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774B1 - 바이오 칩 및 바이오 칩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 칩 및 바이오 칩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774B1
KR101754774B1 KR1020160149507A KR20160149507A KR101754774B1 KR 101754774 B1 KR101754774 B1 KR 101754774B1 KR 1020160149507 A KR1020160149507 A KR 1020160149507A KR 20160149507 A KR20160149507 A KR 20160149507A KR 101754774 B1 KR101754774 B1 KR 101754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
functional layer
biochip
hydrated gel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혁기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칼라팍스트롯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칼라팍스트롯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칼라팍스트롯
Priority to CN201680077164.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8463725A/zh
Priority to GB1811528.7A priority patent/GB2560293B/en
Priority to DE112016006111.0T priority patent/DE112016006111B4/de
Priority to PCT/KR2016/015172 priority patent/WO2017116078A1/ko
Priority to CH00810/18A priority patent/CH713472B1/de
Priority to US15/568,634 priority patent/US1035942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774B1/ko
Priority to US16/434,985 priority patent/US2019030210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organic
    • G01N33/545Synthetic res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organ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with ligand attached to the carrier via a chemical coupl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16Hybridisation assay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1/46Electric circuits using a capaci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1Refractivity; Phase-affecting properties, e.g. optical path 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1Refractivity; Phase-affecting properties, e.g. optical path length
    • G01N21/412Index profiling of optical fib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1Refractivity; Phase-affecting properties, e.g. optical path length
    • G01N21/4133Refractometers, e.g. different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1/552Attenuated total reflection
    • G01N21/553Attenuated total reflection and using surface plasm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70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using reagent-clad optical fibres or optical wavegu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70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using reagent-clad optical fibres or optical waveguides
    • G01N21/774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using reagent-clad optical fibres or optical waveguides the reagent being on a grating or periodic stru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involving physiochemical end-point determination, e.g. wave-guides, FETS, gra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54Immunoglobul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8L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70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using reagent-clad optical fibres or optical waveguides
    • G01N2021/7706Reagent provision
    • G01N2021/7723Swelling part, also for adsorption sensor, i.e. without chemical rea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021/7769Measurement method of reaction-produced change in sensor
    • G01N2021/7776Index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021/7769Measurement method of reaction-produced change in sensor
    • G01N2021/7789Cavity or resona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단백질의 다중 결합을 단일 결합과 구분하여 검출 및 분석할 수 있는 바이오 칩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칩은, 결합 매개 기재가 형성되고, 투여된 타겟 단백질과 상기 결합 매개 기재의 반응으로 물리적 특성이 변화하는 수화젤(hydrogel) 기능층; 및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상기 물리적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는 변위(displacement) 신호를 분석 장비로 전달하는 트랜스듀서(transduce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이오 칩 및 바이오 칩의 제조 방법{Biochi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iochip}
단백질의 다중 결합을 단일 결합과 구분하여 검출 및 분석할 수 있는 바이오 칩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단백질은 세포 내 반응을 매개하는 조절인자로 인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백질로 인한 기작들은 이종 혹은 동종 단백질 간의 다중 결합에 의해 조절된다. 체내 단백질의 다중 결합은 체내에서 아래의 기능을 할 수 있다.
(1) 단백질 중합화(polymerization)에 의한 구조물을 생성함(혈전 생성 및 actin polymerization),
(2) 세포막 단백질의 이종 혹은 동종 간의 (당)단백질이 리간드 (당)단백질과 결합하여 이합체 또는 다합체를 형성하여 세포 내 신호 전달을 함,
(3) 세포 내 단백질 간의 상호 작용 및 결합을 통해 유전자 발현을 함.
위와 같이, 체내 단백질 간의 다중 결합으로 인해, 생체 내의 혈전 생성, 암 발생 및 면역 반응과 같은 중요 생체 조절 작용이 야기된다. 따라서, 체내 단백질의 다중 결합을 검출 및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단백질의 다중 결합을 검출하기 위해서, 단백질의 정제 및 농축과 함께, 형광제 라벨링(fluorescent labeling)과 같은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일련의 전처리 과정 없이(=label-free, 비표지), 타겟 단백질의 다중 결합과 단일 결합을 구분하여 감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일례로, 기존의 굴절률 트랜스듀서 기술을 이용하더라도, 굴절률 트랜스듀서가 단백질의 다중 결합을 감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감도(sensitivity) 및 다중 결합의 선택적 감지를 제공하기 어렵다.
타겟 단백질의 다중 결합을 단일 결합과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 칩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칩은, 결합 매개 기재가 형성되고, 투여된 타겟 단백질과 상기 결합 매개 기재의 반응으로 물리적 특성이 변화하는 수화젤(hydrogel) 기능층; 및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상기 물리적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는 변위(displacement) 신호를 분석 장비로 전달하는 트랜스듀서(transducer)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반응은 상기 타겟 단백질과 상기 결합 매개 기재의 다중 결합이고, 상기 다중 결합으로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적어도 일부에서 디스웰링(de-swelling)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특성은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적어도 일부의 굴절률이고, 상기 트랜스듀서는 도파로(waveguide)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 신호는 상기 도파로의 출력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적 특성은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적어도 일부의 굴절률이고, 상기 트랜스듀서는 골드 박막(gold thin film)을 포함하며, 상기 변위 신호는 상기 골드 박막에서 일어난 표면 플라즈몬 공진(Surface Plasmon Resonance: SPR)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적 특성은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적어도 일부의 볼륨(volume)이고, 상기 트랜스듀서는 압전소자(Piezo element)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 신호는 상기 압전소자의 출력 신호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메인단량체 및 공단량체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단량체는,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공단량체는, 알릴아민(AA),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DMAEMA),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DMAEA), 아크릴산(AAc),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및 메타아크릴산(MAA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상기 메인단량체 55 내지 98%, 상기 공단량체 2 내지 40%, 및 상기 가교제 0.1 내지 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알릴아민)[poly(N-isopropyl acrylamide-co-allylamine): poly(NIPAM-co-A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oly(NIPAM-co-DMAEM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acrylate), poly(NIPAM-co-DMAE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acrylic acid): poly(NIPAM-co-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폴리에틸렌 글리콜-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polyethylene glycol-acrylic acid): poly(NIPAM-co-PEG-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메타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methacrylic acid): poly(NIPAM-co-MAAc)],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결합 매개 기재는 리간드, 리셉터, 디옥시리보핵산(DNA), 또는 리보핵산(RNA)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은 상기 결합 매개 기재가 형성되어 개질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결합 매개 기재는 리간드, 리셉터, 디옥시리보핵산(DNA), 또는 리보핵산(RNA)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은 상기 결합 매개 기재를 형성시키기 위해 나노입자 또는 단백질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기로 사용하여 개질될 수 있다.
