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661B1 - 렌즈모듈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렌즈모듈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661B1
KR101754661B1 KR1020150113005A KR20150113005A KR101754661B1 KR 101754661 B1 KR101754661 B1 KR 101754661B1 KR 1020150113005 A KR1020150113005 A KR 1020150113005A KR 20150113005 A KR20150113005 A KR 20150113005A KR 101754661 B1 KR101754661 B1 KR 101754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osed
lens module
correction block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9089A (ko
Inventor
황달연
고재민
윤상현
조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조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조영진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3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6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07Details of measur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21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determining the optical axis or position of len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42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 G01M11/0278Detecting defects of the object to be tested, e.g. scratches or du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소형화할 수 있으며 정밀하고 응답속도가 빠른 초점조절이 가능한 렌즈모듈 검사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렌즈모듈 검사장치는 패턴이 형성된 차트 유닛과, 상기 차트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렌즈모듈이 안착되는 트레이 유닛 및, 상기 트레이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렌즈모듈의 불량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유닛에 안착된 렌즈모듈을 통과해 제공되는 상기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검사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모듈 검사장치 {TEST EQUIPMENT FOR LENS MODULE}
본 발명은 렌즈모듈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에 장착되는 렌즈모듈의 불량 유무를 판단하는 렌즈모듈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발되는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에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생산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킨다. 카메라 모듈에는 렌즈모듈이 필수적으로 장착되는데, 카메라 모듈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는 렌즈모듈의 수요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렌즈모듈은 4 내지 6매의 렌즈를 경통 내부에 적층해 구성된다. 이러한 렌즈모듈은 생산되는 과정에서 내부에 이물질이 포함되거나 렌즈의 성형이 제대로 되지 않아 렌즈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가 왜곡되는 불량이 발생한다.
이러한, 렌즈모듈의 불량은 작업자가 전수 검사를 통해 선별해 왔으나, 이러한 방식은 생산단가를 높일 뿐만 아니라 불량을 완벽하게 걸러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지 센서를 이용해 렌즈모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렌즈모듈 검사장치가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렌즈모듈 검사장치는 상부에 A0(841 x 1,189㎜)크기의 검사용 패턴을 구비한 다음 렌즈모듈을 이미지 센서 위에 올려놓고 렌즈모듈을 통해 이미지 센서에 제공되는 검사용 패턴의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분석해 렌즈모듈의 불량 유무를 판단한다.
여기서, 검사용 패턴은 600dpi이상의 고해상도로 이뤄진 패턴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서 검사용 패턴은 A0(841 x 1,189㎜)사이즈 이상으로 인쇄되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검사용 패턴은 그 크기가 렌즈모듈 검사장치를 이루는 다른 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렌즈모듈 검사장치는 상술한 검사용 패턴을 수용하기 위해 렌즈모듈 검사 장치의 크기도 검사용 패턴을 따라 커져야하므로 점유 면적이 넓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검사용 패턴은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상부에 구비된 설치면에 부착되거나 고정수단 등을 이용해 고정된다.
