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458B1 - 냉동 방지부를 구비한 이송 장치를 작동 및 비활성화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냉동 방지부를 구비한 이송 장치를 작동 및 비활성화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458B1
KR101754458B1 KR1020147009850A KR20147009850A KR101754458B1 KR 101754458 B1 KR101754458 B1 KR 101754458B1 KR 1020147009850 A KR1020147009850 A KR 1020147009850A KR 20147009850 A KR20147009850 A KR 20147009850A KR 101754458 B1 KR101754458 B1 KR 101754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educing agent
compressed air
conveying duct
wall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4345A (ko
Inventor
안쏘니 트루옹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에미텍 페어발퉁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에미텍 페어발퉁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에미텍 페어발퉁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74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01N3/208Control of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e.g. dosing of reducing ag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36Arrangements for supply of additional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8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with prior mixing of the substances with a gas, e.g. air
    • F01N2610/085Controlling the ai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8Arrangement of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86Means to prevent the substance from free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571Multiple inlet with single outlet

Abstract

본 발명은 환원제를 배기 가스 처리 장치(15)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 장치(1)는 적어도 하나 가요성 벽부 구역(4)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덕트(3)를 구비하고 있다. 가요성 벽부 구역(4)은 이송 덕트(3) 내의 환원제가 얼 때 변형가능하다. 가요성 벽부 구역(4)은 이송 덕트(3)를, 압축된 공기 공급원(16)과 연결된, 압축된 공기 챔버(6)와 분리시킨다.

Description

냉동 방지부를 구비한 이송 장치를 작동 및 비활성화하는 방법{The methods for operating and deactivating a delivery device with protection against freezing}
본 발명은 환원제를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 있어서, 배기 가스 처리 장치가 사용되며,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하여, 유체가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 공급된다. 특히 이러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 폭넓게 사용되는 배기 가스 정화 방법은 선택 촉매 환원 공정[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process]이다. 상기 공정에 있어서, 환원제가 배기 가스에 있는 질소 산화물 화합물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배기 가스에 부가된다. 암모니아가 일반적으로 환원제로서 사용된다. 암모니아는 통상적으로 자동차에 직접적으로 저장되기 보다는 전구체 용액의 형태로 저장되며, 상기 전구체 용액은 변환될 수 있어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 있는 암모니아를 형성하거나 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된 부가적인 반응기에 있는 암모니아를 형성한다. 특히 폭넓게 사용된 환원제 전구체 용액은 수성 요소 용액이다. 특히 상표명 AdBlue®으로 판매되는 32.5 % 요소-수 용액이 폭넓게 사용된다. 간략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환원제" 및 "환원제 전구체 용액"이라는 표현은 아래에서 서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수성) 환원제의 이송을 위한 이송 장치의 설계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가 낮은 온도에서 얼 수 있다는 것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환원제 AdBlue®는 예를 들면, -11 ℃의 온도에서 언다. 이러한 온도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오랜 휴지(standstill) 위상 동안에 발생할 수 있다. 수성 환원제는 얼 때 팽창한다. 따라서 이송 장치는 어는 환원제의 팽창에 의해 또는 이와 관련된 압력 상승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반드시 설계되어야 한다.
이송 장치의 도우징(dosing)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환원제가 이송되는, 상기 이송 장치의 이송 덕트가 실질적으로 강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우징 펌프가 환원제의 결합된 이송과 도우징을 위해 사용된다면, 강성의 이송 덕트가 이송 덕트의 볼륨의 가능한 작은 변화를 보장하도록 사용된다. 단지 이와 같이 도우징 펌프에 의해 이송 덕트로 이송된 환원제의 양이 상기 이송 덕트를 빠져나오는 양과 정확하게 대응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냉동 저항 및 덕트 강성에 대한 요구조건과 관련하여 기술적 어려움이 있고, 그리고 특히 도우징 펌프에서의 큰 작동 정확성과 관련하여 상기 어려움을 현재까지 완전하게 만족스럽게 해결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를 시발점으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강조된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또는 경감시키는 것이다. 특히 환원제 이송을 위한 특히 유리한 이송 장치와, 상기 타입의 이송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특히 유리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 이송 장치는 특히 정밀한 도우징을 가능하게 하고, 냉동 공정 동안에 압력-민감성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고, 컴팩트한 설계를 실현가능하게 하며, 이송 덕트의 한 섹션의 형상을 적어도 능동적/수동적으로 채택하고 및/또는 허용하는데 비용 절감적이게 한다. 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목표한 방식으로, 이송 덕트에 얼음이 형성되는 결과로서, 압력-민감성 구성요소 근방의 바람직하지 못한 고 압력의 위험이 국부적으로 감소될 수 있거나 또는 방지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송 장치의 냉동 작용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부가적으로) 적당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따른 장치에 의해 그리고 또한 청구항 7 및 8의 특징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더욱 유리한 실시예가 종속 청구항에서 특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특정된 상태에서, 청구범위에서 개별적으로 특정된 특징이 임의의 요구되는 과학기술적으로 의미있는 방식으로 서로 합쳐질 수 있고 그리고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사실에 의해 보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원제를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 장치는 이송 덕트에 있는 환원제가 얼 때 변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벽부 구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덕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탄성 벽부 구역은 압축된 공기 공급원과 연결된 압축된 공기 챔버와 상기 이송 덕트를 분리한다.
이송 장치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에 의해 환원제가 이송 덕트를 통해 이송될 수 있다. 환원제용 이송 장치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2개의 상이한 타입의 펌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타입의 펌프는 상기 이송 장치의 작동 모드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
제 1 타입의 펌프는 도우징 펌프이다. 도우징 펌프의 경우에, 상기 펌프에 의해 이송된 환원제의 양이 정밀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 공급된 환원제의 양의 제어가 이에 따라 도우징 펌프에 의해 (예를 들면, 적어도 부분적으로/일시적으로 단독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우징 펌프에 의해 실행된, 이동가능한 펌프 부재의 이송 운동이 정밀하게 한정되어, 환원제의 이송된 양이 상기 이송 운동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도우징 펌프가 특징지워진다. 이송 운동은 예를 들면, 이동가능한 펌프 부재 상의 및/또는 상기 이동가능한 펌프 부재의 구동부 상의 특별한 센서에 의해 모니터될 수 있다. 도우징 펌프는 편심을 통해 회전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피스톤 펌프로 종종 설계된다.
