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037B1 -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 - Google Patents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037B1
KR101754037B1 KR1020160113666A KR20160113666A KR101754037B1 KR 101754037 B1 KR101754037 B1 KR 101754037B1 KR 1020160113666 A KR1020160113666 A KR 1020160113666A KR 20160113666 A KR20160113666 A KR 20160113666A KR 101754037 B1 KR101754037 B1 KR 101754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eat
foot plate
seat por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구
Original Assignee
송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구 filed Critical 송재구
Priority to KR1020160113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등받이부와 발판이 서로 연동되어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할 방향을 직접 결정할 수 있으며, 발판에 발을 올린 상태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는 소정이 길이 및 폭을 가지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상방으로 기립되며, 상기 시트부의 폭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등받이부; 상기 시트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시트부의 하방에 구비되는 다리부; 및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시트부의 하방에 구비되며, 연동부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동작에 연동되며 이동되는 발판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Variable bench scaffolding has been equipped}
본 발명은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등받이부와 발판이 서로 연동되어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할 방향을 직접 결정할 수 있으며, 발판에 발을 올린 상태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에 관한 것이다.
야외의 공원이나 정류장 등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공공장소에는 앉아서 휴식을 취하거나 기다릴 수 있도록 벤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벤치는 대부분 등받이가 없거나 등받이와 시트가 일체형인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등받이가 없는 벤치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착석이 가능하지만, 허리를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등받이가 구비된 벤치가 선호되고 있다.
종래에는 단순히 시트와 등받이부가 결합된 벤치에 디자인 요소를 부가하여 디자인적으로 강조된 벤치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벤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기능이 부가된 기능성 벤치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능성 벤치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586479호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능성 벤치는 좌판과 다리를 갖는 야외용 벤치의 좌우 양측위 후방에 결합되며 후단에는 지지대를 기립 구성한 한 쌍의 브래킷과; 하부 양측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구가 구비된 덮개와; 상기 브래킷과 덮개를 회동결합시키는 힌지핀으로 구성되어 기존의 등받이가 없는 벤치의 후방에서 좌판과 브래킷을 결합수단에 의해 조립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브래킷은 서로 직교되게 형성되며 결합공이 다수 형성된 수평판과 수직판과; 상기 덮개의 결합구가 내입되어 힌지핀으로 결합하기 위해 수평판의 중간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한 쌍의 힌지플레이트와 지지대의 전면에 설치되어 덮개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접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기능성 벤치는 덮개가 좌판과 힌지 결합됨에 따라, 좌판의 상면을 덮는 보호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미사용시에는 벤치의 상부를 덮어 벤치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종래의 기능성 벤치는 덮개가 등받이 역할을 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벤치를 보호하는 보호수단으로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능성 벤치는 여전히 등받이부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바, 사용자가 착석할 방향을 선택하지 못하기 때문에, 벤치의 정면으로 태양광이 입사되는 경우 이용자가 태양광을 피할 수 없으며, 감상할 수 있는 풍경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KR 10-1586479 B1 2016.01.12.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등받이부와 발판이 서로 연동되어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할 방향을 직접 결정할 수 있으며, 발판에 발을 올린 상태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는 소정이 길이 및 폭을 가지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상방으로 기립되며, 상기 시트부의 폭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등받이부; 상기 시트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시트부의 하방에 구비되는 다리부; 및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시트부의 하방에 구비되며, 연동부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동작에 연동되며 이동되는 발판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시트부의 일측 끝단부에서 타측 끝단부까지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발판은, 상기 등받이부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동부는, 상기 시트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부의 하방에 구비되는 회전 중심축; 일측이 상기 등받이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 중심축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중심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발판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 중심축에 결합되는 회전기어; 및 상기 발판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기어에 맞물리는 렉기어를 포함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착석 방향을 결정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의 풍경을 감상하거나 입사광을 용이하게 피하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판이 등받이부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발판에 발을 올린 상태로 더욱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에 적용된 고정부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에 적용된 고정부의 사용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에 적용된 고정부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호부재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등받이부(200)와 발판(400)이 서로 연동되어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할 방향을 직접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발판(400)에 발을 올린 상태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a)는 등받이부가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b)는 등받이부가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시트부(100), 등받이부(200), 다리부(300) 및 발판(400)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본 발명은 실내외에 구분되지 않고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기 시트부(100), 등받이부(200), 다리부(300) 및 발판(400)은 내마모성, 내식성 및 기밀성 등의 성질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되, 견고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부(100)는 착석시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이 밀착되는 곳으로서,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되,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는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상기 등받이부(200)는 착석시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시트부(100)의 상방으로 기립되어 결합되되, 상기 시트부(100)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등받이부(200)는 상기 시트부(100)의 상방으로 기립된 상태로 상기 시트부(100)의 폭방향 일측 끝단부에서 상기 타측 끝단부까지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리부(300)는 상기 시트부(10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시트부(100)의 하방에 구비된다.