검사용 패턴은 투명한 필름에 패턴을 인쇄하여 이뤄진다. 게다가 그 크기가 상술한 바와 같이 A0(841 × 1,189㎜)사이즈 이상이다. 이러한 검사용 패턴을 설치면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 시 중력에 의해 검사용 패턴의 중앙부가 하부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렌즈모듈은 통해 제공되는 검사용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 시 렌즈모듈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데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렌즈모듈 검사장치는 렌즈모듈을 통해 검사용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 시 검사용 패턴과 렌즈모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초점을 맞춘 다음 검사용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이때, 종래의 렌즈모듈 검사장치는 스텝모터와 웨지 방식의 승강부재를 통해 검사용 패턴과 렌즈모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해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스텝모터가 승강부재를 이동시키고 승강부재는 스텝모터에서 제공되는 동력으로 이미지 센서와 렌즈모듈을 이동시킨다. 즉, 여러 구성을 거쳐 이미지 센서와 렌즈모듈의 승강시키기 때문에 정밀한 제어가 불가하며, 응답속도 또한 늦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7658호(발명의 명칭 : 모바일 기기용 렌즈모듈 검사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소형화된 마스터 차트를 통해 소형화된 렌즈모듈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밀하고 응답속도가 빠른 초점조절이 가능한 렌즈모듈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렌즈모듈 검사장치는, 패턴이 형성된 차트 유닛과, 상기 차트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렌즈모듈이 안착되는 트레이 유닛 및, 상기 트레이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렌즈모듈의 불량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유닛에 안착된 렌즈모듈을 통과해 제공되는 상기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검사 유닛을 포함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검사 유닛은 상기 트레이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렌즈모듈을 통과해 제공되는 상기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승강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패턴과 상기 센서 사이의 거리 조절을 통해 상기 센서가 상기 패턴의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초점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점 조절부는 제2 베이스와, 상부에 상기 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제2 베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소정의 작동영역을 갖는 구동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구동샤프트를 외부로 인출 시 상기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승강 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센서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트레이 유닛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센서가 상기 구동샤프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트레이 유닛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VCM(voice coil motor)모터로 이뤄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초점 조절부는 상기 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의 수평을 조절하는 제2 경사보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경사보정수단은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경사보정블럭과, 상기 제3 경사보정블럭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4 경사보정블럭과, 상기 제3 경사보정블럭과 제4 경사보정블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4 경사보정블럭의 한쪽 변을 승강시키는 제3 경사조절부재와, 상기 제3 경사조절부재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3 경사보정블럭과 제4 경사보정블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4 경사보정블럭의 다른 쪽 변을 승강시키는 제4 경사조절부재 및, 상기 제3 경사보정블럭과 제4 경사보정블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경사조절부재와 상기 제4 경사조절부재를 통해 상기 제4 경사보정블럭의 한쪽 변 또는 다른 쪽 변을 승강시킬 수 있는 기준점을 제공하는 제2 기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트레이 유닛은 상기 검사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며 렌즈모듈이 안착되는 렌즈모듈 안착 홈이 형성된 트레이 패널과, 상기 트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트레이 패널의 전후, 좌우, 상하 방향 이송 및 기울어짐 조절을 통해 상기 렌즈모듈 안착홈이 상기 센서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보정함으로써 상기 검사 유닛이 상기 렌즈모듈을 통해 상기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보정부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 패널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보정수단과, 상기 좌우 보정수단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 패널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전후 보정수단 및, 상기 전후 보정수단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 패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상하 보정수단을 포함하는 렌즈모듈 검사장치.
더불어, 상기 위치 보정부는 상기 트레이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 패널의 수평을 조절하는 제1 경사보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보정수단은 상기 상하 보정수단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경사보정블럭과, 상기 제1 경사보정블럭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경사보정블럭과, 상기 제1 경사보정블럭과 제2 경사보정블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경사보정블럭의 한쪽 변을 승강시키는 제1 경사조절부재와, 상기 제1 경사조절부재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1 경사보정블럭과 제2 경사보정블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경사보정블럭의 다른 쪽 변을 승강시키는 제2 경사조절부재 및, 상기 제1 경사보정블럭과 제2 경사보정블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경사조절부재와 상기 제2 경사조절부재를 통해 상기 제2 경사보정블럭의 한쪽 변 또는 다른 쪽 변을 승강시킬 수 있는 기준점을 제공하는 제1 기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차트 유닛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방 홀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부를 승강시키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일면에 패턴이 형성되는 마스터 차트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스터 차트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 및,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마스터 차트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 차트는 유리로 형성되며, 상기 패턴은 상기 마스터 차트의 표면에 에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에 고해상도로 에칭된 유리로 형성되는 마스터 차트는 종래의 투명한 필름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검사용 패턴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 가능하며, 또한 설치면에 고정 시 종래의 검사용 패턴과 같이 하부로 쳐지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정의 작동영역을 갖는 구동샤프트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통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샤프트가 외부로 인출 시 상기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승강 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센서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트레이 유닛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센서가 상기 구동샤프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트레이 유닛에 충돌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구동부가 센서를 승강시키기 위해 기타 동력전달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승강 프레임을 통해 직접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정밀하고 신속하게 센서를 승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와 이송유닛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 차트 유닛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차트 유닛 중 수평조절부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차트 유닛 중 마스터 차트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트레이 유닛과 검사 유닛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트레이 유닛과 검사 유닛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트레이 유닛 중 위치 보정부의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트레이 유닛 중 위치 보정부의 작동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트레이 유닛과 검사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 중 검사 유닛의 작동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 중 마스터 차트와 트레이 패널 및 센서의 자유도를 표시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와 이송유닛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 차트 유닛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차트 유닛 중 수평조절부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차트 유닛 중 마스터 차트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트레이 유닛과 검사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트레이 유닛과 검사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트레이 유닛 중 위치 보정부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트레이 유닛 중 위치 보정부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트레이 유닛과 검사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 중 검사 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 중 마스터 차트와 트레이 패널 및 센서의 자유도를 표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렌즈모듈 검사장치(1000)는 차트 유닛(100), 트레이 유닛(200), 검사 유닛(300)을 포함한다.