제 2 타입의 펌프는 순수한(pure) 이송 펌프이다. 이송 펌프에 의해, 환원제의 이송된 양 자체가 (단지) 상기 이송 펌프 작동에 기초하여 모니터될 수 없다. 이는, 예를 들면, 구조적인 이유로서 이동가능한 펌프 부재의 운동을 모니터할 수 없기 때문에, 및/또는 운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및/또는 이송된 양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펌프를 통한 (이송 방향과 반대의) 누출 유동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지 않다. 순수한 이송 펌프가 이송 장치에서 사용된다면, 이에 따라 도우징에 제공될 정밀하게 계량된 양을 조정하기 위한 부가적인 제어 수단이 필요하다. 전형적으로, 순수한 이송 펌프는 각각의 경우에 라인 섹션에서 및/또는 별도의 축압기 볼륨에서 환원제의 요구되는 압력을 생성하도록 조정된다. 도우징은 이후 일반적으로 인젝터에 의해 상기 가압된 환원제 볼륨으로부터 발생한다. 고정된 압력을 위해, 도우징 양은 예를 들면, 인젝터의 개방 시간에 대략적으로 비례한다.
펌프는 이송 덕트를 따라 이송 방향에서 탄성 벽부 구역의 상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즉, 특히 종래의 작동 압력, 달리 말하자면 예를 들면, 2 bar 내지 8 bar의 압력이 작동 동안에 탄성 벽부 구역의 구역에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펌프와 인젝터 사이의 한 섹션에서의 이송 덕트에 복수의 가요성 벽부 섹션이 기본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 이러한 제공이 예측될 수 있을지라도, 단일의 탄성 벽부 구역은 필요에 따라 충분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벽부 섹션이 특히 이송 덕트의 압력-민감성 섹션 부근에 배치되며 상기 섹션 부근에서 특히 (예를 들면, 환원제가 어는 동안에) 작동 압력보다 상당히 더 큰 압력이 피해질 수 있다. 이러한 섹션은 예를 들면 시일, 포트, 센서, 밸브,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 벽부 구역은 특히 (덕트에서/압축된 공기 챔버에서) 압력이 과도한 경우에 가역가능한 변형(보상 운동)이 실행되어 과도한 압력에 의한 인접한 챔버 볼륨의 확대를 실현되도록 설계된다. 탄성은 특히 사용법(환원제의 타입; 이송 덕트의 타입; 작동 동안의 온도 범위, 셧다운 상황 및/또는 결빙 상황; 작동 동안의 압력 범위, 셧다운 상황 및/또는 결빙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탄성 벽부 구역은 이송 덕트의 둘러싸는 및/또는 측방향 섹션 구역을 커버할 수 있다. 섹션 구역이 이송 덕트의 최대, 영역(Aa, max)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영역은 상기 이송 덕트의 원주(Uk)와 상기 이송 덕트의 많아야 5 cm [센티미터]의 길이(Lk)의 곱이다(Aa, max = 5 cm x Uk). 탄성 벽부 구역은 특히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 [밀리미터 제곱] 내지 5000 ㎟의 영역을, 바람직하게는 100 ㎟ 내지 500 ㎟의 영역을 갖는 섹션 구역을 커버하며, 이는 특히 탄성 벽부 구역이 센서의 바로 부근에 위치되는 상황에 대해 적용된다.
더욱이 탄성 벽부 구역은 하나의 부품으로 또는 다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벽부 구역이 연속의 프로파일의 이송 덕트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달리 말하자면 특히 상기 탄성 벽부 구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곡되고 및/또는 인접한 덕트 벽부를 가능한 정밀하게 수용하거나 인접하는 만곡된 채널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탄성 벽부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면 형상을 취한다기 보다는 예를 들면 이송 덕트의 코일을 형성하고, 및/또는 상기 이송 덕트를 둘러싼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탄성 벽부 구역의 적어도 중앙 구역이 기계적으로 지지되지 않는데, 이를 달리 말하자면 특히 부가적인 스프링 부재, 받침부 등이 상기 중앙 구역의 자유 탄성 변형을 방지하도록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중앙 구역은 양측에서 현재 작용하는 유체 압력의 그리고 탄성 벽부 구역의 고유의 재료 특성의 작용으로만 실질적으로 변할 수 있다. 탄성 벽부 구역의 상기 중앙 구역은 측방향 및/또는 종결-측 구역에 제공될 수 있다. 탄성 벽부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탄성의 구역을, 달리 말하자면 적어도 제 1 압력에서 사전에 탄성적으로 변할 수 있는 제 1 구역과 제 2 압력에서 탄성적으로 변할 수 있는 제 2 구역을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제 2 압력은 상기 제 1 압력보다, 특히 적어도 2 배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 배수 그리고 특히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배수 더 크다. 이런 방식으로, 상이한 압력에서의 목표된 탄성 변형을 달성할 수 있고, 이송 덕트의 볼륨에서의 가능한 작은 변화가 얻어지며, 이는 또한 예를 들면, 정밀한 도우징 및 환원제 계량 및/또는 내구 한계(저-압력 범위에서의 작동, 고-압력 범위에서의 작동, 결빙 상황)의 제어를 향상시킨다.
공기 압력은, 이송 장치가 작동하는 동안에, 압축된 공기 공급원에 의해 압축된 공기 챔버에서 생성될 수 있다. 공기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이송 덕트에서 (현재) 나타나는 환원제 압력보다 (약간) 더 크고, 상기 환원제 압력이 펌프에 의해 생성된다. 특히, 상기 공기 압력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송 유닛의 최대 작동 범위의 상측 범위에 있다(예를 들면, 최대 이송 압력의 적어도 80 %, 특히 최대 이송 압력의 적어도 100 % 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이송 압력의 적어도 120 %, 이 경우 공기 압력이 최대 이송 압력의 20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공기 압력이 여전히 최대 이송 압력 이하라면, 예를 들면 펌프의 작동으로부터 초래되는 환원제에서의 (개별) 압력 피크의 댐핑(damping)이 얻어질 수 있다. 가요성 벽부 구역은, 압축된 공기 챔버 내의 공기 압력에 의해 예하중을 받게될 때, 실질적으로 강성으로 작용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송 덕트 내에 배치된 환원제용 이송 덕트는 압축된 공기 챔버 내의 공기 압력이 유지되는 동안에 실질적으로 강성이라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이송 덕트의 볼륨이 증가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이송 덕트 내의 환원제가 언다면, 압축된 공기 챔버 내의 공기 압력이 결빙 상황에서 소산될 수 있다. 이는 이송 장치가 비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압축된 공기 공급원이 또한 더 이상 압축된 공기를 제공하지 못할 때 예를 들면 자동적으로 발생한다.
