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835B1 -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835B1
KR101753835B1 KR1020150136757A KR20150136757A KR101753835B1 KR 101753835 B1 KR101753835 B1 KR 101753835B1 KR 1020150136757 A KR1020150136757 A KR 1020150136757A KR 20150136757 A KR20150136757 A KR 20150136757A KR 101753835 B1 KR101753835 B1 KR 101753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on
portab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server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7317A (ko
Inventor
황영오
이효진
Original Assignee
황영오
이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오, 이효진 filed Critical 황영오
Priority to KR1020150136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83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7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W4/00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서비스 방법은 쿠폰서버가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링크된 쿠폰 번호를 생성하여 전화번호와 쿠폰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쿠폰서버가 상기 전화번호를 갖는 휴대통신 장치로 쿠폰번호가 포함된 소정의 템플릿을 갖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휴대통신장치의 앱이 실행되어 쿠폰번호 입력이 요구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때, 먼저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문자메시지 보관함을 검색하여 쿠폰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쿠폰번호를 쿠폰번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입력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결제진행 버튼이 터치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입력된 쿠폰번호를 상기 쿠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쿠폰서버는 쿠폰번호를 쿠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쿠폰번호와 링크되어 함께 저장된 전화번호와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to service coupon using application in mobile phone and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쿠폰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통신장치에 설치된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쿠폰이란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거나 상품 또는 서비스를 광고하기 위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의 할인권 및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교환권을 말한다. 이러한 쿠폰은 종이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최근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이 대중화되면서 휴대통신장치에 다운로드된 바코드 또는 고유값을 갖는 쿠폰번호가 쿠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쿠폰의 형태가 다양화되고 있다.
그런데, 쿠폰 사용자가 휴대통신장치에 설치된 앱을 실행하여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서비스에 대해 쿠폰을 이용하여 결제하고자 할 때, 쿠폰 번호를 입력해야 한다. 이 때, 쿠폰번호를 잘못 입력하거나 쿠폰번호를 구성하는 문자와 숫자가 혼동을 일으킬 수 있어 번거롭고 불편하다.
또한, 쿠폰이 유통되면 쿠폰 소지자가 다양해지게 되고, 쿠폰의 부적절한 사용에 악용될 수 있는 소지가 발생할 수 있으며, 쿠폰을 이용하여 고객을 관리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쿠폰의 부적절한 사용에 악용될 수 있는 소지가 발생할 수 있으며,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3093호(2015.08.17.) 등록특허공보 제10-1326593호(2013.12.19.)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5040호(2013.07.05)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3256호(2014.05.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쿠폰 운용업체가 쿠폰을 관리 가능한 고객에게만 사용되게 함으로써 쿠폰의 부적절한 사용을 막고 고객 관리가 가능한,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쿠폰 운용업체가 쿠폰을 관리 가능한 고객에게만 사용되게 함으로써 쿠폰의 부적절한 사용을 막고 고객 관리가 가능한,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시스템에 사용되는 휴대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은 (a) 쿠폰서버가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링크된 쿠폰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화번호와 쿠폰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쿠폰서버가 상기 전화번호를 갖는 휴대통신 장치로 상기 생성된 쿠폰번호가 포함된 소정의 템플릿을 갖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휴대통신장치에 설치된 서비스 앱이 실행되어 쿠폰번호 입력이 요구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앱은 먼저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문자메시지 보관함을 검색하여 쿠폰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휴대통신장치에 설치된 앱은 상기 획득된 쿠폰번호를 쿠폰번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입력하여 입력된 쿠폰번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e) 쿠폰번호가 입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하는 결제진행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입력된 쿠폰번호를 상기 쿠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쿠폰서버는 상기 휴대통신장치로부터 쿠폰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쿠폰번호를 쿠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쿠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쿠폰번호와 링크되어 함께 저장된 전화번호와 상기 쿠폰번호를 전송한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하는 단계; 및 (g) 상기 쿠폰번호가 유효하면 상기 쿠폰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의 쿠폰번호는 쿠폰 발행 대상을 개인과 단체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주체에 따라 쿠폰번호의 자리수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쿠폰서버가 상기 휴대통신장치 전화번호와 쿠폰번호 자리수를 이용하여 보안키를 생성하고,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쿠폰번호를 암호화하고, 상기 전화번호, 보안키 및 쿠폰번호를 쿠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쿠폰서버가 상기 암호화된 쿠폰번호를 상기 휴대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쿠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와 쿠폰번호 자리수에 해당하는 보안키를 획득하고,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쿠폰번호를 