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731B1 -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731B1
KR101754731B1 KR1020150095343A KR20150095343A KR101754731B1 KR 101754731 B1 KR101754731 B1 KR 101754731B1 KR 1020150095343 A KR1020150095343 A KR 1020150095343A KR 20150095343 A KR20150095343 A KR 20150095343A KR 101754731 B1 KR101754731 B1 KR 101754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user
bag
edg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666A (ko
Inventor
이창민
안상필
Original Assignee
이창민
안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민, 안상필 filed Critical 이창민
Priority to KR1020150095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7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41D3/04Rain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4Garment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4/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which may be converted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and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4/02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4/12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coats or c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의 일면이 되는 제1 면과, 상기 가방의 타면이 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각각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수납되고 펼쳐지는 우의 본체를 포함하는 우의부; 및 상기 우의 본체의 앞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각각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상호 펼쳐져 상기 우의 본체 앞면의 수납부가 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에 수납되는 물품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하중 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황에 따라 가방 및 우의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우의로 변환하여 착용할 경우에는 수납된 물품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사용자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한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LOAD DISPERSING ASSEMBLY FOR RAINCOAT CAN BE CONVERTED INTO BAG}
본 발명은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황에 따라 가방 및 우의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우의로 변환하여 착용할 경우에는 수납된 물품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사용자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한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우의는 우천시 사용자의 의복과 신체가 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산 재킷 또는 판초 등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우의는 우산과 달리 두 손의 활동이 제약받지 않고 자유로우므로, 야외 활동에 폭넓게 사용된다.
그러나, 우의를 착용한 사용자가 실내로 출입할 경우, 우의를 벗어서 신속하게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부재를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우의는 소지품 등 물품의 수납이 불편한 문제가 있ㅇ었다.
즉, 수납 가능한 영역은 우의에 감싸져 있기 때문에 소지품 등을 수납해야 할 경우, 우의를 일부 개방하거나, 또는 우의를 벗은 상태에서 물품을 수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빗물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고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375837호의 "가방 겸용 우의"(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가방부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우천시 가방부를 개방하면 가방부의 겉면에 연결된 우의가 펼쳐져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선행기술은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다양한 물품을 수납하고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러한 수납공간에 다양한 종류와 무게를 가진 물품들이 수납된 상태에서 우의를 착용한 사용자의 목에 직접적으로 수납된 물품들의 하중이 전달되어 사용자가 피로감과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3758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상황에 따라 가방 및 우의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우의로 변환하여 착용할 경우에는 수납된 물품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사용자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하는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방의 일면이 되는 제1 면과, 상기 가방의 타면이 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각각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수납되고 펼쳐지는 우의 본체를 포함하는 우의부; 및 상기 우의 본체의 앞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각각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상호 펼쳐져 상기 우의 본체 앞면의 수납부가 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에 수납되는 물품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하중 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중 분산부는, 상기 우의 본체의 앞면 좌측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면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제1 스트랩과, 상기 우의 본체의 앞면 우측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면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제2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상호 펼쳐져 상기 우의 본체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제1 스트랩과 상기 우의 본체의 좌측 앞면 사이를 관통한 상기 사용자의 좌측 팔을 거쳐 상기 사용자의 좌측 어깨와 등의 좌측 상부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상호 펼쳐져 상기 우의 본체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제2 스트랩과 상기 우의 본체의 우측 앞면 사이를 관통한 상기 사용자의 우측 팔을 거쳐 상기 사용자의 우측 어깨와 등의 우측 상부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상호 펼쳐져 상기 우의 본체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트랩의 상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좌측 어깨 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면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는 상기 제2 면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와 고정되고, 상기 제1 면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로부터 연결되는 상기 제1 면의 모서리와 상기 제2 면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로부터 연결되는 상기 제2 면의 모서리는 상호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상호 펼쳐져 상기 우의 본체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트랩의 상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우측 어깨 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면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는 상기 제1 면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와 고정되고, 상기 제2 면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로부터 연결되는 상기 제2 면의 모서리와 상기 제1 면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로부터 연결되는 상기 제1 면의 모서리는 상호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의 길이는, 상기 사용자의 팔이 관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어깨와, 등의 좌측 및 우측 상부를 거쳐 상기 제1 면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와 상기 제2 면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까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것을 허용하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가방 및 우의 본체로 상호 변환 가능한 우의부에 하중 분산부를 구비함으로써, 우의로 변환하여 착용할 경우에 수납된 물품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사용자의 부담과 피로를 덜어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의 가방 및 우의 본체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가방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b)는 가방인 상태에서 제1 면과 제2 면을 펼쳐 우의 본체를 꺼내는 도중의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하중 분산부가 우의 본체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하중 분산부를 우의부에 적용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3은 하중 분산부를 적용하는 도중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하중 분산부가 우의 본체에 전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의 가방 및 우의 본체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가방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b)는 가방인 상태에서 제1 면(11)과 제2 면(12)을 펼쳐 우의 본체(13)를 꺼내는 도중의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하중 분산부(20)가 우의 본체(13)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하중 분산부(20)를 우의부(10)에 적용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3은 하중 분산부(20)를 적용하는 도중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하중 분산부(20)가 우의 본체(13)에 전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우의부(10)와 하중 분산부(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의부(10)는 가방의 일면이 되는 제1 면(11)과, 가방의 타면이 되는 제2 면(12)과, 제1 면(11)과 제2 면(12) 각각의 내면에 구비되어 제1 면(11)과 제2 면(12) 사이에 수납되고 펼쳐지는 우의 본체(13)를 포함하는 것이다.