상기 리간드 또는 상기 리셉터는,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교차결합, Schiff base 교차결합, Azlactone 교차결합, Carbonyl diimidazole(CDI) 교차결합, Iodoacetyl 교차결합, Hydrazide 교차결합, Mannich 교차결합, 또는 말레이미드(maleimide) 교차결합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수화젤 기능층에 결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상기 타겟 단백질과의 반응을 위한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이오 칩에 포함된 상기 수화젤 기능층을 제조하는 방법은, 메인단량체 55 내지 98%, 공단량체 2 내지 40%, 및 가교제 0.1 내지 5%를 포함하여 단량체의 합이 100%가 되도록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개시제를 추가하여 반응을 개시(initiate)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에 따라 생성된 수화젤 수용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화젤 수용액을 얻는 단계는, 상기 수용액을 가열하면서 무산소(oxygen-free) 환경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인단량체는,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공단량체는, 알릴아민(AA),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DMAEMA),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DMAEA), 아크릴산(AAc),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및 메타아크릴산(MAA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이오 칩을 제조하는 방법은, 나노 파티클 형태의 수화젤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스듀서의 표면을 양 전하, 음 전하, 에폭시(epoxy) 또는 머캅토(mecapto) 중 적어도 하나로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듀서의 표면에 상기 수화젤을 도포하여, 상기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을 합성하는 단계는, 메인단량체 55 내지 98%, 공단량체 2 내지 40%, 및 가교제 0.1 내지 5%를 포함하여 단량체의 합이 100%가 되도록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개시제를 추가하여 반응을 개시(initiate)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에 따라 생성된 수화젤 수용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단량체는,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공단량체는, 알릴아민(AA),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DMAEMA),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DMAEA), 아크릴산(AAc),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및 메타아크릴산(MAA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알릴아민)[poly(N-isopropyl acrylamide-co-allylamine): poly(NIPAM-co-A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oly(NIPAM-co-DMAEM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acrylate), poly(NIPAM-co-DMAE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acrylic acid): poly(NIPAM-co-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폴리에틸렌 글리콜-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polyethylene glycol-acrylic acid): poly(NIPAM-co-PEG-AAc)], 및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메타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methacrylic acid): poly(NIPAM-co-MAAc)],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듀서의 표면을 양 전하, 음 전하, 에폭시(epoxy) 또는 머캅토(mecapto) 중 적어도 하나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아미노실란(aminosilane), 카르복시실란(carboxyisilane), 에폭시실란(epoxysilane) 및 머캅토실란(mercaptosilane)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에 리간드(ligand), 리셉터(receptor), 디옥시리보핵산(DNA), 또는 리보핵산(RNA)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시켜 상기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에 리간드, 리셉터, 디옥시리보핵산(DNA), 또는 리보핵산(RNA)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시키기 위해 나노입자 또는 단백질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기로 사용하여 상기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는,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DCC (dicyclohexyl carbodiimide), NaCNBH3 (sodium cyanoborohydride), Azlactone, CDI (Carbonyl diimidazole), Iodoacetyl, Hydrazide, DADPA (diaminodipropylamine), 및 NHS 에스테르 (N-hydroxysuccinimide ester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를 사용하여, 상기 수화젤 기능층 표면에 상기 리간드, 상기 리셉터, 상기 디옥시리보핵산, 또는 상기 리보핵산 중 적어도 하나를 링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이오 칩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트랜스듀서의 표면을 양 전하, 음 전하, 에폭시(epoxy) 또는 머캅토(mecapto) 중 적어도 하나로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트랜스듀서의 표면에 수화젤 수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수화젤 수용액에 개시제를 첨가하여, 벌크젤 형태의 상기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수용액은, 메인단량체 55 내지 98%, 공단량체 2 내지 40%, 및 가교제 0.1 내지 5%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알릴아민)[poly(N-isopropyl acrylamide-co-allylamine): poly(NIPAM-co-A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oly(NIPAM-co-DMAEM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acrylate), poly(NIPAM-co-DMAE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acrylic acid): poly(NIPAM-co-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폴리에틸렌 글리콜-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polyethylene glycol-acrylic acid): poly(NIPAM-co-PEG-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메타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methacrylic acid): poly(NIPAM-co-MAAc)],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에 리간드(ligand), 리셉터(receptor), 디옥시리보핵산(DNA), 또는 리보핵산(RNA)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시켜 상기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에 리간드, 리셉터, 디옥시리보핵산(DNA), 또는 리보핵산(RNA)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시키기 위해 나노입자 또는 단백질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기로 사용하여 상기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바이오 칩은, 형광체 라벨링(fluorescent labeling) 등의 전처리 과정 없이(=label-free, 비표지)도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을 타겟 단백질의 단일 결합과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칩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칩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타겟 단백질의 다중 결합 및 단일 결합에 따른 수화젤 기능층의 굴절률 변화에 대한 미분간섭(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DIC) 현미경 사진 및 온도 변화와 pH 변화 특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의 (b)는 타겟 단백질과 리간드 또는 리셉터의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교차결합을 통해 표면이 개질된 수화젤 기능층의 모식도 및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다중 결합(이합체화) 분석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교차결합 또는 말레이미드(maleimide) 교차결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5는 수화젤 기능층의 굴절률 변화를 감지하는 바이오 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은 수화젤 기능층의 굴절률 변화를 감지하는 바이오 칩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다.
도 7은 멀티-채널 수화젤 기능층을 채용한 바이오 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수화젤의 합성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7을 통해 합성된 수화젤을 이용하여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하는 바이오 칩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은 벌크젤 형태의 수화젤을 이용하는 바이오 칩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칩의 성능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바이오 칩의 개요>
도 1은 바이오 칩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칩은, 결합 매개 기재가 형성되고, 투여된 타겟 단백질과 상기 결합 매개 기재의 반응으로 물리적 특성(physical properties)이 변화하는 수화젤(hydrogel) 기능층(110) 및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상기 물리적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는 변위(displacement) 신호를 분석 장비로 전달하는 트랜스듀서(transducer)(120)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물리적 성질(physical properties)은 통상 소재가 갖는 강도, 경도, 연신율 등의 기계적 성질(mechanical properties), 전기전도도, 비저항, 투과율, 굴절률 등의 전자기적 성질(electromagnetic properties), 열전도도, 열팽창 계수, 비열 등의 열적 성질(thermal properties), 융점, 비점 등의 온도 성질(temperature properties)를 통칭하는 의미이다.
바이오 칩(100)은 바이오 센서 등의 분석 장비(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될 수 있고, 분석 장비로 변위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 인터페이스(유선 또는 무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 장비는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의 다중 결합과 관련된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청각적/촉각적으로 제공하는 장비이다. 분석 장비는, 일례로 Reichert®의 SPR(Surface Plasmon Resonance) 장비일 수 있다. 또한, 구현에 따라 분석 장비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바이오 칩(100)은 다양한 분석 장비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교체 가능한(replaceable)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수화젤 기능층(110)은 바이오 칩(100) 상에 투여된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의 다중 결합 및 단일 결합을 구분할 수 있는 분해능(resolution capability)을 제공한다. 수화젤 기능층(110)을 사용하는 경우, 형광체 분자의 라벨링 없이(label-free)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의 단일 결합과 다중 결합을 구별할 수 있다.
수화젤 기능층(110)의 표면에는 타겟 단백질과의 반응을 위해 결합 매개 기재가 형성된다. 결합 매개 기재는 리셉터(receptor), 리간드(ligand), DNA, 또는 RNA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구현에 따라 결합 매개 기재는 리셉터, 리간드, DNA, 및 RNA 중 둘 이상이 혼합될 수 있다. 수화젤 기능층(110)에 형성되는 결합 매개 기재는 특정 타겟 단백질과의 다중 결합을 검출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된 것일 수 있다.
타겟 단백질과 상기 결합 매개 기재의 다중 결합(또는 이합체화(dimerization))은 수화젤 기능층(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의 디스웰링(de-swelling)을 야기하고, 이러한 디스웰링은 수화젤 기능층(110)의 물리적 특성을 변화시킨다. 수화젤 기능층(110)은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단일 결합에 대해서는 물리적 특성이 거의 변화하지 않으므로, 수화젤 기능층(110)을 통해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단일 결합과 다중 결합을 구분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수화젤 기능층(110)의 물리적 특성은 굴절률일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수화젤 기능층(110)의 물리적 특성은 수화젤 기능층(110)의 볼륨(volume)일 수 있다.