압축된 공기 챔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 [세제곱 밀리미터]에 상당하는 압축된 공기 챔버 볼륨을 갖고, 특히 그 범위는 100 ㎣와 3000 ㎣ 사이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00 ㎣를 초과하지 않는다. 압축된 공기 챔버의 경계가 가요성 벽부 구역에 의해 현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된 공기 챔버가 공동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매우 바람직하며, 상기 공동의 경계는 가요성 벽부 구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압축된 공기 덕트로의 포트로 형성되며(예를 들면, 라인 개구의 방식으로), 이 경우 필요하다면 다른 구성요소가 압축된 공기 챔버의 경계를 직접적으로 형성하지 않는다. 압축된 공기 공급원은 압축된 공기 챔버에 대해 별도로 제공될 수 있고 및/또는 압축된 공기를 다른 구성요소에 또한 공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압축된 공기 챔버 내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압축된 공기 공급원이 제어되거나 조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 동안에 이송 덕트에서 실질적으로 강성의 설계품일 수 있는 반면에, (자동적으로) 탄성적으로 작용할 수 있고 그리고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매우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이송 장치를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실현가능하다. 충분한 공간이 이에 따라 결빙 상황에서 얼고 있는 환원제에 대해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히 본 명세서의 도입부에서 특정된 기술 분야에 사용되며, 상기 도입부에 대한 설명을 또한 참조하기 바란다.
이송 장치는 가요성 벽부 구역용 정지부가 이송 덕트에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벽부 구역이 압축된 공기 챔버로부터 압축된 공기에 의해 정지부에 대해 예하중을 받게 될 수 있다면 더욱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 가요성 벽부 구역의 설계는 (압력 챔버에서의 및/또는 이송 덕트에서의 상이한 압력에서 또는 상이한 시간에서) 작동 동안에 실질적으로 강성으로 작용하도록 특히 2개의 상이한 타입일 수 있다. 제 1 타입에 따라, 가요성 벽부 구역은 탄성적으로 변형되지 않으나 그러나 가요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공기 압력이 이송 덕트 외측의 압축된 공기 챔버에서 작용한다면, 가요성 벽부 구역은 압력을 받게 되고, 그리고 상기 압축된 공기 챔버 내의 공기 압력이 상기 이송 덕트 내의 환원제 압력보다 더 큰 경우에 (실질적으로) 불변의 형상부에 이를 가하게 된다. 제 2 타입에 따라, 가요성 벽부 구역은 가요성으로 변형가능할 뿐만 아니라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타입의 가요성 벽부 구역의 실제 형상 및 위치가 각각의 경우에 이송 덕트 내의 압력과 압축된 공기 챔버 사이에서 나타나는 압력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실질적으로 강성의 작용은 가요성 탄성 벽부 구역이 정지부에 대한 압축된 공기에 의해 예하중을 받게 된다면 실현될 수 있다. 이후, 압력 차이가 쓰레스홀드 값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 동안에, 가요성 탄성 벽부 구역은 정지부에 대해 지지되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강성적으로 작용한다. 정지부는 압력 챔버의 외측에, 예를 들면, 이송 덕트에 및/또는 상기 압력 챔버나 상기 이송 덕트용 하우징에 및/또는 (예를 들면, 센서, 베이스 플레이트 등과 같은) 다른 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케이싱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지부는 특히 이송 덕트의 한 부분이거나 또는 벽부일 수 있고, 여기서 필요하다면 접촉면이나 또는 접촉 윤곽부(라인의 형태로)가 제공되며 가요성 벽부 구역의 설계에 적용된다.
이송 장치는 가요성 벽부 구역이 이송 덕트의 섹션에 배치된 탄성 슬리브라면 또한 유리하다.
탄성 슬리브는 고무나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 형성된 슬리브일 수 있으며, 상기 재료는 특히 내구성이 있고 사용된 환원제에 대해 불침투성이다. 슬리브의 벽부 두께는 상기 슬리브의 길이 내내 변할 수 있다.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보강 슬리브에 의해 구역에서 보강된다(특히 내측으로부터, 달리 말하자면 압력 챔버로부터). 이송 덕트는 이송 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 덕트는 예를 들면, 주조되거나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드릴 가공된다. 탄성 슬리브가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탄성 슬리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해 뻗어있는 (적어도 여러 섹션에서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인) 섹션은 예를 들면, 이송 덕트의 나머지부와 교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이송 덕트의 상기 나머지부와 함께 상기 이송 덕트를 형성하는 보어나 리세스일 수 있다. 탄성 슬리브는 이송 덕트의 원통형 섹션의 벽부에 대해 (부분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원통형 섹션의 벽부는 이후 탄성 슬리브용 타입의 정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 슬리브는 상기 원통형 섹션의 상기 벽부에 대해 또는 상기 정지부에 대해 압축된 공기 챔버 내의 압축된 공기에 의해 예하중을 받게 될 수 있다.
이송 장치는 이송 덕트가 압력 센서와 연결되고 그리고 가요성 벽부 구역이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2 cm [센티미터] 이하의 거리로 배치된다면 또한 유리하다. 상기 거리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 cm [센티미터] 이하이고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 cm 이하이다.
압력 센서는 전형적으로 발생하는 얼음 압력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고 그리고 발생하는 얼음에 의해서나 환원제의 냉동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이송 장치의 부품이다. 압력 센서는 통상적으로 이송 장치의 정상 작동 압력(2 bar와 8 bar 사이)을 넘어서는 압력 증가를 견딜 수 없다. 압력 센서는 통상적으로 정상 작동 압력의 범위에서만 작동하도록 매우 신중하게 설계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이 설계되지 않으면 상기 압력 센서의 분석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출원에 적당한 압력 센서는 예를 들면 30 bar보다 또는 50 bar 보다 몇 배 더 클 수 있는 얼음 압력을 견딜 수 없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특히 효과적인 얼음 압력 보상을 허용하는 가요성 벽부 구역이 이송 장치 내의 압력 센서의 바로 부근에 배치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고 밝혀졌다.