하중 분산부(20)는 우의 본체(13)의 앞면 양측에 구비되어 제1 면(11)과 제2 면(12) 각각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며, 제1 면과 제2 면(12)이 상호 펼쳐져 우의 본체(13) 앞면의 수납부가 된 제1 면(11)과 제2 면(12)에 수납되는 물품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방 및 우의 본체(13)로 상호 변환 가능한 우의부(10)에 하중 분산부(20)를 구비함으로써, 우의로 변환하여 착용할 경우에 수납된 물품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사용자의 부담과 피로를 덜어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하중 분산부(20)는, 우의 본체(13)의 앞면 좌측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제1 면(11)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제1 스트랩(21)과, 우의 본체(13)의 앞면 우측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제2 면(12)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제2 스트랩(22)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 '좌측'은 사용자의 신체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도면의 우측을 가리키며, 도면에서 '우측'은 도면의 좌측을 가리킨다.
여기서, 제1 스트랩(21) 및 제2 스트랩(22)의 길이는 사용자의 팔이 관통하여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어깨와, 등의 좌측 및 우측 상부를 거쳐 제1 면(11)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와 제2 면(12)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까지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것을 허용하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스트랩(21) 및 제2 스트랩(22)의 바람직한 길이는 사용자의 양팔을 제1 스트랩(21)과 우의 본체(13)의 앞면 사이, 그리고 제2 스트랩(22)과 우의 본체(13)의 앞면 사이로 각각 집어넣어 제1 스트랩(21)과 제2 스트랩(22)이 각각 사용자의 양어깨와 등의 좌우 상부 양측에 걸쳐져 밀착된 도 4와 같은 상태의 구현에 최적의 길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제1 면(11)과 제2 면(12)이 상호 펼쳐져 우의 본체(13)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제1 스트랩(21)은, 제1 스트랩(21)과 우의 본체(13)의 좌측 앞면 사이를 관통한 사용자의 좌측 팔을 거쳐 사용자의 좌측 어깨와 등의 좌측 상부에 걸쳐지게 된다.
이때, 제1 면(11)과 제2 면(12)이 상호 펼쳐져 우의 본체(13)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제2 스트랩(22)은, 도 3과 같이 제2 스트랩(22)과 우의 본체(13)의 우측 앞면 사이를 관통한 사용자의 우측 팔을 거쳐 도 4와 같이 사용자의 우측 어깨와 등의 우측 상부에 걸쳐지게 된다.
한편, 제1 면(11)과 제2 면(12)이 상호 펼쳐져 우의 본체(13)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제1 스트랩(21)의 상단부는, 사용자의 좌측 어깨 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면(11)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는 제2 면(12)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와 고정되고, 제1 면(11)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로부터 연결되는 제1 면(11)의 모서리와 제2 면(12)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로부터 연결되는 제2 면(12)의 모서리는 상호 분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트랩(21)의 상단부가 좌측 어깨 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제1 스트랩(21)이 도 4와 같이 사용자의 좌측 어깨와 등의 좌측 상부에 걸쳐지게 됨으로써, 제1 면(11)은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 당겨져 올려지며 하중이 일정 정도 분산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면(11)과 제2 면(12)이 상호 펼쳐져 우의 본체(13)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제2 스트랩(22)의 상단부는, 사용자의 우측 어깨 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면(12)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는 제1 면(11)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와 고정되고, 제2 면(12)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로부터 연결되는 제2 면(12)의 모서리와 제1 면(11)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로부터 연결되는 제1 면(11)의 모서리는 상호 분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트랩(22)의 상단부가 우측 어깨 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제2 스트랩(22)이 도 4와 같이 사용자의 우측 어깨와 등의 우측 상부에 걸쳐지게 됨으로써, 제2 면(12)은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 당겨져 올려지며 하중이 일정 정도 분산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가방 및 우의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우의로 변환하여 착용할 경우에는 수납된 물품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사용자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하는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우의부
11...제1 면
12...제2 면
13...우의 본체
15...메인 스트랩
20...하중 분산부
21...제1 스트랩
22...제2 스트랩

Claims (7)

  1. 가방의 일면이 되는 제1 면과, 상기 가방의 타면이 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각각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수납되고 펼쳐지는 우의 본체를 포함하는 우의부; 및
    상기 우의 본체의 앞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각각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상호 펼쳐져 상기 우의 본체 앞면의 수납부가 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에 수납되는 물품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하중 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중 분산부는,
    상기 우의 본체의 앞면 좌측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면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제1 스트랩과,