트랜스듀서(120)는 바이오 칩(100) 상에 투여된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으로 발생한 수화젤 기능층(110)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변위 신호로 출력한다. 구현에 따라, 트랜스듀서(120)는 변위 신호를 외부의 분석 장비로 전송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트랜스듀서(120)는 변위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도시되지 않음) 및 처리 결과를 외부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이오 칩(100)의 응용예에 따라 트랜스듀서(120)의 기능 및 구조는 적절히 수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수화젤 기능층(110) 적어도 일부 영역의 디스웰링으로 인해 변화하는 물리적 특성이 굴절률인 경우, 트랜스듀서(120)는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으로 인해 발생한 수화젤 기능층(110)의 굴절률 변화에 대응하는 광 신호 또는 전기 신호 중 어느 하나인 변위 신호를 분석 장비로 출력하는 도파로(waveguide)일 수 있다. 도파로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 도파로(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Waveguide), 링 공명 도파로(Ring Resonator Waveguide), 장-주기 격자 도파로(Long-Period Fiber Grating Waveguide), 격자 결합기(Grating Coupler), 또는 격자 도파로(Grated Wavegui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수화젤 기능층(110) 적어도 일부 영역의 디스웰링으로 인해 변화하는 물리적 특성이 볼륨인 경우, 트랜스듀서(120)는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으로 인해 발생한 수화젤 기능층(110)의 볼륨 변화에 대응하는 변위 신호를 분석 장비로 출력하는 압전소자(Piezo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분석 장비로 QCM(Quartz Crystal Microbalance) 장비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이 얼마나 많이 또는 얼마나 집중되어 일어나느냐에 따라, 수화젤 기능층(110)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는 더 커진다. 이러한 관계를 이용하여, 다중 결합의 양과 수화젤 기능층(110)의 물리적 특성 변화값을 대조하여 생성된 룩업(lookup) 테이블(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을 감지하고, 다중 결합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룩업 테이블은 바이오 칩(100)과 물리적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바이오 센서 등의 외부 분석 장비와 연결된 메모리에 기록될 수 있다.
도 2는 일측에 따른 수화젤 기능층(210) 및 트랜스듀서(220)를 포함하는 바이오 칩(200)에 타겟 단백질이 반응한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화젤 기능층(210) 상에 형성된 결합 매개 기재(211, 222)에 타겟 단백질이 결합하는 경우 타겟 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결합 매개 기재(211, 222)와 타겟 단백질 간에 다중 결합(이합체화 결합)(221의 경우) 또는 단일 결합(222의 경우)이 발생한다. 다중 결합이 발생하는 경우, 수화젤 기능층(210)의 다중 결합이 발생한 영역(231)에서 디스웰링(de-swelling)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수화젤 기능층(210)의 물리적 특성이 변한다. 단일 결합이 발생한 영역에서는 수화젤 기능층(210)의 물리적 특성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물리적 특성은 굴절률일 수 있고, 트랜스듀서(220)는 수화젤 기능층(210)의 영역(231)로 인한 굴절률 변화에 대응하는 변위 신호를 분석 장비로 전달한다. 이때, 트랜스듀서(220)는 도파로일 수 있다. 영역(231)로 인한 수화젤 기능층(210)의 굴절률 변화로 인해 트랜스듀서(220)인 도파로의 적어도 일부의 유효(effective) 굴절률이 변화된다. 분석 장비(도시되지 않음)의 광원을 통해 바이오 칩(200)으로 입력된 입력 광 신호는, 트랜스듀서(220)에서 발생한 유효 굴절률 변화로 인해 공진 주파수가 이동(shift)하고, 공진 주파수가 이동된 출력 광 신호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변위 신호)는 분석 장비의 디텍터로 전달된다. 분석 장비는 변위 신호를 분석하여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물리적 특성은 굴절률일 수 있고, 트랜스듀서(220)는 수화젤 기능층(210)의 영역(231)로 인한 굴절률 변화에 대응하는 변위 신호를 분석 장비로 전달한다. 이때, 트랜스듀서(220)는 골드 박막(gold thin film) 및 글라스(glass)의 조합일 수 있다. 영역(231)로 인한 수화젤 기능층(210)의 굴절률 변화로 인해 트랜스듀서(220)인 골드 박막에서 표면 플라즈몬 공진(Surface Plasmon Resonance: SPR)이 발생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분석 장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통해 바이오 칩(200)으로 입력된 입력 신호는 골드 박막에서 발생한 표면 플라즈몬 공진으로 진행 경로가 변하거나, 골드 박막 상에서 누설(leakage)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로가 변경된 신호 또는 누설 신호 등의 변위 신호(출력 광 신호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는 분석 장비의 디텍터로 전달된다.
다른 일례로, 상기 물리적 특성은 볼륨일 수 있고, 트랜스듀서(220)는 수화젤 기능층(110) 영역(231)의 볼륨 변화에 따른 전기 신호(변위 신호)를 분석 장비로 전달할 수 있는 압전소자(Piezo element)를 포함한다. 분석 장비는 상기 변위 신호를 분석하여 영역(231)의 볼륨 변화에 대응하는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 수화젤 기능층의 기작 개요>
도 3은 단백질 다중 결합 및 단일 결합에 따른 수화젤 기능층의 물리적 특성(굴절률) 변화를 광학 현미경 이미지 변화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화젤 기능층에 형성된 결합 매개 기재와 타겟 단백질의 다중 결합에 의하여 수화젤 기능층의 물리적 특성(굴절률)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화젤 기능층에 형성된 결합 매개 기재와 타겟 단백질 간에 다중 결합이 발생하면, 다중 결합에 의한 이합체화(dimerization) 혹은 다합체화(multimerization)로 인해 수화젤 기능층의 적어도 일부에서 디스웰링(de-swelling)이 일어난다. 상술한 것과 같이, 결합 매개 기재는 리셉터, 리간드, DNA, 및 RNA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구현에 따라 결합 매개 기재는 리셉터, 리간드, DNA, 및 RNA 중 둘 이상이 혼합될 수 있다. 결합 매개 기재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특정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이오 칩은 수화젤 기능층을 이용하여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결합이 다중 결합이 아닌 경우, 수화젤 기능층의 물리적 특성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결합이 다중 결합인 경우, 수화젤 기능층에서 발생하는 디스웰링으로 인해 수화젤 기능층의 물리적 특성이 현저하게 변화한다. 즉, 수화젤 기능층을 이용하여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단일 결합과 다중 결합을 구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화젤 기능층의 물리적 특성 변화를 이용하여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의 양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수화젤 기능층의 물리적 특성은 수화젤 기능층의 제조 방법 또는 반응 물질에 따라 국부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수화젤 기능층은 멀티-채널(multi-channel)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수화젤 기능층의 물리적 영역을 2개 이상으로 구분하여, 하나의 바이오 칩에서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양한 다중 결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하나의 수화젤 기능층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구분하고, 해당 영역에 형성되는 결합 매개 기재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수화젤 기능층의 채널 각각에 대해 트랜스듀서가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트랜스듀서에서 둘 이상의 채널에 대응하는 수화젤 기능층의 물리적 특성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메인단량체 및 공단량체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수화젤 기능층은, 메인단량체와 공단량체가 가교제로 중합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 이온강도, 또는 pH에 민감한 수화젤을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인단량체는,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공단량체는, 알릴아민(AA),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DMAEMA),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DMAEA), 아크릴산(AAc),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및 메타아크릴산 (MAA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상기 메인단량체 55 내지 98%, 공단량체 2 내지 40%, 및 가교제 0.1 내지 5%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인단량체의 함량이 55% 미만인 경우에는 반응성이 저하될 수 있고, 98% 초과인 경우에는 타겟 단백질의 다중 결합을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공단량체의 함량이 2% 미만 또는 40% 초과인 경우에는 타겟 단백질의 다중 결합을 감지하는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0.1 % 미만인 경우에는 수화젤 기능층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5% 초과인 경우에는 타겟 단백질의 다중 결합을 감지하는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알릴아민)[poly(N-isopropyl acrylamide-co-allylamine): poly(NIPAM-co-A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oly(NIPAM-co-DMAEM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acrylate), poly(NIPAM-co-DMAE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acrylic acid): poly(NIPAM-co-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폴리에틸렌 글리콜-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polyethylene glycol-acrylic acid): poly(NIPAM-co-PEG-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메타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methacrylic acid): poly(NIPAM-co-MAAc)],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단량체는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온도민감 수화젤)일 수 있으며, 상기 공단량체는 아크릴산(pH 민감 수화젤)일 수 있다. 이 경우, 가교제는 MBA(N, N'-methylene-bis-acrylamide) 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중합반응을 시작하기 위한 요소로서 개시제(initiator)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개시제로는 암모늄 퍼설페이트(ammonium persulfate: APS)가 사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마이드 55 내지 98%, 아크릴산 2 내지 40%, 및 BIS 가교제 0.1 내지 5%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공단량체로 아크릴산이 사용되는 경우, 수화젤 기능층을 구성하는 물질들 중에서 적어도 2%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수화젤 기능층은, 구성 성분 간의 비율 조정을 통하여 다중 결합에 대한 감지도(sensitivity)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측에 따르면, 아크릴산의 비중이 높고 BIS의 비중이 낮을수록,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에 대한 수화젤 기능층의 반응성(디스웰링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른 바이오 칩의 트랜스듀서 표면은 수화젤 기능층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표면이 개질된 것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물리적 특성이 변화되는 부분은,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전체, 또는 상기 수화젤 기능층 표면으로부터 일부일 수 있다.
