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290B1 -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 - Google Patents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290B1
KR101751290B1 KR1020170010950A KR20170010950A KR101751290B1 KR 101751290 B1 KR101751290 B1 KR 101751290B1 KR 1020170010950 A KR1020170010950 A KR 1020170010950A KR 20170010950 A KR20170010950 A KR 20170010950A KR 101751290 B1 KR101751290 B1 KR 101751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absorbent sheet
net
discharge hole
pa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4615A (ko
Inventor
김상용
Original Assignee
김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용 filed Critical 김상용
Priority to KR1020170010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2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4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13/49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with absorbent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약자나 환자 등이 대소변을 몸에 묻히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용변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결합이 가능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에 의하면 노약자나 환자 등이 대소변을 몸에 묻히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용변을 볼 수 있으며, 분리결합이 가능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에 의하면 유아에서 노약자까지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실금 환자나 와병 환자 등과 같은 환자들까지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에 의하면 대소변의 양이나 흡수 등을 감지하여 교환 여부를 알려줄 수 있어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Seperate-combined type feces and urine pad, and diaper provid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약자나 환자 등이 대소변을 몸에 묻히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용변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결합이 가능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와병 생활 중인 노인이나 환자들은 거동이 불편하기 때문에 누워서 용변을 보기 위해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요실금 환자들은 요실금팬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회용 기저귀는 한번 사용한 후 폐기하는 제품으로서 유아용 또는 성인용의 일회용 기저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유아 또는 성인 실금자가 착용하는 기저귀의 주요 기능은 대소변과 같은 체내분비물을 흡수하여 함유하는 것이다.
요실금에는 절박성 요실금과 복압성 요실금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절박성 요실금이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속옷을 적시는 현상으로 화장실에 가는 도중이나 물소리를 들었을 때 발생되는 요실금이며, 상기 복압성 요실금이란 재채기, 줄넘기, 웃을 때 복압이 가해지면 발생되는 요실금이다.
이러한 요실금으로 인한 사회생활을 불편함을 덜기 위하여 여성용 패드가 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여성용 패드는 흡수기능만을 가지고 있었으며, 일단 패드를 통해 흡수된 소변은 패드를 교환하기 전까지 그대로 피부와 밀착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세균감염 및 악취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다리 사이로 착용되는 기저귀를 통해서 환자에게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기저귀 컵을 설치하여 간호자나 간병인 없어도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와병 환자용 배설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설장치는 고가일 뿐만 아니라, 기저귀 컵에 남아있는 악취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번호 제10-0946345호(2010.03.02. 등록)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분리결합이 가능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를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약자나 환자 등이 대소변을 몸에 묻히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용변을 볼 수 있으며, 분리결합이 가능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아에서 노약자까지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실금 환자나 와병 환자 등과 같은 환자들까지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소변의 양이나 흡수 등을 감지하여 교환 여부를 알려줄 수 있는 분리결합형 스마트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람의 국부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소변이 통과하도록 메쉬형태로 형성된 패드망; 상기 패드망이 안착되는 패드본체; 및 상기 패드망과 상기 패드본체 사이에 위치하며, 소변을 흡수하는 흡수시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패드망, 상기 패드본체 및 상기 흡수시트는 서로 분리결합되며, 상기 흡수시트를 교환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는 기저귀 또는 팬티의 안감에 위치하여 사용되며, 상기 패드망 및 상기 패드본체는 세척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본체는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패드망이 안착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턱이 형성되어 상기 패드망이 안착 시 상기 패드망과 상기 패드본체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수시트는 가장자리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거나 밴드 처리되어, 상기 패드망의 윗면 가장자리에 걸쳐 접착되거나 또는 덧씌워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사람의 국부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소변이 통과하도록 메쉬형태로 형성되며,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패드망; 상기 패드망이 안착되며,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패드본체; 상기 패드망과 상기 패드본체 사이에 위치하며, 소변을 흡수함과 함께 대변을 수용하는 흡수시트; 및 상기 패드망의 배출공 및 상기 패드본체 배출공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흡수시트와 함께 대변을 수용하는 대변수용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패드망, 