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516B1 -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516B1
KR101753516B1 KR1020160020770A KR20160020770A KR101753516B1 KR 101753516 B1 KR101753516 B1 KR 101753516B1 KR 1020160020770 A KR1020160020770 A KR 1020160020770A KR 20160020770 A KR20160020770 A KR 20160020770A KR 101753516 B1 KR101753516 B1 KR 101753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ixing
opening
unit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중
권영욱
조정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0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24F1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은 데이터센터 내부의 공기의 유입여부를 제어하는 내기유입구; 상기 내기유입구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여과되는 내기여과부; 외부의 공기의 유입여부를 제어하는 외기유입구; 상기 외기유입구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여과되는 외기여과부; 상기 내기여과부와 상기 외기여과부 사이에 배치되며, 습도 조절부가 구비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혼합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유동발생부; 상기 유동발생부로부터 유동되는 공기를 상기 데이터센터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 상기 유동발생부의 입구측에 배치되는 댐퍼부; 및 상기 내기여과부로부터 유입된 공기 또는 상기 외기여과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습도 조절부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댐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BUILT-UP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 밀집해 있는 건물 내에는 데이터센터의 공간이 배치되어 있다. 상세히, 데이터 센터란,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장비, 저장장비 등이 설치된 공간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러한 데이터 센터의 경우, 사무실과 장비들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에너지의 소비가 많음과 동시에 1년 365일 24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가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데이터센터 내부에 공기는 장비작동에 알맞은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데이터 센터와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에 대한 선행기술문헌은 아래와 같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출원번호 10-2014-0026354 (발명의 명칭 : 데이터센터용 빌트업 공기조화장치)
그런데, 종래의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데이터 센터 내부의 공기 또는 외부의 공기를 조화시키는 과정에서, 조화되는 공기의 습도조절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와 관계없이 조회되는 공기가 모두 습도조절부를 통과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외기나 내기의 습도의 조절이 필요없는 경우에도, 외기나 내기가 습도조절부를 통과하게 됨에 따라, 공기의 유동경로가 길어지고, 이에 따라 공기조화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셋째, 외부환경이 자주 바뀌는 지역(예를 들어, 우리나라와 같이 사계절이 존재하거나 우기와 건기가 나누어져 있는 지역)에 데이터센터가 설치된 경우,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라 외기의 습도조절 유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데이터센터 내부의 내기와 외부의 외기의 가습여부를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은, 내기가 유입되고 여과되는 내기유입구 및 내기여과부와, 외기가 유입되고 여과되는 외기유입구 및 외기여과부 사이에 배치되고, 습도 조절부가 구비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혼합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켜 상기 데이터센터로 배출시키는 유동발생부 및 공기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동발생부의 입구측에는 댐퍼부가 배치되어, 제어부가 상기 내기여과부로부터 유입된 공기 또는 상기 외기여과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습도 조절부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댐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데이터센터 내부의 공기를 공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외기 또는 내기의 습도조절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외부환경이 자주 변화하는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설치할 경우, 변화된 외부환경에 따라 외기의 습도조절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데이터센터 내부의 공기를 조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외기의 습도조절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외기가 습도조절부를 통과하지 않게 함으로써, 습도조절부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습도조절부의 동작에 사용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외기의 습도조절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외기가 습도조절부를 통과하지 않게 함으로써, 외기의 유동경로가 짧아짐에 따라 공기조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이 제1 환기운전 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이 제2 환기운전 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이 제1 외기운전 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이 제2 외기운전 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이 제1 혼합운전 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이 제2 혼합운전 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은, 건물의 데이터 센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외부의 외기 및 데이터 센터의 내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기조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상세히, 상기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은 일측이 상기 데이터 센터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와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은, 내기유입구(110), 내기여과부(120), 외기유입구(130), 외기여과부(140), 제1 혼합부(150), 제2 혼합부(160), 유동발생부(210) 및 공기배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은 제1 층(100) 및 상기 제1 층(100)의 하측에 배치된 제2 층(200)의 두 개의 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기유입구(110), 상기 내기여과부(120), 상기 외기유입구(130), 상기 외기여과부(140), 상기 제1 혼합부(150) 및 상기 제2 혼합부(160)는 상기 제1 층(100)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유동발생부(210) 및 상기 공기배출부(220)는 상기 제2 층(200)에 배치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내기유입구(110)는 일측이 상기 데이터 센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내기를 상기 