복호화 하고, 복호화된 쿠폰번호와 미리 저장된 쿠폰번호가 일치하고,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와 상기 쿠폰번호에 링크되어 저장된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시스템은, 쿠폰번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전화번호와 링크하며,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휴대통신장치로 상기 생성된 쿠폰번호를 전송하는 쿠폰서버; 및 결제시 상기 쿠폰번호를 필요로 하는 앱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쿠폰서버로부터 쿠폰번호를 수신하여 문자메시지 보관함에 저장하는 휴대통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통신장치에 설치된 앱은 쿠폰번호 입력이 요구되는 서비스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통신기기의 문자메시지 보관함을 검색하여 쿠폰번호를 획득하여 쿠폰번호가 입력된 쿠폰번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쿠폰서버는 상기 휴대통신장치로부터 쿠폰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쿠폰번호를 쿠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쿠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쿠폰번호에 링크된 전화번호와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하고, 상기 쿠폰에 미리 설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폰서버는 쿠폰 발행 대상을 개인과 단체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주체에 따라 쿠폰번호의 자리수를 달리하여 쿠폰번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쿠폰서버는 상기 휴대통신 장치의 전화번호와 쿠폰번호 자리수를 이용하여 보안키를 생성하고,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쿠폰번호를 암호화하고, 상기 전화번호, 보안키 및 쿠폰번호를 쿠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암호화된 쿠폰번호를 상기 휴대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쿠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보안키를 획득하고,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쿠폰번호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쿠폰번호와 미리 저장된 쿠폰번호가 일치하고,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와 상기 쿠폰 데이터 베이스에 쿠폰번호에 링크되어 저장된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통신장치는 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용 결제 시 쿠폰번호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앱; 및 쿠폰서버로부터 쿠폰번호를 수신하여 문자메시지 보관함에 저장하는 SMS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앱이 실행되어 쿠폰번호 입력이 요구되는 서비스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앱은 상기 문자메시지 보관함을 검색하여 쿠폰번호를 획득하여 쿠폰번호가 입력된 쿠폰번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쿠폰번호가 입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하는 결제진행 버튼이 터치되면 쿠폰 인증을 위해 쿠폰서버로 쿠폰번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때 상기 쿠폰서버는 쿠폰 발행 대상을 개인과 단체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주체에 따라 쿠폰번호의 자리수를 달리하여 쿠폰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휴대통신 장치의 전화번호와 쿠폰번호 자리수를 이용하여 보안키를 생성하여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쿠폰번호를 암호화하고, 상기 전화번호, 보안키 및 쿠폰번호를 쿠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암호화된 쿠폰번호를 상기 휴대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쿠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보안키를 획득하고,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쿠폰번호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쿠폰번호와 미리 저장된 쿠폰번호가 일치하고,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와 상기 쿠폰 데이터 베이스에 쿠폰번호에 링크되어 저장된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앱을 실행하여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결제할 때, 쿠폰 번호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UI화면에 자동으로 쿠폰 번호가 입력됨으로써 쿠폰번호를 잘못 입력하거나 쿠폰번호를 구성하는 문자와 혼동을 피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등록된 전화번호를 갖는 휴대통신장치를 통해서만 서비스가 됨으로써, 쿠폰의 부적절한 사용을 막고, 쿠폰관리 및 고객관리가 용이하며, 쿠폰번호를 전화번호와 쿠폰 자리수를 이용하여 보안키를 생성하여 암호화함으로써 권한 없는 사용자의 쿠폰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의 일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쿠폰서버(120)의 세부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S300단계에 대한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S350단계에 대한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앱의 일예로 이름짓기, 호짓기, 태명, 이름풀이 등을 제공하는 앱의 첫 UI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도 6a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메뉴를 선택한 후 앱에서 요구하는 사주팔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UI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c는 도 6b의 사주팔자 정보 입력이 제대로 되었는지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UI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앱의 발음오행에 대한 서비스 UI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b는 앱의 쿠폰번호가 입력된 UI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c는 쿠폰번호가 쿠폰서버로 전송된 후 쿠폰 서버에서 할인율이 적용된 결제처리 후의 앱을 통해 휴대통신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UI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앱이 설치되어 있는 휴대통신장치(100, 110)와 쿠폰서버(120)는 네트워크(1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16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는 휴대통신장치(100) 및 쿠폰서버(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쿠폰서버(120)는 쿠폰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쿠폰번호와 사용자 전화번호를 링크하며,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휴대통신장치로 상기 생성된 쿠폰번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매장에서 지류(紙類) 상품권을 판매할 때 쿠폰서버(120)에 상기 상품권에 해당하는 쿠폰번호와 구매자의 핸드폰 번호를 바코드 형태로 등록할 수 있다. 필요하면 상품권 구매자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도 등록할 수 있다. 휴대통신장치(100)는 결제시 상기 쿠폰번호를 필요로 하는 앱이 설치되어 있고, 쿠폰서버(120)로부터 쿠폰번호를 수신하여 휴대통신장치(100)의 문자메시지 보관함에 저장한다.