또한, 이송 장치는 가요성 벽부 구역이 압력 센서의 측정 볼륨으로 펼쳐져 있다면 유리하다. 압력 센서는 전형적으로 측정 볼륨이나 또는 측정 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압력 센서는 이후 상기 측정 볼륨 내의 압력이나 또는 상기 측정 챔버 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설정된다. 측정 볼륨이나 또는 측정 챔버는 바람직하게는 한 측에서 개방되어 유체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유체 라인에 매체가 위치되며, 상기 매체의 압력이 측정될 것이다. 가요성 벽부 구역은 이송 장치가 작동하는 동안에 측정 볼륨을 부분적으로 충전하도록 형성되면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매우 많은 양의 환원제가 측정 볼륨에 존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빙 상황에서 상기 환원제가 상기 측정 볼륨이나 상기 측정 볼륨을 둘러싸는 압력 센서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요성 벽부 구역의 배치는 상기 가요성 벽부 구역이 탄성 슬리브로 형성된다면 특히 유리하게 얻어질 수 있다. 탄성 슬리브는 이후 측정 볼륨의 개구를 통해 측정 볼륨으로 뻗어있을 수 있다. 측정 볼륨은 이후 탄성 슬리브가 착좌되는 이송 덕트의 원통형 섹션의 신장부(elongation)처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송 장치는 압축된 공기와 환원제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 챔버를 구비하면 유리하며, 이 경우 압축된 공기 챔버 및 상기 혼합 챔버는 공통의 압축된 공기 공급원을 사용한다. 혼합 챔버는 이송 장치의 구성요소일 필요는 없으나 그러나 또한 상기 이송 장치의 하류에서, 이송 덕트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혼합 챔버에서 압축된 공기와 환원제를 혼합하는 것은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의 환원제의 최적의 가능한 분사를 얻는데 유리하다. 압축된 공기와 혼합된 환원제가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 스프레이될 수 있어, 특히 작은 스프레이 액적이 형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환원제의 특히 효과적인 증발이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서 얻어질 수 있다. 이는 순차로 특히 배기 가스 처리 장치 내의 환원제의 효율적인 변환 및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환원제 및 압축된 공기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 챔버를 구비한 이송 장치의 경우에, 압축된 공기 공급원은 구성 때문에 사전에 요구된다. 따라서, 압축된 공기 공급원이 사전에 제공되고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이송 장치의 특별한 특징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양한 방법을 청구하고 있다. 이송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된 장점 및 설계상 특징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유사하게 적용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장점 및 특징은 아래 설명된 본 발명의 방법의 특별한 장점 및 설계상 특징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이송 장치로 대체 및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요구되는 실시예의 이송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이송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a) 압축된 공기 챔버에서의 제 1 공기 압력 쓰레스홀드와 제 2 공기 압력 쓰레스홀드 사이로 공기 압력을 유지하는 단계,
b) 이송 덕트를 통해 환원제를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 이송하고 도우징하는 단계, 및
c) 압력 피크가 압축된 공기 챔버 내의 공기 압력(18)보다 더 크다면, 상기 가요성 벽부 구역의 변형에 의해, 환원제 압력의 압력 피크를 보상하는 단계를 적어도 구비하고, 그리고
제 1 환원제 압력 쓰레스홀드와 제 2 환원제 압력 쓰레스홀드 사이의 평균 환원제 압력이 상기 이송 덕트 내에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환원제 압력 쓰레스홀드가 상기 제 1 공기 압력 쓰레스홀드 보다 더 작고 그리고 상기 제 2 환원제 압력 쓰레스홀드가 상기 제 2 공기 압력 쓰레스홀드보다 더 작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공기 압력 쓰레스홀드는 대략 3.4 bar이고 그리고 제 2 공기 압력 쓰레스홀드는 대략 4.6 bar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환원제 압력 쓰레스홀드는 대략 3.0 bar이고 그리고 제 2 환원제 압력 쓰레스홀드는 대략 4.4 bar이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압력의 변동의 최저 한도(margin)가 환원제 압력의 변동의 최저 한도보다 용이하게 더 크다. 그러나, 공기 압력이 일반적으로 환원제 압력보다 더 클 필요가 없다.
압축된 공기 챔버는 압축된 공기 공급원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압축된 공기 공급원은 그 활성화 이후에, 영구적으로 및/또는 필요 시 단계 a)에 따라 공기 압력을 생성 및/또는 유지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압축된 공기 챔버에서 나타나는 공기 압력은 압축된 공기 공급원에 의해 제공된 압력에 대응한다. 상기 압력은 압축된 공기 공급원이 일반적으로 압축된 공기를 상이한, 압축된 공기 소비기(consumer)에 제공하기 때문에, 특정 정도의 변동을 나타낼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압축된 공기 공급원에 의해 제공된 공기 압력이 일반적으로 요구된, 압축된 공기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압축된 공기 공급원과 연결된 또 다른 압축된 공기 소비기가 예를 들면, 환원제와 압축된 공기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 챔버나, 브레이크 시스템이나, 또는 내연기관 자체일 수 있다. 특히 내연기관이 기재된 이송 장치용 압축된 공기 공급원으로 동시에 사용된 터보차저(turbocharger)를 구비한다면, 상기 내연기관이 상기 압축된 공기 공급원의 압축된 공기 소비기인 경우도 가능하다.
단계 b)에 따라, 이송 덕트에서 유지된 평균 환원제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3.5 bar와 4.1 bar 사이이고,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략적으로 3.8 bar이다. 이는 특히 작동 동안의 단위 시간 간격(예를 들면, 일 분) 내내 측정된 환원제 압력의 산술적인 평균 값이다.