내기여과부(12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내기유입구(110)는 상기 내기여과부(120)로 유입되는 내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내기유입구(110)는 제1 댐퍼(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댐퍼(111)는 온/오프(On/Off) 동작하여, 상기 내기유입구(110)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내기여과부(120)로 유입되는 상기 데이터 센터의 내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댐퍼(111)가 온 동작하는 경우, 상기 내기유입구(110)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제1 댐퍼(111)가 오프 동작하는 경우, 상기 내기유입구(110)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내기여과부(120)는 일측이 상기 내기유입구(1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내기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상기 데이터센터의 내기를 공급받아 여과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내기여과부(120)는 상기 내기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데이터센터의 내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제1 필터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121)는 상기 데이터센터로부터 유입되는 내기를 여과하는 역할을 하며, 내기에 포함되어 있는 통상의 분진이나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외기유입구(130)는 일측이 외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외부의 외기를 상기 외기여과부(14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기유입구(130)는 상기 외기여과부(140)로 유입되는 외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외기유입구(130)는 제2 댐퍼(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댐퍼(131)는 온/오프 동작하여 상기 외기유입구(130)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외기여과부(140)로 유입되는 외부의 외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댐퍼(131)가 온 동작하는 경우, 상기 외기유입구(130)는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제2 댐퍼(131)가 오프동작 하는 경우, 상기 외기유입구(130)는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외기여과부(140)는 일측이 상기 외기유입구(13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외기유입구(130)로부터 유입된 외부의 외기를 공급받아 여과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기여과부(140)는 상기 외기유입구(130)로부터 유입되는 외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제2 필터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부(141)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2 필터부(141)는 1차필터(141a) 및 2차필터(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필터(141a)는 상기 외기유입구(130)로부터 유입되는 외기를 1차 필터링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한 제1 필터부(121)와 동일한 구성인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2차필터(141b)는 상기 1차필터(141a)로부터 필터링 되지 않은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1차필터(141a)보다는 필터링 효율이 높은 필터일 수 있다. 상기 외기유입구(13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는, 외부로부터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센터로부터 유입되는 내기보다 더욱 많은 이물질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필터부(141)는 상기 1차필터(141a) 및 상기 2차필터(141b)를 통해 2차에 걸쳐 외기를 필터링함으로써, 외부의 외기의 여과정도를 상기 데이터센터의 공기의 여과정도와 유사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혼합부는 상기 내기여과부(120) 및 상기 외기여과부(1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기여과부(120)로부터 유입되는 내기와 상기 외기여과부(140)로부터 유입되는 외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혼합부는 상기 제1 혼합부(150) 및 제2 혼합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혼합부(150)는 상기 내기여과부(120)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혼합부(160)는 상기 외기여과부(140)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부는, 상기 제1 혼합부(150) 및 상기 제2 혼합부(16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혼합부(150)로부터 공급받은 내기 또는 상기 제2 혼합부(160)로부터 공급받은 외기의 습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습도조절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도조절부(170)는 상기 제1 혼합부(150)와 상기 제2 혼합부(16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혼합부(150)로부터 유입되는 내기와, 상기 제2 혼합부(150)로부터 유입되는 외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습도조절부(170)는 일측이 상기 제1 혼합부(150)의 출구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혼합부(160)의 입구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혼합부(150)는 상기 내기여과부(120)로부터 유입되는 내기 및 상기 제2 혼합부(160)로부터 상기 습도조절부(170)를 통해 습도가 조절된 외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유동발생부(210)로 배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혼합부(150)는 하단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제1 개구(15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152)를 개폐할 수 있는 제1 혼합댐퍼(1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혼합댐퍼(151)가 온/오프 동작하여 상기 제1 개구(152)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 혼합부(150)로부터 상기 유동발생부(210)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혼합부(150)는 냉각부(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각부(153)는 상기 내기여과부(120)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기여과부(12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각부(153)는, 냉매 또는 냉각수를 이용한 코일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기여과부(12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각부(153)는 열전달면적 및 효율이 좋은 오발타입(Oval type) 형태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나, 공기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냉각부(153)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부(153)의 열교환에 의해 발생되는 비증발수를 집수하기 위한 드레인팬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153)에 의해 발생된 비증발수는 상기 드레인팬에 집수되어, 상기 드레인팬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레인팬은 상기 제1 혼합부(150)의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닥면으로 비증발수가 효율적으로 집수될 수 있다.