상기 패드본체, 상기 흡수시트 및 상기 대변수용부는 서로 분리결합되며, 상기 흡수시트를 교환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는 기저귀 또는 팬티의 안감에 위치하여 사용되며, 상기 패드망 및 상기 패드본체는 세척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본체는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패드망이 안착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턱이 형성되어 상기 패드망이 안착 시 상기 패드망과 상기 패드본체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수시트는 가장자리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거나 밴드 처리되어, 상기 패드망의 윗면 가장자리에 걸쳐 접착되거나 또는 덧씌워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기저귀본체; 사람의 국부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소변이 통과하도록 메쉬형태로 형성되며,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패드망; 상기 패드망이 안착되고, 상기 기저귀본체의 안감에 위치하며,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패드본체; 상기 패드망과 상기 패드본체 사이에 위치하며, 소변을 흡수함과 함께 대변을 수용하는 흡수시트; 및 상기 패드망의 배출공, 상기 패드본체의 배출공 및 상기 기저귀본체의 배출공 하부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수시트와 함께 대변을 수용하는 대변수용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패드망, 상기 패드본체, 상기 흡수시트 및 상기 대변수용부는 서로 분리결합되며, 상기 대변수용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흡수시트만을 교환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가 구비된 기저귀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팬티본체; 사람의 국부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소변이 통과하도록 메쉬형태로 형성되며,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패드망; 상기 패드망이 안착되고, 상기 팬티본체의 안감에 위치하며,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패드본체; 상기 패드망과 상기 패드본체 사이에 위치하며, 소변을 흡수함과 함께 대변을 수용하는 흡수시트; 및 상기 패드망의 배출공, 상기 패드본체의 배출공 및 상기 팬티본체의 배출공 하부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수시트와 함께 대변을 수용하는 대변수용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패드망, 상기 패드본체, 상기 흡수시트 및 상기 대변수용부는 서로 분리결합되며, 상기 대변수용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흡수시트만을 교환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가 구비된 팬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에 의하면 노약자나 환자 등이 대소변을 몸에 묻히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용변을 볼 수 있으며, 분리결합이 가능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에 의하면 유아에서 노약자까지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실금 환자나 와병 환자 등과 같은 환자들까지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에 의하면 대소변의 양이나 흡수 등을 감지하여 교환 여부를 알려줄 수 있어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를 설명하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가 부착된 기저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를 설명하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가 부착된 기저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를 설명하는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가 부착된 기저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100)는 크게 패드본체(110), 패드망(120) 및 흡수시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패드본체(110), 상기 패드망(120) 및 상기 흡수시트(130)는 서로 분리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100)는 기저귀(10) 또는 팬티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패드망(120)은 사람의 국부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상기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100)의 최상층에 위치한다.
상기 패드망(120)은 소변이 통과할 수 있는 적절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쉬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또한, 상기 패드망(120)은 소변이 배출되는 국부(남성과 여성 포함)와 맞닿는 부분이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위생 소재로서 실리콘 소재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패드본체(110)는 기저귀 또는 팬터의 안감에 위치하는 본체로서, 상기 패드망(120)이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패드본체(110)의 형상은 상기 패드망(120)의 안착을 위하여 상기 패드망(120)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패드본체(110)와 상기 패드망(120)은 서로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패드본체(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가이드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패드망(120)이 안착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본체(110)의 가이드부재에 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패드본체(110)와 상기 패드망(120)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드본체(110)의 소재는 상기 패드망(120)과 마찬가지로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실리콘 소재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패드본체(110)의 상기 패드망(120) 및 상기 흡수시트(130)가 안착되는 면의 일정 부분에는 감지센서(1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감지센서(140)는 습도나, 온도, 압력 또는 전기저항 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소변의 양이나 횟수, 흡수지의 상태 및 교환시기 등을 감지하여 사용자나 보호자 등에게 문자나 음성을 통하여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드본체(110)의 엉덩이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엉덩이보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와 별도로, 엉덩이보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엉덩이 라인에 볼륨감을 제공하여 미적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패드망(120)과 상기 패드본체(110) 사이에는 소변을 흡수하는 흡수시트(130)가 위치한다.