그러나 이송 덕트에서의 환원제의 압력은 변동할 수 있다. 특히 도우징 펌프가 환원제를 이송시키기 위해 사용된다면, 상기 도우징 펌프에 의하여 이송 덕트를 통해 이송된 환원제의 양과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 분사된 환원제의 양이 도우징되고, 이송 덕트에서의 환원제 압력의 (미미한) 변동이 발생한다면 무해하다. 이송된 양은 도우징 펌프에 의해 사전에 미리 정해지고, 그리고 압력 변동은 도우징 정확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압력의 큰 변동은 도우징 펌프의 도우징 정확도에 교차 간섭(cross interference)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환원제 압력은 압력의 매우 큰 변동이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환원제가 이송 펌프에 의해 이송된다면, 상기 이송 펌프의 경우에,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의 환원제의 정밀한 도우징이 일반적으로 인젝터에 의해 발생하고, 그리고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인젝터를 통해 공급된 환원제의 양이 일반적으로 환원제 압력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능한 정확한 환원제 압력을 정밀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펌프의 이송 운동 때문에, 종종 "짧은-기간" 압력 피크가 이송 덕트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짧은-기간 압력 피크는 이송 장치에, 분사 장치에 및/또는 또한 상기 이송 장치에 제공된 압력 센서에 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짧은-기간 압력 피크가 가요성 벽부 구역의 변형에 의해 보상되거나 감쇠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보상은 압력 피크가 압축된 공기 챔버에서 나타나는 공기 압력보다 더 큰 피크 압력을 가질 때 특히 발생한다. 가요성 벽부 섹션은 이후 이송 덕트의 볼륨이 변하고 상기 이송 덕트에서의 압력이 즉시 떨어지도록 변형된다. 가요성 벽부 섹션에 의한 압력 피크의 보상은 가요성 벽부 섹션이 탄성을 갖거나 또는 탄성을 갖지 않는지에 대한 여부와 무관할 수 있다. 또한 이런 방식으로 큰 얼음 압력처럼, 냉동 공정 동안에 형성되는 압력 피크가 (적어도 이러한 구역에서) 상당하게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요구되는 실시예의 이송 장치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이 특정되며, 상기 이송 장치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은
w) 펌프에 의해 상기 이송 덕트를 통한 환원제의 이송을 종결시키는 단계,
x) 상기 이송 덕트에서의 환원제 압력을 소산시키는 단계,
y) 압축된 공기 챔버에서 3.4 bar와 4.6 bar 사이의 공기 압력을 일시적으로 유지시키는 단계, 및
z) 상기 압축된 공기 챔버에서 공기 압력을 소산시키는 단계를 적어도 갖는다.
펌프는 이송 펌프이거나 또는 도우징 펌프일 수 있다. 기재된 본 발명의 방법은 특히 단계 x)가 시간 면에서 보면 단계 z) 이전에 발생하고, 이 경우 단계 y)의 전후관계에서 압축된 공기 챔버 내의 공기 압력이 단계 x)와 단계 z) 사이에서 일시적으로 유지된다는 점에서 특징지워진다. 이런 방식으로, 이송 덕트로의 액체 환원제의 후속(follow-up) 유동이 발생할 수 있고,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이송 덕트에 있는 상기 환원제의 양은 이송 장치의 비활성 동안에 더욱 증가되도록 가요성 벽부 섹션이 조급하게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요성 및 탄성 벽부 섹션의 경우에, 떨어지는 환원제 압력 때문에 그리고 상기 이송 덕트와 압축된 공기 챔버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 차이 때문에, 필요하다면 단계 y)에서도 벽부 섹션이 팽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가적인 환원제가 이송 덕트 외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덕트 내에 있는 환원제의 양이 더욱 감소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환원제가 어는 결과로서, 상기 이송 덕트를 손상시킬 위험이 이와 같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단계 z) 이전에, 이송 덕트가, 상기 이송 덕트로의 환원제의 후속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폐쇄된다면, 특히 유리하다.
이송 덕트의 폐쇄는 예를 들면, 상기 펌프가 비활성화된 상태에 있을 때, 환원제를 상기 이송 덕트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가 환원제에 의해 통과될 수 없다는 점에서 실현될 수 있다. 펌프는 종종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는 셧다운 상황에서 폐쇄되고 이에 따라 환원제가 상기 펌프를 통과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부가적인 밸브가 제공되어 이송 덕트를 폐색할 수 있고 환원제의 흡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얼어버린 환원제의 플러그가 이송 덕트를 차단하는 특히 사전에 정해진 지점(예를 들면, 히트 싱크)에서 상기 이송 덕트에 있는 환원제의 냉동 동안에 형성된다는 점이다.
환원제와 압축된 공기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 챔버를 포함한 환원제용 이송 장치의 경우에 압축된 공기의 이송이 환원제를 혼합 챔버로부터 외측으로, 및/또는 압축된 공기에 의해 이송 덕트로부터 외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환원제 이송의 종결 이후의 또 다른 시간 간격 동안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혼합 챔버 내에서의 환원제의 퇴적이 피해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송 장치의 이러한 작동의 경우에, 공기 압력이 이미 환원제 압력보다 더 오래 유지된다. 따라서 이송 장치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동일한 압축된 공기 공급원이 혼합 챔버에 대해 및 압축된 공기 챔버에 대해 사용된다면 기재된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설계되는 이송 장치에 대해 작은 노력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연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내연기관의 배기 가스의 정화를 위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 환원제를 이송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며, 이에 대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자동차의 이송 장치에 의해,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송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실행될 이송 장치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자동차는 바람직하게는 특정된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 및 기술 분야는 도면에 기초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도면은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 만으로 한정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도면과 특히 도시된 부분의 비율은 단지 개략적으로 나타내어져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이송 장치의 도면이고,
도 2는 제 2 실시예의 이송 장치의 도면이고,
도 3은 이송 장치의 한 섹션의 도면이고,
도 4는 이송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도면이고,그리고