    상기 우의 본체의 앞면 우측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면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제2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상호 펼쳐져 상기 우의 본체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제1 스트랩과 상기 우의 본체의 좌측 앞면 사이를 관통한 상기 사용자의 좌측 팔을 거쳐 상기 사용자의 좌측 어깨와 등의 좌측 상부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상호 펼쳐져 상기 우의 본체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제2 스트랩과 상기 우의 본체의 우측 앞면 사이를 관통한 상기 사용자의 우측 팔을 거쳐 상기 사용자의 우측 어깨와 등의 우측 상부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상호 펼쳐져 상기 우의 본체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트랩의 상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좌측 어깨 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면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는 상기 제2 면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와 고정되고, 상기 제1 면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로부터 연결되는 상기 제1 면의 모서리와 상기 제2 면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로부터 연결되는 상기 제2 면의 모서리는 상호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상호 펼쳐져 상기 우의 본체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트랩의 상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우측 어깨 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면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는 상기 제1 면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와 고정되고, 상기 제2 면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로부터 연결되는 상기 제2 면의 모서리와 상기 제1 면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로부터 연결되는 상기 제1 면의 모서리는 상호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의 길이는,
    사용자의 팔이 관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어깨와, 등의 좌측 및 우측 상부를 거쳐 상기 제1 면의 일측 가장자리 좌측 단부와 상기 제2 면의 일측 가장자리 우측 단부까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것을 허용하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
KR1020150095343A 2015-07-03 2015-07-03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 KR101754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343A KR101754731B1 (ko) 2015-07-03 2015-07-03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343A KR101754731B1 (ko) 2015-07-03 2015-07-03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666A KR20170004666A (ko) 2017-01-11
KR101754731B1 true KR101754731B1 (ko) 2017-07-10

Family

ID=5783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343A KR101754731B1 (ko) 2015-07-03 2015-07-03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7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394A (ko)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도어용 살대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954U (ja) 1999-04-09 1999-10-15 学 酒井 レインウェア一体型バッグ
KR200275943Y1 (ko) 2002-02-01 2002-05-18 민경옥 휴대용 상의
JP2002235211A (ja) 2001-02-08 2002-08-23 Toray Ind Inc 衣 服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837B1 (ko) 2012-04-02 2014-03-17 안상필 가방 겸용 우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954U (ja) 1999-04-09 1999-10-15 学 酒井 レインウェア一体型バッグ
JP2002235211A (ja) 2001-02-08 2002-08-23 Toray Ind Inc 衣 服
KR200275943Y1 (ko) 2002-02-01 2002-05-18 민경옥 휴대용 상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394A (ko)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도어용 살대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666A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4270B2 (en) Hats with an open back and methods of making the hats
US6564390B2 (en) Absorbent headband apparatus
US6775846B1 (en) Sleeve holder
US20090083896A1 (en) Shirt Collar Size Adjusting Frame
US20110314586A1 (en) Hands free shawl and method of using
US20140115754A1 (en) Add-On Fashion Arm Sleeves
US20180092791A1 (en) Removable Joint Sleeve
KR101754731B1 (ko)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우의용 하중 분산 어셈블리
US20140345033A1 (en) Sock construction
KR20120017857A (ko) 팔토시, 다리토시 및 발토시
KR20160000517U (ko) 신체 보호용 마스크
US20090000012A1 (en) Stocking capable of the convenient holding of articles
KR200466795Y1 (ko) 브래지어
US20170020203A1 (en) Layered Undergarment
DE202014102670U1 (de) Dreidimensional und nahtlos umhüllende Schutzeinrichtung
KR20090090701A (ko) 슬라이딩 어깨 보호대
CN205409733U (zh) 一种多功能防寒裤
KR101468618B1 (ko) 모자겸용 우산보강용구
EP3764969B1 (de) Gehstützenzubehörset
CN208403949U (zh) 一种可穿着被子
CN202525178U (zh) 一种新型腰带
US20170099886A1 (en) Hooded shoulder wrap garment
JP3126912U (ja) ポンチョ型雨具やポンチョの本体と一体型多機能ポケット
KR101481108B1 (ko) 토시
TWM498496U (zh) 具有頭帽的圍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