상기 흡수시트(130)는 소변을 충분히 흡수하여 소변이 외부로 흘러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분쇄펄프나 부직포 또는 고흡수성수지 등의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수시트(130)의 형상은 상기 패드망(120)과 상기 패드본체(110)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수시트(130)의 크기는 상기 패드망(120)의 크기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흡수시트(130)의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둠으로써, 상기 패드망(120)의 윗면 가장자리에 걸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흡수시트(130)의 가장자리를 탄성력이 있는 밴드로 처리하여, 상기 패드망(120)의 윗면 가장자리에 걸쳐 덧씌워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100)는 배출된 소변이 인체에 닿지 않게 함으로써 위생적이면서 불편함을 감소시켰으며, 상기 패드본체(110), 상기 패드망(120) 및 상기 흡수시트(130)를 서로 분리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세척이 용이할뿐만 아니라 상기 흡수시트(130)만을 교환한 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140)의 감지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세척시기 또는 상기 흡수시트(130)의 교환 등을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100)는 기저귀 또는 팬티의 안감에 위치시켜 사용(도 3 참조)할 수 있는데, 상기 패드본체(110)의 바닥면의 일정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또는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기저귀 또는 팬티의 안감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를 설명하는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가 부착된 기저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200)는 크게 패드본체(210), 패드망(220), 흡수시트(230) 및 대변수용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패드본체(210), 상기 패드망(220), 상기 흡수시트(230) 및 상기 대변수용부(250)는 서로 분리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200)는 기저귀(10) 또는 팬티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패드망(220)은 사람의 국부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상기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200)의 최상층에 위치한다.
상기 패드망(220)은 소변이 통과할 수 있는 적절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쉬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상기 패드망(220)의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공(221)은 대변이 통과하는 구멍으로서, 상기 패드망(220)에 묻지 않을 정도의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람의 국부가 맞닿는 부분에도 배출공(222)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패드망(220)은 인체와 맞닿는 부분이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위생 소재로서 실리콘 소재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패드본체(210)는 기저귀 또는 팬터의 안감에 위치하는 본체로서, 상기 패드망(220)이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패드본체(210)의 형상은 상기 패드망(220)의 안착을 위하여 상기 패드망(220)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본체(210)의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상기 패드망(220)과 마찬가지로 배출공(2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공(211)은 대변이 통과하는 구멍으로서, 상기 패드본체(210)에 묻지 않을 정도의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드본체(210)와 상기 패드망(220)은 서로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패드본체(210)의 가장자리 부분에 가이드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패드망(220)이 안착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본체(210)의 가이드부재에 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패드본체(210)와 상기 패드망(220)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드본체(210)의 소재는 상기 패드망(220)과 마찬가지로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실리콘 소재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패드본체(210)의 상기 패드망(220) 및 상기 흡수시트(230)가 안착되는 면의 일정 부분에는 감지센서(2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감지센서(240)는 습도나, 온도, 압력 또는 전기저항 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소변 및 대변의 양이나 횟수, 흡수지의 상태 및 교환시기 등을 감지하여 사용자나 보호자 등에게 문자나 음성을 통하여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패드망(220)과 상기 패드본체(210) 사이에는 소변을 흡수함과 함께, 대변을 수용하는 흡수시트(230)가 위치한다.