휴대통신장치(100)에 설치된 앱은 쿠폰번호 입력이 요구되는 서비스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문자메시지 보관함을 검색하여 쿠폰번호를 획득하여 쿠폰번호가 입력된 쿠폰번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쿠폰서버(120)의 세부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쿠폰번호 생성부(200), 쿠폰 인증부(210), 쿠폰 DB(220) 및 결제부(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쿠폰 암호화 복호화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쿠폰 인증부(210)는 쿠폰서버(120)가 휴대통신장치(100)로부터 쿠폰번호를 수신하면 쿠폰 DB(220)에 상기 수신된 쿠폰번호가 있는지 검색하고, 쿠폰 DB(220)에서 쿠폰번호가 존재하면 상기 쿠폰번호와 링크된 전화번호와 상기 휴대통신장치(100)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한다.
결제부(230)는 상기 쿠폰 인증부(210)를 통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쿠폰에 미리 설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결제한다.
쿠폰번호 생성부(200)는 쿠폰 발행 대상을 개인과 단체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주체에 따라 쿠폰번호의 자리수를 달리하여 쿠폰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단체는 다수의 쿠폰을 발급받아 고객에게 판매하거나 선물로 제공하는 대리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개인이나 단체를 구별하기 위해 쿠폰번호를 구성하는 자리수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은 12자리의 쿠폰번호를 부여하고, 단체는 9자리의 쿠폰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쿠폰번호 암호화복호화부(240)는 쿠폰번호 암호화를 위해, 휴대통신장치(100)의 전화번호와 쿠폰번호 자리수를 이용하여 보안키를 생성하고,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쿠폰번호를 암호화하고, 상기 전화번호, 보안키 및 쿠폰번호를 쿠폰 DB(220)에 저장한다.
그리고 쿠폰번호 암호화복호화부(240)는 쿠폰번호 복호화를 위해서는, 상기 암호화된 쿠폰번호를 휴대통신장치(100)로부터 수신하면, 쿠폰 DB(220)를 검색하여 보안키를 획득하고,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쿠폰번호를 복호화한다.
이 때, 쿠폰 인증부(210)는 복호화된 쿠폰번호와 미리 저장된 쿠폰번호가 일치하고,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와 상기 쿠폰 DB(220)에 쿠폰번호에 링크되어 저장된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한다.