타겟 단백질의 다중 결합으로 인하여,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굴절률이 변화되는 부분을 "활성화 층(activated layer)"이라고 지칭한다. 활성화 층은 전체 수화젤 기능층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수화젤 기능층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활성화 층은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은 결합 매개 기재가 형성되어 개질된 것일 수 있고, 또 다른 일측에 따른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은 결합 매개 기재를 형성시키기 위해 나노입자 또는 단백질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기로 사용하여 개질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매개 기재는 리셉터(receptor), 리간드(ligand), DNA, 또는 RNA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구현에 따라 결합 매개 기재는 리셉터, 리간드, DNA, 및 RNA 중 둘 이상이 혼합될 수 있다. 수화젤 기능층(110)에 형성되는 결합 매개 기재는 특정 타겟 단백질과의 다중 결합을 검출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된 것일 수 있다.
수화젤 기능층에 형성되는 결합 매개 기재는,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교차결합, Schiff base 교차결합, Azlactone 교차결합, Carbonyl diimidazole (CDI) 교차결합, Iodoacetyl 교차결합, Hydrazide 교차결합, Mannich 교차결합, 또는 말레이미드(maleimide) 교차결합으로 상기 수화젤 기능층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수화젤 기능층 표면에 존재하는 카르복실산 관능기 (COOH)와 단백질에 존재하는 NH2 + 기를 이용하여, 수화젤 기능층 표면에 결합 매개 기재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위에서 설명한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교차결합 또는 말레이미드(maleimide) 교차결합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일측에 따르면,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교차결합을 위하여,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DCC (dicyclohexyl carbodiimide), NaCNBH3 (sodium cyanoborohydride), Azlactone, CDI (Carbonyl diimidazole), Iodoacetyl, Hydrazide, DADPA (diaminodipropylamine), 및 NHS 에스테르 (N-hydroxysuccinimide ester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를 조절하여 결합 매개 기재와 수화젤 기능층 사이의 결합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바이오 칩의 실시예 >
(1) 수화젤 기능층 + 도파로를 포함하는 바이오 칩
통상의 광 기반의 바이오 칩에서, 광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인가된 광 신호는 도파로 내부로 전달 및 투과되며 일부는 소실장(evanescent field) 형태로 광 도파로 표면으로 전달되어 나간다. 만약 도파로 표면에서 화학적/생물학적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발생 유무 또는 그 정도에 따라 도파로 표면 물질의 굴절률 변화가 생긴다. 이에 따른 도파로의 유효 굴절률 변화로 인해 도파로 내부의 광 신호 투과 특성이 달라진다. 이와 같이 SPR 칩 표면의 화학적/생물학적 현상 변화를, 표면 물질의 굴절률 변화에 의한 도파로 내부의 광학적 투과 특성 변화를 통하여 감지하는 기기를 광 감지기 또는 굴절률 감지기라고 한다.
바이오 분자 결합관계를 측정하는 광 감지기 또는 굴절률 감지기는, 다른 생화학 칩보다 높은 처리량(throughput)과 좋은 민감도(sensitivity)를 가지면서도 형광체의 라벨링이 필요 없고, 실시간으로 바이오 분자 결합 관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당한 이점을 나타낸다. 몇 가지 접근법들은 생화학 분자의 농도 변화로 유발되는 굴절률을 정량화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인 단일 결합과 구분하여 다중 결합을 갖는 타겟 단백질을 검출할 수 있는 광 감지기 기술은 아직까지 실시된 바 없다. 다중 결합되는 단백질의 정성적인 양을 단일 결합과 구분하여 정확하게 감지하는 기술은 혈전/면역/암 관련 치료 및 신약 개발 테스트의 근간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검출하고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도 5에는 일측에 따른 바이오 칩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바이오 칩(500)은 수화젤 기능층(510)과,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으로 인해 발생한 수화젤 기능층(510)의 굴절률 변화에 대응하는 변위 신호를 분석 장비로 전달하는 트랜스듀서(520)를 포함한다.
트랜스듀서(520)는 도파로일 수 있다. 도파로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 도파로(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Waveguide), 링 공명 도파로(Ring Resonator Waveguide), 장-주기 격자 도파로(Long-Period Fiber Grating Waveguide), 격자 결합기(Grating Coupler), 또는 격자 도파로(Grated Wavegui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트랜스듀서(520)는 수화젤 기능층(510)의 굴절률 변화로 생긴 광 신호의 투과/반사/공진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에 대응하는 광 신호 또는 전기 신호 등의 변위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변위 신호는 분석 장비로 전달되고, 분석 장비는 변위 신호에 대응하는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을 분석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수화젤 기능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0 nm일 수 있다. 일례로, 약 500 - 1700 nm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 수화젤 기능층의 두께는, 도파로 시뮬레이션(일례로, 유한 차분 시간 영역(finite-difference time-domain, FDTD) 방법 또는 유한 차분법(finite-difference method, FDM))를 통하여 산출한 결과, 10 내지 1000 nm일 수 있다. 이 때, 수화젤 기능층은 두께 10 내지 1000 nm에서 유효한 굴절률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두께가 10 nm 미만이거나, 1000 nm를 넘는 경우, 굴절률의 변화량을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을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2) 수화젤 기능층 + 골드 박막을 포함하는 바이오 칩
도 6에는 또 다른 일측에 따른 바이오 칩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바이오 칩(600)은 수화젤 기능층(610)과,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으로 인해 발생한 수화젤 기능층(610)의 굴절률 변화에 대응하는 변위 신호를 분석 장비로 전달하는 트랜스듀서(620)를 포함한다.
트랜스듀서(620)는 골드 박막(gold thin film)(621) 및 글라스(glass)(622)으로 구성된 레이어 구조(layered structure)일 수 있다. 수화젤 기능층(6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의 굴절률 변화로 인해 골드 박막(621)에서 표면 플라즈몬 공진(Surface Plasmon Resonance: SPR)이 발생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분석 장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통해 바이오 칩(600)으로 입력된 입력 신호는 골드 박막(621)에서 발생한 표면 플라즈몬 공진으로 전파 각도(propagation angle)가 변하거나, 골드 박막(621) 상에서 누설(leakage)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파 각도가 변경된 신호 또는 누설 신호 등의 변위 신호(출력 광 신호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는 분석 장비로 전달된다. 분석 장비는 변위 신호를 분석하여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을 분석할 수 있다.
(3) 수화젤 기능층 +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바이오 칩
일측에 따른 바이오 칩은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으로 인해 야기된 수화젤 기능층의 볼륨 변화에 대응하는 변위 신호를 분석 장비로 전달하는 트랜스듀서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으로 수화젤 기능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디스웰링(de-swelling)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수화젤 기능층의 볼륨이 변한다. 트랜스듀서에 포함된 압전소자(Piezo element)는 이러한 수화젤 기능층의 볼륨 변화에 따른 변위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변위 신호는 분석 장비로 전달된다. 분석 장비는 볼륨 변화에 대응하는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을 분석할 수 있다.
(4) 멀티-채널 바이오 칩
도 7에는 또 다른 일측에 따른 바이오 칩이 도시되어 있다.