먼저, 렌즈모듈 검사장치는 도1 에서와 같이 제1 이송유닛(3)을 통해 공급되는 렌즈모듈의 불량여부를 검사한다. 구체적으로 제1 이송레일(1)의 상부에 구비된 제1 적재판(2)에 배치된 렌즈모듈은 제1 이송유닛(3)에 의해 진공 흡착되어 제2 이송레일(4)을 따라 이송하며 렌즈모듈 검사장치(1000)로 제공된다. 렌즈모듈 검사장치(1000)에서 검사가 완료되면 제2 이송유닛(5)이 제2 이송레일(4)을 따라 이동해 렌즈모듈 검사장치(1000)에 제공되어 검사 완료된 렌즈모듈을 제1 이송레일(7)의 상부에 구비된 제2 적재판(6)으로 이송한다. 이때, 제2 이송유닛(5)은 렌즈모듈의 불량 여부에 따라 제2 적재판에 분류해서 적재한다.
차트 유닛(100)은, 본체부(110), 높이조절부(120), 마스터 차트(130), 수평조절부(140) 및 조명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측면을 형성하는 측판(111)과, 측판(111)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판(112) 및 측판(11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판(113)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체부(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수용공간에는 마스터 차트(130)와 조명부(150)를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의 상판(112)에는 조명부(150)가 고정되고, 마스터 차트(130)는 본체부(110)의 수용공간에 구비된 지지판(114)에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판(113)과 지지판(114)은 본체부(110)의 하부에 배치된 검사 유닛(300)이 렌즈모듈을 통해 마스터 차트(130)에 형성된 패턴(131)을 촬영할 수 있도록 개방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120)는 본체부(110)를 지지할 수 있으며, 본체부(110)를 승강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높이조절부(120)는 제1 지지부재(121)와 제2 지지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1)는 본체부(1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지지부재(121)는 본체부(110)의 양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2)는 제1 지지부재(121)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지지부재(122)는 제1 지지부재(121)와 볼트와 너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부재(121)는 제2 지지부재(122)를 기준으로 승강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지지부재(121)에는 장원형 홀(121a)이 형성되고 제2 지지부재(122)는 장원형 홀(1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홀(122b) 이 형성되며 나사와 볼트를 통해 서로 체결된다. 여기서, 제1 지지부재(121)는 장원형 홀(121a)의 길이만큼 승강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재(121)가 장원형 홀(121a)의 길이만큼 승강하면 본체부(110)도 제1 지지부재(121)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마스터 차트(130)에는 패턴(131)이 형성될 수 있다. 패턴(131)은 검사 유닛(300)이 렌즈모듈을 검사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패턴(131)은 마스터 차트(130)에 에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차트는 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패턴(131)은 고해상도 에칭 글라스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형성될 수 있다. 마스터 차트(130)의 크기는 A4(210 × 297㎜) ~ A3(297 × 420㎜)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고해상도로 에칭된 유리로 형성되는 마스터 차트(130)는, 종래의 투명한 필름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검사용 패턴(131)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 가능하며, 또한 설치면에 고정 시 종래의 검사용 패턴(131)과 같이 하부로 쳐지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수평조절부(140)는 본체부(110)에 결합되어 마스터 차트(130)의 수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평조절부(140)는 제1 수평조절부재(141), 제2 수평조절부재(142) 및 제3 수평조절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조절부재(141), 제2 수평조절부재(142) 및 제3 수평조절부재(143)는 본체부(110)의 하판(113)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예를 들면 제1 수평조절부재(141), 제2 수평조절부재(142) 및 제3 수평조절부재(143)는 하판(113)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지지판(114)을 3점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평조절부재(141), 제2 수평조절부재(142) 및 제3 수평조절부재(143)는 회전에 의해 샤프트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지지판(114)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마스터 차트(13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조명부(150)는 본체부(110)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마스터 차트(130)에 빛을 조사해 검사 유닛(300)이 음영 없이 선명한 패턴(13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조명부(150)는 상판(112)에 결합될 수 있다. 조명부(150)는 LED를 광원으로 할 수 있다.