상기 제2 혼합부(160)는 상기 외기여과부(140)로부터 유입되는 외기 및 상기 제1 혼합부(150)로부터 상기 습도조절부(170)를 통해 습도가 조절된 내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유동발생부(210)로 배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혼합부(160)는 하단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제2 개구(16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162)를 개폐할 수 있는 제2 혼합댐퍼(1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혼합댐퍼(152)가 온/오프 동작하여 상기 제2 개구(162)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2 혼합부(160)로부터 상기 유동발생부(210)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혼합댐퍼(151) 및 상기 제2 혼합댐퍼(152)는 댐퍼부(151,161)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은 상기 댐퍼부(151,16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내기유입구 또는 상기 외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기의 습도조절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내기유입구 또는 상기 외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기가 상기 습도조절부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제1 혼합댐퍼(151) 및 상기 제2 혼합댐퍼(152)를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개구(152) 및 상기 제2 개구(162)가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 또는 상기 내기유입구 내부에는 제1 습도센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외기유입구 내부에는 제2 습도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습도센서에서 측정한 내기의 제1 습도값 또는 상기 제2 습도센서에서 측정한 외기의 제2 습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 혼합댐퍼(151) 및 상기 제2 혼합댐퍼(15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습도센서 및 상기 제2 습도센서의 종류 및 배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내기와 외부의 외기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그 구성 및 배치는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술한 내용 또는 후술할 내용 중, 입구측이랑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기가 들어오는 측을 의미하고, 출구측이랑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기준으로 공기가 나가는 측을 의미함을 밝혀둔다.
상기 유동발생부(210)는 상기 제1 혼합부(15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혼합부(150) 및 상기 제2 혼합부(16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을 생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발생부(210)는 상기 제1 혼합부(150)의 입구측 하측, 더욱 상세히, 상기 냉각부(153)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혼합부(150) 및 상기 제2 혼합부(16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발생부(210)는 축류팬(2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축류팬(211)은 중심축이 지면에 평행한 형태, 즉, 중심축의 방향이 상기 공기배출부(220)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혼합부(150)의 상기 냉각부(153)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혼합부(150) 및 상기 제2 혼합부(160)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상기 축류팬(211)으로 유입되어 상기 축류팬(211)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220)는 상기 데이터센터의 일측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센터로 상기 유동발생부(21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배출부(220)는 상기 유동발생부(210),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류팬(211)으로부터 유동된 공기를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기배출부(220)는 제3 댐퍼(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댐퍼(221)는 온/오프 동작함으로써, 상기 공기배출부(220)와 상기 데이터센터 간의 연결공간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공기배출부(220)를 통해 상기 데이터센터로 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상기한 구성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이 제1 환기운전 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이 제2 환기운전 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이 제1 외기운전 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이 제2 외기운전 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이 제1 혼합운전 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이 제2 혼합운전 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은 크게 3가지 운전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의 운전동작은,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내기만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공간을 공조제어하는 환기운전, 외부의 외기만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공간을 공조제어하는 외기운전 및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내기와 외부의 외기를 혼합한 혼합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공간을 공조제어하는 혼합운전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환기운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환기운전은 크게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내기의 가습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의 제1 환기운전과,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내기의 가습이 필요한 경우의 제2 환기운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제1 환기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환기운전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의 내기유입구(110)는 상기 제1 댐퍼(111)가 온 작동함에 따라 개방되고,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내기가 상기 내기유입구(110)로 유입된다. 상기 외기유입구(130)의 상기 제2 댐퍼(131)는 오프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외기유입구(130)가 폐쇄되어 외부의 외기가 상기 외기유입구(130)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 혼합부의 상기 제1 혼합댐퍼(151)는 온 작동시키고, 상기 제2 혼합부의 상기 제2 혼합댐퍼(152)는 오프 작동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내기유입구(110)로 유입된 내기는 상기 내기여과부(12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기여과부(120)에 배치된 상기 제1 필터부(121)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121)에 의해 필터링된 내기는 상기 제1 혼합부(150) 로 유입될 수 있다. 상세히,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제1 혼합부(15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냉각부(153)를 거치게 되며 냉각되게 된다. 즉, 필터링된 내기가 상기 냉각부(153)에 의해 필요한 온도로 냉각되게 된다.