일측에 따른 바이오 칩(700)은 하나 이상의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을 검출하기 위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수화젤 기능층(711, 712, 713)을 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트랜스듀서(720)의 표면에 형성되는 수화젤 기능층 도포 영역을 물리적으로 둘 이상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에 서로 다른 수화젤 기능층(711, 712, 713)을 형성시킨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트랜스듀스(720)의 표면에 형성되는 수화젤 기능층 도포 영역은 하나이고, 수화젤 기능층(711, 712, 713)에 서로 다른 결합 매개 기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멀티채널 바이오 칩이 구현될 수 있다.
수화젤 기능층의 영역 A(711)에 형성된 결합 매개 기재(721)와 타겟 단백질 A 간의 다중 결합(741)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영역 A(711)에 디스웰링 영역(731)이 생긴다.
수화젤 기능층의 영역 B(712)에 형성된 결합 매개 기재와 타겟 단백질 B 간의 다중 결합(742)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영역 B에 디스웰링 영역이 생긴다.
수화젤 기능층의 영역 C(713)에 형성된 결합 매개 기재와 타겟 단백질 C 간의 다중 결합(743)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영역 C에 디스웰링 영역이 생긴다.
트랜스듀서(720)은 수화젤 기능층의 영역 A 내지 C 각각에서의 디스웰링 영역으로 인한 영역 A 내지 C(711, 712, 713) 각각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따라, 영역 A 내지 C 각각에 대한 변위 신호를 분석 장비로 전달한다.
변위 신호는 분석 장비를 통해 분석될 수 있고, 걱 영역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대응하는 각 영역 별 타겟 단백질의 다중 결합을 분석할 수 있다.
<바이오 칩의 제조 방법>
(1) 나노 파트클 형태의 수화젤을 이용하는 바이오 칩 제조 방법:
(1) 나노 파트클 형태의 수화젤을 이용하는 바이오 칩 제조 방법:
도 8은 일측에 따른 바이오 칩의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화젤 합성 방법을 도시한다.
일측에 따르면, 바이오 칩의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화젤은, 메인단량체 55 내지 98%, 공단량체 2 내지 40%, 및 가교제 0.1 내지 5%를 포함하여 단량체의 합이 100%가 되도록 혼합하는 단계(801); 상기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가열하는 단계(802); 개시제를 추가하여 반응을 개시(initiate)하는 단계(803); 및 상기 반응에 따라 생성된 수화젤 수용액을 얻는 단계(804)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단계(801)에서, 일측에 따른 수화젤은, 메인단량체와 공단량체가 가교제로 중합된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열 또는 pH에 민감한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인단량체는,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공단량체는, 알릴아민(AA),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DMAEMA),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DMAEA), 아크릴산(AAc),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및 메타아크릴산(MAA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은, 상기 메인단량체 55 내지 98%, 공단량체 2 내지 40%, 및 가교제 0.1 내지 5%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인단량체의 함량이 55% 미만인 경우에는 반응성이 저하될 수 있고, 98% 초과인 경우에는 단백질의 이합체화를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공단량체의 함량이 2% 미만 또는 40% 초과인 경우에는 단백질의 이합체화를 감지하는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0.1 % 미만인 경우에는 수화젤 기능층 형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5% 초과인 경우에는 단백질의 이합체화(dimerization) 감지능(resolution capability)이 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인단량체는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온도 민감 수화젤)일 수 있고, 상기 공단량체는 아크릴산(pH 민감 수화젤)일 수 있다. 이 경우, 가교제는 MBA (N, N'-methylene-bis-acrylamide) 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은,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알릴아민)[poly(N-isopropyl acrylamide-co-allylamine): poly(NIPAM-co-A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oly(NIPAM-co-DMAEM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acrylate), poly(NIPAM-co-DMAE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acrylic acid): poly(NIPAM-co-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폴리에틸렌 글리콜-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polyethylene glycol-acrylic acid): poly(NIPAM-co-PEG-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메타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methacrylic acid): poly(NIPAM-co-MAAc)],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은,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마이드 55 내지 98%, 아크릴산 2 내지 40%, 및 BIS 가교제 0.1 내지 5%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공단량체로 아크릴산이 사용되는 경우, 수화젤 기능층을 구성하는 물질들 중에서 적어도 2%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단량체 및 상기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가열한다(802).
가열된 수용액에 개시제를 추가하여 반응을 개시한다(803).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개시제로는 암모늄 퍼설페이트(ammonium persulfate: APS)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응에 따라 생성된 수화젤 수용액을 얻는다(804). 단계(804)에서, 상기 수용액을 가열하면서 무산소(oxygen-free) 환경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수행될 수 있다. 무산소 환경을 유지하는 경우, 단계(804)에서 얻은 수화젤의 크기 균일도(uniformity)가 높아질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단계(804)는, 미반응 단량체를 투석하여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수화젤은, 구성 성분 간의 비율 조정을 통하여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다중 결합의 감지도(sensitivity)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수화젤의 조성 및 제조 방법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측에 따르면, 아크릴산의 비중이 높고 BIS의 비중이 낮을수록 다중 결합에 대한 수화젤 기능층의 반응성(de-swelling정도)이 증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나노 파티클 형태의 수화젤을 합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방법에 따라 합성된 수화젤을 트랜스듀서 상에 형성시켜 바이오 칩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칩 제조 방법은, 나노 파티클 형태의 수화젤을 합성하는 단계(901); 상기 트랜스듀서의 표면을 양 전하, 음 전하, 에폭시(epoxy) 또는 머캅토(mecapto) 중 적어도 하나로 활성화시키는 단계(902); 및 상기 트랜스듀서의 표면에 상기 수화젤을 도포하여,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하는 단계(903)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나노 파티클 형태의 수화젤을 합성할 수 있다(901).
상기 트랜스듀서의 표면을 양 전하, 음 전하, 에폭시(epoxy) 또는 머캅토(mecapto) 중 적어도 하나로 활성화시킨다(902).
상기 트랜스듀서 표면을 양 전하, 에폭시(epoxy) 또는 머캅토(mecapto) 중 적어도 하나로 활성화시키는 단계(902)는, 아미노실란(aminosilane), 에폭시실란(epoxysilane) 및 머캅토실란(mercaptosilane)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수용액상 반응을 통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3-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비스-3-트리에톡시시릴프로필아민(bis[(3-triethoxysilyl)propyl]amine),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 비스-3-트리메톡시시릴프로필아민(bis[(3-trimethoxysilyl)propyl]amine),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3-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3-aminopropyl)-dimethyl-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디에톡시메틸실란((3-aminopropyl)-diethoxy-methyl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aminoethyl-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디에틸렌트리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diethylene-tri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피페라지닐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piperazinyl-propyl-methyl-d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메틸트리메톡시실란((N-phenylamino)methyl-trimethoxysilane), (N-페닐아미노)메틸트리에톡시실란((N-phen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디메틸아미노메틸트리에톡시실란(dimethyl-aminomethyl-triethoxysilane), 디에틸아미노메틸메틸디에톡시실란(diethyl-aminomethyl-methyl-diethoxysilane), 및 디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di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실란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3-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2-(3,4-epoxycyclohexyl)ethyl-trimethoxysilane), 및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2-(3,4-epoxycyclohexyl)ethyl-triethoxysilan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머캅토실란은 싸이올기를 갖는,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MPTMS(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3-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mercaptopropyl)-triethoxysilane), 및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MPDMS) ((3-mercaptopropyl)-methyl-dimethoxysilan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트랜스듀서의 표면에 상기 수화젤을 도포하여,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한다(903).