상기 다리부(3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4개가 장방형을 이루도록 구비되거나, 소정의 너비를 갖는 플레이트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시트부(100)를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발판(400)은 착석한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시트부(100)의 하방에 구비되며, 연동부(500)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200)의 이동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연동부(500)의 상부는 상기 등받이부(200)와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발판(400)과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등받이부(200)와 발판(400)은 동시에 이동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등받이부(200)가 폭방향 일단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발판(400)은 폭방향의 타단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등받이부(200)가 폭방향 타단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발판(400)은 폭방향의 일단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 등받이부(200)와 발판(40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연동부(50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발판(400)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되, 이용자가 편리하게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높이에 위치되되, 지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발판(400)은 격자형태로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천공홀(미도시)이 구비된 상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비, 눈 또는 이물질 등이 상기 발판(400)에 쌓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동부(500)는 회전 중심축(510), 연결부재(520) 및 구동부(5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회전 중심축(510)은 상기 등받이부(200)를 상기 시트부(10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시트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부(100)의 하부에 구비된다.
부연하면, 상기 회전 중심축(510)은 상단부가 상기 시트부(100)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시트부(100)의 하방에 배치되는 지지 브라켓(540)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회전 중심축(510)은 지면으로부터 상기 시트부(100)의 하면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대(미도시)가 상기 시트부(1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고, 한 쌍의 지지대에 상기 회전 중심축(510)의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지대는 상기 발판(400)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외측방향에 각각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발판(400)의 폭방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520)는 상기 등받이부(200)와 발판(400)이 서로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단부가 상기 등받이부(200)와 연결되고, 하단부가 회전 중심축(510)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부(2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부재(520)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530)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발판(400)을 알맞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 중심축(5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발판(400)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구동부(530)는 상기 회전 중심축(510)에 결합되는 회전기어(531) 및 상기 회전기어(531)에 맞물리면서 상기 발판(400)에 구비되는 렉기어(5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발판(400)은 상기 회전기어(531)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렉기어(532)는 상기 발판(400)의 상면에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기어(531)가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구동부(530)는 상기 회전기어(531)와 렉기어(532)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기어(53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발판(400)이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200)와 발판(400)이 서로 연동되어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작된다.