또한, 제1 환기운전 상태에서 상기 흡수식 냉동기는 상기 제1 혼합댐퍼(151)가 온 작동하고 상기 제2 혼합댐퍼(152)가 오프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혼합부의 제1 개구(152)는 개방되고, 상기 제2 혼합부(160)의 제2 개구(162)는 폐쇄되어, 상기 제1 혼합부(150) 내부의 필터링 및 냉각된 내기는 상기 제1 개구(152)를 통해 상기 유동발생부(210), 상세히 상기 축류팬(211)에 의해 상기 유동발생부(210)의 입구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축류팬(211)의 축에 수평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기배출부(220)의 상기 제3 댐퍼(221)가 온 작동하여 상기 데이터센터와 상기 공기배출부(220) 간의 연결공간을 개방한 상태이기 ?문에, 상기 유동발생부(210)에 의해 유동되는 내기가 상기 공기배출부(220)를 통해 상기 데이터센터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내기를 사용하여 공조한 뒤 재 인입시킴으로써,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2 환기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환기운전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의 내기유입구(110)는 상기 제1 댐퍼(111)가 온 작동함에 따라 개방되고,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내기가 상기 내기유입구(110)로 유입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외기유입구(130)의 상기 제2 댐퍼(131)는 오프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외기유입구(130)가 폐쇄되어 외부의 외기가 상기 외기유입구(130)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 혼합부의 상기 제1 혼합댐퍼(151)는 오프 작동시켜 상기 제1 개구(152)를 폐쇄하고, 상기 제2 혼합부의 상기 제2 혼합댐퍼(152)는 온 작동시켜 상기 제2 개구(162)를 개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내기유입구(110)로 유입된 내기는 상기 내기여과부(12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기여과부(120)에 배치된 상기 제1 필터부(121)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121)에 의해 필터링된 내기는 상기 제1 혼합부(150) 로 유입될 수 있다. 상세히, 필터링된 내기는 상기 제1 혼합부(15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냉각부(153)를 거치게 되며 냉각되게 된다. 즉, 필터링된 내기가 상기 냉각부(153)에 의해 필요한 온도로 냉각되게 된다.
상기 제1 혼합부(150) 내부의 필터링 및 냉각된 내기는 상기 제1 개구(152)가 폐쇄되고, 상기 제2 개구(162)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혼합부(160)로 유동한다. 이 과정에서, 필터링 및 냉각된 내기는 상기 제1 혼합부(150)와 상기 제2 혼합부(16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습도조절부(170) 통과하면서 습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 뒤, 상기 습도조절부(170)에 의해 습도가 조절된 내기는 상기 제2 혼합부(160)로 유입된 뒤, 상기 제2 개구(162)를 통해 상기 유동발생부(210), 상세히 상기 축류팬(211)에 의해 상기 유동발생부(210)의 입구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축류팬(211)의 축에 수평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기배출부(220)의 상기 제3 댐퍼(221)가 온 작동하여 상기 데이터센터와 상기 공기배출부(220) 간의 연결공간을 개방한 상태이기 ?문에, 상기 유동발생부(210)에 의해 유동되는 내기가 상기 공기배출부(220)를 통해 상기 데이터센터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공기를 사용하여 공조 및 가습한 뒤 상기 데이터센터로 재 인입시킴으로써,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외기운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외기운전은 크게 외부의 공기, 즉 외기의 가습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의 제1 외기운전과, 외기의 가습이 필요한 경우의 제2 외기운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외기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외기운전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의 외기유입구(130)는 상기 제2 댐퍼(131)가 온 작동함에 따라 개방되고, 외기가 상기 외기유입구(130)로 유입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내기유입구(110)의 상기 제1 댐퍼(111)는 오프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내기유입구(110)가 폐쇄되어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내기가 상기 내기유입구(110)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 혼합부의 상기 제1 혼합댐퍼(151)는 오프 작동시켜 상기 제1 개구(152)를 폐쇄하고, 상기 제2 혼합부의 상기 제2 혼합댐퍼(152)는 온 작동시켜 상기 제2 개구(162)를 개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기유입구(130)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외기여과부(14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외기여과부(140)에 배치된 상기 제2 필터부(141)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기유입구(130)로 유입되는 외기는, 상기 제2 필터부(141)의 구성 중 1차필터(141a)에 의해 큰 먼지 등이 필터링되고, 2차필터(141b)에 의해 미세먼지가 필터링될 수 있다. 