일측에 따른 수화젤 기능층이 트랜스듀서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기 위해서, 트랜스듀서 표면은 양 전하(Positive charge (+))이고, 수화젤 기능층은 음 전하 (Negative charge (-))로 미리 활성화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나노입자 형태로 수화젤 기능층이 형성할 때, 수용성 프리-라디칼 침전 중합(aqueous free-radical precipitation polymerization)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은 리간드, 리셉터, 디옥시리보핵산(DNA), 또는 리보핵산(RNA) 중 적어도 하나인 결합 매개 기재가 형성되어 개질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른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은 리간드, 리셉터, 디옥시리보핵산(DNA), 또는 리보핵산(RNA) 중 적어도 하나인 결합 매개 기재를 형성시키기 위해 나노입자 또는 단백질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기로 사용하여 개질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결합 매개 기재는,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교차결합, Schiff base 교차결합, Azlactone 교차결합, Carbonyl diimidazole (CDI) 교차결합, Iodoacetyl 교차결합, Hydrazide 교차결합, Mannich 교차결합, 또는 말레이미드(maleimide) 교차결합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수화젤 기능층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수화젤 기능층 표면에 존재하는 카르복실산 관능기(COOH)와 단백질에 존재하는 NH2 + 기를 이용하여, 수화젤 기능층 표면에 결합 매개 기재를 형성시킬 수 있다.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교차결합을 위하여,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DCC (dicyclohexyl carbodiimide), NaCNBH3 (sodium cyanoborohydride), Azlactone, CDI (Carbonyl diimidazole), Iodoacetyl, Hydrazide, DADPA (diaminodipropylamine), 및 NHS 에스테르 (N-hydroxysuccinimide ester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를 조절하여 결합 매개 기재와 수화젤 기능층 사이의 결합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DCC (dicyclohexyl carbodiimide), NaCNBH3 (sodium cyanoborohydride), Azlactone, CDI (Carbonyl diimidazole), Iodoacetyl, Hydrazide, DADPA (diaminodipropylamine), 및 NHS 에스테르 (N-hydroxysuccinimide ester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를 사용하여, 상기 수화젤 기능층 표면에 결합 매개 기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개질될 수 있다. 이 경우, 가교제를 조절하여 결합 매개 기재와 수화젤 기능층 사이의 결합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2) 벌크젤 형태의 수화젤을 이용하는 바이오 칩 제조 방법:
일측에 따른 바이오 칩은 벌크젤 형태로 수화젤 기능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벌크젤 형태의 수화젤을 이용하는 바이오 칩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이 경우, 트랜스듀서 표면에 반응물(액상)을 채운 후에,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른 벌크젤 형태의 수화젤을 이용하는 바이오 칩 제조 방법은, 벌크젤 형태의 수화젤 수용액을 이용하되, 트랜스듀서 표면을 양 전하, 음 전하, 에폭시(epoxy), 또는 머캅토(mecapto) 중 적어도 하나로 활성화시키는 단계(1001); 상기 트랜스듀서 표면에 상기 수화젤 수용액을 도포하는 단계(1002); 및 상기 수화젤 수용액에 개시제를 추가하여, 벌크젤 형태의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하는 단계(1003)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수용액은, 메인단량체 55 내지 98%, 공단량체 2 내지 40%, 및 가교제 0.1 내지 5%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인단량체는,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공단량체는, 알릴아민(AA),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DMAEMA),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DMAEA), 아크릴산(AAc),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및 메타아크릴산 (MAA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수용액은,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알릴아민)[poly(N-isopropyl acrylamide-co-allylamine): poly(NIPAM-co-A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oly(NIPAM-co-DMAEM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acrylate), poly(NIPAM-co-DMAE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acrylic acid): poly(NIPAM-co-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폴리에틸렌 글리콜-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polyethylene glycol-acrylic acid): poly(NIPAM-co-PEG-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메타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methacrylic acid): poly(NIPAM-co-MAAc)],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듀서 표면을 양 전하, 음 전하, 에폭시(epoxy), 또는 머캅토(mecapto) 중 적어도 하나로 활성화시킨다(1001). 단계(1001)은 위에서 설명한 단계(90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화젤 수용액을 상기 트랜스듀서의 표면에 도포한다(1002). 상기 트랜스듀서 표면에 수화젤 수용액을 도포할 때, 수위를 조절하여 수화젤 기능층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화젤 수용액에 개시제를 추가하여, 벌크젤 형태의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한다(1003). 개시제를 추가하는 방식은 도 7의 단계(100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에 결합 매개 기재를 형성시켜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에 결합 매개 기재를 형성시키기 위해, 또 다른 나노입자나 단백질을 연결기로 사용하여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매개 기재는 리간드, 리셉터, 디옥시리보핵산(DNA), 또는 리보핵산(RNA)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리간드, 리셉터, 디옥시리보핵산(DNA), 또는 리보핵산(RNA) 중 둘 이상이 혼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의 개질은 이미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이오 칩의 실험예 >
출원인은 SPR 센서용 바이오 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골드 박막 표면을 PEG/COOH로 개질한 바이오 칩” 및 특수한 기술로 제작된 “골드 박막 표면에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한 바이오 칩”을 사용하였다. 이 두 가지 종류의 바이오 칩을 각각 분석 장비인 Reichert® 사의 SPR 센서에 장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골드 박막 표면에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한 바이오 칩은 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골드 박막 표면에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한 바이오 칩”은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하기 위해 크리스타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Cystamine dihydrochloride)를 이용하여 표면을 개질하였다.
“골드 박막 표면을 PEG/COOH로 개질한 바이오 칩” 및 “골드 박막 표면에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한 바이오 칩” 위에 결합 매개 기재를 형성하였다. 이 때, 추후에 있을 단백질 투입 후 결합 상태 측정 시 단일 결합만 발생되거나, 다중 결합만 발생되도록 구분하여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타겟 단백질을 두 가지 종류의 칩에 투여 시, 바이오 칩 종류 및 타겟 단백질의 결합 상태를 동시에 고려하면 다음의 네 가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1) “골드 박막 표면을 PEG/COOH로 개질한 바이오 칩”에 대한 단백질 단일 결합
2) “골드 박막 표면에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한 바이오 칩”에 대한 단백질 단일 결합
3) “골드 박막 표면을 PEG/COOH로 개질한 바이오 칩”에 대한 단백질 다중 결합
4) “골드 박막 표면에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한 바이오 칩”에 대한 단백질 다중 결합
동일한 농도의 타겟 단백질을 위에서 설명한 두 종류의 바이오 칩에 각각 투여하였다. 바이오 칩 상에서 타겟 단백질과 결합 매개 기재 간의 결합 반잉이 시작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SPR 센서를 통하여 결과 값을 측정하였다.
도 11에는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칩의 성능 실험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a)의 왼쪽은 1)의 경우에 대한 SPR 센서의 반응 크기(317)를 도시한다. 도 11의 (a)의 오른쪽은 2)의 경우에 대한 SPR 센서의 반응 크기(226)를 도시한다.
도 11의 (b)의 왼쪽은 3)의 경우에 대한 SPR 센서의 반응 크기(287)를 도시한다. 도 11의 (b)의 오른쪽은 4)의 경우에 대한 SPR 센서의 반응 크기(504)를 도시한다.
도 11의 (a) 및 (b)의 왼쪽 그래프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골드 박막 표면을 PEG/COOH로 개질한 바이오 칩”을 사용한 경우에는 단일 결합 대 다중 결합을 구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SPR 센서의 반응 크기가 관측되지 않는다. 오히려, 단일 결합 발생 시의 SPR 반응 크기가 더 커서, 다중 결합을 검출하고자 할 때 노이즈로 작용할 수 있다.