이때, 상기 발판(400)은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폭방향으로 이동되고 있는 바, 안정적인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 길이방향 양단이 해당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시트부(100)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결합된 다리를 제 1다리(310a), 길이방향의 타단측에 결합된 다리를 제 2다리(310b)라 할때, 상기 제 1다리(310a) 및 제 2다리(310b)의 마주보는 내측에는 각각 안내레일(320)이 구비되고, 상기 발판(400)의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상기 안내레일(320)은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다리(310a)와 제 2다리(310b)에 각각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다리부(300)가 막대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바(bar) 형태로 형성된 안내레일(320)은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300)가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안내레일(320)은 짧은 토막의 형태로 형성되어, 각 다리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판(400)은 이용자가 상기 등받이부(200)를 조절하여 착석한 상태에서 편리하게 발을 올릴 수 있어야 하는 바, 상기 등받이부(200)가 폭방향 일단 또는 타단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일 때, 상기 발판(400)의 타단 또는 일단은 상기 시트부(100)보다 외측으로 충분히 돌출되도록 하며, 상기 발판(400)의 폭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의 돌출길이가 서로 같도록 상기 안내레일(320)에 구비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안내레일(320)이 긴 바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발판(400)은 상기 시트부(100)의 폭에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시트부(10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발판(400)은 상기 회전기어(531)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폭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안내레일(320)이 짧은 토막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발판(400)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안내레일(3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발판(400)은 상기 시트부(100)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판(400)의 폭방향 일단 또는 타단이 완전히 돌출된 상태일 때, 반대쪽 끝단은 상기 안내레일(320)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발판(400)은 상기 안내레일(32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회전기어(531)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폭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받이부(200)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시트부(100) 또는 상기 다리부(300)에는 한 쌍의 각도 조절 돌기(1)가 폭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각도 조절 돌기(1) 사이에 연결부재(52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200)는 폭방향 일단에서 타단까지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 돌기(1)는 분리 및 삽입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등받이부(200)의 기립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시트부(100) 또는 상기 다리부(300)의 길이방향 양끝단부에는 복수 개의 각도 조절홈(1a)이 폭방향으로 이격되면서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각도 조절홈(1a)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각도 조절홈(1a)에 상기 각도 조절 돌기(1)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등받이부(20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 돌기(1)는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분실 위험을 줄이기 위해 연결선(2) 등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200)에 연결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선(2)은 고무 등의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도록 하며, 나선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등받이부(200)를 이동시킨 뒤 착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등받이부(200)를 폭방향 일단 또는 타단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등받이부(200)와 연결된 연결부재(520)가 상기 회전 중심축(51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등받이부(200)가 원하는 각도로 기립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 돌기(1)를 선택되는 하나의 각도 조절홈(1a)에 삽입하여 상기 연결부재(520)가 상기 각도 조절 돌기(1)에 걸림에 따라 동작이 멈추도록 한다.
이후, 상기 회전 중심축(510)의 회전과 함께 상기 회전기어(531)가 회전하게 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어(531)는 제자리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기어(531)에 맞물린 상기 렉기어(532)가 회전방향으로 밀려나도록 동력을 전달하게 됨에 따라 발판(400)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시트부(100)보다 폭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첨부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200) 및 발판(400)이 상기 시트부(100)의 폭방향 중심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부(200)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회전 중심축(510) 및 상기 회전기어(53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렉기어(532)에는 일측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되면서 상기 발판(400)이 일측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첨부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200)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회전 중심축(510) 및 상기 회전기어(53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렉기어(532)에는 타측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되면서 상기 발판(400)이 타측으로 이동된다.