즉, 상기 1차필터(141a) 및 2차필터(141b)에 의해 2차에 걸쳐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부(141)에 의해 필터링된 외기는 상기 제2 혼합부(160) 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혼합부의 제1 개구(152)는 폐쇄되고, 상기 제2 혼합부(160)의 제2 개구(162)는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 혼합부(160) 내부의 필터링된 외기는 상기 제2 개구(162)를 통해 상기 유동발생부(210), 상세히 상기 축류팬(211)에 의해 상기 유동발생부(210)의 입구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축류팬(211)의 축에 수평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기배출부(220)의 상기 제3 댐퍼(221)가 온 작동하여 상기 데이터센터와 상기 공기배출부(220) 간의 연결공간을 개방한 상태이기 ?문에, 상기 유동발생부(210)에 의해 유동되는 외기가 상기 공기배출부(220)를 통해 상기 데이터센터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의 공기를 사용하여 공조한 뒤 상기 데이터센터로 인입시킴으로써,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외기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외기운전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의 외기유입구(130)는 상기 제2 댐퍼(131)가 온 작동함에 따라 개방되고, 외기가 상기 외기유입구(130)로 유입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내기유입구(110)의 상기 제1 댐퍼(111)는 오프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내기유입구(110)가 폐쇄되어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내기가 상기 내기유입구(110)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 혼합부의 상기 제1 혼합댐퍼(151)는 온 작동시켜 상기 제1 개구(152)를 개방하고, 상기 제2 혼합부의 상기 제2 혼합댐퍼(152)는 오프 작동시켜 상기 제2 개구(162)를 폐쇄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기유입구(130)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외기여과부(14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외기여과부(140)에 배치된 상기 제2 필터부(141)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기유입구(130)로 유입되는 외기는, 상기 제2 필터부(141)의 구성 중 1차필터(141a)에 의해 큰 먼지 등이 필터링되고, 2차필터(141b)에 의해 미세먼지가 필터링될 수 있다. 즉, 상기 1차필터(141a) 및 2차필터(141b)에 의해 2차에 걸쳐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부(141)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제2 혼합부(160) 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혼합부(160) 내부의 필터링된 외기는 상기 제1 개구(152)가 개방되고, 상기 제2 개구(162)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혼합부(150)로 유동한다. 이 과정에서,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제2 혼합부(160)와 상기 제1 혼합부(15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습도조절부(170) 통과하면서 습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습도조절부(170)에 의해 습도가 조절된 외기는 상기 제1 혼합부(150)로 유동한 뒤, 상기 제1 개구(152)를 통해 상기 유동발생부(210), 상세히 상기 축류팬(211) 동작에 따라 유동발생부(210)의 입구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축류팬(211)의 축에 수평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기배출부(220)의 상기 제3 댐퍼(221)가 온 작동하여 상기 데이터센터와 상기 공기배출부(220) 간의 연결공간을 개방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유동발생부(210)에 의해 유동되는 외기가 상기 공기배출부(220)를 통해 상기 데이터센터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의 공기를 사용하여 공조 및 가습한 뒤 상기 데이터센터로 인입시킴으로써,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혼합운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혼합운전은, 상기 데이터 센터의 내기와 외부의 외기가 모두 공기조화 되는 운전모드로써, 외기의 가습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의 제1 혼합운전과, 외기의 가습이 필요한 경우의 제2 혼합운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1 혼합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혼합운전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의 외기유입구(130)는 상기 제2 댐퍼(131)가 온 작동함에 따라 개방되고, 외기가 상기 외기유입구(130)로 유입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내기유입구(110) 역시 상기 제1 댐퍼(111)가 온 작동함에 따라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내기가 상기 내기유입구(11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 혼합부의 상기 제1 혼합댐퍼(151) 및 상기 제2 혼합부의 상기 제2 혼합댐퍼(152)는 온 작동시켜, 상기 제1 개구(152) 및 상기 제2 개구(162)를 모두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기유입구(130)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외기여과부(14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외기여과부(140)에 배치된 상기 제2 필터부(141)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기유입구(130)로 유입되는 외기는, 상기 제2 필터부(141)의 구성 중 1차필터(141a)에 의해 큰 먼지 등이 필터링되고, 2차필터(141b)에 의해 미세먼지가 필터링될 수 있다. 