도 11의 (a) 및 (b)의 오른쪽 그래프를 참조하면, “골드 박막 표면에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한 바이오 칩”을 사용한 경우에는 단일 결합 대 다중 결합을 구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SPR 센서 반응 크기가 관측된다. 즉, 수화젤 기능층에 결합 매개 기재르 형성한 영역에서는 단일 결합 대비 다중 결합의 SPR 반응 크기가 더 큰 것으로 관측되었다. 위 실험예에서, 수화젤 기능층/리셉터를 형성한 영역의 다중 결합 시 SPR 반응 크기에서 PEG/COOH 층에서 관측된 SPR 반응 크기를 빼 줌으로써, 다중 결합으로 인한 SPR 반응 크기를 얻을 수 있다. 이 결과를 통하여 다중 결합과 단일 결합 중 어떤 결합 상태를 나타낼 지 알 수 없는 임의의 단백질이 타겟 단백질로 인가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다중 결합의 양을 감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바이오 칩
110: 수화젤 기능층
120: 트랜스듀서

Claims (30)

  1. 결합 매개 기재가 형성되고, 투여된 타겟 단백질과 상기 결합 매개 기재의 다중 결합으로 물리적 특성이 변화하는 수화젤(hydrogel) 기능층; 및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상기 물리적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는 변위(displacement) 신호를 분석 장비로 전달하는 트랜스듀서(transducer)
    를 포함하고,
    상기 물리적 특성은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적어도 일부의 굴절률인,
    바이오 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는 도파로(waveguide)를 포함하고,
    상기 변위 신호는 상기 도파로의 출력 신호인,
    바이오 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는 골드 박막(gold thin film)을 포함하고,
    상기 변위 신호는 상기 골드 박막에서 일어난 표면 플라즈몬 공진(Surface Plasmon Resonance: SPR)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인,
    바이오 칩.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메인단량체 및 공단량체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이오 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량체는,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공단량체는, 알릴아민(AA),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DMAEMA),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DMAEA), 아크릴산 (AAc),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및 메타아크릴산 (MAA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바이오 칩.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가교제를 더 포함하는,
    바이오 칩.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알릴아민)[poly(N-isopropyl acrylamide-co-allylamine): poly(NIPAM-co-A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oly(NIPAM-co-DMAEM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acrylate), poly(NIPAM-co-DMAE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acrylic acid): poly(NIPAM-co-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폴리에틸렌 글리콜-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polyethylene glycol-acrylic acid): poly(NIPAM-co-PEG-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메타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methacrylic acid): poly(NIPAM-co-MAAc)],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오 칩.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매개 기재는 리간드, 리셉터, 디옥시리보핵산(DNA), 또는 리보핵산(RNA)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은 상기 결합 매개 기재가 형성되어 개질된,
    바이오 칩.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매개 기재는 리간드, 리셉터, 디옥시리보핵산(DNA), 또는 리보핵산(RNA)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은 상기 결합 매개 기재를 형성시키기 위해 나노입자 또는 단백질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기로 사용하여 개질된,
    바이오 칩.
  13.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 또는 상기 리셉터는,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교차결합, Schiff base 교차결합, Azlactone 교차결합, Carbonyl diimidazole (CDI) 교차결합, Iodoacetyl 교차결합, Hydrazide 교차결합, Mannich 교차결합, 또는 말레이미드(maleimide) 교차결합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수화젤 기능층에 결합되는,
    바이오 칩.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상기 타겟 단백질과의 반응을 위한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바이오 칩.
  15. 제1항의 바이오 칩에 포함된 상기 수화젤 기능층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인단량체 55 내지 98 중량%, 공단량체 2 내지 40 중량%, 및 가교제 0 내지 5 중량%를 포함하여 단량체의 합이 100%가 되도록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개시제를 추가하여 반응을 개시(initiate)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에 따라 생성된 수화젤 수용액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이오 칩의 수화젤 기능층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젤 수용액을 얻는 단계는,
    상기 수용액을 가열하면서 무산소(oxygen-free) 환경을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이오 칩의 수화젤 기능층 제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량체는,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공단량체는, 알릴아민(AA),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DMAEMA),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DMAEA), 아크릴산 (AAc),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및 메타아크릴산 (MAA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바이오 칩의 수화젤 기능층 제조 방법.
  18. 제1항의 바이오 칩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나노 파티클 형태의 수화젤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스듀서의 표면을 양 전하, 음 전하, 에폭시(epoxy) 또는 머캅토(mecapto) 중 적어도 하나로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듀서의 표면에 상기 수화젤을 도포하여, 상기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이오 칩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젤을 합성하는 단계는,
    메인단량체 55 내지 98 중량%, 공단량체 2 내지 40 중량%, 및 가교제 0 내지 5 중량%를 포함하여 단량체의 합이 100%가 되도록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개시제를 추가하여 반응을 개시(initiate)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에 따라 생성된 수화젤 수용액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이오 칩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량체는,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공단량체는, 알릴아민(AA),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DMAEMA),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DMAEA), 아크릴산 (AAc),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및 메타아크릴산 (MAA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바이오 칩 제조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알릴아민)[poly(N-isopropyl acrylamide-co-allylamine): poly(NIPAM-co-A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oly(NIPAM-co-DMAEM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acrylate), poly(NIPAM-co-DMAE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acrylic acid): poly(NIPAM-co-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폴리에틸렌 글리콜-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polyethylene glycol-acrylic acid): poly(NIPAM-co-PEG-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메타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methacrylic acid): poly(NIPAM-co-MAAc)],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오 칩 제조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의 표면을 양 전하, 음 전하, 에폭시(epoxy) 또는 머캅토(mecapto) 중 적어도 하나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아미노실란(aminosilane), 카르복시실란(carboxyisilane), 에폭시실란(epoxysilane) 및 머캅토실란(mercaptosilane)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바이오 칩 제조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에 리간드(ligand), 리셉터(receptor), 디옥시리보핵산(DNA), 또는 리보핵산(RNA)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시켜 상기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바이오 칩 제조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에 리간드, 리셉터, 디옥시리보핵산(DNA), 또는 리보핵산(RNA)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시키기 위해 나노입자 또는 단백질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기로 사용하여 상기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바이오 칩 제조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는,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DCC (dicyclohexyl carbodiimide), NaCNBH3 (sodium cyanoborohydride), Azlactone, CDI (Carbonyl diimidazole), Iodoacetyl, Hydrazide, DADPA (diaminodipropylamine), 및 NHS 에스테르 (N-hydroxysuccinimide ester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를 사용하여, 상기 수화젤 기능층 표면에 상기 리간드, 상기 리셉터, 상기 디옥시리보핵산, 또는 상기 리보핵산 중 적어도 하나를 링크시키는,
    바이오 칩 제조방법.
  26. 제1항의 바이오 칩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의 표면을 양 전하, 음 전하, 에폭시(epoxy) 또는 머캅토(mecapto) 중 적어도 하나로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트랜스듀서의 표면에 수화젤 수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수화젤 수용액에 개시제를 첨가하여, 벌크젤 형태의 상기 수화젤 기능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이오 칩 제조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젤 수용액은,
    메인단량체 55 내지 98 중량%, 공단량체 2 내지 40 중량%, 및 가교제 0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바이오 칩 제조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젤 기능층은,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알릴아민)[poly(N-isopropyl acrylamide-co-allylamine): poly(NIPAM-co-A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oly(NIPAM-co-DMAEM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poly(N-isopropyl acrylamide-co-2-(dimethylamino)ethyl acrylate), poly(NIPAM-co-DMAEA)],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acrylic acid): poly(NIPAM-co-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폴리에틸렌 글리콜-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polyethylene glycol-acrylic acid): poly(NIPAM-co-PEG-AAc)],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co-메타아크릴산)[poly(N-isopropyl acrylamide-co-methacrylic acid): poly(NIPAM-co-MAAc)],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poly(N-acryloylglycinamid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caprolactame), 및 polyvinyl 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오 칩 제조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에 리간드(ligand), 리셉터(receptor), 디옥시리보핵산(DNA), 또는 리보핵산(RNA)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시켜 상기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바이오 칩 제조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젤 기능층의 표면에 리간드, 리셉터, 디옥시리보핵산(DNA), 또는 리보핵산(RNA)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시키기 위해 나노입자 또는 단백질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기로 사용하여 상기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바이오 칩 제조방법.