통상적인 벤치는 등받이부(200)가 시트에 고정된 상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벤치의 정면으로 태양광이 입사되는 경우 태양광을 이용자가 태양광을 피할 수 없으며, 이용자가 감상할 수 있는 풍경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등받이부(2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착석 방향을 결정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의 풍경을 감상하거나 입사광을 용이하게 피하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등받이부(200)의 조절과 함께 발판(400)의 위치 또한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는 바, 상기 발판(400)에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더욱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에 적용된 고정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에 적용된 고정부의 사용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에 적용된 고정부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부(200)의 높낮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520)는 외부재(20), 내부재(10) 및 고정부(3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외부재(20)는 내부가 중공되어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이며, 상기 외부재(20)의 하단이 상기 회전 중심축(510)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내부재(10)는 내부가 중공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고정홈(11)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재(10)의 하단이 상기 외부재(20)의 상단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내부재(10)가 상기 외부재(20)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외부재(20) 상에 형성되는 삽입홈(21) 및 상기 삽입홈(21)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홈(11)에 삽입되는 고정핀(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등받이부(200)는 상기 고정홈(11)으로부터 고정핀(32)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재(10)를 슬라이딩 이동하며 원하는 높이가 되도록 조절한 뒤, 다시 상기 고정핀(32)을 상기 고정홈(11)으로 삽입하여 상기 등받이부(200)가 해당 위치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등받이부(200)의 높낮이 조절이 더욱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등받이부(200)의 길이방향 양끝단 상부에는 접이가 가능한 핸들(3)이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핸들(3)은 미사용시에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길이방향 양끝단에 각각 밀착되어 접힌 상태가 되도록 하며, 상기 등받이부(200)의 높낮이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 상기 핸들(3)을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등받이부(200)의 높이 조절을 위해서는 상기 고정핀(32)이 상기 삽입홈(21)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이용되는 것인 바, 상기 고정핀(32)이 해당위치에서 이탈되는 경우 분실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삽입홈(21)의 둘레를 전체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끝단이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31)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32)이 상기 걸림부(31)의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움직임이 제한되어 구비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즉,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등받이부(200)의 높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상기 고정핀(32)을 외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고정홈(11)에서 분리하는데, 상기 걸림부(31)에 의해 상기 삽입홈(2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못하고 상기 걸림부(31)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부연하면, 상기 고정핀(32)은 상기 고정홈(11)에 삽입되되, 상기 걸림부(31)의 내부에 배치되는 걸림돌기(32a) 및 일측이 상기 걸림부(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돌기(32a)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걸림부(31)를 통과하여 외부에 배치되는 손잡이(32b)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32a)는 상기 걸림부(31)의 돌출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32a)가 상기 고정홈(1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경우, 상기 걸림돌기(32a)는 상기 걸림부(31)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걸림부(31)의 절곡된 끝단에 의해 상기 걸림부(31)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핀(3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1)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32)과 고정홈(11)이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상호 구성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호부재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인 바, 상기 회전기어(531)와 렉기어(532)에 이물질 등이 끼이는 경우, 동작이 원활하게 실시되기 어려우며 파손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530)를 보호하기 위해서, 보호부재(4)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보호부재(4)는 상기 구동부(530)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호부재(4)에 의해 상기 구동부(530)는 외부로부터 일부 격리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보호부재(4)는 비닐 등의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발판(40))이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휘어지면서 구비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기 구동부(530)를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 : 각도 조절 돌기 1a : 각도 조절홈
2 : 연결선 3 : 핸들
4 : 보호부재
10 : 내부재 11 : 고정홈
20 : 외부재 21 : 삽입홈
30 : 고정부
31 : 걸림부 32 : 고정핀
100 : 시트부 110 : 동작 제한 돌기
200 : 등받이부
300 : 다리부 310a : 제 1다리
310b : 제 2다리 320 : 레일
400 : 발판
500 : 연동부 510 : 회전 중심축
520 : 연결부재 530 : 구동부
531 : 회전기어 532 : 렉기어
540 : 지지 브라켓

Claims (5)

  1.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시트부(100);
    상기 시트부(100)의 상방으로 기립되며, 상기 시트부(100)의 폭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면서, 상기 시트부(100)의 일측 끝단부에서 타측 끝단부까지 이동되는 등받이부(200);
    상기 시트부(10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시트부(100)의 하방에 구비되는 다리부(300); 및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시트부(100)의 하방에 구비되며, 연동부(500)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부(200)의 동작에 연동되면서 상기 등받이부(200)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발판(400);