도 5는 이송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은 이송 장치(1)의 3개의 상이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이송 장치(1)의 특징의 가능한 조합이 각각의 경우에 실현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특징의 조합 이외의 조합도 가능하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상이한 특징은 임의의 요구되는 과학기술적으로 의미 있는 방식으로, 서로 합쳐질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내용 외의 또 다른 특징으로 합쳐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의 이송 장치(1)는 각각의 경우에 이송 덕트(3)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 덕트로 환원제가 펌프(2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이송 덕트(3)는 하나의 구역에서, 가요성 벽부 구역(4)을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벽부 구역은 내측면(39)과 외측면(40)을 구비하며, 상기 내측면(39)은 상기 이송 덕트(3)의 경계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외측면(40)은 압축된 공기 챔버(6)와 인접한다. 이송 덕트(3)는 각각의 경우에 흡입 포트(34)로부터 인젝터 포트(5)까지 뻗어있다. 환원제 탱크는 흡입 포트(34)와 연결될 수 있다. 환원제를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 분사 및/또는 스프레이하기 위한 분사 장치는 인젝터 포트(5)와 연결될 수 있다. 압축된 공기 챔버(6)에 압축된 공기가 압축된 공기 덕트(30)를 통해 공급된다. 압축된 공기 덕트(30)는 압축된 공기 공급원과의 연결을 위해 압축된 공기 포트(35)를 구비한다. 이송 덕트(3)는 폐쇄 수단(22)에 의해 폐색될 수 있어, 흡입 포트(34)로부터 이송 덕트(3)로의 환원제의 후속 유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폐쇄 수단(22)은 한편으로 펌프(20)의 구성요소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폐쇄 수단(22)은 예를 들면 동시에 펌프(20)의 밸브이다. 폐쇄 수단(22)은 또한 별도의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폐쇄 수단(22)은 예를 들면 별도로 기동될 수 있는 밸브일 수 있다. 압력 센서(10)는 가요성 벽부 구역(4)의 바로 부근에, 상기 가요성 벽부 구역(4)으로부터의 거리(8)로 배치된다. 거리(8)는 바람직하게는 2 cm [센티미터]이거나 그 미만이다.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부가적인 특징부로서, 정지부(7)가 제공되고 상기 정지부에 대해 가요성 벽부 구역(4)이 예하중을 받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벽부 구역(4)은 또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더욱 특별한 특징부로서, 도 2에 따른 실시예는 혼합 챔버(12)를 구비하고 상기 혼합 챔버에서 압축된 공기 및 환원제가 서로 혼합될 수 있다. 혼합 챔버(12)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압축된 공기 덕트(30)와 연결되고 상기 압축된 공기 덕트는 또한 압축된 공기를 압축된 공기 챔버(6)에 공급한다. 또한 혼합 챔버(12)에는 이후 압축된 공기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된 공기가 압축된 공기 포트(35)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도 3은 이송 장치(1)의 한 섹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송 장치(1)는 상기 이송 장치(1)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6)를 구비한다. 이송 덕트(3)는 바람직하게는 주조된 또는 드릴가공된 자유 공간처럼 베이스 플레이트(35)에 제공된다. 가요성 벽부 구역(4)은 이송 덕트(3)의 원통형 섹션(9)으로 삽입되는 탄성 슬리브(2)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섹션(9)은 또한 주조된 자유 공간처럼 또는 보어처럼 베이스 플레이트(36)에 형성된다. 원통형 섹션(9)은 이송 덕트(3)의 나머지부와 교차한다. 압력 센서(10)는 이송 덕트(3)의 원통형 섹션(9)과 마주하여 배치된다. 압력 센서(10)는 개구(37)를 갖는 측정 볼륨(11)을 구비한다. 압력 센서(10)는 개구(37)를 통해 이송 덕트(3)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 덕트(3)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상기 압력 센서(10)의 측정 볼륨(11)으로 진입할 수 있다. 탄성 슬리브(2)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섹션(9)을 통해 그리고 개구(37)를 통해 측정 볼륨(11)으로 뻗어있다. 가요성 벽부 구역(4)의 내측면(39)은 이송 덕트(3) 쪽을 향하고, 실제로 탄성 슬리브(2)의 외측면이다. 가요성 벽부 구역(4)의 외측면(40)은 압축된 공기 챔버(6)를 향하고, 실제로 탄성 슬리브(2)의 내측면이다. 탄성 슬리브(2)의 내측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압축된 공기 챔버(6)의 구성요소이다. 탄성 슬리브(2)에는 바람직하게는, 구역에서, 보강 슬리브(31)가 제공되고, 상기 보강 슬리브에 의해 특히 이송 덕트(3)의 원통형 섹션(9)에서의 탄성 슬리브(2)의 유밀 장착이 또한 가능하게 된다. 압축된 공기 챔버(6)와 연결된 탄성 슬리브(2)의 종결 시 보강 슬리브(31)에 의하여, 상기 탄성 슬리브(2)가 상기 챔버에서 변형하지 않고 그리고 특히 기밀 방식으로 압축된 공기 챔버(6)와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탄성 슬리브(2)는 바람직하게는 회전방향으로 대칭이다. 이송 덕트(3)는 탄성 슬리브(2) 주위에서 환상으로 원통형 섹션(9)을 통해 계속되어, 상기 탄성 슬리브(2)를 지난 연속 유동 경로가 상기 이송 덕트(3)에 의해 형성된다.
도 4는 내연기관(14)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내연기관(14)의 배기 가스의 정화를 위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15)를 구비한 자동차(13)를 나타낸 도면이다. 환원제는 분사 장치(21)에 의해 배기 가스 처리 장치(15)로 분사될 수 있다. 분사 장치(21)에는 이송 장치(1)에 의해 환원제가 공급된다. 이송 장치(1)에는 순차로 압축된 공기 공급원(16)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공급된다. 이송 장치(1)는 환원제 탱크(17)로부터 환원제를 추출한다. 기재된 다양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자동차(13)는 제어 유닛(38)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이송 장치(1)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 유닛에 상기 기재된 방법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 유닛(38)은 자동차(13)의 엔진 제어기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자동차(13)의 상기 엔진 제어기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5는 이송 장치의 상이한 작동 위상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수직 축선(29) 대 시간 축선(28)의 그래프에 각각의 경우에 압축된 공기 챔버에서의 공기 압력(18), 상기 이송 덕트에서의 환원제 압력(19), 상기 이송 덕트의 구역에서의 온도(27), 및 상기 이송 장치의 상기 이송 덕트의 장치 볼륨(26)이 나타나 있다. 다이어그램은 작동 위상(23)을 첫 번째로 나타낸다. 작동 위상(23)은 공기 압력(18)이 통상적으로 환원제 압력(19)보다 더 크다는 점에서 특징지워진다. 그러나 압력 피크(32)가 도시되어 있다. 압력 피크(32)가 공기 압력(18)보다 더 크다면, 이는 가요성 벽부 구역의 변형(33)에 의해 실현되고, 이 결과 장치 볼륨(26)이 간단하게 증가한다.