한편, 매장에서 지류(紙類) 상품권을 판매할 때 쿠폰서버(120)에 상기 상품권에 해당하는 쿠폰번호와 구매자의 핸드폰 번호를 바코드 형태로 등록할 수 있다. 필요하면 상품권 구매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도 등록할 수 있다. 이렇게 인적 사항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지류 상품권을 분실했을 경우에도 휴대통신장치의 온라인 상품권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품권 구매자는 쿠폰북 앱을 자신의 휴대통신장치(100)에 설치하고, 쿠폰서버(120)에 상품권 바코드가 등록되면, 구매자의 휴대통신장치를 인증번호를 통해 본인확인을 하고, 미리 설치된 쿠폰북에 상품권에 상응하는 전자쿠폰의 이미지와 함께 바코드를 휴대통신장치(100)에 저장한다.상기 쿠폰 앱의 내 쿠폰함에 저장된 전자쿠폰은 지류 상품권과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전자쿠폰을 제3자에게 선물하거나 양도할 경우, 전자쿠폰을 받을 상대방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쿠폰을 전송한다. 이 때 상대방의 휴대통신장치에도 쿠폰북 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쿠폰번호는 쿠폰서버에 전달되어 저장된다. 상기 쿠폰북에 등록된 전자쿠폰(상품권)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된 100,000원 상품권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할 경우 잔액이 남아 있으면 잔액이 표시되며, 캐시백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쿠폰서버(120)가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링크된 쿠폰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화번호와 쿠폰번호를 저장한다.(S300 단계) 여기서, 상기 쿠폰번호는 쿠폰 발행 대상을 개인과 단체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주체에 따라 쿠폰번호의 자리수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단체는 다수의 쿠폰을 발급받아 고객에게 판매하거나 선물로 제공하는 대리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개인이나 단체를 구별하기 위해 쿠폰번호를 구성하는 자리수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은 12자리의 쿠폰번호를 부여하고, 단체는 9자리의 쿠폰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쿠폰서버(120)가 상기 전화번호를 갖는 휴대통신장치(100)로 상기 생성된 쿠폰번호가 포함된 소정의 템플릿을 갖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S310 단계) 여기서 상기 템플릿은 쿠폰번호, 쿠폰유효기간, 쿠폰 종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통신장치(100)에 설치된 서비스 앱이 실행되어 쿠폰번호 입력이 요구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앱은 먼저 휴대통신장치(100)의 문자메시지 보관함을 검색하여 쿠폰번호를 추출하여 획득한다.(S320 단계)
상기 휴대통신장치(100)에 설치된 앱은 상기 획득된 쿠폰번호를 쿠폰번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입력하고 입력된 쿠폰번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330 단계)
쿠폰번호가 입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하는 결제진행 버튼이 터치되면, 휴대통신장치(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입력된 쿠폰번호를 쿠폰서버(120)로 전송한다.(S340 단계)
쿠폰서버(120)는 휴대통신장치(100)로부터 쿠폰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쿠폰번호를 쿠폰 데이터베이스(220)에서 검색하고, 쿠폰 인증부(210)는 쿠폰 데이터베이스(220)에서 검색된 쿠폰번호와 링크되어 함께 저장된 전화번호와 상기 쿠폰번호를 전송한 휴대통신장치(100)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한다.(S350 단계)
결제부(230)는 상기 인증결과 쿠폰번호가 유효하면 상기 쿠폰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결제한다.(S360 단계)
도 4는 도 3의 S300단계에 대한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설명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S350단계에 대한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쿠폰서버(120)는 쿠폰번호를 생성할 때 쿠폰 발행 대상을 개인과 단체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주체에 따라 쿠폰번호의 자리수를 달리하여 쿠폰번호를 생성한다.(S400 단계) 그리고 나서 쿠폰서버(120)가 휴대통신장치(100)의 전화번호와 쿠폰번호 자리수를 이용하여 보안키를 생성하고(S410단계),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쿠폰번호를 암호화하고(S420단계), 상기 전화번호, 보안키 및 쿠폰번호를 쿠폰 데이터 베이스(220)에 저장할 수도 있다.(S430단계)
이 때, 도 5를 참조하면, 쿠폰서버(120)가 상기 암호화된 쿠폰번호를 휴대통신장치(100)로부터 수신하면(S500단계), 쿠폰 암호화복호화부(240)는 쿠폰 데이터 베이스(220)를 검색하여 휴대통신장치(100)의 전화번호와 쿠폰번호 자리수에 해당하는 보안키를 획득하고(S510단계),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쿠폰번호를 복호화 한다.(S520단계) 그리고 나서 쿠폰인증부(210)는 복호화된 쿠폰번호와 미리 저장된 쿠폰번호가 일치하고, 휴대통신장치(100)의 전화번호와 상기 쿠폰번호에 링크되어 저장된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한다.(S530단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휴대통신장치의 앱이 제공하는 UI화면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앱의 일예로 이름짓기, 호짓기, 태명, 이름풀이 등을 제공하는 앱(명앤명 앱)의 첫 UI 화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6b는 도 6a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메뉴를 선택한 후 명앤명 앱에서 요구하는 사주팔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UI화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6c는 도 6b의 사주팔자 정보 입력이 제대로 되었는지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UI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명앤명 앱의 발음오행에 대한 서비스 UI 화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7b는 쿠폰번호가 입력된 UI 화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7c는 쿠폰번호가 쿠폰서버로 전송된 후 쿠폰 서버에서 할인율이 적용된 결제처리 후의 앱을 통해 휴대통신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UI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 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일일이 쿠폰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앱에서 쿠폰번호를 자동으로 입력하여 UI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은 앱 뿐만아니라 웹 기반의 포털 플랫폼(web)에서도 제공 가능하다. 웹 기반의 포털 플랫폼에 입점한 기업회원, 개인회원들 중 쿠폰 서비스가 필요할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쿠폰 서비스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서버가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링크된 쿠폰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화번호와 쿠폰번호를 저장한다.