KR1020160149507A 2015-12-29 2016-11-10 바이오 칩 및 바이오 칩의 제조 방법 KR101754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77164.1A CN108463725A (zh) 2015-12-29 2016-12-23 生物芯片及生物芯片制造方法
GB1811528.7A GB2560293B (en) 2015-12-29 2016-12-23 Biochi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iochip
DE112016006111.0T DE112016006111B4 (de) 2015-12-29 2016-12-23 Biochip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diesem
PCT/KR2016/015172 WO2017116078A1 (ko) 2015-12-29 2016-12-23 바이오 칩 및 바이오 칩의 제조 방법
CH00810/18A CH713472B1 (de) 2015-12-29 2016-12-23 Biochip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diesem.
US15/568,634 US10359422B2 (en) 2015-12-29 2016-12-23 Biochi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iochip
US16/434,985 US20190302106A1 (en) 2015-12-29 2019-06-07 Biochi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ioc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88729 2015-12-29
KR1020150188729 2015-12-29
KR20160038665 2016-03-30
KR1020160038665 2016-03-30
KR1020160081008 2016-06-28
KR20160081008 2016-06-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355A Division KR20170081152A (ko) 2015-12-29 2017-06-29 바이오 칩 및 바이오 칩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774B1 true KR101754774B1 (ko) 2017-07-06

Family

ID=593541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507A KR101754774B1 (ko) 2015-12-29 2016-11-10 바이오 칩 및 바이오 칩의 제조 방법
KR1020170082355A KR20170081152A (ko) 2015-12-29 2017-06-29 바이오 칩 및 바이오 칩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355A KR20170081152A (ko) 2015-12-29 2017-06-29 바이오 칩 및 바이오 칩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359422B2 (ko)
KR (2) KR101754774B1 (ko)
CN (1) CN108463725A (ko)
CH (1) CH713472B1 (ko)
DE (1) DE112016006111B4 (ko)
GB (1) GB2560293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346A1 (ko) * 2017-09-29 2019-04-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플라즈모닉 흡수체 및 이를 이용한 태양-수증기 생성 장치
WO2021187813A1 (ko) 2020-03-16 2021-09-23 주식회사 스칼라팍스트롯 변형가능한 하이드로젤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116194A (ko) 2020-03-16 2021-09-27 주식회사 스칼라팍스트롯 변형가능한 하이드로젤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2173092A1 (ko) * 2021-02-10 2022-08-18 주식회사 스칼라팍스트롯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il-2 및 가용성 il-2 수용체 알파의 검출방법 및 암 진단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4268B (zh) * 2020-04-01 2021-03-30 北京大学 多功能特异性生物粘合水凝胶、制备方法及其应用
CN112725417B (zh) * 2020-12-14 2021-10-01 苏州拉索生物芯片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微珠入孔率的芯片电镀装置及其电镀方法
CN113150322B (zh) * 2021-04-12 2022-11-18 大连理工大学 一种具有磁控效应的半侵入式脑机接口柔性电极材料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3760C (zh) * 2006-04-05 2008-06-11 中国药科大学 pH及温度双重敏感性纳米水凝胶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2032A (en) * 1986-04-17 1990-03-27 Genetec Systems Corporation Methods for selectively reacting ligands immobilized within a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gel
US6174683B1 (en) 1999-04-26 2001-01-16 Biocept, Inc. Method of making biochips and the biochips resulting therefrom
AU2001278840A1 (en) 2000-04-22 2001-11-07 M-Biotech, Inc. Hydrogel biosensor and biosensor-based health alarm system
US7473551B2 (en) 2004-05-21 2009-01-06 Atonomics A/S Nano-mechanic microsensors and methods for detecting target analytes
WO2006127865A2 (en) 2005-05-24 2006-11-30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Bioresponsive hydrogels
WO2008044186A2 (en) * 2006-10-12 2008-04-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nvironmental state detection with hydrogel based fully integrated transducer device
EP1977687A1 (en) 2007-04-05 2008-10-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ydrogel based device for detecting an environmental state
EP2618130A1 (en) * 2012-01-17 2013-07-24 F. Hoffmann-La Roche AG Device for use in the detection of binding affinit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3760C (zh) * 2006-04-05 2008-06-11 中国药科大学 pH及温度双重敏感性纳米水凝胶及其制备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346A1 (ko) * 2017-09-29 2019-04-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플라즈모닉 흡수체 및 이를 이용한 태양-수증기 생성 장치
WO2021187813A1 (ko) 2020-03-16 2021-09-23 주식회사 스칼라팍스트롯 변형가능한 하이드로젤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116194A (ko) 2020-03-16 2021-09-27 주식회사 스칼라팍스트롯 변형가능한 하이드로젤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116326A (ko) 2020-03-16 2021-09-27 주식회사 스칼라팍스트롯 변형가능한 하이드로젤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613420B1 (ko) * 2020-03-16 2023-12-13 주식회사 스칼라팍스트롯 변형가능한 하이드로젤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2173092A1 (ko) * 2021-02-10 2022-08-18 주식회사 스칼라팍스트롯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il-2 및 가용성 il-2 수용체 알파의 검출방법 및 암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60293A (en) 2018-09-05
US20180149641A1 (en) 2018-05-31
CH713472B1 (de) 2021-04-30
CN108463725A (zh) 2018-08-28
KR20170081152A (ko) 2017-07-11
DE112016006111B4 (de) 2022-10-13
GB2560293B (en) 2020-04-01
DE112016006111T5 (de) 2018-09-06
US20190302106A1 (en) 2019-10-03
GB201811528D0 (en) 2018-08-29
US10359422B2 (en) 201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774B1 (ko) 바이오 칩 및 바이오 칩의 제조 방법
Iskierko et al.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s for separating and sens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nd microorganisms
Buenger et al. Hydrogels in sensing applications
Yan et al. Translating surface-initiated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into technology: The mechanism of Cu0-mediated si-atrp under environmental conditions
Park et al. Recent advances of point-of-care devices integrated with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s-based biosensors: from biomolecule sensing design to intraoral fluid testing
Zhang et al. Ultrathin hydrogel films for rapid optical biosensing
Uludağ et al. Piezoelectric sensors based on molecular imprinted polymers for detection of low molecular mass analytes
Malachovska et al. Fiber-optic SPR immunosensors tailored to target epithelial cells through membrane receptors
Pu et al. On-chip micropatterning of plastic (cylic olefin copolymer, COC) microfluidic channels for the fabrication of biomolecule microarrays using photografting methods
Ziai et al. Smart plasmonic hydrogels based on gold and silver nanoparticles for biosensing application
Brault et al. Directly functionalizable surface platform for protein arrays in undiluted human blood plasma
Jung et al. Enhanced optical sensitivity in thermoresponsive photonic crystal hydrogels by operating near the phase transition
Jung et al. Design and functionalization of responsive hydrogels for photonic crystal biosensors
Chen et al. Construction and research of multiple stimuli-responsive 2D photonic crystal DNA hydrogel sensing platform with double-network structure and signal self-expression
Zhao et al. Smart hydrogel grating immunosensors for highly selective and sensitive detection of human-IgG
Ramajayam et al.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based biomimetic systems for sensing environmental contaminants, biomarkers, and bioimaging applications
Makhsin et al. Optimization synthesis and biosensing performance of an acrylate-based hydrogel as an optical waveguiding sensing film
Masterson et al. Selective detection and ultrasensitive quantification of SARS-CoV-2 IgG antibodies in clinical plasma samples using epitope-modified nanoplasmonic biosensing platforms
Lee et al. Method for the rapid detection of SARS-CoV-2-neutralizing antibodies using a nanogel-based surface plasmon resonance biosensor
Riedel et al. Surface plasmon resonance: advances of label-free approaches in the analysis of biological samples
WO2016066591A1 (en) Method to determine solvent correction curves
Liu et al. Controllable molecular sieving by copoly (poly (ethylene glycol) acrylate/poly (ethylene glycol) diacrylate)-based hydrogels via capillary electrophoresis for DNA fragments
US8460923B2 (en) Affinity hydrogel and label independent detection methods thereof
Kawamura Design of nano-and micro-structured molecule-responsive hydrogels
JP2006322717A (ja) センサチ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