상기 흡수시트(230)는 소변을 충분히 흡수하여 소변이 외부로 흘러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분쇄펄프나 부직포 또는 고흡수성수지 등의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수시트(230)의 형상은 상기 패드망(220)과 상기 패드본체(210)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수시트(230)의 크기는 상기 패드망(220)의 크기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흡수시트(230)의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둠으로써, 상기 패드망(220)의 윗면 가장자리에 걸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흡수시트(230)의 가장자리를 탄성력이 있는 밴드로 처리하여, 상기 패드망(220)의 윗면 가장자리에 걸쳐 덧씌워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드망(220)의 배출공(221) 및 상기 패드본체(210) 배출공(211) 하부에는 대변수용부(2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대변수용부(250)는 대변을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흡수시트(230)의 대변흡수부(231)와 함께 대변을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대변수용부(250)는 그 형상이나 크기를 다양하게 설계하여 구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사발형태로 구비하거나 또는, 길죽한 자루 형태나 엉덩이 모양의 방석 형상 등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대변수용부(250)의 소재 역시 인체에 무해하고 유동적이면서 견고함이 있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패드본체(210)의 배출공(211)과 상기 대변수용부(25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60)로서 도 4와 같이 링(나사선 포함) 형태의 연결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원터치 형태의 연결부재 등 다양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200)는 배출된 소변이나 대변이 인체에 닿지 않게 함으로써 위생적이면서 불편함을 감소시켰으며, 상기 패드본체(210), 상기 패드망(220), 상기 흡수시트(230) 및 상기 대변수용부(250)를 서로 분리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세척이 용이할뿐만 아니라 상기 흡수시트(230)만을 교환한 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240)의 감지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세척시기 또는 상기 흡수시트(230)의 교환 등을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200)는 기저귀 또는 팬티의 안감에 위치시켜 사용(도 6 참조)할 수 있는데, 상기 패드본체(210)의 바닥면의 일정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또는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기저귀 또는 팬티의 안감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200)를 구비하는 기저귀를 제공하는데,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200)를 구비하는 기저귀는 크게 기저귀본체(10), 패드본체(210), 패드망(220), 흡수시트(230) 및 대변수용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패드본체(210), 상기 패드망(220), 상기 흡수시트(230) 및 상기 대변수용부(250)는 서로 분리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기저귀본체(10)는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드망(220)의 배출공, 상기 패드본체(210)의 배출공 및 상기 기저귀본체(10)의 배출공 하부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저귀를 탈의하지 않고서도 기저귀본체 외부로 노출된 상기 대변수용부(250)만(흡수시트 포함)을 분리함으로써 용변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변수용부(250)를 세척한 후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200)를 구비하는 팬티를 제공하는데,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200)를 구비하는 팬티는 크게 팬티본체(10), 패드본체(210), 패드망(220), 흡수시트(230) 및 대변수용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패드본체(210), 상기 패드망(220), 상기 흡수시트(230) 및 상기 대변수용부(250)는 서로 분리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팬티본체(10)는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드망(220)의 배출공, 상기 패드본체(210)의 배출공 및 상기 팬티본체(10)의 배출공 하부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팬티를 탈의하지 않고서도 팬티체 외부로 노출된 상기 대변수용부(250)만(흡수시트 포함)을 분리함으로써 용변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변수용부(250)를 세척한 후 재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200: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110, 210: 패드본체
120, 220: 패드망 130, 230: 흡수시트
140, 240: 감지센서 221: 배출공
250: 대변수용부 260: 연결부재

Claims (10)

  1. 사람의 국부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소변이 통과하도록 메쉬형태로 형성된 패드망;
    상기 패드망이 안착되는 패드본체; 및
    상기 패드망과 상기 패드본체 사이에 위치하며, 소변을 흡수하는 흡수시트;를 포함하는데 기저귀 또는 팬티의 안감에 위치하여 사용되며,
    상기 패드망, 상기 패드본체 및 상기 흡수시트는 서로 분리결합되고,
    상기 흡수시트를 교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패드망 및 상기 패드본체는 세척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본체는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패드망이 안착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턱이 형성되어 상기 패드망이 안착 시 상기 패드망과 상기 패드본체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시트는 가장자리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거나 밴드 처리되어, 상기 패드망의 윗면 가장자리에 걸쳐 접착되거나 또는 덧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5. 사람의 국부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소변이 통과하도록 메쉬형태로 형성되며,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패드망;
    상기 패드망이 안착되며,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패드본체;
    상기 패드망과 상기 패드본체 사이에 위치하며, 소변을 흡수함과 함께 대변을 수용하는 흡수시트; 및
    상기 패드망의 배출공 및 상기 패드본체 배출공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흡수시트와 함께 대변을 수용하는 대변수용부;를 포함하는데 기저귀 또는 팬티의 안감에 위치하여 사용되며,
    상기 패드망, 상기 패드본체, 상기 흡수시트 및 상기 대변수용부는 서로 분리결합되고,
    상기 흡수시트를 교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패드망 및 상기 패드본체는 세척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본체는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패드망이 안착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턱이 형성되어 상기 패드망이 안착 시 상기 패드망과 상기 패드본체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시트는 가장자리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거나 밴드 처리되어, 상기 패드망의 윗면 가장자리에 걸쳐 접착되거나 또는 덧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9.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기저귀본체;
    사람의 국부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소변이 통과하도록 메쉬형태로 형성되며,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패드망;
    상기 패드망이 안착되고, 상기 기저귀본체의 안감에 위치하며,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패드본체;
    상기 패드망과 상기 패드본체 사이에 위치하며, 소변을 흡수함과 함께 대변을 수용하는 흡수시트; 및
    상기 패드망의 배출공, 상기 패드본체의 배출공 및 상기 기저귀본체의 배출공 하부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수시트와 함께 대변을 수용하는 대변수용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패드망, 상기 패드본체, 상기 흡수시트 및 상기 대변수용부는 서로 분리결합되고,
    상기 대변수용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흡수시트만을 교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패드망 및 상기 패드본체는 세척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가 구비된 기저귀.