웹 기반의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쿠폰번호 입력이 요구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때, 쿠폰번호를 쿠폰번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입력하고, 입력된 쿠폰번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쿠폰번호가 입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결제진행 버튼을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결제진행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입력된 쿠폰번호를 쿠폰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쿠폰서버는 상기 전송된 쿠폰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쿠폰번호를 쿠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쿠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쿠폰번호와 링크되어 함께 저장된 전화번호와,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한다. 상기 쿠폰번호가 유효하면 상기 쿠폰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결제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10 : 휴대통신장치
120 : 쿠폰서버 130 : 네트워크
200 : 쿠폰번호 생성부 210 : 쿠폰인증부
220 : 쿠폰 DB 230 : 결제부
240 : 쿠폰 암호화 복호화부

Claims (7)

  1. (a) 쿠폰서버가 쿠폰을 발행할 때, 권한 없는 사용자의 쿠폰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와 링크된 쿠폰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화번호와 쿠폰번호를 쿠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쿠폰서버가 상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휴대통신장치로 상기 생성된 쿠폰번호가 포함된 소정의 템플릿을 갖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상기 쿠폰번호가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문자메시지 보관함에 저장하고, 상기 휴대통신장치에서 쿠폰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실행되고,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결제를 위해 쿠폰번호 입력이 요구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때, 상기 앱은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문자메시지 보관함을 검색하여 쿠폰이 존재하면 상기 쿠폰서버로부터 받은 쿠폰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앱은 상기 획득된 쿠폰번호를 결제창의 쿠폰번호 입력을 요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출력하여 상기 쿠폰번호가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게 하는 단계;
    (e) 상기 앱에 의해 쿠폰번호가 입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결제진행 버튼이 제공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결제진행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입력된 쿠폰번호를 상기 쿠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쿠폰서버는 상기 휴대통신장치로부터 쿠폰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쿠폰번호를 상기 쿠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수신한 쿠폰번호가 상기 쿠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쿠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쿠폰번호와 링크되어 함께 저장된 전화번호와 상기 쿠폰번호를 전송한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하는 단계; 및
    (g) 상기 쿠폰번호가 유효하면 상기 쿠폰에 미리 설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쿠폰번호는
    쿠폰 발행 대상을 개인과 단체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쿠폰 발행 대상에 따라 쿠폰번호의 자리수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쿠폰서버가 상기 휴대통신장치 전화번호와 쿠폰번호 자리수를 이용하여 보안키를 생성하고,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쿠폰번호를 암호화하고, 상기 전화번호, 보안키 및 쿠폰번호를 쿠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쿠폰서버가 상기 암호화된 쿠폰번호를 상기 휴대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쿠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와 쿠폰번호 자리수에 해당하는 보안키를 획득하고,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쿠폰번호를 복호화 하고, 복호화된 쿠폰번호와 미리 저장된 쿠폰번호가 일치하고,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와 상기 쿠폰번호에 링크되어 저장된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
  4.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링크된 쿠폰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상기 쿠폰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쿠폰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휴대통신장치로 상기 생성된 쿠폰번호를 전송하는 쿠폰서버; 및
    결제시 상기 쿠폰번호를 필요로 하는 앱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쿠폰서버로부터 쿠폰번호를 수신하여 문자메시지 보관함에 저장하는 휴대통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통신장치에 설치된 앱은
    쿠폰번호 입력이 요구되는 서비스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문자메시지 보관함을 검색하여 쿠폰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쿠폰번호가 쿠폰번호 입력을 요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출력하여 상기 쿠폰번호가 입력된 결제창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마련되어 있는 결제진행 버튼이 터치 되면,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입력된 쿠폰번호를 상기 쿠폰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쿠폰서버는
    상기 휴대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쿠폰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쿠폰번호를 상기 쿠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쿠폰번호가 존재하면, 상기 쿠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쿠폰번호에 링크된 전화번호와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하고, 상기 쿠폰에 미리 설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서버는
    쿠폰 발행 대상을 개인과 단체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쿠폰 발행 대상에 따라 쿠폰번호의 자리수를 달리하여 쿠폰번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서버는
    상기 휴대통신 장치의 전화번호와 쿠폰번호 자리수를 이용하여 보안키를 생성하고,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쿠폰번호를 암호화하고, 상기 전화번호, 보안키 및 쿠폰번호를 상기 쿠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암호화된 쿠폰번호를 상기 휴대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쿠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보안키를 획득하고,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쿠폰번호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쿠폰번호와 미리 저장된 쿠폰번호가 일치하고,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와 상기 쿠폰 데이터 베이스에 쿠폰번호에 링크되어 저장된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시스템.