또한 이송 장치의 셧다운 위상(24)이 도시되어 있다. 셧다운 위상(24)은 압축된 공기(18)가 환원제 압력(19)보다 더 오랜 기간 유지된다는 점에서 특징지워진다. 이런 방식으로, 부가적인 환원제가 셧다운 위상(24) 동안에 이송 장치로 흡입되지 않는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있어서, 장치 볼륨(26)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송 장치의 적당한 설계에 의하여, 가요성 벽부 섹션이 이송 덕트(3)로 약간 팽창하기 때문에, 장치 볼륨(26)이 셧다운 위상(24) 동안에서도 약간 감소할 수 있다. 이송 장치에 있는 환원제의 양은 이후에서도 감소된다. 이러한 상황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 또한 냉동 위상(25)이 다이어그램에 도시되어 있다. 냉동 위상(25)은 온도(27)가 급격하게 떨어진다는 점에서 먼저 특징지워지고, 이 경우 특히 상기 온도가 환원제의 어는 온도 아래에 반드시 있어야 한다. 온도(27) 하락 후, 이송 장치가 일관적으로 반드시 먼저 냉각되어야 하기 때문에 초기에 아무것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송 장치가 일괄적으로 냉각될 때, 환원제가 언다. 이 결과, 장치 볼륨(26)이 커진다. 환원제 압력(19)이 또한 동시에 상승한다. 가요성 벽부 구역의 설계의 결과로서, 그러나, 환원제 압력의 상승은 이송 장치에 제공된 이송 장치 및 특히 압력 센서가 손상되는 정도로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이송 장치의 실시예에 의하면, 정밀한 도우징이 가능하게 되고, 이 경우 압력-민감성 구성요소가 특히 냉동 공정 동안에 및/또는 작동 동안에 잘 보호된다. 압력-민감성 구성요소가 컴팩트하게 설계되고 그리고 또한 그 생산 비용이 저렴하다. 더욱이, 압력-민감성 구성요소에 의하면, 이송 덕트의 한 섹션의 형상의 능동적/수동적 채택이 적어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히 이송 덕트에서 얼음이 형성되는 결과로서, 압력-민감성 구성요소 근방의 바람직하지 못한 고 압력의 위험이 목표로 한 방식으로 국부적으로 감소될 수 있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는 방법으로, 이송 장치의 냉동 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더욱 적당하다.
1 이송 장치 2 탄성 슬리브
3 이송 덕트 4 가요성 벽부 구역
5 인젝터 포트 6 압축된 공기 챔버
7 정지부 8 간격
9 원통형 섹션 10 압력 센서
11 측정 볼륨 12 혼합 챔버
13 자동차 14 내연기관
15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6 압축된 공기 공급원
17 환원제 탱크 18 공기 압력
19 환원제 압력 20 펌프
21 분사 장치 22 폐쇄 수단
23 작동 위상 24 셧다운 위상
25 냉동 위상 26 장치 볼륨
27 온도 28 시간 축선
29 수직 축선 30 압축된 공기 덕트
31 보강 슬리브 32 압력 피크
33 변형 34 흡입 포트
35 압축된 공기 포트 36 베이스 플레이트
37 개구 38 제어 유닛
39 내측 40 외측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이송 덕트(3)를 구비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15)로 환원제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압축된 공기 챔버(6) 내의 제 1 공기 압력 쓰레스홀드와 제 2 공기 압력 쓰레스홀드 사이로 공기 압력(18)을 유지시키는 단계;
    b) 상기 이송 덕트(3)를 통해 환원제를 배기 가스 처리 장치(15)로 이송하고 도우징하는 단계; 및
    c) 환원제의 압력(19)의 압력 피크(32)가 상기 압축된 공기 챔버(6) 내의 공기 압력(18)보다 더 크다면, 가요성 벽부 구역(4)의 변형(33)에 의해, 상기 환원제 압력(19)의 압력 피크(32)를 보상하는 단계;를 적어도 구비하며,
    제 1 환원제 압력 쓰레스홀드와 제 2 환원제 압력 쓰레스홀드 사이의 평균 환원제 압력(19)이 상기 이송 덕트(3)에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환원제 압력 쓰레스홀드가 상기 제 1 공기 압력 쓰레스홀드 보다 더 작고 그리고 상기 제 2 환원제 압력 쓰레스홀드가 상기 제 2 공기 압력 쓰레스홀드보다 더 작고,
    흡입 포트(34)로부터 인젝터 포트(5)까지 뻗어있는 상기 이송 덕트(3)에 있는 환원제가 얼 때, 변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벽부 구역(4)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벽부 구역(4)은 상기 이송 덕트(3)와, 압축된 공기 공급원(16)과 연결된 압축된 공기 챔버(6)를 분리시키고,
    상기 이송 덕트(3)는 압력 센서(10)와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벽부 구역(4)은 상기 압력 센서(10)로부터 2 cm [센티미터] 이하의 거리(8)로 배치되고,
    상기 가요성 벽부 구역(4)용 정지부(7)가 상기 이송 덕트(3)에 제공되고, 상기 가요성 벽부 구역(4)이 상기 압축된 공기 챔버(6)로부터의 압축된 공기에 의해 상기 정지부(7)에 대해 예하중을 받게 될 수 있으며,
    상기 가요성 벽부 구역(4)은 상기 이송 덕트(3)의 섹션(9)에 배치된 탄성 슬리브(2)인, 이송 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벽부 구역(4)은 압력 센서(10)의 측정 볼륨(11)으로 뻗어있는, 이송 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1)는 상기 환원제를 압축된 공기와 혼합하기 위한 혼합 챔버(12)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된 공기 챔버(6) 및 상기 혼합 챔버(12)는 공통의 압축된 공기 공급원(16)을 사용하는, 이송 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4. 적어도 하나의 이송 덕트(3)를 구비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15)로 환원제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장치(1)를 비활성화하는 방법으로서,
    w) 펌프(20)에 의해 상기 이송 덕트(3)를 통한 환원제의 이송을 종결하는 단계;
    x) 상기 이송 덕트(3) 내의 환원제 압력(19)을 소산하는 단계;
    y) 압축된 공기 챔버(6) 내에서 3.4 bar와 4.6 bar 사이로 공기 압력(18)을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단계; 및
    z) 상기 압축된 공기 챔버(6) 내의 상기 공기 압력(18)을 소산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며,
    흡입 포트(34)로부터 인젝터 포트(5)까지 뻗어있는 상기 이송 덕트(3)에 있는 환원제가 얼 때, 변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벽부 구역(4)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벽부 구역(4)은 상기 이송 덕트(3)와, 압축된 공기 공급원(16)과 연결된 압축된 공기 챔버(6)를 분리시키고,
    상기 이송 덕트(3)는 압력 센서(10)와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벽부 구역(4)은 상기 압력 센서(10)로부터 2 cm [센티미터] 이하의 거리(8)로 배치되고,
    상기 가요성 벽부 구역(4)용 정지부(7)가 상기 이송 덕트(3)에 제공되고, 상기 가요성 벽부 구역(4)이 상기 압축된 공기 챔버(6)로부터의 압축된 공기에 의해 상기 정지부(7)에 대해 예하중을 받게 될 수 있으며,
    상기 가요성 벽부 구역(4)은 상기 이송 덕트(3)의 섹션(9)에 배치된 탄성 슬리브(2)인, 이송 장치(1)를 비활성화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단계 z) 이전에, 상기 이송 덕트(3)는 상기 이송 덕트(3)로의 환원제의 후속 유동이 발생할 수 없도록 폐쇄되는, 이송 장치(1)를 비활성화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7009850A 2011-10-19 2012-10-01 냉동 방지부를 구비한 이송 장치를 작동 및 비활성화하는 방법 KR101754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116335.6 2011-10-19
DE201110116335 DE102011116335A1 (de) 2011-10-19 2011-10-19 Fördervorrichtung mit Einfrierschutz
PCT/EP2012/069379 WO2013056974A1 (en) 2011-10-19 2012-10-01 Delivery device with protection against freez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345A KR20140074345A (ko) 2014-06-17
KR101754458B1 true KR101754458B1 (ko) 2017-07-19

Family