트레이 유닛(200)은 차트 유닛(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렌즈모듈이 안착되며, 렌즈모듈이 검사 유닛(300)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렌즈모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이를 위해 트레이 패널(210) 및 위치 보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패널(210)은 위치 보정부(220)에 결합되며 검사 유닛(3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트레이 패널(210) 소정 넓이를 가지는 판형태로 이뤄진다. 트레이 패널(210)에는 렌즈모듈 안착홈(211)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렌즈모듈 안착홈(211)은 검사 유닛(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모듈 안착홈(211)에는 렌즈모듈이 이송되어 안착될 수 있다.
위치 보정부(220)는, 트레이 패널(210)을 지지하며, 트레이 패널(210)의 전후, 좌우, 상하 방향 이송 및 기울어짐 조절을 통해 렌즈모듈 안착홈(211)이 센서(310)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보정함으로써, 검사 유닛(300)이 렌즈모듈을 통해 패턴(131)의 이미지를 획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위치 보정부(220)는 제1 베이스(221), 좌우 보정수단(222), 전후 보정수단(223), 상하 보정수단(224), 제1 경사보정수단(225)을 포함할 수 있다.
좌우 보정수단(222)은 설치면에 고정된 제1 베이스(22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좌우 보정수단(222)은 트레이 패널(21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우 보정수단(222)은, 제1 위치보정블럭(222-1), 제2 위치보정블럭(222-2) 및 제1 조절부재(2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보정블럭(222-1)은 제1 베이스(221)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위치보정블럭(222-2)은 제1 위치보정블럭(222-1)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조절부재(222-3)의 일측은 제1 위치보정블럭(222-1)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2 위치보정블럭(222-2)에 결합된다. 제1 조절부재(222-3)는 회전에 의해 제1 조절부재(222-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샤프트를 통해 제1 위치보정블럭(222-1)을 기준으로 제2 위치보정블럭(222-2)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후 보정수단(223)은 좌우 보정수단(222)의 상부에 배치되며 트레이 패널(21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후 보정수단(223)은 제3 위치보정블럭(223-1), 제4 위치보정블럭(223-2) 및 제2 조절부재(2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위치보정블럭(223-1)은 제2 위치보정블럭(222-2)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4 위치보정블럭(223-2)은 제3 위치보정블럭(223-1)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조절부재(223-3)의 일측은 제3 위치보정블럭(223-1)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4 위치보정블럭(223-2)에 결합된다. 제2 조절부재(223-3)는 회전에 의해 제2 조절부재(223-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샤프트를 통해 제3 위치보정블럭(223-1)을 기준으로 제4 위치보정블럭(223-2)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하 보정수단(224)은 상기 전후 보정수단(223)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 패널(21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하 보정수단(224)은 제5 위치보정블럭(224-1), 제6 위치보정블럭(224-2) 및 제3 조절부재(22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위치보정블럭(224-1)은 제4 위치보정블럭(223-2)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6 위치보정블럭(224-2)은 제5 위치보정블럭(224-1)에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3 조절부재(224-3)는 제5 위치보정블럭(224-1)에 관통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제5 위치보정블럭(224-1)을 기준으로 제6 위치보정블럭(224-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6 위치보정블럭(224-2)에는 제3 조절부재(224-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랙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3 조절부재(224-3)는 제6 위치보정블럭(224-2)에 형성된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경사보정수단(225)은 상기 트레이 패널(2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 패널(21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경사보정수단(225)은 제1 경사보정블럭(225-1), 제2 경사보정블럭(225-2), 제1 경사조절부재(225-3), 제2 경사조절부재(225-4) 및 제1 기준부재(22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보정블럭(225-1)은 제6 위치보정블럭(224-2)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경사보정블럭(225-2)은 제1 경사보정블럭(225-1)과 트레이 패널(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경사조절부재(225-3)는 상기 제1 경사보정블럭(225-1)과 제2 경사보정블럭(225-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경사보정블럭(225-2)의 한쪽 변을 승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경사조절부재(225-3)는 제1 경사보정블럭(225-1)에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제1 경사보정블럭(225-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경사조절부재(225-3)는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바(s)에 결합되어 나사산을 따라 승강하는 다이얼(d)을 통해 제2 경사보정블럭(225-2)을 승강할 수 있다.