  7. 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용 결제 시 쿠폰번호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앱; 및
    전화번호와 링크된 쿠폰을 생성하는 쿠폰서버로부터 쿠폰번호를 수신하여 문자메시지 보관함에 저장하는 SMS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앱이 실행되어 쿠폰번호 입력이 요구되는 서비스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앱은 상기 문자메시지 보관함을 검색하여 쿠폰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쿠폰번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출력하여 상기 쿠폰번호가 입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쿠폰번호가 입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하는 결제진행 버튼이 터치되면 쿠폰 인증을 위해 쿠폰서버로 쿠폰번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쿠폰서버는
    쿠폰 발행 대상을 개인과 단체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쿠폰 발행 대상에 따라 쿠폰번호의 자리수를 달리하여 쿠폰번호를 생성하고,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와 쿠폰번호 자리수를 이용하여 보안키를 생성하여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쿠폰번호를 암호화하고, 상기 전화번호, 보안키 및 쿠폰번호를 쿠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암호화된 쿠폰번호를 상기 휴대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쿠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보안키를 획득하고,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쿠폰번호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쿠폰번호와 미리 저장된 쿠폰번호가 일치하고, 상기 휴대통신장치의 전화번호와 상기 쿠폰 데이터 베이스에 쿠폰번호에 링크되어 저장된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유효한 쿠폰으로 인증하는, 휴대통신장치.
KR1020150136757A 2015-09-25 2015-09-25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75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757A KR101753835B1 (ko) 2015-09-25 2015-09-25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757A KR101753835B1 (ko) 2015-09-25 2015-09-25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317A KR20170037317A (ko) 2017-04-04
KR101753835B1 true KR101753835B1 (ko) 2017-07-19

Family

ID=5858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757A KR101753835B1 (ko) 2015-09-25 2015-09-25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8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635A (ko) 2020-04-27 2020-09-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재사용 가능한 컵 사용에 대한 보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317A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28609A1 (en) Secure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using a registered mobile device
US1163107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wallet provisioning
US20130339188A1 (en) Gift token
CN107251595A (zh) 用户和移动装置的安全认证
US11238454B2 (en) Biometric data 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mobile devices
US20160042352A1 (en) Authentication on mobile device using two-dimensional code
US20160048836A1 (en) Secure payment transaction system
JP2014512058A (ja) ディジタルトークン生成器、ディジタルトークンを記録するためのサーバ、およびディジタルトークンを発行するための方法
US11296884B2 (en) Secure digit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JP4588529B2 (ja) 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最適サービス提供方法
JP5779615B2 (ja) 多様な決済手段を用いるars認証ベースの決済システム及び決済方法
JP2006048390A (ja) 二次元コード利用者認証方法、および二次元コード利用者認証システム
KR20150011933A (ko) 가맹점 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JP2010102726A (ja) 二次元コード利用者認証方法、および二次元コード配信サーバ
EP4372655A2 (en) A digital, personal and secure electronic access permission
US20210111894A1 (en) Secure digit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KR101753835B1 (ko)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8152338A (ja) 携帯情報端末を利用した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70065852A (ko) 인증번호를 이용한 제품의 정품 인증 방법
JP2018055149A (ja) 出荷製品認証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JP2012181652A (ja) インセンティブ提供システム
KR20180131728A (ko) 간편일회용전자서명 방법
JP6888155B1 (ja) 決済システムおよび決済方法
KR102397651B1 (ko) 사용자 맞춤형 광고 방법 및 시스템
US20240187239A1 (en) Secure digit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