ID=4697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850A KR101754458B1 (ko) 2011-10-19 2012-10-01 냉동 방지부를 구비한 이송 장치를 작동 및 비활성화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371758B2 (ko)
EP (1) EP2769063B1 (ko)
JP (1) JP6154387B2 (ko)
KR (1) KR101754458B1 (ko)
CN (1) CN104053872B (ko)
BR (1) BR112014009515B1 (ko)
DE (1) DE102011116335A1 (ko)
RU (1) RU2580572C2 (ko)
WO (1) WO2013056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8942A1 (de) * 2012-09-21 2014-03-27 Emitec France S.A.S Fördereinheit für ein flüssiges Additiv
DE102013107373A1 (de) * 2013-07-11 2015-01-15 Voss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Schutz von Fluidsystemen gegen Gefrierdruck"
DE102016215380A1 (de) * 2016-08-17 2018-02-2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einer blockierten Druckleit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78249A1 (de) * 2004-02-10 2005-08-25 Hydraulik-Ring Gmbh Speicher für ein abgasnachbehandlungsmedium einer abgasnachbehandlungseinrichtung für fahrzeuge mit dieselverbrennungsmotoren
KR100896424B1 (ko) * 2008-02-14 2009-05-12 (주)모토닉 도우징 시스템용 에어유닛
WO2011067370A1 (de) * 2009-12-04 2011-06-09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Fördervorrichtung zur förderung eines reduktionsmittel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27834A1 (de) * 2001-06-08 2002-12-12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osierung eines Reduktionsmittels zur Entfernung von Stickoxiden aus Abgasen
DE10362140C5 (de) * 2003-12-29 2015-10-08 Cummins Ltd. Gefriertaugliche Abgasnachbehandl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26866A1 (de) * 2004-06-02 2005-12-22 Man Nutzfahrzeug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eizen eines in einem Behälter eines Kraftfahrzeugs mitgeführten Reduktionsmittels zur Abgasnachbehandlung
DE102004050023A1 (de) * 2004-10-13 2006-04-27 L'orange Gmbh Einrichtung zur dosierten Einspritzung eines Reduktionsmittels in den Abgastrakt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7026892A1 (de) * 2007-06-11 2008-12-18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dosierten Einspritzen eines flüssigen Abgasnachbehandlungsmittels
DE102009005790B4 (de) * 2009-01-22 2023-05-17 Albonair Gmbh Dosiersystem
DE102008022991A1 (de) * 2008-05-09 2009-11-12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orrichtung zur Förderung eines Reduktionsmittel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8036265A1 (de) * 2008-08-04 2010-02-11 J. Eberspächer GmbH & Co. KG Abgasreinigung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
DE102008044708A1 (de) * 2008-08-28 2010-03-04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SCR-System mit Kompensationselement
DE102009039735A1 (de) * 2009-09-02 2011-03-03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Fördervorrichtung für ein Reduktionsmittel mit Kompensationsel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78249A1 (de) * 2004-02-10 2005-08-25 Hydraulik-Ring Gmbh Speicher für ein abgasnachbehandlungsmedium einer abgasnachbehandlungseinrichtung für fahrzeuge mit dieselverbrennungsmotoren
KR100896424B1 (ko) * 2008-02-14 2009-05-12 (주)모토닉 도우징 시스템용 에어유닛
WO2011067370A1 (de) * 2009-12-04 2011-06-09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Fördervorrichtung zur förderung eines reduktionsmitt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345A (ko) 2014-06-17
RU2580572C2 (ru) 2016-04-10
CN104053872A (zh) 2014-09-17
JP2014530980A (ja) 2014-11-20
BR112014009515B1 (pt) 2021-03-30
US20140223888A1 (en) 2014-08-14
JP6154387B2 (ja) 2017-06-28
US9371758B2 (en) 2016-06-21
DE102011116335A1 (de) 2013-04-25
RU2014119769A (ru) 2015-11-27
EP2769063B1 (en) 2016-07-13
WO2013056974A1 (en) 2013-04-25
CN104053872B (zh) 2017-12-08
EP2769063A1 (en) 2014-08-27
BR112014009515A2 (pt) 201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9760B2 (en)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reducing agent
JP4095553B2 (ja) 内燃機関の排気ガス後処理装置用還元剤ポンプ
EP2434118B1 (en) Reducing agent dosing system
US9909477B2 (en) Method for providing a liquid additive
US20100115932A1 (en) Metering system
US971939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for conveying a liquid
US20120144808A1 (en) Scr exhaust gas aftertreatment device
JP6067000B2 (ja) 流体を注入するための注入装置
US10294937B2 (en) Pump for conveying a liquid, in particular an exhaust-gas cleaning additive
KR101754458B1 (ko) 냉동 방지부를 구비한 이송 장치를 작동 및 비활성화하는 방법
CN103620173A (zh) 用于操作scr计量单元的方法
US9272244B2 (en) Metering system
KR101606762B1 (ko) 탱크 외측의 액체 첨가제를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 및 그 방법
US11131228B2 (en) Method for preventing a risk of freezing in a reducing-agent feeding device of a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
US10634028B2 (en) Device for providing a liquid additive
US10240595B2 (en) Method for emptying a device for providing a liquid additive
CN108194172A (zh) 一种尿素泵蓄压腔用安全阀
RU2587800C2 (ru) По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жидкой добавки из бака и способ для этог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