  10.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팬티본체;
    사람의 국부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소변이 통과하도록 메쉬형태로 형성되며,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패드망;
    상기 패드망이 안착되고, 상기 팬티본체의 안감에 위치하며, 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패드본체;
    상기 패드망과 상기 패드본체 사이에 위치하며, 소변을 흡수함과 함께 대변을 수용하는 흡수시트; 및
    상기 패드망의 배출공, 상기 패드본체의 배출공 및 상기 팬티본체의 배출공 하부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수시트와 함께 대변을 수용하는 대변수용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패드망, 상기 패드본체, 상기 흡수시트 및 상기 대변수용부는 서로 분리결합되고,
    상기 대변수용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흡수시트만을 교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패드망 및 상기 패드본체는 세척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가 구비된 팬티.
KR1020170010950A 2017-01-24 2017-01-24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 KR101751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950A KR101751290B1 (ko) 2017-01-24 2017-01-24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950A KR101751290B1 (ko) 2017-01-24 2017-01-24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889A Division KR101727098B1 (ko) 2015-10-15 2015-10-15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615A KR20170044615A (ko) 2017-04-25
KR101751290B1 true KR101751290B1 (ko) 2017-06-27

Family

ID=5870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950A KR101751290B1 (ko) 2017-01-24 2017-01-24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771Y1 (ko) 2017-06-21 2017-10-26 강성수 다기능 보조 기저귀
JP6504733B1 (ja) * 2019-01-18 2019-04-24 株式会社Mom Kids Club トイレトレーニング用シート
KR102440834B1 (ko) * 2020-02-11 2022-09-06 염병수 분비물 누출을 방지하는 요실금용 보조기
KR102256059B1 (ko) * 2020-11-25 2021-05-25 케어포유 주식회사 환자를 위한 소변 흡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666Y1 (ko) * 2001-04-26 2001-10-12 양현진 환자용 기저귀
KR101326562B1 (ko) * 2012-11-05 2013-11-08 박창열 기저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666Y1 (ko) * 2001-04-26 2001-10-12 양현진 환자용 기저귀
KR101326562B1 (ko) * 2012-11-05 2013-11-08 박창열 기저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615A (ko) 201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290B1 (ko)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
TW404828B (en) Faecal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WO1990000379A1 (en) Ladies external catheter assembly
US9084703B1 (en) Fecal and urinary management system for bedridden persons
EP0911006A1 (en) Reusable diaper
JP6996804B2 (ja) 機能性おむつ
JP2001276108A (ja) 女性用排尿レシーバー
JP3146049U (ja) 男性用尿パッド及び男性用尿パッドの取付構造
KR100934254B1 (ko) 여성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
KR102224322B1 (ko) 남성 환자용 소변기
KR101727098B1 (ko)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
JP5016259B2 (ja) 吸収体製品
KR200465001Y1 (ko) 남성 소변전용 기저귀
KR200240666Y1 (ko) 환자용 기저귀
KR102070191B1 (ko) 환자용 오물처리기
KR102300943B1 (ko) 남성 환자용 프리 소변기
KR20220105511A (ko) 와상 환자용 팬티
JP7099694B2 (ja) 排尿用具
KR20100003962U (ko) 용변 주머니 탈부착용 팬티
JP5683371B2 (ja) 介護用オムツカバー
CN109195563B (zh) 尿液吸收垫
KR101983492B1 (ko) 위생용 기저귀
KR20090033132A (ko) 환자전용 기저귀
JP3234195U (ja) おむつ
CN214909665U (zh) 一种便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