    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부(100) 또는 상기 다리부(300)의 길이방향 양끝단부에는,
    복수 개의 각도 조절홈(1a)이 폭방향으로 이격되면서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등받이부(200)는,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나선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된 연결선(2)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200)와 연결되되, 상기 각도 조절홈(1a) 중 선택되는 하나에 삽입 결합되는 각도 조절 돌기(1)에 의해 기립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다리부(300)는,
    상기 시트부(100)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결합된 제 1다리(310a);
    상기 시트부(100)의 길이방향 타단측에 결합된 제 2다리(310b); 및
    상기 제 1다리(310a) 및 제 2다리(310b)의 마주보는 내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발판(400)의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내레일(320);
    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400)은,
    격자형태로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천공홀이 구비된 상태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등받이부(200)가 폭방향 일단 또는 타단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상기 발판(400)의 타단 또는 일단은 상기 시트부(10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되, 폭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동일한 돌출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동부(500)는,
    상기 시트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부(100)의 하방에 구비되는 회전 중심축(510);
    일측이 상기 등받이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 중심축(51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520); 및
    상기 연결부재(52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중심축(5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발판(400)을 이동시키는 구동부(530);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530)는,
    상기 회전 중심축(510)에 결합되는 회전기어(531); 및
    상기 발판(40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기어(531)에 맞물리는 렉기어(532);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520)는,
    내부가 중공되어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며, 하단이 상기 회전 중심축(510)에 결합되는 외부재(20);
    내부가 중공되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고정홈(11)이 소정거리 이격되며 구비된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단이 상기 외부재(20)의 상단으로 삽입 결합되는 내부재(10); 및
    상기 외부재(20) 상에 형성되는 삽입홈(21) 및 상기 삽입홈(21)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11)에 삽입되는 고정핀(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부(30);
    를 포함하여 상기 등받이부(20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삽입홈(21)의 둘레 전체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끝단이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31)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32)은,
    상기 고정홈(11)에 삽입되되, 상기 걸림부(3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걸림부(31)의 돌출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32a); 및
    일측이 상기 걸림부(31)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돌기(32a)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걸림부(31)를 통과하여 외부에 비치되는 손잡이부(32b);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3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1)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32)과 상기 고정홈(11)이 나사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등받이부(200)의 길이방향 양끝단 상부에는,
    접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핸들(3)이 구비되도록 하여, 미사용시에는 상기 등받이부(200)측으로 접힌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등받이부(200)의 높낮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펼쳐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13666A 2016-09-05 2016-09-05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 KR101754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666A KR101754037B1 (ko) 2016-09-05 2016-09-05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666A KR101754037B1 (ko) 2016-09-05 2016-09-05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037B1 true KR101754037B1 (ko) 2017-07-19

Family

ID=5942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666A KR101754037B1 (ko) 2016-09-05 2016-09-05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0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621Y1 (ko) * 2000-12-22 2001-06-15 정화식 의자 등받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621Y1 (ko) * 2000-12-22 2001-06-15 정화식 의자 등받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3634B2 (en) Expandable chair
ES2556609T3 (es) Compatibilidad mejorada para un mecanismo de enlace
US8585135B2 (en) Multi-position beach chair
US20180249836A1 (en) Reclining Chaise Lounge
CN101227847A (zh) 可反向的躺椅
JP6667019B2 (ja) 車いすのレッグレストのための装着デバイス
US20200015594A1 (en) Adjustment device for a headrest
JP2001008781A (ja) レッグレスト
US9901180B2 (en) Convertible chair
AU2001242093A1 (en) Chair and table assembly
US7195310B2 (en) Collapsible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KR101754037B1 (ko) 발판이 구비된 가변형 벤치
WO2015071825A1 (en) Sunbathing bed
EP3225134B1 (en) Chair
KR101058333B1 (ko) 접이식 의자
KR20100104459A (ko) 의자용 접철식 차양장치
US10973716B2 (en) Adjustable support legs for a mattress foundation
WO2007021179A1 (en) Piece of furniture
ITTO20100992A1 (it) Poltrona trasformabile in chaise longue
KR102246194B1 (ko) 기립형 휠체어
KR101187011B1 (ko) 다기능 낚시의자
US7950744B2 (en) Collapsible integral foot rest
KR200470234Y1 (ko) 다용도 침대
US20180132618A1 (en) Convertible Chair
KR100990509B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