제2 경사조절부재(225-4)는 상기 제1 경사조절부재(225-3)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1 경사보정블럭(225-1)과 제2 경사보정블럭(225-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경사보정블럭(225-2)의 다른 쪽 변을 승강시킬 수 있다. 제2 경사조절부재(225-4)는 제1 경사조절부재(225-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기준부재(225-5)는 제1 경사보정블럭(225-1)과 제2 경사보정블럭(225-2) 사이에 배치되며 제1 경사조절부재(225-3)와 제2 경사조절부재(225-4)를 통해 제2 경사보정블럭(225-2)의 한쪽 변 또는 다른 쪽 변을 승강시킬 수 있는 기준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기준부재(225-5)는 원형의 구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준부재(225-5)는 제1 경사조절부재(225-3) 및 제2 경사조절부재(225-4)와 함께 제2 경사보정블럭(225-2)에 3점지지 할 수 있다.
검사 유닛(300)은 상기 트레이 유닛(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렌즈모듈의 불량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유닛(200)에 안착된 렌즈모듈을 통과해 제공되는 상기 패턴(131)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검사 유닛(300)은 센서(310)와 초점 조절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310)는 상기 트레이 유닛(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렌즈모듈을 통과해 제공되는 상기 패턴(131)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310)는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310)는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초점 조절부(320)는, 상기 센서(310)를 승강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패턴(131)과 상기 센서(310) 사이의 거리를 조절을 통해 상기 센서(310)가 상기 패턴(131)의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초점 조절부(320)는, 제2 베이스(321), 승강 프레임(322), 구동부(323) 및 제2 경사보정수단(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321)는 설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베이스(321) 설치면에 수직으로 돌출된 수직판(322-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판(322-1)에는 가이드 블록(322-2)이 설치된다.
승강 프레임(322)은 상부에 상기 센서(310)가 배치되며, 상기 제2 베이스(32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승강 프레임(322)은 상기 가이드 블록(322-2)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323)는 제2 베이스(321)에 결합되어 승강 프레임(322)을 승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323)의 일측은 가이드 블록(322-2)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타측은 승강 프레임(322)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323)는 소정의 작동영역을 갖는 구동샤프트(323-1)를 포함하며, 구동부(323)의 구동에 의해 구동샤프트(323-1)가 외부로 인출 시 상기 승강 프레임(322) 및 상기 승강 프레임(322)에 결합된 상기 센서(310)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트레이 유닛(200)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센서(310)가 상기 구동샤프트(323-1)의 이동에 의해 상기 트레이 유닛(20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323)는 VCM(voice coil motor)모터로 이뤄질 수 있다.