즉, 상기 1차필터(141a) 및 2차필터(141b)에 의해 2차에 걸쳐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부(141)에 의해 필터링된 외기는 상기 제2 혼합부(160) 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혼합부(16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 개구(162)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개구(162)를 통해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기유입구(110)로 유입된 내기는 상기 내기여과부(12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기여과부(120)에 배치된 상기 제1 필터부(121)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121)에 의해 필터링된 내기는 상기 제1 혼합부(150) 로 유입될 수 있다. 상세히, 필터링된 내기는 상기 제1 혼합부(15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냉각부(153)를 거치게 되며 냉각되게 된다. 즉, 필터링된 내기가 상기 냉각부(153)에 의해 필요한 온도로 냉각되게 된다.
상기 냉각부(153)에 의해 냉각된 상태로 상기 제1 혼합부(150)에 유입된 내기는 상기 제1 개구(152)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개구(152)를 통해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발생부(210)의 상기 축류팬(211)의 작동하면, 상기 제1 개구(152)를 통해 필터링 및 냉각된 내기가 상기 유동발생부(210)의 입구측으로 유동하고, 상기 제2 개구(162)를 통해 필터링된 외기가 상기 유동발생부(210)의 입구측으로 상기 축류팬(211)의 축에 수평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유동과정에서 상기 필터링 및 냉각된 내기와 상기 필터링된 외기는 서로 혼합되어 혼합공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기배출부(220)의 상기 제3 댐퍼(221)가 온 작동하여 상기 데이터센터와 상기 공기배출부(220) 간의 연결공간을 개방한 상태이기 ?문에, 상기 유동발생부(210)에 의해 유동되는 혼합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부(220)를 통해 상기 데이터센터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기 및 내기를 사용하여 공조한 뒤 상기 데이터센터로 인입시킴으로써,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2 혼합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혼합운전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의 외기유입구(130)는 상기 제2 댐퍼(131)가 온 작동함에 따라 개방되고, 외기가 상기 외기유입구(130)로 유입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내기유입구(110) 역시 상기 제1 댐퍼(111)가 온 작동함에 따라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내기가 상기 내기유입구(11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 혼합부의 상기 제1 혼합댐퍼(151)는 온 작동시켜 상기 제1 개구(152)를 개방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제2 혼합부의 상기 제2 혼합댐퍼(152)는 오프 작동시켜 상기 제2 개구(162)를 폐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기유입구(130)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외기여과부(14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외기여과부(140)에 배치된 상기 제2 필터부(141)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기유입구(130)로 유입되는 외기는, 상기 제2 필터부(141)의 구성 중 1차필터(141a)에 의해 큰 먼지 등이 필터링되고, 2차필터(141b)에 의해 미세먼지가 필터링될 수 있다. 즉, 상기 1차필터(141a) 및 2차필터(141b)에 의해 2차에 걸쳐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부(141)에 의해 필터링된 외기는 상기 제2 혼합부(160) 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혼합부(16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 개구(162)가 폐쇄되고, 상기 제1 개구(152)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혼합부로 유입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필터링된 외기는 상기 제2 혼합부(160)와 상기 제1 혼합부(15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습도조절부(170) 통과하면서 습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기유입구(110)로 유입된 내기는 상기 내기여과부(12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기여과부(120)에 배치된 상기 제1 필터부(121)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121)에 의해 필터링된 내기는 상기 제1 혼합부(150) 로 유입될 수 있다. 상세히, 필터링된 내기는 상기 제1 혼합부(15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냉각부(153)를 거치게 되며 냉각되게 된다. 즉, 필터링된 내기가 상기 냉각부(153)에 의해 필요한 온도로 냉각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습도조절부에 의해 습도가 조절된 외기가 상기 제1 혼합부에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제1 혼합부에서는 습도가 조절된 외기와 필터링 및 냉각이 이루어진 내기가 혼합될 수 있다.
