 순정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고, 상기 온수 취수 빈도가 상기 정수 취수 빈도와 상기 순정수 취수 빈도에 비해 높으면 상기 온수 탱크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상기 여과 유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수 공급 장치.
  10.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여 적어도 한 종류의 여과수를 생성하는 필터 유닛;
    상기 여과수가 저장되는 여과수 저장 공간과, 상기 여과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여과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여과수 취수구를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저장 탱크들;
    상기 저장 탱크들 중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 상기 여과수가 선택적으로 보충되도록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와 연결하는 여과 유로; 및
    상기 여과수 취수구를 이용한 취수 빈도를 산출하고, 상기 저장 탱크들 중 취수 빈도가 높은 저장 탱크에 상기 여과수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상기 여과 유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수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저장 탱크들 중 취수 빈도가 낮은 저장 탱크가 보충되는 동안 상기 저장 탱크들 중 취수 빈도가 높은 저장 탱크를 보충할 필요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취수 빈도가 낮은 저장 탱크에 대한 상기 여과수의 보충이 중지되고 상기 취수 빈도가 높은 저장 탱크에 상기 여과수가 우선적으로 보충되도록 상기 여과 유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수 공급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취수 빈도가 높은 저장 탱크에 대한 상기 여과수의 보충이 완료되면 상기 취수 빈도가 낮은 저장 탱크에 상기 여과수가 보충되도록 상기 여과 유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수 공급 장치.
KR1020150182079A 2015-12-18 2015-12-18 여과수 공급 장치 KR101754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079A KR101754866B1 (ko) 2015-12-18 2015-12-18 여과수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079A KR101754866B1 (ko) 2015-12-18 2015-12-18 여과수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320A KR20170073320A (ko) 2017-06-28
KR101754866B1 true KR101754866B1 (ko) 2017-07-06

Family

ID=5928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079A KR101754866B1 (ko) 2015-12-18 2015-12-18 여과수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8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320A (ko)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410068A1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ng at least one fluid property
AU2012202387A1 (en) RO (Reverse Osmosis) System
KR20170067579A (ko) 수처리 장치
JP2012206073A (ja) 脱イオン水製造システム
US11766639B2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JP2007136384A (ja) 透過水製造装置
EP3712513B1 (en) A water distribution and water treating architecture system
KR101782543B1 (ko) 여과수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754866B1 (ko) 여과수 공급 장치
KR101782545B1 (ko) 여과수 공급 장치
KR102058059B1 (ko)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KR101782544B1 (ko) 여과수 공급 장치 및 방법
CN212894049U (zh) 家用净水装置及台面净水机
CN210176649U (zh) 卫生级直饮水净化系统
KR101982804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AU2006303866B2 (en) Purified wate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KR20140081431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70074067A (ko) 제빙 장치, 제빙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 및 제빙 방법
KR20120113164A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CN109717748B (zh) 饮用水供给装置的取水部组装体
JP2020110653A (ja) 精製水供給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101649741B1 (ko) 수액 농축장치
KR20170068926A (ko) 탄산수를 이용한 살균 정수기
EP3115340A1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one cross-flow filtr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apparatus
CN218951065U (zh) 一种净水系统及净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