제2 경사보정수단(324)은 센서(3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31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경사보정수단(324)은 센서(310)와 승강 프레임(3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경사보정수단(324)은 승강 프레임(322)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경사보정블럭(324-1)과, 제3 경사보정블럭(324-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4 경사보정블럭(324-2)과, 제3 경사보정블럭(324-1)과 제4 경사보정블럭(324-2) 사이에 배치되며 제4 경사보정블럭(324-2)의 한쪽 변을 승강시키는 제3 경사조절부재(324-3)와, 제3 경사조절부재(324-3)와 대향되도록 제3 경사보정블럭(324-1)과 제4 경사보정블럭(324-2)사이에 배치되며 제4 경사보정블럭(324-2)의 다른 쪽 변을 승강시키는 제4 경사조절부재(324-4) 및, 제3 경사보정블럭(324-1)과 제4 경사보정블럭(324-2) 사이에 배치되며 제3 경사조절부재(324-3)와 제4 경사조절부재(324-4)를 통해 제4 경사보정블럭(324-2)의 한쪽 변 또는 다른 쪽 변을 승 시킬 수 있는 기준점을 제공하는 제2 기준부재(32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경사보정수단(324)은 트레이 유닛(200)의 제1 경사보정수단(225)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마스터 차트(130)와 트레이 패널(210) 및 센서(310)는 도 1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유도를 갖는다. 예를 들면, 마스터 차트(130)는 3자유도를 갖고, 트레이 패널(210)은 5자유도를 가지며, 센서(310)는 3자유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마스트 차트(130)는 수평 조절부(140)를 통해 3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트레이 패널(210)은 위치 보정부(220)를 통해 5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센서(310)는 초점 조절부(320)를 통해 3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렌즈모듈 검사장치 (100) : 차트 유닛
(110) : 본체부 (120) : 높이조절부
(130) : 마스터 차트 (140) : 수평조절부
(150) : 조명부 (200) : 트레이 유닛
(210) : 트레이 패널 (220) : 위치 보정부
(221) : 제1 베이스 (222) : 좌우 보정수단
(223) : 전후 보정수단 (224) : 상하 보정수단
(225) : 제1 경사보정수단 (300) : 검사유닛
(310) : 센서 (320) : 초점 조절부
(321) : 제2 베이스 (322) : 승강 프레임
(323) : 구동부 (324) : 제2 경사보정수단

Claims (10)

  1. 패턴이 형성된 차트 유닛;
    상기 차트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렌즈모듈이 안착되는 트레이 유닛 및;
    상기 트레이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렌즈모듈의 불량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유닛에 안착된 렌즈모듈을 통과해 제공되는 상기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검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차트 유닛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방홀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부를 승강시키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일면에 패턴이 형성되는 마스터 차트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스터 차트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와;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마스터 차트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렌즈모듈 검사장치.
  2. 패턴이 형성된 차트 유닛;
    상기 차트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렌즈모듈이 안착되는 트레이 유닛 및;
    상기 트레이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렌즈모듈의 불량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유닛에 안착된 렌즈모듈을 통과해 제공되는 상기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검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 유닛은,
    상기 검사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며 렌즈모듈이 안착되는 렌즈모듈 안착홈이 형성된 트레이 패널 및;
    상기 트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트레이 패널의 전후, 좌우, 상하 방향 이송 및 기울어짐 조절을 통해 상기 렌즈모듈 안착홈이 상기 센서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보정함으로써 상기 검사 유닛이 상기 렌즈모듈을 통해 상기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 유닛은,
    상기 트레이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렌즈모듈을 통과해 제공되는 상기 패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승강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패턴과 상기 센서 사이의 거리를 조절을 통해 상기 센서가 상기 패턴의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초점 조절부를 포함하는 렌즈모듈 검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절부는,
    제2 베이스;
    상부에 상기 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제2 베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제2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소정의 작동영역을 갖는 구동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샤프트가 외부로 인출 시 상기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승강 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센서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트레이 유닛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센서가 상기 구동샤프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트레이 유닛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모듈 검사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절부는,
    상기 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의 수평을 조절하는 제2 경사보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경사보정수단은,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경사보정블럭;
    상기 제3 경사보정블럭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4 경사보정블럭;
    상기 제3 경사보정블럭과 제4 경사보정블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4 경사보정블럭의 한쪽 변을 승강시키는 제3 경사조절부재;
    상기 제3 경사조절부재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3 경사보정블럭과 제4 경사보정블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4 경사보정블럭의 다른 쪽 변을 승강시키는 제4 경사조절부재 및;
    상기 제3 경사보정블럭과 제4 경사보정블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경사조절부재와 상기 제4 경사조절부재를 통해 상기 제4 경사보정블럭의 한쪽 변 또는 다른 쪽 변을 승강시킬 수 있는 기준점을 제공하는 제2 기준부재를 포함하는 렌즈모듈 검사장치.