외기와 내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는 상기 제1 혼합부의 상기 제1 개구(152)를 통해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발생부(210)의 상기 축류팬(211)의 작동하면, 상기 제1 개구(152)를 통해 외기와 내기가 혼합된 혼합공기가 상기 유동발생부(210)의 입구측으로 상기 축류팬(211)의 축에 수평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기배출부(220)의 상기 제3 댐퍼(221)가 온 작동하여 상기 데이터센터와 상기 공기배출부(220) 간의 연결공간을 개방한 상태이기 ?문에, 상기 유동발생부(210)에 의해 유동되는 혼합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부(220)를 통해 상기 데이터센터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기 및 내기를 사용하여 공조한 뒤 상기 데이터센터로 인입시킴으로써,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센터는, 환기운전, 외기운전 및 혼합운전의 모든 단계에서 내기 또는 외기의 습도조절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내기 또는 외기의 습도조절이 필요한 경우(예를 들어, 사막과 같은 건조한 지역에 데이터센터가 설치된 경우)와 내기 또는 외기의 습도조절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동남아시아와 같은 다습한 지역에 데이터센터가 설치된 경우)에 별도로 서로 다른 구성의 데이터센터를 설치할 필요없이 하나의 데이터센터 설계를 통해 외기의 습도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의 날씨가 1년동안 자주 바뀌는 경우(예를 들어, 우리나라와 같이 4계절이 존재하는 지역에 데이터센터가 설치된 경우)에도 계절 또는 날씨와 같은 외부환경에 따라 외기의 습도조절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데이터센터 내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내기유입구;
    상기 내기유입구와 연통되어 내기가 유동되는 제 1 혼합부;
    외부 공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외기유입구;
    상기 외기유입구와 연통되어 외기가 유동되는 제 2 혼합부;
    상기 제 1 혼합부의 일측에 개구되는 제 1 개구;
    상기 제 2 혼합부의 일측에 개구되는 제 2 개구;
    상기 제 1 혼합부 및 제 2 혼합부와 연통되며, 상기 제 1 개구와 제 2 개구 사이에 배치되는 습도조절부;
    상기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와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내기 및 외기의 유동을 위한 팬이 구비되는 유동발생부;
    상기 제 1 개구를 개폐하는 제 1 혼합댐퍼;
    상기 제 2 개구를 개폐하는 제 2 혼합댐퍼;
    상기 유동발생부로부터 유동되는 공기를 상기 데이터 센터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 및
    상기 제 1 혼합댐퍼 및 제 2 혼합댐퍼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혼합부, 제 2 혼합부 및 습도조절부는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기유입구 또는 외기유입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습도조절부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제 1 혼합댐퍼와 제 2 혼합댐퍼를 제어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유입구와 상기 제 1 혼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여과되는 내기여과부; 및
    상기 외기유입구와 상기 제 2 혼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여과되는 외기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부에는 냉각부가 포함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는 상기 제 1 혼합부 및 제 2 혼합부 각각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발생부는 상기 제 1 혼합부 및 제 2 혼합부의 하방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유입구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외기유입구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습도조절부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제 1 혼합댐퍼 및 상기 제 2 혼합댐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고, 상기 제2 혼합댐퍼를 오프 작동시켜 상기 제2 개구를 폐쇄하여,
    상기 내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개구 순서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혼합댐퍼를 오프 작동시켜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1 혼합댐퍼를 온 작동시켜 상기 제2 개구를 개방하여,
    상기 내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혼합부, 상기 습도조절부, 상기 제2 혼합부 및 상기 제2 개구 순서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유입구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지 않고, 상기 외기유입구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습도조절부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제 1 혼합댐퍼 및 상기 제 2 혼합댐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혼합댐퍼를 오프 작동시켜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2 혼합댐퍼를 온 작동시켜 상기 제2 개구를 개방하여,
    상기 외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2 혼합부 및 상기 제2 개구 순서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혼합댐퍼를 온 작동시켜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고, 상기 제2 혼합댐퍼를 오프 작동시켜 상기 제2 개구를 폐쇄하여,