  5. 삭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정부는,
    제1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 패널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보정수단;
    상기 좌우 보정수단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 패널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전후 보정수단 및;
    상기 전후 보정수단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 패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상하 보정수단을 포함하는 렌즈모듈 검사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정부는,
    상기 트레이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 패널의 수평을 조절하는 제1 경사보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보정수단은,
    상기 상하 보정수단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경사보정블럭;
    상기 제1 경사보정블럭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경사보정블럭;
    상기 제1 경사보정블럭과 제2 경사보정블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경사보정블럭의 한쪽 변을 승강시키는 제1 경사조절부재;
    상기 제1 경사조절부재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1 경사보정블럭과 제2 경사보정블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경사보정블럭의 다른 쪽 변을 승강시키는 제2 경사조절부재 및;
    상기 제1 경사보정블럭과 제2 경사보정블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경사조절부재와 상기 제2 경사조절부재를 통해 상기 제2 경사보정블럭의 한쪽 변 또는 다른 쪽 변을 승강시킬 수 있는 기준점을 제공하는 제1 기준부재를 포함하는 렌즈모듈 검사장치.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차트는 유리로 형성되며, 상기 패턴은 상기 마스터 차트의 표면에 에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모듈 검사장치.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VCM(voice coil motor)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모듈 검사장치.
KR1020150113005A 2015-08-11 2015-08-11 렌즈모듈 검사장치 KR101754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005A KR101754661B1 (ko) 2015-08-11 2015-08-11 렌즈모듈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005A KR101754661B1 (ko) 2015-08-11 2015-08-11 렌즈모듈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089A KR20170019089A (ko) 2017-02-21
KR101754661B1 true KR101754661B1 (ko) 2017-07-10

Family

ID=5831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005A KR101754661B1 (ko) 2015-08-11 2015-08-11 렌즈모듈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579B1 (ko) * 2021-11-10 2024-03-05 엠피닉스 주식회사 마이크로 렌즈 외관 검사 탑재형 자동 이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520B1 (ko) 2007-06-29 2008-10-23 (주)에이앤아이 카메라모듈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101455846B1 (ko) * 2013-07-05 2014-11-03 (주)이즈미디어 카메라 렌즈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658B1 (ko) 2013-07-24 2015-01-05 조영진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520B1 (ko) 2007-06-29 2008-10-23 (주)에이앤아이 카메라모듈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101455846B1 (ko) * 2013-07-05 2014-11-03 (주)이즈미디어 카메라 렌즈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089A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010B1 (ko) 공용성을 갖는 시편 표면 촬영용 라인 스캔장치
KR102286993B1 (ko) 반도체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측면들의 검사를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JP5344545B2 (ja) 基板保持装置
KR101754661B1 (ko) 렌즈모듈 검사장치
CN108489715A (zh) 一种面板的自动光学检测设备
KR101470424B1 (ko) 렌즈 검사 장치
JP2006329895A (ja) 基板測定装置
CN111487042B (zh) 准直光束平行度及均匀度的测量系统及测量方法
CN108153011B (zh) 一种光学检测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758647B1 (ko) 비평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CN216816427U (zh) 一种用于线扫瞄自动光学检测系统的自动对焦装置
CN114253085B (zh) 描画装置
CN114166754A (zh) 用于线扫瞄自动光学检测系统的自动对焦装置
KR102350996B1 (ko) 광학렌즈를 이용한 글라스 투과 검사장치
KR20120049826A (ko) 위치 정렬 장치, 위치 정렬 방법 및 위치 정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813291B1 (ko) 기판의 검사 및 수리 장치
CN106383021B (zh) 一种玻璃在线光学检验台
CN112285940B (zh) 一种双视场镜头的光轴一致性装校方法
KR102288837B1 (ko)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CN106980226B (zh) 光罩检测装置及其方法
KR102631655B1 (ko) 공정효율성을 높인 비전검사장치
CN218974154U (zh) 一种外观检测装置
KR100930534B1 (ko) 광 모듈 조립체의 광축 자동조절장치 및 조절방법
CN113176276B (zh) 一种面板缺陷检测设备及面板缺陷检测方法
CN209858184U (zh) 一种多镜头模组测试专用升降灯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