    상기 외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2 혼합부, 상기 습도조절부, 상기 제1 혼합부 및 상기 제2 개구 순서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유입구 및 상기 외기유입구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습도조절부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제 1 혼합댐퍼 및 상기 제 2 혼합댐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혼합댐퍼 및 상기 제2 혼합댐퍼를 온 작동시켜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개방하고,
    상기 내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혼합부 및 상기 제1 개구 순서로 유동시키며,
    상기 외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2 혼합부 및 상기 제2 개구 순서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혼합댐퍼를 온 작동시켜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고, 상기 제2 혼합댐퍼를 오프 작동시켜 상기 제2 개구를 폐쇄하며,
    상기 내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혼합부 및 상기 제1 개구 순서로 유동시키고,
    상기 외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2 혼합부, 상기 습도조절부, 상기 제1 혼합부 및 상기 제1 개구 순서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14. 삭제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여과부 또는 상기 외기여과부에는 필터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외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1차 여과하는 1차필터; 및
    상기 1차필터로부터 1차 여과된 공기를 2차 여과하는 2차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17. 삭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축류팬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KR1020160020770A 2016-02-22 2016-02-22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KR101753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770A KR101753516B1 (ko) 2016-02-22 2016-02-22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770A KR101753516B1 (ko) 2016-02-22 2016-02-22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516B1 true KR101753516B1 (ko) 2017-07-03

Family

ID=5935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770A KR101753516B1 (ko) 2016-02-22 2016-02-22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5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1696A (ja) * 2009-11-30 2010-11-18 Kajima Corp 外気冷房型電算室用空気調和機
KR101295311B1 (ko) * 2012-12-21 2013-08-12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빌트업 항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1696A (ja) * 2009-11-30 2010-11-18 Kajima Corp 外気冷房型電算室用空気調和機
KR101295311B1 (ko) * 2012-12-21 2013-08-12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빌트업 항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148B1 (ko) 환기장치
KR101790696B1 (ko) 바이패스 및 재순환 기능을 겸비한 열교환형 환기장치
KR102010813B1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환기장치
US11187429B2 (en) Integrated heat and energy recovery ventilator system
KR100628205B1 (ko)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253459B2 (ja) 空調用換気装置
WO2006068017A2 (ja) 空調システム
KR102056255B1 (ko) 실내공기청정 기능을 가지는 급기시스템
JPWO2020085339A1 (ja) 除湿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2287901B1 (ko) 환기장치
KR20190001916U (ko) 벽면설치가 가능한 열회수형환기장치
KR101542430B1 (ko) 에너지절감형 바닥공조시스템
KR101824145B1 (ko) 환기장치
CN206803381U (zh) 温湿度独立控制空调箱
KR100346560B1 (ko) 대형 공기조화기의 바이패스 장치
KR101753516B1 (ko)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KR200353071Y1 (ko) 항온,항습용 공조기
US20210003296A1 (en) Method of indirect evaporative cooling of air and device for implementation thereof
CN211060255U (zh) 户式空调
CN206944364U (zh) 一种剧场观众区空调机组
CN108731154A (zh) 温湿度独立控制空调箱
KR101712310B1 (ko) 빌트업 공기조화 시스템
CN112984655A (zh) 一种内置二次回风通道的组合式空调机组
CN207422524U (zh) 可消除制冷工况再热能耗的旁通式新风空气处理机组
CN108800373A (zh) 一种可消除制冷工况再热能耗的旁通式新风空气处理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